KR20200089374A -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374A
KR20200089374A KR1020190005761A KR20190005761A KR20200089374A KR 20200089374 A KR20200089374 A KR 20200089374A KR 1020190005761 A KR1020190005761 A KR 1020190005761A KR 20190005761 A KR20190005761 A KR 20190005761A KR 20200089374 A KR20200089374 A KR 20200089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ructive pulmonary
yeast extract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ry ye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414B1 (ko
Inventor
강영희
박상재
김윤호
김경희
왕윤경
이재민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메디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메디언스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5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4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3/14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폐포의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를 막아주며, 폐포 상피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폐포의 손상을 막는 것을 통해 간접 흡연으로 유발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이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of improvement, prevention and treatment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with yeast extract}
본 발명은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포의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를 막아주며, 폐포 상피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여 폐포의 손상을 막는 것을 통해 간접 흡연으로 유발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이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점차 기류 제한이 진행되어 폐 기능이 저하되고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되는 호흡기 질환을 말한다. 대표적인 만성 폐쇄성 폐질환으로는 폐기종, 만성기관지염 등이 있으며, 특히 폐포가 파괴되면 재생이 불가능하여 한번 손상을 입으면 회복이 불가한 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3억 2900만 명, 혹은 전세계 인구의 5%에 가까운 사람들이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앓고 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2012년 사망 원인 3위로 300만 명 이상 인구의 사망원인이었으며, 여러 국가들의 고령화와 높은 흡연율로 사망자 수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주로 흡연으로 발생하게 되며, 최근에는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매연, 미세먼지의 증가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또한, 자극물의 흡입에 상당 수준의 만성적인 염증성 반응으로 발생하며, 이러한 염증 상태에 만성 세균성 감염 또한 더해질 수 있다.
만성 세균성 감염에 관여하는 염증세포에는 백혈구 두 종 호중성 과립구와 대식세포가 포함된다. 흡연자의 경우에는 여기에 Tc1 림프구가 추가되며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 중 일부의 경우에는 천식과 유사한 호산구가 추가된다. 이러한 세포 반응은 일부분 화학쏠림인자와 같은 염증매개체에 의해 유발된다. 폐손상에 관련된 다른 과정들로는 담배연기에 높은 농도로 포함된 유리기가 유발하고 염증세포가 해소하는 산화 스트레스와 단백질분해효소억제제의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가 불충분하여 일어나는 폐의 결합조직의 손상 등이 있다. 폐의 결합조직의 손상은 폐기종으로 이어져 기류 불량, 궁극적으로는 호흡기체의 흡수 및 방출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자주 나타나는 전반적인 근육 퇴행은 일부 폐에서 혈액으로 방출되는 염증매개체로 인한 것일 가능성도 있다.
종래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효과적이면서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성분을 이용하여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11207호 (등록일자:2017.12.15.)에는, 굴피나무잎 추출물, 자작나무 수피 추출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간접 흡연으로 인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는 안전한 신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바람직하게 흡연으로 말미암은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바람직하게 흡연으로 말미암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폐포 상피 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고, 폐포 내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를 억제시킴으로써 간접 흡연에 의해 유발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의 폐 세척액에 본 발명의 건조 효모 추출물이 각 면역 염증 세포들의 수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의 폐포에 건조 효모 추출물을 처리하여 폐포 파괴 정도와 엘라스틴(elastin) 분해 효소인 MMP-12(omatrix metalloprotease-12)의 발현양상을 관찰한 결과 사진이다.
도 3은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의 건조 효모 추출물을 처리하여 폐포 세포 사멸과 관련한 BAX/BCL-2 단백질 발현양상을 관찰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효모(yeast)는 빵, 맥주, 포도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로,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을 총칭하여 이른다. 건조시킨 효모를 '건조 효모'라고 하며 이는 효모가 수분이 많아 부패하기 쉬우므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건조시키는 것이다. 주로 건조 효모는 효모가 죽지 않도록 건조시켜야 하며, 건조시키는 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로 저온에서 통풍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약 30℃의 온도에서 8시간 건조시키는 방법,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건조통 속에서 통풍 건조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열에 의한 효모의 사멸을 억제하기 위하여 동결건조하는 것이 좋다.
효모추출물의 제조는 먼저 건조효모에 효모 무게의 5~10배수에 해당하는 물을 가하고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배양하여 효모를 활성화시킨 다음, 이를 섭씨 50~88℃에서 0.5~5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효모를 제거하여 효모추출액을 얻고 이를 농축하여 고형분의 함량이 10 %(w/v) 이상이 되도록 한다. 농축한 효모추출액을 한외여과막으로 분자량 5,000~20,000 달톤의 여과막이 장착된 시스템에서 여과하여 한외여과막을 통과하는 저분자량의 성분은 제거하고 얻어진 액을 다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건조효모추출물을 얻게 된다.
추출을 위하여 가하여 주는 물의 부피는 통상적으로 정해진 것이며 5배수 이하이거나 10배수 이상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 역시 경제적인 관점에서 설정된 것이므로 0.5시간보다 짧을 경우 추출효율이 저하되며, 5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게 되며, 효모추출물을 얻는데는 수율과 활성에 영향을 미친다. 추출온도는 효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의 한가지로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수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외여과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분자량 기준 5,000~30,000 달톤의 여과막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좋게는 15,000 달톤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외여과시스템을 적용하는 이유는 단위무게당 활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저분자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것이며,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단위무게당 활성이 낮아질 뿐 활성 자체의 유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조 효모 추출물은 하기 실험에 의할 경우, 간접 흡연이 유발된 마우스 모델의 각 염증 세포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폐포의 파괴, 폐포 내 탄력 섬유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 및 폐포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따라서, 폐포 세포의 사멸 및 파괴, 폐포 내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를 억제시키는 본 발명의 건조 효모 추출물은 간접 흡연에 의해 유발된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에 효능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치료 및 예방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 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에 있어서,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인 건조 효모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000001 내지 100 mg/kg (체중)으로 1회 이상 경구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와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이 본 발명의 성분인 건조 효모 추출물로부터 발생함을 의미하고, 그 외에 다른 성분으로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건조 효모 추출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효모균인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배양)하여 건조 효모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건조효모는 Baker's yeast, Beer yeast 등으로 판매중인 것도 있고, 다양한 종류의 효모 추출물의 제조를 위하여 건조효모로 판매하는 제품들도 적용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조양화학에서 생산된 Baker's yeast를 주로 사용하였다.
효모추출물의 제조는 건조효모 1kg에 5배수의 물을 가하고, 상온에서 3.5시간 동안 효모의 활성화를 위하여 배양한 후 이를 다시 섭씨 75도에서 4.5시간 동안 추출하고 효모를 여과한 다음 얻어진 추출액을 농축하고, 이를 한외여과막시스템에서 분자량 15,000 달톤의 막으로 여과하여 저분자 물질을 제거하고, 남은 액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88g을 얻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건조 효모 추출물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효능 확인실험]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 흡연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건조 효모 추출물을 처리하여 건조 효모 추출물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5주령 BALb/C 마우스를 1주간 적응 기간이 지난 후 미국 켄터키 대학에서 구입한 실험용 담배(3R4F)를 하루 30분씩 주 5일 8주간 노출시켜 만성 폐쇄성 폐질환 모델로 유도하였다.
(1)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의 폐포 세척액을 이용한 건조 효모 추출물이 각종 면역 염증 세포수에 미치는 영향
상기의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의 기도에 실린지를 삽입하고, 폐를 PBS(phosphate buffer saline)로 세척한 후, 건조 효모 추출물을 50, 100, 200 mg / kg 농도로 주 5일 위내 투여를 실시하였다. 그 후, 동물용 혈구 측정기를 통해 각종 면역 염증 세포의 수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면역 염증세포는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호중성 백혈구(neutrophil), 림프구(lymphocyte), 단핵구(monocyte), 호산성 백혈구(eosinophill),호염기성 백혈구(basophill)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간접 흡연이 유발된 각 면역 염증세포들과, 건조 효모 추출물을 처리구를 비교할 때 대부분의 면역 염증 세포들은 간접 흡연이 유발되지 않은 대조군보다 면역 염증세포들의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건조 효모 추출물은 간접 흡연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감소시키는소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의 폐포 세포 및 폐포 내 엘라스틴(elastin)에 건조 효모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본 실험예에서는 간접 흡연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의 폐포 세포 및 폐포 내 엘라스틴(elastin)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건조 효모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도상피세포로부터 10% SDS, 1% 글리세로포스페이트(glycerophosphate), 0.1 mol/L Na3VO4, 0.5 mol/L NaF와 프로테아제 인히비터 칵테일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포함된 1 mol/L, Tris-HCl (pH 6.8) 라이시스 버퍼 (lysis buffer)를 이용하여 폐를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샘플링한 후, 로우리 어세이 (Lowry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함량을 정량하였다. 폐 샘플은 5X dye와 혼합하여 95℃에서 10분간 끓인 후 8~15%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 전기영동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전기영동이 끝난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 (nitrocellulose membrane)에 전이시켰다. 멤브레인은 5% 탈지 건조 우유 (nonfat dry milk)에서 3시간 블록킹(blocking)하고, 특정 1차 항체를 붙인 후 4℃에서 오버나이트하였다. TBS-T로 세척한 후 이차항체 anti-mouse IgG conjugated horse-radish peroxidase와 1시간 반응시킨 후, ECL 용액을 이용하여 X-ray 필름으로 밴드 사진을 촬영하였다.
적출한 폐를 4%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용액을 이용하여 고정 후 파라핀 블록으로 만든 후 5um 두께로 잘라 슬라이드로 만든 후 헤마톡실린(hematoxylin) 및 에오신(eosin)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면역 염색은 3% BSA 용액으로 블로킹 후 특정 1차 항체를 붙인 후 4℃에서 오버나이트하였다. TBS-T로 세척한 후 이차항체 anti-rabbit IgG conjugated FITC를 1시간 붙인 후 형광 현미경을 통해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폐포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폐 결합조직에 풍부한 성분인 엘라스틴(elastin)은 폐 자체의 탄성을 크게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엘라스틴이 감소하게 되면 폐의 탄성이 감소하게 되고 폐 기종 등의 여러 폐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대표적인 효소로 MMP-12(matrix metalloprotease-12)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조 효모 추출물이 간접 흡연에 유발된 마우스 모델의 폐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도 2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간접흡연이 유발된 마우스 모델의 폐포가 파괴되었던 것과 비교할 때, 건조 효모 추출물을 50, 100, 200 mg/kg 농도로 처리한 군은 폐포 파괴되는 정도가 억제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간접 흡연이 유발된 마우스 모델의 폐포 내 MMP-12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건조 효모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그 발현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세포 사멸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BAX, BCL-2 같은 단백질이 관여하여 세포내 신호경로를 조절하게 되며 BAX가 세포 자살을 막는 단백질인 BCL2를 방해하여 세포 자살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간접 흡연 마우스 모델에 건조 효모 추출물을 처리하여 폐포 세포의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 3과 같이 대조군에 비해 간접흡연이 유발된 마우스 모델에서 BAX단백질의 발현양이 증가하고, BCL-2의 발현양이 감소하였던 것과 비교할 때, 건조 추출물을 50, 100, 200 mg/kg 농도로 처리한 군은 농도 의존적으로 BAX 단백질의 발현양이 감소하고, BCL-2의 발현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건조 효모 추출물은 간접 흡연에 의해 유발된 폐포의 파괴, 폐포 내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 및 폐포 세포 사멸을 억제시키는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종합하면 건조 효모 추출물은 간접 흡연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감소시키고, 폐포 파괴, 폐포 내 엘라스틴(elastin)의 파괴 및 폐포 세포 사멸을 억제시킴으로써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흡연으로 말미암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건조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흡연으로 말미암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005761A 2019-01-16 2019-01-16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61A KR102318414B1 (ko) 2019-01-16 2019-01-16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61A KR102318414B1 (ko) 2019-01-16 2019-01-16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374A true KR20200089374A (ko) 2020-07-27
KR102318414B1 KR102318414B1 (ko) 2021-10-29

Family

ID=7189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61A KR102318414B1 (ko) 2019-01-16 2019-01-16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4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91B1 (ko) * 2003-06-23 2004-02-19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전염성 위장염 코로나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효모변이주 아이에스2 유래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11207B1 (ko) 2015-12-18 2017-1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굴피나무잎, 자작나무수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98508B1 (ko) * 2017-05-02 2018-09-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효모 전기 자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191B1 (ko) * 2003-06-23 2004-02-19 주식회사 엔바이오테크놀러지 독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전염성 위장염 코로나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효모변이주 아이에스2 유래수용성 글루칸 올리고머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11207B1 (ko) 2015-12-18 2017-1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명의나무 굴피나무잎, 자작나무수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98508B1 (ko) * 2017-05-02 2018-09-19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효모 전기 자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식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un Ho Kim 외, Novel glutathione containing dry yeast extracts inhibit eosinophilia and mucus overproduction in a murine model of asthma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제11권 제6호, 461-469쪽, 2017. 사본 1부.* *
부산일보('만성폐쇄성폐질환'의 심각성 알고 예방해야...,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30404000080, 2013.04.04.) 사본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414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6915C (en) Active fraction having anti-cancer and anti-metastasis isolated from leaves and stems of ginseng
JP5700243B2 (ja) 虚血性疾患および脳変性疾患の予防および治療のためのイネ科植物(Gramineaeplant)からのでんぷんまたは食物繊維を含む組成物
JP2020100657A (ja) 肝臓の治療および肝臓の健康維持のための組成物、方法および医薬組成物
JP5043828B2 (ja) チオレドキシン産生促進剤
EP3991742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EA015255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табильного экстракта из грецких орехов, экстракт, полученный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101713419B1 (ko) 안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582796B1 (en) Composition for cough
KR20140143115A (ko) 자일리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8414B1 (ko) 효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0495A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JP4185996B2 (ja)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
TWI725276B (zh) 茯苓萃取物及其活性成分於調節、預防及/或治療肺部損傷之用途
JP2023536465A (ja) 宿主防御機構の恒常性の調節用の標準化バイオフラボノイド組成物
US10517917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or treating pulmonary hypertension
KR20050079256A (ko) 어성초와 복분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Bachri et al. Effect of subchronic administration of nutmeg (Myristica fragrans Houtt) ethanolic extract to hematological parameters in rat
KR102507928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용종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810732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легких, содержащая гиалуронан/протеогликан-связывающий белок 1
JP6436475B2 (ja) 血管攣縮抑制剤
KR102487701B1 (ko) 기관지염 또는 호흡기 질환 개선효능을 갖는 병풀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WI749568B (zh) 眼用組成物及其在治療近視上的醫藥用途
KR20130030620A (ko) 택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기종 및 폐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56880B1 (ko) 갯대추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WO2022100400A1 (zh) 无细胞脂肪提取液对非酒精性脂肪肝炎的治疗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