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727A -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727A
KR20200088727A KR1020190005397A KR20190005397A KR20200088727A KR 20200088727 A KR20200088727 A KR 20200088727A KR 1020190005397 A KR1020190005397 A KR 1020190005397A KR 20190005397 A KR20190005397 A KR 20190005397A KR 20200088727 A KR20200088727 A KR 20200088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filament yarn
dicarboxylic acid
mol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오성진
이태균
김중열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5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727A/ko
Publication of KR2020008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72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의 원료에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을 첨가하여 중합전구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아민을 첨가하여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H2N-(CH2)a-(CH)R-(CH2)b-NH2
또한, 본 발명은 수축률과 융점,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for polyamide filament yarn having high shrinkage and textured yar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 중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1차적으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을 첨가하고, 2차적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을 첨가함으로써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미드는 디아민기를 지닌 단량체와 디카르복실산 말단기를 지닌 단량체 간의 축합반응 또는 카프로락탐의 개환반응에 의한 중합을 거쳐 얻어지는 고분자로서 섬유, 사출성형품 및 압출가공품 등에 사용되며,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정한 수준의 분자량과 물성을 부여하게 되며 때로는 무기물질을 혼합함으로써 기능성을 향상시킨다.
이중 특히 섬유용 폴리아미드는 방사에 적합한 물성을 지니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물성으로는 분자량, 분자량분포, 용융점도, 산화도, 용융열, 결정화도, 결정화 속도 및 배향도 등이 있다. 섬유가 지니는 배향도는 결정영역의 배향과 비결정영역의 배향으로 나뉘어지며 섬유의 수축거동은 비결정영역과 비결정영역의 배향의 분율이 커짐에 따라 커지게 된다. 섬유의 형성과정에서 비정 배향이 늘어나게 되면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의 온도에서의 수축성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열수축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비결정영역이 증가되거나, 결정화의 진행속도를 늦추어 줄 수 있는 중합물을 용융방사하여 섬유를 형성하면 비결정배향이 늘어나 수축률이 큰 섬유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수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섬유를 얻기 위하여는 결정화도가 낮거나 결정화 속도가 느린 공중합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많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6 또는 폴리아미드66과 이소프탈산 및/또는 방향족 테레프탈산 및 지방족 디아민으로부터 형성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의 2원 또는 3원 공중합체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공중합물들은 투명성이 높으며 결정화도가 낮은 이유로 수축성을 부여하는 특성도 발현된다.
일반적인 폴리아미드 섬유 제조 공정은 중합시 원료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제품으로 제조하였을 때 고비용이 들거나, 저결정화점으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낮아져, 후가공시 고품위의 제품제조가 어려운 점이 있어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며, 본 발명의 목적은 수축률과 융점,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폴리아미드의 원료에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을 첨가하여 폴리아미드 중합전구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을 첨가하여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H2N-(CH2)a-(CH)R-(CH2)b-NH2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1~10의 정수이며, R은 C1~C10의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는 1이고, b는 3이며, R은 메틸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방향족 디아민은 파라페닐렌 디아민, 4,4'-디아미노비페닐, 2-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 2,6-나프탈렌디아민, 1,5-나프탈렌디아민 및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폴리아미드의 원료에 첨가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의 총 함량이 1 내지 10 mol%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의 총 함량은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전구체를 기준으로 1 내지 10mol% 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상기 a는 1이고, b는 3이며, R은 메틸기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폴리아미드 중합물 제조 단계 후, 방사온도 230 내지 280 ℃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용융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폴리아미드 중합물 제조 단계 후, 방사속도 3500 내지 4500 m/분으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용융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는, 방사온도 230 내지 280 ℃, 방사속도 3500 내지 4500 m/분, 및 연신비 1.05 내지 1.4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는 종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섬유)에 비하여 수축성이 매우 우수하며, 융점 저하를 방지하고 강력 저하를 방지하여서 융점과 강도가 동시에 향상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는 일반 폴리아미드6 연신사(FDY 또는 DTY)와 합사하여 독특한 터치를 발현하는 가공사가 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는 의류용, 산업자재용 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아미드 중합물의 제조시 폴리아미드 원료에 지방족 디카르복실실산과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을 첨가함으로써 1차적으로 폴리아미드의 결정성을 떨어뜨려 수축률이 높은 폴리아미드 공중합체를 제공함과 동시에, 2차적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을 첨가함으로써 융점저하 방지 및 터프니스(toughness)를 향상시켜 강력 저하를 방지하여 수축률과 융점,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축률은 결정화도(결정성 저하)를 떨어뜨려 비결정성을 증대시켜 발현한다. 이에, 폴리아미드를 2원, 3원 공중합체로 제조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투입되는 공중합체 원료의 양이 증대될수록 수축성은 증대되나, 융점이 급격히 낮아져 섬유로서 물성이 발현되기 어려우며, 후공정시 융착 발생으로 원단으로 사용되기 어렵다. 수축률 발현을 위해서는 공중합체의 투입량을 증대해야 효과가 상승되나, 융점과 강도 저하로 인하여 투입량에 제약이 있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은 이러한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폴리아미드는 중합체 단위들이 아미드(-CONH) 결합으로 연결된 물질로 내마찰,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유성 등도 우수하며, 녹는점이 높고 흡수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수분을 흡수하면 기계적 강도는 저하하나, 유연성, 내충격성은 증가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폴리아미드 원료는 카프로락탐을 포함한다.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은 알칸디카르복실산, 시클로알칸 디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알칸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아디프산, 피벨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디오산, 도데칸디오산, 트리데칸디오산이 있으며, 이들 가운데 바람직한 것은 아디프산과 세바스산이다. 시클로알칸 디카르복실산의 예로는 시클로알칸-1,3-디카르복실산 및 시클로헥산-1,4-디카르복실산이 있다.
아디프산의 경우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66과 아미드기 사이의 길이가 같기 때문에 일정한 규칙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섬유의 형성에서 완전한 비정형시 발생하는 섬유형성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강도 저하 등의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H2N-(CH2)a-(CH)R-(CH2)b-NH2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1~10의 정수이며, R은 C1~C10의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a 및 b는 각각 1~5의 정수이며, R은 C1~C5의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는 1이고, b는 3이며, R은 메틸기 즉,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이다.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의 경우 주쇄의 탄소수가 5개이므로 주쇄의 탄소수가 6인 폴리아미드6과의 공중합시 규칙성이 파괴되어 결정성장을 억제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폴리아미드의 원료에 첨가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의 총 함량은 1~10 mol%가 바람직하며, 그러한 함량 범위에서 수축률은 10 내지 70%까지 변화한다. 특히, 50% 이상의 수축률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6 mol% 이상의 투입량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은 두 단량체 간의 균형을 맞춰서 고분자량의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동일한 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디아민은 파라페닐렌 디아민, 4,4'-디아미노비페닐, 2-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 2,6-나프탈렌디아민, 1,5-나프탈렌디아민,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미드 중합 전구체 전체 기준으로 1 ~ 10mol% 범위이며, 1mol% 미만의 경우 융점저하 방지 및 강도 향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고, 10mol%를 초과하는 경우 수축률이 지나치게 낮아져서, 섬유의 감도가 떨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은, 제조된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방사하는 과정을 거치며, 이 때 방사온도는 230 내지 280 ℃이며, 방사속도는 3500 내지 4500 m/분, 연신비는 1.05 내지 1.4 일 수 있다.
방사온도가 230 ℃ 미만이면 용융 불균일 문제가 있으며, 280 ℃를 초과하면 분해 및 물성 저하 문제가 있다. 또한, 방사속도가 3500 m/분 미만인 경우에는 고분자 배향 불량 문제가 있으며, 4500 m/분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사 부분 끊김 문제가 있다. 연신비의 경우, 1.05 미만이면 불균일 배향 문제가 있고, 1.4를 초과하면 고배향으로 인한 작업불량, 품질 불량 문제가 있다.
제조방법은 추가로 연신하는 단계 및 열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라멘트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이면 제한없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는 다른 폴리아미드 연신사와 합사하여 우수한 물성을 갖는 가공사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는 수축률 10%인 일반 폴리아마이드6 연신사(FDY 또는 DTY)와 합사하여 후가공되어 독특한 터치를 발현하는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는 의류용, 산업자재용 섬유,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카프로락탐 98mol%, 아디프산 0.5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0.5mol%을 1차로 공중합 한 후 2차로 테레프탈산 0.5mol%, 파라페닐렌디아민 0.5mol%을 공중합하여 방사 온도 260℃에서 4,2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50데니어/24필라멘트사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흡습 섬유의 물성은 표1과 같으며 일반 폴리아마이드 원사와 합사한 후 양말 편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양말 편직 및 염색을 한 후에 터치 평가를 하였다.
<실시예 2>
카프로락탐 88mol%, 아디프산 2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2mol%을 1차로 공중합 한 후 2차로 테레프탈산 4mol%, 파라페닐렌디아민 4mol%을 공중합하여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3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카프로락탐 88mol%, 아디프산 4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4mol%을 1차로 공중합 한 후 2차로 테레프탈산 2mol%, 파라페닐렌디아민 2mol%을 공중합하여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3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실시예 4>
카프로락탐 80mol%, 아디프산 5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5mol%을 1차로 공중합 한 후 2차로 테레프탈산 5mol%, 파라페닐렌디아민 5mol%을 공중합하여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3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1>
카프로락탐 96mol%, 아디프산 2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2mol%을 공중합한 후,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4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2>
카프로락탐 92mol%, 아디프산 4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4mol%을 공중합한 후,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4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3>
카프로락탐 70mol%, 아디프산 15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15mol%을 공중합한 후,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4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4>
카프로락탐 99mol%, 아디프산 0.25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0.25mol%을 1차로 공중합 한 후 2차로 테레프탈산 0.25mol%, 파라페닐렌디아민 0.25mol%을 공중합하여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3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비교예 5>
카프로락탐 78mol%, 아디프산 5.5mol%,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5.5mol%을 1차로 공중합 한 후 2차로 테레프탈산 5.5mol%, 파라페닐렌디아민 5.5mol%을 공중합하여 방사 온도 255℃에서 4,000m/분의 속도로 방사하여 30데니어/12필라멘트사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구분 아디프산 함량
(mol%)
2-메틸 펜타메틸렌
디아민 함량(mol%)
테레프탈산 함량
(mol%)
파라페닐렌
디아민 (mol%)
강도
(g/d)
융점
(℃)
수축률
(%)
터치감
(부드러움의 정도)
실시예1 0.5 0.5 0.5 0.5 4.7 218 25 다소 좋음
실시예2 2 2 4 4 4.2 206 37 다소 좋음
실시예3 4 4 2 2 3.9 207 45 좋음
실시예4 5 5 5 5 3.7 200 60 아주 좋음
비교예1 2 2 - - 3.5 195 40 다소 좋음
비교예2 4 4 - - 3.3 185 55 좋음
비교예3 15 15 - - 3.0 170 76 뻣뻣함(융착)
비교예4 0.25 0.25 0.25 0.25 4.5 215 15 보통(효과없음)
비교예5 5.5 5.5 5.5 5.5 3.5 195 65 뻣뻣함(융착)
상기 표를 통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지방족 디아민 만을 첨가했을 때에 비해,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을 추가로 첨가하였을 경우, 필라멘트사의 수축률이 크게 하강하지 않으므로 터치감이 좋으면서도, 강도 및 융점이 우수하여 물성이 좋은 섬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방족 물질들의 총 함량을 1 내지 10mol%, 방향족 물질들의 총 함량을 1 내지 10mol%로 한정하여 첨가할 경우, 강도와 융점이 양호하면서도, 터치감이 좋은 섬유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감이 좋은 필라멘트사를 얻기 위해서는 25% 내지 60%의 수축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5% 미만의 수축률을 가질 경우 터치감의 향상 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반대로 수축률이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나치게 섬유가 융착되어 도리어 터치감이 뻣뻣하게 나타난다.
한편, 섬유의 제품화를 위해서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게 나타나야 하는 바, 융점이 200℃ 미만일 경우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게 되고, 특히 강도가 3.7 g/d 미만인 경우 후가공시 섬유가 절사되어 제품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2의 경우는 수축률이 각각 40%, 55% 로써 터치감이 양호하게 나타나지만, 강도 및 융점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비교예 3,5의 경우는 수축률이 지나치게 높아서 터치감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강도 및 융점 또한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4의 경우는 강도 및 융점은 우수하지만, 수축률이 지나치게 낮아서 터치감 향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에 지방족 물질만을 첨가하여 섬유를 제작하였을 때는 함량을 높임에 따라 수축률은 증가하지만 강도와 융점이 크게 떨어지고, 함량을 낮춤에 따라 강도와 융점은 양호하지만 수축률이 지나치게 낮은 섬유만을 얻을 수 있었던 것에 반해, 방향족 물질을 추가로 첨가함으로써, 수축률과 강도, 융점이 모두 양호한 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그 함량을 각각 1 내지 10mol%로 한정함으로써, 물성이 우수하면서도 터치감이 좋은 섬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폴리아미드의 원료에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을 첨가하여 중합전구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전구체에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을 첨가하여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H2N-(CH2)a-(CH)R-(CH2)b-NH2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1~10의 정수이며, R은 C1~C10의 직쇄 또는 분쇄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아민은 파라페닐렌 디아민, 4,4'-디아미노비페닐, 2-메틸-파라페닐렌디아민, 2-클로로-파라페닐렌디아민, 2,6-나프탈렌디아민, 1,5-나프탈렌디아민 및 4,4'-디아미노벤즈아닐리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의 원료에 첨가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알킬기가 결합된 지방족 디아민의 총 함량이 1 내지 10 mol%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아민의 총 함량은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전구체를 기준으로 1 내지 10mol% 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는 1이고, b는 3이며, R은 메틸기인,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 제조 단계 후, 방사온도 230 내지 280 ℃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용융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 제조 단계 후, 방사속도 3500 내지 4500 m/분으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용융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 제조 단계 후, 연신비 1.05 내지 1.4에서 상기 폴리아미드 중합물을 용융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KR1020190005397A 2019-01-15 2019-01-15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200088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97A KR20200088727A (ko) 2019-01-15 2019-01-15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397A KR20200088727A (ko) 2019-01-15 2019-01-15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727A true KR20200088727A (ko) 2020-07-23

Family

ID=7189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397A KR20200088727A (ko) 2019-01-15 2019-01-15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87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5856B (zh) 一种聚乳酸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CN115380136A (zh) 脂肪族聚酯纤维的制造方法、脂肪族聚酯纤维及复丝
CN1715464A (zh) 聚甲醛树脂制复合纤维
CN100349951C (zh) 由固相聚合制备聚对苯二甲酸乙二酯和芳香族二元胺的共聚物的方法
JP4907307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繊維製縫糸の製造方法
CN114262952A (zh) 一种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00088727A (ko)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필라멘트사 및 이를 이용한 가공사의 제조방법
US11046811B2 (en) Compound for copolymeric polyester resin, and preparation method of copolymeric polyester resin using the same
KR102144065B1 (ko) 공정성이 향상된 바인더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1439582B1 (ko) 심초형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567B1 (ko) 이용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볼륨사(volume絲) 및 그의 섬유 제품 제조 방법
CN113166381A (zh) 粘合强度得到改善的粘合剂用聚酯树脂以及使用此的聚酯纤维
JP6922519B2 (ja) 樹脂組成物、成形品、繊維およびフィルム
TWI772445B (zh) 聚縮醛纖維的製造方法
JP4271622B2 (ja) ポリオキシメチレン樹脂製搬送コンベアベルト
KR102303209B1 (ko) 저융점 코폴리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4259B1 (ko) 바이오매스 유래 원료를 이용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604739B1 (ko) 고수축성 폴리아미드 3원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고수축성 폴리아미드 섬유
CN111349978B (zh) 尼龙纤维及尼龙的制作方法
KR101912917B1 (ko) 향상된 결정화 속도를 가지는 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CN113603854B (zh) 一种熔融沉积3d打印用聚(氨酯-脲-酰胺)弹性体线材及其制备方法
KR102545422B1 (ko) 고강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라멘트 섬유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00023891A (ko) 흡습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KR20170092922A (ko) 흡습성이 우수한 공중합 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
CN116238128A (zh) 基于链段序列结构调控制备3d打印线材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