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78A -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78A
KR20200088078A KR1020190004625A KR20190004625A KR20200088078A KR 20200088078 A KR20200088078 A KR 20200088078A KR 1020190004625 A KR1020190004625 A KR 1020190004625A KR 20190004625 A KR20190004625 A KR 20190004625A KR 20200088078 A KR20200088078 A KR 2020008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pipe
cap
adapter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269B1 (ko
Inventor
이강인
황등영
Original Assignee
조지피셔코리아 유한회사
(주)아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피셔코리아 유한회사, (주)아밀 filed Critical 조지피셔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2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Adap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2Non-disconnectibl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는 유체가 배수될 제2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새들 및 새들 내에 삽입되는 캡이 구비되는 캡 새들; 새들로부터 캡을 분리한 후에 새들 내에 삽입되며, 유체가 순환되는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어댑터; 어댑터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융착하는 커플러; 커플러가 어댑터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융착하도록 커플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융착부; 및 전류가 전기융착부로부터 커플러로 공급되도록 전기융착부와 커플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Pipe connection device using cap saddle and adapter and piping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기설에는 식수 공급을 위한 상수도용 및 오수, 폐수처리용 배관은 지중매설하는 배관공사를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내용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굴삭기 또는 포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로 상하수도용 관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안으로 정해진 규격의 관을 한 라인 또는 여러 라인을 배치시켜 놓고 인력에 의한 파이프이음(이하에서는 "이음작업" 이라 한다.) 작업의 실시 후에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우기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여기서, 이음작업이라 함은 배관 연결부위의 조립성 및 내구성 증대와 더불어 누수방지의 목적을 위한 작업으로서, 대표적인 방식에는 용접이음과 납땜이음 등의 영구결합방식이 있다. 또한, 배관을 서로 플랜지 결합시키는 플랜지이음,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나사이음, 신축관을 이용한 신축이음 등의 분해결합 방식이 있다.
이러한 분해결합 방식 중 플랜지이음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플랜지이음을 위한 플랜지 새들은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로 이루어진다. 상부플랜지(10)는 플랜지(11), 순환홈(13), 나사홈(15)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부플랜지(20)는 플랜지(21), 순환홈(23), 나사홈(25), 축(27), 캡(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술한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의 구성은 일 실시예일 뿐이며, 이러한 구성은 설계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11, 21) 간의 사이 공간에는 플랜지(11, 21) 간 접촉면의 기밀을 유지하면서 배관(100a, 100b)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종이, 합성수지, 마, 고무, 석면, 피혁, 동, 납 연강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개스킷(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1, 21)는 블라인드 플랜지(Blind flange)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블라인드 플랜지라 함은 내경이 폐쇄되되, 제1 배관(100a)으로부터 제2 제2 배관(100b)로 유동되는 유체가 순환되도록 순환홈(13, 23)이 형성된 플랜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블라인드 플랜지는 내경이 폐쇄됨에 따라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플랜지 새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블라인드 플랜지(미도시)가 별도로 구성되어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 새들을 이용한 플랜지이음은 비교적 쉬운 결합방식과 비교적 견고한 플랜지 간의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되는 이음작업의 한 방식이다.
그러나 플랜지이음은 복수로 형성된 나사홈(15, 25)과 복수개의 볼트(미도시) 간의 체결을 통해 플랜지(11, 21)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체결을 위한 숙련된 작업자가 투입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고액의 인건비가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플랜지이음은 플랜지(11, 21) 간의 불완전한 결합 또는 손상에 의한 누수를 일으킬 수 있는 리크(Leak)의 위험성이 항상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11, 21)의 사이에 개스킷(미도시)이 삽입되려면,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가 서로 정렬된 상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야 하나,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가 대형으로 제공되면 상부플랜지(10)와 하부플랜지(20)를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이음보다 간편하면서도 이음공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리크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34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2493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플랜지이음보다 간편하면서도 이음공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리크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는 유체가 배수될 제2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새들 및 새들 내에 삽입되는 캡이 구비되는 캡 새들; 새들로부터 캡을 분리한 후에 새들 내에 삽입되며, 유체가 순환되는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어댑터; 어댑터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융착하는 커플러; 커플러가 어댑터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융착하도록 플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융착부; 및 전류가 전기융착부로부터 커플러로 공급되도록 전기융착부와 커플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새들은 양 단부가 관통되게 사출성형되며, 내벽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새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캡은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외벽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캡은 외벽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오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캡은 오링이 외벽의 일단부에 복수로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어댑터는 새들 내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융착부; 및 융착부로부터 융착부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새들 내에 삽입되고, 새들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융착부는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직경이 동일하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는 새들과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이 외벽에 형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서,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은 새들 및 캡이 구비되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사출성형하는 제1 단계; 캡 새들을 유체가 배수될 제2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하는 제2 단계; 새들로부터 캡을 분리하는 제3 단계; 캡이 분리된 새들 내에 어댑터를 삽입하는 제4 단계; 어댑터의 일단부와 유체가 순환되는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접촉시키는 제5 단계; 접촉된 융착부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용융시키는 제6 단계; 및 용융된 융착부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냉각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댑터를 이용하여 플랜지이음보다 간편하면서도 이음공정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리크의 위험성을 제거하여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캡 새들은 새들의 제1 나사산과 캡의 제2 나사산 및 캡에 구비된 오링의 이중구조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플랜지 새들을 이용한 플랜지이음 기반의 배관 연결 방식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플랜지 새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새들과 제2 배관이 융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을 개량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을 개량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와 제1 배관이 융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착부와 제1 배관의 일단부가 접촉되게 커플러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융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방법의 단계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및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이하에서는 "배관 연결장치"라 한다.)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배관 연결장치의 구성
배관 연결장치는 융착이음을 위해 캡 새들(200), 어댑터(300), 커플러(400), 케이블(500), 전기융착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 새들(200)은 제2 배관(100b)과 융착되는 구성으로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새들(210)과 캡(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새들(200)은 융착과정을 통해 제2 배관(100b)과 융착된다. 여기서, 융착이라 함은 열융착, 전기융착 등의 융착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새들(210)은 캡(220)이 내부에 삽입되며, 실질적으로 제2 배관(100b)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구성으로서 양 단부가 관통되게 사출성형되며, 사출성형 과정에서 내벽에 제1 나사산(211)이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새들(210)은 제2 배관(100b)과 융착될 단부에 융착부(213)가 사출성형된다. 이와 같은, 새들(210)은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이라 함은 폴리에틸렌과 같이 석유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을 치글러-나타 촉매로 중합시킨 것이며, 저압법 폴리에틸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분자 사슬의 탄소에 하나싹 걸러 메틸기(CH3)가 붙은 것이며, 규칙적으로 짧은 가지가 달린 형태를 가진다. 폴리프로필렌은 비중이 0.92로서 현재 존재하는 플라스틱 중 가장 가벼우며, 용해 용도가 135℃~160℃로 높고, 그 응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다만, 열이나 빛에 약하다는 것이 결점이다. 다만, 새들(210)의 재질은 폴리프로필렌(PP)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기융착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이어도 무관하다.
캡(220)은 제1 배관(100a)과 제2 배관(100b)을 연결하지 않는 동안에 새들(210) 일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새들(210)을 밀폐하는 구성으로서, 사출성형 과정에서 외벽에 제1 나사산(211)과 맞물리게 될 제2 나사산(221)이 복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캡(220)은 정확한 밀폐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새들(210)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될 단부에 오링(223)이 결합된다. 이러한 오링(223)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로 켑(2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캡 새들(200)은 제1 나사산(211)과 제2 나사산(221) 간의 맞물림 및 오링(223)을 통해 새들(210)과 캡(220) 간의 기밀을 유지한다. 즉, 새들(210)과 캡(220)은 제1, 2 나사산(211, 221) 및 오링(223)의 이중 구조로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일 실시예의 캡 새들(200)과 달리, 다른 실시예의 캡 새들(200)은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2 나사산(211, 221)의 간격을 일 실시예보다 넓히면서 일 실시예보다 제1, 2 나사산(211, 221)을 굵게 변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나사산(211)은 나사산형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격된 형태로 새들(210)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캡 새들(200)은 제1, 2 나사산(211, 221)에 유체에 포함되는 화학물질(Chemical)이 정체 또는 잔존되는 것을 방지하며, 새들(210)과 캡(220) 간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어댑터(300)는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배관(100a)의 일단부와 커플러(400), 케이블(500) 및 전기융착부(600)를 통해 융착되는 구성으로서, 융착부(310) 및 결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어댑터(300)는 새들(210)로부터 캡(220)을 분리한 후에 새들(210)의 일단부로부터 새들(210) 내로 삽입된다.
융착부(310)는 제1 배관(100a)과 융착될 어댑터(300)의 일단부로서 새들(210) 내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양 단부가 관통되게 사출성형된다. 이러한 융착부(310)는 제1 배관(100a)과 맞닿은 후에 커플러(400), 케이블(500) 및 전기융착부(600)를 통해 제1 배관(100a)의 일단부와 융착된다. 이러한 융착과정에 의해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는 융착된다. 한편, 융착부(310)는 제1 배관(100a)의 일단부와 융착되기 위해 제1 배관(100a)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결합부(320)는 새들(210) 내에 삽입되어 새들(210)과 결합될 어댑터(300)의 타단부로서, 융착부(310)로부터 융착부(310)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게 사출성형되며, 외벽에 제1 나사산(211)과 맞물리게 될 제3 나사산(321)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에, 제3 나사산(321)은 재1 나사산(211)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221)과 동일한 나사산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어댑터(300)는 새들(210) 내에 삽입되어 새들(210)과의 결합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결합부(320)는 새들(210)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될 단부에 오링(323)이 결합된다. 이러한 오링(323)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로 결합부(320)의 단부에 결합된다.
커플러(400)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이 양 단부의 홈을 통해 삽입되며, 내부에서 서로 접촉되는 융착부(310)의 일단부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전기융착부(60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전기융착하기 위해 열선(410), 단자(420), 연결단자(430), 삽입부(440), 하우징(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열선(410)은 전기융착부(60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된다. 그리고 열선(410)은 발열되면서 하우징(450) 내에 삽입되어 서로 접촉되는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용융시킨다. 또한, 열선(410)은 하우징(450)의 내벽에 내벽에 감겨지며 코어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열선(410)은 하우징(450)의 내벽에 감겨지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50)의 내벽에 거의 근접하게 내측에 내장 또는 함몰되어 하우징(450)과 일체로 사출될 수도 있다.
단자(420)는 하우징(450)의 내벽에 내장되고, 열선(410)의 각 단부 및 연결단자(430)와 각각 연결된다. 더 나아가, 단자(4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자(420a, 420b)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갯수는 이보다 적거나 많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450)은 단자(420)가 내벽에 내장되도록 단자(420)의 내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연결단자(430)는 하우징(450)의 외벽에 구비되며, 하우징(450)의 내벽에 내장되는 단자(420)와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단자(430)는 단자(420)와의 결합 뿐만 아니라 단자(42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단자(430)는 단자(420) 및 케이블(500)과 접촉되는 연결단자 핀(431)이 내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연결단자(430)는 케이블(5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융착부(600)의 전류를 연결단자 핀(431)을 통해 공급받으며, 연결단자 핀(431)은 공급받은 전류를 단자(420)와 열선(410)으로 공급한다. 또한, 연결단자(430)는 단자(420)로부터 분해되어 교체 또는 재사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단자(4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단자(430a, 430b)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갯수는 이보다 적거나 많게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440)는 하우징(450)의 외벽에 하우징(450)과 일체로 사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단자(430)를 감싸는 형태를 가지도록 하우징(450)과 일체로 사출된다. 이러한 삽입부(440)는 연결단자(430)를 감싸게 됨에 따라 연결단자(430)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삽입부(440)에는 케이블(500)의 일단부가 삽입된다. 이때, 케이블(500)의 일단부는 삽입부(440)에 삽입되면서 연결단자(43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삽입부(440)는 케이블(500)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나아가, 삽입부(4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삽입부(440a, 440b)로 구비될 수 있고, 갯수는 이보다 적거나 많게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500)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삽입부(440)에 삽입되면서 연결단자(430)와 연결되는 제1 연결잭(510), 제2 연결잭(520) 및 전기융착부(600)와 연결되는 제3 연결잭(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연결잭(510)은 양(+)의 케이블잭일 수 있고, 제2 연결잭(520)은 제1 연결잭(510)과 다른 음(-)의 케이블잭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500)은 제1 연결잭(510), 제2 연결잭(520), 제3 연결잭(530)이 연결단자(430)와 전기융착부(600)에 각각 연결되면, 전기융착부(600)의 전류를 연결단자 핀(431)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전기융착부(600)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융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원부(610), 연결부(620), 디스플레이부(630), 용융선택부(640), 냉각선택부(650), 제1 조절부(660), 제2 조절부(670), 본체(6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융착부(600)는 전기융착을 위한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전기융착부(600)는 전기융착 뿐 아니라, 열융착 등을 포함하는 융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즉, 전기융착부(600)는 전기융착, 열융착 등을 포함하는 융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원부(610)는 본체(680)에 구비되며, 전기융착부(600)가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통해 작동되도록 한다.
연결부(620)는 본체(680)에 구비되며, 제3 연결잭(530)의 일단부가 삽입 또는 결합된다. 제1 연결잭(510)과 제2 연결잭(520)이 연결단자(430)와 각각 결합되고 제3 연결잭(530)이 연결부(520)에 삽입 또는 결합된다면, 전기융착부(600)의 전류는 케이블(500)을 통해 흐르게 되어 연결단자 핀(431)에 공급된다.
디스플레이부(630)는 본체(680)에 구비되며 전기융착공정 진행 날짜, 전원공급량, 용융온도, 냉각온도, 용융시간, 냉각시간, 용융진행률, 냉각진행률, 전기융착 진행률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가 출력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630)의 출력은 전기융착부(600)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용융선택부(640)는 전기융착공정 중 용융공정을 실행하기 위해 터치 또는 가압식 버튼으로 본체(680)에 구비된다. 여기서, 용융공정이라 함은 제1 연결잭(510), 제2 연결잭(520), 제3 연결잭(530)이 연결단자(430)와 연결부(520)에 각각 연결된 후에 용융선택부(640)에 의해 공정이 실행될 때,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가 열선(410)의 발열에 의해 용융되는 공정을 의미한다.
냉각선택부(650)는 전기융착공정 중 냉각공정을 실행하기 위해 터치 또는 가압식 버튼으로 본체(680)에 구비된다. 여기서, 냉각공정이라 함은 용융공정 후에 진행되는 공정이며, 연결단자(430)에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용융된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가 냉각되는 공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냉각공정을 통해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는 냉각되면서 서로 접합된다. 즉, 전기융착공정은 용융공정과 냉각공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 조절부(660)는 디스플레이부(630)에 출력되는 전원공급량, 용융온도, 냉각온도, 용융시간, 냉각시간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터치 또는 가압식 버튼으로 본체(680)에 구비된다.
제2 조절부(670)는 디스플레이부(630)에 출력되는 전원공급량, 용융온도, 냉각온도, 용융시간, 냉각시간의 값을 감소시키기 위해 터치 또는 가압식 버튼으로 본체(680)에 구비된다.
상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배관 연결장치는 종래의 플랜지이음과 달리 융착이음을 기반으로 배관을 연결함으로써, 접합부위의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장치을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이하에서는 "배관 연결방법"이라 한다.)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배관 연결방법
먼저, 캡 새들(200)과 어댑터(300)를 사출성형한다(S10). 이러한 S10 단계는 캡 새들(200) 사출성형 단계와 어댑터(300) 사출성형 단계로 세분화되며, 캡 새들(200) 사출성형 단계는 새들(210) 사출성형 단계와 캡(220) 사출성형 단계로 더 세분화된다.
S10 단계 후, 캡 새들(200)을 제2 배관(100b)에 융착한다(S20). 구체적으로 설펴보면, 캡 새들(200)에 포함되는 구성인 새들(210)의 융착부(213)와 제2 배관(100b)을 융착한다. 여기서, 제2 배관(100b)은 후술될 제1 배관(100a)으로부터 유체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관이다.
S20 단계 후, 새들(210)로부터 캡(220)을 분리한다(S30). 이러한 S30 단계는 제1 배관(100a)을 따라 순환되는 유체를 제2 배관(100b)을 통해 배수해야하는 경우에 진행된다. 즉, S30 단계는 간접적으로 제1 배관(100a)과 제2 배관(100b)을 연결할 때 진행되는 것이다.
S30 단계 후, 어댑터(300)를 새들(210) 내에 삽입한다(S4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캡(220)을 새들(210)로부터 분리한 후에 어댑터(300)에 포함되는 구성인 결합부(320)를 새들(210) 내에 삽입한다. 이때, 제1 나사산(211)과 제3 나사산(321)의 맞물림에 의해 어댑터(300)는 새들(210)과 결합된다.
S40 단계 후, 어댑터(300)를 제1 배관(100a)를 접촉시킨다(S5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댑터(300)에 포함되는 구성인 융착부(310)의 일단부와 인접한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접촉시킨다. 이때, 융착부(310)의 일단부는 후술될 융착과정을 위해 제1 배관(100a)의 일단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S50 단계 후, 융착부(310)를 제1 배관(100a)을 용융시킨다(S6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블(500)의 일단부와 연결단자(430)를 연결하며, 케이블(500)의 타측부를 전기융착부(600)와 연결하고, 전기융착부(600)를 실행한다. 그리고 전기융착부(600)가 케이블(500)을 통해 열선(410)에 전류를 공급하여 열선(410)의 발열에 의해 커플러(400)에 삽입된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용융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전기융착부(600)의 전류가 케이블(500)의 제1, 2, 3 연결잭(410, 420, 430)을 통해 연결단자(430)의 연결단자 핀(431)에 공급되며, 연결단자 핀(431)에 공급된 전류는 단자(420)와 열선(410)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열선(410)은 전류에 의해 발열되면서 융착부(310)의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용융시키게 된다. 한편,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용융은 전기융착부(600)를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전기융착부(600)는 전기융착을 위한 구성 뿐 아니라 열융착 등을 포함하는 융착을 위한 구성으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S60 단계의 용융과정은 전기융착부(600)의 용융선택부(640), 제1 조절부(660), 제2 조절부(67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S60 단계 후,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를 냉각시킨다(S7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기융착부(600)가 전류의 공급을 차단하여 융착부(310)와 제1 배관(100a)의 일단부를 냉각시킨다. S70 단계의 냉각과정은 전기융착부(600)의 냉각선택부(650), 제1 조절부(660), 제2 조절부(670)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배관 연결방법은 캡 새들(200), 어댑터(300), 커플러(400), 케이블(500), 전기융착부(600)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을 통해 종래의 플랜지이음을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과 달리 접합부위의 누수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부플랜지, 11: 플랜지,
13: 순환홈, 15: 나사홈,
20: 하부플랜지, 21: 플랜지,
23: 순환홈, 25: 나사홈,
27: 축, 29: 캡,
100: 배관, 200: 캡 새들,
210: 새들, 211: 제1 나사산,
213: 융착부, 220: 캡,
221: 제2 나사산, 223: 오링,
300: 어댑터, 310: 융착부,
320: 결합부, 321: 제3 나사산,
323: 오링, 400: 커플러,
410: 열선, 420: 단자,
430: 연결단자, 431: 연결단자 핀,
440: 삽입부, 450: 하우징,
500: 케이블, 510: 제1 연결잭,
520: 제2 연결잭, 530: 제3 연결잭,
600: 전기융착부, 610: 전원부,
620: 연결부, 630: 디스플레이부,
640: 용융선택부, 650: 냉각선택부,
660: 제1 조절부, 670: 제2 조절부,
680: 본체.

Claims (9)

  1. 유체가 배수될 제2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새들 및 상기 새들 내에 삽입되는 캡이 구비되는 캡 새들;
    상기 새들로부터 상기 캡을 분리한 후에 상기 새들 내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가 순환되는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어댑터;
    상기 어댑터와 상기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융착하는 커플러;
    상기 커플러가 상기 어댑터와 상기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융착하도록 상기 커플러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기융착부; 및
    상기 전류가 상기 전기융착부로부터 상기 커플러로 공급되도록 상기 전기융착부와 상기 커플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은,
    양 단부가 관통되게 사출성형되며, 내벽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는 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제1 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 나사산이 외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외벽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및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오링이 상기 외벽의 일단부에 복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및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새들 내에 삽입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되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로부터 상기 융착부의 삽입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새들 내에 삽입되고, 상기 새들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및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제1 배관의 일단부와 직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및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새들과 결합을 위한 제3 나사산이 외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들 및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9. 새들 및 캡이 구비되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사출성형하는 제1 단계;
    상기 캡 새들을 유체가 배수될 제2 배관의 일단부와 융착하는 제2 단계;
    상기 새들로부터 상기 캡을 분리하는 제3 단계;
    상기 캡이 분리된 새들 내에 상기 어댑터를 삽입하는 제4 단계;
    상기 어댑터의 일단부와 상기 유체가 순환되는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접촉시키는 제5 단계;
    상기 접촉된 융착부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용융시키는 제6 단계; 및
    상기 용융된 융착부와 제1 배관의 일단부를 냉각시키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KR1020190004625A 2019-01-14 2019-01-14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KR10217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25A KR102176269B1 (ko) 2019-01-14 2019-01-14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25A KR102176269B1 (ko) 2019-01-14 2019-01-14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78A true KR20200088078A (ko) 2020-07-22
KR102176269B1 KR102176269B1 (ko) 2020-11-09

Family

ID=7189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25A KR102176269B1 (ko) 2019-01-14 2019-01-14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432A (ko) 2022-09-29 2024-04-08 조지피셔코리아 유한회사 배관 연결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895U (ko) * 1989-03-29 1990-10-22
JPH0552288A (ja) * 1991-08-22 1993-03-02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
JP2002130576A (ja) * 2000-10-30 2002-05-09 Osaka Gas Co Ltd 圧力検査孔用導圧継手
KR101093402B1 (ko) 2011-01-26 2011-12-14 황영아 관 이음 플랜지가 결합된 관 연결 조인트
KR101324938B1 (ko) 2013-01-04 2013-11-01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895U (ko) * 1989-03-29 1990-10-22
JPH0552288A (ja) * 1991-08-22 1993-03-02 Sekisui Chem Co Ltd 電気融着継手
JP2002130576A (ja) * 2000-10-30 2002-05-09 Osaka Gas Co Ltd 圧力検査孔用導圧継手
KR101093402B1 (ko) 2011-01-26 2011-12-14 황영아 관 이음 플랜지가 결합된 관 연결 조인트
KR101324938B1 (ko) 2013-01-04 2013-11-01 신이피엔씨 주식회사 플랜지형 비용접 이음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5432A (ko) 2022-09-29 2024-04-08 조지피셔코리아 유한회사 배관 연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269B1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95514B (zh) 光纤接续盒方法和装置
CN108458196B (zh) 钢丝网骨架塑料复合管全塑连接接头装置及施工方法
BR112017015787B1 (pt) estrutura de tubo dentro de tubo aquecida por traço eletricamente e método de vedar um espaço anular da estrutura
JP2007517167A (ja) パイプと壁の間の連結
KR102176269B1 (ko)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EP29942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or repairing a pipe system
KR101163495B1 (ko)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0889476B1 (ko) 융착 성능이 향상된 융착식 연결부재
US8418728B1 (en) Method of adhering structural elements to polyethylene and like materials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1188822B1 (ko)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과 그 연결방법
KR20180027943A (ko)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KR20020016340A (ko) 배관 이음용 커플링
KR100900212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0900216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1190798B1 (ko)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연결방법
KR200313859Y1 (ko) 융착 칼라 피이 관
KR20180058127A (ko) 손상배관 보수용 배관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손상배관 보수방법
KR100900215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0900214B1 (ko) 관로 연결장치
KR20110008464A (ko) 파형관용 접속함 연결장치
KR20090092590A (ko) 이음관의 이탈방지용 전기융착식 연결장치
KR101188820B1 (ko)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KR200235069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열선링
KR100536985B1 (ko) 파이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