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215B1 - 관로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로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215B1
KR100900215B1 KR1020080054693A KR20080054693A KR100900215B1 KR 100900215 B1 KR100900215 B1 KR 100900215B1 KR 1020080054693 A KR1020080054693 A KR 1020080054693A KR 20080054693 A KR20080054693 A KR 20080054693A KR 100900215 B1 KR100900215 B1 KR 10090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reference member
conduit
inner circumferentia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08005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대응하는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를 연결하는 관로 연결장치로서,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양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되,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공을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은 상기 관로들 둘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는 기준부재;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수관, 우수관, 가스관, 송유관 및 전선 수납관 등과 같이 원통 형상의 관로 연결부위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강화하여 상기 관로의 내부와 외부의 유체 소통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관로, 연결, 장치

Description

관로 연결장치{CONNECTOR FOR PIPE}
본 발명은 관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관, 우수관, 가스관, 송유관 및 전선 수납관 등과 같이 원통 형상의 관로 연결부위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강화하여 상기 관로의 내부와 외부의 유체 소통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관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둘 이상의 파이프(pipe), 즉 관로를 연결하는 기술에는 소켓식과 열수축식, 그리고 융착식 등이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562782호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소켓식과 열수축식, 그리고 융착식은 사용상 많은 단점들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위 등록특허에서 파이프 연결 작업이 용이하고 체결 및 연결상태도 견고하여 수밀성을 높이며, 작업 공수나 비용 또한 적게 소요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소개한 바 있다.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0562782에 소개된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통해 간략히 설명한다.
위 특허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상호 대응하는 파이프의 각 끝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30)(40)와, 이들 고정부재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어 그와 대응하는 다른 일측의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체결부재(50)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들 고정부재 중 제1 고정부재(40)는 일 끝단에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고정부재(30)는 일 끝단에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어, 제1 고정부재(40)와 제2 고정부재(30)의 연결시 오목부(33)가 돌출부(42)에 삽입·밀착되는 연결형태를 보인다.
또한, 제2 고정부재(30)는 외주면에 제1 나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재(50)는 내주면에 제2 나사부(51)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나사부(31)(51)의 결합을 통해서 제1 고정부재(40)와 제2 고정부재(3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 고정부재(40)와 제2 고정부재(30)의 사이에는 오-링 부재(60)가 구비되어 수밀 내지는 기밀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 1,2의 파이프 연결장치의 사용은, 상호 대응하는 파이프(10)(20)의 각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40)와 제2 고정부재(30)의 사이에 오-링 부재(60)를 삽입한 다음, 제1 고정부재(40)의 걸림부(41)에 걸림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체결부재(50)를 회전시켜서 제2 고정부재(30)와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2 고정부재(30)의 제1 나사부(31)와 체결부재(50)의 제2 나사부(51)가 상호 치합되면서 나사결합 형태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허 제0562782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소켓식, 열수축식 및 융착식 등에 비해 연결작업이 간단하여 작업 공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아울러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파이프 연결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를 막을 수 있으며, 특히 홍수 시와 같이 수량(水量)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파이프의 내부에 큰 압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파이프의 연결 부위가 쉽게 터지거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완벽하게 막을 수 있다.
한편, 모든 연결장치의 경우 장기간 사용하면 그 연결 부위가 느슨해지기 마련인데, 이렇게 느슨해진 연결 부위의 미세한 틈을 통해서 물이 누수될 수 있는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전술한 특허발명의 경우 나사결합 방식에 의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하므로 장기간 설치하여 사용하는 동안 연결장치가 부식되거나 그 연결 부위에 작용하는 수압 등에 의해 서서히 풀림 현상이 발생하여 파이프의 연결상태가 느슨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결장치의 파이프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측 및 타측 관로를 연결하는 부위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조임 상태가 다소 느슨해지더라도 기밀성 및 수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관로 연결부위의 내외부 소통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관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상호 대응하는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를 연결하는 관로 연결장치로서,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양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되,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공을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은 상기 관로들 둘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는 기준부재;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관로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일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타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는,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제1 사각링, 고무링, 제2 사각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제1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제1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실시예는, 상기 기준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링들은 상기 제 1 및 제2 고정부재 각각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 및 타측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실시예는,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한 쌍의 고무링이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과 사각링이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일측 및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타측 및 내주면 타측과 접하며, 상기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실시예는,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한 쌍의 고무링이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실시예 및 제13 실시예는,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제1 고무링,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 제2 고무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굴절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굴절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굴절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굴절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제2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굴절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굴절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되며,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각각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사각링, 고무링, 및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며, 상기 굴절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굴절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실시예는, 상기 고무링들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과 접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과 접하는 한 쌍의 제1 고무링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는 한 쌍의 제2 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실시예는, 상기 고무링들은,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각각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및 제11 실시예는,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 부재는 각각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및 타측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볼트이며, 상기 볼트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의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타측 결합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되며,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이 구비되고,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체결 한계를 기설정하도록 키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관로에는 상기 요부가 삽입되거나 상기 철부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 상을 가진 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관로에는 상기 요부가 삽입되거나 상기 철부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되,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및 제14 실시예는,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관로와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 관로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사각링, 고무링, 및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며, 상기 굴절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굴절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실시예들 중에서 전기 가열 융착 방식을 사용하는 것들은, 상기 전기 가열 융착 방식은, 상기 각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의 피복재로 감싸여진 전도성의 전기선이 수회 와인딩되거나, 상기 각 고정부재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상기 전기선이 수회 와인딩되거나, 상기 각 고정부재의 내부에 상기 전기선이 수회 와인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선의 양단부는 과전류인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인가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선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합성수지의 피복재가 녹으면서 상기 각 고정부재는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와 융착되거나, 상기 일측 관로, 상기 타측 관로, 및 상기 기준부재와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호 대응하는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를 연결하는 관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양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되,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공을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은 상기 관로들 둘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는 기준부재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므로, 일측 및 타측 관로를 연결하는 부위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조임 상태가 다소 느슨해지더라도 기밀 성 및 수밀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관로 연결부위의 내외부 소통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하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효과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실시예에 따른 구조상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부수적인 효과는 각각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언급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관로 연결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100)는 상호 대응하는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기밀을 확실히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것이다.
본 관로 연결장치(100)는 기준부재(210),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를 포함한다.
먼저, 기준부재(210)는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양 대칭되는 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기준부재(210)의 외주면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공(212A,212B)을 가지는 결합구(211A,211B)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211A,211B)들의 삽입공(212A,212B)은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각 둘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둘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열된다 함은, 상기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수직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원형의 중심점으로부터 결합공(211A,211B)의 삽입공(212A,211B)이 두 개일 경우, 각 삽입공(212A,212B)은 결합공(211A,211B)의 180° 및 360° 지점에 위치하고, 삽입공(212A,212B)이 세 개일 경우, 각 삽입공(212A,212B)은 결합공(211A,211B)의 120°, 240°, 및 360° 지점에 위치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결합구(211A,211B)의 삽입공(212A,212B) 개수는 6개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삽입공(212A,212B)의 바람직한 배열은 도 4를 참조하기 바란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재(220A)는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 및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정부재(220B)는 제1 고정부재(220A)와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이 제2 고정부재(220B)는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 및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기준부재(210),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와 같은 필수 구성요소를 반드시 포함하면서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기밀을 확실히 유지하도록 구조적으로 변경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아래에 순차적으로 소개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한 기본 구조에서 추가되거나 변형된 구성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상기한 기준부재(210),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일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은 상기 제1 고정부재(220A)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타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기 가열 융착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우선,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각각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홈(301)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각 고정부재(220A,220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301)에 합성수지의 피복재(302)로 감싸여진 전도성의 전기선(303)을 수회 와인딩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선(303)이 와인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선(303)의 양단부(304,305)는 과전류인가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후에, 과전류인가 장치로부터 전기선(303)에 전류가 인가되면, 합성수지의 피복재가 녹으면서 각 고정부재(220A,220B)는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와 상호 단단하게 융착 고정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열 융착 부분이고, 도면부호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상기 도면부호 'A' 및 'B'는 도면에서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만 표시하였지만, 표시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도 동일하게 열 융착 부분과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을 가진다. 이와 같은 도면부호의 표시 방식은 하기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열 융착과 전기 가열 융착에 의해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하는 확실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상기한 기준부재(210),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이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일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은 상기 제1 고정부재(220A)와 동일한 방식으로,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타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전기 가열 융착 방식은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열 융착 부분이고, 도면부호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결합구(211A) 및 타측 결합 구(211B)에 각각 체결구(430)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230A)는 상기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A)의 삽입공(212A)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A)을 가지며, 제2 체결부재(230A)는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B)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B)의 삽입공(212B)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B)들을 가진다.
여기서,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체결구(430)는 일측 볼트(430) 및 타측 볼트(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볼트(430)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 및 제1 체결부재(230A)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 및 제2 체결부재(23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 볼트(430)들의 단부에는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 제1 체결부재(230A)의 결합 상태와,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 제2 체결부재(230B)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440)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은 하기와 같이 구 성된다.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은 각 한 쌍씩의 제1 사각링(401), 고무링(402), 제2 사각링(403)인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사각링들(401,403)은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구성요소의 명칭을 칭한 것임).
상기한 링(401.402,403)들은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즉, 제1 사각링(401)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제1 고정부재(220A)의 단부와 접한다.
반면, 제1 사각링(401)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제2 고정부재(220B)의 단부와 접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무링(402)들 중 일측의 것은, 제1 사각링(401)들 중 일측에 위치한 제1 사각링(401)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단부 일측과,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02)들 중 타측의 것은, 제1 사각링(401)들 중 타측에 위치한 제1 사각링(401)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단부 타측과,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제2 사각링(403)들 중 일측의 것은, 고무링(402)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402)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230A)의 내주면과 접한다.
반면, 제2 사각링(403)들 중 타측의 것은, 고무링(402)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402)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230B)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각의 링(401.402,403)들은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열 융착과 전기 가열 융착에 의해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인 제1 사각링(401), 고무링(402), 및 제2 사각링(403)으로 그 기밀성을 더욱더 보강한 것에 그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한 제2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구 성으로 이루어지며,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2 실시예와 차이나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열 융착 부분이고, 도면부호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기준부재(210)와 제1 고정부재(220A)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210)와 제2 고정부재(220B)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4)인 고무링(404)들을 더 포함한다.
이 고무링(404)들은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221A,221B)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 및 타측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열 융착과 전기 가열 융착에 의해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기밀용 패킹수단(401,402,403)인 제1 사각링(401), 고무링(402), 및 제2 사각링(403)으로 그 기밀성을 더욱더 보강하도록 하고,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외주면 단부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 및 타측의 틈에 고무링(404)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상기한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A' 및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여기서, 전기 가열 융착 방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우선,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 각각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나선형의 홈(301)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301)들에 각각 합성수지의 피복재(302)로 감싸여진 전도성의 전기선(303)을 수회 와인딩한다.
상기와 같이 전기선(303)이 와인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선(303)의 양단부(304,305)는 과전류인가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후에, 과전류인가 장치로부터 전기선(303)에 전류가 인가되면, 합성수지의 피복재(302)가 녹으면서 제1 고정부재(220A)는 일측 관로(101) 및 기준부재(210)의 일측과 융착 고정되고, 제2 고정부재(220B)는 타측 관로(102) 및 기준부재(210)의 타측과 단단하게 융착 고정된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전기 가열 융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8은 본 실시예의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본 도면에서는 제1 고정부재(220A) 및 제2 고정부재(220B) 각각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301)들과, 피복재(302)로 감싸여진 전도성의 전기선(미도시: 도 7의 도면부호 '303'참조)의 배열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상기한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는 제 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된다.
도면부호 'A' 및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을 표시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 4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결합구(211A) 및 타측 결합구(211B)에 각각 체결구(430)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230A)는 상기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4)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A)의 삽입공(212A)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A)을 가지며, 제2 체결부재(230A)는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4)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B)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B)의 삽입공(212B)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B)들을 가진다.
여기서, 기밀용 패킹수단(404)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체결구(430)는 일측 볼트(430) 및 타측 볼트(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볼트(430)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04), 및 제1 체결부재(230A)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04), 및 제2 체결부재(23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 볼트(430)들의 단부에는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04), 제1 체결부재(230A)의 결합 상태와,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04), 제2 체결부재(230B)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440)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404)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본 기밀용 패킹수단(404)은 한 쌍의 고무링(404)이다.
즉, 고무링(404)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220A)의 단부와,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230A)의 내주면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04)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제2 고정부재(220B)의 단부와,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230B)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전기 가열 융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404)으로 그 기밀성을 더욱더 보강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면부호 'A' 및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이하, 본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제1 고정부재(220A) 사이와, 기준부재(210)의 타측 및 제2 고정부재(220B)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405,406)인 고무 링(405)과 사각링(406)이 각각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고무링(405)과 사각링(406)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는 하기와 같다.
먼저, 고무링(405)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단부 일측 및 내주면 일측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05)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단부 타측 및 내주면 타측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사각링(406)들 중 일측의 것은, 고무링(405)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405)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각링(406)들 중 타측의 것은, 고무링(405)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405)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전기 가열 융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와 기준부재(210)의 접합부위에 위치한 미세한 틈에 고무링(405) 및 사각링(406)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7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상기한 제6 실시예의 구성을 개량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 및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제1 고정부재(220A) 사이와, 기준부재(210)의 타측 및 제2 고정부재(220B)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405,406)인 고무링(405)과 사각링(406)이 각각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A' 및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이하, 본 실시예는 상기한 제6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위주로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결합구(211A) 및 타측 결합구(211B)에 각각 체결구(430)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230A)는 상기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7)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A)의 삽입공(212A)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A)을 가지며, 제2 체결부재(230A)는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07)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B)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B)의 삽입공(212B)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B)들을 가진다.
여기서, 기밀용 패킹수단(407)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체결구(430)는 일측 볼트(430) 및 타측 볼트(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볼트(430)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07), 및 제1 체결부재(230A)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07), 및 제2 체결부재(23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 볼트(430)들의 단부에는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07), 제1 체결부재(230A)의 결합 상태와,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07), 제2 체결부재(230B)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440)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407)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본 기밀용 패킹수단(407)은 한 쌍의 고무링(407)이다.
즉, 고무링(407)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220A)의 단부와,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230A)의 내주면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07)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제2 고정부재(220B)의 단부와,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230B)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러한 고무링(407)의 설치위치는 제5 실시예의 고무링(404)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전기 가열 융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와 기준부재(210)의 접합부위에 위치한 미세한 틈에 고무링(405) 및 사각링(406)을 더 보강하고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틈에 고무링(407)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 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8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제 7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 이하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제7 실시예와 차이나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될 것이다. 참고로 도면부호 'A' 및 'B'는 전기 가열 융착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기밀용 패킹수단(408,409,410)은 각 한 쌍씩의 제1 고무링(408),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409), 제2 고무링(410)이다.
상기한 링(408,409,410)들은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먼저 제1 고무링(408)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제1 고정부재(220A)의 단부와 접한다.
반면, 제1 고무링(408)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제2 고정부재(220B)의 단부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굴절링(409)들 중 일측의 것은, 제1 고무링(408)들 중 일측에 위 치한 고무링(408)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접한다.
반면 굴절링(409)들 중 타측의 것은, 제1 고무링(408)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408)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접하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제2 고무링(410)들 중 일측의 것은, 굴절링(409)들 중 일측에 위치한 굴절링(409)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230A)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제2 고무링(410)들 중 타측의 것은, 굴절링(410)들 중 타측에 위치한 굴절링(410)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230B)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전기 가열 융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와 기준부재(210)의 접합부위에 위치한 틈에 고무링(405) 및 사각링(406)을 더 보강하고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에 제1 고무링(408), 굴절링(409), 및 제2 고무링(410)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9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한다.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가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2 고정부재(220B)는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한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열 융착 부분이다.
그리고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제1 고정부재(220A) 사이와, 상기 기준부 재(210)의 타측 및 제2 고정부재(220B) 사이에는 각각 기밀용 패킹수단(411)인 고무링(411)들이 구비된다.
도면에서, 고무링(411)들 중 일측의 것은,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222A)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11)들 중 타측의 것은,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222B)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결합구(211A) 및 타측 결합구(211B)에 각각 체결구(430)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230A)는 상기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A)의 삽입공(212A)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A)을 가지며, 제2 체결부재(230A)는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B)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B)의 삽입공(212B)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B)들을 가진다.
여기서,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체결구(430)는 일측 볼트(430) 및 타측 볼트(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볼트(430)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 및 제1 체결부재(230A)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 및 제2 체결부재(23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 볼트(430)들의 단부에는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 제1 체결부재(230A)의 결합 상태와,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 제2 체결부재(230B)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440)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은 각 한 쌍씩의 사각링(412), 고무링(413), 및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414)으로 이루어진다.
이 링(412,413,414)들은 상기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도면에서, 사각링(412)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제1 고정부재(220A)의 단부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사각링(412)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제2 고정부재(220B)의 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고무링(413)들 중 일측의 것은, 사각링(412)들 중 일측에 위치한 사각링(412)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 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13)들 중 타측의 것은, 사각링(412)들 중 타측에 위치한 사각링(412)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굴절링(414)들 중 일측의 것은, 고무링(413)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413)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230A)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굴절링(414)들 중 타측의 것은, 고무링(413)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413)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230B)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열 융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와 기준부재(210)의 접합부위에 위치한 틈에 고무링(411)을 더 보강하고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틈에 사각링(412), 고무링(413), 및 굴절링(414)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0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제9 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 제9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하며,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은 타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가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제2 고정부재(220B)는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하며,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제1 고정부재(220A)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및 제2 고정부재(220B) 사이에는 각각 기밀용 패킹수단(411)인 고무링(411)들이 구비된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열 융착 부분이다.
도면에서, 고무링(415,416)들은 한 쌍의 제1 고무링(415)과 한 쌍의 제2 고무링(416)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 고무링(415)들은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223A)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과 접하고,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223B)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제2 고무링(416)들은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224A)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224B)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결합구(211A) 및 타측 결합구(211B)에 각각 체결구(430)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230A)는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A)의 삽입공(212A)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A)을 가지며, 제2 체결부재(230A)는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B)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B)의 삽입공(212B)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B)들을 가진다.
상기 체결구(430)는 일측 볼트(430) 및 타측 볼트(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볼트(430)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결합구(211A), 및 제1 체결부재(230A)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결합구(211B), 및 제2 체결부재(23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 볼트(430)들의 단부에는 일측 결합구(211A), 및 제1 체결부재(230A)의 결합 상태와, 타측 결합 구(211B), 및 제2 체결부재(230B)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440)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열 융착 및 두 개의 고무링(415,416)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1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제10 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서 고무링(417,418)의 배열이 상이한 특징이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열 융착 부분이다.
즉, 고무링(417,418)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외주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각 2개의 홈(225A,226A,225B,226B)에 삽입되어 기준부재(210)의 내주면과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고무링(417,418)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상기한 제10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2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1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된다.
여기서, 제1 고정부재(220A)와 일측 관로(101)가 나사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과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03A,227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된다.
이 또한, 제2 고정부재(220B)와 타측 관로(102)가 나사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2 고정부재(220B)의 내주면과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는 각각 나사부(103B,227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일측 관로(101) 사이와, 기준부재(210)의 타측 및 타측 관로(102)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419)인 고무링(419)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제1 고정부재(220A) 사이와, 기준부재(210)의 타측 및 제2 고정부재(220B) 사이에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체결 한계를 기설정하도록 키(420)들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링(419)들의 구체적인 배열형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무링(419)들 중 일측의 것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홈(215A)에 삽입되어 일측 관로(101)와 접한다.
반면 고무링(419)들 중 타측의 것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에 형성된 홈(215B)에 삽입되어 타측 관로(102)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결합구(211A) 및 타측 결합구(211B)에 각각 체결구(430)로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230A)는 상기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A)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A)의 삽입공(212A)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A)을 가지며, 제2 체결부재(230A)는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을 지지한 상태로 체결구(430)에 의해 결합구(211B)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구(211B)의 삽입공(212B)들과 대응하는 체결공(231B)들을 가진다.
여기서,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체결구(430)는 일측 볼트(430) 및 타측 볼트(4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볼트(430)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210)의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 및 제1 체결부재(230A)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210)의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 및 제2 체결부재(230B)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에, 볼트(430)들의 단부에는 일측 결합구(211A),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 제1 체결부재(230A)의 결합 상태와, 타측 결합구(211B),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 제2 체결부재(230B)의 결합 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440)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은 각 한 쌍씩의 사각링(421), 고무링(422), 및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423)으로 이루어진다.
이 링(421,422,423)들은 상기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도면에서, 사각링(421)들 중 일측의 것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제1 고정부재(220A)의 단부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사각링(421)들 중 타측의 것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제2 고정부재(220B)의 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고무링(422)들 중 일측의 것은, 사각링(421)들 중 일측에 위치한 사각링(421)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과 접한다.
반면, 고무링(422)들 중 타측의 것은, 사각링(421)들 중 타측에 위치한 사각링(421)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 다음으로, 굴절링(423)들 중 일측의 것은, 고무링(422)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422)의 단부와, 일측 관로(101)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기준부재(210)에서 일측 결합구(211A)의 내주면과, 제1 체결부재(230A)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굴절링(423)들 중 타측의 것은, 고무링(422)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 링(422)의 단부와,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과,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기준부재(210)에서 타측 결합구(211B)의 내주면과, 제2 체결부재(230B)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참고로, 본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은 제9 실시예의 기밀용 패킹수단(412,413,414)과 그 구성 및 조합이 동일하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나사 결합(나사부인 도면부호 '103A,103B'과, 도면부호 '227A,227B' 간의 결합) 및 고무링(419)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틈에 사각링(421), 고무링(422), 및 굴절링(423)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 피브이씨(PVC)재질, 및 통상의 복합관에 사용되는 재질이고, 금속재질 중에서도 주철재질 및 기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3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3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8 실시예를 개량한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가 제8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에 각각 전기선(303)을 와인딩하되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내부에 전기선(303)이 와인딩이 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6에서와 같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형태는,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를 사출할 시,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내부에 전기선(303)을 와인딩되는 형태로 배열되도록 하여 사출하므로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와 전기선(303)의 결합형태를 사용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전기선(303)의 양단부(304,305)를 과전류인가 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과전류인가 장치로부터 전기선(303)에 전류가 인가되면, 합성수지의 피복재(302)가 녹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도 각각 녹게 되므로서,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는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과, 이에 대응하는 기준부재(210)의 일측 부분과 타측 부분이 상호 단단하게 융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과전류인가 장치로부터 전기선(303)의 양단부(304,305)에 제공되는 전류는 제8 실시예보다 더 높게 설정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방식으로서 제8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 다. 참고로, 도면부호 'A'는 전기 가열 융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및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4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12 실시예를 개량한 것으로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관로 연결장치(1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제12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1 고정부재(220A)의 내주면에는 철(凸)부(500A)가 형성되고 일측 관로(101)에는 철부(500A)가 삽입되도록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대응부(50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고정부재(220A)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과 틈 없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제2 고정부재(220B)도 제1 고정부재(220A)와 동일하게 내주면에는 철(凸)부(500B)가 형성되고 타측 관로(102)에는 철부(500B)가 삽입되도록 오목 한 형상을 가지는 대응부(50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220B)의 외주면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과 틈 없이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의 내주면에는 철부(500A,500B) 대신 요(凹)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에는 상기 요부가 삽입되도록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대응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제1 고정부재(220A)와 일측 관로(101), 제2 고정부재(220A)와 타측 관로(102)를 상호 요철에 의해 결합시킨다면, 상기한 제12 실시예에서 사용하던 나사부(103A,227A,103B,227B) 및 키(420)와 같은 구성요소가 없이도 이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제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준부재(210)와 일측 관로(101) 사이, 기준부재(210)와 타측 관로(102)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419)인 적어도 하나의 고무링(419)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링(419)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홈(215A)에 삽입되어 일측 관로(101)와 접하는 하나와, 기준부재(210)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에 형성된 홈(215B)에 삽입되어 타측 관로(102)와 접하는 다른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0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나사 결합하는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를 더 포함하며, 이 제1 체결부재(230A) 및 제2 체결부재(230B)는 각각 일측 관로(101) 및 타측 관로(10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에 걸림된 상태로 기준부재(210)의 일측 및 타측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회전이 자유롭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부재(230A,230B)의 구성 및 동작방식과,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의 구성은 앞선 제12 실시예의 체결부재(230A,230B)의 구성 및 동작방식과, 제12 실시예의 기밀용 패킹수단(421,422,423)과 서로 동일(도면부호도 동일함)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으며 제12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실시예는 기준부재(210)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미세한 틈을 철부(500A,500B)와 대응부(501A,501B), 및 고무링(419)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못하게 함과 더불어, 기밀성이 다소 취약할 수도 있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230A,230B)와 제1 및 제2 고정부재(220A,220B) 사이의 틈에 사각링(421), 고무링(422), 및 굴절링(423)을 더 보강하여 일측 관로(101)와 타측 관로(102)의 기밀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는 수도관, 하수관, 및 가스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며, 이때 사용되는 관로(101,102)들의 지름은 16mm ~ 600mm가 적당하다.
본 실시예에서 관로(101,102)의 재질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재질 중에서도 폴리에틸렌(PE)재질, 복합 폴리프로필렌(복합PP)재질, 피브이씨(PVC)재질, 및 통상의 복합관에 사용되는 재질이 고, 금속재질 중에서도 주철재질 및 기타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관로의 재질에 따라서 기준부재 및 고정부재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고무링을 제외한 다른 부품들(체결부재, 사각링, 굴절링 등) 역시 상기한 관로, 기준부재, 및 고정부재의 재질에 따라 가장 최선의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로 연결장치에 대한 일 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8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0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2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3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의 제14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연결장치에서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관로 연결장치 101: 일측 관로
102: 타측 관로 103A,103B: 나사부
210: 기준부재 211A,211B: 결합구
212A,212B: 삽입공 215A,215B: 홈
220A: 제1 고정부재 220B: 제2 고정부재
221A,221B,222A,222B,223A,223B,224A,224B,225A,225B,226A,226B: 홈
227A,227B: 나사부 230A: 제1 체결부재
230B: 제2 체결부재 231A,231B: 체결공
301: 나선형의 홈 302: 피복재
303: 전기선 304,305: 전기선의 단부
401,403,406,412,421,: 사각링
402,404,405,407,408,410,411,413,415,416,417,418,419,422: 고무링
409,414,423: 굴절링 420: 키
430: 체결구(볼트) 440: 너트
500A,500B: 철부 501A,501B: 대응부

Claims (32)

  1. 상호 대응하는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를 연결하는 관로 연결장치로서,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연결 부분을 기준으로 양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되, 외주면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삽입공을 가지는 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은 상기 관로들 둘레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호 동일한 각도로 배열되는 기준부재;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칭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고,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일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에서 타측 방향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제1 사각링, 고무링, 제2 사각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제1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사각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제1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 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제2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무링들은 상기 제 1 및 제2 고정부재 각각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 및 타측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 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한 쌍의 고무링이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및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의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전기 가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며,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과 사각링이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일측 및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단부 타측 및 내주면 타측과 접하며,
    상기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한 쌍의 고무링이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1 고정부재의 단부 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제1 고무링,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 제2 고무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굴절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굴절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1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접하며,
    상기 제2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굴절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굴절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제2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굴절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굴절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단부로부터 외주면에 이르기까지 열 융착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되며,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각각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 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사각링, 고무링, 및 입체적 형상을 가진 굴절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며,
    상기 굴절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굴절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들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과 접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과 접하는 한 쌍의 제1 고무링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는 한 쌍의 제2 고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들은,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 각각의 외주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접하는 제1 및 제2 고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4. 제 22항 또는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및 타측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고 상기 타측 결합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 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촉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 소정 길이에 이르기까지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촉되며,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이 구비되고,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제1 고정부재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제2 고정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재의 체결 한계를 기설정하도록 키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 관로에는 상기 요부가 삽입되거나 상기 철부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대응 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며,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관로에는 상기 요부가 삽입되거나 상기 철부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대응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과 접촉되되,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및 상기 일측 관로 사이와,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및 상기 타측 관로 사이에는 기밀용 패킹수단인 고무링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일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일측 관로와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중앙부 타측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상기 타측 관로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및 타측 결합구에 각각 체결구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체결부재는 각각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기밀용 패킹수단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체결구에 의해 상기 결합구와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구의 삽입공들과 대응하는 체결공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일측 볼트 및 타측 볼트이며,
    상기 볼트들에 의해 상기 기준부재의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상기 기준부재의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가 상호 결합된 상태일 경우, 상기 볼트들의 각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1 체결부재의 결합 상태와, 상기 타측 결합구,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 및 상기 제2 체결부재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너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용 패킹수단은 각 한 쌍씩의 사각링, 고무링, 및 입체적 형상을 가 진 굴절링이고, 이 링들은 상기 일측 관로 및 상기 타측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하나씩 순차적으로 배열되되,
    상기 사각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고, 상기 사각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단부와 접하며,
    상기 고무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과 접하고, 상기 고무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사각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사각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과 접하며,
    상기 굴절링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일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일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일측 및 단부 일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일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1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기 굴절링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고무링들 중 타측에 위치한 고무링의 단부와, 상기 타측 관로의 외주면과, 상기 기준부재의 내주면 타측 및 단부 타측과, 상기 기준부재에서 타측 결합구의 내주면과, 상기 제2 체결부재의 내주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32. 제 1항, 제 7항, 및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가열 융착 방식은,
    상기 각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합성수지의 피복재로 감싸여진 전도성의 전기선이 수회 와인딩되거나, 상기 각 고정부재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상기 전기선이 수회 와인딩되거나, 상기 각 고정부재의 내부에 상기 전기선이 수회 와인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선의 양단부는 과전류인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과전류인가 장치로부터 상기 전기선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합성수지의 피복재가 녹으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상기 고정부재가 녹아 상기 일측 관로 및 타측 관로와 융착되거나, 상기 일측 관로, 상기 타측 관로, 및 상기 기준부재와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연결장치.
KR1020080054693A 2008-06-11 2008-06-11 관로 연결장치 KR10090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93A KR100900215B1 (ko) 2008-06-11 2008-06-11 관로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693A KR100900215B1 (ko) 2008-06-11 2008-06-11 관로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215B1 true KR100900215B1 (ko) 2009-06-02

Family

ID=4098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693A KR100900215B1 (ko) 2008-06-11 2008-06-11 관로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5008A1 (de) * 2022-02-25 2023-08-30 Frank GmbH Heizwendelmuffe zum schweissen sowi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zwei rohrstücken mit nachlaufendem mediu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168A (ja) * 1996-10-24 1998-05-22 Tokyo Gas Co Ltd ポリエチレン管と鋳鉄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構造
KR20030010129A (ko) * 2001-07-25 2003-02-05 박실상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060113387A (ko) * 2005-04-28 2006-11-02 미라이얼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관 연결 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2168A (ja) * 1996-10-24 1998-05-22 Tokyo Gas Co Ltd ポリエチレン管と鋳鉄管を接続するための継手構造
KR20030010129A (ko) * 2001-07-25 2003-02-05 박실상 관 연결구의 결합장치
KR20060113387A (ko) * 2005-04-28 2006-11-02 미라이얼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관 연결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35008A1 (de) * 2022-02-25 2023-08-30 Frank GmbH Heizwendelmuffe zum schweissen sowie verfahren zum verbinden von zwei rohrstücken mit nachlaufendem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100900213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0900215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0900216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149733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KR101024577B1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900212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0805689B1 (ko)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또는폴리부틸렌(pb)을 원료로 하는 보일러 중계관
KR100900214B1 (ko) 관로 연결장치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137895B1 (ko) 안전 연결형 상하수도관
KR101163498B1 (ko) 전기 융착식 파이프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20090043645A (ko) 지중하 공사용 파형관 연결구조
KR101238714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070166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방법
JP2018155280A (ja) 既設管路の補修構造及び補修部材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102176269B1 (ko)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KR20120038742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0562782B1 (ko) 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1090413B1 (ko) 관 연결구
KR20200017023A (ko) 딤플플랜지 파형강관 이음 구조 및 그 방법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