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820B1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Google Patents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8820B1 KR101188820B1 KR1020120062655A KR20120062655A KR101188820B1 KR 101188820 B1 KR101188820 B1 KR 101188820B1 KR 1020120062655 A KR1020120062655 A KR 1020120062655A KR 20120062655 A KR20120062655 A KR 20120062655A KR 101188820 B1 KR101188820 B1 KR 1011888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water
- alignment
- connector
- f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쪽으로 열선이 설치되는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결합하여 전기 융착으로 연결할 때 상하수도용 관과 연결구의 중심이 정렬되어 열선에 가해지는 전원으로 전기 융착에 의해 연결할 때 상하수도용 관의 외경과 연결구의 내경에서 균일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발명은 내경의 중앙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구획하며 융착부(21, 21a)에 열선(23, 24)을 각각 설치하여 전원 연결잭(26, 26a)에 연결하고, 상기 융착부(21, 21a)의 양단 내경에 경사 안내면(25)을 형성한 연결구(20)의 양쪽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삽입하여 열선(23, 24)을 발열시켜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양쪽에서 경사 안내면(25)의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 결합홈(27)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결합홈(27)과 결합하며 외측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자동 정렬시켜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30)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 정렬대(30)는 정렬 결합홈(27)에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고, 내경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절단부(41)에서 분리된 정렬 돌출부(33)를 형성하여 외측에 경사 안내면(25)과 접촉하며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정렬하는 경사 지지면(3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의 일측에 요철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발명은 내경의 중앙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구획하며 융착부(21, 21a)에 열선(23, 24)을 각각 설치하여 전원 연결잭(26, 26a)에 연결하고, 상기 융착부(21, 21a)의 양단 내경에 경사 안내면(25)을 형성한 연결구(20)의 양쪽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삽입하여 열선(23, 24)을 발열시켜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양쪽에서 경사 안내면(25)의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 결합홈(27)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결합홈(27)과 결합하며 외측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자동 정렬시켜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30)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 정렬대(30)는 정렬 결합홈(27)에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고, 내경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절단부(41)에서 분리된 정렬 돌출부(33)를 형성하여 외측에 경사 안내면(25)과 접촉하며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정렬하는 경사 지지면(3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의 일측에 요철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쪽으로 열선이 설치되는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결합하여 전기 융착으로 연결할 때 상하수도용 관과 연결구의 중심이 정렬되어 열선에 가해지는 전원으로 전기 융착에 의해 연결할 때 상하수도용 관의 외경과 연결구의 내경에서 균일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도로 등의 생활기반시설에는 식수 공급을 위한 상수도용 및 오수 처리용 상·하수도관은 지중매설(地中埋設 : 땅속에 파묻음)하는 배관공사(管道工程, Piping work)를 실시하여 필요로 하는 내용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공사는, 굴삭기(掘削機, Excavator, 포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지반의 터파기(Cutting / Excavation, 掘鑿)로 상하수도용 관 매설관로를 형성한 다음, 그 매설관로 안으로 정해진 규격의 관을 한 라인 또는 여러 라인을 배치시켜 놓고 인력에 의한 파이프이음(Pipe joint, 이하 "이음작업"이라 함) 작업의 실시 후, 터파기한 지반을 다시 되메우기(Backfilling, 覆土)하는 것으로 최종 마무리한다.
여기서, 상기 이음작업은 상하수도용 관 연결부위의 조립성 및 내구성 증대와 더불어 누수방지의 목적을 위한 것인바, 대표적인 방식에는 용접이음과 납땜이음 등의 영구결합방식이 있으며, 이 밖에도 상하수도용 관을 서로 플랜지 결합시키는 플랜지이음,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나사이음, 신축관을 이용한 신축이음 등의 분해결합방식이 있다.
한편, 전술한 이음작업이 필요한 상하수도용 관 중 누출시 화재 및 폭발의 위험성이 높은 가스 등을 이송시키는 배관의 경우,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하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전기 융착식 이음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은, 코일(Coil)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하수도용 관을 열 융착으로 연결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상기한 코일에는 전기 공급을 위한 단자핀이 더 구비된다.
그러나, 관의 삽입 및 융착을 위한 연결부위로부터 갭(Gap)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바, 관 상호 간의 중심정렬을 위한 어떠한 수단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전기 융착 과정에서의 관의 자중이나 외력의 작용 또는 관의 비틀림현상으로 인해 관과 관 상호 간의 중심이 불일치하게 되고, 이로써 관 둘레의 융착 균일성을 저하시켜 융착 품질을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이와 같은 전기 융착식 이음관에 의한 융착 품질의 감소로 인한 내구성 저하 및 유체의 누설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렇게 누설되는 유체가 인화성 가스일 경우 화재나 폭발 사고의 위험을 초래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이음관 이용시, 상호 이음의 대상이 되는 관 상호 간의 융착을 위한 이음부위 추가 및 그에 따른 누설의 가능성 증가는 물론, 별도 구성품 구비에 따른 작업과정의 번잡성과 함께 공사비용 상승의 주원인이 되어 왔다.
특히, 연결관의 양쪽으로 상하수도용 관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경우 지중에 매설할 작업 현장에서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양쪽에 상하수도용 관을 삽입하여 결합하고, 내경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열에 의한 열융착 연결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상하수도용 관의 생산 공장에서 연결관의 한쪽에 상하수도용 관을 결합하여 미리 융착 연결함으로써 편수칼라(상하수도용 관의 한쪽으려 연결구가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돌출된 상태를 말함) 형태를 제공하게 되나, 생산 공장이나 상하수도용 관의 연결 현장에서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상하수도용 관과 연결관과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량 발생의 염려가 많이 발생하는 결점에 의해 상하수도용 관의 연결작업이 매우 어려운 환경에 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삽입하면 연결구 내경의 걸림턱을 통하여 정확한 위치에 삽입이 이루어지며, 상하수도용 관의 외경으로 융착 정렬대를 결합하면 상하수도용 관과 연결구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정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융착 정렬대가 상하수도용 관의 외경에서 연결구와 결합하면 내경 결합돌기에 의해 연결구와 결합하면서 내경의 관 고정돌기가 상하수도용 관을 외경에서 잡아 연결구와 상하수도용 관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경의 중앙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구획하며 융착부에 열선을 각각 설치하여 전원 연결잭에 연결하고, 상기 융착부의 양단 내경에 경사 안내면을 형성한 연결구에 양쪽에서 상하수도용 관을 삽입하여 열선을 발열시켜 연결구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양쪽에서 경사 안내면의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결합홈과 결합하며 외측에서 상하수도용 관을 자동 정렬시켜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 정렬대는 정렬 결합홈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내경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절단부에서 분리된 정렬 돌출부를 형성하여 외측에 경사 안내면과 접촉하며 상하수도용 관을 정렬하는 경사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결구의 양쪽에 상하수도용 관을 각각 삽입하면 연결구 내경의 걸림턱을 통하여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하수도용 관의 외경에서 연결구의 내경으로 융착 정렬대를 결합하면 상하수도용 관과 연결구의 중심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일치하는 정렬 기능을 제공하여 열선의 발열에 의해 원주방향의 전체면에서 균일하고 일정하며 안정된 융착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융착 정렬대가 상하수도용 관의 외경에서 연결구와 결합하면 내경 결합돌기에 의해 연결구와 결합하면서 내경의 관 고정돌기가 톱니형으로 결합되어 상하수도용 관을 외경에서 잡아 연결구에서 상하수도용 관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연결구와 상하수도용 관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중 편수칼라 형태의 연결구를 갖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중 편수칼라 형태의 연결구를 갖는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하기 위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융착 정렬대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융착 정렬대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융착 정렬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 중 편수칼라 형태의 연결구를 갖는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하기 위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융착 정렬대에 대한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융착 정렬대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융착 정렬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중 편수칼라 형태의 연결구를 갖는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중 편수칼라 형태의 연결구를 갖는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하기 위한 분리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하수도용 관(10, 11)은 상수도용과 하수도용 및 가스용 등 유체와 기체를 공급하는 모든 관 종에 적용하는 것이며, 우선 상하수도용 관(10, 11)과 연결구(20)를 각각 독립되게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상하수도용 관(10, 11)은 관 종에 따라서 규격과 두께 등이 달라지며, 압출과 사출 및 와인딩과정에 의해 다양한 종류로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상하수도용 관(10, 11)과 연결구(20)를 각각 독립되게 생산하여 매설 현장에서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현장에서의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편수칼라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수칼라 형태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구(20)의 한쪽 단부에 상하수도용 관(10)을 맞대고 상호 결합하면 상하수도용 관(10)이 융착부(21)에서 내경 중앙의 걸림턱(22)에 걸려 더 이상 진입되지 않게 되어 연결구(20)와 상하수도용 관(10)의 조립이 완성된다.
상기 연결구(20)는 내경의 중앙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상하수도용 관(10, 11)이 중앙에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하고, 걸림턱(22)의 양쪽 융착부(21, 21a)에 열선(23, 24)을 일정한 폭에 매립하여 설치하며, 상기 열선(23, 24)의 단부는 각각 외경으로 돌출된 전원 연결잭(26, 26a)에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구(20)는 융착부(21, 21a)의 단부에서 각각 경사 안내면(25)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 안내면(25)의 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에서 정렬 결합홈(27)을 형성하여 융착 정렬대(30)의 결합부(31)가 각각 결합되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구(20)와 상하수도용 관(10)의 조립이 완성되면 정렬 결합홈(27)의 외측에서 융착 정렬대(30)의 정렬 돌출부(33)를 경사 안내면(25)에 일치시켜 나무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충격을 주어 밀어 넣되; 일정한 간격에 형성한 정렬 결합홈(27)에 각각 융착 정렬대(30)를 밀어 넣어 결합한다.
융착 정렬대(30)의 정렬 돌출부(33)가 경사 안내면(25)으로 진입하면서 융착부(21)에서 상하수도용 관(10)이 정렬구(20)와 같은 중심위치에 위치하도록 자동 정렬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수도용 관(10)의 외경에서 융착 정렬대(30)를 결합하여 결합부(31)가 정렬 결합홈(27)에 일치하도록 밀어 넣으면 융착부(21)와 경사 안내면(25)에서 정렬 돌출부(33)의 경사 지지면(34)이 상하수도용 관(10)의 외경과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자동으로 중심위치가 일치되도록 하는 정렬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융착 정렬대(30)의 결합으로 상하수도용 관(10)과 연결구(20)가 자동 정렬되면 전원 연결잭(26)에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장비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한 후 소정의 암페어를 공급한다.
공급되는 전원으로 융착부(21)의 열선(23)이 발열되면서 상하수도용 관(10)의 외경과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용융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며, 소정의 온도를 제공하여 열선(23)을 용융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여 8~12분간 냉각시키면 용융된 열선(23)의 주변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며 상하수도용 관(10)의 외경과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용융에 의한 융착이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는 것이다.
상하수도용 관(10)과 연결구(20)가 융착 연결되면 편수칼라 형태로 연결된 완료 상태를 제공하게 되며, 지중에 상하수도용 관(10, 11)을 매설하는 경우 연결구(20)의 개방된 융착부(21a)에 상하수도용 관(11)을 결합하는 것이다.
연결구(20)에 상하수도용 관(11)을 결합하면 융착부(21a)에서 걸림턱(22)에 걸리면서 소정의 거리만 진입된 후 더 이상 진입되지 않는 결합상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구(20)의 융착부(21a)에 상하수도용 관(11)을 결합한 이후에는 상하수도용 관(11)의 외경에서 융착 정렬대(30)를 결합하되; 정렬 결합홈(27)에 결합부(31)과 일치하도록 정렬한 후 나무망치 등으로 요철부(32)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정렬 돌출부(33)가 안으로 진입하면서 경사 지지면(34)과 경사 안내면(25)이 일치하면서 결합부(31)가 정렬 결합홈(27)에 일치하게 될 때, 상하수도용 관(11)은 연결구(20)의 융착부(21a)에서 동일한 중심위치에 자동 정렬되는 것이다.
연결구(20)의 내경에 상하수도용 관(11)을 결합한 후 일정한 간격에서 융착 정렬대(30)를 결합하는 것으로 연결구(20)와 상하수도용 관(11)의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연결구(20)와 상하수도용 관(11)의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전원 연결잭(26a)에 외부에서 소정의 전력을 제공하여 열선(24)이 발열되도록 한다.
열선(24)이 발열되면서 상하수도용 관(10)의 외경과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용융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며, 소정의 온도를 제공하여 열선(24)을 용융시킨 후 전원을 차단하여 8~12분간 냉각시키면 용융된 열선(24)의 주변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며 상하수도용 관(11)의 외경과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용융에 의한 융착이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융착 정렬대에 대한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결구(20)의 융착부(21, 21a)의 외측 방향으로 경사 안내면(25)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하수도용 관(10, 11)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단부에는 일정한 간격에서 정렬 결합홈(27)을 형성하여 융착 정렬대(30)의 결합부(31)가 쐐기와 같은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지며 연결구(20)와 상하수도용 관(10, 11)의 정렬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융착 정렬대(30)는 정렬 결합홈(27)에 결합하도록 돌출되어 있고, 외측으로 나무망치 등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으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요철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정렬 돌출부(33)가 돌출되어 경사 안내면(25)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자동 정렬하는 경사 지지면(34)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정렬 돌출부(33)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한 부분에서 절단부(41)와 같이 절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정렬 돌출부(33)에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부(31)가 돌출되어 정렬 결합홈(27)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융착 정렬대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구(20)에는 경사 안내면(25)에 고정턱(29)을 더 형성하고, 외경에는 결합턱(28)을 더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0)와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30)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한 부분에서 절단부(41)를 갖도록 분리된 정렬 돌출부(33)에 형성하는 경사 지지면(34)의 단부에 고정턱(29)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내경 결합돌기(36)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턱(28)과 만나는 결합돌기(35)를 형성하여 연결구(20)에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 융착 정렬대(30)를 결합하면 결합부(31)에 형성한 결합돌기(35)가 외경에서 연결구(20)의 결합턱(28)과 만나 고정되는 동시에 경사 안내면(25)에서는 정렬 돌출부(33)가 안으로 이동하다가 내경 결합돌기(36)가 고정턱(29)과 만나면서 결합부(31)가 정렬 결합홈(27)에 일치하게 되므로 융착 정렬대(30)를 필요 이상으로 박아 밀어 넣거나 너무 적게 밀어 넣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하수도용 관(10, 11)과 연결구(20)의 정렬상태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렬 기능에 의해 연결구(20)의 융착부(21, 21a)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이 같은 중심선에서 열선(23, 24)과 일정한 간격을 제공하므로 열선(23, 24)의 발열을 통한 용융 융착시 균일하고 안정된 용접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결구와 융착 정렬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연결구(20)에는 경사 안내면(25)에 고정턱(29)을 더 형성하고, 외경에는 결합턱(28)을 더 형성하는 동시에 정렬 결합홈(27)의 안쪽 일부에 리브홈(27a)을 더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0)와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30)는 정렬 돌출부(33)에 형성하는 경사 지지면(34)의 단부에 고정턱(29)과 결합하여 고정되는 내경 결합돌기(36)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턱(28)과 만나는 결합돌기(35)를 형성하여 연결구(20)에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삽입하여 결합한 후 융착 정렬대(30)를 결합하면 결합부(31)에 형성한 결합돌기(35)가 외경에서 연결구(20)의 결합턱(28)과 만나 고정되는 동시에 경사 안내면(25)에서는 정렬 돌출부(33)가 안으로 이동하다가 내경 결합돌기(36)가 고정턱(29)과 만나면서 결합부(31)가 정렬 결합홈(27)에 일치하게 되므로 융착 정렬대(30)를 필요 이상으로 박아 밀어 넣거나 너무 적게 밀어 넣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한 간격에서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어 상하수도용 관(10, 11)과 연결구(20)의 정렬상태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부(31)의 안쪽에는 보강리브(37)를 더 형성하여 결합부(31)를 보강하게 되고, 리브홈(27a)에 일치하는 결합상태를 제공하며, 내경으로 일정한 간격에 다수개의 톱날형태를 갖는 관 고정돌기(38)를 더 형성하여 상하수도용 관(10, 11)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렬 기능에 의해 연결구(20)의 융착부(21, 21a)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이 같은 중심선에서 열선(23, 24)과 일정한 간격을 제공하며, 보강리브(37)와 리브홈(27a)의 결합으로 정확한 결합위치와 보강역할 및 관 고정돌기(38)를 통한 상하수도용 관(10, 11)의 고정역할을 통하여 융착 정렬대(30)에 의해 정렬된 상하수도용 관(10, 11)이 열선(23, 24)의 발열을 통한 용융 융착시와 융착이 종료된 이후에도 연결구(2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균일하고 안정된 용접 연결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산공장에서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구에 결합한 후 정렬한 상태에서 융착시켜 편수칼라 형태로 제공하며, 상하수도용 관의 시공 현장에서 상하수도용 관을 연결구에 결합한 이후에 융착 정렬대를 일정한 간격에서 결합하는 것으로 상하수도용 관이 자동 정렬된 상태에서 연결구와 상하수도용 관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정확하고 안정된 연결기능을 제공하여 누수가 방지되는 융착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11 : 상하수도용 관 20 : 연결구
21, 21a : 융착부 22 : 걸림턱
23, 24 : 열선 25 : 경사면
26, 26a : 전원 연결잭 27 : 정렬 결합홈
27a : 리브홈 28 : 결합턱
29 : 고정턱 30 : 융착 정렬대
31 : 결합부 32 : 요철부
33 : 정렬 돌출부 34 : 경사 지지면
35 : 결합돌기 36 : 내경 결합돌기
37 : 보강리브 38 : 관 고정돌기
41 : 절단부
21, 21a : 융착부 22 : 걸림턱
23, 24 : 열선 25 : 경사면
26, 26a : 전원 연결잭 27 : 정렬 결합홈
27a : 리브홈 28 : 결합턱
29 : 고정턱 30 : 융착 정렬대
31 : 결합부 32 : 요철부
33 : 정렬 돌출부 34 : 경사 지지면
35 : 결합돌기 36 : 내경 결합돌기
37 : 보강리브 38 : 관 고정돌기
41 : 절단부
Claims (4)
- 내경의 중앙에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양쪽으로 구획하며 융착부(21, 21a)에 열선(23, 24)을 각각 설치하여 전원 연결잭(26, 26a)에 연결하고, 상기 융착부(21, 21a)의 양단 내경에 경사 안내면(25)을 형성한 연결구(20)의 양쪽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삽입하여 열선(23, 24)을 발열시켜 연결구(20)의 내경에서 일체형으로 융착 연결되도록 하는 상하수도용 관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양쪽에서 경사 안내면(25)의 단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정렬 결합홈(27)을 형성하고,
상기 정렬 결합홈(27)과 결합하며 외측에서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자동 정렬시켜 결합하는 융착 정렬대(30)를 설치하되; 상기 융착 정렬대(30)는 정렬 결합홈(27)에 결합하는 결합부(31)를 형성하고, 내경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절단부(41)에서 분리된 정렬 돌출부(33)를 형성하여 외측에 경사 안내면(25)과 접촉하며 상하수도용 관(10, 11)을 정렬하는 경사 지지면(34)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31)의 일측에 요철부(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경사 안내면(25)에는 고정턱(29)을 형성하고 외경에는 결합턱(28)을 형성하며, 융착 정렬대(30)의 정렬 돌출부(33)에는 경사 지지면(34) 쪽으로 상기 고정턱(29)과 결합하는 내경 결합돌기(36)를 형성하고 외경에는 결합턱(28)에 고정하는 결합돌기(3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경사 안내면(25)에는 고정턱(29)을 형성하고 외경에는 결합턱(28)을 형성하며, 융착 정렬대(30)의 정렬 돌출부(33)에는 경사 지지면(34) 쪽으로 상기 고정턱(29)과 결합하는 내경 결합돌기(36)를 형성하고 외경에는 결합턱(28)에 고정하는 결합돌기(35)와, 상기 정렬 돌출부(33)의 내경으로 관 고정돌기(3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에는 정렬 결합홈(27)의 안쪽에 리브홈(27a)을 형성하고, 융착 정렬대(30)의 결합부(31) 안쪽에는 리브홈(27a)에 결합하는 보강리브(37)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655A KR101188820B1 (ko) | 2012-06-12 | 2012-06-12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655A KR101188820B1 (ko) | 2012-06-12 | 2012-06-12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8820B1 true KR101188820B1 (ko) | 2012-10-09 |
Family
ID=4728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2655A KR101188820B1 (ko) | 2012-06-12 | 2012-06-12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8820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6243A (ja) | 1999-06-08 | 2000-12-15 | Osaka Gas Co Ltd | 芯出し具 |
KR101076852B1 (ko) | 2009-10-21 | 2011-10-25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전기융착을 이용한 관 연결구 |
KR101103026B1 (ko) | 2011-01-26 | 2012-01-05 | (주)폴리텍 |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
-
2012
- 2012-06-12 KR KR1020120062655A patent/KR1011888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46243A (ja) | 1999-06-08 | 2000-12-15 | Osaka Gas Co Ltd | 芯出し具 |
KR101076852B1 (ko) | 2009-10-21 | 2011-10-25 | 코오롱건설주식회사 | 전기융착을 이용한 관 연결구 |
KR101103026B1 (ko) | 2011-01-26 | 2012-01-05 | (주)폴리텍 |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이음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398119B2 (en) | Electrofusion fitting | |
ES2794649T3 (es) | Tenazas con bobina de inducción electromagnética | |
JPH08247373A (ja) | 受口部材および管接続用部材 | |
US20010048223A1 (en) | Method of and joint for coupling thermoplastic pipes | |
CN106321990A (zh) | 一种承插式结构壁缠绕管及其连接方法 | |
KR101188822B1 (ko)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과 그 연결방법 | |
KR101163495B1 (ko) | 정렬 기능을 가지는 전기 융착식 파이프 | |
KR101188820B1 (ko)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 |
KR101190798B1 (ko) | 정렬에 의한 전기 융착이 가능한 연결구 일체형 상하수도용 관 연결방법 | |
KR20140005001U (ko) |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 |
CN202992439U (zh) | 电磁熔承插管件及钢塑复合管电磁熔承插结构 | |
KR101457110B1 (ko) | 롤러 회전판을 갖는 확관기, 그 확관기를 이용한 확관방법 및 그 확관방법에 의해 확관된 연결구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 | |
GB2382392A (en) | Improved Electrofusion Coupling | |
KR20180027943A (ko) | 삽입형 전자소켓을 이용한 배관연결구조 | |
KR102176269B1 (ko) | 캡 새들과 어댑터를 이용한 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방법 | |
KR20140039115A (ko) | 가스관용 전기융착식 이음관 | |
KR101326015B1 (ko) | Pvc 엘보형 관 제조 방법 | |
KR200313859Y1 (ko) | 융착 칼라 피이 관 | |
KR200380676Y1 (ko) | 가스관 연결장치 | |
CN105782625B (zh) | 缠绕结构壁管的套袖电熔连接装置和连接方法 | |
JP2004353356A (ja) | 陶管の補修工法 | |
KR20200049077A (ko) | 파이프의 전기융착이음관 | |
JP2017198261A (ja) | 電気融着受け口付き継手及び電気融着受け口付き継手を用いた配管接続方法 | |
KR101247527B1 (ko) | 융착상태 판단용 인디케이터를 구비한 전기 융착식 이음관 | |
KR101039817B1 (ko) | 편수칼라 일체형 급배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