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867A -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867A
KR20200087867A KR1020207019121A KR20207019121A KR20200087867A KR 20200087867 A KR20200087867 A KR 20200087867A KR 1020207019121 A KR1020207019121 A KR 1020207019121A KR 20207019121 A KR20207019121 A KR 20207019121A KR 20200087867 A KR20200087867 A KR 20200087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icro
aperture
optical element
in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894B1 (ko
Inventor
베른하르트 만들
안드레아스 모저
프리드리히 바우어
페터 샤덴호퍼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87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21S41/4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3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 F21W2102/135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high-beam region or low-beam region the light having cut-off lines, i.e. clear borderlines between emitted regions and dark reg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8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overhead sig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투영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상기 투영 장치(1)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의 형태로, 투영 장치(1)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2)의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며,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총 개수는 적어도 2개의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투영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투영 장치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 요컨대 로우빔 광 분포의 형태로, 투영 장치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영 장치는
-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총 개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을 포함하는 입사 광학 요소와,
-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총 개수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을 포함하는 출사 광학 요소를 포함하며,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에는 정확히 하나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가 할당되되,
실질적으로 하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에서부터 출사되는 전체 광은 단지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내로만 입사되는 방식으로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과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에 의해 사전 형성된 광은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에 의해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로서 매핑되며,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는 자신을 통과하는 광을 적어도 하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초점에 집광하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초점은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와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하며,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와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diaphragm device)가 배치되며,
각각 적어도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및 이들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를 통해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는,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를 통해 방사된 광 분포가 로우빔 광 분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를 통해 매핑된 광 분포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되, 조리개 장치는, 이를 위해, 로우빔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경로를 매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유효한 조리개 에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 내로 광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부터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투영 장치를 개시하는 문헌 AT 514967 B1호가 공지되었다. 여기서는, 다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및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투영 장치가 개시되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과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 사이에는 조리개 장치들이 배치된다. 광 분포의 안쪽에서 법적으로 기설정된 광도의 최댓값들을 상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국소적 세기를 그에 상응하게 낮게 구성해야 한다. 매크로 투영 모듈(macro-projection module)들의 경우, 이를 위해, 예컨대 투영 렌즈 내에 차광 요소들이 제공되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해당 지점들에서 조도는 보다 더 낮아지게 된다. 광 분포의 개별 영역들의 디밍을 위한 종래 조치들은 차광 요소를 이용하여 투영 렌즈 또는 조명 장치의 조작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점은, 상기 차광 요소가 차광할 영역을 강하게 디밍하며, 그리고 디밍되지 않은 영역들 쪽으로 일관되게 균일한 휘도 전이는 상기 차광 요소에 의해 실현될 수 없었다는 점이다. 광 패턴에서 차광된 영역은 종래 육안으로 광 분포의 세기의 국소적 최솟값으로서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광 분포의 전체 인상(overall impression)에 불리하게 작용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전술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투영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서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총 개수는 적어도 2개의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며, 요컨대
- 조리개 장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변형예를 포함한 제1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과,
- 조리개 장치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변형예를 포함한 제2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되, 조리개 장치들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은,
적어도, 조리개 장치들의 제2 변형예가
* 조리개 에지부의 형상의 일 섹션을 따라서 돌출된 차광 요소(50L)들 및/또는
* 조리개 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조리개 장치의 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는 차광 요소(ASegm 10)들을 포함하는 점에서,
조리개 장치들의 제1 변형예의 구성과 다른 것인, 상기 투영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조리개 장치들의 적어도 2개의 변형예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조리개 장치들 내지 이들 조리개 장치 내에 제공될 수 있는 차광 요소들의 개수 및/또는 구성의 상응하는 선택에 의해, 광 분포 내에서 디밍된 영역들과 관련한 법적 설정값들이 한편으로 정확하게 충족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광 분포 내에서 균일한 전이가 제공될 수 있음으로써, 로우빔 광 분포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광학적으로 유효한 조리개 에지부란, 광 분포의 제한을 위해 광 분포의 매핑에 개입하는 조리개 에지부를 의미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 출사되는 전체 광"이란 기재문구는, 적어도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에서 출사되는 전체 광선속(light flux)의 대부분을 유일하게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내로 조사(irradiation)하고자 의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결과적으로 눈부심을 야기할 수 있는 산란광 등과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광학 효과들이 발생하지 않는 유형 및 방식으로, 어떠한 광선속도 인접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 내로 조사하지 않고자 하는 점이 의도된다.
또한, "..하는 방식으로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과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이란 기재문구는, 독점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자체의 실질적인 기능에 추가로, 여전히 전체 광선속이 정확하게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로 지향되게 하는 기능을 보유하는, 예컨대 조리개들(계속하여 하기 설명 참조)과 같은 추가 조치들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투영 시스템들에서처럼 단일의 광학계 대신 약간 수, 복수 내지 다수의 할당된 마이크로 광학계의 이용을 통해,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초점 거리들뿐만 아니라 그 치수들 역시도 "종래" 광학계의 경우에서보다 분명하게 더 작다. 동일하게, 종래 광학계에 비해 중심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종래 광학계에 비해 투영 장치의 장착 깊이도 분명하게 감소될 수 있다.
마이크로 광학계 시스템들의 개수의 증가를 통해, 한편으로 광선속이 증가되거나 크기 조정되며, 마이크로 광학계 시스템들의 개수와 관련한 상한 한계는 특히 각각 가용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한된다. 로우빔 기능의 생성을 위해, 예컨대 200개 내지 400개의 마이크로 광학계 시스템이 충분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는 상한 또는 하한의 제한 값이 아니라, 오직 예시의 개수만을 기술하는 것이어야 한다. 광선속의 증가를 위해, 동일한 유형의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반대로, 상이한 광 분포들을 생성하거나 중첩시키도록 투영 시스템 내에 상이한 광학 거동을 갖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기 위해 다수의 마이크로 광학계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마이크로 광학계는 종래 광학계의 경우 가용하지 않았던 구성 가능성들 역시도 허용한다.
또한, 상기 광 모듈은 크기 조정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구조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된 복수의 광 모듈이 상대적으로 더 큰 하나의 전체 시스템으로, 예컨대 하나의 차량 헤드램프로 조립될 수 있다.
하나의 투영 렌즈를 포함한 종래 투영 시스템의 경우, 렌즈는 60㎜와 90㎜ 사이의 표준 지름을 보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경우, 개별 마이크로 광학계 시스템들은 약 2㎜ x 2㎜(V 및 H 축)의 표준 치수와 약 6㎜ ~ 10㎜의 깊이(Z 축, 예컨대 도 2 참조)를 보유하며, 그럼으로써 Z 방향에서 종래 모듈들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분명히 더 얇은 깊이가 달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 내지 투영 장치는 작은 구조 깊이를 보유할 수 있으며, 그리고 기본적으로 자유 형상(free form)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예컨대 제2 부분 광 분포를 위한 제2 광 모듈로부터 분리된 방식으로 제1 부분 광 분포의 생성을 위한 제1 광 모듈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광 모듈들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다시 말하면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깊이에서 상호 간에 오프셋 되게 배치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설계 입력(design input) 역시도 상대적으로 더 간단하게 실현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모듈 내지 투영 장치의 또 다른 장점은, 투영 장치에 상대적인 광원(들)의 정확한 포지셔닝이 생략된다는 점에 있다. 정확한 포지셔닝은,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까지 조명 유닛의 간격이 정확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 한해, 보다 덜 임계적이다. 그러나 이제 입사 및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들이 거의 하나의 시스템을 형성하므로 이미 최적으로 상호 간에 매칭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광원(들)의 정확하지 않은 포지셔닝은 보다 중요하게 생각되지 않는다. 실재하는 광원들은, 예컨대 자체의 광이 복합 포물선형 집열기(CPC; compound parabolic concentrator) 또는 TIR 렌즈(TIR: total inner reflection; 내부 전반사)와 같은 시준기들에 의해 평행하게 지향되는 예컨대 발광다이오드들과 같은 거의 점 형태 광원들이다.
투영 장치 내지 광 모듈은 동일하게 로우빔 광 분포와 다른 유형들의 광 분포들을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추가 마이크로 광학계 시스템들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광 분포의 "정해진 유형"이란 해당 표준들에 따라 생성되는 광 분포를 의미하며, 예컨대 유럽 연합 국가들에서의 UN/ECE 규정들, 특히 규정 제123호 및 제48호의 표준들; 또는 다른 나라들 또는 지역들에서의 해당 표준들;에 준하는 광 분포를 의미한다.
"차도"란 용어는 하기에서 간소화된 설명을 위해서만 이용되는데, 왜냐하면, 자명한 사실로서, 광 패턴이 실제로 차도 상에 위치되는지, 또는 그를 넘어 더 신장되는지 그 여부는 장소의 조건들에 따라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예컨대 방사된 광 분포들을 시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해당 표준들에 상응하게, 예컨대 자동차 조명 기술에 관련되는 규정들로서,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의 규정 제123호 및 제48호인 "자동차용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FLS)의 승인을 위한 일관성 있는 조건" 및 "조명 및 광신호 장치의 부착과 관련한 차량의 승인을 위한 일관성 있는 조건"; 미합중국에서 유효한 연방 자동차 안전 표준 FMVSS 제108호이며, 연방 규정 코드(CFR)에서 'V장, 파트 571 - §571.108로서 하위 파트 B에서 연방 자동차 표준에서의 운송'이란 명칭 49 이하에 명시되어 있는 "램프, 반사 장치 및 관련 장비"; 그리고 중화민국 공화국(중국)의 국가 표준 GB/T 30036/2013 "자동차용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상응하게 수직 표면 상에 광 패턴의 투영을 생성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1 그룹은 차광 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독립 청구항은, 제1 그룹에 차광 요소들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다른 유형의 차광 요소들이 제공됨으로써, 제1 변형예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자연히 제1 그룹에는 동일하게 차광 요소들이 없을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 장치의 경우, 상이한 광 분포의 생성을 위해 2개 또는 그 이상의 그룹이 제공되며, 각자의 그룹은 예컨대 하기 광 분포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상이한 광 분포를 형성한다.
*) 코너링광 광 분포;
*) 도시광 광 분포;
*) 국도광(country road light) 광 분포;
*) 고속도로광(highway light) 광 분포;
*) 고속도로광용 추가 광을 위한 광 분포;
*) 벤딩광 광 분포;
*) 로우빔 근거리 광 분포;
*) 원거리 내 비대칭 로우빔을 위한 광 분포;
*) 벤딩광 모드에서 원거리 내 비대칭 로우빔을 위한 광 분포;
*) 하이빔 광 분포;
*) 눈부심 방지 하이빔 광 분포.
상기 광 분포들의 실례들은 특히 문헌 AT 514967 B1호에서 추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를 포함하는 각자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는 조리개 에지부의 형상의 일 섹션을 따라서 돌출되는 정확히 하나의 차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요소는, 광 분포의 지점 "50L"을 차광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자연히, 조리개 에지부에서부터 돌출되지 않는 또 다른 차광 요소들 역시도 제공될 수 있다. 50L 지점의 상응하는 디밍은 예컨대 제2 변형예에 따른 차광 요소들을 포함한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적합한 개수 및 치수의 선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개 에지부로부터 돌출되는"이란 표현은, 조리개 에지부가 로우빔 광 분포를 위한 조리개 에지부로서 그 자체로서 어쨌든 여전히 확인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수평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는 직선 조리개 에지부 섹션들로 구성되는 조리개 에지부의 종방향 연장부는 돌출된 차광 요소를 통해 중단된다. 달리 표현하면, 완전하게 광 투과성인 차광 요소의 영역에서는 조리개 에지부가 더 이상 확인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상기 조리개 에지부가 돌출된 차광 요소의 존재를 기반으로 상기 영역에서 더 이상 에지부로서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조리개 에지부는 차광 요소의 전방 및 후방에서 다시 (광학적으로 볼 수 있는 방식으로) 계속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를 포함하는 각자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는 조리개 에지부로부터 이격되어 조리개 장치의 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는 정확히 하나의 차광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요소들은, 로우빔 광 분포의 세그먼트 10 안쪽에서 차광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세그먼트 10 안쪽에서 그에 상응하게 균질하면서도 균일한 디밍은 예컨대 상기 차광 요소들을 포함한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적합한 개수 및 치수의 선택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는, 기설정 가능한 광 분포의 형성을 위해 자신의 표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광 투과성 재료로 코팅되어 있는 광 투과성 캐리어와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광 투과성 층은 예컨대 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 캐리어의 다른 면 상에는 추가 조리개 장치가 예컨대 산란광의 방지를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디밍된 영역과 디밍되지 않은 영역 간의 전이의 특히 효율적이면서 정확한 기설정을 위해,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의 적어도 개별 차광 요소들은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일 수 있다. 또한, 개별 차광 요소들의 광 투과성은 가변될 수도 있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보충하여, 동일하게,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의 적어도 개별 차광 요소들은 완전하게 광 투과성일 수 있다. 전체 차광의 구성은 차광 요소들의 개수 및 구성의 적합한 선택을 통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의 개별 차광 요소들은 50L 측정점에서 광 분포의 광도의 제한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50L 측정점은 예컨대 좌측(L)을 향해 3.43°의 각도와 아래(D)를 향해 0.86°의 각도에 위치한다. 규정 FMVSS에서 측정점은 특정한 명칭 없이 0.86D 3.5L이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차광 요소들은, 각각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를 통해 방사되는 광 분포의 영역을 차광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되, 상기 영역은 최대 5°의 수평 각도와 최대 5°의 수직 각도를 포함한다. 차광된 영역은 1° 또는 2° 내지 5°의 수평 및 수직 각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예컨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의 일측 조리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차광 요소의 크기는 제2 변형예의 또 다른 조리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차광 요소의 크기와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크기"란 표현은, 각각의 차광 요소가 그에 걸쳐 연장되는 곳인 면적을 의미한다. 이 경우, 형태는 크기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그 대안으로, 차광 요소들의 형태들은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하면 상이한 기하학적 외관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의 개별 차광 요소들은 로우빔 광 분포의 세그먼트 10 내에서 광 분포의 광도의 제한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세그먼트 10"이란 표현은 4.5°L과 2R° 사이의 높이 -4°(-4D)에서의 라인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차광 요소들은, 각각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를 통해 방사되는 광 분포의 영역을 차광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되, 상기 영역은 최대 10°의 수평 각도와 최대 3°의 수직 각도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폭은 예컨대 최대 10°이고, 높이는 예컨대 1°와 3° 사이일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차광 요소는 부동 바(floating bar)로서 형성될 수 있되, 개별 차광 요소들의 치수는 균일한 전이의 생성을 위해 가변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리소그래피 공정들을 이용한 상기 차광 요소들의 제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의 캐리어는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사 광학 요소뿐만 아니라 출사 광학 요소 역시도, 입사 광학 요소와 출사 광학 요소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와 고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예컨대 열 팽창으로 인한- 의도되지 않는 영향들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리고 출사 광학 요소에 상대적인 입사 광학 요소의 영구적이고 정확한 포지셔닝 내지 그 반대의 경우도 보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와 입사 광학 요소 및 출사 광학 요소의 고정 연결부는 각각 투명한 접착 이음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총 개수는 제3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들을 포함하는 제3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3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의 경우,
* 조리개 에지부까지 형성되는 조리개 장치의 차광 영역 안쪽에, 명암 경계의 위쪽에 위치하는 광 분포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윈도우(light-permeable window)가 형성된다. 그에 따라, 명암 경계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영역은, 예컨대 교통 표지들이 보다 더 충분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조명된다. 이런 광 기능은 보통 "표지광(sign light)"으로서 지칭되며, 상기 영역에서 조명의 세기는 광 투과성 윈도우의 형성을 통해, 그리고 제3 변형예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개수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그 밖의 다른 점에서, 동일하게, 제1 또는 제2 변형예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와 제3 변형예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조합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는 근거리 광 분포들의 생성과 관련하여서도 제공될 수 있다.
매우 일반적으로, 상이한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은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상이하게 형성된 조리개 장치들 내지 상이한 크기를 갖는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차광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차광 요소들을 통해 차광된 측광 영역(photometric range)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는, 제1, 제2 및/또는 제3 변형예 내지 그룹의 차광 요소들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보다 더 작은 차광 요소의 차광된 측광 영역은 그 다음으로 큰 차광 요소의 차광된 측광 영역 내에 완전하게 수용되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차광 요소들은 상기 효과가 일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 및 투영 장치 내로 광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각자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에는 하나의 LED 광원이 할당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헤드램프를 장착한 차량, 특히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는 비제한적인 예시의 실시형태들에 따라서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로우빔 광 분포의 예시의 매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의 투영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a ~ 3d는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및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와 연결될 수 있는 투명한 캐리어 상에 조리개 장치를 적층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a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서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조리개 장치들의 예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따른 장치에 의해 생성된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제1 및 제2 변형예에 따르면서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조리개 장치들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개략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따른 조리개 장치들을 포함하는 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된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제1 및 제2 변형예에 따르면서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조리개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따른 조리개 장치들을 포함하는 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된 광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 도면들에서, -다른 방식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특징들을 표시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우빔 광 분포에서 잘라낸 부분의 예시의 매핑이 도시되어 있다. 광 분포 안쪽의 휘도는, 동일한 조도의 영역들을 명료하게 하는 등고선들을 통해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에서, 조도는 바로 명암 경계 아래쪽에서 최댓값을 가지며, 그리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 경우, 명암 경계의 경로는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다. 명암 경계 근처의 좌측 영역에서는 하향 만곡부가 확인될 수 있으며, 이 만곡부 안쪽에서는 등고선들이 특히 빽빽하게 서로 나란하게 위치한다. 상기 영역 안쪽에는 그에 상응하게 디밍되어 있는 측정점 50L이 위치하되, 광 패턴 내에서 디밍은, 측정점 50L의 영역에서 조도의 강한 기울기(gradient)들을 근거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불균일하고 그에 따라 분명하게 확인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2에는,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6) 내 예시의 투영 장치(1)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투영 장치(1)는 -하기에서 논의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조리개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형으로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1)는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서의 적용을 위해 적합하되, 투영 장치(1)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 요컨대 로우빔 광 분포의 형태로, 투영 장치(1)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2)(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에는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광원, 특히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LED가 할당됨)의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된다. 광원(2)을 통해 방사된 광은 예컨대 시준기(7)를 통해 입사 광학 요소(3) 상으로 편향될 수 있다. 투영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총 개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을 포함한 입사 광학 요소(3)와;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총 개수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을 포함한 출사 광학 요소(4)를; 포함하되,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에는 정확히 하나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가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하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에서부터 출사되는 전체 광은 단지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내로만 입사되는 방식으로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과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에 의해 사전 형성된 광은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에 의해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로서 매핑된다.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는, 이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가 자신을 통과하는 광을 적어도 하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초점에 집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초점은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와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사이에 위치하며,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와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도 3 참조)가 배치되며, 각각 적어도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및 이들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를 통해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는,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를 통해 방사된 광 분포가 로우빔 광 분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를 통해 매핑된 광 분포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되, 조리개 장치(8a)는, 이를 위해, 로우빔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경로를 매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유효한 조리개 에지부(K)(도 4a, 5a 및 6a 참조)를 포함한다.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총 개수는 적어도 2개의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며, 요컨대
- 조리개 장치(8a')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변형예(도 4a 참조)를 포함한 제1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과,
- 조리개 장치(8a")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변형예(도 6a 참조)를 포함한 제2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되, 조리개 장치(8a")들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은, 적어도,
조리개 장치(8a")들의 제2 변형예가
* 조리개 에지부의 형상의 일 섹션을 따라서 돌출된 차광 요소(50L)들(도 5a 참조. 그 밖의 다른 점에서는 세그먼트 A50L의 차광 역시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동 차광 요소(floating shading-off element)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음) 및/또는
* 조리개 에지부(K)로부터 이격되어 조리개 장치(8a")의 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는 차광 요소(ASegm 10)들(도 6a 참조)을 포함하는 점에서, 조리개 장치(8a')들의 제1 변형예의 구성과 다르다.
도 3(a) ~ 3(d)에는,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영 장치(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개별 단계들의 개략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되, 투영 장치(1)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의 형태로, 투영 장치(1)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2)의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a)에는, 도 3(b)에서 제1 조리개 장치(8a)가 예컨대 스크린 인쇄 또는 금속 증착을 통해 적층되는 제1 편평면(5a)을 포함한 캐리어(5)가 도시되어 있되, 캐리어(5)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리로 구성된다. 도 3(c)에는, 본원의 방법의 다음 단계 b), 요컨대 캐리어(5)의 제1 편평면(5a) 상에,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약간 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를 포함한 입사 광학 요소(3)를 고정하는 고정 단계가 도시되어 있되, 입사 광학 요소(3)는 제1 조리개 장치(8a)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으며, 그리고 광이 입사 광학 요소(3)를 통해 제1 조리개 장치(8a)를 통과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리어(5) 내로 입사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캐리어(5)의 제1 편평면(5a) 상에 입사 광학 요소(3)의 고정은 광 투과성 접착제에 의해 수행된다. 도 3(d)에는, 입사 광학 요소(3)가 이미 캐리어(5)와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에 후속하여, 단계 c)에 따라서, 제1 편평면(5a)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캐리어(5)의 제2 편평면(5b) 상에 -예컨대 산란광의 방지를 위해- 제2 조리개 장치를 적층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뒤이어, 출사 광학 요소(4)는 캐리어(5)의 대향하는 편평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a에는, 종래 기술에 따르면서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조리개 장치(8a')들의 예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상기 조리개 장치들을 통해 생성되는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지점 50L이 디밍되지 않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에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조리개 장치(8a' 및 8a")들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조리개 장치(8a")들은 측정점 50L 둘레의 영역을 디밍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차광 요소(A50L)들을 포함하며, 개별 조리개 장치(8a")들의 차광 요소(A50L)들은 최대한 균일한 휘도 전이의 생성을 위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는, 도 5a에 따른 조리개 장치들을 포함하는 투영 장치(1)에 의해 생성된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광 분포와의 비교를 통해, 특히 도 5a에 따른 광 분포는 비록 동일하게 측정점 50L에서의 디밍을 달성하기는 하지만, 그러나 주변 환경으로의 전이는 분명히 보다 더 균일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히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도 6a에는, 서로 나란히 위치하는 조리개 장치(8a' 및 8a")들의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의 또 다른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제 조리개 에지부(K)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면서 조리개 장치(8a")의 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는 개별 차광 요소(ASegm10)들이 제공된다. 이런 차광 요소(ASegm10)들은 조리개 장치(8a")들의 제2 변형예에서 단독으로, 또는 차광 요소(A50L)들과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실시형태(6a)에서는, 그 밖의 다른 점에서 동일하게 차광 요소들을 포함하지 않은 (도면들에는 미도시된) 조리개들이 제공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세그먼트 10 및 50L에 대한 차광부를 포함하지 않는 조리개들 역시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차광 요소들의 개수 및 크기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형태 역시도 생성될 광 분포의 의도되는 구성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점이 중요하다.
도 6b에는, 도 6a에 따른 조리개 장치들을 포함하는 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된 광 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측정점 50L의 차광을 넘어서, 광 분포의 세그먼트 10 영역 내에서 추가 디밍이 달성되었으며, 여기서도 균일한 휘도 전이가 제공되었다.
원칙적으로, 감소 가능성들이 임의로 어레이 상에 마련된다. 또한, 법적 지점(legal point)들을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AFS 기능인 악천후 광(bad-weather light)(W 등급)의 경우, 예컨대 법적 상한(예: 세그먼트 10의 경우)은 등급 C의 경우에서보다 더 낮다. 50L의 경우, 정확히 반대되는 사항이 적용될 수 있다. 악천후 광의 경우, 상기 50L은 등급 C의 경우에서보다 분명히 더 높을 수 있다. 이제 의도적으로 시준기 하류에 단지 세그먼트 10 라인들만을 배치한다면, 관련된 시준기는 악천후의 경우 추가로 접속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대응하는 시스템들의 경우 세그먼트 10 라인들을 포함하지 않는 시준기는 분리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전체 광선속이 유지되지만, 그러나 세그먼트 10 라인은 전체 광 분포에서는 감소된다. 정확히 반대되는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50L 측정점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원의 교시를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발명의 보조 없이, 본 발명의 미도시된 다른 실시형태들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 내지 실시형태의 개별 양태들은 선정되어 상호 간에 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본원의 명세서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통상의 기술자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고 그럼에도 그 자체로서 유지되는,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사상에 있다.

Claims (15)

  1. 자동차 헤드램프를 위한 투영 장치(1)로서, 상기 투영 장치(1)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 요컨대 로우빔 광 분포의 형태로, 투영 장치(1)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을 매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영 장치(1)는
    -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총 개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을 포함하는 입사 광학 요소(3)와,
    - 바람직하게는 어레이 내에 배치되어 있는 총 개수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을 포함하는 출사 광학 요소(4)를 포함하며,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에는 정확히 하나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가 할당되되,
    실질적으로 하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에서부터 출사되는 전체 광은 단지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내로만 입사되는 방식으로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과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들에 의해 사전 형성된 광은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들에 의해 자동차의 전방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광 분포로서 매핑되며,
    각자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는 자신을 통과하는 광을 적어도 하나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초점에 집광하되,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 초점은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와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사이에 위치하며,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와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 8a")가 배치되며,
    각각 적어도 입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3a), 할당된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 및 이들 광학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 8a")를 통해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 8a")는,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를 통해 방사된 광 분포가 로우빔 광 분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출사 마이크로 광학 요소(4a)를 통해 매핑된 광 분포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되, 조리개 장치(8a', 8a")는, 이를 위해, 로우빔 광 분포의 명암 경계의 경로를 매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유효한 조리개 에지부(K)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총 개수는 적어도 2개의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며, 요컨대
    - 조리개 장치(8a')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변형예를 포함한 제1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과,
    - 조리개 장치(8a")들의 적어도 하나의 제2 변형예를 포함한 제2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되, 상기 조리개 장치들의 제2 변형예의 구성은,
    적어도, 상기 조리개 장치들의 제2 변형예가
    * 상기 조리개 에지부(K)의 형상의 일 섹션을 따라서 돌출된 차광 요소(50L)들 및/또는
    * 상기 조리개 에지부(K)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조리개 장치(8a")의 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는 차광 요소(ASegm 10)들을 포함하는 점에서, 상기 조리개 장치(8a')들의 제1 변형예의 구성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8a")를 포함하는 각자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는 상기 조리개 에지부(K)의 형상의 일 섹션을 따라서 돌출되는 정확히 하나의 차광 요소(A50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8a")를 포함하는 각자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는 상기 조리개 에지부(K)로부터 이격되어 조리개 장치의 광 투과성 영역에 의해 완전하게 에워싸여 있는 정확히 하나의 차광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 8a")는, 기설정 가능한 광 분포의 형성을 위해 자신의 표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광 투과성 재료로 코팅되어 있는 광 투과성 캐리어(5)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8a")의 적어도 개별 차광 요소(A50L, ASegm10)들은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8a")의 적어도 개별 차광 요소(A50L, ASegm10)들은 완전하게 광 투과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8a")의 개별 차광 요소(A50L)들은 50L 측정점에서 광 분포의 광도의 제한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차광 요소(A50L)들은, 상기 각각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를 통해 방사되는 광 분포의 영역을 차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되, 상기 영역은 최대 5°의 수평 각도와 최대 5°의 수직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일측 조리개 장치(8a")의 적어도 하나의 차광 요소(A50L, ASegm10)의 크기는 상기 제2 변형예의 또 다른 조리개 장치(8a")의 적어도 하나의 차광 요소(A50L, Asegm10)의 크기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8a")의 개별 차광 요소(A50L, ASegm10)들은 로우빔 광 분포의 세그먼트 10 내에서 광 분포의 광도의 제한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차광 요소(A50L, ASegm10)들은, 상기 각각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를 통해 방사되는 광 분포의 영역을 차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되, 상기 영역은 최대 10°의 수평 각도와 최대 3°의 수직 각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리개 장치(8a', 8a")의 캐리어(5)는 유리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사 광학 요소(3)뿐만 아니라 상기 출사 광학 요소(4) 역시도, 상기 입사 광학 요소(3)와 상기 출사 광학 요소(4)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조리개 장치(8a', 8a")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5)와 고정되게 연결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5)와 상기 입사 광학 요소(3) 및 상기 출사 광학 요소(4)의 고정 연결부는 각각 투명한 접착 이음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의 총 개수는 제3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들을 포함하는 제3 그룹의 로우빔 마이크로 광학계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3 변형예의 조리개 장치의 경우,
    * 상기 조리개 에지부(K)까지 형성되는 조리개 장치의 차광 영역 안쪽에, 명암 경계의 위쪽에 위치하는 광 분포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광 투과성인 적어도 하나의 광 투과성 윈도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투영 장치(1), 및 상기 투영 장치(1) 내로 광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광원(2)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용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6).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투영 장치 및/또는 제14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 투영 광 모듈(6)을 포함하는 차량 헤드램프, 특히 자동차 헤드램프.
KR1020207019121A 2017-12-05 2018-11-27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KR102410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5400.9A EP3495718A1 (de) 2017-12-05 2017-12-05 Projektions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EP17205400.9 2017-12-05
PCT/EP2018/082657 WO2019110369A1 (de) 2017-12-05 2018-11-27 Projektions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867A true KR20200087867A (ko) 2020-07-21
KR102410894B1 KR102410894B1 (ko) 2022-06-22

Family

ID=6062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121A KR102410894B1 (ko) 2017-12-05 2018-11-27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70726A1 (ko)
EP (2) EP3495718A1 (ko)
JP (1) JP6964777B2 (ko)
KR (1) KR102410894B1 (ko)
CN (1) CN111492173B (ko)
WO (1) WO2019110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900B1 (ko) * 2020-06-29 2022-01-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20021309A (ko) * 2020-08-13 2022-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 및 그 램프를 포함하는 자동차
CN116697296B (zh) * 2023-08-03 2023-10-13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光源耦合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844A (ja) * 2009-06-04 2010-12-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120050822A (ko) * 2010-11-11 2012-05-21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램프 조립체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50744A (ko) * 2014-10-30 201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장치
JP2016534503A (ja) * 2013-10-25 2016-11-04 ツェットカーヴェ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ヘッドライ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84Y2 (ko) * 1987-03-31 1992-02-20
KR101224265B1 (ko) * 2004-04-08 2013-01-18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색수차를 보정한 투사형 램프 전조등
EP2157362A1 (de) * 2008-08-11 2010-02-24 Hella KG Hueck & Co. Projektionsscheinwerferanordnung für Fahrzeuge
AT509821B1 (de) * 2010-04-22 2013-08-15 Zizala Lichtsysteme Gmbh Scheinwerfer für fahrzeuge
DE102013206488A1 (de) * 2013-04-11 2014-10-30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für eine Kraftfahrzeugbeleuchtungseinrichtung
DE102013207850A1 (de) * 2013-04-29 2014-10-30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AT516836B1 (de) * 2015-04-10 2016-09-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mit Strahlenblende sowie Kraftfahrzeugscheinwerfer
DE102016204344A1 (de) * 2016-03-16 2017-09-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112617B3 (de) * 2016-07-08 2017-10-2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geringer Bautief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2844A (ja) * 2009-06-04 2010-12-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KR20120050822A (ko) * 2010-11-11 2012-05-21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램프 조립체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6534503A (ja) * 2013-10-25 2016-11-04 ツェットカーヴェー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自動車ヘッドライト
KR20160050744A (ko) * 2014-10-30 201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92173B (zh) 2022-09-13
EP3495718A1 (de) 2019-06-12
EP3721134A1 (de) 2020-10-14
JP2021506068A (ja) 2021-02-18
EP3721134B1 (de) 2023-02-15
CN111492173A (zh) 2020-08-04
KR102410894B1 (ko) 2022-06-22
JP6964777B2 (ja) 2021-11-10
US20200370726A1 (en) 2020-11-26
WO2019110369A1 (de)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9265B2 (ja) ロー及びハイの両ビームを出力し且つ可動パーツを有さないヘッドランプ
EP2550481B1 (en) Integral lighting assembly
JP4782064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4766698B2 (ja) 車輌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
JP5352263B2 (ja) 車両用灯具
CN109416161B (zh) 车辆用前照灯
CN108431491B (zh) 用于车辆的前照灯
CN111492172B (zh) 用于机动车大灯的投影装置
KR102143845B1 (ko) 자동차 헤드라이트
KR102410894B1 (ko)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JP2003338210A (ja) 車輌用前照灯
JP2011517031A (ja) ヘッドライトための投射モジュール
JP5381351B2 (ja) 車両用灯具
CN109488986B (zh) 用于机动车辆的光模块和设置有这种模块的照明和/或信号指示装置
KR20190009524A (ko) 차량용 램프
JP2018060720A (ja) 前照灯モジュール及び前照灯装置
JP5325501B2 (ja) 車両用灯具
KR102463273B1 (ko) 차량용 램프
JP4038649B2 (ja) 照明装置
KR20190048547A (ko) 차량용 램프
JP4009452B2 (ja) 横長レンズプロジェクター型ヘッドランプ
CN110454743B (zh) 车灯
JP2009163922A (ja) 車両用前照灯
KR20170079464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