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0744A - 차량의 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0744A
KR20160050744A KR1020140149631A KR20140149631A KR20160050744A KR 20160050744 A KR20160050744 A KR 20160050744A KR 1020140149631 A KR1020140149631 A KR 1020140149631A KR 20140149631 A KR20140149631 A KR 20140149631A KR 20160050744 A KR20160050744 A KR 20160050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ens
light source
presen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285B1 (ko
Inventor
김태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생성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분산되는 빛이 통과되어 출사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빛을 흡수하는 일측면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흡수된 빛을 배광시키는 타측면에 상기 빛을 일부 차광시키도록 차광영역이 형성된 차량의 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램프장치{Lamp Apparatu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로우빔(LowBeam) 배광패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전방 및 후방에 각종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자동차 안전 및 운전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조명 장치로는 전조등, 후미등, 방향 지시등 등이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볼 때 광원이 노출되어 있는 데 반해, 최근의 자동차의 디자인 중시 경향에 따라 빛을 생성하는 광원이 직접 노출되지 않고 간접적인 조명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광원의 빛을 전반사하여 자동차의 외부로 출사하는 램프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원에서 분산되는 빛을 설계자의 의도에 따른 형상으로 출사시키고자 할때에 램프모듈에 장착되는 부속품수를 줄이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분산되는 빛이 통과되어 출사되는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빛을 흡수하는 일측면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흡수된 빛을 배광시키는 타측면에 상기 빛을 일부 차광시키도록 차광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광영역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통과된 빛의 일부를 시그널(Signal) 영역으로 출사시키도록 시그널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타측면에는 컷오프라인(Cutoff)으로 배광패턴이 형성될 수 잇다.
또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직진 또는 소정의 각도로 출사되도록 프레즈널 렌즈(Fresnel Lens)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램프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로, 본 발명 차량의 램프장치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렌즈를 통하여 직접 외부로 출사되기 때문에 부속품을 줄여 제작 공정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 차량의 램프장치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부품수 감소로 조립공차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배광시 품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로, 본 발명 차량의 램프장치에 따르면, 로우빔 모듈(Low Beam Module)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어 공간 확보 및 설계시 디자인의 제한이 없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로, 첫째로, 본 발명 차량의 램프장치에 따르면, 부품 감소 및 프레즈널렌즈(Fresnel Lens)를 적용하게 되어 종래 비구면 렌즈 대비 경량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렌즈 후측을 나타내는 배면도,
도 3은 도 1에 렌즈의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를 빔패턴에 따라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의 램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은 도 1에 렌즈의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3는 도 1의 렌즈 후측을 나타내는 배면도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를 빔패턴에 따라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한 차량의 램프장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램프장치인 경우이다.
도 1는 본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렌즈 후측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렌즈의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빛을 생성하는 광원(10) 및 광원(10)에서 분산되는 빛이 통과되어 출사되는 렌즈(20)를 포함한다.
광원(10)은 구동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방으로 빛을 조사한다. 광원(10)는 구동부에서 인가받은 전압 또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광원(10)은 할로겐 램프, 고전압방출(HID)램프,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력의 효율성과 빛의 세기를 고려할 시, 전력소모가 적으면서도 밝게 발광하는 엘이디(LED)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20)는,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직진 또는 소정의 각도로 출사되도록 프레즈널 렌즈(Fresnel Lens)로 구비된다. 프레즈널 렌즈를 적용하게 되어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직진 또는 소정의 각도로 확산 가능하게 적용될 수 있다.
렌즈(20)는 광원(10)이 배치되어 빛을 흡수하는 일측면()과, 일측면()에서 흡수된 빛이 통과하여 렌즈(20)의 타측면을 통해 출사된다. 이때, 렌즈(20)는 타측면을 통해 출사되는 차광영역(24)과 비차광영역(28)을 컷오프라인(26)으로 구획하여 출사되는 배광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차광영역(24)은 렌즈(20)의 타측면의 표면에 블랙(Black)으로 도장하여, 렌즈(20)의 일측면에서 흡수된 빛을 흡수하여 출사되지 않도록 한다. 차광영역(24)에는 광원(10)으로부터 통과된 빛의 일부를 시그널영역(Signal)으로 출사시키도록 시그널홀(22)이 형성된다. 차광영역(24)과 비차광영역(28)은 렌즈(20)의 타측면에 컷오프라인(26)에 의해 구획 되어 일측면에서 통과된 빛이 투과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광원(10)에서 분사된 빛은 렌즈(20)를 통과하여 타측면으로 출사시 컷오프라인(26)과 시그널홀(22)에 의해 로우빔패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렌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은 도 2에 렌즈의 측면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광원(10)으로부터 빛을 흡수하여 출사할 수 있도록 렌즈(20)의 일측면과 대응되게 배치한다. 광원(10)에서 빛이 생성되어 분산되면 렌즈(20)의 일측면에서 빛을 흡수하여 타측면을 통하여 출사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를 빔패턴에 따라 조절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램프장치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로우빔(Low Beam) 구현시 프레즈널 렌즈(Fresnel Lens)의 조합으로 빔패턴(Beam Pattern)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LED 광량에 따라 원거리, 중거리, 근거리 모듈 수량 및 위치 조정 가능하며, 이는 빔패턴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렌즈(20)는 다양한 조합으로 빔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의 (a)와 같이 로우빔패턴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서 측정된 원거리 집광기능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는 82m에서 측정된 것을 예시로 하였다. 또, 도 4의 (b)와 같이 로우빔패턴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서 측정된 근거리에서는 빛의 대확산 및 시그널의 출사가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는 20~30m에서 측정된 것을 예시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우빔패턴에 의해 소정의 거리에서 측정된 중거리는 도 4의 (c), (d)와 같이 확산되는 빔패턴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거리는 50m에서 측정된 것을 예시로 하였으며, 컷오프라인에 따라 (c)와 (d)에서와 같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4의 (a)와 같이 원거리에서 집광될 수 있고, (c), (d)와 같이, 중확산시켜 중거리에 적합하게 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b)와 같이, 대확산기능을 강화하여 근거리 내에서 블랙도장 도장된 차광영역(24)과 비차광영역(28)을 구획하는 컷오프라인(Cut Off; 26)에 따라 구현될 수 있고, 또 시그널홀(22)에 의한 시그널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차광영역(24)에는 광원(10)으로부터 통과된 빛의 일부를 시그널(Signal) 영역으로 출사시키도록 시그널홀(22)이 형성된다. 시그널홀(22)은 렌즈(20)의 일측면에서 흡수된 빛을 출사시킬 수 있다. 시그널홀(22)은 차광영역(24)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여,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시그널홀(22)은 도장되지 아니하여 빛을 출사시킨다.
이때, 렌즈(20)에 도장된 차광영역(24)에 의해 일부 빛이 차광된다. 도 4의 (a), (b), (c), (d)에서와 같이 렌즈(20)의 차광영역(24)에 따라 배광패턴이 달라지게 되어 거리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광원 20: 렌즈
22: 시그널홀 24: 차광영역
26: 컷오프라인 28: 비차광영역

Claims (5)

  1. 빛을 생성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분산되는 빛이 통과되어 출사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이 배치되어 빛을 흡수하는 일측면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흡수된 빛을 배광시키는 타측면에 상기 빛을 일부 차광시키도록 차광영역이 형성된 차량의 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영역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통과된 빛의 일부를 시그널(Signal) 영역으로 출사시키도록 시그널홀이 형성된 차량의 램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타측면에는 컷오프라인(Cutoff)으로 배광 패턴이 형성된 차량의 램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직진 또는 소정의 각도로 출사되도록 프레즈널 렌즈(Fresnel Lens)로 구비되는 차량의 램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되는 차량의 램프장치.

KR1020140149631A 2014-10-30 2014-10-30 차량의 램프장치 KR10231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631A KR102310285B1 (ko) 2014-10-30 2014-10-30 차량의 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631A KR102310285B1 (ko) 2014-10-30 2014-10-30 차량의 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44A true KR20160050744A (ko) 2016-05-11
KR102310285B1 KR102310285B1 (ko) 2021-10-07

Family

ID=5602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631A KR102310285B1 (ko) 2014-10-30 2014-10-30 차량의 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309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00087867A (ko) * 2017-12-05 2020-07-21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KR20220001249A (ko) * 2020-06-29 2022-0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918A (ja) * 1999-03-26 2000-10-0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05005193A (ja) * 2003-06-13 2005-01-06 Stanley Electric Co Ltd 前照灯光源用ledランプ
JP2013030429A (ja) * 2011-07-29 2013-02-0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13149355A (ja) * 2012-01-17 2013-08-0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4102941A (ja) * 2012-11-19 2014-06-05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918A (ja) * 1999-03-26 2000-10-0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05005193A (ja) * 2003-06-13 2005-01-06 Stanley Electric Co Ltd 前照灯光源用ledランプ
JP2013030429A (ja) * 2011-07-29 2013-02-07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13149355A (ja) * 2012-01-17 2013-08-01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JP2014102941A (ja) * 2012-11-19 2014-06-05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867A (ko) * 2017-12-05 2020-07-21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자동차 헤드램프용 투영 장치
KR20190081309A (ko) * 2017-12-29 2019-07-0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220001249A (ko) * 2020-06-29 2022-01-0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285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381B2 (en) LED light module
JP7264068B2 (ja) 車両用灯具
US10393337B2 (en) Vehicular headlamp
US7736035B2 (en) Seven inch round LED headlamp
KR20160050744A (ko) 차량의 램프장치
EP2570715A2 (en) Vehicle headlamp
KR20160136900A (ko) 차량용 램프
US10113706B2 (en) Laser lighting device
JP5349940B2 (ja) 車両用赤外投光器
JP6175224B2 (ja) 車両用灯具
KR101396869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08140A (ko) 차량용 램프
JP2018150029A (ja) ロービーム色温度変更ヘッドライトユニット
KR20160077724A (ko) 차량용 램프 모듈
CN109827138B (zh) 一种车灯动态照明控制方法及其系统和车灯
JP2014137902A (ja) 車両用灯具
JP2018045838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車両用灯具
JP2018142457A (ja) 車両用灯具
KR102558734B1 (ko) 차량용 램프
US10451242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s
KR101500387B1 (ko) 헤드 라이트 모듈
KR20150072064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72623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72085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