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140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140A
KR20160008140A KR1020150186185A KR20150186185A KR20160008140A KR 20160008140 A KR20160008140 A KR 20160008140A KR 1020150186185 A KR1020150186185 A KR 1020150186185A KR 20150186185 A KR20150186185 A KR 20150186185A KR 20160008140 A KR20160008140 A KR 2016000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vehicle
distribution pattern
lamp
lamp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효진
손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6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8140A/ko
Publication of KR2016000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48/115
    • F21S48/1216
    • F21S48/13
    • H05B37/02
    • F21W2101/10
    • F21Y2101/02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램프 모듈로 구성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램프 모듈의 광량을 조절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시야를 확보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구비하며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좌측 및 우측 전조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별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 일부가 중첩되어 전체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전체 배광 패턴 내에서 일정한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광 패턴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광량 제어부는 전방에 있는 특정 물체가 감지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광 패턴 영역 중 상기 특정 물체에 대응되는 배광 패턴 영역만을 소등시키고,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의 광량이 상기 차량의 차폭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광량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폭 가장 자리로 갈수록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복수의 램프 모듈로 구성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광량을 조절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시야를 확보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수행하고,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이 중에서 차량용 전조등은 차량의 주행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여 야간에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필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전조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노면 상태 및 주위 밝기 등에 따라 최적의 운전 환경을 만드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최근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배광 패턴을 변환하여 주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사용되고 있다.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광원에서 발생된 광의 컷 오프 패턴을 서로 다르게 하여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배광 패턴을 변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주로 하향등의 배광 패턴을 적응적으로 변환하여주는 것으로서, 고속로도 등에서는 상향등의 배광 패턴을 변환하는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운전자는 야간에 차량 주행을 위하여 하향등 또는 상향등을 점등시키게 되고, 하향등의 경우에는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을 통해 배광 패턴을 변환하거나 상향등의 경우에는 전방 차량에 따라 배광 패턴을 변환하게 된다.
한편,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의 경우 실드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다양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데, 그 배광 패턴은 한정적인 것일 수밖에 없다.
즉,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은 실드를 이용하여 광원의 광이 차단되는 방향 및 차단되는 정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배광 패턴을 형성하지만, 구조상의 한계로 인하여 한정된 배광 패턴만을 형성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에 의하면 전방의 특정 지점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거나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6483호 (2011.07.06)
본 발명은 복수의 램프 모듈로 구성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광량을 조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구비하며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좌측 및 우측 전조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별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 일부가 중첩되어 전체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전체 배광 패턴 내에서 일정한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광 패턴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광량 제어부는 전방에 있는 특정 물체가 감지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광 패턴 영역 중 상기 특정 물체에 대응되는 배광 패턴 영역만을 소등시키고,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의 광량이 상기 차량의 차폭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광량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폭 가장 자리로 갈수록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복수의 램프 모듈로 구성된 차량용 램프에서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광량을 조절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시야를 확보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램프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일렬로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램프 모듈이 차량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복수의 램프 모듈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이 모두 동일한 경우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램프 모듈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한 경우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램프 모듈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한 경우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램프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램프 모듈(10)은 렌즈(100), 터널(200) 및 광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300)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프로젝션(projection) 타입의 광원일 수 있다. 프로젝션 타입의 헤드 램프는 빛을 하나의 지점으로 모아주는 특성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클리어(clear) 타입보다 배광 효과 면에서 유리하고, 차량 전면 형상에 스포티한 미관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300)은 방전 벌브 및 방전 벌브로 인해 발광하는 발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전 벌브는 예를 들어 메탈 할라이드 벌브(metal halide bulb)일 수 있다.
터널(200)는 광원(300)에 의한 빛을 일측 개구부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터널(200)은 광원(300)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반사시켜 원하는 위치로 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 때, 광원(300)의 빛은 터널(200)에 의하여 반사되지 않고 직접 터널(200)의 개구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터널(200)에 있어서 개구부(이하, 광 출사부라 한다)의 반대측(이하, 광 입사부라 한다)에 광원(300)이 구비될 수 있는데, 광원(300)은 터널(2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300)이 터널(20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 광 입사부도 광 출사부와 마찬가지로 개구부의 형태를 가지거나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일부 또는 전체가 폐쇄될 수 있다.
이하, 광원(300)이 터널(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터널(200)의 내부 표면에는 난반사층 또는 확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광원(300)으로부터 빛이 출사되면 터널(200)에 의해 불규칙하게 난반사되어 빛이 고르게 퍼진 상태로 전방의 렌즈(100)를 통해 출사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100)를 통해 출사되는 광은 면 광원에서 출사된 형태와 같이 휘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낼 수 있다.
터널(200)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난반사층은 반복적인 형태의 미세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이 미세 요철에 의해 불규칙하게 반사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가질 수도 있다.
렌즈(100)는 터널(200)의 개구부 즉, 광 출사부에서 출사된 빛을 투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렌즈(100)는 광원(300)의 빛을 굴절시켜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볼록 렌즈 또는 오목 렌즈로서 초점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광원(300)에서 발생된 빛은 터널(200)의 내부 표면에서 반사되어 렌즈(100)를 통해 출사된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광원(300)의 빛은 터널(200)의 내부 표면에 방사되지 않고 직접 렌즈(100)를 통해 출사될 수도 있다.
광원(300)의 빛이 광 출사부로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광 출사부의 단면이 광 입사부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광원(300)에서 발생된 빛은 적은 반사 회수를 가지고 광 출사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되어, 반사로 인한 광 손실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광 출사부에서 광 입사부를 연결하는 터널(200)의 내부 표면이 일자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널(200)의 내부가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나온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터널(200)의 내부 표면에 곡률이 있음에 따라 광 출사부에서 출사되는 빛의 확산 패턴을 달라지게 되며, 렌즈(100)에서 출사되는 보다 다양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하 터널(200)의 내부 표면이 일자형인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 1 및 도 2는 터널(200)이 사각뿔의 형태를 갖고, 이에 따라 광 출사부에 접하는 렌즈(100)의 단면도 사각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터널은 삼각뿔, 오각뿔 등 다각뿔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원뿔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을 나타낸 도면이다.
광원(300)의 빛은 터널(200) 내부 표면에 반사되어 광 출사부로 출사되는데, 마지막에 반사된 각도에 따라 출사되는 빛의 확산 범위가 결정된다. 광 입사부와 광 출사부간의 거리, 광 입사부와 광 출사부의 단면 크기 차이 및 터널 내부 표면의 곡률에 따라 확산 범위는 달라질 수 있겠지만, 대체로 도 3의 a(410)와 같이 넓은 확산 범위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램프 모듈(10)은 전방의 특정 지점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넓은 확산 범위보다는 좁은 확산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넓은 범위에 걸쳐 빛을 조사하기 보다는 특정 지점에 빛을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100)는 개구부에서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확산 범위를 감소시킴으로써 전방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렌즈(100)에서 출사된 빛은 도 3의 b(420)와 같이 좁은 확산 범위를 가지고 조사될 수 있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이 일렬로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램프 모듈(20)이 가로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차량용 램프에 구비된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데, 이에 따라 특정 지점에만 빛을 조사하거나 특정 지점에만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지점에 대한 빛의 조사 여부는 전방에 대한 감지 결과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카메라 또는 초음파 송수신기와 같은 감지 장치(미도시)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램프 모듈(20)이 차량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차량의 전방에서 바라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의 램프 모듈(20)로 구성된 차량용 램프가 차량의 좌우 전방에 배치될 수 있는데, 양측 차량용 램프를 구별하고 제어하거나 특정 차량용 램프에 구비된 램프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빔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복수의 램프 모듈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이 모두 동일한 경우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은 좁은 확산 범위를 가지기 때문에 조사된 빛을 근거리의 스크린에 조사하면 일정한 영역을 가진 배광 패턴이 형성된다. 또는, 하나의 램프 모듈에 복수의 광원이 구비되어 복수의 빔을 조사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각 빔에 의하여 도 6과 같은 복수의 배광 패턴 영역(60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배광 패턴 영역과 램프 모듈의 수가 동일한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램프 모듈에 의하여 4개의 배광 패턴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4개의 램프 모듈에 의하여 8개의 배광 패턴 영역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램프 모듈이 구비된 경우 각 램프 모듈에 의하여 형성되는 배광 패턴 영역의 수가 동일할 수 있으며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램프 모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광원 모듈이 구비되고, 터널이 각 발광 다이오드의 빛을 가이드하여 각각 전방으로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터널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광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에 의한 빛은 리플렉터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도 있다. 즉, 램프 모듈은 광원 모듈에 의한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조사하는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리플렉터는 빛을 반사시켜 특정 지점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반사부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빛은 대응하는 하나의 광 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되어 전방의 특정 지점으로 조사되는 것이다.
도 11은 복수의 광 반사부(1120)로 구성된 리플렉터 즉, MFR(Multi Focus Reflector)에 의하여 광원 모듈의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조사하는 램프 모듈(1100)을 도시하고 있는데, 발광 다이오드(1110)별로 광 반사부(1120)를 구비하고 있는 램프 모듈(11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하여 하나의 광 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램프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하, 복수의 램프 모듈에 의하여 배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램프 모듈에 의하여 배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램프 모듈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광원 모듈 및 터널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광원 모듈 및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램프 모듈은 전술한 터널 타입 및 MFR 타입뿐만 아니라 프로젝션(Projection) 타입, 직광 타입 또는 리플렉터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복수의 배광 패턴 영역(600)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좌측 4개는 좌측 차량용 램프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을 나타내고, 우측 4개는 우측 차량용 램프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 각 영역의 내부에 표시된 값은 각 영역에 대응하는 빛의 광량을 비율적으로 나타낸 값이다.
이와 같이, 모든 배광 패턴 영역이 동일한 광량의 빛을 가지고 있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배광 패턴(700)이 형성되는데, 이는 운전자에게 자연스럽지 않은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운전자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차량의 전방임에도 불구하고, 측면으로도 동일한 광량의 빛이 조사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선이 분산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로변에 가로수가 늘어서 있는 도로를 주행 중일 때 도 7과 같은 배광 패턴(700)이 형성되면 차량 전방뿐만 아니라 가로수에도 빛이 집중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선이 차량 전방 및 가로수 모두를 향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측 전조등에 의한 배광 패턴(710)과 우측 전조등에 의한 배광 패턴(720)이 동일하기 때문에 전방에 주행 중인 차량 또는 반대쪽 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도 있다.
더욱이, 운전자의 관심 지점인 차량 전방에 비하여 가로수가 차량과 더욱 가까이 위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가로수에 보다 많은 빛이 조사되어 차량 전방보다 가로수가 오히려 더욱 밝게 빛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배광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20)이 구비된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모든 배광 패턴 영역의 광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빛을 조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램프 모듈(20)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한 경우의 배광 패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8은 램프 모듈(20)에 의한 빛을 근거리의 스크린에 조사한 경우의 배광 패턴 영역(8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차량의 상부에서 바라본 배광 패턴(9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복수의 배광 패턴 영역(800)의 광량은 모두 동일하지 않고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즉,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광량이 작아질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서 좌측 4개는 좌측 차량용 램프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을 나타내고, 우측 4개는 우측 차량용 램프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을 나타내고 있는데, 차량의 측면에 비하여 전방에 더욱 큰 광량이 집중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의 전방으로는 보다 멀리 빛이 도달하고 차량의 측면으로는 빛의 전달이 제한되어 결국 도 9와 같이 서로 다른 광량에 의한 배광 패턴(900)의 형성이 구현된다.
이와 같은 배광 패턴의 형성은 광량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광량 제어부는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의 광량이 차폭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광량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20)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차폭 중심 영역에서 차폭 가장자리 영역으로 갈수록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감소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2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좌측 전조등 및 우측 전조등에 의한 배광 패턴(910, 920)을 나타내고 있는데, 결국 광량 제어부는 좌측 전조등에 구비된 램프 모듈(20)과 우측 전조등에 구비된 램프 모듈(20)을 별도로 제어하여 각 램프 모듈(20)의 일측에서 다른 일측으로 갈수록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광량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램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와 같은 배광 패턴(900)이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전방이 측면보다 더욱 밝게 빛나기 때문에 운전자의 시점은 분산되지 않고 운전자는 차량 전방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량 제어부는 차량의 양측 전조등 각각에 구비된 램프 모듈(20)을 제어하여 양측 전조등별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데, 양측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램프 모듈(2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조등 및 우측 전조등의 배광 패턴이 동일하게 되도록 각 램프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9와 같은 배광 패턴(900)이 형성됨에 따라 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 또는 반대쪽 차선에서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는 불편함이 감소될 수는 있으나 보다 크게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배광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량 제어부는 양측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상이하게 되도록 복수의 램프 모듈(20)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방 차량 또는 대향 차량에게 조사되는 빛이 감소되도록 하는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램프 모듈에서 조사된 빛의 광량을 조절한 경우의 배광 패턴(100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좌측 전조등의 광량이 우측 전조등에 비하여 낮게 조절된 경우의 배광 패턴(1010, 102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배광 패턴은 광량의 감소 비율을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평균 광량만을 작게 조절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조등의 램프 모듈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의 광량을 10%, 30%, 50%, 70%으로 조절하고, 우측 전조등의 램프 모듈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의 광량을 100%, 70%, 50%, 30%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좌측 전조등 및 우측 전조등에서의 광량의 감소 비율은 동일하면서 전체적인 평균 광량만이 차이가 나게 되어 좌측 전조등에 의한 배광 패턴과 우측 전조등에 의함 배광 패턴은 그 형태가 유사하면서 광량만이 차이가 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배광 패턴이 형성되도록 광량 제어부가 램프 모듈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우측 전조등의 램프 모듈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의 광량은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좌측 전조등의 램프 모듈에 의한 배광 패턴 영역의 광량을 모두 동일하게 50%로 조절할 수 있으며, 좌측 전조등의 광량 조절과 함께 우측 전조등의 광량 조절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광량 제어부는 전방에 있는 특정 물체만에게 빛이 조사되도록 특정 배광 패턴 영역만을 점등시키고 나머지는 소등시킬 수 있으며, 특정 지점으로만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특정 배광 패턴 영역만을 소등시키고 나머지는 점등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램프 모듈
100, 110, 120, 130, 140, 150, 160: 렌즈
200, 210: 터널
300: 광원

Claims (8)

  1. 각각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구비하며 차량 전방에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좌측 및 우측 전조등;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별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 일부가 중첩되어 전체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은 상기 전체 배광 패턴 내에서 일정한 영역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광 패턴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광량 제어부는 전방에 있는 특정 물체가 감지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광 패턴 영역 중 상기 특정 물체에 대응되는 배광 패턴 영역만을 소등시키고,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에서의 광량이 상기 차량의 차폭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광량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차폭 중심 영역으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폭 가장 자리로 갈수록 조사되는 빛의 광량을 소정 비율로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차량용 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 각각에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전조등 각각에서 조사되는 빛의 광량이 상이하게 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광원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광원 모듈에 의한 빛을 일측 개구부로 가이드하는 터널; 및
    상기 개구부에서 출사된 빛을 투사시키는 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개구부에서 출사된 빛을 굴절시켜 투사되는 빛의 확산 범위를 감소시키는 차량용 램프.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모듈은 상기 광원 모듈에 의한 빛을 반사시켜 전방으로 조사하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는 빛을 반사시켜 특정 지점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 반사부 각각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50186185A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램프 KR201600081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85A KR20160008140A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185A KR20160008140A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램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868A Division KR20150072579A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140A true KR20160008140A (ko) 2016-01-21

Family

ID=5530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185A KR20160008140A (ko) 2015-12-24 2015-12-24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81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7097A1 (en) * 2016-07-06 2018-01-10 LG Electronics Inc. Vehicle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14731A (ko) * 2017-04-11 2018-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저 헤드 램프 및 차량
CN112109629A (zh) * 2019-06-20 2020-12-2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前照灯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483A (ko) 2009-12-29 2011-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6483A (ko) 2009-12-29 2011-07-0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7097A1 (en) * 2016-07-06 2018-01-10 LG Electronics Inc. Vehicle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8302453A (zh) * 2016-07-06 2018-07-20 Lg电子株式会社 车辆用灯泡
EP3712491A1 (en) * 2016-07-06 2020-09-23 LG Electronics Inc. Vehicle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092303B2 (en) 2016-07-06 2021-08-17 Zkw Group Gmbh Vehicle lamp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114731A (ko) * 2017-04-11 2018-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저 헤드 램프 및 차량
CN112109629A (zh) * 2019-06-20 2020-12-22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前照灯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11B2 (en) Vehicular headlamp
US7178960B2 (en) Vehicular illumination lamp
US7993043B2 (en) Vehicle lamp
EP3486550B1 (en) Vehicular headlamp
KR102594702B1 (ko) 차량용 라이트 가이드 유닛
JP2016039020A (ja) 車両用灯具
KR20190064090A (ko) 차량용 램프
JP4339153B2 (ja) 車両用灯具ユニット
KR20190036807A (ko)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램프 어셈블리
KR20200068247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08140A (ko) 차량용 램프
EP2172694B1 (en) Vehicular lamp
KR101600564B1 (ko) 차량용 램프
KR10198600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2118139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72579A (ko) 차량용 램프
KR102178817B1 (ko) 차량용 램프
KR101375772B1 (ko) 차량용 헤드램프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22911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72085A (ko) 차량용 램프
JP2016018752A (ja) 車両用灯具
KR102340502B1 (ko) 차량용 램프
KR20190081309A (ko) 차량용 램프
KR20150010301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48547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