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481A - 디스플레이용 기판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481A
KR20200087481A KR1020190003813A KR20190003813A KR20200087481A KR 20200087481 A KR20200087481 A KR 20200087481A KR 1020190003813 A KR1020190003813 A KR 1020190003813A KR 20190003813 A KR20190003813 A KR 20190003813A KR 20200087481 A KR20200087481 A KR 2020008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region
substrate
area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지흠
장우영
박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3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7481A/ko
Priority to PCT/KR2020/000458 priority patent/WO2020145718A1/ko
Priority to TW109100963A priority patent/TW202104999A/zh
Priority to US17/282,511 priority patent/US20210352814A1/en
Priority to CN202310339479.0A priority patent/CN116312250A/zh
Priority to CN202080008082.8A priority patent/CN113272880A/zh
Publication of KR2020008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각각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기판{SUBSTRATE FOR DISPLAY}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휴대가 용이하며, 휴대시 보다 큰 화면으로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휴대나 보관시에는 접거나 일부를 벤딩한 형태로 있다가, 영상의 표시할 때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 표시 영역을 늘리는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접거나 구부린 후, 이를 다시 펼치는 원복 공정 등이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재는 강도 및 탄성이 요구되며, 이러한 폴딩 및 원복시 기재에 크랙 또는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재가 폴딩될 때, 폴딩되는 영역마다 서로 다른 곡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폴딩되는 영역에는 각 영역마다 발생하는 서로 다른 곡률 크기에 따라 각각의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압축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특히, 폴딩되는 방향에 따라 폴딩 외측면은 인장 응력이 발생하여, 잔류 압축 응력과 상쇄될 수 있지만 내측면의 경우, 압축 응력이 발생하여, 잔류 압축 응력과 압축 응력이 함께 작용하여 폴딩 내측면이 압축 응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응력이 큰 영역에서는 폴딩시 기재에 크랙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으며, 기판을 구부릴 때 곡률 크기에 제약이 발생하여, 기재의 폴딩 정도 즉, 디자인 자유도가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향상된 신뢰성 및 디자인 자유도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각각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제 1 영역의 폴딩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폴딩 정도 즉, 곡률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내측면에서 곡률 반경의 크기에 따라 영역별로 달라지는 압축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발생하는 압축 응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압축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폴딩시 압축 응력에 따른 기재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른 제약이 줄어들기 때문에, 구현하고자 하는 곡률반경만큼 폴딩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B' 영역을 절단한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타면의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의 D-D' 영역을 절단한 다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의 또 다른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적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개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100)는 길이 방향으로 장방향을 가지고, 폭 방향으로 단방향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는 길이 방향이 폭 방향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0)는 금속, 금속 합금, 플라스틱, 복합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자성 또는 전도성 재료, 유리 섬유 강화 재료 등), 세라믹, 사파이어, 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성을 가지는 상기 기재(100)의 경우,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구부림에 따라 발생하는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에 의해 기재가 폴딩 또는 벤딩되면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0)를 일 방향으로 구부릴 때 발생하는 인장 응력 또는 압축 응력에 의해 폴딩 영역의 곡률반경에 제한이 있어 상기 기재의 디자인 자유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이러한 폴딩 또는 벤딩 등에 의해 기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곡률에 따른 제한을 완화하여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일면(1S) 및 상기 일면(1S)과 반대되는 타면(2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100)는 상기 일면(1S) 또는 타면(2S)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러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과 같이 상기 기재(100)가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재(100)를 상기 일면(1S)들이 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때 정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폴딩축은 상기 기재(100)가 폴딩이 되는 기준이 되는 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폴딩축은 상기 단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장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기재(100)는 폴딩이 되는 영역(폴딩 영역)인 제 1 영역(1A)과 폴딩되지 않는 영역(언폴딩 영역)인 제 2 영역(2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재(100)의 장방향의 길이 기준으로 상기 기재(100)의 최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구부러지는 영역인 제 1 영역(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100)는 구부러지지 않고, 상기 제 1 영역(1A)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 2 영역(2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2A)은 상기 기재(100)가 구부러지는 방향 즉, 폴딩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영역(1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기재(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동일한 하나의 기재(100) 상에서 분리되지 않고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1A)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 1 영역(1A)이 기재(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기재(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상기 제 2 영역(2A)의 크기가 비대칭이 되도록 상기 기재(100)의 일단 및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영역(1A)의 좌측에 있는 제 2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 1 영역(1A)의 우측에 있는 제 2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힌지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잇다.
상기 제 1 영역(1A)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 1 홀(H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기재(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기재(100)의 일면(1S) 및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홀(H1)은 폴딩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일면(1S)과 폴딩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타면(2S)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규칙적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1 영역(1A)에서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홀(H1)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 1 홀(H1)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및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폴딩축을 따라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기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에는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기재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되는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폴딩 영역에 형성되는 홀의 분율 즉,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가변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신뢰성 및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은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내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외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에는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폴딩 영역 및 상기 폴딩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언폴딩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일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은 언폴딩 영역이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A)과 상기 제 2 영역(2A)은 힌지부의 형성 유무로 구분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1A)에는 복수의 힌지부들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힌지부들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잇다.
즉,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힌지부(HN1) 및 제 2 힌지부(HN2)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는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에서 폴딩이 시작되어, 상기 기재(100)의 일면(1S)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는 상기 기재(100)의 폴딩 형상에 따라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의 폭 방향의 단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홀(H1)이 형성되는 열 방향과 중첩되는 기재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 영역의 양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상기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의 홀의 형상은 상기 제 1 홀(H1)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홀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1) 및 상기 제 2 힌지부(H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상기 제 1 홀이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0)는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재(100)의 곡률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2개의 곡률 영역을 정의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률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곡률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곡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률 크기는 기재의 휘어질 때 발생되는 곡률 반경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기재의 곡률 반경이 작은 경우, 곡률의 크기가 커서 기재가 크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기재의 곡률 반경이 큰 경우, 곡률의 크기가 작아서 기재가 상대적으로 작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은 곡률반경이 더 작은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제 1홀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A-A'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외경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또한,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에 가깝게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1)에서의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면적당 제 1 관통홀(h1)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에 대해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은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 관통홀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는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반경이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
도 4는 상기 기재(100)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폴딩되는 방향의 내측이 아닌 외측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의 외측면인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 상기 제 1 홀(H1)들이 서로 동일한 단위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의 제 1 중심축(C1)과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제 2 중심축(C2)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타면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제 2 관통홀도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제 2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타면은 상기 기재의 폴딩 외측면으로서 내측면과 다르게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의 크기는 곡률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재의 타면도 앞서 설명한 상기 일면과 같이 곡률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홀의 위치가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1) 및 상기 제 2 힌지부(H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 영역은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지는 제 1 홀들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이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0)는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재(100)의 곡률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2개의 곡률 영역을 정의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곡률 크기에 따라 다양한 수의 곡률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설명하는 상기 일면(1S)에서의 제 1 홀,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타면의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출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는 도 6의 B-B'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은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관통홀(h1)의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시프트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은 점선으로 도시된 가상 관통홀에 대해 일정 거리만큼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 및/또는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은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 및/또는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들의 거리 는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들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들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식 2]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제 2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
상기 제 1 관통홀(h1)들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들의 시프트 거리(d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동일한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다른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크기가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제 1 홀들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면 및 타면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유사하게 하여 폴딩시 곡률 영역마다 효과적으로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언폴딩 영역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의 제 2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제 1 홀(H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앞서 도 3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 1 홀은 이하의 도 9 내지 도 12와 같이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기재(100)의 제 2 영역(2A)의 일면 및 타면에서 서로 중첩되어 상기 기재(100)를 관통하며 형성되거나, 하나의 면만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의 크기와 상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홀(H2)은 외경 및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과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의 크기와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의 홀들이 상기 제 1 영역의 홀들보다 크기 및 분율을 작게하여, 상기 기재를 폴딩할 때, 상기 제 2 영역이 함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는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곡률 영역 및 제 2 곡률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를 상기 제 1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게 함으로서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이 구분 될 수 있고, 제 2 영역에는 힌지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 인해 제 2 영역보다 제 1 영역이 작은 힘으로도 휘도록 할 수 있다.즉, 도 9 내지 도 12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구부러지는 영역 이외에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재의 전 영역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과 상기 제 2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의 차이를 완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열에 따른 변형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영역과 2 영역의 경계 영역에서 기재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영역에도 홀을 형성하여 열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설명한다.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일면(1S)들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상기 기재(100)에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에는 상기 기재(100)가 일 방향으로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의 양 끝단에 위치하는 제 2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UFA)일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2개의 폴딩축 즉, 1 폴딩축 및 2 폴딩축이 형성되며, 1 영역에는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은 기재가 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은 곡률(R)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폴딩 영역의 크기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폴딩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즉,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일방향으로 폴딩되어,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 폴딩 영역, 언폴딩 영역의 순서대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 홀의 분율 즉,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디자인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일면 및 타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14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내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될 때, 폴딩 외측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홀 형상 및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은 폴딩 영역(FA) 및 언폴딩 영역(UF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FA)은 곡률(R)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언폴딩 영역(UFA)은 곡률이 형성되지 않거나 곡률이 0에 가까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폴딩 영역은 제 1 힌지부(HN1) 및 제 2 힌지부(HN2) 가 형성되는 영역과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가 형성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1A)의 상기 언폴딩 영역은 상기 제 2 힌지부(HN1) 및 제 3 힌지부(HN3)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
자세하게, 상기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에서 폴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는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에서 폴딩이 시작되어, 상기 기재(100)의 일면(1S)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는 상기 기재(100)의 폴딩 형상에 따라 복수의 힌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들은 상기 기재(100)의 폭 방향의 단방향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홀(H1)이 형성되는 열 방향과 중첩되는 기재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힌지부(HN1), 상기 제 2 힌지부(HN2), 제 3 힌지부(HN3) 및 제 4 힌지부(HN4)는 상기 기재(100)의 끝단 영역 중 단방향의 양 끝단 영역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홀의 형상은 상기 제 1 홀(H1)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은 곡면을 가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홀(h)은 타원 형상, 반구형 형상 또는 원형 형상 등의 곡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홀(h)은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4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N1) 및 상기 제 2 힌지부(HN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및 상기 제 3 힌지부(HN3) 및 상기 제 4 힌지부(HN4)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H1)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크기는 단위면적당 제 1 홀(H1)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 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곡률 크기는 곡률 반경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곡률 반경이 작은 경우, 곡률의 크기가 커서 기재가 크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곡률 반경이 큰 경우, 곡률의 크기가 작아서 기재가 상대적으로 작게 휘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은 곡률반경이 더 작은 영역에서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가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의 C-C'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외경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이 하나의 제 1 홀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는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제 2 중심축(C2)보다 상기 폴딩축에 가깝게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들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1)에서의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면적당 제 1 관통홀(h1)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에 대해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은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더 시프트 되어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들의 거리는 상기 폴딩축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반경이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
도 15는 상기 기재(100)의 타면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폴딩되는 방향의 내측이 아닌 외측의 상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폴딩의 외측면인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 상기 제 1 홀(H1)들이 서로 동일한 단위면적당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타면(2S)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의 제 1 중심축(C1)과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제 2 중심축(C2)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즉, 상기 타면에서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제 2 관통홀도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제 2 관통홀과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타면은 상기 기재의 폴딩 외측면으로서 내측면과 다르게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의 크기는 곡률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지 않고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기재의 타면도 앞서 설명한 상기 일면과 같이 곡률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 2 관통홀의 위치가 폴딩축 방향으로 시프트 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제 1 힌지부(H1) 및 상기 제 2 힌지부(H2)가 형성되는 제 1 영역(1A) 즉, 폴딩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 영역은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크기를 가지는 제 1 홀들이 형성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재(100)가 폴딩되어 형성되는 상기 기재의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1S)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폴딩 영역에서 각각의 영역마다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의 크기는 단위면적당 제 1 홀(H1)이 형성되는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위면적당 제 1 홀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은 상기 제 1홀의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제 1 홀의 수가 많아지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재(100)는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0)는 상기 기재(100)가 폴딩됨에 따라 형성되는 상기 기재(100)의 곡률에 따라 적어도 2개의 폴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기재(100)의 제 1 영역(1A)은 제 1 곡률 영역(RA1) 및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영역(1A)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 및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9에서 설명하는 상기 일면(1S)에서의 제 1 홀, 제 1 관통홀 및 제 2 관통홀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도 14 및 도 16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은 서로 다른 크기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폴딩축에 가까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보다 상기 폴딩축에서 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의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과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1)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간의 거리(d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보다 더 촘촘하게 즉, 고밀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의 D-D' 영역을 절단한 단면도로서, 상기 일면(1S)과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1 홀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홀(H1)은 상기 일면(1S)을 관통하는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타면(2S)을 관통하는 제 2 관통홀(h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내경(IR) 및 외경(OR)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내경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외경 크기는 약 0.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h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은 각각 관통홀 외경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및 제 2 중심축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은 상기 폴딩축과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폴딩축에 가까워질수록 단위 면적당 상기 제 1 관통홀(h1)의 크기가 커지도록 상기 제 1 관통홀(h1) 및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관통홀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제 2 중심축(C2)은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는 상기 제 1 관통홀(h1)의 제 1 중심축(C1)과 상기 제 2 관통홀(h2)의 상기 제 2 중심축(C2)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2 곡률 영역(RA2)에서의 1, 2 중심축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가깝도록 시프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홀(h1)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는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수식 2]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3), 제 2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d4) ≤ 10t
(여기서, t는 기재의 두께)
상기 제 1 관통홀(h1)들의 시프트 거리(d3) 및 상기 제 2 관통홈(h2)들의 시프트 거리(d4)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동일한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곡률 영역(RA1)에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은 서로 다른 거리로 시프트되어 1, 2 중심축이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내측면 즉,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되는 제 1 홀들은 곡률 크기가 다른 영역들에서 서로 다른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고, 곡률반경이 큰 영역에서는 단위 면적당 제 1 홀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기재가 폴딩 상태일 때 곡률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압축 응력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폴딩 신뢰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용 기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일면 및 타면 영역에서의 단위면적당 홀의 크기를 유사하게 하여 폴딩시 곡률 영역마다 효과적으로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
즉, 곡률반경이 작은 영역에서는 압축 응력을 분산시켜줄 수 있는 홀의 분율을 곡률반경이 큰 영역이 비해 크게 형성함으로써, 기재의 폴딩 내측면에서 발생하는 압축 응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줄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언폴딩 영역에도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100)의 제 2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재(100)는 제 1 영역(1A) 및 제 2 영역(2A)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1A)에는 제 1 홀(H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1A)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홀(H1)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은 생략한다. 즉, 앞서 도 14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제 1 홀은 이하의 도 20 내지 도 23과 같이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영역(2A)에는 서로 이격하는 복수 개의 제 2 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기재(100)의 제 2 영역(2A)의 일면 및 타면에서 서로 중첩되어 상기 기재(100)를 관통하며 형성되거나, 하나의 면만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홀(H2)은 상기 제 1 홀(H1)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홀(H2)은 외경 및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과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는 상기 제 1 홀(H1)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의 홀들이 상기 제 1 영역의 홀들보다 크기 및 분율을 작게하여, 상기 기재를 폴딩할 때, 상기 제 2 영역이 함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의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크기는 상기 제 1 영역의 제 1 곡률 영역 및 제 2 곡률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위 면적당 상기 제 2 홀(H2)의 크기를 상기 제 1 영역의 단위 면적당 제 1 홀의 크기보다 작게 함으로서 폴딩 영역과 언폴딩 영역이 구분 될 수 있고, 제 2 영역에는 힌지부를 형성하지 않음으로 인해 2영역보다 1영역이 작은 힘으로도 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0 내지 도 23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구부러지는 영역 이외에 구부러지지 않는 영역에도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기재의 전 영역에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과 상기 제 2 영역의 열에 의한 변형의 차이를 완화하여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에서 열에 따른 변형의 차이가 너무 크게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휘거나 뒤틀림이 생길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1 영역과 2 영역의 경계 영역에서 기재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상기 제 2 영역에도 홀을 형성하여 열 변형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기재가 폴딩되는 영역에서 폴딩 정도 즉,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형성되는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딩 내측면에서 곡률반경의 크기에 따라 영역별로 달라지는 압축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즉, 단위 면적당 홀의 크기를 발생하는 압축 응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함으로써, 압축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압축 응력에 따른 기재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4는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이 적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디스플레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휴대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용 기판은 플렉서블, 벤디드 또는 폴딩되는 휴대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어, 반복적으로 폴딩 또는 원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응력에 의한 기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으로 정의되고,
    상기 홀은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각각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 및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중심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을 상기 제 2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2 중심축이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중심축과 상기 제 2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중심축이 상기 제 2 중심축보다 상기 기재의 폴딩축에 가깝도록 시프트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수식 1]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 ≤ 10t
    (여기서, t는 상기 기재의 두께)
  6. 일면 및 타면을 포함하고,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일면 및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폴딩 영역 및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영역은 언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제 1 영역의 폴딩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 1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홀은 상기 일면에 형성되는 제 1 관통홀 및 상기 타면에 형성되는 제 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복수의 제 1 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 및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관통홀의 중심간 거리가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제 1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1 중심축이 정의되고,
    상기 제 2 관통홀을 상기 제 2 관통홀의 중심을 통과하는 제 2 중심축이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은 상기 제 1 중심축과 상기 제 2 중심축이 서로 어긋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딩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면이 마주보도록 폴딩되고,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제 1 중심축이 상기 제 2 중심축보다 상기 기재의 폴딩축에 가깝도록 시프트되어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는 하기 수식 1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용 기판.
    [수식 1]
    0.1t ≤ 1 관통홀 중심축의 시프트 거리 ≤ 10t
    (여기서, t는 상기 기재의 두께)
KR1020190003813A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00087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13A KR20200087481A (ko)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용 기판
PCT/KR2020/000458 WO2020145718A1 (ko) 2019-01-11 2020-01-10 디스플레이용 기판
TW109100963A TW202104999A (zh) 2019-01-11 2020-01-10 用於顯示器之基板
US17/282,511 US20210352814A1 (en) 2019-01-11 2020-01-10 Substrate for display
CN202310339479.0A CN116312250A (zh) 2019-01-11 2020-01-10 显示基板
CN202080008082.8A CN113272880A (zh) 2019-01-11 2020-01-10 用于显示器的基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813A KR20200087481A (ko)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용 기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81A true KR20200087481A (ko) 2020-07-21

Family

ID=7183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813A KR20200087481A (ko) 2019-01-11 2019-01-11 디스플레이용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74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2814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11513560B2 (en) Support substrate for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841746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094898B2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WO2022062750A1 (zh) 一种折叠显示器支撑件及显示装置
US20220050321A1 (en) Substrate for display
US20230018777A1 (en) Elastic member
KR20190049240A (ko) 플렉서블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유닛
CN113767429B (zh) 用于显示器的基板
WO2021190439A1 (zh) 显示屏及电子设备
US11877466B2 (en) Substrate for display
KR2020008747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US2024004071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terminal
WO2023184607A1 (zh) 支撑构件及可折叠显示装置
JP2024503553A (ja) 支持板、可撓性表示パネル及び電子装置
TWM541027U (zh) 可撓式電子裝置
KR20200087481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JP7027028B2 (ja) 液晶表示パネル
KR20210019839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28830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19803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KR20210013867A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WM541182U (zh) 可撓式電子裝置
US11977414B2 (en) Elastic member
TWI624201B (zh) 可撓式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