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7218A -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 Google Patents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7218A
KR20200087218A KR1020207017145A KR20207017145A KR20200087218A KR 20200087218 A KR20200087218 A KR 20200087218A KR 1020207017145 A KR1020207017145 A KR 1020207017145A KR 20207017145 A KR20207017145 A KR 20207017145A KR 20200087218 A KR20200087218 A KR 20200087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raining
hook member
hook
rubb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781B1 (ko
Inventor
히데미츠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55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6654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892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64719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이덴
Publication of KR2020008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8Ball cover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stance provided by the user, e.g. exercising one body part against a resistance provided by anothe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4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nap-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63B21/00043Exercising devices consisting of a pair of user interfaces connected by flexible elements, e.g. two handles connected by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A63B21/002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isometric or isokinetic,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or wherein the speed of the motion is independent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for isometric exercising, i.e. substantial force variation without substantial muscle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8User-manipulated weights using user's bod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8User-manipulated weights anchored at one e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3Free movement, i.e. the only restriction coming from th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08For a single arm or le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75Apparatus used for exercising upper and lower limb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12Tools or devices for blowing up or closing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63B2208/0209Standing on the feet on a singl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125Large inflatable balls primarily used as body supports for exercising, e.g. balanc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33Inflation devices or methods for inflating ballo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0Balloons
    • A63H2027/1075Special shape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한다.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와,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14)와,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20)와,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38)를 구비하고, 제1 걸이 부재(20)와 제2 걸이 부재(38)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운동, 미용, 요통 개선 등의 건강, 보행 장애 등의 재활, 운동부족의 해소, 손과 발, 다리와 허리, 인지증의 예방, 등근육, 가슴근육 등의 강화에 의한 스포츠 트레이닝, 보디 빌딩 등, 그 외의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이하, 단순히 '트레이닝'이라고 한다)에 사용하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와 같은 여러 가지 트레이닝을 행하기 위한 트레이닝 용구로서, 예를 들면 운동용 고무 밴드, 루프 밴드, 트레이닝 튜브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용구로는, 종래,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신축성을 갖는 신축 부재를 이용한 이른바 '익스팬더(expander)'로서 고리 형상(루프 형상) 루프 밴드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루프 밴드에서는 루프 밴드의 길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를 준비해야만 하여, 코스트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루프 밴드를 선택하고 트레이닝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번잡하고 귀찮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개 2017-18243호 공보)에서는,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임의의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 툴이 개시되어 있다.
도 20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레이닝 툴의 사시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레이닝 툴(100)은, 제1 신축성 부재(102)와, 제1 신축성 부재(102)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제2 신축성 부재(104)로 이루어지는 루프(106)가 접합부(108)를 개재해 복수 개 연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좌우의 손을 루프(106)에 넣어 잡는 개소(위치)를 여러 가지로 바꿈으로써 트레이닝 툴(100)의 길이를 변경하여, 트레이닝 중에 가해지는 부하의 강도 등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7-1824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트레이닝 툴(100)에서는, 제1 신축성 부재(102)와, 제1 신축성 부재(102)보다 길이 방향으로 긴 제2 신축성 부재(104)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루프(106)를, 미리 접합부(108)를 개재해 제조해야만 하여, 구성이 복잡해 코스트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해, 트레이닝하는 사람에게 경제적으로 또한 운반 등의 면에서도 부담을 강요하게도 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트레이닝 툴(100)에서는, 예를 들면 좌우의 손을 루프(106)에 넣어 잡는 개소(위치)에 따라 양단 부분에 남은 부분이 생겨, 트레이닝의 방해가 되거나 주변이나 몸의 다른 부위에 감겨 문제가 생길 우려도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를, 예를 들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하려면,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해야만 하여 불편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현상을 감안하여,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 개의 루프 밴드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과제 및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끼리를 중간 걸이 부재를 개재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단부에 제1 걸이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단부에 제2 걸이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중간 걸이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와,
상기 걸림 바 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상기 걸림 바 본체와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걸림 바 부재와 제2 걸림 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1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공에는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의 일단부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2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공에는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의 타단부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걸림 바 본체와 제1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1 걸림공에, 제1 슬릿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의 일단부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와 제2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2 걸림공에, 제2 슬릿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의 타단부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간단하고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걸림 바 부재의 길이와 상기 제2 걸림 바 부재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폭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벨트 부재를 치우치지 않게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걸이 부재가 버클형의 버클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버클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 부재가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클형 걸이 부재와 벨트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버클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제1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의 제2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버클형 걸이 부재와 벨트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클형 걸이 부재와 벨트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클형 걸이 부재와 벨트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버클형 걸이 부재와 벨트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걸이 부재의 상기 버클형 걸이 부재의 표면에 안팎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씰을 점착하거나 점자, 요철 등의 마크, 색구분 등의 표시로 구성되는 확인부를, 제1 걸이 부재의 버클형 걸이 부재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안팎을 확인할 수 있어, 안과 밖을 뒤집어 장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2 걸이 부재의 벨트형 걸이 부재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걸이 부재의 벨트형 걸이 부재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예를 들면 벨트형 걸이 부재의 남은 부분을 절단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요철을 버클형 걸이 부재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안팎을 확인할 수 있어, 잘못 장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걸이 부재가, 스냅핏(snap-fit)형의 암형(female type)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 부재가, 상기 암형 걸이 부재에 대응하는 스냅핏형의 수형(male type)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암형 걸이 부재와 수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제1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형의 수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의 제2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와 수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와 수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와 수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와 수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걸이 부재가,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링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 부재가,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2 링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링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형 걸이 부재와 제2 링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의 제1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2 링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의 슬릿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의 제2 벨트 결합공에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와 제2 링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와 제2 링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와 제2 링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와 제2 링형 걸이 부재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1 걸이 부재의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 걸이 부재의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중간 걸이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중간 걸이 부재를 제1 걸이 부재의 제1 삽입 결합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 종류수가 적어져 코스트와 수고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2 걸이 부재의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2 걸이 부재의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중간 걸이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따라, 중간 걸이 부재를 제2 걸이 부재의 제2 삽입 결합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 종류수가 적어져 코스트와 수고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와,
상기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에 의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에 의해,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걸이 부재 본체가 개폐 가능한 고리 형상이며, 상기 걸이 부재 본체의 고리 형상이 된 부분에,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걸이 부재 본체가 개폐 가능한 고리 형상이므로, 걸이 부재 본체의 고리 형상이 된 부분에,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 분리하는 것이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연결부가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걸이 부재 본체와 연결된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대해,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제3 걸이 부재의 연결부를 개재해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 분리하는 것이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상기 중간 걸이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와,
상기 걸림 바 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상기 걸림 바 본체와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걸림 바 부재와 제2 걸림 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1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2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 바 부재가, 제1 걸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걸림 바 부재가, 제2 걸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걸림 바 부재가, 제1 걸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2 걸림 바 부재가, 제2 걸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가능한 제1 걸림 바 부재와 제2 걸림 바 부재에 의해 제1 걸림공, 제2 걸림공이 개폐되므로, 벨트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것이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는,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의 표면에, 상기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지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e)의 표면에, 이 벨트 부재(12e)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지표부(29), 예를 들면 '화이팅' 등의 문자, 사람, 동물 등의 얼굴,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 부재(12e)의 신축에 수반해 지표부(29)가 팽창 또는 수축되므로,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격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전술한 어느 하나에 기재한 트레이닝용 벨트와 함께 이용하는 고무공 부재로서,
상기 고무공 부재가,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와는 별도로 형성된, 개폐 가능한 마개 부재를 구비한 개폐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상기 트레이닝용 벨트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고무공 부재로서,
상기 고무공 부재가,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와는 별도로 형성된, 개폐 가능한 마개 부재를 구비한 개폐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무공 부재를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의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로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의 탄성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대로, 풍선 부재 본체 내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로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팽창함과 함께 풍선 부재 본체가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 운동, 악력 강화 등의 여러 가지 운동, 훈련에 있어서,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거나 수축되므로, 운동의 기준이 되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양쪽 다리 사이에 고무공 부재의 고무공 부재 본체를 끼우고 다리를 오므리는 운동을 할 때, 이 운동의 가압력으로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그리고, 운동을 정지해, 예를 들면 이번에는 다리를 벌리는 운동이나 쉬고 있는 동안에, 풍선 부재 본체의 압력에 의해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로 공기가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다시 팽창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무공 부재에 의한 연속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는,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표면에, 풍선 부재 본체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풍선 지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 본체(86)의 표면에, 이 풍선 부재 본체(86)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지표부(81), 예를 들면 '화이팅' 등의 문자, 사람, 동물 등의 얼굴,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풍선 부재 본체(86)의 신축에 수반해 지표부(81)가 팽창 또는 수축되므로,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격려하는 효과가 있다.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격려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끼리가 중간 걸이 부재를 개재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단부에, 제1 걸이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단부에, 제2 걸이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에 의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에 의해,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면 양쪽 다리 사이에 고무공 부재의 고무공 부재 본체를 끼우고 다리를 오므리는 운동을 할 때, 이 운동의 가압력으로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한다.
그리고, 운동을 정지해, 예를 들면 이번에는 다리를 벌리는 운동이나 쉬고 있는 동안에, 풍선 부재 본체의 압력에 의해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에 공기가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가 다시 팽창한다.
이를 반복함으로써 고무공 부재에 의한 연속적인 운동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분해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중간 걸이 부재(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수형(male type) 걸이 부재(56)의 상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도 20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트레이닝 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해, 도 4와 마찬가지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걸이 부재(1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의 (A)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정면도이고, (B)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평면도이고, (C)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중간 걸이 부재(14)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도 4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1의 (A)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B)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상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실시예)를 도면을 기초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분해 상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중간 걸이 부재(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도 1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1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은 전체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운동, 미용, 요통 개선 등의 건강, 보행 장애 등의 재활, 운동부족의 해소, 손과 발, 다리와 허리, 인지증의 예방, 등근육, 가슴근육 등의 강화에 의한 스포츠 트레이닝, 보디 빌딩 등, 그 외의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10)이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고리 형상의 벨트 부재(12)(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의 길이(원둘레), 개수 등은, 예를 들면 트레이닝하는 부위, 트레이닝 방법, 피트레이닝자의 체격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벨트 부재(12)를, 예를 들면 이중, 삼중으로 하는 등 그 강도를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부하가 서로 다른 벨트 부재(12)를 복수 종류 겹쳐, 운동의 부하를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벨트 부재(12)(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걸이 부재(14)는 중간 걸이 부재(14)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1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14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부(14b)를 개재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된, 제1 걸림 바 부재(14c)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공(16a)에는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방 단부의 제1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슬릿(18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걸림공(16b)에는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방 단부의 제2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슬릿(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1 걸림공(16a)에, 제1 슬릿(18a)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단부의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2 걸림공(16b)에, 제2 슬릿(18b)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단부의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와 제2 벨트 부재(12b))를 간단하고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12)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12))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걸이 부재(14)의 제1 걸림 바 부재(14c)의 길이와 제2 걸림 바 부재(14d)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림 바 부재(14c)의 길이와 제2 걸림 바 부재(14d)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폭의 치수가 상이한 복수의 벨트 부재(12)를 치우치지 않게 연결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걸이 부재(14)의 제1 걸림 바 부재(14c)에 형성된 제1 슬릿(18a)과 제2 걸림 바 부재(14d)에 형성된 제2 슬릿(18b)의 형성 위치를 중앙의 위치로 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슬릿(18a)과 제2 슬릿(18b)의 형성 위치를 치우친 위치에 형성하는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걸이 부재(14)의 이면에, 피복, 천으로 된 시트,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등에 탈착 가능한, 고정면, 예를 들면 매직 테이프(등록상표)(Magic Tape), 벨크로(등록상표)(Velcro) 등의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11)를 점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예를 들면 피복, 의자 등에 탈착 가능하도록 위치 고정할 수 있어 트레이닝시에 편리하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단부(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버클형의 버클형 걸이 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복식의 벨트에 이용되는 종래 공지의 버클형 걸이 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3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부분 확대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버클 본체(24), 및 버클 본체(24)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26)를 개재해,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개폐 가능한 버클 개폐 부재(28)를 구비하는 종래의 버클 구조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형 걸이 부재(22)에는, 버클 본체(24)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 걸림부(30a, 3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버클 개폐 부재(28)의 하면에는, 이들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에 대응해, 복수 개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2개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와는 위치가 어긋나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돌출 걸림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버클 본체(24)에 대해 버클 개폐 부재(28)를 닫아, 도 3의 화살표 B 방향으로 버클형 걸이 부재(22) 내에 후술하는 제2 걸이 부재(38)를 구성하는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를 삽입 장착했을 때, 벨트형 걸이 부재(40)가 이들 제1 돌출 걸림부(30a, 30b)와 제2 돌출 걸림부(32a, 32b) 사이에 협지되어 단단히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길이 위치를 조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제1 삽입 결합 부재(34)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전술한 중간 걸이 부재(14)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부품 종류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또한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제1 삽입 결합 부재(3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체 성형에 의해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일체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삽입 결합 부재(3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탈착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이 부재(20)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표면에 안팎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부(2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인부(22a)로서 우산 마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씰을 점착하거나 점자, 요철 등의 마크, 색구분 등의 표시로 구성되는 확인부(22a)를, 제1 걸이 부재(20)의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안팎을 확인할 수 있어, 안과 밖을 뒤집어 장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제1 돌출 걸림부(30a, 30b), 제2 돌출 걸림부(32a, 32b)를 마련하는 대신에,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클 개폐 부재(28)의 단부에 돌출 걸림부(28a)만을 마련한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타단부(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3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걸이 부재(38)는 복식의 벨트에 이용되는 종래 공지의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는,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삽입 결합 부재(42)에는,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42a)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제2 삽입 결합 부재(42)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술한 중간 걸이 부재(14)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부품 종류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또한 범용성이 뛰어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40)에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요철(40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걸이 부재(38)의 벨트형 걸이 부재(40)에 형성된 요철(40a)에 의해, 예를 들면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남은 부분을 절단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요철(40a)을 버클형 걸이 부재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안팎을 확인할 수 있어, 안과 밖을 뒤집어 장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대략 원형의 요철(40a)을 형성했지만, 그 형상, 개수, 배치 위치 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 6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요철(40b)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 의하면, 도 1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끼리를, 중간 걸이 부재(14)를 개재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게 되어 있다.
즉,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1 걸림공(16a)에, 제1 슬릿(18a)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일단부의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형성된 제2 걸림공(16b)에, 제2 슬릿(18b)을 통해 복수의 벨트 부재(12)의 타단부의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복수의 벨트 부재(12)끼리(본 실시예에서는, 제1 벨트 부재(12a), 제2 벨트 부재(12b))를 간단하고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일단부(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제1 걸이 부재(20)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중간 걸이 부재(14)로 연결된 벨트 부재(12)의 타단부(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에, 제2 걸이 부재(38)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벨트형 걸이 부재(40)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걸이 부재(20)인 버클형 걸이 부재(22)와 제2 걸이 부재(38)인 벨트형 걸이 부재(40)를, 도 3 및 도 4의 화살표 A,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종래의 루프 밴드를 벨트 부재(12)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루프 밴드(벨트 부재(12))를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쉽게 임의의 길이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어, 코스트와 수고를 절감할 수 있고 운반도 편리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예를 들면, 허벅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트레이닝할 수 있다.
즉, 도 4의 화살표 E로 나타낸 방향으로 다리(D)를 밖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부하를 가하거나, 도 4의 화살표 F로 나타낸 방향으로 고무공(C)을 압축함으로써 부하를 가하는 것에 의해, 다리 전체의 트레이닝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레이닝 외에도, 도 7∼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은 트레이닝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닝 방법으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이 전혀 아니고, 여러 가지 트레이닝 방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상완 셰이프', 즉, 한쪽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일단을 발로 밟고, 팔꿈치를 받침점으로 하여 팔을 후방으로 들어 올려 뻗고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복부 둘레 셰이프', 즉, 한쪽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일단을 발로 밟고, 상반신을 횡방향으로 기울여 늘린 다음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의자를 이용한 족부 셰이프', 즉,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굽히고, 한쪽 트레이닝용 벨트(10)의 일단을 발바닥쪽에 걸고 밀었다가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른바 '족부 셰이프', 즉,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양쪽 다리에 트레이닝용 벨트(10)를 걸고, 늘린 후 천천히 돌아오는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도 11∼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닝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시에 의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와 같은 트레이닝 외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팔과 다리 사이에 걸치고 실시하는 트레이닝,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양쪽 다리의 장딴지, 발목 등에 걸치고 실시하는 트레이닝 등, 그 외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사용 가능하며, 트레이닝 방법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그 외, 스포츠 단체나, 각종 단체(클럽 활동 등)의 이동용 버스 내에서의 트레이닝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5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수형(male type) 걸이 부재(56)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스냅핏(snap-fit)형의 암형(female type) 걸이 부재(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걸이 부재(50)에는, 후술하는 수형(male type)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암형 결합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형 걸이 부재(50)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암형 걸이 부재(50)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걸이 부재(38)는 암형 걸이 부재(50)에 대응하는 스냅핏형의 수형 걸이 부재(56)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형 걸이 부재(56)에는, 폭 방향으로 굴곡 가능한 2개의 수형 결합부(5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형 걸이 부재(56)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는,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즉, 수형 걸이 부재(56)에는 벨트(54)가 길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고, 벨트(54)의 벨트 부재(12)측의 단부에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구비되어 있어, 벨트(54)는 수형 걸이 부재(56)에, 도 15의 화살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벨트(54)의 벨트 부재(12)측 단부에,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삽입 결합 부재(42)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42a)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형 걸이 부재(56)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형의 수형 걸이 부재(56)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를 암형 걸이 부재(50)의 암형 결합공(5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위치를, 즉 수형 걸이 부재(56)에 길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된 벨트(54)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암형 걸이 부재(50)에서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 형성했지만,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형 걸이 부재(50) 자체에 슬릿(34a)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도 1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수형 걸이 부재(56)에는 벨트(54)가 마련되지 않고, 수형 걸이 부재(56)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는,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은, 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레이닝용 벨트(10)의 길이는 조정할 수 없지만,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50)와 수형 걸이 부재(56)를 걸어 고정(수형 걸이 부재(56)의 수형 결합부(56a)를 암형 걸이 부재(50)의 암형 결합공(50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4)
도 18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링형 걸이 부재(60)에는, 개폐 가능한 제1 개폐 부재(62)와 제1 링 구멍(6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형 걸이 부재(60)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링형 걸이 부재(60)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걸이 부재(38)는,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2 링형 걸이 부재(6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링형 걸이 부재(64)에는, 개폐 가능한 제2 개폐 부재(66)와 제2 링 구멍(6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형 걸이 부재(64)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는,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삽입 결합 부재(42)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42a)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형 걸이 부재(64)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형 걸이 부재(6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64)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개폐 가능한 제1 링형 걸이 부재(60)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제2 링형 걸이 부재(64)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6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64)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6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64)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6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64)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6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64)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9는,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제1 걸이 부재(20)가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링형 걸이 부재(70)에는, 2개의 제1 링부(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형 걸이 부재(70)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슬릿(34a)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링부(72) 사이의 이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링형 걸이 부재(60)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제2 걸이 부재(38)는, 제1 링형 걸이 부재(70)의 제1 링부(72)에 끼워 결착하는 링형의 제2 링형 걸이 부재(74)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링형 걸이 부재(74)에는, 2개의 제2 링부(7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링형 걸이 부재(74)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는,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4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삽입 결합 부재(42)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42a)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4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경우, 슬릿(42a)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링형 걸이 부재(74) 사이의 이격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형 걸이 부재(74)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링형 걸이 부재(7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74)를 걸어 고정(제1 링부(72)에 제2 링부(76)를 퍼즐 링처럼 끼워 결착해 결합)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링형 걸이 부재(70)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형 걸이 부재(74)의 벨트 부재(12)측(제2 벨트 부재(12b)의 타단부(12d)측)에 구비된,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슬릿(42a)을 통해, 제2 삽입 결합 부재(42)의 제2 벨트 결합공(44)에 벨트 부재(12b)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7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74)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7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74)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사용 목적, 사용 부위, 트레이닝 방법, 트레이닝 강도, 루프의 강도(부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길이의 루프 밴드로서 간단하게 사용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7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74)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종래의 루프 밴드와 같이, 다리 운동, 무릎 운동 등의 트레이닝에 사용할 때, 의자에 앉거나 구부린 상태로 루프 내에 양쪽 다리를 넣어 사용할 필요가 없고, 벨트로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70)와 제2 링형 걸이 부재(74)의 걸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의자에 앉아 일, 공부 등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택의 의자, 소파에 앉아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시청과 병행하는 트레이닝, 자동차의 조수석이나 뒷좌석, 관광 버스, 비행기, 선박, 전철에서 이동시의 트레이닝, 이불이나 침대 위에서의 트레이닝에도 적합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21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분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9에 나타낸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즉,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4와 마찬가지로 버클형 걸이 부재(22)로서, 버클 개폐 부재(28)의 단부에 돌출 걸림부(28a)만을 마련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버클형 걸이 부재(22)는,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제1 벨트 부재(12a)의 일단부(12c)측)에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해, 도 1의 실시예와 같은 구성의 제1 삽입 결합 부재(34)가 고정되어 있다.
즉, 제1 삽입 결합 부재(34)에는, 벨트 부재(12a)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34a)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버클형 걸이 부재(22)의 벨트 부재(12)측에 구비된,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슬릿(34a)을 통해, 제1 삽입 결합 부재(34)의 제1 벨트 결합공(36)에 벨트 부재(12)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7)
도 23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해, 도 4와 마찬가지로,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C)을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제3 걸이 부재(1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의 (A)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정면도이고, (B)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평면도이고, (C)는 제3 걸이 부재(13)의 걸이 부재 본체(15)의 단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이용한 트레이닝의 개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9에 나타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한 쌍의) 제3 걸이 부재(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도 23∼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는, 전술한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15)를 더 구비하고 있다.
걸이 부재 본체(15)는, 도 23∼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15a), 및 평판부(15a)의 폭방향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측판부(15b, 15c)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5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이 부재 본체(15)가 개폐 가능한 고리 형상이다. 즉, 측판부(15b, 15c)가 서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평판부(15a)에는, 예를 들면 도 2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 부재(15e)가 마련되어 벨트 부재(10)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걸이 부재 본체(15)의 고리 형상이 된 부분에,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벨트 부재(12a, 12b)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3∼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부(15b, 15c)에 걸이구멍(15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걸이 부재(13)는,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17)는 걸이 부재 본체(15)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7)는 링형 걸이 부재로 되어 있고,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17a) 및 링 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17)의 벨트 부재측, 즉,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e)측에는,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삽입 결합 부재(19)가 구비되어 있다.
삽입 결합 부재(19)는 대략 링 형상이며, 그 단부에는 개폐부(19a)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또한 고정 가능한 고정 걸림 기구(21)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고정 걸림 기구(21)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지의 고정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나비 나사(21a)에 의해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걸림 기구(21)를 해제·고정하여 개폐부(19a)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개폐부(19a)를 통해 링 구멍(19b)을 개폐함으로써,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e)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좌우 한 쌍의 제3 걸이 부재(13)을 구비하고 있지만, 제3 걸이 부재(13)의 수는 목적하는 운동, 훈련에 따라 적절하게 그 개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다리에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e)를 더 사용하면,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행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긴 벨트 부재(12)를 이용해, 예를 들면 팔, 목, 등, 어깨, 허리, 배, 복근, 등근육, 견갑골 등의 운동을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짧은 한쪽의 벨트 부재(12e)를 이용해 팔이나 손가락의 운동을 실시함과 동시에, 다른 쪽의 벨트 부재(12e)를 이용해 발목이나 다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 9∼실시예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양쪽 다리 사이에 고무공 부재(80)의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끼우고, 풍선 부재 본체(86)의 팽창 등의 작용에 의해 양쪽 다리를 개폐하는 연속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몸통 부분을 단련할 수 있고, 동시에 전신 운동을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한편,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12e)의 표면에, 이 벨트 부재(12e)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지표부(29), 예를 들면 '화이팅' 등의 문자, 사람, 동물 등의 얼굴, 캐릭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벨트 부재(12e)의 신축에 수반해, 지표부(29)가 팽창 또는 수축되므로,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격려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8)
도 27은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중간 걸이 부재(14)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9에 나타낸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으로 표시한 부분에 본 실시예의 중간 걸이 부재(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걸이 부재(14)는, 중간 걸이 부재(14)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1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바 본체(14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부(14b)를 개재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마련된, 제1 걸림 바 부재(14c)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걸림 바 본체(14a)와 제1 걸림 바 부재(14c)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16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걸림 바 본체(14a)와 제2 걸림 바 부재(14d)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16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걸림 바 부재(14c)가, 제1 걸림공(16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14b)의 단부에는, 개폐부(23a)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또한 고정 가능한 고정 걸림 기구(25a)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고정 걸림 기구(25a)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지의 고정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나비 나사(27a)에 의해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걸림 바 부재(14d)가, 제2 걸림공(16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14b)의 단부에는, 개폐부(23b)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또한 고정 가능한 고정 걸림 기구(25b)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고정 걸림 기구(25b)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주지의 고정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나비 나사(27b)에 의해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걸림 바 부재(14c)가, 제1 걸림공(16a)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제2 걸림 바 부재(14d)가, 제2 걸림공(16b)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가능한 제1 걸림 바 부재(14c)와 제2 걸림 바 부재(14d)에 의해 제1 걸림공(16a), 제2 걸림공(16b)이 개폐되므로, 벨트 부재끼리를 연결, 분리하는 것이 쉬워져 매우 편리하다.
(실시예 9)
도 29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사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도 4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트레이닝용 벨트(10)는, 도 1∼도 19에 나타낸 트레이닝용 벨트(1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지의 형상의 고무공으로 구성되는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구비하고 있다.
고무공 부재 본체(82)에는, 주지의 구성인 공기 도입구(82a)가 형성되고, 공기 도입구(82a)와는 별도로 개폐공(82c)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공(82c)에는 개폐 가능한 마개 부재(82b)를 구비한다.
마개 부재(82b)에 의해 개폐공(82c)을 막음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도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이 탄력성을 갖도록 하여,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가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때,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과 노즐 부재(88)의 중간부(88e)의 사이로부터,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을 통해, 도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무공 부재(80)는,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84)를 구비한다. 또한, 풍선 부재(84)는 주지의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8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 본체(86)의 표면에 풍선 부재 본체(86)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지표부(81), 예를 들면 '화이팅' 등의 문자, 사람, 동물 등의 얼굴, 캐릭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풍선 부재 본체(86)의 신축에 수반해 지표부(81)가 팽창 또는 수축되므로, 팔, 다리와 허리 등 종합적인 운동, 훈련을 실시하는 사용자를 격려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선 부재(84)는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장착된 노즐 부재(88)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노즐 부재(88)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풍선 부재 본체(86)의 공기구(86a)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대략 돔(dome)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8)는 노즐 형상이 된 선단부(88c)를 구비하고 있다. 선단부(88c)에는 복수의 공기구멍(88d)이 형성되어 있고, 공기구멍(88d)과 개구부(88b)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가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개폐공(82c)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공지의 볼용 공기 펌프 등을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내부에 공기를 도입해, 고무공 부재 본체(82)를 팽창시킨다.
한편, 이 때, 마개 부재(82b)에 의해 개폐공(82c)을 막음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공기 도입구(82a)를 통해 도입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 후, 마개 부재(82b)를 열고, 개폐공(82c)에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를 소정의 위치(고무공 부재 본체(8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이에 따라,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하는 것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 때,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도 4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의 다른 실시예를 조립하고, 트레이닝을 위해 고무공 부재(80)를 양쪽 다리(D)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트레이닝용 벨트(10)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무공 부재(80)를 이용해, 고무공 부재 본체(82)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부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를 통해 풍선 부재 본체(86)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한다.
한편, 고무공 부재 본체(82)로의 외부로부터의 압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82)의 탄성에 의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팽창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반대로, 풍선 부재 본체(86) 내의 공기가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개구부(88b),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형성된 공기구멍(88d)을 통해 고무공 부재 본체(82) 내로 이동해, 고무공 부재 본체(82)가 팽창함과 함께 풍선 부재 본체(86)가 수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다리 운동, 악력 강화 등의 여러 가지 운동, 훈련에 있어서, 풍선 부재 본체(86)가 팽창하거나 수축되므로, 운동의 기준이 되어 매우 편리하다.
(실시예 10)
도 31의 (A)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B)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대략 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도 31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88b) 외에, 개구부(88b)의 주위에 복수의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1)
도 32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대략 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원형의 오목부(85)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오목부(85)의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12)
도 33은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노즐 부재(88)의 기단부(88a)가 대략 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개구부(88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도 31의 (A) 및 (B)에 도시한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88b) 외에 개구부(88b)의 주위에 복수의 개구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에서는 노즐 부재(88)의 선단부(88c)에 공기구멍(88d)을 형성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 부재(88)의 중간부(88e)에도 공기구멍(88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구멍(88f)의 개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3)
도 34는 본 발명의 고무공 부재(8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는,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고무공 부재(80)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풍선 부재 본체(86)가 캐릭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고무공 부재(80)에서는, 풍선 부재 본체(86)가, 예를 들면 물고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물론, 풍선 부재 본체(86)의 캐릭터는, 본 실시예의 물고기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트레이닝용 벨트(10), 고무공 부재(80)는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운동, 미용, 요통 개선 등의 건강, 보행 장애 등의 재활, 운동부족의 해소, 손과 발, 다리와 허리, 인지증의 예방, 등근육, 가슴근육 등의 강화에 의한 스포츠 트레이닝, 보디 빌딩 등, 그 외의 분야에서의 여러 가지 트레이닝에 사용한다, 예를 들면 고무 등의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에 적용할 수 있다.
10: 트레이닝용 벨트
11: 후크 앤드 루프 패스너(hook and loop fastener)
12: 벨트 부재
12a: 제1 벨트 부재
12b: 제2 벨트 부재
12c: 일단부
12d: 타단부
12e: 제3 벨트 부재
13: 제3 걸이 부재
14: 중간 걸이 부재
14a: 걸림 바 본체
14b: 연장부
14c: 제1 걸림 바 부재
14d: 제2 걸림 바 부재
15: 걸이 부재 본체
15a: 평판부
15b, 15c: 측판부
15d: 걸이구멍
15e: 보호 부재
16a: 제1 걸림공
16b: 제2 걸림공
17: 연결부
17a: 개폐 부재
17b: 링 구멍
18a: 제1 슬릿
18b: 제2 슬릿
19: 삽입 결합 부재
19a: 개폐부
19b: 링 구멍
20: 제1 걸이 부재
21: 고정 걸림 기구
21a: 나비 나사
22: 버클형 걸이 부재
22a: 확인부
23a: 개폐부
23b: 개폐부
24: 버클 본체
25a: 고정 걸림 기구
25b: 고정 걸림 기구
26: 힌지
27a: 나비 나사
27b: 나비 나사
28: 버클 개폐 부재
28a: 돌출 걸림부
29: 지표부
30a, 30b: 제1 돌출 걸림부
32a, 32b: 제2 돌출 걸림부
34: 제1 삽입 결합 부재
34a: 슬릿
36: 제1 벨트 결합공
38: 제2 걸이 부재
40: 벨트형 걸이 부재
40a: 요철
40b: 요철
42: 제2 삽입 결합 부재
42a: 슬릿
44: 제2 벨트 결합공
50: 암형 걸이 부재
50a: 암형 결합공
54: 벨트
56: 수형 걸이 부재
56a: 수형 결합부
60: 제1 링형 걸이 부재
62: 제1 개폐 부재
62a: 제1 링 구멍
64: 제2 링형 걸이 부재
66: 제2 개폐 부재
66a: 제2 링 구멍
70: 제1 링형 걸이 부재
72: 제1 링부
74: 제2 링형 걸이 부재
76: 제2 링부
80: 고무공 부재
81: 지표부
82: 고무공 부재 본체
82a: 공기 도입구
82b: 마개 부재
82c: 개폐공
83: 개구부
84: 풍선 부재
85: 오목부
86: 풍선 부재 본체
86a: 공기구
88: 노즐 부재
88a: 기단부
88b: 개구부
88c: 선단부
88d: 공기구멍
88e: 중간부
88f: 공기구멍
100: 트레이닝 툴
102: 제1 신축성 부재
104: 제2 신축성 부재
106: 루프
108: 접합부
A, B: 화살표
D: 양쪽 다리
E, F: 화살표

Claims (19)

  1.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걸이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와,
    상기 걸림 바 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상기 걸림 바 본체와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걸림 바 부재와 제2 걸림 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1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공에는,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의 일단부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1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2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공에는,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의 타단부의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제2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바 부재의 길이와 상기 제2 걸림 바 부재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 부재가 버클형의 버클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버클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 부재가 벨트 형상의 벨트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벨트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클형 걸이 부재와 벨트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 부재의 상기 버클형 걸이 부재의 표면에 안팎을 확인할 수 있는 확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 부재의 벨트형 걸이 부재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 부재가, 스냅핏형의 암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 부재가, 상기 암형 걸이 부재에 대응하는 스냅핏형의 수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암형 걸이 부재와 수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 부재가,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1 링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암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링형 걸이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1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이 부재가, 개폐 가능한 링형의 제2 링형 걸이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링형 걸이 부재의 벨트 부재측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는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삽입 결합 부재에는,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삽입 결합하기 위한 슬릿을 구비한 제2 벨트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형 걸이 부재와 제2 링형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이 부재의 제1 삽입 결합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이 부재의 제2 삽입 결합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1. 신축 가능한 벨트로 구성되는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복수의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와,
    상기 복수의 벨트 부재끼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중간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일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걸이 부재와,
    상기 중간 걸이 부재로 연결된 벨트 부재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걸이 부재와 제2 걸이 부재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고리 형상이 되도록 구성한 트레이닝용 벨트로서,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1개의 제3 걸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걸이 부재가,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걸이 부재 본체와,
    상기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부재 본체가 개폐 가능한 고리 형상이며, 상기 걸이 부재 본체의 고리 형상이 된 부분에, 상기 고리 형상이 된 트레이닝용 벨트의 벨트 부재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걸이 부재의 연결부가 걸이 부재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걸이 부재가,
    상기 중간 걸이 부재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걸림 바 본체와,
    상기 걸림 바 본체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각각 연장되어 상기 걸림 바 본체와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제1 걸림 바 부재와 제2 걸림 바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1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1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바 본체와 제2 걸림 바 부재로 둘러싸인 부분에 제2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 바 부재가, 제1 걸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걸림 바 부재가, 제2 걸림공을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의 표면에, 상기 다른 고리 형상의 신축 가능한 벨트 부재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지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용 벨트.
  1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트레이닝용 벨트와 함께 이용하는 고무공 부재로서,
    상기 고무공 부재가,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와는 별도로 형성된, 개폐 가능한 마개 부재를 구비한 개폐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상기 트레이닝용 벨트를 사용해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표면에, 풍선 부재 본체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풍선 지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8. 고무공 부재로서,
    상기 고무공 부재가, 고무공 부재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가, 고무공 부재 본체의 공기 도입구와는 별도로 형성된, 개폐 가능한 마개 부재를 구비한 개폐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무공 부재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풍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풍선 부재가,
    풍선으로 이루어지는 풍선 부재 본체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된 노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 부재의 기단부가, 상기 풍선 부재 본체의 공기구에 장착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의 개폐공에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는,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공 부재 본체에 외부로부터 압력을 가함으로써, 고무공 부재 본체 내부의 공기가 상기 노즐 부재의 선단부에 형성된 공기구멍을 통해 풍선 부재 본체로 이동해, 풍선 부재 본체가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 부재의 풍선 부재 본체의 표면에, 풍선 부재 본체의 신축에 수반해 신축하는 풍선 지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공 부재.
KR1020207017145A 2018-08-22 2019-05-17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KR102199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5886A JP6446654B1 (ja) 2018-08-22 2018-08-22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
JPJP-P-2018-155886 2018-08-22
JP2019089263A JP6664719B1 (ja) 2019-05-09 2019-05-09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JPJP-P-2019-089263 2019-05-09
PCT/JP2019/019704 WO2020039667A1 (ja) 2018-08-22 2019-05-17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218A true KR20200087218A (ko) 2020-07-20
KR102199781B1 KR102199781B1 (ko) 2021-01-07

Family

ID=6959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145A KR102199781B1 (ko) 2018-08-22 2019-05-17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038939A1 (ko)
EP (1) EP3842102A4 (ko)
KR (1) KR102199781B1 (ko)
CN (2) CN112957696A (ko)
AU (2) AU2019323871B2 (ko)
CA (1) CA3091732C (ko)
SG (1) SG11202007915YA (ko)
TW (1) TWI733165B (ko)
WO (1) WO2020039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00294A1 (en) * 2019-09-20 2021-04-08 Amyr McClenton Resistance exercise clothing
JP6820576B1 (ja) 2020-04-23 2021-01-27 株式会社英電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US11628326B2 (en) * 2020-04-29 2023-04-18 Bryan OSUNA Adjustable resistance band and method of use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60A (ja) * 1995-02-28 1996-09-10 Tabata:Kk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2002515791A (ja) * 1996-09-20 2002-05-28 ウィルキンソン,ウィリアム,ティ. エネルギ消費衣類
JP2010538767A (ja) * 2007-09-17 2010-12-16 フィットネス エニウェア インク. 範囲が制限された非弾性訓練装置
JP2010538766A (ja) * 2007-09-17 2010-12-16 フィットネス エニウェア インク. 非弾性ストラップおよび交換可能な部分を有する訓練装置
JP2017018243A (ja)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アルカ トレーニングツ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0317813A (en) * 1903-08-17 1903-11-05 Bela Geza Meszaros Improvements in Toy Balloons.
DE281166C (ko) * 1912-10-30
ES23192U (es) * 1950-04-14 1950-06-16 Brescó Pont Florencio Un nuevo juguete
US3658326A (en) * 1968-03-11 1972-04-25 Thomas L Fawick Two-bulb, fluid filled hand exercising device
ES144405Y (es) * 1969-01-02 1969-12-01 Iglesia Dieguez Muneco de goma con globo hinchable silbante.
US3578318A (en) * 1969-02-20 1971-05-11 Monsanto Co Pneumatic amusement and educational device
ES176659U (es) * 1972-01-29 1972-08-16 Lafuente Manresa José De La Dispositivo neumático para muñecos
ES190147Y (es) * 1973-03-29 1974-11-01 Fabricantes De Munecas Muneco con dispositivo sonoro.
US4149338A (en) * 1977-02-07 1979-04-17 Tobin Wolf Child's toy and game
JPS55125324U (ko) * 1979-02-26 1980-09-05
DE8711404U1 (ko) * 1987-08-22 1987-12-03 Sanchez Giraldez, Jose Humberto, 2000 Hamburg, De
CN2030499U (zh) * 1988-02-11 1989-01-11 马岱玉 一种玩具气球的充气装置
US4909505A (en) * 1988-10-18 1990-03-20 Tee Virgil J Selectively connectable elastomeric exercise apparatus
USD349541S (en) * 1992-12-17 1994-08-09 Maven Labs, Inc. Hip and back exerciser
CN2271395Y (zh) * 1996-09-25 1997-12-31 力城玩具实业有限公司 玩具
US5706526A (en) * 1996-10-15 1998-01-13 Huang; Ann Swimming goggles
CN2414809Y (zh) * 2000-01-03 2001-01-17 廖聚源 揉捏变形玩具
JP2002095711A (ja) * 2000-09-25 2002-04-02 Ikuo Mikami リハビリ具
JP2002191716A (ja) * 2000-12-27 2002-07-10 Kitchen Process:Kk 運動用具
US20020111109A1 (en) * 2001-02-12 2002-08-15 Peter Kwan Multi-seasonal inflatable decoration
TW578580U (en) * 2003-01-15 2004-03-01 Wen-Yu He Elastic ring for exercise with adjustable tension
JP3998063B2 (ja) * 2003-02-19 2007-10-24 慶作 荒城 健康用具
CN1602979A (zh) * 2003-09-30 2005-04-06 易志阳 具有肌肤触压感的弹性体组成物及其制造方法
JPWO2005046824A1 (ja) * 2003-11-13 2007-08-09 株式会社ハンダ 風船、風船の口金構造、風船収納箱および風船自動販売機
JP3103331U (ja) * 2004-02-13 2004-08-05 株式会社ラナ 外皮内に膨張体を収納したボール
US20060217248A1 (en) * 2005-03-25 2006-09-28 Michele Diseati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7207930B2 (en) * 2005-04-08 2007-04-24 Marctec, Llc Exercise device
TWM303747U (en) * 2006-05-10 2007-01-01 Judy Teng Stretching strap
US8602952B1 (en) * 2007-05-10 2013-12-10 Christian Cruz Telescoping pre-tensioned resistance exercise assembly
CN101401993A (zh) * 2008-11-14 2009-04-08 韩真 手功能训练器
CN102029044A (zh) * 2009-09-29 2011-04-27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握力器
CN201551501U (zh) * 2009-12-24 2010-08-18 吕开雪 一种医用手部张合训练装置
CN201631599U (zh) * 2010-04-17 2010-11-17 王福平 充气式手指训练康复器
CN202366394U (zh) * 2011-12-23 2012-08-08 肇庆川越运动工业有限公司 一种硅橡胶球嘴
CN202537874U (zh) * 2012-04-26 2012-11-21 张化 一种手部骨创伤康复训练器
CN202761644U (zh) * 2012-09-26 2013-03-06 汕头大学医学院第一附属医院 手部康复训练器
TWM454862U (zh) * 2012-12-21 2013-06-11 zhao-xiong Chen 手部抓握運動球
US9358415B2 (en) * 2013-01-15 2016-06-07 Andrew Oakford Champion Spinal therapy device
TWM473851U (zh) * 2013-04-15 2014-03-11 Simpofit Co Ltd 簡易調整式手掌握力器
CN104546376A (zh) * 2013-10-23 2015-04-29 丹阳市司徒镇合玉健身器械厂 弹力训练球
US20170032719A1 (en) * 2015-07-28 2017-02-02 Betallic, L.L.C. Balloon and methods of attaching a balloon to a support structure
CN205215484U (zh) * 2015-12-21 2016-05-11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神经外科用手指防畸形锻炼护理装置
ITUB20160879A1 (it) * 2016-02-19 2017-08-19 Tecnocomponent Srl Attrezzo per l’allenamento fisico
CN205924820U (zh) * 2016-07-22 2017-02-08 苏州工业园区嘉友运动休闲用品有限公司 多功能健身装置
CN205995041U (zh) * 2016-08-29 2017-03-08 曾庆达 一种玩具水球
CN206121061U (zh) * 2016-08-31 2017-04-26 江苏前锋体育用品有限公司 柔软且具有适当强度的橡胶球
CN206275981U (zh) * 2016-12-14 2017-06-27 沧州医学高等专科学校 一种手部充气式气囊工具箱
CN206964988U (zh) * 2017-05-25 2018-02-06 金华市创意工具厂 一种舒张四肢的健身绳
CN206823067U (zh) * 2017-06-01 2018-01-02 上海市同济医院 舒缩式功能锻炼康复球
CN207445431U (zh) * 2017-11-06 2018-06-05 鼎亚国际有限公司 兰布达悬挂式训练带
CN207591290U (zh) * 2017-11-29 2018-07-10 祥缘有限公司 一种可重复改变形体的吸水玩具
CN207575637U (zh) * 2017-12-08 2018-07-06 吉林大学 一种多功能拉力带及包括该拉力带的折叠包
CN207734556U (zh) * 2017-12-19 2018-08-17 深圳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手部康复训练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160A (ja) * 1995-02-28 1996-09-10 Tabata:Kk スイミングゴーグル
JP2002515791A (ja) * 1996-09-20 2002-05-28 ウィルキンソン,ウィリアム,ティ. エネルギ消費衣類
JP2010538767A (ja) * 2007-09-17 2010-12-16 フィットネス エニウェア インク. 範囲が制限された非弾性訓練装置
JP2010538766A (ja) * 2007-09-17 2010-12-16 フィットネス エニウェア インク. 非弾性ストラップおよび交換可能な部分を有する訓練装置
JP2017018243A (ja) 2015-07-09 2017-01-26 株式会社アルカ トレーニングツ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67267A (en) 2021-09-24
SG11202007915YA (en) 2020-09-29
EP3842102A1 (en) 2021-06-30
TW202015759A (zh) 2020-05-01
CN111432896A (zh) 2020-07-17
TWI733165B (zh) 2021-07-11
AU2021250922A1 (en) 2021-12-09
AU2019323871B2 (en) 2021-11-04
CA3091732C (en) 2022-04-26
WO2020039667A1 (ja) 2020-02-27
US20210038939A1 (en) 2021-02-11
CA3091732A1 (en) 2020-02-27
AU2019323871A2 (en) 2020-10-01
EP3842102A4 (en) 2022-10-19
CN111432896B (zh) 2021-07-16
KR102199781B1 (ko) 2021-01-07
CN112957696A (zh) 2021-06-15
AU2019323871A1 (en)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72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targeted isolation and exercising of the gluteal muscles
US9901502B2 (en) Combination massage table with one or more resistance bands
KR102199781B1 (ko) 트레이닝용 벨트 및 고무공 부재
US20140342884A1 (en) Range of Motion Flexibility Device and Method of Use
US10265583B1 (en) Foam roller duet system
JP6664719B1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US10398923B2 (en) Adjustable resistance band and system including same
US20090197747A1 (en) Elastic Ring And Method Of Use In Performing Yoga Asanas
WO2021215231A1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および、ゴムまり部材
US20130150221A1 (en) Posture Development and Exercise Device
US20120208159A1 (en) Swim Harness For Instruction
JP6446654B1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
US5235714A (en) Combination stretching and back support device
US20190240554A1 (en) Throw training device
TWM576895U (zh) Wall-mounted stretching equipment
NZ767267B2 (en) Training belt and rubber ball member
JP7033358B1 (ja) トレーニング用ゴムまり部材
JP7086438B1 (ja) トレーニング用ベルト
US2017023951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eg Stretching
JP3219751U (ja) 腹筋運動補助具
JP2017184813A (ja) ボールを利用した運動具
US20120208158A1 (en) Swim Instruction Harness
GB2233211A (en) Back support
CA2980185A1 (en) Combination massage table with one or more resistance ba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