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674A - 촬상 렌즈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674A
KR20200085674A KR1020200002085A KR20200002085A KR20200085674A KR 20200085674 A KR20200085674 A KR 20200085674A KR 1020200002085 A KR1020200002085 A KR 1020200002085A KR 20200002085 A KR20200002085 A KR 20200002085A KR 20200085674 A KR20200085674 A KR 20200085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onditional expression
optical axis
object side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16,08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43190A1/en
Priority to TW109100680A priority patent/TWI824096B/zh
Priority to PCT/KR2020/000292 priority patent/WO2020145637A1/ko
Publication of KR2020008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다음의 조건식 1 < THlg1/THlg2 < 2 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촬상 렌즈{Imaging lens}
본 실시예는 촬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미지 픽업 시스템(Image pick-up system)과 관련하여 통신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DSC), 캠코더, PC 카메라(퍼스널 컴퓨터에 부속된 촬상 장치) 등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픽업 시스템과 관련된 카메라 모듈이 상(image)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 중 하나는 상을 결상하는 촬상 렌즈이다.
휴대폰 또는 차량용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및/또는 경량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촬상 렌즈도 소형화되고 있다. 또한, 촬상 렌즈를 작게 구현하는 것과 더불어 수광렌즈의 고성능화에 대응하여 촬상 렌즈의 고성능화도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촬상 렌즈는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렌즈 구동 장치를 통해서 오토 포커싱(Auto-Focusing, AF)과 손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 전체의 크기 축소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액체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를 통해 보이스 코일 모터 방식의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대비 축소된 크기를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1 < THlg1/THlg2 < 2
(상기 조건식 1에서 THlg1은 상기 제1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하고, THlg2는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제1렌즈군의 고체 렌즈의 개수는 상기 제2렌즈군의 고체 렌즈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는 양(+)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2렌즈군에서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는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아래의 조건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L2R2| < |L2R1|
(상기 조건식 2에서 L2R2는 상기 제2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2R1은 상기 제2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상기 촬상 렌즈 시스템은 아래의 조건식 3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G2 > G1
(상기 조건식 3에서 G1은 상기 제1렌즈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G2는 상기 제2렌즈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렌즈와 상기 제5 및 제6렌즈는 고체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
|L2R2| < |L2R1|
(상기 조건식 4에서 L2R2는 상기 제2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2R1은 상기 제2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5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
0.1 < THlg1/TTL < 0.5
(상기 조건식 5에서 THlg1은 상기 제1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하고, TTL은 상기 제1렌즈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6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6]
0 < Fg1/|Fg2| < 0.5
(상기 조건식 6에서 Fg1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g2는 상기 제2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제1항의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촬상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제3렌즈; 제1 내지 제5렌즈면을 포함하고, 가변되는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4렌즈의 상기 제3렌즈면은 전압 인가시 상측 방향으로 볼록해진다.
또한, 상기 제3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상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고,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상측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면과 상기 제3렌즈면 사이에는 제1액체가 배치되고, 상기 제3렌즈면과 상기 제4렌즈면 사이에는 제2액체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액체는 비전도 액체이고, 상기 제2액체는 전도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굴절력은 부 부터 정까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굴절력은 -50 디옵터 부터 1000 디옵터까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굴절력은 0 부터 정까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굴절력은 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면의 직경은 상기 제4렌즈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면의 직경에 대한 상기 제4렌즈면의 직경의 비는 1.1보다 크고 1.6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률은 1.5와 1.7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은 물체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상기 제3렌즈면은 전압 인가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에서 상기 제6렌즈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측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렌즈와 상기 제4렌즈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4렌즈와 상기 제5렌즈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면의 일부 영역은 중앙 영역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단부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보다 물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렌즈의 상기 물체측면의 상기 중앙 영역은 물체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일부 영역은 상측으로 오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렌즈의 물체측면의 중앙 영역은 물체측으로 볼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렌즈의 물체측면과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2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5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상기 제6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과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면 사이의 거리는 0.5mm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과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에 대한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과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면 사이의 거리의 비는 0.1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고의 2배에 대한 상기 제3렌즈의 상측면과 상기 제5렌즈의 물체측면 사이의 거리의 비는 0.1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과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전체 초점 거리의 비는 0.5와 1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고의 2배에 대한 상기 제1렌즈의 물체측면과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의 비는 0.5와 1.5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렌즈의 물체측면의 반경에 대한 상기 제2렌즈의 상측면의 반경의 비는 1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렌즈의 초점 거리의 역수는 -0.05와 0.1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렌즈의 유효경의 80% 위치에서의 SAG는 0 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1 내지 제5렌즈면을 포함하고, 가변되는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4렌즈의 상기 제3렌즈면은 전압 인가시 곡률 반경이 작아진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배치되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1 내지 제5렌즈면을 포함하고, 가변되는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물체측면의 일부 영역은 중앙 영역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단부 영역은 상기 중앙 영역보다 물체측에 위치하는 제5렌즈; 및 제6렌즈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해, 액체 렌즈를 이용하여 AF 또는 OIS를 수행할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4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대각화각(DFOV)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렌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물체측면'이라 함은 물체를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하고 '상측면'이라 함은 결상면을 향하는 렌즈의 면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길이, 거리, 곡률반경, 두께 등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6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및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서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및 조리개(STOP)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상측(Image side)으로 순서대로 제1렌즈(100), 조리개(STOP),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5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7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렌즈(100) 내지 제6렌즈(600) 사이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100)의 앞 또는 제6렌즈(600)의 뒤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OP)와 렌즈 사이, 렌즈와 필터(700) 사이 및 필터(700)와 이미지 센서(800) 사이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필터(700)는 평판 렌즈일 수 있다. 평판 렌즈의 굴절력은 '0'일 수 있다. 평판 렌즈의 굴절력은 없을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OP)와 렌즈 사이, 렌즈와 필터(700) 사이 및 필터(700)와 이미지 센서(800) 사이에 필터 레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레이어는 코팅되어 필터가 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제1렌즈(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물체측에 가장 인접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물체측에서 첫번째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물체측에서 첫번째로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100)와 제2렌즈(200)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100)와 제6렌즈(600) 사이에는 제2 내지 제5렌즈(200, 300, 400, 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100)와 제6렌즈(600) 사이에는 제2 내지 제5렌즈(200, 300, 400, 500) 이외의 다른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6렌즈(100, 200, 300, 400, 500, 600)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상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물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상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광축에서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제1렌즈(1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양면은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제2렌즈(2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제3렌즈(3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제5렌즈(5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제6렌즈(6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1.5 < N1 < 1.7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100)는 1.53 < N1 < 1.6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N1은 제1렌즈(100)의 굴절률(Index)이다. 제1렌즈(100)는 20 < V1 < 6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100)는 22 < V1 < 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V1은 제1렌즈(100)의 아베수(Abbe#)이다.
촬상 렌즈는 제2렌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물체측에서 두번째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200)는 물체측에서 두번째로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제1렌즈(100)와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조리개(STOP)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제1렌즈(100)와 제3렌즈(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00)와 제1렌즈(100) 사이 또는 제2렌즈(200)와 제3렌즈(300)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2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상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광축에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 측으로 갈수록 물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렌즈(200)의 직경은 제1렌즈(1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두께는 제1렌즈(1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광축(C)를 기준으로, 제2렌즈(200)와 제1렌즈(100) 사이의 거리는 제2렌즈(200)와 제3렌즈(30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2렌즈(200)이 상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200)의 양면은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제1렌즈(1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제3렌즈(3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제5렌즈(5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제6렌즈(6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는 1.6 < N2 < 1.7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2렌즈(200)는 1.64 < N2 < 1.6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N2는 제2렌즈(200)의 굴절률(Index)이다. 제2렌즈(200)는 15 < V2 < 2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2렌즈(200)는 17 < V2 < 2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V2는 제2렌즈(200)의 아베수(Abbe#)이다.
촬상 렌즈는 제3렌즈(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물체측에서 세번째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물체측에서 세번째로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제2렌즈(200)와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제2렌즈(200)와 제4렌즈(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300)와 제2렌즈(200) 사이 또는 제3렌즈(300)와 제4렌즈(400)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 방향으로 볼록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 측으로 갈수록 평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직경은 제1렌즈(100)의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두께는 제1렌즈(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직경은 제4렌즈(4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두께는 제4렌즈(40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C)를 기준으로, 제3렌즈(300)와 제2렌즈(200) 사이의 거리는 제3렌즈(300)와 제4렌즈(400)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작을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양면은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제1렌즈(1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제2렌즈(2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제5렌즈(500)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제6렌즈(6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1.5 < N3 < 1.6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3렌즈(300)는 1.52 < N3 < 1.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N3는 제3렌즈(300)의 굴절률(Index)이다. 제3렌즈(300)는 50 < V3 < 6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3렌즈(300)는 52 < V3 < 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V3는 제3렌즈(300)의 아베수(Abbe#)이다.
촬상 렌즈는 제4렌즈(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렌즈(400)는 물체측에서 네번째로 배치될 렌즈일 수 있다. 제4렌즈(400)는 물체측에서 네번째로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상측에서 세번째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상측에서 세번째로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제3렌즈(300)와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제3렌즈(300)와 제5렌즈(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렌즈(400)와 제3렌즈(300) 사이 또는 제4렌즈(400)와 제5렌즈(500)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4렌즈(400)의 직경은 제1 내지 제3렌즈(100, 200, 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C)를 기준으로, 제4렌즈(400)와 제3렌즈(300) 사이의 거리는 제4렌즈(400)와 제5렌즈(50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4렌즈(400)의 초점 거리의 역수는 -0.05와 0.1 사이일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가변 렌즈는 가변되는 렌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제1 내지 제5렌즈면(7, 8, 9, 10, 11)을 포함할 수 있다. 초점 가변 렌즈는 액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액체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는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일 수 있다. 두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렌즈에 인가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형성하는 계면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제3렌즈(300)와 제5렌즈(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는 고체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체렌즈는 고체렌즈와 이격될 수 있다. 액체렌즈는 가변렌즈일 수 있다. 액체렌즈는 자동 초점 조절 렌즈일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제1액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420)는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액체(420)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제1액체(420)는 제2액체(430)와 접촉될 수 있다. 제1액체(420)의 상측면은 제2액체(430)의 물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제2액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액체(430)는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액체(430)는 비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변형례로, 제1액체(420)는 비전도성을 가지고 제2액체(430)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액체렌즈는 경계면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계면은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가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계면은 제1액체(420)의 상측과 제2액체(430)의 물체측이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계면은 굴절면일 수 있다. 경계면은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곡률이 가변될 수 있다.
변형례로, 액체렌즈는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일 수 있다. 한 종류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는 액체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멤브레인을 조절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와 코일의 전자기력에 의해 멤브레인을 가압하여 초점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는, 액체렌즈는 세 종류 이상의 액체를 포함하는 액체렌즈일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가 배치되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제1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압에 대응하여 초점 거리가 조정되는 액체렌즈는 전극을 통해서 동작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의 전극은 개별전극과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공통전극은 하나일수 있고, 개별전극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전극은 액체렌즈의 4개 또는 8개의 개별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개별전극은 제1플레이트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극은 제1 플레이트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전극은 액체렌즈의 제1면의 반대편의 제2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개별전극과 공통전극을 통해서 동작 전압이 인가되면 렌즈영역에 배치된 도전성 액체와 비도전성 액체의 계면이 변형될 수 있다.
액체렌즈의 일측은 개별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액체렌즈의 다른 일측은 공통전극으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AF 기능 및 OIS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수행될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제2플레이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는 제1 플레이트(41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제3플레이트(440)와 이격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제1플레이트(415)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는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제3플레이트(440)와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제3플레이트(440)보다 물체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제1액체(420)의 물체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굴절력이 '0'일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제1액체(4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와 제3렌즈(300) 사이의 광축상 거리는 제3플레이트(440)와 제5렌즈(500) 사이의 광축상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3플레이트(440)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제4렌즈(400)는 제3플레이트(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제2플레이트(4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제2플레이트(410)와 광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제2플레이트(410)보다 상측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제2액체(430)의 상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굴절력이 '0'일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는 제2액체(4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3플레이트(440)의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플레이트(410)의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제1액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420)는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액체(420)는 제2렌즈면(8)과 제3렌즈면(9)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액체(420)는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액체렌즈는 제2액체(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액체(430)는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액체(430)는 제3렌즈면(9)와 제4렌즈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액체(430)는 비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4렌즈(400)의 제3렌즈면(9)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해질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4렌즈(400)의 제2렌즈면(8)은 직경 또는 곡률 반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렌즈(400)는 가변되는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렌즈(400)의 굴절력은 음(-)부터 양(+)까지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제4렌즈(400)의 굴절력은 -50디옵터 내지 1000디옵터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4렌즈(400)는 0부터 양(+)까지, 또는 양(+)의 범위 내에서 가변될 수도 있다.
제4렌즈(400)의 제2렌즈면(8)의 직경은 제4렌즈면(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렌즈면(8)의 직경에 대한 제4렌즈면(10)의 직경의 비는 1.1과 1.6 사이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4렌즈(400)를 지나는 광을 이미지 센서(800)에 효율적으로 수광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4렌즈(400)의 단면도를 참조하여 액체렌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제4렌즈(400)의 단면도이다.
제4렌즈(400)는 액체렌즈(400)일 수 있다. 액체렌즈(400)는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와, 제1플레이트(415)와, 제1전극(425)과, 제2전극(4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체(420)는 비전도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액체(420)는 오일(oil)일 수 있다. 제2액체(430)는 전도성의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액체(430)는 물(water)일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는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가 배치되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 위 또는 아래에는 전극(425, 435)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415) 아래에 제1전극(425)이 배치되고, 제1플레이트(415) 위에는 제2전극(43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 위 또는 아래에는 제2플레이트(410) 및/또는 제3플레이트(44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전극(435)의 아래에 제3플레이트(440)가 배치될 수 있고, 제1전극(425) 위에 제2플레이트(4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는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의 사이에 배치되고, 기설정된 경사면(예를 들면, 약 55~65도 또는 50~70도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경사면과 제2플레이트(410)와 접촉하는 제1개구부 및 제3플레이트(440)에 인접한 제2 개구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캐비티(cavity)'라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구부들의 크기는 수평 방향의 단면적이나, 또는 개구부의 단면이 원형이면 반지름을 뜻하고, 정사각형이면 대각선의 길이를 뜻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는 제1 및 2 액체(420, 430)를 수용하는 구조물이다. 제2플레이트(410) 및 제3플레이트(440)는 광이 통과하는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서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유리(glass)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정의 편의상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플레이트(415)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광의 투과가 용이하지 않도록 불순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플레이트(410)는 제3렌즈(3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이 상기의 캐비티 내부로 진행할 때 입사하는 구성이고, 제3플레이트(440)는 상술한 캐비티를 통과한 광이 제5렌즈(500)로 진행할 때 통과하는 구성이다.
상술한 캐비티에는 서로 다른 성질의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가 채워질 수 있고,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의 사이에는 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가 이루는 계면은 굴곡, 경사도 등이 변할 수 있다.
제1전극(425)은 제1플레이트(415)의 하부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1액체(42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전극(435)은 제1전극(425)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플레이트(415)의 상부면과 측면 및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415)의 내측면은 캐비티의 측벽(i)을 이룰 수 있다. 제1액체(420) 또는 제2액체(430)와 제1전극(425) 사이에는 절연층(4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액체(430)의 일부와 제2전극(435)의 일부는 접촉할 수 있다. 제1전극(425)과 제2전극(435)은 제1액체(420)와 제2액체(430)의 경계면을 제어하기 위하여 외부의 회로 기판으로부터 수신되는 전기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1전극(425)과 제2전극(435)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층(450)은 캐비티의 상부 영역에서 제2플레이트(410)의 하부면의 일부와, 캐비티의 측벽을 이루는 제1전극(425)의 일부를 덮으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층(450)은 제1플레이트(415)의 하부면에서 제1전극(425)의 일부와 제1플레이트(415) 및 제2전극(435)을 덮으며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액체(420)와 제2플레이트(410)의 사이에는 절연층(4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액체(430)는 제3플레이트(440)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제2플레이트(410)와 제3플레이트(440)의 가장 자리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1전극(425)은 제2플레이트(410)의 외곽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노출되고, 제2전극(435)은 제3플레이트(440)의 가장 자리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플레이트(410)의 바깥 영역에서 제1전극(425) 상에는 제1접촉전극(426)이 배치되고, 제3플레이트(400)의 바깥 영역에서 제2전극(435) 상에는 제2접촉전극(436)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2 접촉 전극(426, 436)은 연결 기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전극(425)과 제1접촉전극(426)의 사이에는 전도성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전극(435)과 제2접촉전극(436)의 사이에도 전도성 에폭시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촉전극(426)과 제2접촉전극(436)은, 제1전극(425) 및 제2전극(435)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렌즈(400)를 포함하는 촬상 렌즈는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가 고정되고, 내부의 액체렌즈(400)의 초점 거리와 디옵터 등이 가변될 수 있다. 즉, 촬상 렌즈 내의 렌즈들(100, 200, 300, 400, 500, 600)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AF가 가능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제5렌즈(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상측에서 두번째로 배치된 렌즈일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상측에서 두번째로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제4렌즈(400)와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제4렌즈(400)와 제6렌즈(6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렌즈(500)와 제4렌즈(400) 사이 또는 제5렌즈(500)와 제6렌즈(600)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5렌즈(500)는 물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C)과 인접하는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중앙 영역은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C)과 가장 멀리 이격되는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단부 영역은 중앙 영역보다 물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중앙 영역과 단부 영역을 연결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중앙 영역에 비해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중앙 영역과 단부 영역을 연결하는 부분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상측면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5렌즈(5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광축에서 오목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상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으로 갈수록 물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 측으로 갈수록 평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상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물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상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직경은 제4렌즈(4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두께는 제4렌즈(4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광축(C)를 기준으로, 제5렌즈(500)와 제4렌즈(400) 사이의 거리는 제5렌즈(500)와 제6렌즈(600) 사이의 거리보다 길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상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제5렌즈(5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제5렌즈(5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양면은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제1렌즈(1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제2렌즈(2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제3렌즈(300)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제6렌즈(600)보다 높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5렌즈(500)는 1.5 < N5 < 1.6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5렌즈(500)는 1.52 < N5 < 1.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N5는 제5렌즈(500)의 굴절률(Index)이다. 제5렌즈(500)는 50 < V5 < 6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5렌즈(500)는 52 < V5 < 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V5는 제5렌즈(500)의 아베수(Abbe#)이다.
제5렌즈(500)의 유효경의 80% 위치(P)에서의 SAG는 0 보다 클 수 있다. 제5렌즈(500)의 유효경인 단부 영역에서 광축(C)으로 수선을 내리는 경우 광축(C)과의 교점은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정점보다 물체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5렌즈(500)의 유효경의 80% 위치(P)에서 광축(C)으로 수선을 내리는 경우 광축(C)과의 교점은 제5 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정점보다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정점이란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과 광축(C)이 만나는 교점을 의미한다.
촬상 렌즈는 제6렌즈(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상측과 가장 인접한 렌즈일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제5렌즈(500)와 상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제5렌즈(500)와 필터(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6렌즈(600)와 제5렌즈(500) 사이 또는 제6렌즈(600)와 필터(700) 사이에는 렌즈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6렌즈(6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상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광축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으로 갈수록 물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 측으로 갈수록 평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상측면은 중심부에서 주변부 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상측면은 주변부에서 최외곽 영역으로 갈수록 물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광축(C) 방향에서 중심부의 두께는 광축(C) 방향에서 나머지 영역의 두께보다 짧을 수 있따. 광축(C)를 기준으로, 제6렌즈(600)와 제5렌즈(500) 사이의 거리는 제6렌즈(600)와 필터(700) 사이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직경은 제5렌즈(5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두께는 제5렌즈(50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상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6렌즈(6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제6렌즈(6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양면은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양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포함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제6렌즈(600)는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제1렌즈(1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제2렌즈(2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제3렌즈(3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제5렌즈(500)보다 낮은 굴절률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6렌즈(600)는 1.5 < N6 < 1.7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6렌즈(600)는 1.52 < N6 < 1.6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N6는 제6렌즈(600)의 굴절률(Index)이다. 제6렌즈(600)는 18 < V6 < 6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제6렌즈(600)는 20 < V6 < 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V6는 제6렌즈(600)의 아베수(Abbe#)이다.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5렌즈(500) 및 제6렌즈(600)의 모든 렌즈면은 구면 또는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5렌즈(500) 및 제6렌즈(600) 각각은 양면이 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5렌즈(500) 및 제6렌즈(600) 각각은 양면이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5렌즈(500) 및 제6렌즈(600) 각각은 양면 중 어느 한 면은 구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 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렌즈(200)에서 제6렌즈(600)으로 갈수록 광축(C)에서의 직경은 점점 커질 수 있다. 제2렌즈(200)에서 제6렌즈(600)으로 갈수록 광축(C)에서의 두께는 점점 커질 수 있다.
촬상 렌즈는 필터(7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700)는 제6 렌즈(600)보다 물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700)는 적외선 필터 및 커버 글래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필터(700)로서 적외선 필터가 적용되는 경우, 외부 빛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이 수광소자에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필터는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은 반사시켜 외부로 유출시킨다.
촬상 렌즈는 이미지 센서(8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0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00)의 단위 픽셀의 가로 및/또는 세로의 길이는 2um(마이크로 미터) 이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소 및/또는 화소수가 높은 카메라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촬상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제1렌즈(100)와 제2렌즈(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제2렌즈(200)보다 제1렌즈(10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제1렌즈(100)를 통과한 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제2렌즈(200)로 입사하는 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리개(STOP)는 구경 조리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초점 가변 렌즈(예를들어 액체 렌즈)를 기준으로 물측에 배치되는 제1렌즈군과 초점 가변 렌즈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제2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렌즈의 액체가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의 캐비티는 경사면을 가질수 있다. 경사면을 가짐으로 인해 액체 렌즈의 제1플레이트의 캐비티의 조리개(STOP)에 인접한 개구의 직경은 제1플레이트의 캐비티의 조리개(STOP)에서 먼 측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다음의 조건식1 내지 조건식 65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 및 실시예는 작용 효과를 상승시키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조건식들 중 일부의 조건식들만을 만족하는 것으로도 본 발명의 광학 장치의 구성은 상승된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조건식 1]
1.2 < d1/d2 < 1.8
조건식 1에서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2는 제4렌즈(400)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은 1.4 < d1/d2 < 1.7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
0 < Fg1/|Fg2| < 0.5
조건식 2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는 0 < Fg1/|Fg2|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
0.1 < d1/TTL < 0.4
조건식 3에서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은 0.2 < d1/TTL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조건식 3은 d1/TTL > 0.1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
0.1 < d1/imgH < 0.4
조건식 4에서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4는 0.15 < d1/imgH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
0.8mm < d1 < 2.0mm
조건식 5에서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는 1.0mm < d1 < 1.6mm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조건식 5는 d1 < 0.5mm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6]
0.1 < THlg1/TTL < 0.5
조건식 6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6은 0.2 < THlg1/TTL < 0.3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7]
0.1 < THlg2/TTL < 0.5
조건식 7에서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7은 0.15 < THlg2/TTL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8]
0.1 < THlg1/imgH < 0.4
조건식 8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8은 0.15 < THlg1/imgH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9]
0.1 < THlg2/imgH < 0.4
조건식 9에서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9는 0.15 < THlg2/imgH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0]
0.5 < THlg1/d1 < 1.5
조건식 10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0은 0.8 < THlg1/d1 < 1.3 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1]
1 < THlg1/d2 < 2
조건식 11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2는 제4렌즈(400)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1은 1.3 < THlg1/d2 < 1.8 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2]
0.5 < THlg2/d1 < 1.5
조건식 12에서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2는 0.7 < THlg2/d1 < 1.2 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3]
1 < THlg2/d2 < 2
조건식 13에서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2는 제4렌즈(400)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3은 1.0 < THlg2/d2 < 1.7 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4]
0 < TTL/|D_inf| < 8
조건식 14에서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4는 1 < TTL/|D_inf| < 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5]
0.1 < TTL/|D_macro| < 0.5
조건식 15에서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5는 0.15 < TTL/|D_macro| < 0.4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6]
0 < imgH/|D_inf| < 8
조건식 16에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16은 1 < imgH/|D_inf| < 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7]
0.1 < imgH/|D_macro| < 0.4
조건식 17에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17은 0.2 < imgH/|D_mac| < 0.4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8]
0.6 < F_macro/F_inf < 1.5
조건식 18에서 F_macro는 물체거리 10cm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_inf는 물체거리 infinity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8은 0.8 < F_macro/F_inf < 1.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9]
0.5 < Fno/|D_inf| < 2.0
조건식 19에서 Fno는 전체 광학계의 F-number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19는 0.8 < Fno/D_inf < 1.4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0]
0 < Fno/D_macro < 0.4
조건식 20에서 Fno는 전체 광학계의 F-number를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0은 0 < Fno/D_macro < 0.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1]
0.5 < Fno/d1 < 4
조건식 21에서 Fno는 전체 광학계의 F-number를 의미하고,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1은 1 < Fno/d1 < 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2]
0.5 < Fg1/TTL < 2
조건식 22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2는 0.8 < Fg1/TTL < 1.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3]
|Fg2|/TTL > 1
조건식 23에서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3은 |Fg2|/TTL > 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4]
0.5 < Fg1/imgH < 1.2
조건식 24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24는 0.6 < Fg1/imgH < 1.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5]
|Fg2|/imgH > 1.0
조건식 25에서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25는 |Fg2|/imgH > 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6]
0 < f1/|L1R1| < 5
조건식 26에서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L1R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6은 0 < f1/|L1R1| < 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7]
0 < L2R2/|f2| < 1
조건식 27에서 L2R2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f2는 제2렌즈(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7은 0 < L2R2/|f2| < 0.7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8]
0.5 < Fg1/f1 < 3.0
조건식 28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8은 0.8 < Fg1/f1 < 2.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29]
0 < Fg1/|f2| < 5
조건식 29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2는 제2렌즈(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29는 0.5 < Fg1/|f2| < 4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0]
0 < Fg1/|L1R1| < 5
조건식 30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L1R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0은 0 < Fg1/|L1R1| < 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1]
1 < Fg1/L2R2 < 10
조건식 31에서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L2R2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1은 2 < Fg1/L2R2 < 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2]
|Fg2|/f1 > 1
조건식 32에서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2는 |Fg2|/f1 > 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3]
|Fg2|/|f2| > 1
조건식 33에서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2는 제2렌즈(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3은 |Fg2|/|f2| > 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4]
|Fg2|/|L1R1| > 0.2
조건식 34에서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L1R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4는 |Fg2|/|L1R1|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5]
|Fg2|/L2R2 > 5
조건식 35에서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L2R2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5는 |Fg2|/L2R2 > 1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6]
0 < tan(DFOV/2)/|D_inf| < 0.8
조건식 36에서 DFOV는 물체측에서 최대 상고로 입사되는 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의 2배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6은 0 < tan(DFOV/2)/|D_inf| < 0.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7]
0 < tan(DFOV/2)/|D_macro| < 0.5
조건식 37에서 DFOV는 물체측에서 최대 상고로 입사되는 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의 2배를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7은 0 < tan(DFOV/2)/|D_macro| < 0.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8]
1.5 < G1 < 1.7
조건식 38에서 G1은 제1렌즈(100)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G1은 파장 587nm에서 제1렌즈(100)의 굴절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조건식 38은 1.53 < G1 < 1.6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39]
20 < V1 < 60
조건식 39에서 v1은 제1렌즈(100)의 아베수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39는 21 < V1 < 5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0]
0 < |L1R2|/|L1R1| < 1
조건식 40에서 L1R2는 제1렌즈(1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하고, L1R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0은 0 < |L1R2|/|L1R1| < 0.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1]
0.7 < TTL/imgH < 1.3
조건식 41에서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조건식 41은 0.5 < TTL/imgH < 1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조건식 41은 0.5 < TTL/imgH < 1.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2]
0.5 < F_inf/TTL < 1.5
조건식 42에서 F_inf는 물체거리 infinity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2는 0.6 < F_inf/TTL < 1.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3]
0.5 < F_macro/TTL < 1
조건식 43에서 F_maro는 물체거리 10cm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3은 0.6 < F_macro/TTL < 0.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4]
0.5 < F_inf/f1 < 2
조건식 44에서 F_inf는 물체거리 infinity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한다. 또한, 조건식 44는 0.7 < F_inf/f1 < 1.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5]
0.5 < F_macro/f1 < 2
조건식 45에서 F_macro는 물체거리 10cm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5는 0.65 < F_macro/f1 < 1.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6]
0.2 < F_inf/|f2| < 3
조건식 46에서 F_inf는 물체거리 infinity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2는 제2렌즈(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6은 0.4 < F_inf/|f2| < 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7]
0.2 < F_macro/|f2| < 2.0
조건식 47에서 F_macro는 물체거리 10cm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2는 제2렌즈(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7은 0.4 < F_macro/|f2| < 1.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8]
1 < THlg1/THlg2 < 2
조건식 48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48은 1 < THlg1/THlg2 < 1.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49]
G2 > G1
조건식 49에서 G1은 제1렌즈(100)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G2는 제2렌즈(200)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또한, G1은 파장 587nm에서 제1렌즈(100)의 굴절률을 의미할 수 있고, G2는 파장 587nm에서 제2렌즈(200)의 굴절률을 의미할 수 있다.
[조건식 50]
|L2R2| < |L2R1|
조건식 50에서 L2R2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2R1은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조건식 51]
0.5 < F/TTL < 1.0
조건식 51에서 F는 전체 광학계 즉, 제1렌즈(100) 내지 제6렌즈(600)의 전체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1은 0.5 < F/TTL < 0.8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2]
L2R2/L3R1 < 1
조건식 52에서 L2R2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3R1은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2는 0 < L2R2/L3R1 < 0.6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3]
SAG5 > 0
조건식 53에서 SAG란 렌즈의 면의 해당 영역에서 광축(C)에 수선을 내리는 경우 광축(C)과 만나는 점과 렌즈의 정점의 비를 의미한다. 또한, SAG5는 제5렌즈(500) 유효경의 80% 위치(P)에서의 SAG값을 의미한다. 즉, 제5렌즈(500)의 유효경인 단부 영역에서 광축(C)으로 수선을 내리는 경우 광축(C)과의 교점은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정점보다 물체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5렌즈(500)의 유효경의 80% 위치(P)에서 광축(C)으로 수선을 내리는 경우 광축(C)과의 교점은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의 정점보다 상측 방향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건식 54]
0 < THlg1/|D_inf| < 2
조건식 54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4는 0.3 < THlg1/|D_inf| < 1.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5]
0 < THlg2/|D_inf| < 1.5
조건식 55에서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5는 0.3 < THlg2/|D_inf| < 1.0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6]
0 < THlg1/|D_macro| < 0.5
조건식 56에서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6은 0 < THlg1/|D_macro| < 0.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7]
0 < THlg2/|D_macro| < 0.5
조건식 57에서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7은 0 < THlg2/|D_macro| < 0.2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8]
0.5 < TTL/Fg1 < 2
조건식 58에서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8은 0.8 < TTL/Fg1 < 1.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59]
0 < TTL/|Fg2| < 0.5
조건식 59에서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59는 0 < TTL/|Fg2| < 0.3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60]
0 < L2R2/|L2R1| < 1
조건식 60에서 L2R2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2R1은 제2렌즈(200)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또한, 조건식 60은 0 < L2R2/|L2R1| < 0.5의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61]
THI > 0.5
조건식 61에서 THI는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 물체측면까지의 광축 거리를 의미한다. 즉, 제3렌즈(300)의 상측면과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 사이의 거리는 0.5mm 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건식 62]
THI/TTL > 0.1
조건식 62에서 THI는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과 이미지 센서(800)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제3렌즈(300)의 상측면과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 사이의 거리의 비는 0.1 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건식 63]
THI/(Yx2) > 0.1
조건식 63에서 THI는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Y는 이미지 센서(800)의 광축(C)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상고의 2배에 대한 제3렌즈(300)의 상측면과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 사이의 거리의 비는 0.1 보다 클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건식 64]
0.5 < TTL/(Yx2) < 1.5
조건식 64에서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Y는 이미지 센서(800)의 광축(C)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상고의 2배에 대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과 이미지 센서(800) 사이의 거리의 비는 0.5와 1.5 사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건식 65]
R5/R6 < 1
조건식 65에서 R5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반경을 의미하고, R6는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반경을 의미한다. 즉,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반경에 대한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반경의 비는 1 보다 작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비구면은 수학식 1로부터 얻을 수 있다. 코닉(conic)상수 k 및 비구면 계수 A, B, C, D, E, F에 사용되는 E 및 이에 이어지는 숫자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E+01은 101을 나타내고, E-02는 10-2를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c는 렌즈의 기본 곡률을 의미한다. Y는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를 의미한다. K는 코닉상수를 의미한다. A, B, C, D, E는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다.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
1* 5.9128 0.3270 1.6397 23.5
2* -1.7386 0.0200  
Stop infinity 0.0100  
3* 4.9099 0.2000 1.6714 19.2
4* 0.8834 0.0634  
5* 1.5907 0.3990 1.5441 56.1
6* -14.1057 0.1200  
7 infinity
8 infinity
9 variable
10 infinity
11 infinity 0.2573  
12* -87.3623 0.4203 1.5441 56.1
13* -1.0332 0.0691  
14* 1.6653 0.3200 1.5343 55.6
15* 0.5487 0.3615  
filter infinity 0.1100 1.523 54.5
Image infinity 0.5741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면 번호(Surface), 곡률반경(Radius),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면 사이의 거리(THl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를 나타낸다. 이때, 곡률반경과 두께 또는 거리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1* 2* 3* 4* 5* 6* 12* 13* 14* 15*
K 0 -0.69321 0 -0.46422 -7.03203 0 0 -2.97372 -21.0271 -4.01966
A 0.000546 1.522315 0.636071 -1.41188 -0.28429 -0.12993 0.108564 0.442689 -0.62 -0.384
B -0.44903 -10.4344 -5.45276 8.539791 3.373035 0.239266 0.34132 -1.49811 0.712277 0.502574
D 7.893625 70.11115 37.8362 -50.0726 -17.7201 -2.32627 -2.93367 4.23278 -0.7357 -0.48059
E -60.2494 -351.643 -216.305 203.957 65.84673 16.03216 8.6351 -8.4116 0.893787 0.31687
F 276.4116 1167.664 813.9539 -567.055 -166.892 -62.1712 -13.5715 11.57459 -1.06267 -0.1404
G -788.938 -2393.51 -1879.42 1009.33 271.4156 142.0093 12.05839 -10.2391 0.981293 0.040106
H 1364.139 2724.942 2404.017 -1042.15 -258.952 -168.769 -5.7394 5.433018 -0.56871 -0.00697
I -1305.14 -1314.72 -1306.45 475.7661 111.9642 80.82503 1.127029 -1.56645 0.17663 0.000665
J 528.9683 0 0 0 0 0 0 0.188501 -0.02237 -2.75E-05
표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의 값과 코닉상수(k)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
imgH 4.5
F_inf 2.786
F_macro 2.67
D_inf 2.00
D_macro 19.23
Fg1 3.833
Fg2 16.534
TTL 3.937
Fno 2.264
DFOV 76.33
G1 1.6397
V1 23.52
d1 1.0637
d2 0.734
THLg1 1.0194
THLg2 0.809
f1 2.115
f2 -1.618
L1R1 5.9128
L2R2 0.8834
L1R2 -1.7386
L3R1 1.5907
F 2.78
THI 1.064
Y 2.25
F/TTL 0.705
TTL/(Y*2) 0.875
R5 0.8834
R6 1.5907
SAG5 0.0268
표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특성을 나타낸다.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하고, F_inf는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_macro는 물체거리 10cm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D_inf는 1000mm를 물체거리 무한대(infinity)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하고, D_macro는 1000mm를 물체거리 10cm 상태에서 제4렌즈(400)의 초점거리로 나눈 값을 의미하고, Fg1은 제1렌즈군(예를 들어, 제1렌즈(100)에서 제3렌즈(3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g2는 제2렌즈군(예를 들어, 제5렌즈(500)에서 제6렌즈(600))의 합성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TTL은 제1렌즈(100)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Fno는 전체 광학계의 F-number를 의미하고, DFOV는 물체측에서 최대 상고로 입사되는 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의 2배를 의미하고, G1은 제1렌즈(100)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G2는 제2렌즈(200)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V1은 제1렌즈(100)의 아베수를 의미하고, d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거리(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d2는 제4렌즈(400)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하고, THlg1은 광축상에서 제1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3렌즈(3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THlg2는 광축상에서 제2렌즈군의 두께(예를 들어, 광축상에서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으로부터 제6렌즈(600)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f1은 제1렌즈(1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f2는 제2렌즈(200)의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L1R1은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하고, L2R2은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하고, L1R2는 제1렌즈(1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하고, L3R1은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을 의미하고, SAG는 렌즈의 면의 해당 영역에서 광축(C)에서 수선을 내리는 경우 광축(C)과 만나는 점과 렌즈의 정점의 비를 의미하고, F는 전체 광학계 즉, 제1렌즈(100) 내지 제6렌즈(600)의 전체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하고, THI는 제3렌즈(300)의 상측면으로부터 제5렌즈(500)의 물체측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Y는 이미지 센서(800)의 광축(C)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를 의미하고, R5는 제2렌즈(200)의 상측면의 반경을 의미하고, R6는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반경을 의미하고, SAG5는 제5렌즈(500) 유효경의 80% 위치(P)에서의 SAG값을 의미한다. 이때, imgH, TTL, Fno, F_inf, F_macro, Fg1, Fg2, d1, d2, THlg1, THlg2, f1, f2, L1R1, L2R2, L1R2의 단위는 mm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대각화각(DFOV)의 개념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대각화각(DFOV)의 개념도이다.
이때, 화각(FOV)은 대각화각(Diagonal FOV, DFOV)일 수 있다. 대각화각(DFOV)은 수평화각(Horizontal FOV, HFOV) 및 수직화각(Vertical FOV, VFOV)과는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수평화각(HFOV)은 대각화각(DFOV)의 0.8배일 수 있다. 또한, 화각(FOV)은 반화각(HFOV)과 구분될 수 있다. 화각(FOV)은 이미지 센서의 4개의 꼭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원의 지름을 의미하는 것이고, 반화각(HFOV)은 언급한 가상의 원의 반지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화각(FOV)은 반화각(HFOV)의 2배일 수 있다.
대각화각(DFOV)은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DFOV = 2*arctan(imgH/(2*F))
여기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결상면의 대각 길이를 의미하고, F는 광학계의 유효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또한, imgH는 결상면의 광축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최대 상고까지의 거리의 2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imgH는 이미지 센서(800)의 유효영역(810)의 대각 길이와 같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6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및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서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및 조리개(STOP)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상측(Image side)으로 순서대로 제1렌즈(100), 조리개(STOP),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5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7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렌즈(100) 내지 제6렌즈(600) 사이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100)의 앞 또는 제6렌즈(600)의 뒤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OP)와 렌즈 사이, 렌즈와 필터(700) 사이 및 필터(700)와 이미지 센서(800) 사이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필터(700)는 평판 렌즈일 수 있다. 평판 렌즈의 굴절력은 '0'일 수 있다. 평판 렌즈의 굴절력은 없을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OP)와 렌즈 사이, 렌즈와 필터(700) 사이 및 필터(700)와 이미지 센서(800) 사이에 필터 레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레이어는 코팅되어 필터가 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1렌즈(10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물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오목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오목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상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meniscus)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광축에서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1렌즈(1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제1렌즈(1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제1렌즈(1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와 곡률 반경,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면 사이의 거리, 굴절률, 아베수,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
1* -212.382 0.342 1.6397 23.5
2* -1.707 0.080  
Stop infinity 0.020  
3* 6.615 0.220 1.6714 19.2
4* 1.083 0.087  
5* 1.982 0.491 1.5441 56.1
6* -4.738 0.122  
7 infinity
8 infinity
9 variable
10 infinity
11 infinity 0.299  
12* -343.748 0.448 1.5441 56.1
13* -1.549 0.242  
14* 2.582 0.374 1.5343 55.6
15* 0.791 0.361  
filter infinity 0.110 1.523 54.5
Image infinity 0.489  
표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면 번호(Surface), 곡률반경(Radius),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면 사이의 거리(THl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를 나타낸다. 이때, 곡률반경과 두께 또는 거리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1* 2* 3* 4* 5* 6* 12* 13* 14* 15*
K 0.00000000 0.50531824 0.00000000 -0.00750068 -11.06086907 9.45638469 0.00000000 -1.72326948 -9.47414715 -3.46797875
A 0.00874882 0.74970732 0.36279376 -0.65627170 -0.06176314 -0.05266909 0.15043847 0.27545909 -0.44643426 -0.31682448
B 0.06347018 -2.65329340 -2.90504335 0.90412156 0.65657782 -0.37054788 -0.56973460 -0.77093426 0.12731198 0.33780047
D -0.13412609 9.96096414 15.73576798 -0.20963436 -4.38823614 3.62232399 1.55915408 1.92422136 0.41729025 -0.25636651
E 0.47945215 -26.95094130 -60.86378905 -7.42623850 24.58823636 -20.31825873 -3.20032311 -3.36437980 -0.78968043 0.13510579
F -0.88141176 47.99050222 151.01892355 26.73408099 -91.43813038 68.17961274 4.55881260 3.95475114 0.73005105 -0.04861583
G 0.55882014 -52.52802398 -227.97582374 -47.45116024 209.75233729 -140.50405356 -4.22918344 -2.91028151 -0.38739052 0.01156648
H 0.25979111 31.75251989 189.32130939 46.18370819 -286.25632509 174.33159141 2.39830576 1.26803863 0.11848916 -0.00172342
I -0.33609788 -8.08332994 -66.15368187 -23.54867709 212.56346819 -119.45394740 -0.75202587 -0.29889496 -0.01945233 0.00014485
J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5.17346752 -65.87952999 34.73034545 0.09770009 0.02941719 0.00133039 -0.00000525
표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의 값과 코닉상수(k)를 나타낸다.
제2실시예
imgH 4.98
F_inf 2.973
F_macro 2.874
D_inf 2.00
D_macro 13.65
Fg1 3.863
Fg2 99.723
TTL 4.372
Fno 1.796
DFOV 78.8
G1 1.6397
V1 23.52
d1 1.107
d2 0.734
THLg1 1.24
THLg2 1.064
f1 2.662
f2 -1.937
L1R1 -212.382
L2R2 1.0832
L1R2 -1.7074
L3R1 1.982
F 2.97
THI 1.107
Y 2.5
F/TTL 0.68
TTL/(Y*2) 0.874
R5 1.083
R6 1.982
SAG5 0.0133
표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6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및 조리개(STOP)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서 제1렌즈(100),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 및 조리개(STOP)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물체측(Object side)으로부터 상측(Image side)으로 순서대로 제1렌즈(100), 조리개(STOP), 제2렌즈(200), 제3렌즈(300), 제4렌즈(400), 제5렌즈(500), 제6렌즈(6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5매 이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7매 이상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렌즈(100) 내지 제6렌즈(600) 사이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100)의 앞 또는 제6렌즈(600)의 뒤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OP)와 렌즈 사이, 렌즈와 필터(700) 사이 및 필터(700)와 이미지 센서(800) 사이에 다른 렌즈, 평판 및 광학 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될 수 있다. 이때, 필터(700)는 평판 렌즈일 수 있다. 평판 렌즈의 굴절력은 '0'일 수 있다. 평판 렌즈의 굴절력은 없을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OP)와 렌즈 사이, 렌즈와 필터(700) 사이 및 필터(700)와 이미지 센서(800) 사이에 필터 레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레이어는 코팅되어 필터가 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양(+)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양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물체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물체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상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광축에서 볼록한 형상을 갖는 상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 또는 상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양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광축에서의 곡률반경은 음수일 수 있다. 제3렌즈(300)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은 제3렌즈(300)의 상측면의 곡률반경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제3렌즈(300)는 고체렌즈일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와 곡률 반경,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면 사이의 거리, 굴절률, 아베수,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Surface Radius Thickness Index Abbe #
1* 21.208 0.465 1.5441 56.1
2* -3.379 0.105  
Stop infinity 0.026  
3* 3.971 0.300 1.6714 19.2
4* 1.418 0.309  
5* 8.695 0.511 1.5441 56.1
6* -4.794 0.126
7 infinity
8 infinity
9 variable
10 infinity
11 infinity 0.502  
12* -39.141 0.556 1.5441 56.1
13* -4.119 0.039  
14* 1.718 0.589 1.6613 20.3
15* 1.076 0.682  
filter infinity 0.110 1.523 54.5
Image infinity 0.484  
표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면 번호(Surface), 곡률반경(Radius), 각 렌즈의 중심 두께 또는 렌즈면 사이의 거리(THlckness), 굴절률(Index), 아베수(Abbe)를 나타낸다. 이때, 곡률반경과 두께 또는 거리의 단위는 mm일 수 있다.
  1* 2* 3* 4* 5* 6* 12* 13* 14* 15*
K 0.000000000 3.339476465 0.000000000 -0.036551338 -21.070470717 -5.483123826 0.000000000 -5.162618480 -3.735455760 -4.363504955
A -0.008318576 0.095765545 -0.116690199 -0.280138353 -0.039132941 -0.039274444 0.156556684 0.211037524 -0.088254277 -0.033766525
B 0.040997724 -0.051609878 0.142275590 0.294176920 0.003303630 -0.000565009 -0.131555278 -0.156461076 0.043211409 -0.011930834
D -0.135062142 0.054805382 -0.206875521 -0.406944737 0.151700087 -0.011440767 0.082805104 0.131566428 -0.038525692 0.017493990
E 0.255724951 -0.062010714 0.143748587 0.361419561 -0.332267449 0.111277891 -0.046095980 -0.104903284 0.035154248 -0.009361330
F -0.263387704 0.037557044 -0.076911385 -0.218454193 0.472312511 -0.169284715 0.017163937 0.055921023 -0.021373346 0.002712710
G 0.138049259 -0.009928315 0.014258071 0.054103076 -0.323859439 0.133053213 -0.003608721 -0.018873466 0.007510149 -0.000456787
H -0.029280807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82743458 -0.036608872 0.000315321 0.003903790 -0.001473430 0.000044944
I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452332 0.000150151 -0.000002418
J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00000 0.000022471 -0.000006189 0.000000055
표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각 렌즈면의 비구면 계수의 값과 코닉상수(k)를 나타낸다.
제3실시예
imgH 5.868
F_inf 3.894
F_macro 3.704
D_inf 1.40
D_macro 15.74
Fg1 4.757
Fg2 -601.916
TTL 5.712
Fno 1.803
DFOV 72.7
G1 1.5441
V1 56.115
d1 1.528
d2 0.961
THLg1 1.716
THLg2 1.184
f1 5.286
f2 -6.759
L1R1 21.2084
L2R2 1.4176
L1R2 -3.3789
L3R1 8.695
F 3.89
THI 1.52
Y 3.26
F/TTL 0.68
TTL/(Y*2) 0.876
R5 1.418
R6 8.695
SAG5 0.1148
표 9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의 특성을 나타낸다.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d1/d2 1.45 1.51 1.59
Fg1/|Fg2| 0.23 0.04 0.01
d1/TTL 0.27 0.25 0.27
d1/imgH 0.24 0.22 0.26
d1 1.06 1.11 1.53
THlg1/TTL 0.26 0.28 0.30
THlg2/TTL 0.21 0.24 0.21
THlg1/imgH 0.23 0.25 0.29
THlg2/imgH 0.18 0.21 0.20
THlg1/d1 0.96 1.12 1.12
THlg1/d2 1.39 1.69 1.79
THlg2/d1 0.76 0.96 0.77
THlg2/d2 1.10 1.45 1.23
TTL/|D_inf| 1.97 2.19 4.08
TTL/|D_macro| 0.20 0.32 0.36
imgH/|D_inf| 2.25 2.49 4.19
imgH/|D_macro| 0.23 0.36 0.37
F_macro/F_inf 0.96 0.97 0.95
Fno/|D_inf| 1.13 0.90 1.29
Fno/|D_macro| 0.12 0.13 0.11
Fno/d1 2.13 1.62 1.18
Fg1/TTL 0.97 0.88 0.83
|Fg2|/TTL 4.20 22.81 105.38
Fg1/imgH 0.85 0.78 0.81
|Fg2|/imgH 3.67 20.02 102.58
f1/|L1R1| 0.36 0.01 0.25
L2R2/|f2| 0.55 0.56 0.21
Fg1/f1 1.81 1.45 0.90
Fg1/|f2| 2.37 1.99 0.70
Fg1/|L1R1| 0.65 0.02 0.22
Fg1/L2R2 4.34 3.57 3.36
|Fg2|/f1 7.82 37.46 113.87
|Fg2|/|f2| 10.22 51.48 89.05
|Fg2|/|L1R1| 2.80 0.47 28.38
|Fg2|/L2R2 18.72 92.06 424.60
tan(DFOV/2)/|D_inf| 0.39 0.41 0.53
tan(DFOV/2)/|D_macro| 0.04 0.06 0.05
G1 1.6397 1.6397 1.5441
V1 23.52 23.52 56.115
|L1R2|/|L1R1| 0.29 0.01 0.16
TTL/imgH 0.87 0.88 0.97
F_inf/TTL 0.71 0.68 0.68
F_macro/TTL 0.68 0.66 0.65
F_inf/f1 1.32 1.12 0.74
F_macro/f1 1.26 1.08 0.70
F_inf/|f2| 1.72 1.53 0.58
F_macro/|f2| 1.65 1.48 0.55
THIg1/|D_inf| 0.51 0.62 1.23
THIg2/|D_inf| 0.40 0.53 0.85
THIg1/|D_macro| 0.05 0.09 0.11
THIg2/|D_macro| 0.04 0.08 0.08
TTL/Fg1 1.03 1.13 1.20
TTL/|Fg2| 0.24 0.04 0.01
L2R2/|L2R1| 0.18 0.16 0.36
표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상기 조건식들을 모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1.2 < d1/d2 < 1.8, 0 < Fg1/|Fg2| < 0.5, 0.1 < d1/TTL < 0.4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1 < d1/imgH < 0.4, 0.8 < d1 < 2.0, 0.1 < THLg1/TTL < 0.5, 0.1 < THLg2/TTL < 0.5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1 < THLg1/imgH < 0.4, 0.1 < THLg2/imgH < 0.4, 0.5 < THLg1/d1 < 1.5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1 < THLg1/d2 < 2, 0.5 < THLg2/d1 < 1.5, 1 < THLg2/d2 < 2, 0 < TTL/|D_inf| < 8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1 < TTL/|D_macro| < 0.5, 0 < imgH/|D_inf| < 8, 0.1 < imgH/|D_macro| < 0.4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6 < F_macro/F_inf < 1 .5, 0.5 < Fno/|D_inf| < 2, 0 < Fno/|D_macro| < 0.4, 0.5 < Fno/d1 < 4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5 < Fg1/TTL < 2, |Fg2|/TTL > 1, 0.5 < Fg1/imgH < 1.2, |Fg2|/imgH > 1.0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 < f1/|L1R1| < 5, 0 < L2R2/|f2| < 1, 0.5 < Fg1/f1 < 3.0, 0 < Fg1/|f2| < 5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 < Fg1/|L1R1| < 5, 1 < Fg1/L2R2 < 10, |Fg2|/f1 > 1, |Fg2|/|f2| > 1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Fg2|/|L1R1| > 0.2, |Fg2|/L2R2 > 5, 0 < tan(DFOV/2)/|D_inf| < 0.8, 0 < tan(DFOV/2)/|D_macro| < 0.5, 1.5 < G1 < 1.7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20 < V1 < 60, 0 < |L1R2|/|L1R1| < 1, 0.7 < TTL/imgH < 1.3, 0.5 < F_inf/TTL < 1.5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5 < F_macro/TTL < 1, 0.5 < F_inf/f1 < 2, 0.5 < F_macro/f1 < 2, 0.2 < F_inf/|f2| < 3, 0.2 < F_macro/|f2| < 2.0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 < THIg1/|D_inf| < 2, 0 < THIg2/|D_inf| < 1.5, 0 < THIg1/|D_macro| < 0.5, 0 < THIg2/|D_macro| < 0.5 을 만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는 0.5 < TTL/Fg1 < 2, 0 < TTL/|Fg2| < 0.5, 0 < L2R2/|L2R1| < 1 을 만족할 수 있다. 이때, imgH, TTL, Fno, F_inf, F_macro, Fg1, Fg2, d1, d2, THlg1, THlg2, f1, f2, L1R1, L2R2, L1R2의 단위는 mm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카메라 장치는 카메라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은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보이스 코일 모터(VCM, Voice Coil Motor)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구동 모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구동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A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OI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기판(1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10)은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와 센서 베이스(4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10)은 단자(11)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의 단자(11)는 통전부재를 통해 홀더(61)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미지 센서는 기판(10)에 플립 칩(flip chip) 기술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촬상 렌즈와 광축이 일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미지 센서의 광축과 촬상 렌즈의 광축은 얼라인먼트(alignment) 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렌즈),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커넥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20)는 기판(10)과 연결기판(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20)는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센서 베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베이스(40)는 홀더(61)와 기판(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베이스(40)에는 필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50)가 배치되는 센서 베이스(40)의 부분에는 필터(5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에 입사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필터(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50)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필터는 적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모듈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렌즈 구동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60)는 홀더(61), 렌즈 홀더(62), 커버(63) 및 촬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60)는 액체렌즈를 이용해 AF 기능 및/또는 OI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60)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 변형례로, 렌즈 구동 장치(60)는 센서 베이스(40) 없이 기판(1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홀더(61)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61)는 기판(1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는 센서 베이스(4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는 센서 베이스(4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는 센서 베이스(40)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61)는 렌즈 모듈과 결합될 수 있다. 홀더(61)는 커버(6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61)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 홀더(62)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홀더(62)는 렌즈 배럴일 수 있다. 렌즈 홀더(62)는 홀더(61)와 결합될 수 있다. 렌즈 홀더(62)는 홀더(61)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 홀더(62)는 내부에 촬상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렌즈 홀더(62)의 내주면은 렌즈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홀더(62)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촬상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렌즈 홀더(6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 렌즈는 앞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렌즈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70)는 커버(63)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63)는 홀더(61)를 덮을 수 있다. 커버(63)는 홀더(61)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63)는 렌즈 모듈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63)는 카메라 모듈(7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63)는 하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커버(63)는 비자성체일 수 있다. 커버(63)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3)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63)는 기판(10)의 그라운드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63)는 그라운드될 수 있다. 커버(63)는 전자 방해 잡음(EMI,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커버(63)는 'EMI 쉴드캔'으로 호칭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렌즈 200: 제2렌즈
300: 제3렌즈 400: 제4렌즈
500: 제5렌즈 600: 제6렌즈
700: 필터 800: 이미지 센서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1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조건식 1]
    1 < THlg1/THlg2 < 2
    (상기 조건식 1에서 THlg1은 상기 제1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하고, THlg2는 상기 제2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의 고체 렌즈의 개수는 상기 제2렌즈군의 고체 렌즈의 개수보다 많은 촬상 렌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에서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는 양(+)의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2렌즈군에서 상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 촬상 렌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제2렌즈, 및 제3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아래의 조건식 2를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조건식 2]
    |L2R2| < |L2R1|
    (상기 조건식 2에서 L2R2는 상기 제2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2R1은 상기 제2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6. 제2항에 있어서,
    아래의 조건식 3를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조건식 3]
    G2 > G1
    (상기 조건식 3에서 G1은 상기 제1렌즈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하고, G2는 상기 제2렌즈의 재질의 굴절률을 의미한다.)
  7.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제2렌즈;
    제3렌즈;
    제4렌즈;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6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까지 순서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렌즈와 상기 제5 및 제6렌즈는 고체렌즈이고,
    상기 제4렌즈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4를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조건식 4]
    |L2R2| < |L2R1|
    (상기 조건식 4에서 L2R2는 상기 제2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하고, L2R1은 상기 제2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을 의미한다.)
  8.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5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조건식 5]
    0.1 < THlg1/TTL < 0.5
    (상기 조건식 5에서 THlg1은 상기 제1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두께를 의미하고, TTL은 상기 제1렌즈의 광축상에서 물체측면으로부터 결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9.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군; 및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배치되는 초점 가변 렌즈를 포함하고,
    아래의 조건식 6을 만족하는 촬상 렌즈 시스템.
    [조건식 6]
    0 < Fg1/|Fg2| < 0.5
    (상기 조건식 6에서 Fg1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를 의미하고, Fg2는 상기 제2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의미한다.)
  10. 이미지 센서;
    제1항의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와 상기 촬상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02085A 2019-01-07 2020-01-07 촬상 렌즈 KR20200085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16,082 US20220043190A1 (en) 2019-01-07 2020-01-07 Image capturing lens
TW109100680A TWI824096B (zh) 2019-01-07 2020-01-07 成像透鏡
PCT/KR2020/000292 WO2020145637A1 (ko) 2019-01-07 2020-01-07 촬상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948 2019-01-07
KR20190001948 2019-0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674A true KR20200085674A (ko) 2020-07-15

Family

ID=7160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085A KR20200085674A (ko) 2019-01-07 2020-01-07 촬상 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00085674A (ko)
CN (1) CN113287049A (ko)
TW (1) TWI82409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15333A (zh) * 2022-01-24 2022-04-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摄像镜头
KR20220118762A (ko) * 2021-02-19 2022-08-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20134214A (ko) * 2021-03-26 2022-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1007B (zh) * 2021-08-24 2023-04-11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系统、镜头模组以及电子设备
CN113933963B (zh) * 2021-10-11 2023-09-05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变焦系统、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3933964B (zh) * 2021-10-13 2023-09-05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光学镜头、摄像模组及电子设备
CN115166945A (zh) * 2021-12-08 2022-10-11 三星电机株式会社 光学成像系统及电子设备
CN114114646B (zh) * 2022-01-25 2022-08-0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6946A (ja) * 2008-03-10 2009-09-24 Olympus Imaging Corp 撮影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CN101620311A (zh) * 2008-07-04 2010-01-06 全景科技有限公司 可变曲率的透镜组
CN102340624A (zh) * 2010-07-28 2012-02-01 江国庆 高分辨率影像撷取装置及其透镜
US8749892B2 (en) * 2011-06-17 2014-06-10 DigitalOptics Corporation Europe Limited Auto-focus actuator for field curvature correction of zoom lenses
US11151375B2 (en) * 2016-01-06 2021-10-19 Lg Innotek Co., Ltd. Lens module and iris recognition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and iris recognition camera system and terminal comprising same
CN106125267B (zh) * 2016-08-11 2018-07-31 上海理工大学 一种基于液体透镜的变焦摄像镜头及包括其的摄像仪器
KR20180099148A (ko) * 2017-02-28 2018-09-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TW201816430A (zh) * 2016-10-18 2018-05-01 美商康寧公司 具有整合光濾鏡的可變焦透鏡及含該透鏡之影像擷取裝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8762A (ko) * 2021-02-19 2022-08-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20220134214A (ko) * 2021-03-26 2022-10-0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14415333A (zh) * 2022-01-24 2022-04-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摄像镜头
CN114415333B (zh) * 2022-01-24 2024-03-08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光学摄像镜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824096B (zh) 2023-12-01
TW202041910A (zh) 2020-11-16
CN113287049A (zh)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5674A (ko) 촬상 렌즈
US11428850B2 (en) Camera module
KR101218999B1 (ko) 촬상 광학계
US20220043190A1 (en) Image capturing lens
JP200727223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自動焦点調節光学系
CN113406779B (zh) 变焦镜头、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CN111965789A (zh) 光学镜头、摄像装置及终端
CN116594157A (zh) 一种镜头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140056494A (ko) 촬상 광학계
US20230176346A1 (en) Zoom Lens,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KR20180092358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US20230057429A1 (en) Imaging lens
CN114503006B (zh) 成像镜头
CN213023741U (zh) 一种光学镜头、摄像装置及终端
KR20210088187A (ko) 촬상 렌즈
KR20180102883A (ko) 카메라 모듈
KR20200085205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7250742B (zh) 光学镜头、摄像模组及终端
KR20210099915A (ko) 촬상 렌즈
WO2023174212A1 (zh) 长焦镜头、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210088186A (ko) 촬상 렌즈
KR100780230B1 (ko) 초소형 촬상 광학계
KR101328312B1 (ko) 촬상 광학계
KR20210036127A (ko) 촬상 렌즈
CN116806320A (zh) 光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