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5109A -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5109A
KR20200085109A KR1020190001236A KR20190001236A KR20200085109A KR 20200085109 A KR20200085109 A KR 20200085109A KR 1020190001236 A KR1020190001236 A KR 1020190001236A KR 20190001236 A KR20190001236 A KR 20190001236A KR 20200085109 A KR20200085109 A KR 20200085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moving
mounting member
ji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451B1 (ko
Inventor
허철구
허철기
정병기
김경수
주동욱
방세경
서인호
이상윤
한남희
Original Assignee
(주)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광 filed Critical (주)영광
Priority to KR102019000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45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5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5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maintaining flanges on tubes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형상의 파이프와 중공 형상의 플랜지의 용접을 위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가 거치되는 지그장치에 있어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 측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진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플랜지가 안착되는 척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파이프가 거치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 측으로 운반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 측으로 접근시키는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에 의하면, 장착부에 플랜지를 안착시키고, 이동부 상에 안착된 파이프를 플랜지 측으로 이동시킨 후, 장착부의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플랜지 측에 접근시킴으로써, 플랜지가 파이프의 단부면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에 의하면, 체크부가 파이프의 단부와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체크함으로써, 파이프의 단부와 플랜지 사이에 용접 재료가 개재되기 위한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그장치{Jig apparatus}
본 발명은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 형상의 파이프와 중공 형상의 플랜지의 용접을 위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가 거치되는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그란 기계 가공에서 재료의 가공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정하기 위한 보조용 기구를 의미한다. 지그는 공작물을 부착 또는 공작물에 부착되어 가공 부분의 위치를 정하고 동시에 가공을 안내한다. 지그는 드릴기계, 보링기계, 나사절삭기 등에 사용되며, 부착구는 밀링기계, 선반, 평삭기계, 연삭기계 등에 사용된다.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 제품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양질의 제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지그는 제품 가공 시 금긋기와 조정작업 등의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하며, 미숙련 작업자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게다가, 지그를 사용하는 경우, 범용공작기계도 전용공작기계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가공불량 등 손실이 발생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지그장치는, 중공 형상의 파이프에 중공 형상의 플랜지를 용접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장치는, 테이블, 척, 집게를 포함한다. 테이블에는 파이프가 안착된다. 척은 파이프를 테이블에 고정시킨다. 집게는 플랜지를 집어서 파이프의 외주면에 배치시킨다. 이후 별도의 용접장치에 의해 파이프와 플랜지가 서로 용접됨으로써, 파이프와 플랜지는 서로 일체가 된다.
한편, 파이프에 플랜지를 용접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플랜지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 있어서, 플랜지의 내주면이 파이프의 외주면과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플랜지를 파이프의 외주면에 용접하는 방식이다. 다른 하나는, 플랜지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플랜지를 파이프의 어느 한 단부 측에 배치하여 파이프의 일 단부면과 플랜지의 일 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한 후, 플랜지를 파이프의 일 단부면에 용접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지그장치는, 전자와 같이 플랜지를 파이프의 외주면에 용접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는 있으나, 후자와 같이 플랜지를 파이프의 일 단부면에 용접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는 없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1392호(발명의 명칭 : 플랜지관 용접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관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플랜지가 파이프의 일 단부면에 용접될 수 있도록 파이프와 플랜지가 거치되는 지그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 형상의 파이프와 중공 형상의 플랜지의 용접을 위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가 거치되는 지그장치에 있어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 측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진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플랜지가 안착되는 척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파이프가 거치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 측으로 운반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 측으로 접근시키는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착부재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기 이동부 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하는 돌출단을 포함한다.
상기 척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파이프는,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척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이동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면에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이너척과, 상기 장착부재의 반경방향 기준 상기 이너척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이동부 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이너척보다는 덜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 측의 면에 상기 플랜지의 일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척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부 상에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상에 배치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사이에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가 각각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 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파이프를 운반하며, 상기 지그장치는, 상기 이동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재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체크하는 체크부와, 상기 체크부에 의해 체크된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크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재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왕복부재와, 상기 왕복부재의 상기 장착부재 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로 삽입되는 체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부재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이동부 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체크부재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부재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척부재를 상기 장착부재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각속도를 나타내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 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의 면에 접하도록 상기 파이프를 이동시킨 후, 상기 장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로부터 이격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에 의하면, 장착부에 플랜지를 안착시키고, 이동부 상에 안착된 파이프를 플랜지 측으로 이동시킨 후, 장착부의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플랜지 측에 접근시킴으로써, 플랜지가 파이프의 단부면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그장치에 의하면, 체크부가 파이프의 단부와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체크함으로써, 파이프의 단부와 플랜지 사이에 용접 재료가 개재되기 위한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지그장치에 거치되는 파이프와 플랜지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이동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체크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1000)는, 중공 형상의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에 중공 형상의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을 용접하기 위하여 파이프(10)와 플랜지(20)가 거치되는 것으로서, 레일부(1100), 장착부(1200), 이동부(1300), 체크부(1400), 제어부(1500)를 포함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타 단부면(12)은, 파이프(10)의 내주면 및 외주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서, 파이프(1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면에 해당한다. 또한, 플랜지(20)의 일 측면(21)과 타 측면(22) 역시, 플랜지(20)의 외주면 및 내주면과 수직을 이루는 것으로서, 플랜지(20)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연결하는 면에 해당한다. 한편, 파이프(10)의 외주면의 직경(r1)은, 플랜지(20)의 내주면의 직경(r2)보다 더 크다. 따라서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은, 플랜지(20)의 내경(r2)과 파이프(10)의 외경(r1) 사이의 영역이 서로 용접되게 된다.
상기 레일부(1100)는, 작업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1200)는, 상기 레일부(1100)의 끝에 설치되며, 플랜지(20)가 안착된다. 상기 장착부(1200)는, 본체(1210), 장착부재(1220), 복수개의 척부재(12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210)는, 상기 장착부재(1220) 및 상기 복수개의 척부재(1230)가 설치된다. 상기 장착부재(1220)는, 상기 본체(1210)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1300) 측으로 선택적으로 전후진 이동하는 것으로서, 메인샤프트(1221)와 돌출단(122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샤프트(1221)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본체(1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돌출단(1222)은, 상기 메인샤프트(1221)의 상기 이동부(1300) 측 단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메인샤프트(122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단(1221)은, 상기 이동부(1300)에 의해 이동된 파이프(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외주면이 파이프(10)의 내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된 후, 파이프(10)를 상기 본체(1210) 측으로 끌어온다.
상기 복수개의 척부재(1230)는, 상기 장착부재(122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재(12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척부재(1230)는, 이너척(1231)과 아우터척(1232)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척(1231)은, 상기 장착부재(122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1210)로부터 상기 이동부(130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척(1232)은, 상기 장착부재(12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이너척(1231)의 외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척(1232)은, 상기 본체(1210)로부터 상기 이동부(1300) 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이너척(1231)보다는 덜 돌출된다.
플랜지(20)는, 상기 장착부재(122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이너척(1231)의 외측 면에, 플랜지(20)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플랜지는(20)는, 상기 아우터척(1232)의 상기 이동부(1300) 측의 면에, 플랜지(20)의 타 측면(22)이 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플랜지(20)는 복수개의 척부재(12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1300)는, 파이프(10)가 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부(1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300)는, 파이프(10)를 플랜지(20) 측으로 운반한다. 상기 이동부(1300)는, 이동부재(1310), 안착플레이트(1320), 한 쌍의 롤러부재(1330), 상부지지부재(1340), 하부지지부재(135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1310)는, 상기 레일부(1100) 상에 설치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는, 상기 이동부재(13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131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의 사이에는, 파이프(10)가 안착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1340)는,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와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1340)는, 상단부에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가 각각 상기 이동부재(1310)의 이동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부재(1340)는, 상단부에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가 각각 상기 이동부재(131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부재(1310)에 의해 파이프(10)가 플랜지(20) 측으로 접근하고, 상기 장착부재(1220)가 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된 이후, 상기 장착부재(1220)는 자전(自轉,Rotation)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부재(1220)가 자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재(1220)와 접하는 파이프(10)가 상기 장착부재(1220)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장착부재(1220)와 함께 자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재(1350)는, 상기 이동부재(131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부재(1350)는, 상기 상부지지부재(1340)의 중심 부분과 대응하는 위치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지지부재(1350)는, 상하로 길이가 변화하는 구조로 설계된다. 즉, 상기 하부지지부재(1350)는, 길이가 늘어나서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를 상승시킬 수도 있고, 상기 하부지지부재(1350)는, 길이가 줄어들어서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를 하강시킬 수도 있다. 이렇듯, 상기 하부지지부재(1350)는 길이가 가변적인 구조로 설계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1320)를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1330)에 안착된 파이프(10)가 상기 장착부재(1220) 및 플랜지(20)와 동심을 이루도록, 파이프(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300)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이 플랜지(20)의 일 측면(21)으로부터 상기 이동부(1300) 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놓이도록, 파이프(10)를 운반한다. 즉, 상기 이동부(1300)는, 파이프(10)를 플랜지(20) 측으로 운반을 완료한 후 완전히 정지하였을 때,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작동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 중 하나에 불과하며, 상기 이동부(1300)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이 플랜지(20)의 일 측면(21)에 접하도록 파이프(10)를 이동시킨 후, 파이프(10)를 플랜지(20)로부터 이격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체크부(1400)는, 상기 이동부(1300)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재(122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부(1400)는, 상기 이동부(1300)에 의해 이동이 완료된 상태의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을 체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체크부(1400)는, 메인프레임(1410), 왕복부재(1420) 및 체크부재(14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410)은, 작업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 왕복부재(1420)는, 상기 메인프레임(14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재(1220)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왕복부재(1420)는, 상기 이동부(1300)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체크부재(1430)는, 상기 왕복부재(1420)의 상기 장착부재(1220) 측 단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부재(1430)는, 상기 왕복부재(1420)에 의해 상기 장착부재(1220) 측으로 이동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체크부재(1430)는, 상기 이동부(1300)의 이동방향 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크부재(1430)는, 상기 왕복부재(1420)에 의해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상기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사이를 향하여 이동한다.
만약, 상기 이동부(13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체크부재(1430)의 길이가,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체크부재(1430)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사이로 삽입된다. 하지만 상기 이동부(1300)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상기 체크부재(1430)의 길이가,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체크부재(1430)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사이로 삽입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체크부(1400)에 의해 체크된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재(1220)를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체크부재(1430)가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로 삽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1220)를 상기 이동부(1300)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재(1220)에 접하는 파이프(10) 역시 상기 이동부(130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체크부재(1430)를 다시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로 삽입시킨다.
반면에 상기 체크부재(1430)가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장착부재(1220)를 상기 본체(1210)의 내부로 삽입시켜, 파이프(10)가 상기 본체(1210)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체크부재(1430)의 양 면이 각각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접하고 플랜지(20)의 일 측면(21)과 접하게 될 때, 상기 장착부재(122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어부(1500)는, 위의 과정을 반복하여,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이, 상기 체크부재(1430)의 길이와 같게 되도록 설정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체크부재(1430)는, 실시자가 목적하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크부재(1430)의 길이는 용접을 위해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에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이 상기 체크부재(1430)의 길이와 같아지는 경우, 상기 체크부재(1430)를 상기 장착부재(1220)의 반경방향 기준 외측으로 빼낸다. 그 후, 별도의 용접장치(미도시)를 통해,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가 서로 용접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0)는, 상기 체크부재(1430)가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1210)를 자전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1210)가 자전하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1220)와 상기 복수개의 척부재(1230) 역시, 상기 장착부재(1220)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각속도로 자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장착부재(1220)의 돌출단(1222)에 접하고 있는 파이프(10)와, 상기 척부재(1230)의 이너척(1231)에 접하고 있는 플랜지(20) 역시, 서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체크부재(1430)는 작업 공간에서 고정된 상태로 있는데 반해, 파이프(10)와 플랜지(20)가 동일한 각속도로 자전을 하므로, 상기 체크부재(1430)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전면(全面,Whole surface)에 대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체크하게 된다.
상기 체크부재(1430)가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전면에 대하여 그 사이의 간격을 체크한 결과, 상기 본체(1210)의 회전에 의해 체크된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의 간격에 대한 값이,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의 각 부위별로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0)는 해당 간격 값 중 가장 작은 값이 상기 체크부재(1430)의 길이와 같게 되도록, 상기 장착부재(122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0)는, 파이프(10)의 일 단부면(11)과 플랜지(20)의 일 측면(21) 사이에 용접을 위한 최소한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10 : 파이프 20 : 플랜지
1000 : 지그장치 1100 : 레일부
1200 : 장착부 1300 : 이동부
1400 : 체크부 1500 : 제어부

Claims (12)

  1. 중공 형상의 파이프와 중공 형상의 플랜지의 용접을 위하여,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가 거치되는 지그장치에 있어서,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 측 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전후진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반경방향 외측에 설치되며 외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플랜지가 안착되는 척부재를 포함하는 장착부; 및
    파이프가 거치되며, 상기 레일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 측으로 운반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운반된 상기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되며,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 측으로 접근시키는 지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의 상기 이동부 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샤프트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외주면이 상기 파이프의 내주면에 접하는 돌출단을 포함하는 지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척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장착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에 의해 둘러싸인 지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외주면의 직경이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척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이동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면에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이너척과,
    상기 장착부재의 반경방향 기준 상기 이너척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이동부 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이너척보다는 덜 돌출되고, 상기 이동부 측의 면에 상기 플랜지의 일 면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아우터척을 포함하는 지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부 상에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상에 배치되는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사이에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는 한 쌍의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지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부재가 각각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그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안착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안착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하부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그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 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파이프를 운반하며,
    상기 이동부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재와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체크하는 체크부와,
    상기 체크부에 의해 체크된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지그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체크부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부재 측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왕복부재와,
    상기 왕복부재의 상기 장착부재 측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의 사이로 삽입되는 체크부재를 포함하는 지그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부재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이동부 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체크부재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지그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크부재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본체를 회전시켜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척부재를 상기 장착부재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동일한 각속도를 나타내도록 회전시키는 지그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파이프의 상기 플랜지 측 단부가 상기 플랜지의 면에 접하도록 상기 파이프를 이동시킨 후, 상기 장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상기 플랜지로부터 이격시키는 지그장치.
KR1020190001236A 2019-01-04 2019-01-04 지그장치 KR10214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36A KR102145451B1 (ko) 2019-01-04 2019-01-04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1236A KR102145451B1 (ko) 2019-01-04 2019-01-04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5109A true KR20200085109A (ko) 2020-07-14
KR102145451B1 KR102145451B1 (ko) 2020-08-18

Family

ID=7152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1236A KR102145451B1 (ko) 2019-01-04 2019-01-04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4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5522A (zh) * 2020-11-09 2021-02-12 李会 一种智能汽车管路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65350B1 (ko) * 2020-05-29 2021-06-16 주식회사 영광 지그 장비
CN113601073A (zh) * 2021-10-09 2021-11-05 徐州市瑞泰钢管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件焊接机
KR20220134207A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572234B1 (ko) * 2022-12-12 2023-08-30 배재용 턴테이블 자동로봇 레이저 용접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964A (ko) 2021-03-19 2022-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장치
KR20220130965A (ko) 2021-03-19 2022-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199A (en) * 1980-09-22 1982-04-03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Flange supporting device
JPS6080073U (ja) * 1983-11-08 1985-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溶接装置
KR20110134562A (ko) * 2010-06-09 2011-1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플랜지 자동 용접 방법 및 장치
KR101881392B1 (ko) 2017-08-30 2018-07-24 원복기 플랜지관 용접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6199A (en) * 1980-09-22 1982-04-03 Nippon Steel Weld Prod & Eng Co Ltd Flange supporting device
JPS6080073U (ja) * 1983-11-08 1985-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溶接装置
KR20110134562A (ko) * 2010-06-09 2011-12-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플랜지 자동 용접 방법 및 장치
KR101881392B1 (ko) 2017-08-30 2018-07-24 원복기 플랜지관 용접용 지그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플랜지관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350B1 (ko) * 2020-05-29 2021-06-16 주식회사 영광 지그 장비
CN112355522A (zh) * 2020-11-09 2021-02-12 李会 一种智能汽车管路连接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134207A (ko) * 2021-03-26 2022-10-05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용접용 지그 장치
CN113601073A (zh) * 2021-10-09 2021-11-05 徐州市瑞泰钢管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件焊接机
CN113601073B (zh) * 2021-10-09 2021-12-14 徐州市瑞泰钢管有限公司 一种不锈钢管件焊接机
KR102572234B1 (ko) * 2022-12-12 2023-08-30 배재용 턴테이블 자동로봇 레이저 용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451B1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5109A (ko) 지그장치
EP0524599B1 (en) Method of making frames from tubular members and frames made by the method
CN103448106B (zh) 龙门架式木材复合加工中心
TWI322729B (en) Lathe, computer program for lathe control, and machining method by lathe
JP6199511B1 (ja) 複合加工装置及び複合加工方法
JP6917135B2 (ja) 工作機械
KR20170110073A (ko) 공작 기계
JP2018027612A (ja) 複合加工装置
KR101707310B1 (ko) 치구나 회전 본체 커터가 좌우 원호 방향으로 이동 조절 기능이 구비된 면취기.
KR101779332B1 (ko) B축 선회장치를 대칭 구비한 비선형 툴포스트
JP2008531300A (ja) ドリル又はドリルビット製造用のトランスファ・マシン
KR101950032B1 (ko) 툴의 길이 변화에 따른 스핀들의 위치 보정이 가능한 수평형 탭 가공장치
JP2012086330A (ja) セン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KR102265350B1 (ko) 지그 장비
KR101460485B1 (ko) 홈 가공기
TWM465222U (zh) 立臥式加工機
KR101928711B1 (ko) 샤프트 피니온용 지그
KR20220124534A (ko) 내부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
KR101855160B1 (ko) 평면 각 및 가공 토크 조절 구조를 가지는 탭 드릴 머신
KR100845608B1 (ko) 미세 초경 로드 전용 연삭기
JP7109340B2 (ja) 振れ止め装置及び工作機械
KR20110067860A (ko) 버티컬 터닝 센터의 스트래들 툴
KR102254835B1 (ko) 내부를 절삭가공하기 위한 가공장치
US10695842B2 (en) Horizontal lathe machine with a mid-spindle and two tooling turrets
CN103978232B (zh) 车床加工内r自动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