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4207A - 용접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4207A
KR20220134207A KR1020210039572A KR20210039572A KR20220134207A KR 20220134207 A KR20220134207 A KR 20220134207A KR 1020210039572 A KR1020210039572 A KR 1020210039572A KR 20210039572 A KR20210039572 A KR 20210039572A KR 20220134207 A KR20220134207 A KR 2022013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amping
welding
jig
clamp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493B1 (ko
Inventor
박재완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210039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4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3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for rotating tub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파이프 용접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용접 대상물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제1 지그유닛과, 제1 지그유닛과 이격 되도록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지그유닛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접용 지그 장치 {JIG APPARATUS FOR WELDING}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용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컨의 내부에는 열교환을 위한 이중관 및 가스 순환 소음을 저감하는 머플러를 비롯하여, 파이프 형태의 부품이 다수 사용된다.
이러한 에어컨용 파이프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파이프 내부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용접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기존의 에어컨용 파이프 용접 작업은 주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용접품질이 일정하지 못하고 용접결함(크랙, 기공 등)이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온의 작업환경으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 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파이프 용접 공정의 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에어컨용 파이프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외경과 길이를 가지며,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를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는 범용 설비를 구성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파이프의 자동 용접 작업을 위한 지그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경과 길이가 다양한 파이프에 자동 용접 공정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용접 대상물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제1 지그유닛과, 상기 제1 지그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지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용접 대상물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 클램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송테이블과, 상기 이송테이블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한 이송부와,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유닛은, 상기 제1 클램핑유닛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클램핑유닛의 내측으로 오목한 지지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홈의 단면 형상은, 상기 용접 대상물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본체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삽입홈과, 상기 회전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유닛은,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재와, 상기 제2 클램핑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부재는 한 쌍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클램핑부재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2 클램핑부재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클램핑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한 간섭방지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간섭방지홈보다 상기 제2 클램핑부재의 외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클램핑부재가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클램핑하는 경우, 상기 용접 대상물의 둘레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는, 제1 지그유닛으로 용접 대상물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회전시키고, 제2 지그유닛으로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용접 대상물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용접 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제1 클램핑유닛과 제2 클램핑유닛의 교체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용접 대상물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클램핑유닛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용접 대상물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홈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그유닛을 x축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그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홈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그유닛을 x축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그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10)는, 용접 대상물(P)을 지지하여 용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지그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용접 대상물(P)은 용접 대상물(P)의 적어도 일부분에 용접 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는 다양한 종류의 파이프일 수 있다. 용접 대상물(P)은, 예를 들어, 에어컨용 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에어컨용 파이프는 에어컨의 사양에 따라, 다양한 외경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10)는, 이러한 외경과 길이가 다양한 에어컨용 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하여 용접하기 위한 범용 지그 장치일 수 있다.
용접용 지그 장치(10)는 베이스부(100)와, 제1 지그유닛(200)과, 제2 지그유닛(300)과, 그리고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는 용접용 지그 장치(1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에는 제1 지그유닛(200)과 제2 지그유닛(300)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그유닛(200)은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그유닛(200)은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지그유닛(200)은 지지부(210)와, 구동부(220)와, 회전부(230)와, 제1 클램핑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10)에는 회전부(230)와, 구동부(220)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210)는 제1 지지부재(211)와, 제2 지지부재(21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11)는 베이스부(100)에 설치되어, 제2 지지부재(21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11)는 예를 들어, 빔(Beam)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211)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H 형상일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12)는 구동부(220)와 회전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12)는 일 예로 금속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212)의 하단은 제1 지지부재(211)와 결합되고, 제2 지지부재(212)의 상단에는 구동부(220) 및 회전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부재(211)의 하단은 베이스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부(230)는 제2 지지부재(2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회전부(23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220)는 제2 지지부재(212)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회전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20)는 구동력 발생부(221)와 구동력 전달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력 발생부(221)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력 전달부(222)는 구동력 발생부(221)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회전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구동력 전달부(222)는 제2 지지부재(212)의 상기한 일측면에, 회전부(230)와 동일한 중심축(C)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동력 전달부(222)는 구동력 발생부(221)에서 생성된 회전 구동력을 회전부(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30)는 제2 지지부재(212)의 상기한 일측면의 반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력 전달부(222)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 구동력에 의해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회전부(230)는 구동부(22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을 제1 클램핑유닛(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230)는 회전본체(231)와 제1 결합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본체(231)는 구동부(22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본체(2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부(222)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본체(231)는 제2 지지부재(212)의 상단 측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회전본체(231)가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212)의 상단 측 일면은, 구동부(220)가 배치되는 제2 지지부재(212)의 측면과 대항하는 측면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본체(231)는 제2 지지부재(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본체(231)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본체(231)는 일 예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본체(231)는 삽입홈(231a)과, 제1 가이드홈(231b)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홈(231a)은 용접 대상물(P)이 제1 지그유닛(200)에 의해 지지될 때, 지지되는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삽입홈(231a)은 회전본체(231)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회전본체(231)의 외측면은, 회전본체(231)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삽입홈(231a)은 회전본체(231)의 상기한 외측면으로부터, 회전본체(231)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31a)은 회전본체(231)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본체(231)의 회전 중심축(C)은 삽입홈(231a)의 중심을 지날 수 있다.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이 삽입홈(231a)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 지그유닛(200)은 용접 대상물(P)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31b)은 제1 결합부(232)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홈(231b)은 제1 결합부(232)에 결합된 제1 클램핑유닛(24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가이드홈(231b)은 회전본체(231)의 상기한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가이드홈(231b)은 삽입홈(231a)으로부터 회전본체(231)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홈(231b)의 일단은, 회전본체(231)의 중심에 구비된 삽입홈(231a)과 연결되고, 제1 가이드홈(231b)의 타단은 회전본체(231)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홈(231b)은 회전본체(231)의 둘레표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홈(231b)을 통해, 제1 결합부(232)가 회전본체(23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홈(231b)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가이드홈(231b)은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제1 가이드홈(231b)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1 가이드홈(231b) 중 어느 하나는 삽입홈(231a)으로부터, 회전본체(231)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일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1 가이드홈(231b) 중 나머지 하나는 삽입홈(231a)으로부터, 회전본체(231)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32)에는 제1 클램핑유닛(24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32)는 제1 가이드홈(231b)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결합부(232)는 제1 가이드홈(231b)에 연결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제1 가이드홈(231b)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1 결합부(232)는 제1 가이드홈(231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32)는 제1 가이드홈(231b)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부(232)의 단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가이드홈(231b)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부(23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가이드홈(231b)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홈(231b)의 내측에, 제1 가이드홈(231b)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1 결합부(232)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양 구성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왕복 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결합부(23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232)는 제1 가이드홈(231b)에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231b)이 한쌍 구비되는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제1 결합부(232)도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결합부(232) 중 어느 하나는 한쌍의 제1 가이드홈(231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한쌍의 제1 결합부(232) 중 나머지 하나는 한쌍의 제1 가이드홈(231b)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1 결합부(232)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클램핑유닛(240)은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을 클램핑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램핑유닛(24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클램핑부재(24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클램핑유닛(240)은 제1 결합부(232)와 동일한 개수의 제1 클램핑부재(241)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232)가 한쌍 구비되는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제1 클램핑부재(241)가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제1 클램핑부재(241)는 제1 결합부(2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클램핑부재(241)가 한쌍 구비되는 경우,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 중 어느 하나는 한쌍의 제1 결합부(232)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 중 나머지 하나는 한쌍의 제1 결합부(232) 중 나머지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클램핑부재(241)가 제1 결합부(232)에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screw) 결합 방식일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로 볼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클램핑부재(241)가 제1 결합부(232)에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착이 용이한 또 다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1 클램핑부재(24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용접 대상물(P)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용접 대상물(P)에 맞추어 제1 클램핑부재(241)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핑부재(241) 자체뿐만 아니라, 제1 클램핑부재(241)가 제1 결합부(232)에 결합된 상태로 함께 교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용접용 지그 장치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다양한 종류의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하여 용접할 수 있다.
제1 클램핑부재(241)는 제1 클램핑부재(241)의 길이방향(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4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클램핑부재(241)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클램핑부재(241)의 제1 돌출부(241a)에는 지지홈(241b)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홈(241b)은 제1 클램핑유닛(240)이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할 때, 제1 클램핑부재(241)가 용접 대상물(P)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지지홈(241b)은 제1 클램핑부재(241)의 제1 돌출부(241a)의 일 측면으로부터, 제1 클램핑부재(241)의 제1 돌출부(241a)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홈(241b)은 제1 돌출부(241a)의 길이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용접 대상물(P)이 접촉하는 지지홈(241b)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지지홈(241b)은 용접 대상물(P)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용접 대상물(P)이 얇은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지지홈(241b)의 단면 형상은 원호(arc)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용접 대상물(P)이 얇은 사각기둥 형상의 파이프인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지지홈(241b)의 단면 형상은 V 형상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와 (b)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원호 형상의 지지홈(241b)을 구비하는 제1 클램핑유닛(240)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c)와 (d)는 서로 크기가 상이한 V 형상의 지지홈(241b)을 구비하는 제1 클램핑유닛(24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홈(241b)의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접 대상물(P)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10)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지는 파이프에 대응하도록, 여러 종류의 제1 클램핑유닛(24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핑유닛(240)이 제1 결합부(23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 클램핑유닛(240)의 교체가 용이하므로, 용접 대상물(P)의 종류, 형상,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제1 클램핑유닛(240)을 변경함으로써, 한 대의 용접용 지그 장치(10)로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의 파이프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부재(241)가 한쌍 구비되는 경우,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는 각각 제1 돌출부(24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의 제1 돌출부(241a)들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의 제1 돌출부(241a)들 각각에 지지홈(241b)이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홈(241b)들 역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쌍의 제1 클램핑부재(241)가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할 때, 용접 대상물(P)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마주보는 지지홈(241b)들에 삽입된 상태로 클램핑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클램핑유닛(240)에 의해 용접 대상물(P)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클램핑유닛(240)은 용접 대상물을 클램핑한 상태에서, 회전부(2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중심축(C)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클램핑유닛(240)이 회전함으로써, 용접 대상물(P)의 원주 방향을 따라 용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용 파이프의 이음 용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지그유닛(300)은 용접 대상물(P)의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그유닛(300)에 의해 지지되는 용접 대상물(P)의 타단은, 제1 지그유닛(200)에 의해 지지되는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의 반대측 단부일 수 있다. 제2 지그유닛(300)은 이송테이블(310)과, 이송부(320)와, 제2 클램핑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테이블(310)에는 이송부(3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테이블(310)은 베이스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테이블(310)은 제1 지그유닛(20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송테이블(310)은 레일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부(311)는 이송부(3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레일부(311)는 이송테이블(3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부(311)는 이송테이블(310)의 상면에서, 이송테이블(310)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레일부(311)는 이송테이블(31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311)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레일부(311)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레일부(311)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부(320)는 제2 클램핑유닛(3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부(320)는 이송본체(321)와 제2 결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본체(321)는 이송테이블(310)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본체(321)의 하면은 이송테이블(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송본체(321)의 상단에는 후술할 제2 결합부(3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송본체(321)는 레일홈(321a)과 제2 가이드홈(321b)을 구비할 수 있다.
레일홈(321a)에는 레일부(311)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일홈(321a)은 이송본체(321)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홈(321a)은 이송본체(321)의 하면에서, 이송본체(321)의 내측으로 오목한 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일홈(321a)은 이송본체(321)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레일홈(321a)은 레일부(3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레일홈(321a)은 레일부(311)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레일홈(321a)은 복수개의 레일부(311)와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홈(321a)이 레일부(311)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송본체(321)가 레일부(311)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이송본체(321)는 레일부(311)의 길이 방향 또는 이송테이블(3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x축 방향 또는 -x축 방향)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321b)은 제2 결합부(322)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홈(321b)은 제2 결합부(322)에 결합된 제2 클램핑유닛(33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가이드홈(321b) 이송본체(32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본체(321)의 상면은 레일홈(321a)이 배치되는 하면과 마주보는 반대측 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가이드홈(321b)은 이송본체(321)의 일 측단으로부터, 이송본체(321)의 타 측단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홈(321b)이 연장되는 방향은, 이송테이블(310)의 길이방향(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 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홈(321b)을 통해, 제2 결합부(322)가 이송부(32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제2 가이드홈(321b)은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가이드홈(321b)은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 쌍의 제2 가이드홈(321b)은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제2 가이드홈(321b) 중 어느 하나는 이송본체(321)의 일 측단으로부터, 이송본체(32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2 가이드홈(321b) 중 나머지 하나는 이송본체(321)의 상기한 일 측단의 반대측에 위치한 타 측단으로부터, 이송본체(321)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가이드홈(321b)은 한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가이드홈(321b)은 이송본체(321)의 일 측단으로부터, 상기한 제2 가이드홈(321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송본체(321)의 타 측단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가이드홈(321b)이 한쌍 구비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결합부(322)는 이송부(320)와 제2 클램핑유닛(330)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322)는 제2 가이드홈(321b)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2)는 제2 가이드홈(321b)에 연결되되, 일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방향은 제2 가이드홈(321b)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 일 수 있다.
제2 결합부(322)는 제2 가이드홈(321b)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322)는 제2 가이드홈(321b)의 길이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322)의 단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가이드홈(321b)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부(322)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가이드홈(321b)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홈(321b)의 내측에, 제2 가이드홈(321b)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 결합부(322)의 일부가 삽입됨으로써, 양 구성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왕복 운동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결합부(322)는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2 결합부(322) 중 어느 하나는 한쌍의 제2 가이드홈(321b)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한쌍의 제2 결합부(322) 중 나머지 하나는 한쌍의 제2 가이드홈(321b) 중 나머지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2 결합부(322)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클램핑유닛(330)은 용접 대상물(P)의 상기한 타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클램핑유닛(33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클램핑부재(331)와, 적어도 하나의 롤러부(33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클램핑유닛(330)은 제2 결합부(322)와 동일한 개수의 제2 클램핑부재(331)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322)가 한쌍 구비됨에 따라, 이와 대응되도록 제2 클램핑부재(331)도 한쌍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램핑부재(331)는 제2 결합부(3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제2 클램핑부재(331) 중 어느 하나는 한쌍의 제2 결합부(322)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2 클램핑부재(331) 중 나머지 하나는 한쌍의 제2 결합부(322) 중 나머지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쌍의 제2 클램핑부재(331)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클램핑부재(331)가 제2 결합부(322)에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screw) 결합 방식일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부재로 볼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클램핑부재(331)가 제2 결합부(322)에 결합되는 방식은 나사 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착이 용이한 또 다른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제2 클램핑부재(331)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용접 대상물(P)의 종류, 크기 또는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용접 대상물(P)에 맞추어 제2 클램핑부재(331)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2 클램핑부재(331) 자체뿐만 아니라, 제2 클램핑부재(331)가 제2 결합부(322)에 결합된 상태로 함께 교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용접용 지그 장치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다양한 종류의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하여 용접할 수 있다.
제2 클램핑부재(331)는 제2 클램핑부재(331)의 길이방향(y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3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클램핑부재(331)는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클램핑부재(331)의 제2 돌출부(331a)에는 간섭방지홈(331b)이 구비될 수 있다.
간섭방지홈(331b)은 제2 클램핑유닛(330)이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할 때, 후술할 롤러부(332)만이 용접 대상물(P)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제2 클램핑부재(331)가 용접 대상물(P)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섭방지홈(331b)은 제2 클램핑부재(331)의 제2 돌출부(331a)의 일측면으로부터, 제2 클램핑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yz평면과 형행항 방향에서 바라볼 때, 간섭방지홈(331b)의 크기는, 용접 대상물(P)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간섭방지홈(331b)의 단면 형상은 원호(arc) 또는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간섭방지홈(33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2 클램핑부재(331)와 용접 대상물(P)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롤러부(332)는 용접 대상물(P)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롤러부(332)는 제2 클램핑부재(331)의 제2 돌출부(331a)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부(332)는 제2 돌출부(331a)에 배치되되, 간섭방지홈(331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롤러부(332)의 적어도 일부는, 간섭방지홈(331b)보다 제2 돌출부(331a)의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접 대상물(P)은 간섭방지홈(331b)의 내측면에 접하지 않은 상태로, 롤러부(332)에만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롤러부(332)는 교체 가능하도록, 제2 클램핑부재(33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롤러부(33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의 제2 클램핑부재(331)에는 한쌍의 롤러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롤러부(332)는 제2 돌출부(331a)에 배치되되, 간섭방지홈(331b)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쌍의 롤러부(332)는, 간섭방지홈(331b)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간섭방지홈(331b)의 양 끝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롤러부(332)는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적어도 일 부분이 간섭방지홈(331b)보다 제2 돌출부(331a)의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클램핑부재(331)가 한쌍 구비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제2 클램핑부재(331) 각각에는 한쌍의 롤러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롤러부(332)의 구체적인 특징은, 전술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제2 클램핑부재(331)가 한쌍 구비되는 경우, 한쌍의 제2 클램핑부재(331)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331a)들 역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돌출부(331a)들 각각에 구비된 간섭방지홈(331b)이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제2 돌출부(331a)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2개의 롤러부(332)가, 다른 하나의 제2 돌출부(331a)에 배치된 2개의 롤러부(332)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총 4개의 롤러부(332)가,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간섭방지홈(331b)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한쌍의 제2 클램핑부재(331)가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할 때, 용접 대상물(P)은 서로 마주보는 두개의 간섭방지홈(33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용접 대상물(P)은 두개의 간섭방지홈(331b) 둘레에 배치된 4개의 롤러부(332)들에 접촉되어 클램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클램핑부재(331)는 용접 대상물(P)은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클램핑유닛(240)이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을 클램핑한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제2 클램핑유닛(330)에 의해 클램핑된 용접 대상물(P)의 타단이 롤러부(332)에 의해 제1 클램핑유닛(24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클램핑유닛(330)에 의해, 용접 대상물(P)이 제1 클램핑유닛(240)에 의해 회전할 때, 용접 대상물(P)의 표면 긁힘을 방지하고, 또한 제2 클램핑유닛(330)이 용접 대상물(P)의 타단을 지지함으로써, 용접 대상물(P)의 자중에 의한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롤러부(332)는 다양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용접 대상물(P)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롤러부(332)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용접 대상물(P)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롤러부(3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부(332)는 제2 클램핑유닛(3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2 클램핑유닛(330) 전체가 아닌 롤러부(332)만을 교체하여, 여러 종류의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클램핑유닛(330)은 이송부(320)에 설치되어, 이송테이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클램핑유닛(330)은 제1 클램핑유닛(240)에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송테이블(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용접 대상물(P)의 길이가 긴 경우, 제2 클램핑유닛(330)은 제1 클램핑유닛(2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접 대상물(P)을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용접 대상물(P)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제2 클램핑유닛(330)은 제1 클램핑유닛(2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접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10)는, 제2 클램핑유닛(330)이 이송테이블(3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용접 대상물(P)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지그유닛(200)과 제2 지그유닛(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클램핑유닛(240)과 제2 클램핑유닛(330)이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하는 동작과, 클램핑을 해제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클램핑유닛(240)과 제2 클램핑유닛(330)이 적절한 압력으로 용접 대상물(P)을 클램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구동부(220)의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제1 클램핑유닛(240)의 회전 방향과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램핑유닛(240)이 회전하는 속도는 용접 속도와 비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400)는 용접 대상물(P)의 소재와 형상에 따라, 용접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용 지그 장치(10)는, 제1 지그유닛(200)으로 용접 대상물(P)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회전시키고, 제2 지그유닛(300)으로 용접 대상물(P)의 타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용접 대상물(P)을 용이하게 지지하여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용접 대상물(P)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1 클램핑유닛(240)과 제2 클램핑유닛(330)의 교체가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용접 대상물(P)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클램핑유닛(330)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용접 대상물(P)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접용 지그 장치
100: 베이스부
200: 제1 지그유닛
300: 제2 지그유닛
400: 제어부

Claims (1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용접 대상물의 일단을 클램핑하여 회전시키는 제1 지그유닛; 및
    상기 제1 지그유닛과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지그유닛;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그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용접 대상물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1 클램핑유닛;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이송테이블;
    상기 이송테이블에 결합되되,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한 이송부; 및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지지하는 제2 클램핑유닛; 을 포함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유닛은,
    상기 제1 클램핑유닛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클램핑유닛의 내측으로 오목한 지지홈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홈의 단면 형상은, 상기 용접 대상물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용접용 지그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본체;
    상기 회전본체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회전본체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삽입홈; 및
    상기 회전본체의 외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상기 회전본체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유닛은,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재; 및
    상기 제2 클램핑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부;를 구비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부재는 한 쌍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제2 클램핑부재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거나, 서로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한,
    용접용 지그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부재는,
    상기 제2 클램핑부재의 일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클램핑부재의 내측으로 오목한 간섭방지홈을 구비하는,
    용접용 지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간섭방지홈보다 상기 제2 클램핑부재의 외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용접용 지그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2 클램핑부재가 상기 용접 대상물의 타단을 클램핑하는 경우, 상기 용접 대상물의 둘레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0210039572A 2021-03-26 2021-03-26 용접용 지그 장치 KR10249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72A KR102490493B1 (ko) 2021-03-26 2021-03-26 용접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572A KR102490493B1 (ko) 2021-03-26 2021-03-26 용접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207A true KR20220134207A (ko) 2022-10-05
KR102490493B1 KR102490493B1 (ko) 2023-01-19

Family

ID=8359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572A KR102490493B1 (ko) 2021-03-26 2021-03-26 용접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0511A (zh) * 2023-11-29 2023-12-29 沈阳欧施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复合气瓶焊接的工装夹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889A (zh) * 2014-03-04 2014-05-21 唐山开元机器人系统有限公司 上开口360度回转调心夹具
CN106312320A (zh) * 2016-09-27 2017-01-11 莆田学院 一种薄壁圆筒防变形夹具及修复裂缝的激光熔覆机
CN110936076A (zh) * 2019-12-30 2020-03-31 南京英尼格玛工业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歧管焊接系统
CN111069844A (zh) * 2019-12-27 2020-04-28 安徽海德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液化气转运的液化气罐滚轮架
KR20200085109A (ko) * 2019-01-04 2020-07-14 (주)영광 지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01889A (zh) * 2014-03-04 2014-05-21 唐山开元机器人系统有限公司 上开口360度回转调心夹具
CN106312320A (zh) * 2016-09-27 2017-01-11 莆田学院 一种薄壁圆筒防变形夹具及修复裂缝的激光熔覆机
KR20200085109A (ko) * 2019-01-04 2020-07-14 (주)영광 지그장치
CN111069844A (zh) * 2019-12-27 2020-04-28 安徽海德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液化气转运的液化气罐滚轮架
CN110936076A (zh) * 2019-12-30 2020-03-31 南京英尼格玛工业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歧管焊接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00511A (zh) * 2023-11-29 2023-12-29 沈阳欧施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复合气瓶焊接的工装夹具
CN117300511B (zh) * 2023-11-29 2024-02-23 沈阳欧施盾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复合气瓶焊接的工装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0493B1 (ko) 2023-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34207A (ko) 용접용 지그 장치
CN109940336A (zh) 一种螺杆压缩机断裂主轴修复辅助工装
KR101572083B1 (ko) 전자빔 용접용 멀티 용접물 클램프 지그
CN103121174B (zh) 用于加工轮毂的同步夹具
EP0170662A1 (en) Internal pipe welding apparatus
CN208196054U (zh) 一种风机机器人自动焊接工作站
JP2020069602A (ja) ワーク加工装置
KR20220134208A (ko) 용접 시스템
CN108941836B (zh) 焊接定位机构及具有其的管体焊接设备
CN219852935U (zh) 一种驱动桥轴头焊接系统
CN210115540U (zh) 一种薄壁管换角度线切割治具
CN210387991U (zh) 激光焊接夹持设备
CN210209079U (zh) 一种镭雕设备
CN113265657B (zh) 一种多自由度激光送粉修复装置及出粉方法
CN115446430A (zh) 管道组对焊接一体化机头
CN210281229U (zh) 一种方管焊接夹具
CN112171167B (zh) 一种多工位工作台及焊接方法
CN113442448A (zh) 一种球阀自动焊接机
JP3126175B2 (ja) レーザ加工ヘッドの自動交換装置
CN214518586U (zh) 钢管快速对准装置
CN215546145U (zh) 一种用于热交换器散热管的焊接工装
CN219465070U (zh) 一种精密不锈钢管圆环回旋式激光焊接设备
CN220388517U (zh) 一种焊接成型波纹管的专用装夹工作台
CN210498861U (zh) 一种工作台
CN215146192U (zh) 一种焊接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