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234A -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 - Google Patents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234A
KR20200084234A KR1020190000394A KR20190000394A KR20200084234A KR 20200084234 A KR20200084234 A KR 20200084234A KR 1020190000394 A KR1020190000394 A KR 1020190000394A KR 20190000394 A KR20190000394 A KR 20190000394A KR 20200084234 A KR20200084234 A KR 20200084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estate
user
information
specific
prope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726B1 (ko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김성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광 filed Critical 김성광
Priority to KR102019000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7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부동산을 검색하고 부동산을 등록하는 부동산 시스템에서의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특정 부동산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METHOD OF SEARCHING AND REGISTRATING REAL ESTATE INFORMATION BY TAKING PICTURES OF THE REAL ESTATE}
본 발명은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방법, 즉 사용자의 단말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부동산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부동산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민법에서는 물건(物件)인 유체물(有體物) 및 전기(電氣)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민법 제98조) 중에서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부동산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부동산, 즉 상업·업무용 부동산이나 아파트, 오피스텔, 토지 등 다양한 부동산은 우리 실생활이나 상거래에서 빈번하게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이러한 부동산 거래를 위한 다양한 앱, 시스템이나 플랫폼이 있었다. 직방이나 다방 등의 앱이나 부동산114 등의 시스템 등이 대표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 앱 등에서는, 매물을 접수하고, 매물을 조사하는데,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민원24에 의한 지적도, 건축물 대장, 토지 대상, 등기소, 구글/다음/네이버 등을 통한 위성지도, 현장사진 촬영이나 로드뷰 등의 과정을 거쳐서 매물을 조사하고, 조사된 정보를 저장하고, 광고적합성 검토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는 등 아주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지만 부동산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즉, 기존의 공인중개사들은 상당히 불편한 과정을 거쳐서 매물 등록을 하였다.
또한, 부동산 등록은 물론이고 기존의 부동산 거래를 위한 부동산 검색시에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나아가 새로 살 집은 이미 구해서 이사갈 날이 확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우리 집이 팔리지 않는 경우, 종래 앱 등에서는 시간에 따른 부동산 전략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앱 등의 문제점을 좀 더 편리하고 간단한 방법으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관련해서, 종래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9290호(발명의 명칭 :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중개방법, 등록일 : 2016.09.19)를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공개문헌에서는 "본 발명은 부동산 매물에 대한 정보를 매물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매물관리서버로부터 매물 거래 상태를 수신하는 등록자 단말기와; 상기 등록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매물 정보를 검수하고 회원가입된 중개사무소와 매물을 매칭하는 매물관리서버 및; 상기 매물관리서버에 회원가입하여 매물을 수임받을 수 있도록 하여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개업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의뢰인이 등록자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직접 부동산 매물을 의뢰할 수 있도록 하고, 의뢰인이 등록한 매물에 대한 검수를 한 서버는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의뢰인에게 정보 수정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수정이 완료된 경우 담당중개사를 연결하여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에 광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번에 여러 중개사들이 손님에게 매물을 안내하여 빠른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중개방법에 관한 것이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부동산 거래를 위한 부동산 검색이나 등록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점이 상당히 많았던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과 같은 문제의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종래 앱 등에서는 시간에 따른 부동산 전략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도 전혀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 다른 종래 특허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5041호 (발명의 명칭 :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공개일 : A2013.02.13)를 들 수 있다. 해당 특허 공개문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판매자로부터 수신된 상품 판매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품 판매 및 상기 상품 판매에 따른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제1 애플리케이션 생성을 위한 제1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홍보자로부터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홍보"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홍보" 요청에 대응하여 제2 애플리케이션 생성을 위한 제2 코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구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홍보자에게 지급될 희망 홍보 수수료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홍보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라고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부동산 거래를 위한 부동산 검색이나 등록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점이 상당히 많았던 것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과 같은 문제의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종래 앱 등에서는 시간에 따른 부동산 전략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도 전혀 찾아보기 어려웠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9290호(발명의 명칭 :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중개방법, 등록일 : 2016.09.19)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5041호 (발명의 명칭 :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공개일 : A2013.02.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방법, 즉 사용자의 단말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부동산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부동산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조작(디스플레이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시의 GPS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실제 GPS 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는 본인 및 타 사용자들에 대해서 적어도 한 명 이상을 포함하여 그룹으로 설정하는 끼리 설정을 하고, 끼리 설정에서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달리 설정하여, 끼리 설정에 맞추어서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부동산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가능한, 부동산 매물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으로서, 공인중개사, 부동산중개법인 또는 부동산 거래 고객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부동산을 검색하고 부동산을 등록하는 부동산 시스템에서의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특정 부동산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과 함께 상기 특정 부동산 촬영시의 GPS 정보도 같이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GPS 정보에 따라서, 일반 지도, 지형도, 지적도, 위성지도 가운데 하나 이상의 지도 상에, 상기 촬영시의 GPS 정보에 따른 위치를 표시해 주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시의 GPS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검색 또는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실제 GPS 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보정된 실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상기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그 촬영 영상과 함께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하고, 등록된 매물의 허위 매물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스스로 판정할 수 있도록, 등록된 매물에 대한 좋아요 및 싫어요의 숫자 또는 비율에 따라서, 상기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의 평판 점수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등록된 매물에 대해서,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지적도 정보, 건축물 대장, 토지대장, 등기 정보, 위성지도, 로드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등기 정보 또는 건축물 대장에서 제시하는 층수를 이용하여 가상의 건물을 일단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 상에서 층수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층에서 부동산을 분할하거나 부동산을 통합하거나 부동산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인중개사, 부동산중개법인 또는 부동산 거래 고객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부동산을 검색하고 부동산을 등록하는 부동산 시스템에서, 사용자 간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는 본인 및 타 사용자들에 대해서 적어도 한 명 이상을 포함하여 그룹으로 설정하는 끼리 설정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끼리 설정 단계에서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 및 타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입력을 통해서, 상기 특정 부동산의 검색을 상기 시스템에 요청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상기 특정 부동산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끼리 설정을 확인하여, 끼리 설정에 맞추어서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특정 부동산의 정보를 공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는 상기 끼리 설정 단계에서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사용자는 상기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사전에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시계열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상기 해당 시각이 되면 사전에 설정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에 따라서, 상기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은,
첫째, 간단한 방법, 즉 사용자의 단말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부동산 정보를 검색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단말에서 등록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하는 것만으로 부동산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가능한,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사용자의 조작(디스플레이의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시의 GPS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실제 GPS 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한,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하고, 등록된 매물의 허위 매물 여부를 사용자가 스스로 판정할 수 있도록 집단 지성을 이용한다. 다시 말해, 등록된 매물에 대한 좋아요 및 싫어요의 숫자 또는 비율에 따라서,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의 평판 점수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사용자 스스로 허위 매물이라는 것을 등록하도록 유도하거나, 공인중개사 스스로 자신의 평판을 낮추는 행위를 자제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낳는다.
넷째, 시스템은, 등기 정보 또는 건축물 대장에 나와 있는 층수를 이용하여 가상의 건물을 일단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시스템 상에서 층수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층에서 부동산을 분할하거나 부동산을 통합하거나 부동산 정보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등기상이나 건축물 대장 상에는 없는 가건물이나 미구획된 공간이라도, 실제 부동산 거래의 대상이 되는 현실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자율적으로 부동산 정보를 가상으로 입력하되, 블록 형태로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직관적인 UI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섯째, 본 발명은 사용자는 본인 및 타 사용자들에 대해서 적어도 한 명 이상을 포함하여 그룹으로 설정하는 끼리 설정을 하고, 끼리 설정에서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달리 설정하여, 끼리 설정에 맞추어서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부동산의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섯째, 사용자는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곱째, 사전에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시계열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해당 시각이 되면 사전에 설정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에 따라서,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새로 살 집은 이미 구해서 이사갈 날이 확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우리 집이 팔리지 않는 경우, 종래 앱 등에서는 시간에 따른 부동산 전략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바쁜 직장인이 일일이 들어가서 조정할 필요 없이, 이사 기일까지 시기별로 가격 조정을 미리 저장해 두고, 공개만을 시간별로 단계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정보 검색 및 등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허위 매물 판정과 관련하여, 등록 매물에 대한 좋아요와 싫어요, 그리고 해당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에 대한 평판 점수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부동산 정보의 가상 확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부동산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끼리를 설정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특정 끼리에 대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앱의 시제품 화면의 일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부동산 정보 검색 및 등록 방법)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동산 정보 검색 및 등록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은,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부동산을 검색하고 부동산을 등록하는 부동산 시스템에서 적용된다.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은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시스템(앱, 플랫폼, 웹 등)에 접속한다(S100). 여기서, 공인중개사는, 공인중개사법에 의해 공인중개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으로 중개대상물에 대하여 거래당사자간의 매매ㆍ교환ㆍ임대차 그 밖의 권리의 득실변경에 관한 행위를 알선하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공인중개사가 중개할 수 있는 대상은 토지, 건축물 그 밖의 토지의 정착물 등이다. 공인중개사 가운데 중개사무소의 개설 등록을 한 사람을 개업공인중개사는 물론이고, 개업공인중개사에 소속된 공인중개사는 소속공인중개사를 포함한다.
부동산중개법인은 개인 사업을 하는 공인중개사와 달리 상법상 회사로서, 대표자가 반드시 공인중개사여야만 하는 법인이며, 이 부동산 중개법인은 개인사업자인 공인중개사가 할 수 없는 모든 형태의 주택과 상업용 건축물의 분양업무를 대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공인중개사, 부동산중개법인은 물론이고 일반 사용자, 즉 부동산을 거래하고자 하는 고객(부동산을 소유하는 고객, 부동산을 임대하고자 하는 고객 등일반인 누구나가 될 수 있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 즉 스마트폰이나 휴대폰, 모바일 단말, 노트북, PC 등을 통해서, 앱, 플래폼, 웹, 서버 등의 시스템에 접속한다. 이 때 접속은 유무선 형태의 접속으로서,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통한 로그인이나 공인인증서를 통한 로그인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공인중개사 및 부동산중개법인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특정 부동산을 촬영하는 단계를 거친다(S200).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특정 부동산, 즉 검색하고자 하는 부동산 또는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촬영한다. 촬영은 정지화상으로 촬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것도 포함한다.
다음으로, 시스템이,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상술한 매물로서 검색하고자 하거나 또는 매물로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촬영한 영상을 입력 받는다(S300).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한 영상은 정지화상일 수도 있지만, 동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현장에서 바로 검색하고자 하거나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부동산을 스마트 폰 등을 통해서 바로 촬영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촬영한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시스템에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웹이라면 마우스 클릭이나 앱의 경우 모니터 터치를 이용하여 매물의 부동산 사진을 선택하여 업로드하는 것으로 시스템에 입력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검색하고자 하거나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시스템에서는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S40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시스템은, 검색하고자 하거나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을 입력 받음과 함께, 검색하고자 하거나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 촬영시의 GPS 정보도 같이 입력 받게 된다.
다만 이 경우 검색하고자 하거나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에 정확히 위치한 상태에서 해당 부동산을 촬영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예를 들어 토지를 촬영할 때 해당 토지의 옆에서 촬영하거나 해당 토지에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촬영하거나, 건물을 촬영할 때 일정 거리를 두고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정 부동산 촬영시의 GPS 정보는 일치하기 보다는 불일치한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이 필요하며, 이것에 대해서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나아가, 특정 부동산 촬영시의 GPS 정보가 잘 수신되는 경우, 즉 야외의 토지의 경우에는 GPS 정보 미수신의 문제 가능성은 낮을 것이다. 하지만, GPS 정보가 잘 수신되지 않는 빌딩 내의 경우 등에는,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기, 단말기에서는, 빌딩이나 건물 내 시스템과의 접속을 통해서, 빌딩 내에서 위치 확인과 추적이 가능하다.
나아가, GPS 정보 대신에 3개 이상의 중계기나 와이파이 등의 신호 세기를 이용한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 사용자의 걸음걸이를 이용하여, 즉 단말기에 있는 센서들(위치센서, 진동센서, 회전센서, 기압센서 등)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걸음걸이 패턴을 인식하여 위치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위치정보, 진동정보, 회전정보, 및 지리정보를 획득하고, 회전정보 및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 거리를 계산한다. 진동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이동거리에 대응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걸음수를 계산하고, 결과적으로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보폭을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빌딩 내에서 특정 코너에서 회전하는 순간과 그 다음 코너를 회전하는 순간 측정되는 회전정보를 특이점으로 이용하여 지리정보로부터 단말기의 실제로 이동한 거리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현재 고도의 단말기 기압센서 결과값을 이용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공개된 해당 지역의 기압값으로부터 고도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동산 정보를 기초로, 예를 들어 층고 정보 등을 이용하여, 현재 단말기가 몇 층에 있다는 것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층고 정보가 공개되지 않은 경우, 기본값(default height)을 4m로 설정하여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층을 계산한다. 이를 이용하여, GPS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곳에서도, 위치를 대략 추정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그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오차 보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시스템에서는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시스템은, GPS 정보에 따라서, 일반 지도, 지형도, 지적도, 위성지도 가운데 하나 이상의 지도 상에, 촬영시의 GPS 정보에 따른 위치를 일단은 먼저 표시를 해준다. 이 경우, 지도는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일반적으로 공개된 지도 정보, 지적도 등의 정보나, 국가에서 공개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도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해당 지도들을 겹쳐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지도는 여러 레이어(layer)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각 레이어를 바꿔 가면서 볼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부동산의 촬영시의 GPS 정보와, 사용자가 실제로 검색하고자 하거나 또는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실제 GPS 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오차 보정된 실제 GPS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부동산을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표시하거나, 또는 매물로서 등록하고자 하는 해당 부동산을 그 촬영 영상과 함께 매물로서 등록하게 된다.
(허위 매물 등록 방지 및 허위 매물 여부 판정 방법)
도 2는 허위 매물 판정과 관련하여, 등록 매물에 대한 좋아요와 싫어요, 그리고 해당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에 대한 평판 점수의 연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공인중개사 사무소의 경우, 허위 매물, 즉 과도하게 시세보다 낮은 매물을 등록을 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전화가 오게 유도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렇게 허위 매물로 유도한 고객에 대해서 허위 매물은 거래가 완료되었고 다른 좋은 매물이 있다는 방식으로 거래를 시도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부동산 거래의 고객 입장에서는 허위 매물은 잘못된 정보로서, 허위 매물 여부를 스스로 판정하고 싶어 한다. 시스템의 관점에서는 허위 매물의 등록을 방지하여 신뢰도를 높이고 싶어 한다. 이를 위하여, 즉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하고, 등록된 매물의 허위 매물 여부를 사용자가 스스로 판정할 수 있도록, 등록된 매물에 대한 좋아요 및 싫어요의 숫자 또는 비율에 따라서,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의 평판 점수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즉 집단 지성으로, 허위 매물을 보고 연락한 사용자가 해당 매물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경우, 싫어요를 클릭하거나 선택하게 하여, 해당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의 평판 점수를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뒤 해당 매물을 확인한 부동산 거래 고객들이 싫어요의 수를 보고 허위 매물임을 스스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 스스로 허위 매물이라는 것을 등록하도록 유도하거나, 공인중개사 스스로 자신의 평판을 낮추는 행위를 자제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낳는다.
여기서, 등록 매물에 대한 좋아요와 싫어요로 기재하였으나, 등록 매물에 대한 다른 표현의 방식으로 대체나 변경,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해당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에 대한 평판 점수라고 표현하였으나, 마찬가지로 평점이나 rating 등의 다른 표현의 방식으로 대체나 변경,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동산 정보의 가상 확장 방법)
도 3은 부동산 정보의 가상 확장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등록된 매물에 대해서,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지적도 정보, 건축물 대장, 토지대장, 등기 정보, 위성지도, 로드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시스템은, 등기 정보 또는 건축물 대장에서 제시하는 층수를 이용하여 가상의 건물을 일단 표시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시스템 상에서 층수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층에서 부동산을 분할하거나 부동산을 통합하거나 부동산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등기상이나 건축물 대장 상에는 없는 가건물이나 미구획된 공간이라도, 실제 부동산 거래의 대상이 되는 현실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스스로 자율적으로 부동산 정보를 가상으로 입력하되, 블록 형태로 채워 넣을 수 있도록 직관적인 UI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5층에서 미구획된 부동산을 분할하여 임대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사용자가 직접 블록1(Block 1), 블록2(Block 2), 및 블록3(Block3)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부동산 정보 공유 방법)
도 4는 부동산 정보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끼리를 설정하는 도면이며, 도 6은 특정 끼리에 대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는 것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인중개사, 부동산중개법인 및 부동산 거래 고객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부동산을 검색하고 부동산을 등록하는 부동산 시스템에서, 사용자 간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이 시스템에 접속한다(S100).
다음으로, 사용자는 본인 및 타 사용자들에 대해서 적어도 한 명 이상을 포함하여 그룹으로 설정하는 끼리 설정을 한다(S500). 도 5에서는 왼쪽의 사용자 목록에서 사용자2(user2), 사용자5(user5) 등을 오른쪽의 끼리로 이동하여 끼리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 끼리의 이름, 즉 끼리名을 작명해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사용자의 단말 입력을 통해서, 시스템에서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동시에, 사용자는 상기 끼리 설정 단계에서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설정한다(S600).
다음으로, 타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단말 입력을 통해서, 특정 부동산의 검색을 상기 시스템에 요청하는 경우, 시스템은 상기 특정 부동산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끼리 설정을 확인하여, 끼리 설정에 맞추어서 해당 사용자에게 특정 부동산의 정보를 공개한다(S700).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 입력을 통해서, 시스템에서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동시에, 사용자는 끼리 설정 단계에서 그룹으로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는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사용자는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본인이 등록하는 매물에 대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변경하여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사전에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를 시계열적으로 변경하여 설정하고, 해당 시각이 되면 사전에 설정된 공개하는 정보 및 공개 정도에 따라서, 끼리 설정된 사용자들에게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예를 들어, 새로 살 집은 이미 구해서 이사갈 날이 확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우리 집이 팔리지 않는 경우, 종래 앱 등에서는 시간에 따른 부동산 전략을 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바쁜 직장인이 일일이 앱이나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들어가서 가격을 조정할 필요 없이, 이사 기일까지 시기별로 가격 조정을 미리 고민하여 저장해 두고, 공개만을 시간별로 단계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에서는 끼리1에 대해서 모레까지 등록 매물의 매각을 위하여, 오늘은 4억 6천만원에 매도를 시도하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내일은 4억 5천만원, 모레에는 4억 2천만원까지 등록 매물의 매도가격을 낮추는 것을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것은 공개레벨에 따라서 공개 정보를 달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공인중개사, 부동산중개법인 또는 부동산 거래 고객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이 접속하여, 부동산을 검색하고 부동산을 등록하는 부동산 시스템에서의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특정 부동산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서,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과 함께 상기 특정 부동산 촬영시의 GPS 정보도 같이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 영상 입력을 통해서, 상기 시스템에서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GPS 정보에 따라서, 일반 지도, 지형도, 지적도, 위성지도 가운데 하나 이상의 지도 상에, 상기 촬영시의 GPS 정보에 따른 위치를 표시해 주는 단계;
    상기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 부동산의 촬영시의 GPS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검색 또는 등록하고자 하는 특정 부동산의 실제 GPS 정보 간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보정된 실제 GPS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부동산을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상기 시스템의 지도 상에서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부동산을 그 촬영 영상과 함께 매물로서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허위 매물 등록을 방지하고, 등록된 매물의 허위 매물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스스로 판정할 수 있도록, 등록된 매물에 대한 좋아요 및 싫어요의 숫자 또는 비율에 따라서, 상기 매물을 등록한 공인중개사 또는 부동산중개법인의 평판 점수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등록된 매물에 대해서, 토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 지적도 정보, 건축물 대장, 토지대장, 등기 정보, 위성지도, 로드뷰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받아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등기 정보 또는 건축물 대장에서 제시하는 층수를 이용하여 가상의 건물을 일단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시스템 상에서 층수를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하거나, 또는 특정 층에서 부동산을 분할하거나 부동산을 통합하거나 부동산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부동산 촬영을 통한 부동산 검색 및 등록 방법.
KR1020190000394A 2019-01-02 2019-01-02 부동산 촬영을 통해 부동산을 검색하고 등록하며,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 KR102171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94A KR102171726B1 (ko) 2019-01-02 2019-01-02 부동산 촬영을 통해 부동산을 검색하고 등록하며,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394A KR102171726B1 (ko) 2019-01-02 2019-01-02 부동산 촬영을 통해 부동산을 검색하고 등록하며,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234A true KR20200084234A (ko) 2020-07-10
KR102171726B1 KR102171726B1 (ko) 2020-10-29

Family

ID=7160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394A KR102171726B1 (ko) 2019-01-02 2019-01-02 부동산 촬영을 통해 부동산을 검색하고 등록하며,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92B1 (ko) * 2022-04-22 2023-06-13 김민혁 임차인에게 부동산 매물을 추천해주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862B1 (ko) * 2021-09-08 2022-11-16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기록매체에 저장된 부동산 관리용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부동산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826A (ko) * 2005-08-05 2007-02-08 권혁도 지피에스를 이용한 부동물의 전자상거래 관리모델
KR20130015041A (ko) 2011-08-02 2013-02-13 채널브리즈 주식회사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59290B1 (ko) 2015-06-05 2016-09-23 주식회사 직방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중개방법
KR101693630B1 (ko) * 2015-06-29 2017-01-06 김진열 스마트폰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중개방법
KR20170044326A (ko) * 2015-10-15 2017-04-25 문석현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060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826A (ko) * 2005-08-05 2007-02-08 권혁도 지피에스를 이용한 부동물의 전자상거래 관리모델
KR20130015041A (ko) 2011-08-02 2013-02-13 채널브리즈 주식회사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59290B1 (ko) 2015-06-05 2016-09-23 주식회사 직방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중개방법
KR101693630B1 (ko) * 2015-06-29 2017-01-06 김진열 스마트폰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부동산 중개방법
KR20170044326A (ko) * 2015-10-15 2017-04-25 문석현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1060A (ko) * 2016-06-24 2018-01-04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 정보와 건물 정보의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692B1 (ko) * 2022-04-22 2023-06-13 김민혁 임차인에게 부동산 매물을 추천해주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1726B1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93669A1 (en) System and method of collecting and providing service provider records
US1015272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bination of online coupons, products or services with advertisements, geospatial mapping, related company or local information, and social networking
AU2005232211B2 (en) Method of presenting leasing arrangements
US10102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utilizing predicting, and implementing online consumer browsing behavior, buying patterns, social networking communications, advertisements and communications, for online coupons, products, goods and services, auctions, and service providers using geospatial mapping technology, and social networking
US20150206218A1 (en) Augmented Reality Based Mobile App for Home Buyers
KR102653685B1 (ko) 부동산 시세 추정 시스템 및 방법
JP6607987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102171726B1 (ko) 부동산 촬영을 통해 부동산을 검색하고 등록하며, 부동산 매물을 공유하는 방법
JP6689932B2 (ja) 保険業務支援システム、契約者特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54451A (ko) 부동산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20189075A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Features During In-Person Real Estate Showings/Open Houses and Vacation Rental Stays
US2015023530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seller to list real property
JP2007102505A (ja) 不動産取引システム
KR101640444B1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 합필지원도구 시스템
KR102160464B1 (ko) 부동산 매물 공유 방법
KR20210059990A (ko) 공실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Ludiema et al. Development of a web-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mass land valuation: A case study of Westlands Constituency, Nairobi County
KR101828499B1 (ko)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건물 히스토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55594A (ko) 급매물 부동산의 중개 방법
JP7426789B2 (ja) 不動産仲介システムおよび不動産仲介方法
JP2023096201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221367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13073B2 (ja) 不動産情報管理システム
JP7280421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634201B1 (ko) 부동산 중개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