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295A -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 Google Patents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295A
KR20200082295A KR1020180172746A KR20180172746A KR20200082295A KR 20200082295 A KR20200082295 A KR 20200082295A KR 1020180172746 A KR1020180172746 A KR 1020180172746A KR 20180172746 A KR20180172746 A KR 20180172746A KR 20200082295 A KR20200082295 A KR 2020008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bolt
wheel
hub bol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6826B1 (ko
Inventor
윤호용
김원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17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8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6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 B60B27/065Hubs adapted to be fixed on axle characterised by the fixation of the hub to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00Disc wheels, i.e. wheels with load-supporting disc body
    • B60B3/14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 B60B3/16Attaching disc body to hub ; Wheel adapters by bo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F16B35/06Specially-shaped heads
    • F16B35/065Specially-shaped heads with self-countersink-cu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의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볼트는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주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와, 결합부의 세레이션과 헤드부 사이에서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Hub bolt for mounting wheel to wheel hub and wheel bearing provided therewith}
본 발명은 휠베어링의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허브 볼트에 돌기부를 형성해 돌기부와 허브 플랜지 사이의 압입에 의해 허브 볼트에 의도치 않은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허브 볼트와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은 회전장치에서 회전요소를 비회전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장치로, 휠베어링은 차량의 차륜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휠베어링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휠베어링은 차량의 차륜(wheel)이 장착되는 회전요소(10; 휠허브)가 차체에 고정되는 비회전요소(20; 외륜)에 전동체(30)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요소(10; 휠허브)에 장착된 차륜을 차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차륜이 장착되는 휠허브(10)는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허브 플랜지(12)가 구비되어 허브 플랜지(12)에 형성된 볼트 장착공(14)에 허브 볼트(40)를 삽입해 차륜을 휠허브(10)에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휠허브(10)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40)는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헤드부(42)와, 헤드부(42)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허브 플랜지(12)에 형성된 볼트 장착공(14) 내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44)와, 결합부(44)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46)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부(44)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세레이션(serration)이 형성되어 세레이션이 볼트 장착공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차륜에는 일반적으로 큰 토크가 가해지기 때문에 차륜과 휠허브 사이에는 의도치 않은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휠허브와 휠허브를 연결하는 허브 볼트에 회전력이 가해지면서 허브 볼트가 끼움결합된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해 세레이션 결합부에 손상이 발생하고 휠허브에 결합된 차륜의 분리가 불가능해 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허브 볼트(40)와 이러한 허브 볼트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허브 플랜지(12)의 볼트 장착공(14)에 다각형의 결합구조를 형성해 허브 볼트(40)의 슬립 문제를 방지하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허브 볼트(40) 및 휠베어링(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볼트(40)의 헤드부(42)와 결합부(44) 사이에 다각형 형상의 체결부(48)를 형성하고 허브 볼트(40)가 삽입되는 허브 플랜지(12)의 볼트 장착공(14)에 이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의 리세스(16)를 형성해, 이러한 다각형 형상의 결합구조[다각형 형상의 체결부(48) 및 리세스(16)]를 통해 허브 볼트의 의도치 않은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형성된 슬립 방지 구조는 허브 볼트(40)와 휠허브의 허브 플랜지(12) 양측에 다각형 형상의 결합구조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허브 볼트 및 휠허브의 생산성이 저하되게 되고, 이러한 다각형 형상의 결합구조를 형성하더라도 허브 플랜지(12)에 형성된 다각형의 리세스(16)와 허브 볼트(40)에 형성된 다각형의 체결부(48)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에 의해 허브 볼트(40)의 슬립이 완전히 방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1898호 (공개일: 2018.06.0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휠허브의 허브 플랜지에 장착되는 허브 볼트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형성해 허브 볼트 결합시 돌기부가 허브 플랜지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베어링의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볼트는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부와, 헤드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주면에 세레이션이 형성된 결합부와, 결합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와, 결합부의 세레이션과 헤드부 사이에서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는 허브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 장착공에 허브 볼트를 삽입하여 장착할 때 허브 플랜지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가 허브 플랜지에 압입되어 장착될 때 돌기부와 허브 플랜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탄성변형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는 허브 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는 허브 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3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는 결합부로부터 헤드부 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의 반경방향 외측부는 결합부로부터 헤드부 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허브에 형성되는 볼트 장착공은 허브 볼트가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 경사진 구조의 면취부를 구비하고, 돌기부의 반경방향 외측부에 형성되는 경사구조가 볼트 장착공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는 볼트 장착공에 형성된 면취부가 볼트 장착공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는 헤드부로부터 결합부 측으로 갈수록 그리고 허브 볼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차륜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은 차륜을 장착하기 위한 허브 플랜지를 구비하는 휠허브와, 휠허브의 일측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과, 내륜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차체에 장착되는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는 외륜과, 외륜의 반경방향 내측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동체와, 전술한 허브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볼트는 결합부의 세레이션과 헤드부 사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어, 허브 볼트를 허브 플랜지의 볼트 장착공에 삽입하여 장착할 때 결합부의 세레이션이 허브 플랜지의 볼트 장착공 내주면에 압입되면서 장착됨과 함께 돌기부가 허브 플랜지의 일측에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어, 허브 볼트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허브 볼트의 세레이션이 변형되더라도 허브 볼트에 의도치 않은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휠베어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휠베어링에서 차륜을 휠허브에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에 이용될 수 있는 허브 볼트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휠베어링의 허브 플랜지에 허브 볼트가 장착된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도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형상 및 크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휠베어링(100) 및 이러한 차량용 휠베어링(100)에 차량의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20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100)은 통상의 차량용 휠베어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베어링(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허브(110; 회전요소), 내륜(120), 외륜(130; 비회전요소), 전동체(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허브(110)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대략 원통형 형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휠허브(110)의 차륜측 단부 부근에는 허브 플랜지(112)가 구비될 수 있다. 허브 플랜지(112)는 휠허브(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허브 볼트(200)를 이용해 차륜을 휠허브(110)에 장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휠허브(110)의 차체측 단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내륜(120)을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휠허브(110)의 외주면 일부에는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형성되어 전동체(140)를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휠허브의 외주면 일부에 전동체를 지지하기 위한 일측 궤도면이 직접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휠허브에 2개의 내륜을 장착해 2개의 내륜을 통해 전동체의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내륜(120)은 휠허브(110)의 일측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내륜(120)은 휠허브(110)의 차체측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압입된 상태에서 휠허브(110)의 단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성변형시키거나 휠허브(110)의 차체측 단부에 너트 등을 체결해 휠허브(110)에 안착되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륜(120)의 외주면에는 전동체(140)가 접촉하는 궤도면(내측 궤도면)이 구비되어 전동체를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륜(130)은 외주면에 휠베어링(100)을 차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플랜지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전동체(140)가 접촉하는 궤도면(외측 궤도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륜(130)의 내주면에 형성된 궤도면(외측 궤도면)은 휠허브(110) 및/또는 내륜(120)에 형성된 궤도면(내측 궤도면)과 협력해 궤도면 사이에 구름요소인 전동체(140)를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동체(140)는 외륜(130)의 반경방향 내측, 구체적으로는 외륜(130)에 형성된 궤도면(외측 궤도면)과 휠허브(110) 및/또는 내륜(120)에 형성된 궤도면(내측 궤도면) 사이에 배치되어, 차륜이 장착되는 휠허브(110)를 차체에 고정되는 외륜(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허브(110)의 허브 플랜지(112)에는 볼트 장착공(114)이 구비되어 볼트 장착공(114)에 허브 볼트(200)를 삽입해 휠허브(110)의 허브 플랜지(112)에 차륜(및 브레이크 디스크)를 장착하여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장착공(114)은 휠허브(110)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허브 플랜지(112)를 관통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장착공(114)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는 허브 볼트(200)의 안정적인 삽입 및 장착을 위해 라운딩 처리되거나 면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볼트 장착공(114)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 볼트(200)가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 경사진 구조의 면취부(116)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휠허브(110)의 허브 플랜지(112)에 형성된 볼트 장착공(114)에는 허브 볼트(2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볼트(200)의 구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200)는 차량용 휠베어링에 이용되는 통상의 허브 볼트와 전체적으로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200)는 일측에 구비되는 헤드부(210)와, 헤드부(210)로부터 축방향(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허브 플랜지(112)에 형성된 볼트 장착공(1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220)와, 결합부(220)로부터 허브 볼트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연장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10)는 허브 볼트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허브 볼트(200)를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에 장착할 때 허브 플랜지(112)의 일측 단면에 접촉해 허브 볼트(20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허브 볼트(200)의 헤드부(210)는 허브 볼트(200)가 삽입되는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보다 큰 단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20)는 헤드부(210)로부터 허브 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세레이션(serration)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220)는 외주면에 형성된 길이방향의 세레이션(222)이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 내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허브 볼트(200)를 허브 플랜지(112)에 장착시켜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연장부(230)는 결합부(220)로부터 허브 볼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허브 볼트(200)를 허브 플랜지(112)에 장착할 때 허브 플랜지(112)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장부(230)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이용해 허브 플랜지(112)에 장착되는 차륜 및/또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휠허브(110)에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200)의 결합부(220)에 형성된 세레이션(222)과 헤드부(210) 사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허브 볼트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연장하는 돌기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과 헤드부(210) 사이에 돌기부(240)가 형성된다는 기재의 의미는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과 헤드부(210) 사이의 공간에 돌기부(240)가 구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과 헤드부(210) 사이의 축방향 간극 전체에 돌기부(240)가 형성되는 구성 뿐만 아니라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과 헤드부(210) 사이의 축방향 간극 일부에 돌기부(240)가 형성되는 구성도 포함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 부분까지 돌기부(24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돌기부(240)는 허브 볼트(200)를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에 삽입할 때 허브 플랜지(112)의 일측에 압입되어 허브 볼트(2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200)에 형성되는 돌기부(240)는 허브 플랜지(112)에 압입되어 장착될 때 허브 볼트(200)의 돌기부(240)와 허브 플랜지(112)의 압입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탄성변형되면서 압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240)는 헤드부(210)로부터 결합부(220) 측으로 갈수록 그리고 허브 볼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의 돌기부(240) 형상으로 인해 허브 볼트(200)를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에 삽입해 장착할 때 돌기부(240)가 허브 플랜지에 보다 용이하게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에 형성되는 돌기부(240)는 허브 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돌기부(240)에 의한 허브 볼트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브 볼트(200)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돌기부(24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200)에 형성되는 돌기부(240)는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으로부터 헤드부(21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240)를 헤드부(210) 측으로 갈수록 보다 높아지는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허브 볼트(200)를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에 체결할 때 초기에는 적은 면적의 돌기부(240)만 압입되다가 허브 볼트(200)가 체결됨에 따라 보다 넓은 면적의 돌기부(240)가 압입되게 되어 돌기부(240)의 압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볼트(200)에 형성되는 돌기부(240)는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으로부터 헤드부(21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돌기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242)가 허브 볼트(200)의 길이방향에 대해[즉, 볼트 장착공(114)의 중심축에 대해] 소정의 각도(α)를 갖는 경사구조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기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242)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구조가 볼트 장착공(114)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α)는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 단부에 형성되는 면취부(116) 보다 완만한 각도가 되도록[즉, 돌기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242)가 볼트 장착공(114)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α)가 면취부(116)가 볼트 장착공(114)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β) 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허브 볼트(200)가 허브 플랜지(112)의 볼트 장착공(114) 내로 삽입될 때 허브 볼트(200)의 삽입 방향에 위치하는 돌기부(240) 끝단 부분부터 차례로 허브 플랜지를 압입하면서 장착되게 되어 허브 볼트(200)가 허브 플랜지(212)의 볼트 장착공(114) 내에 보다 용이하게 압입되어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에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휠베어링
110: 휠허브
112: 허브 플랜지
114: 볼트 장착공
116: (볼트 장착공 단부의) 면취부
120: 내륜
130: 외륜
140: 전동체
200: 허브 볼트
210: 헤드부
220: 결합부
222: 세레이션
230: 연장부
240: 돌기부
242: 돌기부의 반경방향 외측부

Claims (9)

  1. 휠베어링(100)의 휠허브(110)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200)이며,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부(210)와,
    상기 헤드부(21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외주면에 세레이션(222)이 형성된 결합부(220)와,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230)와,
    상기 결합부(220)의 세레이션(222)과 상기 헤드부(210) 사이에서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240)를 포함하는,
    허브 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허브 플랜지(112)에 형성된 볼트 장착공(114)에 상기 허브 볼트(200)를 삽입하여 장착할 때 상기 허브 플랜지(112)에 압입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허브 볼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가 상기 허브 플랜지(112)에 압입되어 장착될 때 상기 돌기부(240)와 상기 허브 플랜지(112) 중 하나 이상은 탄성변형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허브 볼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는 허브 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허브 볼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는 허브 볼트의 둘레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3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허브 볼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는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상기 헤드부(210) 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허브 볼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242)는 상기 결합부(220)로부터 상기 헤드부(210) 측으로 갈수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경사구조로 형성되는,
    허브 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허브(110)에 형성되는 볼트 장착공(114)은 허브 볼트(200)가 삽입되는 방향의 단부에 경사진 구조의 면취부(116)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부(240)의 반경방향 외측부(242)에 형성되는 경사구조가 상기 볼트 장착공(114)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α)는 상기 볼트 장착공(114)에 형성된 면취부(116)가 상기 볼트 장착공(114)의 중심축과 이루는 각도(β) 보다 작게 형성되는,
    허브 볼트.
  9. 차량의 차륜을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지지하는 휠베어링(100)이며,
    차륜을 장착하기 위한 허브 플랜지(112)를 구비하는 휠허브(110)와,
    상기 휠허브(110)의 일측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내륜(120)과,
    상기 내륜(120)의 반경방향 외측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차체에 장착되는 장착 플랜지(132)를 구비하는 외륜(130)과,
    상기 외륜(130)의 반경방향 내측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동체(140)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허브 볼트(200)를 포함하는,
    휠베어링.
KR1020180172746A 2018-12-28 2018-12-28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KR102646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46A KR102646826B1 (ko) 2018-12-28 2018-12-28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746A KR102646826B1 (ko) 2018-12-28 2018-12-28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295A true KR20200082295A (ko) 2020-07-08
KR102646826B1 KR102646826B1 (ko) 2024-03-12

Family

ID=7160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746A KR102646826B1 (ko) 2018-12-28 2018-12-28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8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787A (ja) * 2002-07-16 2004-02-19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装置
JP2008056099A (ja) * 2006-08-31 2008-03-13 Jtekt Corp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20180061898A (ko) 2016-11-30 2018-06-08 셰플러코리아(유) 허브 유니트 베어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2787A (ja) * 2002-07-16 2004-02-19 Koyo Seiko Co Ltd 転がり軸受装置
JP2008056099A (ja) * 2006-08-31 2008-03-13 Jtekt Corp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KR20180061898A (ko) 2016-11-30 2018-06-08 셰플러코리아(유) 허브 유니트 베어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6826B1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2477B1 (en) Spindle nut
EP0308954B1 (en) Locking fastener assembly for threaded joint
EP3552839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tire wheel, brake rotor, and hub
EP1201459B1 (en) Bearing apparatus for vehicle
EP1308316A1 (en) Bearing device for axle
US20080095595A1 (en) Axial Force Control Nut Assembly
KR20200082295A (ko) 휠허브에 차륜을 장착하는데 이용되는 허브 볼트 및 이를 구비하는 휠베어링
JP2009083699A (ja) 車輪支持装置
US11603895B2 (en) Mounting for a guide pin of a disc brake
JP2007327565A (ja) 車輪用軸受装置
CN107795586A (zh) 轴承组件
US10352380B2 (en) Brake assembly with anchor pin retention
KR102532781B1 (ko) 허브 볼트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는 휠베어링
JP4562461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2339959A (ja) 駆動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車輪用駆動ユニット
JP4134872B2 (ja) 転がり軸受装置
JP7283363B2 (ja) タイヤホイール
JP7212866B2 (ja) ハブ抜け防止構造
JP4986512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6153149A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05255165A (ja) 駆動輪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及び車輪用駆動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200120442A (ko) 휠베어링 조립체
JP2007327564A (ja) 車輪用軸受装置
KR20210098800A (ko) 휠 장착 구조가 개선된 휠베어링
JP2006077912A (ja) 車輪用軸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