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245A -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245A
KR20200080245A KR1020207012632A KR20207012632A KR20200080245A KR 20200080245 A KR20200080245 A KR 20200080245A KR 1020207012632 A KR1020207012632 A KR 1020207012632A KR 20207012632 A KR20207012632 A KR 20207012632A KR 20200080245 A KR20200080245 A KR 20200080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liquid crystal
reg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하타나카
고타 무라노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80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36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 B05D1/38Successively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without intermediate treatment with intermediat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편광 필름은 액정층을 갖는다. 액정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함과 함께, 시감도 보정 편광도의 값에 의해 구별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는다. 적어도 2 개의 영역은,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서로 상이하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를 사용한 유기 EL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비해 경량화나 박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폭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높은 콘트라스트 등의 고화질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 폰이나 텔레비전,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의 반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원 편광판 등을 사용하여 반사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원 편광판에 사용되는 편광 필름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06852호 (특허문헌 1)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12823호 (특허문헌 2) 에는, 기재 상에 패턴화한 액정 경화막을 적층한 패턴 편광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068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212823호
본 발명은, 시감도 보정 편광도의 값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는 신규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액정층을 갖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액정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함과 함께, 시감도 보정 편광도의 값에 의해 구별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영역은,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서로 상이한, 편광 필름.
[2] 추가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적층된 배향층을 갖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배향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1] 에 기재된 편광 필름.
[3] 상기 배향층은, 광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2] 에 기재된 편광 필름.
[4] 상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5] 상기 액정층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제 1 영역과,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상기 제 1 영역보다 적은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영역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0 % 이상이고,
상기 제 2 영역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10 % 이하인,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6] 상기 액정층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제 1 영역과,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상기 제 1 영역보다 적은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영역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35 % 이상이고,
상기 제 2 영역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80 % 이상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7] 상기 제 2 영역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제 2 영역이 원형인 경우의 직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제 2 영역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인 경우의 장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제 2 영역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다각형이 내접되도록 그린 가상 원의 직경은, 5 ㎝ 이하인, [5] 또는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8] 상기 제 1 영역은, X 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브래그 피크를 나타내는, [5]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9] 추가로, 기재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은,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10] 상기 편광 필름의 길이는 10 m 이상인,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
[11] [1] ∼ [8] 및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과,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 편광판.
[12]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갖는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적층 필름의 상기 편광층의 일부 영역에, 상기 편광층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편광층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는 액상물 접촉 공정을 갖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3] 상기 액상물 접촉 공정은,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한 상기 적층 필름의 상기 편광층 상에, 상기 편광층을 피복하기 위한 피복 영역과 상기 편광층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영역을 갖는 보호층을 적층함으로써,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얻는 보호층 적층 공정과,
상기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상기 편광층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편광층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킨 탈색 적층 필름을 얻는 탈색 공정과,
상기 탈색 적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보호층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는, [12] 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4]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상기 노출 영역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노출 영역이 원형인 경우의 직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노출 영역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인 경우의 장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노출 영역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다각형이 내접되도록 그린 가상 원의 직경은, 5 ㎝ 이하인, [13] 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5] 상기 준비 공정은,
상기 기재층의 편면측에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배향층 형성 공정과,
상기 기재층의 상기 배향층이 형성된 측의 면에,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상기 편광층을 형성하는 편광층 형성 공정을 갖는, [12] ∼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6] 상기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배향층 형성 공정은, 상기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 배향층용 도공층에 편광 조사를 실시하여 상기 배향층을 형성하는, [15] 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7] 상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고,
상기 편광층 형성 공정은, 상기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 편광층용 도공층에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실시하여 상기 편광층을 형성하는, [15] 또는 [16] 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8] 상기 편광 필름은, 길이가 10 m 이상인, [12]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9] [12] ∼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과,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을 적층하는 위상차층 적층 공정을 갖는, 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20] 상기 편광 필름은, 길이가 10 m 이상인 장척 (長尺) 편광 필름이고,
상기 위상차층은, 길이가 10 m 이상인 장척 위상차층이고,
상기 위상차층 적층 공정은, 상기 장척 편광 필름과 상기 장척 위상차층을 적층함으로써 장척 적층체를 형성하고,
추가로, 상기 장척 적층체를 매엽 (枚葉) 으로 재단하는 재단 공정을 갖는, [19] 에 기재된 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감도 보정 편광도의 값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는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b) 는 (a) 의 X-X 단면도이다.
도 2(a) ∼ (c) 는, 각각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 ∼ (d) 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의 각 공정에서 얻어지는 층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액상물 접촉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할 수 있다.
<편광 필름>
도 1(a) 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의 X-X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 (1) 은, 광 흡수 이방성의 기능을 갖는 필름으로서,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 (11) 을 갖는다. 액정층 (11) 은,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의 값에 의해 구별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고, 이 적어도 2 개의 영역은,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서로 상이하다. 편광 필름 (1) 은 액정층 (11) 을 갖는 것이지만, 추가로 기재층 (13), 배향층 (12), 그 밖의 층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에서는, 기재층 (13) 의 편면측에 배향층 (12) 및 액정층 (11) 을 갖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기재층 (13) 의 양면에 배향층 및 액정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기재층 (13) 의 양면에 형성되는 액정층의 구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편광 필름 (1) 은, 길이가 10 m 이상인 장척상의 편광 필름이어도 되고, 이 경우, 편광 필름 (1) 은 롤상으로 권회된 권회체로 할 수 있다. 이 권회체로부터 편광 필름을 연속적으로 풀어내어, 후술하는 위상차층과 적층하는, 매엽으로 절단하는 등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권회체로 하는 장척상의 편광 필름의 길이는 10 m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 m 이하로 할 수 있다.
(액정층)
액정층 (11) 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영역을 갖는다. 편광 필름 (1) 이 편광 필름 (1) 평면의 편광 특성을 갖는 경우, 이색성 색소와 액정 화합물이 편광 필름 (1) 평면에 대해 수평 배향한 상태에 있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편광 필름 (1) 이 편광 필름 (1) 의 막두께 방향의 편광 특성을 갖는 경우, 이색성 색소와 액정 화합물이 편광 필름 (1) 평면에 대해 수평 배향한 상태에 있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 (11) 중, 이색성 색소 및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 이색성 색소 및 액정 화합물이 편광 필름 (1) 면에 대해 수평 배향한 상태인 영역은, 파장 λ㎚ 의 광에 대한 액정 배향 수평 방향의 흡광도 A1 (λ) 와 액정 배향면 내 수직 방향의 흡광도 A2 (λ) 의 비인 이색비 (= A1 (λ)/A2 (λ)) 가 7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20 이상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이 값이 높으면 높을수록, 흡수 선택성이 우수한 편광 특성을 갖는 것을 나타낸다. 이색성 색소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액정층 (11) 이 네마틱 액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비는 5 ∼ 10 정도이다. 또한, 액정층 (11) 이 네마틱 액정상 및 후술하는 스메틱 액정상인 경우,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가 상분리되어 있지 않은 것은, 예를 들어, 각종 현미경에 의한 표면 관찰이나 헤이즈미터에 의한 산란도 측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액정층 (11) 은, 도 1(a) 및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에 의해 구별되고, 또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에 의해 구별되는 제 1 영역 (11a) 및 제 2 영역 (11b) 을 갖고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에서는,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및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상이한 2 개의 영역을 각각 1 개씩 갖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각각 2 이상 있어도 되고, 또,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서로 상이한 3 이상의 영역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a)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의 제 1 영역 (11a) 은 액정 화합물과 이색성 색소를 함유한다. 제 2 영역 (11b) 은 액정 화합물을 함유하지만, 이색성 색소는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함유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율은, 제 1 영역 (11a) 이 함유하는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 (11)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은, 예를 들어, 이색성 색소가 갖는 흡수 극대 파장 (λMAX) 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제 1 영역 (11a) 은 높은 편광 특성을 갖는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90 % 이상으로 할 수 있고, 9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100 % 이하이다. 또, 제 1 영역 (11a) 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을 예를 들어 35 % 이상으로 할 수 있고, 4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4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50 % 미만이다.
제 2 영역 (11b) 은, 제 1 영역 (11a) 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보다 낮은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갖는 저편광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영역 (11b) 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는, 예를 들어 10 % 이하로 할 수 있고,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 여도 된다. 또, 제 2 영역 (11b) 은, 제 1 영역 (11a) 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보다 높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영역 (11b) 은,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을 예를 들어 80 % 이상으로 할 수 있고, 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8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98 %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및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은,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편광도 및 단체 투과율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광인 파장 380 ㎚ ∼ 780 ㎚ 의 범위에서 투과축 방향 (배향 수직 방향) 의 투과율 (T1) 및 흡수축 방향 (배향 동일 방향) 의 투과율 (T2) 을, 분광 광도계에 편광자 형성 폴더를 세트한 장치를 사용하여 더블 빔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가시광 범위에서의 편광도 및 단체 투과율은, 하기 식 (식 1) 및 (식 2) 를 사용하여 각 파장에 있어서의 편광도 및 단체 투과율을 산출하고, 또한 JIS Z 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함으로써,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로 산출할 수 있다.
편광도 [%] = {(T1 ― T2) / (T1 + T2)} × 100 (식 1)
단체 투과율 [%] = (T1 + T2)/2 (식 2)
제 1 영역 (11a) 의 점유 면적 및 제 2 영역 (11b) 의 점유 면적은, 편광 필름 (1) 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편광 필름 (1) 의 표면적에 대한, 제 1 영역 (11a) 및 제 2 영역 (11b) 의 점유 면적의 합계 비율은, 9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제 1 영역 (11a) 의 점유 면적과 제 2 영역 (11b) 의 점유 면적의 합계 면적에 대하여, 제 1 영역 (11a) 의 점유 면적은, 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 (11b) 의 점유 면적이 제 1 영역 (11a) 의 점유 면적보다 작고, 제 2 영역 (11b) 을 둘러싸도록 제 1 영역 (11a) 을 형성해도 된다. 도 1(a)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에서는, 1 개의 원형의 제 2 영역 (11b) 을 둘러싸도록 제 1 영역 (11a) 을 형성하고 있지만, 제 2 영역 (11b) 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영역 (11a) 의 형상 및 제 2 영역 (11b) 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영역 (11b) 을 둘러싸도록 제 1 영역 (11a) 을 형성하는 경우, 제 2 영역 (11b) 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 타원형 ; 장원형 ; 삼각형, 정방형, 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 ; 문자 형상 ; 이들의 조합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 영역 (11b) 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영역 (11b) 이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영역 (11b) 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인 경우, 그 장축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영역 (11b) 이 다각형인 경우, 이 다각형이 내접되도록 그린 가상 원의 직경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형상의 제 2 영역 (11b) 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에 형성된 카메라의 렌즈 위치에 대응시키는 영역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때, 제 2 영역 (11b) 을,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가 10 % 이하이고,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이 80 % 이상인 영역으로 함으로써, 제 2 영역 (11b) 의 착색을 저감하고, 우수한 투명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영역 (11a) 과 제 2 영역 (11b) 을, 각각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선 형상, 띠 형상, 물결 형상 등의 형상이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영역 (11a) 과 제 2 영역 (11b) 은 각각 번갈아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영역 (11a) 및 제 2 영역 (11b) 의 폭은, 각각 독립적으로, 1 ㎛ ∼ 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 1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 ㎛ ∼ 10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 필름이 장척상의 편광 필름인 경우, 장척상의 편광 필름은 통상적으로, 편광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소정 사이즈로 재단되기 때문에, 재단 후의 편광 필름의 소정의 위치에 제 1 영역 (11a) 이나 제 2 영역 (11b) 이 형성되도록, 장척상의 편광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영역 (11a) 이나 제 2 영역 (11b) 의 배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재단 후의 편광 필름이 도 1(a)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인 경우에는, 장척상의 편광 필름의 길이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제 2 영역 (11b)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층 (11) 에 있어서의 제 1 영역 (11a) 의 두께는,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액정층 (11) 에 있어서의 제 2 영역 (11b) 의 두께는, 제 1 영역 (11a) 과 동일한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층 (11) 의 두께는, 간섭 막두께계, 레이저 현미경, 또는 촉침식 막두께계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제 2 영역 (11b) 의 두께는, 제 1 영역 (11a) 의 두께보다 작아도 되지만, 제 1 영역 (11a) 의 두께와 제 2 영역 (11b) 의 두께의 차는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액정층 (11) 의 제 1 영역 (11a) 및 제 2 영역 (11b) 의 두께를 동일한 정도로 하고, 제 1 영역 (11a) 과 제 2 영역 (11b) 의 단차를 작게 함으로써, 액정층 (11) 에, 후술하는 위상차층이나 다른 층 (표면 보호층 등) 을 적층했을 경우에, 기포의 혼입이나 주름의 발생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액정층 (11) 을 갖는 편광 필름 (1) 을 롤상으로 권취했을 경우에, 감은 자국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도 억제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
액정층 (11) 에 포함되는 액정 화합물로는, 공지된 액정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봉상 (棒狀) 액정 화합물, 원반상 액정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액정 화합물은, 고분자 액정 화합물이어도 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어도 되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액정 화합물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편광 필름의 색상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음과 함께, 편광 필름을 대폭 박형화할 수 있다. 또, 연신 처리를 실시하는 일 없이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한 연신 완화가 없는 비신축성의 편광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란, 중합성기를 갖고, 또한, 액정성을 갖는 화합물을 말한다. 중합성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며, 광 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 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 중합 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실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실라닐기 또는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성은, 서모트로픽 액정이어도 되고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의 액정층과 같이 이색성 색소와 혼합하는 경우에는, 서모트로픽 액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서모트로픽 액정인 경우는,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서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어도 되고, 스메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서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어도 된다. 액정층 (11) 이 중합 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 막으로서 편광 기능을 발현할 때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나타내는 액정 상태는, 스메틱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고성능화의 관점에서 고차 스메틱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스메틱 B 상, 스메틱 D 상, 스메틱 E 상, 스메틱 F 상, 스메틱 G 상, 스메틱 H 상, 스메틱 I 상, 스메틱 J 상, 스메틱 K 상 또는 스메틱 L 상을 형성하는 고차 스메틱 액정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스메틱 B 상, 스메틱 F 상 또는 스메틱 I 상을 형성하는 고차 스메틱 액정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형성하는 액정층 (11) 이 이들 고차 스메틱상이면, 액정층 (11) 에 편광 성능이 보다 높은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편광 성능이 높은 영역은, X 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헥사틱상이나 크리스탈상과 같은 고차 구조 유래의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것이다. 당해 브래그 피크는 분자 배향의 주기 구조에서 유래하는 피크이며, 그 주기 간격이 3 ∼ 6 Å 인 막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편광 필름 (1) 에서는, 액정층 (11) 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스메틱상의 상태에서 중합된 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 1 영역 (11a) 에 보다 높은 편광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네마틱 액정상이나 스메틱 액정상을 나타내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하여 확인할 수 있다. 기재에 편광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도포막을 형성한 후,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중합하지 않는 조건으로 가열 처리함으로써 도포막에 함유되는 용제를 제거한다. 계속해서, 기재 상에 형성된 도포막을 등방상 온도까지 가열하고,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발현하는 액정상을, 편광 현미경에 의한 텍스처 관찰, X 선 회절 측정 또는 시차 주사 열량 측정에 의해 검사한다.
이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A)
U1-V1-W1-X1-Y1-X2-Y2-X3-W2-V2-U2 (A)
[식 (A) 중, X1, X2 및 X3 은, 각각 독립적으로, 2 가의 방향족기 또는 2 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여기서, 그 2 가의 방향족기 또는 2 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플루오로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또는 니트로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그 2 가의 방향족기 또는 2 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가, 산소 원자, 황 원자 또는 질소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1 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이다.
Y1, Y2, W1 및 W2 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2 가의 연결기이다.
V1 및 V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그 알칸디일기를 구성하는 -CH2- 는, -O-, -S- 또는 NH- 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U1 및 U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중합성기 또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적어도 1 개는 중합성기이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A)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A) 에 있어서, X1, X2 및 X3 중 적어도 1 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이다. 특히, X1 및 X3 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시클로헥산-1,4-디일기는,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트랜스-시클로헥산-1,4-디일기의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스메틱 액정성이 발현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및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헥산-1,4-디일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시아노기, 염소 원자 또는 불소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치환이다.
Y1 및 Y2 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CH2CH2-, -CH2O-, -COO-, -OCO-, -N=N-, -CRa=CRb-, -C≡C- 또는 CRa=N- 가 바람직하고, Ra 및 Rb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Y1 및 Y2 는, -CH2CH2-, -COO-, -OCO- 또는 단결합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X1, X2 및 X3 이 모두 시클로헥산-1,4-디일기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Y1 및 Y2 가 서로 상이한 결합 방식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Y1 및 Y2 가 서로 상이한 결합 방식인 경우에는, 스메틱 액정성이 발현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W1 및 W2 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 가 바람직하고,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또는 -O-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V1 및 V2 로 나타내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헵탄-1,7-디일기, 옥탄-1,8-디일기, 데칸-1,10-디일기, 테트라데칸-1,14-디일기 또는 이코산-1,20-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V1 및 V2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12 의 알칸디일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사슬형의 탄소수 6 ∼ 12 의 알칸디일기이다. 직사슬형의 탄소수 6 ∼ 12 의 알칸디일기로 함으로써 결정성이 향상되고, 스메틱 액정성을 발현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 ∼ 20 의 알칸디일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는, 시아노기 및 염소 원자, 불소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알칸디일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고, 무치환 또한 직사슬형의 알칸디일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U1 및 U2 는, 함께 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께 광 중합성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 중합성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열 중합성기보다 저온 조건하에서 중합할 수 있기 때문에, 질서도가 높은 상태에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U1 및 U2 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는 서로 상이해도 되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실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실라닐기 또는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메타크릴로일옥시기, 혹은,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화학식 2]
Figure pct00002
[화학식 3]
Figure pct00003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예시한 상기 화합물 중에서도, 식 (1-2), 식 (1-3), 식 (1-4), 식 (1-6), 식 (1-7), 식 (1-8), 식 (1-13), 식 (1-14) 및 식 (1-15)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다.
예시한 화합물 (A) 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액정층 (11) 에 사용할 수 있다. 또, 2 종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 종이 화합물 (A)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종 이상이 화합물 (A)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 종 이상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액정-결정상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도 일시적으로 액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2 종류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조합하는 경우의 혼합비로는, 통상적으로 1 : 99 ∼ 50 : 50 이며, 5 : 95 ∼ 50 : 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90 ∼ 50 : 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합물 (A) 는, 예를 들어, Lub et al. Recl. Trav. Chim. Pays-Bas, 115, 321-328 (1996), 또는 일본 특허공보 제4719156호 등에 기재된 공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액정층 (11) 중에 있어서의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율은, 액정층 (11) 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50 ∼ 99.5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60 ∼ 99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98 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97 질량부이다.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배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후술하는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한 성분의 합계량을 말한다.
(이색성 색소)
이색성 색소란, 분자의 장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상이한 성질을 갖는 색소를 말한다. 이색성 색소는, 액정 화합물과 함께 배향하여 이색성을 나타내는 색소이며, 이색성 색소 자체가 중합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액정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색성 색소로는, 가시광을 흡수하는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380 ∼ 680 ㎚ 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 (λMAX) 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또는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또는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조 색소 또는 트리스아조 색소이다. 이색성 색소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되지만, 가시광 전역에서 흡수를 얻기 위해서는, 3 종류 이상의 이색성 색소를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종류 이상의 아조 색소를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는, 예를 들어, 식 (I)
T1-A1(-N=N-A2)p-N=N-A3-T2 (I)
[식 (I) 중, A1, A2 및 A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1,4-페닐렌기, 나프탈렌-1,4-디일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2 가의 복소 고리기를 나타내고, T1 및 T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자 흡인기 또는 전자 방출기이며, 아조 결합면 내에 대해 실질적으로 180° 의 위치에 갖는다. p 는 0 ∼ 4 의 정수를 나타낸다. p 가 2 이상인 경우, 각각의 A2 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가시역에 흡수를 나타내는 범위에서 -N=N- 결합이 -C=C-, -COO-, -NHCO- 또는 -N=CH- 결합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I)」 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을 들 수 있다.
A1, A2 및 A3 에 있어서의 1,4-페닐렌기, 나프탈렌-1,4-디일기 및 2 가의 복소 고리기가 임의로 갖는 치환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 메톡시기, 에톡시기 또는 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불화알킬기 ; 시아노기 ; 니트로기 ; 염소 원자, 불소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 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및 피롤리디노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란,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1 개 또는 2 개 갖는 아미노기, 혹은 2 개의 치환 알킬기가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2 ∼ 8 의 알칸디일기를 형성하고 있는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무치환 아미노기는, -NH2 이다.) 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또는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 ∼ 8 의 알칸디일기로는,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헵탄-1,7-디일기, 또는, 옥탄-1,8-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스메틱 액정과 같은 고질서 액정 구조 중에 화합물 (I) 을 포섭하기 위해서는, A1, A2 및 A3 은, 서로 독립적으로, 무치환, 수소가 메틸기 또는 메톡시기로 치환된 1,4-페닐렌기, 혹은 2 가의 복소 고리기가 바람직하고, p 는 0 또는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p 가 1 이고, 또한, A1, A2 및 A3 의 3 개의 구조 중 적어도 2 개가 1,4-페닐렌기인 것이 분자 합성의 간편함과 높은 성능의 양방을 갖는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2 가의 복소 고리기로는, 퀴놀린, 티아졸, 벤조티아졸, 티에노티아졸,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옥사졸 및 벤조옥사졸로부터 2 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기를 들 수 있다. A2 가 2 가의 복소 고리기인 경우에는, 분자 결합 각도가 실질적으로 180° 가 되는 구조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 개의 5 원 고리가 축합한 벤조티아졸, 벤조이미다졸, 벤조옥사졸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
T1 및 T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전자 흡인기 또는 전자 방출기로서, 서로 상이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T1 이 전자 흡인기이고 T2 가 전자 방출기이다, 혹은, T1 이 전자 방출기이고 T2 가 전자 흡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T1 및 T2 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탄소수 1 ∼ 4 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1 개 또는 2 개 갖는 아미노기, 혹은 2 개의 치환 알킬기가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2 ∼ 8 의 알칸디일기를 형성하고 있는 아미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스메틱 액정과 같은 고질서 액정 구조 중에 포섭하기 위해서는, 분자의 배제 체적이 보다 작은 구조체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탄소수 1 ∼ 6 의 알킬기를 1 개 또는 2 개 갖는 아미노기, 혹은 2 개의 치환 알킬기가 서로 결합하여 탄소수 2 ∼ 8 의 알칸디일기를 형성하고 있는 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아조 색소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5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2-1) ∼ (2-6) 중, B1 ∼ B20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 의 알킬기, 탄소수 1 ∼ 6 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 및 무치환 아미노기의 정의는 상기한 바와 같음), 염소 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낸다. 또, 높은 편광 성능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B2, B6, B9, B14, B18, B19 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1 ∼ n4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n1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2 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고,
n2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6 은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고,
n3 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9 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고,
n4 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14 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상기 안트라퀴논 색소로는, 식 (2-7)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2-7) 중, R1 ∼ R8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x, -NH2, -NHRx, -NRx 2, -SRx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x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옥사진 색소로는, 식 (2-8)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2-8) 중, R9 ∼ R15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x, -NH2, -NHRx, -NRx 2, -SRx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x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아크리딘 색소로는, 식 (2-9)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2-9) 중, R16 ∼ R23 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x, -NH2, -NHRx, -NRx 2, -SRx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x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식 (2-7), 식 (2-8) 및 식 (2-9) 에 있어서의, Rx 로 나타내는 탄소수 1 ∼ 4 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또는 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6 ∼ 12 의 아릴기로는, 페닐기, 톨루일기, 자일릴기 또는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닌 색소로는, 식 (2-10)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2-1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2-10) 중, D1 및 D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2-10a) ∼ 식 (2-10d)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n5 는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 (2-11) 중, D3 및 D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2-11a) ∼ 식 (2-11h)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13]
Figure pct00013
n6 은 1 ∼ 3 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 (복수 종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량의 비율) 은, 양호한 광 흡수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액정층 (11) 의 제 1 영역 (11a) 과 같이,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가 90 % 이상이라는 높은 편광 특성을 갖는 영역에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1 ∼ 3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 1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이 범위보다 적으면, 광 흡수가 불충분해져, 충분한 편광 성능이 얻어지지 않고, 이 범위보다 많으면, 액정 분자의 배향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액정층 (11) 의 제 2 영역 (11b) 과 같이,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가 10 % 이하라는 편광 특성이 낮은 영역에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 ∼ 2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 ∼ 10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 5 질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층)
편광 필름 (1) 은, 기재층 (13) 을 갖고 있어도 된다. 기재층 (13) 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 필름 (1) 을 제조할 때에, 배향층 (12) 이나 후술하는 편광층 (21) 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고, 또, 편광 필름 (1) 의 액정층 (11) 을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 (13) 은, 유리 기재여도 되고 수지 기재여도 되지만, 수지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편광 필름 (1) 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기재층 (13) 은, 롤상으로 권회한 장척의 수지 기재를 권출한 것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기재는, 가시광을 투과할 수 있는 투광성을 갖는 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광성이란, 파장 380 ∼ 780 ㎚ 파장역의 광에 대해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이 80 % 이상인 것을 말한다.
기재층 (13) 의 두께는, 실용적인 취급을 할 수 있는 정도의 질량인 점에서는, 얇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지나치게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고, 가공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기재층 (13) 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5 ㎛ ∼ 300 ㎛ 이며, 바람직하게는 20 ㎛ ∼ 200 ㎛ 이다. 또, 기재층 (13) 은,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편광 필름 (1) 의 액정층 (11) 을, 표시 장치를 이루는 부재나 후술하는 위상차층 등에 첩합 (貼合) 한 후, 편광 필름 (1) 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편광 필름 (1) 의 추가적인 박막화 효과가 얻어진다.
수지 기재를 구성하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 노르보르넨계 폴리머 등의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 ; 폴리비닐알코올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 ;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셀룰로오스에스테르 ;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 폴리카보네이트 ; 폴리술폰 ; 폴리에테르술폰 ; 폴리에테르케톤 ;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및 폴리페닐렌옥사이드 ;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의 수지 기재로는, "후지탁 필름" (후지 사진 필름 주식회사 제조) ; "KC8UX2M", "KC8UY" 및 "KC4UY" (이상, 코니카 미놀타 옵토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시판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로는, "Topas" (등록상표) (Ticona 사 (독일) 제조), "아톤" (등록상표) (JSR 주식회사 제조), "제오노아 (ZEONOR) " (등록상표), "제오넥스 (ZEONEX) " (등록상표) (이상,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및 "아펠" (등록상표) (미츠이 화학 주식회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를, 용제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등의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막 (製膜) 하여, 수지 기재로 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는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수지 기재로는, "에스시나" (등록상표), "SCA40" (등록상표) (이상, 세키스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제오노아 필름" (등록상표) (옵테스 주식회사 제조) 및 "아톤 필름" (등록상표) (JSR 주식회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기재층 (13) 은, 1 층 구조여도 되고 2 층 이상의 다층 구조여도 된다. 기재층 (13) 이 다층 구조인 경우, 각 층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기재층 (13) 은 1/4 파장판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기재층 (13) 이 1/4 파장판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재층 (13) 과 액정층 (11) 의 조합에 의해, 원 편광판의 기능을 갖는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 필름 (1) 에, 기재층 (13) 과는 별도로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을 첩합하지 않아도,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또, 기재층 (13) 이 다층 구조인 경우, 1/2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과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 액정층 (11) 을 1/2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 측에 적층함으로써,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혹은, 기재층 (13) 이 다층 구조인 경우,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과 포지티브 C 플레이트 기능을 갖는 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함으로써도,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배향층)
편광 필름 (1) 은, 기재층 (13) 상에 배향층 (12) 을 갖고 있어도 되고, 배향층 (12) 은, 기재층 (13) 과 액정층 (11) 의 사이에 배치된다. 배향층 (12) 은, 그 위에 적층되는 액정층 (11) 중의 액정 화합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가질 수 있다.
배향층 (12) 은, 액정 화합물의 액정 배향을 용이하게 한다. 수평 배향, 수직 배향, 하이브리드 배향, 경사 배향 등의 액정 배향의 상태는, 배향층 (12) 및 액정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변화하고, 그 조합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향층 (12) 이 배향 규제력으로서 수평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이면, 액정 화합물은 수평 배향 또는 하이브리드 배향을 형성할 수 있고, 배향층 (12) 이 수직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이면, 액정 화합물은 수직 배향 또는 경사 배향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 수직 등의 표현은, 편광 필름 (1) 평면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의, 배향한 액정 화합물의 장축의 방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직 배향이란, 편광 필름 (1) 평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한 중합성 액정의 장축을 갖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이란, 편광 필름 (1) 평면에 대해 90° ± 20° 인 것을 의미한다. 편광 필름 (1) 은, 편광 필름 (1) 평면의 편광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배향층 (12) 은 수평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 (12) 의 배향 규제력은, 배향층 (12) 이 배향성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표면 상태나 러빙 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 배향성 폴리머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편광 조사 조건 등에 따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표면 장력이나 액정성 등의 물성을 선택함으로써, 액정 배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배향층 (12) 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 ㎚ ∼ 5000 ㎚ 이며, 10 ㎚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 30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기재층 (13) 과 액정층 (11) 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향층 (12) 은, 배향층 (12) 상에 액정층 (11) 을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용제에 불용이며, 또, 용제의 제거나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있어서의 내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층 (12) 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광 배향막, 또는, 그루브 (groove) 배향막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층 (13) 이 롤상의 장척의 수지 기재로부터 권출된 것인 경우에는, 배향층 (12) 은, 그 배향 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광 배향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성 폴리머로는, 분자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아미드나 젤라틴류, 분자 내에 이미드 결합을 갖는 폴리이미드, 그 가수 분해물인 폴리아믹산, 폴리비닐알코올, 알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옥사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들 배향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은, 통상적으로, 배향성 폴리머를 용제에 용해시킨 조성물 (이하,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기재층 (13) 에 도포하고, 용제를 제거하거나, 또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 (13) 에 도포하고, 용제를 제거하고, 러빙하는 것 (러빙법) 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제로는, 물 ;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아밀케톤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 펜탄, 헥산 또는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 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치환 탄화수소 용제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중의 배향성 폴리머의 함유량은, 배향성 폴리머가, 용제에 완전 용해될 수 있는 범위이면 되지만, 용액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는,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시판되는 배향막 재료로는, 산에바 (등록상표) (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또는 옵토머 (등록상표) (JSR 주식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 (13) 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핀 코팅법, 익스트루전법,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바 코팅법 또는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 방법이나,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 (1) 을, Roll-to-Roll 형식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당해 도포 방법에는 통상적으로,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 코팅법 또는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을 채용할 수 있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배향성 폴리머의 건조 피막이 형성된다. 용제의 제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법 및 감압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후, 상기 건조 피막을, 러빙포가 감긴 회전하고 있는 러빙 롤에 접촉시켜, 배향층 (12) 을 형성할 수 있다.
광 배향막은, 통상적으로,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와,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하,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기재층 (13) 에 도공하여 형성된 배향층용 도공층에, 편광 (바람직하게는, 편광 UV) 을 조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광 배향막은, 조사하는 편광의 편광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배향 규제력의 방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광 반응성기란, 광을 조사함으로써 액정 배향능을 일으키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분자의 배향 야기 또는 이성화 반응, 2량화 반응, 광 가교 반응, 또는 광 분해 반응과 같은, 액정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당해 광 반응성기 중에서도, 2량화 반응 또는 광 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배향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 반응성기로는,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 (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 (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 (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 (C=O 결합)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갖는 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C=C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는 예를 들어, 비닐기, 폴리엔기, 스틸벤기, 스틸바졸기, 스틸바졸륨기, 칼콘기 또는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의 제어가 용이하다는 점이나 광 배향 시의 배향 규제력 발현의 관점에서, 칼콘기 또는 신나모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C=N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는, 방향족 시프염기 또는 방향족 하이드라존 등의 구조를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N=N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는, 아조벤젠기, 아조나프탈렌기, 방향족 복소 고리 아조기, 비스아조기 또는 포르마잔기 등이나, 아족시벤젠을 기본 구조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C=O 결합을 갖는 광 반응성기로는, 벤조페논기, 쿠마린기, 안트라퀴논기 또는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알릴옥시기, 시아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하이드록실기, 술폰산기 또는 할로겐화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는,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및 모노머를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용제로는, 예를 들어, 상기의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의 용제로서 예시된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중의,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당해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종류나 제조하고자 하는 광 배향막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0.2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 10 질량% 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광 배향막의 특성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나 광 증감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기재층 (13) 에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상기한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기재층 (13) 에 도공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도공된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들 수 있다.
편광 조사는, 기재층 (13) 상에 도공된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한 건조 피막 상으로부터 직접 실시해도 되고, 기재층 (13) 을 투과한 편광이 건조 피막에 조사되도록 기재층 (13) 측으로부터 실시해도 된다. 또, 편광 조사에 사용되는 편광은, 실질적으로 평행 광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사하는 편광의 파장은,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광 반응성기가, 광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의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250 ∼ 400 ㎚ 범위의 UV (자외광) 가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 조사에 사용하는 광원으로는, 크세논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KrF, ArF 등의 자외광 레이저 등을 들 수 있고,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램프는, 파장 313 ㎚ 의 자외광의 발광 강도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적당한 편광자를 통과하여 조사함으로써, 편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로는, 편광 필터나 글랜 톰슨, 글랜 테일러 등의 편광 프리즘이나 와이어 그리드 타입의 편광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러빙이나 편광 조사를 실시할 때에, 마스킹을 실시하면, 액정 배향의 방향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 (패턴) 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루브 (groove) 배향막은, 막 표면에 요철 패턴 또는 복수의 그루브 (홈) 를 갖는 막이다. 등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직선상의 그루브를 갖는 막에 액정 분자를 두었을 경우, 그 홈을 따른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향한다.
그루브 배향막을 얻는 방법으로는, 감광성 폴리이미드 막 표면에 패턴 형상의 슬릿을 갖는 노광용 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 후, 현상 및 린스 처리를 실시하여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표면에 홈을 갖는 판상의 원반에, 경화 전의 UV 경화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고, 수지층을 기재로 옮기고 나서 경화하는 방법, 기재 상에 형성한 경화 전의 UV 경화성 수지의 막에, 복수의 홈을 갖는 롤상의 원반을 꽉 눌러 요철을 형성하고, 그 후 경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497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42743호 기재의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배향 흐트러짐이 작은 배향을 얻기 위해서는, 그루브 배향막의 볼록부의 폭은 0.05 ㎛ ∼ 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의 폭은 0.1 ㎛ ∼ 5 ㎛ 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철의 단차 깊이는 2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 1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층)
편광 필름 (1) 은, 기재층 (13) 및 배향층 (12) 이외의 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액정층 (11) 의 기재층 (13) 과는 반대측의 면에, 액정층 (11) 의 표면을 보호하는 등의 목적의 표면 보호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 기재층 (13) 을 박리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정층 (11) 의 기재층 (13) 을 박리한 측의 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해도 된다. 표면 보호층은 1 층 구조여도 되고, 다층 구조여도 된다. 표면 보호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 각 층은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서로 상이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원 편광판>
도 2(a) ∼ (c) 는, 각각 본 발명의 원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은,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 (15) 을 적층함으로써, 도 2(a) 및 (b) 에 나타내는 원 편광판 (5a, 5b) 으로 할 수 있다. 위상차층 (15) 은, 편광 필름 (1) 의 액정층 (11) 측에 적층해도 되고 (도 2(a)), 기재층 (13) 측에 적층해도 된다 (도 2(b)). 또, 도 2(a) 에 나타내는 원 편광판 (5a) 으로부터, 기재층 (13) 을 박리한 것을 원 편광판 (5c) (도 2(c)) 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기재층 (13) 과 함께 배향층 (12) 도 박리해도 된다.
또, 원 편광판은, 편광 필름 (1) 과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을 적층한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으로서, 1/2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과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을 적층한 위상차층을 사용할 수 있고,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의 1/2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 측과 편광 필름 (1) 을 적층함으로써, 원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혹은, 다층 구조의 위상차층으로서, 역파장 분산성의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층과 포지티브 C 플레이트 기능을 갖는 층을 적층한 위상차층을 사용함으로써도, 원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또, 편광 필름 (1) 의 기재층 (13) 으로서 위상차층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을 사용하고, 추가로 위상차층을 적층하여 원 편광판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원 편광판에 있어서의 기재층 (13) 및 위상차층의 적층 위치에 따라, 기재층 (13) 및 위상차층이 갖는, 위상차층으로서의 기능을 선택하면 된다.
편광 필름과 위상차층은, 공지된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층을 개재하여 적층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제 1 제조 방법)>
도 3(a) ∼ (d) 는,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의 제조 공정의 각 공정에서 얻어지는 층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편광 필름 (1) 의 제 1 제조 방법은,
기재층 (13) 의 적어도 편면측에,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 (21) 을 갖는 적층 필름 (62) (도 3(b)) 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적층 필름 (62) 의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편광층 (21)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을 접촉시킴으로써,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는 액상물 접촉 공정을 갖는다.
액상물 접촉 공정은, 적층 필름 (62) 의 편광층 (21) 상에, 편광층 (21) 을 피복하기 위한 피복 영역 (35a) 과 편광층 (21) 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영역 (35b) 을 갖는 보호층 (35) 을 적층함으로써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도 3(c)) 을 얻는 보호층 적층 공정과,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편광층 (21)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킨 탈색 적층 필름 (64) (도 3(d)) 을 얻는 탈색 공정과,
이 탈색 적층 필름 (64) 으로부터 보호층 (35) 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고, 이에 따라,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을 제조할 수 있다.
(준비 공정)
준비 공정에서 준비하는 적층 필름 (62) 은, 기재층 (13) 의 적어도 편면측에 편광층 (21) 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13) 상에 배향층 (12), 편광층 (21) 이 이 순서로 적층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 (62) 은, 기재층 (13) 의 일방의 면에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배향층 (12) 을 형성하여 배향층 형성 기재층 (61) (도 3(a)) 을 얻는 배향층 형성 공정과, 배향층 형성 기재층 (61) 의 배향층 (12) 이 형성된 측의 면에,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편광층 (21) 을 형성하는 편광층 형성 공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배향층 형성 공정에서는,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기 전에, 기재층 (13) 에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레이저 처리, 오존 처리, 비누화 처리, 화염 처리, 커플링제의 도포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로는, 상기한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그루브 배향막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조성물을 사용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다. 예를 들어,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이 광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배향층 형성 공정은,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 배향층용 도공층에 편광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소정의 방향으로 배향 규제력을 갖는 배향층을 형성할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용제 및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반응성 첨가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로는, 상기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용제, 중합 개시제, 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반응성 첨가제로는 후술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압출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 CAP 코팅법, 슬릿 코팅법, 마이크로 그라비아법, 다이 코팅법,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딥 코터, 바 코터, 스핀 코터 등의 코터를 사용하여 도공하는 방법 등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oll to Roll 형식으로 연속적으로 도공하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그라비아법, 잉크젯법, 슬릿 코팅법, 다이 코팅법에 의한 도공 방법이 바람직하고, 유리 등의 매엽 기재에 도공하는 경우에는, 균일성이 높은 스핀 코팅법이 바람직하다. Roll to Roll 형식으로 도공하는 경우, 기재층 (13) 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등을 도공하여 배향층 (12) 을 형성하고, 또한 얻어진 배향층 (12) 상에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도공할 수도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편광층 (21) 을 형성할 때에는, 도공된 편광층 형성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여 편광층용 도공층을 형성한다.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자연 건조, 통풍 건조, 가열 건조, 감압 건조 및 이들을 조합한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연 건조 또는 가열 건조가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는, 0 ∼ 2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20 ∼ 15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 130 ℃ 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건조 시간은, 10 초간 ∼ 10 분간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초간 ∼ 5 분간이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액정 화합물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인 경우, 편광층 형성 공정에서 형성된 편광층용 도공층에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실시하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광 중합시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체 층으로서의 편광층 (21) 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사하는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편광층용 도공층에 포함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특히,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 갖는 광 중합성 관능기의 종류),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광 중합 개시제의 종류, 및 그들의 양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가시광, 자외광, 적외광, X 선, α 선, β 선, 및 γ 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광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 반응의 진행을 제어하기 쉬운 점, 및 광 중합 장치로서 당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외광이 바람직하고, 자외광에 의해 광 중합 가능하도록,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으로는, 예를 들어, 저압 수은 램프, 중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크세논 램프, 할로겐 램프, 카본 아크등, 텅스텐 램프, 갈륨 램프, 엑시머 레이저, 파장 범위 380 ∼ 440 ㎚ 를 발광하는 LED 광원,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강도는, 통상적으로 10 ㎽/㎠ ∼ 3000 ㎽/㎠ 이다.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카티온 중합 개시제 또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유효한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강도이다.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0.1 초 ∼ 10 분이고, 바람직하게는 0.1 초 ∼ 5 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초 ∼ 3 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초 ∼ 1 분이다. 이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강도로 1 회 또는 복수 회 조사하면, 그 적산 광량은, 10 mJ/㎠ ∼ 3000 mJ/㎠, 바람직하게는 50 mJ/㎠ ∼ 2,000 mJ/㎠,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mJ/㎠ ∼ 1000 mJ/㎠ 로 할 수 있다. 적산 광량이 이 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경화가 불충분해져, 양호한 전사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적산 광량이 이 범위 이상인 경우에는, 편광층이 착색하는 경우가 있다.
(용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점도가 높기 때문에, 액정 화합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제를 포함하는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도공이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편광층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용제로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완전하게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또는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또는 락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제 ; 펜탄, 헥산 또는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 톨루엔 또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 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함유 용제 ;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 등의 아미드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의 함유량은,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50 ∼ 98 질량% 가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2 ∼ 50 질량% 가 바람직하다. 고형분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이면,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편광층 (21) 의 두께가 대략 균일해지고, 편광층 (21) 에 불균일이 잘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 이러한 고형분의 함유량은, 제조하고자 하는 편광층 (21) 의 두께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중합 개시제는, 액정 화합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고, 중합성 액정 화합물 등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 개시제로는, 서모트로픽 액정의 상 상태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또는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또는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 o-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및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페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티오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2-디페닐-2,2-디메톡시에탄-1-온,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또는 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또는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되는 중합 개시제로는, 이르가큐어 (Irgacure) (등록상표) 907, 184, 651, 819, 250, 369, 379, 127, 754, OXE01, OXE02, 또는 OXE03 (치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 주식회사 제조) ; 세이크올 (등록상표) BZ, Z, 또는 BEE (세이코 화학 주식회사 제조) ; 카야큐어 (kayacure) (등록상표) BP100, 또는 UVI-6992 (다우·케미컬 주식회사 제조) ; 아데카 옵토머 SP-152, N-1717, N-1919, SP-170, 아데카 아클르스 NCI-831, 아데카 아클르스 NCI-930 (주식회사 ADEKA 제조) ; TAZ-A, 또는 TAZ-PP (일본 시이벨헤그너 주식회사 제조) ; TAZ-104 (주식회사 산와 케미컬 제조) ;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중합 개시제는, 1 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광의 광원에 맞추어 2 종류 이상의 복수의 중합 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 중의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나 그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1 ∼ 3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8 질량부이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흐트리지 않고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증감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증감제를 함유해도 된다. 증감제는, 액정 화합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광 중합성기를 갖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증감제는 광 증감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증감제로는, 예를 들어, 크산톤 및 티오크산톤 등의 크산톤 화합물 (예를 들어, 2,4-디에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등) ; 안트라센 및 알콕시기 함유 안트라센 (예를 들어, 디부톡시안트라센 등) 등의 안트라센 화합물 ; 페노티아진 또는 루브렌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이 증감제를 함유하는 경우,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의 사용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3 질량부가 더욱 바람직하다.
(중합 금지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 반응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중합 금지제를 함유해도 된다. 중합 금지제는, 액정 화합물로서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중합 금지제에 의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중합 반응의 진행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중합 금지제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하이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카테콜 (예를 들어, 부틸카테콜 등), 피로갈롤,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라디칼 등의 라디칼 포착제 ; 티오페놀류 ; β-나프틸아민류 또는 β-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이 중합 금지제를 함유하는 경우,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질량부이다.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배향을 흐트리지 않고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레벨링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함유해도 된다. 레벨링제란,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하고, 조성물을 도포하여 얻어지는 막을 보다 평탄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첨가제이며, 예를 들어, 유기 변성 실리콘 오일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계의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DC3PA, SH7PA, DC11PA, SH28PA, SH29PA, SH30PA, ST80PA, ST86PA, SH8400, SH8700, FZ2123 (이상, 모두 도레이·다우코닝 (주) 제조), KP321,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 X22-161A, KF6001 (이상, 모두 신에츠 화학 공업 (주) 제조), TSF400, TSF401, TSF410, TSF4300, TSF4440, TSF4445, TSF-4446, TSF4452, TSF4460 (이상, 모두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재팬 합동회사 제조), 플루오리너트 (fluorinert) (등록상표) FC-72, 동 (同) FC-40, 동 FC-43, 동 FC-3283 (이상, 모두 스미토모 쓰리엠 (주) 제조), 메가팍 (등록상표) R-08, 동 R-30, 동 R-90, 동 F-410, 동 F-411, 동 F-443, 동 F-445, 동 F-470, 동 F-477, 동 F-479, 동 F-482, 동 F-483 (이상, 모두 DIC (주) 제조), 에프탑 (상품명) EF301, 동 EF303, 동 EF351, 동 EF352 (이상, 모두 미츠비시 머티리얼 전자 화성 (주) 제조), 서플론 (등록상표) S-381, 동 S-382, 동 S-383, 동 S-393, 동 SC-101, 동 SC-105, KH-40, SA-100 (이상, 모두 AGC 세이미 케미컬 (주) 제조), 상품명 E1830, 동 E5844 ((주) 다이킨 파인 케미컬 연구소 제조), BM-1000, BM-1100, BYK-352, BYK-353 또는 BYK-361N (모두 상품명 : BM Chemie 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레벨링제 또는 퍼플루오로알킬계 레벨링제가 바람직하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이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액정 화합물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3 질량부이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액정 화합물을 수평 배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편광층이 보다 평활해지는 경향이 있다. 액정 화합물에 대한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편광층에 불균일이 발생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2 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반응성 첨가제)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응성 첨가제를 포함해도 된다. 반응성 첨가제로는, 그 분자 내에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과 활성 수소 반응성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활성 수소 반응성기」 란, 카르복실기 (-COOH), 수산기 (-OH), 아미노기 (-NH2) 등의 활성 수소를 갖는 기에 대해 반응성을 갖는 기를 의미하며, 글리시딜기, 옥사졸린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아지리딘기, 이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오이소시아네이트기, 무수 말레산기 등이 그 대표 예이다. 반응성 첨가제가 갖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또는 활성 수소 반응성기의 개수는, 통상적으로 각각 1 ∼ 20 개이며, 바람직하게는 각각 1 ∼ 10 개이다.
반응성 첨가제에 있어서, 활성 수소 반응성기가 적어도 2 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복수 존재하는 활성 수소 반응성기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반응성 첨가제가 갖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이란, 탄소-탄소 이중 결합, 탄소-탄소 삼중 결합, 또는 그들의 조합이어도 되지만, 탄소-탄소 이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 첨가제로는, 비닐기 및/또는 (메트)아크릴기로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수소 반응성기가,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인 반응성 첨가제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반응성 첨가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성 첨가제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나 아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 옥세탄아크릴레이트나 옥세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옥세탄기를 갖는 화합물 ; 락톤 아크릴레이트나 락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락톤기를 갖는 화합물 ; 비닐옥사졸린이나 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 등의, 비닐기와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 ; 이소시아나토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토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2-이소시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타크릴산 무수물, 아크릴산 무수물, 무수 말레산 또는 비닐 무수 말레산 등의, 비닐기나 비닐렌기와 산 무수물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 아크릴옥시글리시딜에테르, 이소시아나토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나토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옥사졸린,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상기의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나토메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 또는 상기의 올리고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Y)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4]
Figure pct00014
[식 (Y) 중, n 은 1 ∼ 10 까지의 정수를 나타내고, R1' 는, 탄소수 2 ∼ 20 의 2 가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 혹은 탄소수 5 ∼ 20 의 2 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각 반복 단위에 있는 2 개의 R2' 는, 일방이 -NH- 이고, 타방이 >N-C(=O)-R3' 로 나타내는 기이다. R3' 는, 수산기 또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를 나타낸다.
식 (Y) 중의 R3' 중, 적어도 1 개의 R3' 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기이다.]
상기 식 (Y) 로 나타내는 반응성 첨가제 중에서도, 하기 식 (YY) 로 나타내는 화합물 (이하, 화합물 (YY) 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n 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이다).
[화학식 15]
Figure pct00015
화합물 (YY) 에는, 시판품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어, Laromer (등록상표) LR-9000 (BASF 사 제조) 을 들 수 있다.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이 반응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반응성 첨가제의 함유량은, 액정 화합물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0.01 ∼ 1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부이다.
(보호층 적층 공정)
보호층 적층 공정에서는, 도 3(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준비 공정에서 준비한 적층 필름 (62) 의 편광층 (21) 상에, 편광층 (21) 을 피복하기 위한 피복 영역 (35a) 과, 편광층 (21) 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영역 (35b) 을 갖는 보호층 (35) 을 적층한다. 이에 따라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얻을 수 있다. 노출 영역 (35b) 은, 예를 들어 보호층 (35) 의 개구부로 할 수 있다. 피복 영역 (35a) 은, 후술하는 편광층 (21) 중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과,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접촉시켰을 때에, 액상물이 편광층 (21) 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보호층 (35) 의 노출 영역 (35b) 에서는, 액상물을 편광층 (21) 에 접촉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편광층 (21) 이 액상물과 접촉하면, 액상물이 편광층 (21) 내에 침투하여 이색성 색소의 색소로서의 기능을 소실시킨다. 그 때문에, 노출 영역 (35b) 은, 편광층 (21) 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시키는 영역에 대응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a) 및 (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 2 영역 (11b) 의 형상에 맞추어 그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영역 (11b) 의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 타원형 ; 장원형 ; 삼각형, 정방형, 사각형, 마름모꼴 등의 다각형 ; 선 형상 ; 띠 형상 ; 물결 형상 등이면, 노출 영역 (35b) 은, 이들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하면 된다.
예를 들어, 노출 영역 (35b) 이 원형인 경우, 그 직경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노출 영역 (35b) 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인 경우, 그 장축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노출 영역 (35b) 이 다각형인 경우, 이 다각형이 내접되도록 그린 가상 원의 직경은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상물은, 액정층 중에 침투하기 때문에, 노출 영역 (35b) 의 크기는, 제 2 영역 (11b) 과 동일한 크기가 아니라, 조금 작아지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보호층 (35) 의 피복 영역 (35a) 은, 편광층 (21) 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시키지 않는 영역에 대응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a) 및 (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 1 영역 (11a) 의 형상에 맞추어 그 형상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 (35) 으로는, 시트상 기재에 노출 영역 (35b) 이 되는 영역을 형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노출 영역 (35b) 이 되는 영역은, 시트상 기재의 소정 부분을, 펀칭, 커팅 플로터, 워터 제트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타발하는 방법, 시트상 기재의 소정 부분을 레이저 어블레이션, 화학적 용해 등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 (35) 을 형성하는 시트상 기재로는, 후술하는 액정층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액상물에 불용이며, 또, 액상물의 제거나, 액상물을 접촉시킨 후에 실시하는 자외선 조사에 있어서의 내구성을 갖는 것이면, 그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보호층 (35) 을 형성하는 시트상 기재로는, 예를 들어, 상기한 기재층 (13) 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특히 수지 기재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호층 (35) 의 노출 영역 (35b) 이 되는 영역 (예를 들어, 개구부) 의 변형을 억제하기 쉬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호층 (35) 은, 편광층 (21) 에 첩합하기 위한 점착층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 (35)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박리되기 때문에, 점착층은, 편광층 (21) 에 대해 박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호층 (35) 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20 ㎛ 이상이고, 3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 통상적으로 250 ㎛ 이하이고, 2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탈색 공정)
탈색 공정에서는, 보호층 적층 공정에서 얻어진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편광층 (21)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킨 탈색 적층 필름 (64) 을 얻을 수 있다 (도 3(d)).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의 보호층 (35) 은, 편광층 (21) 을 피복하기 위한 피복 영역 (35a) 과 편광층 (21) 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영역 (35b) 을 갖고 있기 때문에, 노출 영역 (35b) 에 있어서 액상물과 편광층 (21) 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층 (21) 중 액상물과 접촉한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과 액상물의 접촉은,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액상물 중에 침지하거나,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에 액상물을 도포, 분무, 적하하는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며,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액상물 중에 침지하는 방법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편광층 (21) 중, 보호층 (35) 의 노출 영역 (35b) 으로부터 노출하는 편광층 (21) 표면에 액상물이 접촉하고, 편광층 (21) 의 내부에 침투한다. 상세한 것은 분명하지 않지만, 편광층 (21) 의 내부에 침투한 액상물은, 편광층 (21) 중의 이색성 색소를 분해하거나 또는 이색성 색소와 반응 등 함으로써, 이색성 색소의 색소로서의 기능을 소실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따라, 편광층 (21) 의 일부에, 다른 영역보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적은 영역인 제 2 영역 (11b) 이 형성되어, 액정층 (11) 을 갖는 탈색 적층 필름 (64) (도 3(d)) 을 얻을 수 있다.
편광층 (21) 의 표면 중, 보호층 (35) 의 피복 영역 (35a) 에 피복된 영역은, 편광층 (21) 이 액상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편광층 (21) 내에 액상물이 침투하기 어렵고 이색성 색소는 소실되기 어렵다. 이에 반해, 편광층 (21) 중, 보호층 (35) 의 노출 영역 (35b) 으로부터 노출하는 영역에서는, 편광층 (21) 이 액상물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편광층 (21) 내에 액상물이 침투하기 쉽고 이색성 색소가 소실되기 쉽다. 그 때문에, 도 3(d) 에 나타내는 탈색 적층 필름 (64) 에서는, 편광층 (21) 중 노출 영역 (35b) 에 대응하는 영역에, 다른 영역보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작은 저편광 영역인 제 2 영역 (11b) 을 갖는 액정층 (11) 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광층 (21) 중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하고자 하는 영역에 보호층 (35) 의 노출 영역 (35b) 이 배치된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을 사용함으로써, 편광층 (21) 의 원하는 위치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저감된 액정층 (11) 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액상물은 편광층 (21) 의 내부에 침투하여 이색성 색소의 기능을 소실시키기 때문에,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킬 필요가 없는 영역에까지 액상물이 침투하여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도록, 보호층 (35) 의 두께, 노출 영역 (35b) 의 크기, 액상물의 농도, 액상물에 대한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의 침지 시간,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에 대한 액상물의 도포량, 분무량 또는 적하량 등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층 (21)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로는,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과산화물 (과산화수소, 과탄산나트륨 등) 이나 염소 화합물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 (황산, 질산, 헥사플루오로인산), 알칼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황산, 질산, 헥사플루오로인산 등의 산이 바람직하다. 이들 액상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조합해도 된다.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과 액상물을 접촉시키는 접촉 조건은, 편광층 (21) 의 두께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는 범위에 따라 적절히 선정하면 된다. 액상물의 농도는, 예를 들어 2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7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액상물의 온도는, 50 ∼ 15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120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탈색 공정은,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3) 과 액상물을 접촉시켜, 편광층 (21) 의 일부에, 다른 영역보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적은 영역을 형성한 후, 액상물을 씻어내는 제 1 세정 공정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세정 공정은, 물이나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박리 공정)
박리 공정에서는, 탈색 공정에서 얻어진 탈색 적층 필름 (64) 으로부터 보호층 (35) 을 박리한다. 이에 따라, 액정층 (11) 의 일부에, 다른 영역보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적은 영역인 제 2 영역 (11b) 이 형성된 편광 필름 (1) (도 1(a) 및 (b)) 을 얻을 수 있다.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은, 또한, 기재층 (13) 을 박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재층 (13) 과 함께 배향층 (12) 도 박리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재층 (13) 의 박리는, 편광 필름 (1) 의 액정층 (11) 을, 표시 장치를 이루는 부재나 위상차층 등에 첩합한 후에 실시할 수도 있다.
(편광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편광 필름 (1) 의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Roll to Roll 형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준비 공정에 있어서 롤상으로 권회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고, 이 적층 필름을 권출하면서 반송하여, 보호층 적층 공정, 탈색 공정, 박리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면 된다. 보호층 적층 공정에서는, 롤상으로 권회된 보호층을 권출하면서 반송하여, 적층 필름에 보호층을 첩합하여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얻으면 된다. 탈색 공정에서는,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액상물로 채워진 액상물 욕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액상물을 도포, 분무 또는 적하하여, 탈색 적층 필름을 얻으면 된다. 박리 공정에서는, 탈색 적층 필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보호층을 박리하여, 편광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하여 권회체로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10 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 준비 공정이 배향층 형성 공정을 갖는 경우, 롤상으로 권회된 기재층을 권출하면서 반송하고, 이 기재층에, 도포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면 된다. 준비 공정이 편광층 형성 공정을 갖는 경우에는, 배향층 형성 기재층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배향층 형성 기재층의 배향층이 형성된 측의 면에, 편광층 형성 조성물을 도공하여 편광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 제 1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편광 필름 (1) 에서는, 제 1 영역 (11a) 과 제 2 영역 (11b) 의 두께의 차를, 예를 들어 2 ㎛ 이하와 같이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차가 없는 편광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층 (21) 상에 다른 필름을 점착제 등에 의해 첩합해도, 기포를 혼입하는 일 없이, 다른 필름을 적층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제 2 제조 방법)>
편광 필름 (1) 은, 상기한 제 1 제조 방법 외에, 하기에 나타내는 제 2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도 있다. 도 4 는,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액상물 접촉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편광 필름 (1) 의 제 2 제조 방법은,
기재층 (13) 의 적어도 편면측에,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 (21) 을 갖는 적층 필름 (62) (도 3(b)) 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적층 필름 (62) 의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을, 편광층 (21)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는 액상물 접촉 공정 (도 4) 을 갖고, 이에 따라, 도 1(a) 및 (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을 제조할 수 있다.
이 제 2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준비 공정은, 도 3(a) 및 (b) 에 기초하여 설명한 상기 제 1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준비 공정과 동일하다. 이 준비 공정에 의해, 편광층 (21) 을 갖는 적층 필름 (62) 을 준비한다.
이 제 2 제조 방법에서는, 적층 필름 (62) 상의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을, 액상물과 접촉시킨다 (도 4). 이 때 사용하는 액상물은,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제 1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탈색 공정에 있어서 사용하는 액상물과 동일한 액상물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액상물을 접촉시키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일부 영역에 액상물을 적하하여 도포하는, 이른바 잉크젯법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층 (21) 을 액상물과 접촉시킴으로써, 편광층 (21) 의 일부 영역에 액상물이 침투하고,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켜 저편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 제조 방법은, 편광층 (21) 과 액상물을 접촉시킨 후, 편광층 (21) 상의 액상물을 씻어내는 제 2 세정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세정 공정은, 제 1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제 1 세정 공정에서 사용한 물이나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b) 에 나타내는 편광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제 2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제 1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Roll to Roll 형식에 의해 편광 필름 (1) 을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준비 공정에 있어서 롤상으로 권회된 적층 필름을 준비하고, 이 적층 필름을 권출하면서 반송하여, 액상물 접촉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면 된다. 액상물 접촉 공정에서는, 적층 필름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액상물을 적하 도포하여 편광 필름을 얻고, 얻어진 편광 필름을 롤상으로 권취하여 권회체로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연속적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10 m 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 준비 공정이 배향층 형성 공정을 갖는 경우, 롤상으로 권회된 기재층을 권출하면서 반송하고, 이 기재층에, 도포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면 된다. 준비 공정이 편광층 형성 공정을 갖는 경우에는, 배향층 형성 기재층을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배향층 형성 기재층의 배향층이 형성된 측의 면에, 편광층 형성 조성물을 도공하여 편광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 제 2 제조 방법에 의해서도, 제 1 영역 (11a) 과 제 2 영역 (11b) 의 두께의 차를, 예를 들어 2 ㎛ 이하와 같이 작게 할 수 있어, 단차가 없는 편광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편광층 (21) 상에 다른 필름을 점착제 등에 의해 첩합해도, 기포를 혼입하는 일 없이, 다른 필름을 적층할 수 있다.
<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원 편광판은, 편광 필름 (1) 과 위상차층을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 필름이 연속적으로 제조된 길이 10 m 이상의 장척 편광 필름인 경우, 상기 위상차층으로서, 길이 10 m 이상의 장척 위상차층을 사용하고, 양자를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장척 편광 필름과 장척 위상차층을 적층함으로써, 장척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장척 편광 필름 및 장척 위상차층의 적어도 일방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도공하여 양자를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장척 편광 필름과 장척 위상차층을 적층하여 얻어진 장척 적층체를, 편광 필름을 소정 사이즈의 표시 장치 등에 장착하기 위해서 소정 사이즈의 매엽으로 재단하는 공정을 갖고 있어도 된다. 재단 공정에서는, 장척 적층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장척 적층체를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재단된 매엽에 있어서 액정층 (11) 의 제 2 영역 (11b) 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장척 적층체에 있어서의 재단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및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평가용 샘플의 제조)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사용한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 및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또,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기재층으로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필름을 40 ㎜ × 40 ㎜ 로 잘라낸 것을 평가용 샘플의 기재층으로서 준비하였다. 이것들을 사용하여, 실시예 1, 2,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는 보호층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3 에서는 편광층 상에 부분적으로 용액을 적하하는 것 대신에 편광층 전체면을 용액과 접촉시킨 것 이외는,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의 편광 필름의 제조와 동일한 순서를 실시하여 평가용 샘플을 얻었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및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평가용 샘플에 대해, 이하의 순서로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파장 380 ㎚ ∼ 780 ㎚ 의 범위에서 투과축 방향의 투과율 (T1) 및 흡수축 방향의 투과율 (T2) 을,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주식회사 제조 UV-3150) 에 편광자 형성 폴더를 세트한 장치를 사용하여 더블 빔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폴더는, 레퍼런스측은 광량을 50 % 컷 하는 메시를 설치하였다. 하기 (식 1) 및 (식 2) 를 사용하여, 각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 편광도를 산출하고, 또한 JIS Z 8701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하고,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편광도 [%] = {(T1 ― T2) / (T1 + T2)} × 100 (식 1)
단체 투과율 [%] = (T1 + T2)/2 (식 2)
[실시예 1]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 ℃ 에서 1 시간 교반함으로써, 광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인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기에 나타내는 광 반응성기를 갖는 폴리머 2 부
[화학식 16]
Figure pct00016
·용제 : o-자일렌 98 부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80 ℃ 에서 1 시간 교반함으로써,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이색성 색소에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1328호의 실시예에 기재된 아조계 색소를 사용하였다.
·식 (1-6) 으로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75 부
[화학식 17]
Figure pct00017
·식 (1-7) 로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화합물 25 부
[화학식 18]
Figure pct00018
·하기에 나타내는 이색성 색소 (1) 2.8 부
[화학식 19]
Figure pct00019
·하기에 나타내는 이색성 색소 (2) 2.8 부
[화학식 20]
Figure pct00020
·하기에 나타내는 이색성 색소 (3) 2.8 부
[화학식 21]
Figure pct00021
·하기에 나타내는 중합 개시제 6 부
2-디메틸아미노-2-벤질-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이르가큐어 369 ;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하기에 나타내는 레벨링제 1.2 부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YK-361N ; BYK-Chemie 사 제조)
·하기에 나타내는 용제 250 부
시클로펜타논
(편광 필름의 제조)
기재층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KC4UY-TAC, 두께 40 ㎛) 을 20 × 20 ㎜ 로 잘라내고, 그 표면에 코로나 처리 (AGF-B10, 카스가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가 실시된 필름 표면에, 바 코터를 사용하여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20 ℃ 로 설정한 건조 오븐으로 1 분간 건조시키고, 배향층용 도공층을 얻었다. 배향층용 도공층 상에 편광 UV 조사 장치 (SPOT CURE SP-7 ; 우시오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편광 UV 를, 50 mJ/㎠ (313 ㎚ 기준) 의 적산 광량으로 조사하여 배향층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배향층 상에, 바 코터를 사용하여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110 ℃ 로 설정한 건조 오븐으로 1 분간 건조시켰다. 그 후 고압 수은 램프 (유니큐어 VB-15201BY-A, 우시오 전기 주식회사 제조) 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 (질소 분위기하, 파장 : 365 ㎚, 파장 365 ㎚ 에 있어서의 적산 광량 : 1000 mJ/㎠) 함으로써,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가 배향한 편광층을 얻었다. 편광층 상에, 구멍뚫기 펀치로 구멍을 뚫어 개구부를 형성한 보호층 (후지모리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AY-638. 두께가 38 ㎛ 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두께가 15 ㎛ 인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을 첩합한 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CPI-100P) 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50 wt% 용액에 120 ℃ 에서 60 초 침지시켰다. 그 후, 보호층을 박리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편광층이 존재하지 않는 원형의 영역 (저편광 영역) 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편광 영역과 저편광 영역을 갖는 편광 필름이 얻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상기한 순서로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고, 그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기재층으로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고리형 올레핀계 수지의 1 축 연신 필름인 1/4 파장판 (제오노아 필름, 닛폰 제온 주식회사, 면내 위상차 값 Ro : 138 ㎚) 의 표면에 하드 코트 처리한 필름을 사용하여, 지상축과 편광층의 흡수축이 45° 가 되도록 적층시킨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또, 상기한 순서로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고, 그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구멍뚫기 펀치로 구멍을 뚫어 개구부를 형성한 보호층을 첩합하는 것 대신에, 스포이트를 사용하여, 편광층 상에 부분적으로,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CPI-100P) 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의 50 wt% 용액을 적하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편광 필름을 얻었다. 또, 상기한 순서로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고, 그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CPI-100P) 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 50 wt%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상온에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편광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확인할 수 없어, 편광 영역과 저편광 영역을 갖는 편광 필름이 얻어져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상기한 순서로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고, 그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참고예]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산아프로 주식회사 제조, CPI-100P) 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 50 wt% 용액을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편광 필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편광층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확인할 수 없어, 편광 영역과 저편광 영역을 갖는 편광 필름이 얻어져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상기한 순서로 평가용 샘플을 제조하고, 그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측정한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의 값은, 기재층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및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의 값을 포함한 값이지만, 기재층 단체의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은 92 % 이고, 기재층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의 값은 0 % 이기 때문에, 표 1 중에 나타내는 각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 있어서 기재층을 제외한 경우, 시감도 보정 투과율 (Ty) 의 값은 표 1 에 나타내는 값보다 커지고, 시감도 보정 편광도 (Py) 의 값은 표 1 에 나타내는 값과 동일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pct00022
1 : 편광 필름
5a ∼ 5c : 원 편광판
11 : 액정층
11a : 제 1 영역
11b : 제 2 영역
12 : 배향층
13 : 기재층
15 : 위상차층
21 : 편광층
35 : 보호층
35a : 피복 영역
35b : 노출 영역
61 : 배향층 형성 기재층
62 : 적층 필름
63 :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
64 : 탈색 적층 필름

Claims (20)

  1. 액정층을 갖는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액정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함과 함께, 시감도 보정 편광도의 값에 의해 구별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적어도 2 개의 영역은,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서로 상이한, 편광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적층된 배향층을 갖고,
    상기 액정층은, 상기 배향층 상에 적층되어 있는, 편광 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은, 광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제 1 영역과,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상기 제 1 영역보다 적은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영역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0 % 이상이고,
    상기 제 2 영역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10 % 이하인, 편광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이색성 색소를 함유하는 제 1 영역과,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이 상기 제 1 영역보다 적은 제 2 영역을 갖고,
    상기 제 1 영역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35 % 이상이고,
    상기 제 2 영역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80 % 이상인, 편광 필름.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제 2 영역이 원형인 경우의 직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제 2 영역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인 경우의 장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제 2 영역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다각형이 내접되도록 그린 가상 원의 직경은, 5 ㎝ 이하인, 편광 필름.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X 선 회절 측정에 있어서 브래그 피크를 나타내는, 편광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기재층을 갖고,
    상기 기재층은,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편광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길이는 10 m 이상인, 편광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과,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원 편광판.
  12. 기재층의 적어도 편면측에, 액정 화합물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을 갖는 적층 필름을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적층 필름의 상기 편광층의 일부 영역에, 상기 편광층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을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편광층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키는 액상물 접촉 공정을 갖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물 접촉 공정은,
    상기 준비 공정에서 준비한 상기 적층 필름의 상기 편광층 상에, 상기 편광층을 피복하기 위한 피복 영역과 상기 편광층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영역을 갖는 보호층을 적층함으로써,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얻는 보호층 적층 공정과,
    상기 보호층 형성 적층 필름을, 상기 편광층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감할 수 있는 액상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편광층의 일부 영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율을 저하시킨 탈색 적층 필름을 얻는 탈색 공정과,
    상기 탈색 적층 필름으로부터 상기 보호층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갖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있어서의 상기 노출 영역은, 평면에서 봤을 때 형상이 원형, 타원형, 장원형 또는 다각형이고,
    상기 노출 영역이 원형인 경우의 직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노출 영역이 타원형 또는 장원형인 경우의 장경은, 5 ㎝ 이하이고,
    상기 노출 영역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다각형이 내접되도록 그린 가상 원의 직경은, 5 ㎝ 이하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공정은,
    상기 기재층의 편면측에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배향층을 형성하는 배향층 형성 공정과,
    상기 기재층의 상기 배향층이 형성된 측의 면에, 상기 액정 화합물 및 상기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상기 편광층을 형성하는 편광층 형성 공정을 갖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 배향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상기 배향층 형성 공정은, 상기 배향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 배향층용 도공층에 편광 조사를 실시하여 상기 배향층을 형성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화합물은, 중합성 액정 화합물이고,
    상기 편광층 형성 공정은, 상기 편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공하여 형성된 편광층용 도공층에 활성 에너지선 조사를 실시하여 상기 편광층을 형성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 12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길이가 10 m 이상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과, 1/4 파장판 기능을 갖는 위상차층을 적층하는 위상차층 적층 공정을 갖는, 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길이가 10 m 이상인 장척 (長尺) 편광 필름이고,
    상기 위상차층은, 길이가 10 m 이상인 장척 위상차층이고,
    상기 위상차층 적층 공정은, 상기 장척 편광 필름과 상기 장척 위상차층을 적층함으로써 장척 적층체를 형성하고,
    추가로, 상기 장척 적층체를 매엽 (枚葉) 으로 재단하는 재단 공정을 갖는, 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207012632A 2017-10-27 2018-10-16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80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8092 2017-10-27
JPJP-P-2017-208092 2017-10-27
JPJP-P-2017-253953 2017-12-28
JP2017253953 2017-12-28
PCT/JP2018/038525 WO2019082745A1 (ja) 2017-10-27 2018-10-16 偏光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245A true KR20200080245A (ko) 2020-07-06

Family

ID=6624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32A KR20200080245A (ko) 2017-10-27 2018-10-16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WO2019082745A1 (ko)
KR (1) KR20200080245A (ko)
CN (1) CN111279231A (ko)
TW (1) TW201923393A (ko)
WO (1) WO2019082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98A1 (ko) * 2021-03-29 2022-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97041A (zh) * 2020-07-29 2020-11-06 明基材料有限公司 偏光板及含此偏光板的电子装置
CN111999791A (zh) * 2020-08-14 2020-11-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偏光片、显示模组以及显示装置
JP2022041071A (ja) * 2020-08-31 2022-03-11 住友化学株式会社 二液型偏光膜形成用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852A (ja) 2014-04-18 2015-11-19 住友化学株式会社 パターン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212823A (ja) 2014-04-18 2015-11-26 住友化学株式会社 パターン偏光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04498B2 (ja) * 2000-03-10 2010-07-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製品、セキュリティ情報付き物品、真贋判定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製品の製造方法
JP4394431B2 (ja) * 2003-12-11 2010-0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3999206B2 (ja) * 2004-02-05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視野角制御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
KR100881982B1 (ko) * 2006-09-08 2009-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막용 이색성 염료, 이를 포함하는 편광막 조성물, 이를이용한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편광판
JP5451516B2 (ja) * 2010-05-07 2014-03-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566178B2 (ja) * 2010-05-07 2014-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吸収異方性膜、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01921525A (zh) * 2010-08-30 2010-12-22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用彩色压敏胶
KR101941440B1 (ko) * 2011-10-05 2019-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코팅형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6081098B2 (ja) * 2011-10-27 2017-02-15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積層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長尺状積層偏光板
JP6001874B2 (ja) * 2012-02-17 2016-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385050B2 (ja) * 2012-12-17 2018-09-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光学積層体
CN105247395B (zh) * 2014-03-26 2018-09-14 Lg化学株式会社 制造含有局部漂白区域的偏光元件的方法、制造偏光元件辊的方法以及制造单片式偏光元件的方法
JP6152127B2 (ja) * 2015-02-1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22415B2 (ja) * 2015-09-28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12476B2 (ja) * 2015-09-28 2018-10-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51559B2 (ja) * 2015-09-28 2018-07-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852A (ja) 2014-04-18 2015-11-19 住友化学株式会社 パターン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212823A (ja) 2014-04-18 2015-11-26 住友化学株式会社 パターン偏光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398A1 (ko) * 2021-03-29 2022-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2745A1 (ja) 2019-05-02
CN111279231A (zh) 2020-06-12
JPWO2019082745A1 (ja) 2020-11-19
TW201923393A (zh) 2019-06-16
JP2023080141A (ja)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2054B1 (ko) 타원 편광판
KR20200080245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32006A (ko)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7281953B2 (ja) 積層体
JP7198683B2 (ja) 積層体
JP7287896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
JP7272957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
KR20210127941A (ko)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3167963B (zh) 偏光膜及其制造方法
KR20240005687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30062548A (ko) 광학 적층체 및 이것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
WO2020022009A1 (ja) 積層体
JP7492813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022010A1 (ja) 積層体
KR20220038354A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21020A (ko) 편광막, 편광판, 광학 적층체, 타원 편광판, 유기 el 표시 장치 및 플렉시블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