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103A -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103A
KR20200080103A KR1020190055759A KR20190055759A KR20200080103A KR 20200080103 A KR20200080103 A KR 20200080103A KR 1020190055759 A KR1020190055759 A KR 1020190055759A KR 20190055759 A KR20190055759 A KR 20190055759A KR 20200080103 A KR20200080103 A KR 20200080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impression resin
tray
guide tray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호
허다솜
양희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솔
Priority to CN201980086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226217B/zh
Priority to PCT/KR2019/008618 priority patent/WO2020138615A1/ko
Priority to US16/548,205 priority patent/US11622838B2/en
Publication of KR2020008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electing the right implanting element, e.g.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90Compositions for taking dental impre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비가이드(100)는 인상레진(110)과 가이드 트레이(1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120)는 인상레진수용부(130), 지그체결부(140), 보호덮개부(150) 및 파지부(1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Manufacturing method of a dental implant sergical guide, Pre-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본 발명은 치아 임플란트를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시술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치조골에 치아 임플란트 고정체를 식립하는 작업을 포함하는데, 시술 현장에서는 치아 임플란트 고정체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식립하기 위하여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는 식립 또는 시술 가이드(surgical guide)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식립 가이드의 대표적인 한 예가 한국등록특허 제10-1797155호의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고, 그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피시술자의 구강 내부가 스캔된 1차 스캐닝 이미지 및 구강 CT 이미지가 획득되고, 치아 식립대상부 및 대합치아 사이의 교합높이가 고려되어 제조된 교합레진의 외면이 스캔된 2차 스캐닝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1단계(s10);
1차 스캐닝 이미지 및 2차 스캐닝 이미지에 표시된 공통부분을 기준으로 예비정합하여 피시술자의 교합높이가 고려된 통합 스캐닝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2단계(s20);
통합 스캐닝 이미지와 구강 CT 이미지에 포함된 정합표식자 이미지를 기준으로 중첩 및 본정합하여 3차원 교합 가이드 이미지가 획득되는 제3단계(s30); 및
3차원 교합 가이드 이미지를 기반으로 크라운의 높이가 설정되고 서지컬 가이드가 제조되는 제4단계(s40)로 구성되어 있다.
위 종래기술의 서지컬 가이드 제조 방법은 여러번의 스캔 작업, 스캔된 이미지의 통합 작업, 통합된 스캐닝 이미지와 CT 이미지의 정합 작업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작업때 마다 발생할 수 있는 오차의 불일정 및/또는 누적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최종 결과물인 가이드의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971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구강 스캔 이미지 없이 CT 이미지만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많이 간단해지고, 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 들며, 최종 결과물인 가이드의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리는 제1단계; 상기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하는 제2단계; 상기 예비가이드를 상기 식립 부위에서 떼내고 상기 부분 경화된 인상레진을 완전 경화하는 제3단계; 상기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상기 예비가이드를 다시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4단계;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대로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인상레진; 및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인상레진수용부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인상레진수용부; 및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또는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제조에 종래기술과 달리 구강 스캔 이미지 없이 CT 이미지만이 사용되기 때문에, 작업이 많이 간단하고, 작업 시간이 크게 줄어 들며, 정확도 또는 정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아울러 임플란트 시술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기본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응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치아 구조의 예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5c는 도 5a 또는 도 5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5d는 도 5b의 A1-A1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5e는 도 5d의 조립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6c는 도 6a 또는 도 6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6d는 도 6b의 A2-A2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6e는 도 6d의 조립 단면도;
도 6f 및 도 6g는 제2실시예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시한 턱 구조의 예시 도면들;
도 7a 및 도 7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7c는 도 7a 또는 도 7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7d는 도 7b의 A3-A3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7e는 도 7d의 조립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8c는 도 8a 또는 도 8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8d는 도 8b의 A4-A4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8e는 도 8d의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들과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기본 및 응용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 제조 방법과 응용 제조 방법은 인상레진의 성질, 특히 경화성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기본 및 응용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들이다.
기본 제조 방법(3단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은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계(S110)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예비가이드에 있는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본떠진다. 이 떠진 본은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게 된다. 이 물리적인 정합은 종래기술에서 스캔 이미지와 CT 이미지가 통합된 통합 이미지와 식립 부위간의 디지털 정합에 비하여 정밀도와 정확도가 매우 높고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제2단계(S120)는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한다.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이 사용되게 되는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CT 이미지를 불러 와 교합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각도 등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게 된다.
제3단계(S130)는 설계된 식립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한다.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제1단계(S110)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다. 그런 후, 식립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후, 가공 장비에서 이 디지털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면 가이드가 완성되게 된다.
응용 제조 방법(6단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용 제조 방법은 6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제1단계(S110')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린다.
이때, 시술자는 다양한 여러 예비가이드들 중에서 식립 부위에 적합한 예비가이드를 선택하게 된다. 시술자는 이 예비가이드를 식립 부위에 얹은 후 손가락으로 지그시 눌러 어느 정도 자리를 잡게 한 후 환자가 적당한 힘으로 입을 다물어 예비가이드를 물리게 된다.
제2단계(S120')는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한다.
부분 경화를 위해서, 물려진 예비가이드에 광을 조사하게 되는데, 400㎚~500㎚의 파장과 800mW/㎠~1,000mW/㎠ 의 강도를 갖는 할로겐 또는 LED 광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조사는 30초~60초간 예비가이드의 옆면에서 윗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 경화를 하는 이유는 물컹한 성질의 인상레진이 예비가이드를 식립 부위에서 떼냈을 때 떠진 본이 잘 유지되게 하고, 식립 부위의 언더컷에 의해 떼는 작업에 무리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완전 경화가 되면, 언더컷이 있을 경우 이 언더컷에 걸려 예비가이드를 정상적으로 떼낼 수 없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하였지만, 경화열에 의해 치아가 손상되거나 또는 언더컷에 의해 예비가이드가 정상적으로 떼낼 수 있는 한에서는 최대한 많이 경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의 경화 정도가 많아지면 떠진 본이 더욱 잘 유지되게 되고 이는 곧 나중에 이루어지게 물리적 정합의 완성도를 높이게 되기 때문이다.
제3단계(S130')는 예비가이드를 식립 부위에서 떼내고 부분 경화된 인상레진을 완전 경화한다.
완전 경화를 위해서, 제2단계에서 사용된 광을 다시 사용하여 40초~80초간 예비가이드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랫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광 조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인상레진은 광이 조사되면 높은 열이 발생되면서 수축이 생기기 때문에 조사되는 면의 순서에 따라 전체 수축정도가 달라 질 수 있음을 개발 과정에서 알아냈고 많은 실험을 통해 예비가이드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랫면 순으로 광 조사가 이루어졌을 때 수축 정도가 가장 적어 떠진 본이 물리적인 정합에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제1,2,3단계를 거쳐 예비가이드에 있는 인상레진에 식립 부위가 본떠진다. 이 떠진 본은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게 된다. 이 물리적인 정합은 종래기술에서 스캔 이미지와 CT 이미지가 통합된 통합 이미지와 식립 부위간의 디지털 정합에 비하여 정밀도와 정확도가 매우 높고 작업 시간이 크게 단축된다.
제4단계(S140')는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다시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인상레진에 떠진 본과 식립 부위가 물리적인 정합을 이루게 예비가이드가 식립 부위에 물리게 된다.
제5단계(S150')는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한다.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이 사용되게 되는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CT 이미지를 불러 와 교합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각도 등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게 된다.
제6단계(S160')는 설계된 식립 정보대로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한다.
이때,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제1단계(S110')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다. 그런 후, 식립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가공 장비에서 이 디지털 정보에 맞게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형성하면 가이드가 완성되게 된다.
다음, 나머지 다른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의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치아 구조를 참고로 도 4에 도시하였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5c는 도 5a 또는 도 5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5d는 도 5b의 A1-A1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5e는 도 5d의 조립 단면도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1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전치/소구치(도 4의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도 4의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41번, 42번, 43번, 44번, 45번)일 때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100)는 인상레진(110)과 가이드 트레이(1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120)는 인상레진수용부(130), 지그체결부(140), 보호덮개부(150) 및 파지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인상레진(1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치과용 레진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실험을 거쳐 본 발명의 용도에 더욱 잘 맞게 그 성분과 함량을 최적화시켰고, 본 실시예에 적용된 인상레진(110)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45.27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0wt%, 비스페놀 에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5.1wt%, 실리카 18.0wt%, 바륨 글래스 1.5wt%, 캠포퀴논 0.05wt%,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0.02wt%, 그리고 에틸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0.06wt%로 구성하였다.
인상레진(110)은, 필요에 따라, 경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경화 촉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사용 전에 미리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 중에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상레진(1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110)의 노출면이 얇은 막(1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1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1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1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1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1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111)에 의해 인상레진(1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막(1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1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
인상레진수용부(130)는 인상레진(1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수용부(130)는 제1측면(131), 바닥면(133) 및 제2측면(1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1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
제1측면(1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131)은 인상레진(1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1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1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홈/구멍들(132)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Wi)이 출구의 폭(Wo)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1홈/구멍들(132)에 채워진 인상레진(1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1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1홈/구멍들(1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1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바닥면(1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1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1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1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5개의 마커들(1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1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1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133)에 형성된 홈(1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
제2측면(1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136)은 인상레진(1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1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2홈/구멍들(137)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들(138)이 추가로 형성된다. 다수의 제2홈/구멍들(137)과 다수의 구멍들(138)은 기능적인 면과 제조의 편의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른 형태로 형성하게 되었다.
제2홈/구멍들(137)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제1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2홈/구멍들(137)에 채워진 인상레진(1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1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2홈/구멍들(137)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1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2측면(1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1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다수의 돌출턱(139)이 파지부(16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돌출턱(1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그체결부(1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1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2개의 체결구멍들(141)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체결부(140)는 체결구멍들(1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
보호덮개부(150)는 인상레진(1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1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1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
보호덮개부(150)는 지그체결부(1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151) 및 제1측면(1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152)를 갖는다. 연장부(1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150)를 지그체결부(1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120)에 있는 인상레진(1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110)이 보호덮개부(1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
파지부(1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1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1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1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130), 지그체결부(140) 또는 파지부(1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6a 내지 도 6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6c는 도 6a 또는 도 6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6d는 도 6b의 A2-A2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도 6e는 도 6d의 조립 단면도, 그리고 도 6f 및 도 6g는 턱 구조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2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중절치 부터 제2대구치(도 4의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26번, 27번)와 하악의 중절치 부터 제2대구치(도 4의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36번, 3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28번, 3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을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200)는 인상레진(210)과 가이드 트레이(2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220)는 인상레진수용부(230), 지그체결부(240), 보호덮개부(250) 및 파지부(260)를 포함하고 있다.
인상레진(2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치과용 레진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실험을 거쳐 본 발명의 용도에 더욱 잘 맞게 그 성분과 함량을 최적화시켰고, 본 실시예에 적용된 인상레진(210)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45.27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0wt%, 비스페놀 에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5.1wt%, 실리카 18.0wt%, 바륨 글래스 1.5wt%, 캠포퀴논 0.05wt%,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0.02wt%, 그리고 에틸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0.06wt%로 구성하였다.
인상레진(210)은, 필요에 따라, 경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경화 촉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사용 전에 미리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 중에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상레진(2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210)의 노출면이 얇은 막(2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2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2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2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2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2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211)에 의해 인상레진(2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막(2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2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
인상레진수용부(230)는 인상레진(2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수용부(230)는 제1측면(231), 바닥면(233) 및 제2측면(2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2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
제1측면(2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231)은 인상레진(2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2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홈/구멍들(2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다수의 홈/구멍들(232)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도 5a 또는 도 5b의 다수의 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홈/구멍들(232)에 채워진 인상레진(2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2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홈/구멍들(2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2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바닥면(2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233)은 도 5a 또는 도 5b의 바닥면(133)과는 다르게 끝부분, 즉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233a)를 형성하였다.
치아의 교합은, 참고로 도시한 도 6f 및 도 6g와 같이, 윗턱과 아랫턱이 턱관절을 중심으로 열리고 닫히는 구조에 의해, 윗턱과 아랫턱의 안쪽에 있는 어금니들이 먼저 교합을 이루게 된다.
많은 실험 결과, 이 어금니들 사이에 딱딱한 바닥면(233)과 인상레진(210)이 존재하게 되면, 어금니 이외에 다른 치아들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게 되어 그 다른 치아들은 정상적인 교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어금니들이 닿는 또는 위치하는 부분에 개방부(233a)를 형성하게 되었다.
개방부(233a)는 교합이 이루어질 때 치아에 의한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210)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면(233)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233b)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2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2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2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6개의 마커들(2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2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2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233)에 형성된 홈(2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
제2측면(2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236)은 인상레진(2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2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구멍들(237)이 간격을 두고 형성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2측면(236)은 제조 또는 사용의 편의상, 도 5a 또는 도 5b의 제1실시예의 제2측면(133)과 달리, 홈/구멍(137)을 형성하지 않고 구멍(237)을 더 많이 형성하게 되었다. 이런 구조로 인해, 구멍들(237)에 채워진 인상레진(2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2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2측면(2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2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239)이 파지부(260)의 옆쪽에 형성된다. 돌출턱(2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그체결부(2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2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2개의 체결구멍들(241)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체결부(240)는 체결구멍들(2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
보호덮개부(250)는 인상레진(2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2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2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
보호덮개부(250)는 지그체결부(2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251) 및 제1측면(2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252)를 갖는다. 연장부(2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250)를 지그체결부(2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220)에 있는 인상레진(2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210)이 보호덮개부(2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호덮개부(250)는 제1측면(231)에 있는 홈/구멍들(232)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253)이 형성된다. 다수의 돌기들(253)이 홈/구멍들(232)에 끼워졌을 때 구멍들(232)이 모두 메꿔지지 않아 그 사이로 인상레진(210)이 밀려 들어와 채워질 수 있다.
파지부(2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2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2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2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230), 지그체결부(240) 또는 파지부(2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
모든 구성이 중복되는 이유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2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200)는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고, 이 거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변경 실시예의 예비가이드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와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41번, 42번, 43번, 44번, 45번, 46번, 4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18번, 3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은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를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7c는 도 7a 또는 도 7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7d는 도 7b의 A3-A3선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7e는 도 7d의 조립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3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14번, 15번, 16번, 17번)와 하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34번, 35번, 36번, 3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18번, 3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을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도 7a 내지 도 7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300)는 인상레진(310)과 가이드 트레이(3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320)는 인상레진수용부(330), 지그체결부(340), 보호덮개부(350) 및 파지부(360)를 포함하고 있다.
인상레진(3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치과용 레진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실험을 거쳐 본 발명의 용도에 더욱 잘 맞게 그 성분과 함량을 최적화시켰고, 본 실시예에 적용된 인상레진(310)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45.27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0wt%, 비스페놀 에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5.1wt%, 실리카 18.0wt%, 바륨 글래스 1.5wt%, 캠포퀴논 0.05wt%,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0.02wt%, 그리고 에틸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0.06wt%로 구성하였다.
인상레진(310)은, 필요에 따라, 경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경화 촉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사용 전에 미리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 중에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상레진(3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310)의 노출면이 얇은 막(3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3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3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3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3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3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311)에 의해 인상레진(3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막(3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3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
인상레진수용부(330)는 인상레진(3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수용부(330)는 제1측면(331), 바닥면(333) 및 제2측면(3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3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
제1측면(3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331)은 인상레진(3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3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홈/구멍들(3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다수의 홈/구멍들(332)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도 5a 또는 도 5b의 다수의 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홈/구멍들(332)에 채워진 인상레진(3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3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홈/구멍들(3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3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바닥면(3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333)은, 도 6a 또는 도 6b의 바닥면(233)과 마찬가지로, 끝부분, 즉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333a)를 형성하였고, 그 이유는 제2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아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개방부(333a)는 교합이 이루어질 때 치아에 의한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310)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면(333)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333b)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3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3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3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5개의 마커들(3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3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3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333)에 형성된 홈(3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
제2측면(3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336)은 인상레진(3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3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구멍들(337)이 간격을 두고 형성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2측면(336)은 제조 또는 사용의 편의상, 도 6a 또는 도 6b의 제2실시예의 제2측면(233)과 마찬가지로 구멍(337)을 많이 형성하였다. 이런 구조로 인해, 구멍들(337)에 채워진 인상레진(3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3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2측면(3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3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339)이 파지부(360)의 옆쪽에 형성된다. 돌출턱(3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33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인상레진수용부(330)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그체결부(3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3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2개의 체결구멍들(341)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체결부(340)는 체결구멍들(3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
보호덮개부(350)는 인상레진(3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3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3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
보호덮개부(350)는 지그체결부(3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351) 및 제1측면(3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352)를 갖는다. 연장부(3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350)를 지그체결부(3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320)에 있는 인상레진(3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310)이 보호덮개부(3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호덮개부(350)는 제1측면(331)에 있는 홈/구멍들(332)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353)이 형성된다. 다수의 돌기들(353)이 홈/구멍들(332)에 끼워졌을 때 구멍들(332)이 모두 메꿔지지 않아 그 사이로 인상레진(310)이 밀려 들어와 채워질 수 있다.
파지부(3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3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3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3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330), 지그체결부(340) 또는 파지부(3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
모든 구성이 중복되는 이유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3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300)는 거울 대칭되는 구조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고, 이 거울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 변경 실시예의 예비가이드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24번, 25번, 26번, 27번)와 하악 소구치/대구치(도 4의 44번, 45번, 46번, 47번) 부위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3대구치들(사랑니, 도 4의 28번, 48번)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제거를 하기 때문에 이 치아들은 고려하지 않았고, 제거되지 않았더라고 임플란트 시술시 이들을 제거하기 때문에 실제로 고려할 필요가 없다.
제4실시예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를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2 또는 도 3의 가이드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서로 다른쪽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들, 도 8c는 도 8a 또는 도 8b의 가이드 트레이의 파지부쪽을 바라본 도면, 도 8d는 도 8b의 A4-A14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 그리고 도 8e는 도 8d의 조립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예비가이드(400)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11번, 12번, 13번, 14번, 15번, 16번, 17번, 21번, 22번, 23번, 24번, 25번, 26번, 27번)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도 4의 31번, 32번, 33번, 34번, 35번, 36번, 37번, 41번, 42번, 43번, 44번, 45번, 46번, 47번)일 때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비가이드(400)는 인상레진(410)과 가이드 트레이(420)를 포함하고, 또한 가이드 트레이(420)는 인상레진수용부(430), 지그체결부(440), 보호덮개부(450) 및 파지부(460)를 포함하고 있다.
인상레진(410)은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것으로,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치과용 레진을 오랜 기간 동안 많은 실험을 거쳐 본 발명의 용도에 더욱 잘 맞게 그 성분과 함량을 최적화시켰고, 본 실시예에 적용된 인상레진(410)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45.27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0wt%, 비스페놀 에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5.1wt%, 실리카 18.0wt%, 바륨 글래스 1.5wt%, 캠포퀴논 0.05wt%,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0.02wt%, 그리고 에틸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0.06wt%로 구성하였다.
인상레진(410)은, 필요에 따라, 경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경화 촉진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사용 전에 미리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 중에 추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상레진(410)의 노출면을 보호하거나 또는 다른 필요에 따라 노출면이 보호되게 구성하였고,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410)의 노출면이 얇은 막(411)이 씌워지게 하였다. 이로 인해, 인상레진(410)의 노출면이 사용 전까지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뿐만 아니라, 식립 부위가 본 떠질 때, 이 막(411)이 식립 부위와 인상레진(410) 사이에 있어 인상레진(4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인상레진(410)에 언더컷 부위의 본이 떠지더라도 부분 경화가 이루어진 후에도 이 막(411)에 의해 인상레진(410)이 쉽게 식립 부위에서 떨어지게 된다.
막(411)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 수 있고, 인상레진(410)이 완전 경화되기 전에 벗겨지게 된다.
인상레진수용부(430)는 인상레진(410)이 수용되는 부위로, 식립 부위인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식립 부위의 크기에 맞게 그 크기가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인상레진수용부(430)는 제1측면(431), 바닥면(433) 및 제2측면(436)이 하나로 연결되어 필요한 양의 인상레진(410)을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갖게 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였다.
제1측면(431)은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측면(431)은 인상레진(4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4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432)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1홈/구멍들(432)은, 도 5a 또는 도 5b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홈/구멍들(132)과 마찬가지로,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1홈/구멍들(432)에 채워진 인상레진(4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4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1홈/구멍들(432)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4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바닥면(433)은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고,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치아 배열을 수용할 수 있게 치아의 두께 보다 약 3배 정도 큰 폭을 갖게 형성된다. 바닥면(433)은, 도 6a 또는 도 6b의 바닥면(233)과 마찬가지로, 끝부분, 즉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433a)를 형성하였고, 그 이유는 제2실시예에 설명한 것과 같아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개방부(433a)는 교합이 이루어질 때 치아에 의한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410)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바닥면(433)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433b)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433)은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이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위에 설명한 본 발명의 기본 제조 방법에서의 제3단계와 응용 제조 방법에서의 제6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고, 이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작업에 사용된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그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될 수 있고,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5개 이상의 마커들(434)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434)을 연결했을때 3각형태를 띠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는 9개의 마커들(434)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CT 이미지에서의 위치 식별 및 CT 이미지와 가이드 트레이 이미지간의 정합을 좋게 하기 위하여, 치아와의 충분한 간격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특히, 금속 재질의 보철물이 있을 경우, 산란(scattering)이 생겨 마커들(434)의 식별이 방해될 수 있다. 이 산란은 주로 옆쪽으로 생기고, 위쪽으로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점을 고려하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을 가급적 치아 위쪽에 위치되게 거리를 두고 정렬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을 재료로 하여 구형(ball type) 또는 원기둥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를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보다 뚜렸한 CT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마커(434)를 구형(ball type)으로 만들었고, 바닥면(133)에 형성된 홈(135)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게 하였다.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다.
제2측면(436)은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고,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2측면(436)은 인상레진(410)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인상레진(410)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2홈/구멍들(437)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제2홈/구멍들(437)은 사다리꼴의 각진 형상을 갖고, 제1홈/구멍들(432)과 마찬가지로,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게 되어 있다. 각지고 홈과 구멍이 함께 있는 구조로 인해, 제2홈/구멍들(437)에 채워진 인상레진(410)이 경화된 후에는 떨어져 나가지 않게 단단히 잡혀 있게 되고, 또한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에도 인상레진(410)이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떨어지지 않고 단단히 잡혀 있게 된다. 제2홈/구멍들(437)의 크기와 형상은 인상레진(410)의 특성에 따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범위에서 이와 다르게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2측면(436)은 바깥면에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가이드 트레이(420)가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다수의 돌출턱(439)이 파지부(46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돌출턱(439)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비에 마련되게 되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떨림을 잡아 주는 수단으로 돌출턱을 구현하였지만 이와 달리 안으로 오목하게 파인 홈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43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인상레진수용부(430)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상레진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다수의 홈/구멍들 또는 구멍들을 구현하였지만,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인상레진을 인상레진수용부에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지그체결부(440)는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부위로, 제1측면(431)과 이어지게 마련되고, 4개의 체결구멍들(441)이 형성되어 있다.
지그체결부(440)는 체결구멍들(441)이 가공용지그에 형성되는 체결돌기에 삽입되고, 그 양면이 상하로 힘있게 눌리는 방식으로 가공용지그에 고정되게 체결되게 된다.
보호덮개부(450)는 인상레진(410)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인상레진(410)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지그체결부(440)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부위이다.
보호덮개부(450)는 지그체결부(440)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공간(451) 및 제1측면(431)의 바깥면과 접촉되게 되는 연장부(452)를 갖는다. 연장부(452)는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보호덮개부(450)를 지그체결부(440)에 쉽게 밀 수 있게 되어 있고, 인상레진수용부(420)에 있는 인상레진(410)이 밀려 나올 때 이 부위에 의해 더 이상 인상레진(410)이 보호덮개부(450)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될 수 있다.
파지부(460)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는 부위로, 제2측면(436)의 바깥면에 연결되어 있다. 파지부(460)는 사용에 따라 불필요한 경우 부러뜨릴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정합 수단으로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434)을 사용하였지만, 인상레진수용부(430), 지그체결부(440) 또는 파지부(460)의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을 도포하거나 또는 그들 자체를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드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200,300,400 : 예비가이드
110,210,310,410 : 인상레진
120,220,320,420 : 가이드 트레이
130,230,330,430 : 인상레진수용부
140,240,340,440 : 지그체결부
150,250,350,450 : 보호덮개부
160,260,360,460 : 파지부

Claims (126)

  1.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단계;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예비가이드에 있는 인상레진에 상기 식립 부위가 본 떠지고, 상기 떠진 본은 상기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CT 이미지를 불러 와 교합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각도 등의 식립 정보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상기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상기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은 후, 상기 식립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가이드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7.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예비가이드를 물리는 제1단계;
    상기 예비가이드가 물린 상태에서 인상레진을 부분 경화하는 제2단계;
    상기 예비가이드를 상기 식립 부위에서 떼내고 상기 부분 경화된 인상레진을 완전 경화하는 제3단계;
    상기 환자의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상기 예비가이드를 다시 물리고 CT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4단계;
    상기 CT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식립 부위에 알맞게 임플란트의 식립 정보를 설계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설계된 식립 정보대로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를 완성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예비가이드를 상기 식립 부위에 얹은 후 지그시 눌러 자리를 잡게 한 후 환자가 입을 다물어 상기 예비가이드를 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부분 경화를 위해서 400㎚~500㎚의 파장과 800mW/㎠~1,000mW/㎠ 의 강도를 갖는 할로겐 또는 LED 광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광은 30초~60초간 상기 예비가이드의 옆면에서 윗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완전 경화를 위해서, 400㎚~500㎚의 파장과 800mW/㎠~1,000mW/㎠ 의 강도를 갖는 할로겐 또는 LED 광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은 40초~80초간 상기 예비가이드의 윗면, 옆면 그리고 아랫면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2,3단계를 거쳐 상기 예비가이드에 있는 인상레진에 상기 식립 부위가 본 떠지고, 상기 떠진 본은 상기 식립 부위와 최종적으로 완성되게 되는 가이드의 물리적인 정합 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CT 이미지를 불러 와 교합 관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의 종류와 크기, 식립 위치, 식립 깊이, 식립 각도 등의 식립 정보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에서, 상기 디자인 프로그램 상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 환자가 물고 있던 상기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상기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은 후, 상기 식립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 이미지에 안내구멍을 설계하여 가공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에 맞게 상기 예비가이드에 안내구멍을 가공하여 가이드가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18.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지는 인상레진; 및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인상레진수용부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상기 인상레진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상기 인상레진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연장부의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보호덮개부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트레이는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지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2.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사용 전에 말랑한 상태에서 사용 후에는 자연 또는 인위적으로 경화되는 치과용 레진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3.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45.27wt%,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0.0wt%, 비스페놀 에이-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15.1wt%, 실리카 18.0wt%, 바륨 글래스 1.5wt%, 캠포퀴논 0.05wt%,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0.02wt%, 그리고 에틸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0.06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4.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경화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경화 촉진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진제는 사용 전에 미리 첨가되어 있거나, 또는 사용 중에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6.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은 노출면이 얇은 막에 의해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막은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막은 0.03mm~0.20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29.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 또는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비가이드.
  30.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전치/소구치 부위 또는 하악 전치/소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수용부; 및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측면이 연결된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3.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4.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5. 청구항 34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6.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8.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39.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0.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1.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2.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3.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4. 청구항 3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5.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상기 지그체결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자체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6.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32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7. 청구항 46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2홈/구멍들과 다수의 구멍들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8. 청구항 47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49.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바깥면에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0.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상기 인상레진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1. 청구항 50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연장부의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보호덮개부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2. 청구항 48 또는 청구항 49에 있어서,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지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3.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의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수용부; 및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4. 청구항 53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측면이 연결된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5. 청구항 54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6. 청구항 54 또는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7. 청구항 54 또는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홈/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8. 청구항 57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59. 청구항 54 또는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0. 청구항 59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1. 청구항 54 또는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2.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3.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4.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5.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6.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7.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8.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69. 청구항 6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0. 청구항 70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상기 지그체결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자체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1. 청구항 71 또는 청구항 55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2. 청구항 7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3. 청구항 71 또는 청구항 72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바깥면에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4. 청구항 71 또는 청구항 72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상기 인상레진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5. 청구항 74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연장부의 한쪽면이 살짝 올라와 있어, 상기 인상레진이 상기 보호덮개부쪽으로 밀려 나오는게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6. 청구항 75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상기 제1측면에 있는 홈/구멍들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7. 청구항 71 또는 청구항 72에 있어서,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지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8.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소구치/대구치 부위 또는 하악 소구치/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수용부; 및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79. 청구항 78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측면이 연결된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0. 청구항 79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1. 청구항 79 또는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2. 청구항 79 또는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홈/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3. 청구항 8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4. 청구항 79 또는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5. 청구항 84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6. 청구항 79 또는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7.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8.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89.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0.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1.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2.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3.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4. 청구항 8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5. 청구항 95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상기 지그체결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자체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6. 청구항 96 또는 청구항 80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7. 청구항 96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8. 청구항 96 또는 청구항 97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바깥면에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99. 청구항 96 또는 청구항 97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상기 인상레진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0. 청구항 99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상기 제1측면에 있는 홈/구멍들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1. 청구항 96 또는 청구항 97에 있어서,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지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2. 인상레진이 수용되고, 상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 및 하악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 부위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인상레진수용부; 및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가공장비에 있는 가공용지그에 체결되는 지그체결부를 구비한 가이드 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3. 청구항 102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치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1측면, 치아의 끝쪽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면, 및 치아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제2측면이 연결된 상기 인상레진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4. 청구항 103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는 폴리술폰(Polysulfone)을 그 재료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5. 청구항 103 또는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치아 안쪽의 구조에 맞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6. 청구항 103 또는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7. 청구항 106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8. 청구항 103 또는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어금니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09. 청구항 108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바닥면과 이어지게 얇은 보호막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0. 청구항 103 또는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채워지는 반대면에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1.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상기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표면 노출 없이 완전히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2.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환자가 물고 있던 예비가이드와 일치하는 예비가이드 이미지를 식립 정보가 설계되어 있는 CT 이미지 위에 갖다 놓는" 정합 작업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3.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4.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방사선불투과성을 갖는 메탈 또는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5.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치과에서 다른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Gutta Percha"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6.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0.3㎜~5.0㎜, 바람직하게는 0.5㎜~4.0㎜,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7.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구형 또는 원기둥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8. 청구항 11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정합용 마커들은 정합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3개 이상이 거리를 두고 정렬되고, 정렬 위치는 어떤 3개의 마커들을 연결했을때 3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19. 청구항 119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상기 지그체결부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정합 수단으로 그 표면에 방사선불투과성 물질이 도포되거나 또는 상기 인상레진수용부 자체가 방사선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0. 청구항 120 또는 청구항 104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치아 바깥쪽의 구조에 맞게 거의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1. 청구항 120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상기 인상레진이 밀려 들어가 경화되면, 상기 인상레진이 단단하게 고정되게 되는 다수의 제2홈/구멍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2. 청구항 12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홈/구멍들은 각진 형상을 갖고, 입구의 폭이 출구의 폭 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3. 청구항 120 또는 청구항 121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은 가이드를 완성하기 위해 바깥면에 가공용 지그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확인하거나 또는 식립안내구멍이 가공될 때 기계적으로 천공되는 힘에 의해 생기는 떨림을 잡아 주는 돌출턱 또는 오목하게 파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4. 청구항 120 또는 청구항 121에 있어서, 상기 인상레진에 임플란트 식립 부위가 본 떠질때, 눌림에 의해 상기 인상레진의 일부가 밖으로 밀려 나와 상기 지그체결부에 달라 붙는 것을 막기 위한 보호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5. 청구항 124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부는 상기 제1측면에 있는 다수의 제1홈/구멍들에 끼워지는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126. 청구항 120 또는 청구항 121에 있어서, 사용에 따라 선택적으로 부러뜨려지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 트레이.
KR1020190055759A 2018-12-26 2019-05-13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KR20200080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80086608.1A CN113226217B (zh) 2018-12-26 2019-07-12 种植牙植入引导装置的制造方法、用于制造该种植牙植入引导装置的初步引导装置及引导托盘
PCT/KR2019/008618 WO2020138615A1 (ko) 2018-12-26 2019-07-12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US16/548,205 US11622838B2 (en) 2018-12-26 2019-08-22 Method of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and preliminary 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9173 2018-12-26
KR1020180169173 2018-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103A true KR20200080103A (ko) 2020-07-06

Family

ID=7157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759A KR20200080103A (ko) 2018-12-26 2019-05-13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0103A (ko)
CN (1) CN1132262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6955A (zh) * 2022-09-20 2022-12-20 联合口腔医生集团(深圳)有限公司 口腔印模方法及口腔印模导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155B1 (ko)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71869A1 (en) * 1999-02-17 2000-08-24 John Hilliard Tucker Improved dental impression tray
KR200369308Y1 (ko) * 2004-09-01 2004-12-03 이준희 치과 인상용 트레이
US20070184403A1 (en) * 2006-02-07 2007-08-09 Allan Coopersmith No Distortion Impression Tray and Method of Use
KR100990742B1 (ko) * 2008-10-17 2010-10-29 이원진 치과용 임플란트의 식립을 위한 가이드 스텐트 및 가이드 스텐트 제작 방법
KR20100117385A (ko) * 2009-04-24 2010-11-03 이태경 마커를 구비한 트레이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이미지 매칭 방법
KR101092907B1 (ko) * 2009-08-26 2011-12-12 이태경 임플란트 영상매칭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ct촬영장치
JP5820679B2 (ja) * 2011-09-30 2015-11-24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用印象用トレー
EP2851037B1 (en) * 2012-06-22 2017-12-13 GC Corporation Impression tray set for edentulous jaw
WO2014167743A1 (ja) * 2013-04-12 2014-10-16 株式会社ジーシー 印象用トレー
KR101481305B1 (ko) * 2013-08-12 2015-01-1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수술용 수술가이드 제작방법
KR20160136133A (ko) * 2015-05-19 2016-11-29 권혁수 임플란트 인상채득 트레이 및 이에 사용되는 투명 가이드 트레이
WO2015183012A1 (ko) * 2014-05-28 2015-12-03 권오달 치과 인상용 트레이
CN105078596B (zh) * 2014-09-15 2017-06-16 汤雨龙 一种个性化牙种植手术导板的制作方法
US20170202648A1 (en) * 2016-01-14 2017-07-20 James DiMarino Adjustable Dental Impression Tray with Adaptive Lock
CN107928821B (zh) * 2017-12-01 2020-04-17 张辉 一种快速制作数字化种植导板的方法及其专用定位颌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7155B1 (ko) 2016-09-02 2017-11-14 주식회사 디오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86955A (zh) * 2022-09-20 2022-12-20 联合口腔医生集团(深圳)有限公司 口腔印模方法及口腔印模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26217B (zh) 2022-07-26
CN113226217A (zh)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150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ES2845610T3 (es) Método para fabricar componentes de implantes dentales
TWI634874B (zh) 用於植體之掃描體以及包含其之植體組件
US1162283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ental implant placement guide, and preliminary guide and guide tray therefor
US20080057467A1 (en) Dental Implant Surgical Guide
AU640588B2 (en) Dental filling band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KR19990087401A (ko) 단일 치아 복구 시스템
WO2008073766A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dental esthetic including a polymeric shell removably placeable over a patient's dentition
WO1996041584A1 (en)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KR101953692B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2280258B1 (ko) 유치용 크라운
KR101854349B1 (ko) 어버트먼트 지그
KR20200080103A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US20160051340A1 (en) Temporary resin-based crown
US11547537B2 (en) Method for producing dental adaptive element for alleviating recession of gingiva
KR101758801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진을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용 서지컬 가이드 제조방법
KR101210234B1 (ko) 일체형 및 조립형 임시 치아보철 및 그 결합방법
KR20100008774U (ko) 임시의치 제작용 간이 인상 트레이
KR20180091263A (ko)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KR102512463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장치
KR20100008775U (ko) 인상의치용 성형틀
KR20180132592A (ko) 맞춤형 임플란트의 안정성을 위한 보호 기구
Mistry et al. Enhancing retention of overdentures with semi precision attachments-A case series
KR20240014276A (ko) 방사선 치료용 구강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