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966A -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966A
KR20200077966A KR1020180167409A KR20180167409A KR20200077966A KR 20200077966 A KR20200077966 A KR 20200077966A KR 1020180167409 A KR1020180167409 A KR 1020180167409A KR 20180167409 A KR20180167409 A KR 20180167409A KR 20200077966 A KR20200077966 A KR 2020007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y
titanium alloy
present
beta
b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10853B1 (ko
Inventor
현용택
김승언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108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10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10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4/00Alloys based on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0/00Crystalline stru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면서 제조 단가가 낮은 주조형 알파(α)+베타(β) 타이타늄 합금과 상기 타이타늄 합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형 타이타늄 합금은, 중량 %로, Al: 4.0~6.0%, Fe: 1.0~3.0%, B: 0.05~0.4%를 포함하고, 알파상과 베타상의 기지 내에 5㎛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Ti-bori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CAST TYPE ALPHA+BETA TITANIUM ALLO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면서 제조 단가가 낮은 주조형 알파(α)+베타(β) 타이타늄 합금과 상기 타이타늄 합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타늄 합금은 낮은 밀도와 높은 강도, 우수한 비강도(specific strength) 및 생체 적합성(biocompatibility)을 가지므로 많은 산업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타이타늄 합금은 순수한(또는 상업적으로 순수한) 상태의 CP(commercially pure) 타이타늄, 고온 베타(beta)상과 저온 알파(alpha) 상이 공존하는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그리고 베타 안정화 원소를 많이 포함한 베타 타이타늄 합금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타이타늄 합금들 가운데 알파+베타 합금으로 분류되는 Ti-6wt.% Al-4wt.%V(이하 %라 한다)은 높은 비강도로 인해 상업적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Ti-6Al-4V 합금은 고온 베타상을 안정화시키는 원소로 V(바나듐, vanadium)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V은 매우 고가의 금속원소이므로, 그로 인해 Ti-6Al-4V 합금은 주로 항공 우주 산업과 같은 비용보다는 성능이 우선시되는 산업 분야에서만 적용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는 기존 자동차의 고효율화를 달성하기 위해 차체 및 엔진 구동부품의 경량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커넥팅 로드 등과 같은 엔진 부품의 경량화는 다른 부품 대비 차량 효율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존의 상용 고강도강, 내열강 및 내마모 주철 소재 대신 비강도(specific strength)가 우수한 타이타늄 합금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산업의 치열한 원가 경쟁으로 인해, 타이타늄 합금은 우수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과 제조 공정 상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자동차 산업으로의 적용이 현재까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 따라 고가의 V을 대체하면서 기존의 Ti-6Al-4V 합금과 동등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타이타늄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가공 및 열처리 단계 없이도 주조 상태(as-cast)에서 사용할 수 있는 타이타늄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조형 타이타늄 합금은, 중량 %로, Al: 4.0~6.0%, Fe: 1.0~3.0%, B: 0.05~0.4%를 포함하고, 알파상과 베타상의 기지 내에 5㎛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Ti-boride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금의 기지의 평균 결정립도는 100~20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Ti-boride는 면적 %로 9%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Ti-6Al-4V 합금과 동등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타이타늄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조 이후 별도의 열간 가공 공정이나 열처리 공정 없이도 기존의 Ti-6Al-4V 합금과 동등 수준의 기계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타이타늄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가의 V을 포함하지 않고 더 나아가 주조 이후 별도의 후속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이며 생산성이 우수한 새로운 타이타늄 합금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Ti-6%Al-2%Fe-0.1%B 조성의 타이타늄 합금의 인장 실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Ti-6%Al-2%Fe-(0.1, 0.5B) 조성의 타이타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3은 B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에 해당하는 Ti-6%Al-2%Fe 합금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도 4는 B이 0.1% 첨가된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 합금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도 5는 B이 0.5% 첨가된 비교예 2에 해당하는 Ti-6%Al-2%Fe-0.5%B 합금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도 6은 B이 0.1% 첨가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 합금의 투과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타이타늄은 체심입방격자(body centered cubic, BCC) 구조를 가지는 고온의 베타상과 육방체밀격자(hexagonal closed packed, HCP) 구조를 가지는 저온의 알파상을 두 가지 결정구조를 가지는 동소변태(polymorphous) 원소이다.
상기 타이타늄에 전이금속이 첨가되면, 상기 타이타늄의 고온 베타상이 안정해지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고온 베타상이 저온 알파상으로 상변태되는 온도인 베타 변태점(beta transus) 온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 때 각 첨가되는 합금원소에 따라 베타상이 안정화되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Mo(molibdenum)을 기준으로 각 합금원소 별로 베타상 안정화 정도를 나타낸 것을 다음과 같은 Mo 당량(Mo equivalency)이라 한다.
[Mo]eq = [Mo] + 0.67 [V] + 0.44 [W] + 0.28 [Nb] + 0.22 [Ta] + 2.9 [Fe] + 1.6 [Cr] + 1.25 [Ni] + 1.7 [Mn] + 1.7 [Co] - 1.0 [Al]
한편 Al은 타이타늄 합금에서 저온 알파상을 안정화시키는 대표적인 합금 원소이다.
따라서 상기 Mo 당량을 계산할 때, Al은 다른 베타 안정화 원소 값과는 달리 음(negative)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계산된다.
종래의 Ti-6Al-4V 합금은, 상기 Mo 당량에서 계산되는 바와 같이, V의 약한 베타 안정화능과 높은 Al 함량으로 인해 음의 값을 가진다.
이는 종래의 Ti-6Al-4V 합금은 비록 알파+베타 합금임에도 불구하고 베타 안정화 정도가 약하고 그로 인해 알파상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까지 안정화 될 수 있어서 시효처리 등의 열처리 온도가 높아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Ti-6Al-4V 합금은 Al 함량이 6% 이상이므로, 시효 처리시 Ti3Al 금속간 화합물 석출물이 석출하게 된다.
상기 Ti3Al 금속간 화합물 석출물은 Ti-6Al-4V 합금의 강도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만 석출물의 크기나 분포 제어에 필수적인 열간 가공 및 열처리를 하지 않으면 Ti-6Al-4V 합금의 연성을 크게 저하시킨다.
또한 열간 가공 및 열처리는 공정 비용을 높이고 생산성을 떨어뜨려 Ti-6Al-4V 합금의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기존의 Ti-6Al-4V 합금에서의 베타 안정화 원소인 V을 Fe로 변경하는 것을 하나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Mo 당량으로부터 예측되듯이, Fe는 V 대비 약 4배 이상의 높은 베타 안정화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Fe 첨가로 인해 기존의 Ti-6Al-4V 합금 대비 동일한 베타 안정화 원소 첨가량에서도 높은 베타 안정화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기존의 Ti-6Al-4V과 유사하게 Al을 필수 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Al을 첨가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타이타늄 합금은 침입형 산소에 의한 강화, 고용 강화, 석출 강화 및 전위 밀도 또는 결정립 미세화 강화 메커니즘에 의해 강화된다.
상기 강화 메커니즘 가운데 침입형 산소에 의한 강화는 취성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전위 밀도 또는 결정립 미세화 강화는 주로 기계적 변형을 통해 얻을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주조형 합금이므로 상기 강화 메커니즘은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이 이용할 수 있는 강화 메커니즘은 나머지 고용강화와 석출 강화로 귀결된다.
이 때 알루미늄은 타이타늄 합금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용 강화 원소이다.
만일 알루미늄이 타이타늄에 첨가되면, 알루미늄은 주로 알파상에 고용되어 알파상을 강화시킨다. 또한 알루미늄은 타이타늄 합금에서 산화 저항성과 크립 저항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상기 Al, Fe 이외에도 B(붕소, bor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이 타이타늄에 첨가되면, 첨가된 B은 타이타늄과 반응하여 Ti-boride를 형성한다.
이 때 형성되는 Ti-boride는 TiB 또는 TiB2의 조성을 가질 수 있다.
TiB는 융점이 약 2980℃이고, TiB2는 융점이 약 3230℃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만일 타이타늄 합금에 B이 첨가되면, 약 1668℃의 타이타늄 융점보다 상기 Ti-boride의 융점이 더 높으므로 액상의 타이타늄 합금 멜트(melt) 내에 이미 Ti-boride가 정출(primary solidify)되고, 그 이후에 타이타늄 합금 멜트가 고체의 타이타늄 합금으로 응고(solidify)된다.
응고된 타이타늄 합금은 고온에서 이미 정출되어 존재하는 Ti-boride로 인해 결정립 성장이 억제되어 그로 인해 주조 상태(as-cast) 상태에서도 미세한 결정립을 가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B 첨가로 인해 주조 상태에서도 미세한 결정립을 가지며, 미세한 결정립은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의 강도 및 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이유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Ti-(5~7)%Al-(1~3)%Fe-(0.05~0.4)%B 조성을 가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만일 Al의 첨가량이 5%보다 적으면, Al 첨가에 따른 고용강화 효과가 작아서, 그 결과 최종 타이타늄 합금의 강도 및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Al의 첨가량이 7%보다 많으면, 과도한 Al 첨가에 따라 주조 후 냉각 중에 Ti3Al 석출물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Al 함량의 상한은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에서 매우 중요한데, 이는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별도의 후속 열간 또는 냉간 가공이나 열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만일 Ti3Al가 과도하게 석출되면 이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Fe가 1% 보다 적게 첨가되면, 너무 적은 Fe 함량으로 인해 주조 후 냉각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고온 베타 단상의 미세조직으로 인해 결정립 크기가 지나치게 조대해져서 그로 인해 강도 및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 Fe가 3% 보다 많이 첨가되면, 주조 후 냉각 과정에서 TiFe 금속간 화합물이 석출되어 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B가 0.05% 보다 적게 첨가되면, B 첨가에 의해 형성되는 Ti-boride가 너무 적어서 그로 인해 타이타늄 합금의 결정립이 미세화되지 못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순수한 Ti에 대해 B은 약 0.2at.% 정도의 용해도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i이 B 대비 약 4.5배 정도의 밀도를 가지므로, Ti-boride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최소 0.05% 이하의 B의 첨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반면 B이 0.4% 보다 많이 첨가되면, Ti-boride가 지나치게 많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정출된 Ti-boride가 지나치게 조대화 되어 그로 인해 타이타늄 합금 기지와 Ti-boride 사이의 계면이 crack initiator로 작용하여 기계적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먼저 원하는 조성의 타이타늄 합금을 칭량 후 소모전극식 진공용해법, 전자빔 용해법, 플라즈마 아크 용해법, 비소모전극식 아크 용해법 또는 유도스컬용해법 등을 이용하여 잉곳을 주조한다.
그 후 상기 주조 상태(as-cast)의 타이타늄 합금은 후속 열간 또는 냉간 가공 또는 열처리 공정 없이 원하는 부품 형상으로 기계 가공된다.
이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주조형 T-(5~7)%Al-(1~3)%Fe-(0.05~0.4)%B 조성의 타이타늄 합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Ti-6%Al-2%Fe-(0~0.5)%B 조성의 타이타늄 합금은 유도스컬용해로(induction skull melting furnace, 모델명 CONSARC ISM)을 이용하여, 300V, 110kW의 공정 조건에서 분할형 수냉동 도가니에서 완전히 용해된 후 흑연 주형 내로 상기 용해된 용탕을 주입함으로써 잉곳(ingot) 형태로 제조되었다.
상기 주조 상태(as-cast) 상태의 타이타늄 합금의 인장시험 평가 결과는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Ti-Al-Fe-(B) 합금의 인장 특성
Figure pat00001
먼저 B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과 대비할 때, B이 첨가된 실시예 및 비교예 2의 합금의 강도는 비교예 1의 합금 대비 강도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B 첨가에 따라 형성되는 Ti-boride 정출물이 타이타늄 합금의 강도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는 기계적 강도뿐만 아니라 연신율도 매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Ti-6%Al-2%Fe-0.1%B 합금의 강도는 비교 합금(reference alloy)인 상용 Ti-6Al-4V 합금 가공열처리재의 강도와 동등 수준인 것을 상기 표 1과 도 1의 인장특성 결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은 어떠한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주조 상태에서도 상용 가공열처리재인 Ti-6Al-4V 합금 수준의 강도를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B이 0.5% 포함된 비교예 2의 Ti-6%Al-2%Fe-0.5%B 합금은 상기 실시예의 Ti-6%Al-2%Fe-0.1%B 합금보다 항복강도는 약간 증가한 반면, 연신율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B이 Ti-6%Al-2%Fe 합금에 0.4%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강도 향상의 효과와 함께 연신율이 감소하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의 기계적 특성 결과는 각 합금 별 미세조직에 의해 유래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써 Ti-6%Al-2%Fe-(0~0.5)B 조성의 타이타늄 합금의 광학 현미경 미세조직 사진이다.
도 2의 (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B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의 Ti-6%Al-2%Fe 합금은 800~1000㎛ 크기의 prior 베타 결정립을 가지는 조대한 침상 미세조직을 가진다.
또한 상기 prior 베타 결정립 내에는 알파상과 베타상을 포함하는 조대한 침상 조직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비교예 1의 Ti-6%Al-2%Fe 합금의 미세조직은 먼저 응고시 고온 베타상이 먼저 멜트로부터 응고되면서 고온으로 인해 베타 결정립이 800~1000㎛ 크기로 성장한 후, 냉각시 저온 알파상이 상기 고온 베타 결정립의 입계에서 입내 방향으로 석출됨을 의미한다.
또한 비교예 1의 Ti-6%Al-2%Fe 합금의 상기와 같이 조대한 미세조직은 비교예 1 합금이 실시예 1 합금 대비 강도와 연성이 떨어지는 하는 주요 원인이다.
반면 B이 0.1% 첨가된 실시예의 Ti-6%Al-2%Fe-0.1%B 합금은 약 100~200㎛ 크기의 prior 베타 결정립 내에 바스켓위브(basketweave) 형태 또는 층상 구조의 알파상과 베타상을 포함하는 기지와 상기 기지 내에 수 ㎛ 크기의 Ti-boride가 상기 결정립 입계 및 입내에 분포하는 미세조직을 가진다(도 2 (b)).
이와 같이 B이 첨가된 상기 실시예의 타이타늄 합금은 멜트 상태에서 이미 Ti-boride가 정출되어 멜트가 응고 시 정출되는 고온 베타상의 결정립 성장을 상기 Ti-boride가 억제하였기 때문에 미세한(fine) 미세조직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B이 0.5% 첨가된 비교예 2의 Ti-6%Al-2%Fe-0.5%B 합금은 상기 실시예인 Ti-6%Al-2%Fe-0.1%B 합금과 유사한 미세조직을 가짐을 알 수 있다(도 2 (c)).
다만 상기 비교예 2의 Ti-6%Al-2%Fe-0.5%B 합금은 실시예의 합금 대비 prior 베타상 입계에 훨씬 많은 양의 Ti-boride를 포함하는 차이가 있다.
B 첨가에 따른 Ti-boride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조직을 보다 자세히 관찰하였다.
도 3은 B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에 해당하는 Ti-6%Al-2%Fe 합금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도 4는 B이 0.1% 첨가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 합금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도 5는 B이 0.5% 첨가된 비교예 2에 해당하는 Ti-6%Al-2%Fe-0.5%B 합금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이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에 해당하는 Ti-6%Al-2%Fe 합금은 주사전자현미경 분석결과 아무런 Ti-boride를 포함하지 않으며, 기지는 알파+베타상의 조대한 침상 조직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에 해당하는 Ti-6%Al-2%Fe 합금의 기지는 조대한 침상의 형상을 가지며 기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알파상과 상기 알파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베타상들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4 및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B을 포함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 2 합금은 결정립계와 결정립 내부에서 모두 Ti-boride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도 4 및 5의 정량분석 결과, 실시예 합금인 Ti-6%Al-2%Fe-0.1%B 합금에서의 Ti-boride의 면적 분율은 약 3.1%이고 비교예 2 합금인 Ti-6%Al-2%Fe-0.5%B 합금에서의 Ti-boride의 면적 분율은 약 10.5%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Ti-6%Al-2%Fe-0.4%B 합금에서의 Ti-boride의 면적 분율은 최대 9%를 넘지 않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2 합금에서의 Ti-boride는 크기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먼저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B이 0.1% 첨가된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 합금의 Ti-boride는 최대 5㎛ 이하의 괴상(blocky) 또는 그보다 훨씬 미세한 Ti-boride를 가진다.
반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B이 0.5% 첨가된 비교예 2에 해당하는 Ti-6%Al-2%Fe-0.5%B 합금의 Ti-boride는 평균 10~25㎛ 크기의 막대(rod) 형상의 Ti-boride를 가진다.
비교예 2의 Ti-6%Al-2%Fe-0.5%B 합금의 상기 조대한 막대 형상의 Ti-boride는 합금의 변형시 그 형상으로 인해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쉽고 더 나아가 조대한 크기로 인해 기지의 변형에 대해 대응하지 못하므로 균열 시작부(crack initiator)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
반면 실시예의 Ti-6%Al-2%Fe-0.1%B 합금의 상기 미세한 입자 또는 괴상 형상의 Ti-boride는 합금의 변형시 그 형상으로 인해 응력 집중이 일어나지 않으며 더 나아가 미세한 크기로 인해 기지의 변형에 대해 대응이 가능하므로 합금의 연성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Ti-boride의 차이로 인해, 비교예 2의 Ti-6%Al-2%Fe-0.5B 합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Ti-6%Al-2%Fe-0.1%B 합금 대비 더 낮은 연신율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도 6은 B이 0.1% 첨가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 합금의 미세조직을 투과전자현미경(모델명 JEOL 2100F)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합금의 미세조직은 다량의 쌍정(twin)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B 첨가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와 더불어 미세조직 내의 다량의 쌍정의 형성으로 인해, B이 첨가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Ti-6%Al-2%Fe-0.1%B 합금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상기 쌍정은 본 발명의 타이타늄 합금의 변형시 전위 등과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합금의 강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von-Mises 조건(5개의 독립된 변형 시스템 조건)을 만족시키는 변형 시스템으로도 작용할 수 있어서 합금의 연성 증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중량 %로, Al: 4.0~6.0%, Fe: 1.0~3.0%, B: 0.05~0.4%를 포함하고,
    알파상과 베타상의 기지 내에 5㎛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Ti-boride를 포함하는,
    주조형 타이타늄 합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의 기지의 평균 결정립도는 100~200㎛인,
    주조형 타이타늄 합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i-boride는 면적 %로 9% 이하인,
    주조형 타이타늄 합금.
KR1020180167409A 2018-12-21 2018-12-21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710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09A KR102710853B1 (ko) 2018-12-21 2018-12-21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409A KR102710853B1 (ko) 2018-12-21 2018-12-21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66A true KR20200077966A (ko) 2020-07-01
KR102710853B1 KR102710853B1 (ko) 2024-09-27

Family

ID=7160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09A KR102710853B1 (ko) 2018-12-21 2018-12-21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10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9135A (zh) * 2022-10-18 2022-12-27 沈阳海纳鑫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钛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780A (ja) * 1991-12-27 1993-10-05 Nippon Steel Corp 均一微細組織をなす高強度チタン合金
CN1978681A (zh) * 2005-12-06 2007-06-13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高强度高弹性模量的钛合金
CN1978682A (zh) * 2005-12-06 2007-06-13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适于制备箔材的高强度高弹性模量的钛合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780A (ja) * 1991-12-27 1993-10-05 Nippon Steel Corp 均一微細組織をなす高強度チタン合金
CN1978681A (zh) * 2005-12-06 2007-06-13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高强度高弹性模量的钛合金
CN1978682A (zh) * 2005-12-06 2007-06-13 北京有色金属研究总院 一种适于制备箔材的高强度高弹性模量的钛合金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i Liang 외 5인. A low-cost and high-strength Ti-Al-Fe-based cast titanium alloy for structural applications. Scripta Materialia, Volume 157, (available on line 2018.08.10), pp. 124-128.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9135A (zh) * 2022-10-18 2022-12-27 沈阳海纳鑫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钛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519135B (zh) * 2022-10-18 2024-05-14 沈阳海纳鑫科技有限公司 一种抗菌钛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10853B1 (ko) 2024-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8705A (en) Thermal cycling titanium matrix composites
US4772342A (en) Wrought Al/Cu/Mg-type aluminum alloy of high strength in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0 and 250 degrees C.
CN114921684B (zh) 高强度钛合金
JP6307623B2 (ja) 高強度アルファ−ベータチタン合金
JPH07145441A (ja) 超塑性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104833A (ja) クロムとタンタルで改変されたγ‐チタン‐アルミニウム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ng et al. Effect of Sc and Zr on recrystallization behavior of 7075 aluminum alloy
WO2008032857A1 (fr) Alliage de magnésium hautement résistant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US20240263279A1 (en) High strength microalloyed magnesium alloy
KR101835408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JPS63171862A (ja) TiA1基耐熱合金の製造方法
KR102332018B1 (ko) 고온용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방법
KR102710853B1 (ko) 주조형 알파+베타 타이타늄 합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8721B1 (ko) 고강도 고성형성 베타 타이타늄 합금
KR102245612B1 (ko)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는 저비용 Ti-Al-Fe-Sn계 타이타늄 합금
Yao et al. Role of in-situ nanocrystalline in solidification behaviors manipulation, microstructure refinement, and mechanical properties enhancement of Al-Cu4/Al-Mg1 alloys
EP0274972B1 (en) Aluminum-lithium alloy and method of investment casting an aluminum-lithium alloy
JPS648066B2 (ko)
JP5569838B2 (ja) 高い疲労強度を持つホウ素含有のα+β型チタン合金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チタン合金材の製造方法
WO2023015608A1 (zh) 高强高导抗晶间腐蚀铝合金及其制备方法
JPH07258784A (ja) 鋳造性に優れた鍛造用Al合金材料および高強度Al合金鍛造品の製法
US6068714A (en) Process for making a heat resistant nickel-base polycrystalline superalloy forged part
WO2024195588A1 (ja) Ni基超耐熱合金の製造方法
Bai et al. Design of a in-situ crystallization inoculant of Al–Cu alloys by addition of lanthanum
JPH05339688A (ja) 金属鋳造用鋳型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