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7060A -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7060A
KR20200077060A KR1020180166208A KR20180166208A KR20200077060A KR 20200077060 A KR20200077060 A KR 20200077060A KR 1020180166208 A KR1020180166208 A KR 1020180166208A KR 20180166208 A KR20180166208 A KR 20180166208A KR 20200077060 A KR20200077060 A KR 20200077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active
inflammatory
extract
inflammator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062B1 (ko
KR102364062B9 (ko
Inventor
조계만
김현영
백지윤
김수철
황정은
Original Assignee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06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62B1/ko
Publication of KR10236406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6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활성산양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이 증진된 염증억제 활성을 갖는 항염증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은 고농도로 사용시에도 세포독성이 전혀 없고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및 MCP-1 억제활성을 통하여 현저히 증진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Rd2, Rg3, F2, Rh2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과 쿼르세틴, 페놀릭스, 플라보노이드스 및 갈변물질 함량도 현저히 증진되어 있어,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mposition for anti-inflammation containing active mountain-cultivated ginse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산양삼 전초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로 복합발효하여 제조된 활성산양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이 증진된 염증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양삼은 오가피과에 속하며 다년생 초목인 인삼(Panax ginseng)이 산간의 삼림하의 야생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성장한 산삼의 씨앗이나 유삼을 인위적으로 산에서 재배한 것을 말한다. 산양삼은 여러 효능면에서 재배 인삼보다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인삼에 비해 그리 많지는 않은 것은 현 실정이다. 특히 산양삼 전초에 대한 효능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산양삼과 같은 삼은 중추신경계를 비롯하여 내분비계, 면역계, 대사계 등에 영향을 미쳐 신체기능 조절에 다양한 약리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나, 고농도로 사용시 세포독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삼의 약리효과는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의 기인하는데,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로는 진세노사이드 Rg3, Rd, F2, 컴파운드 케이(compound K), Rh 등이 있다. 진세노사이드 Rg3는 암세포 전이억제, 간보호 작용, 항암제 내성억제 작용, 진세노사이드 Rd 계열은 부신피질 호르몬 분비 촉진 작용,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는 항암작용, 간보호 작용, 피부보호 작용, 종양증식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항알레르기 작용이 밝혀져 있다. 진세노사이드 F2는 아토피성 피부의 염증을 가라앉히고 가려움증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최근에 알려져 있다.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는 진세노사이드 대사체로서 특히 체내 흡수율이 탁월하고 약리학적 활성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황반변성질환 치료, 신경변증성 통증 치료도 보고되고 있으며(등록특허 10-1539573호),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증 등의 효과 역시 보고되어 있다.
염증(inflammation)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다. 정상적인 경우에 생체는 염증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만성 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기도 한다. 또한, 꽃가루와 같이 무해한 물질이나 천식,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부적절하게 염증이 촉발되는 경우에는 방어반응 자체가 오히려 조직을 손상시킴으로 항염증제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항염증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구분되며, 이중 대부분의 합성 항염증제는 주작용 이외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가 탁월하며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염증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생체에서 염증의 발생에는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다. 염증반응은 체내에서 발생한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촉진되는데, 산화스트레스는 세포사멸뿐만 아니라 퇴행성 질환을 일으키는 특정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켜 염증반응을 개시하거나 악화시킨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동물 체내 모든 조직에 분포하며 인체 내에서 선천적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면역세포로, 인체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백혈구이다. 외부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염증매개물질 분비를 통해 염증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천식, 기관지염, 관절염, 다발성경화증, 동맥경화증, 뇌졸중,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뇌질환 및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염증질환 등을 유발하고, 질환을 악화시키게 된다. 내독소의 하나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는 대식세포에서 인터루킨-6 (IL-6), MCP-1와 같은 염증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을 증가시키며, 질소산화물(NO) 등의 염증매개물질을 분비한다.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염증매개물질의 생성과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산양삼 전초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로 복합발효하여 제조한 활성산양삼은 고농도로 사용시에도 세포독성 없이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질소산화물(NO)을 억제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산양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이 증진된 염증억제 활성을 갖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이 증진된 염증억제 활성을 갖는 항염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성산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고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는 증진된 염증 억제활성을 갖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항염증' 또는 '염증억제'는 인체에서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활성산양삼'은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Rd2, Rg3, F2, Rh2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 페놀릭스, 플라보노이드스 및 갈변물질의 함량이 증진되도록 산양삼을 가공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산양삼'은 산양삼 또는 산양새싹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산양새싹삼'은 해발 500m 이상의 산지에서 재배된 3년근 이상의 5월 ~ 7월 사이 산양삼 혹은 2년근 이상 산양삼의 묘삼을 인공 환경에서 90일 이내로 수경 혹은 토경 재배한 것를 의미한다. 한편 산양새싹삼은 재배 동안에는 농약이 전혀 사용되지 않은 친환경 농산물로 수경 혹은 토경 재배, 연중생산 가능 및 재배 기간의 단축으로 인해 종래에 이용되는 산양삼보다 낮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어 산양삼 보다 장점이 있다.
활성산양삼 추출물은 산양삼 전초를 증숙과 고온숙성을 1~5회 반복한 후 복합발효하고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초(全草)는 뿌리, 잎, 줄기의 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증숙'은 100℃에서 30~60분간 수증기로 찌는 것을 의미한다. 증숙시간이 30분 미만인 경우 충분한 증숙이 진행되지 않아 숙성과 같은 후속 단계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잡균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며, 60분 초과하여 증숙될 경우는 오랜 열처리로 산양삼 전초의 생리활성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온숙성'은 70~90℃에서 2~4일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숙성온도가 70℃ 미만이거나 숙성기간이 2일 미만인 경우 숙성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며, 숙성온도가 90℃ 초과하거나 숙성기간이 4일 초과의 경우 생산된 생리활성물질이 분해되어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합발효'는 증숙과 고온숙성된 산양삼 전초를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의 복합 종균으로 발효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복합 종균을 구성하는 하나의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는 본 발명자들이 김치로부터 분리/동정하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ACC)에 2016년 12월 12일에 기탁한 균주(수탁번호 KACC92157P)로, 가바(GABA)의 생산성 및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compound K) 생산성이 탁월하다 (특허출원 10-2017-0152033).
본 발명에서 복합종균을 구성하는 또 다른 하나의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는 본 발명자들이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동정하여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KACC)에 2013년 7월 19일에 기탁한 균주(수탁번호 KACC91848P)로서, 생균제제능이 우수하고 생리활성물질 생산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등록특허 10-154418호).
본 발명의 복합종균을 구성하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는 발효 특성이 상호 보완되어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는 이형유산발효 (hetero-lactic acid fermentation) 유산균으로 단독 발효 시 유산 생성이 충분하지 않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는 동형유산발효(homo-lactic acid fermentation) 유산균으로 단독 발효 시 유산이 과다하게 생성되는데, 놀랍게도 산양삼 전초를 이들 두 가지 종균을 함께 사용하여 복합발효시 양 균주의 발효 특성이 상호 보완되고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함량이 현저히 증진되었다.
본 발명에서 복합 종균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 각각 별도의 배양액으로서 첨가될 수도 있으며, 혼합 배양된 혼합 배양액으로서 첨가될 수도 있다. 복합종균에서 상기 2종의 균주의 혼합 비율은 3 : 1 ~ 1 : 3(v/v)으로 혼합될 수 있다.
발효는 상기 복합 종균의 배양액을 증숙과 고온숙성된 산양삼 전초에 2~10% (v/w) 농도로 접종하여 25~40℃에서 2~7일간 발효시키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복합 종균 접종량이 2%(v/w) 미만일 경우에는 발효 속도가 지연될 수 있고 10%(v/w) 초과 시에는 균체 증식 속도가 빨라 활성 진세노사이드의 전환율이 낮으며 신맛이 등이 과다할 수 있으며, 발효 온도가 25℃ 미만일 경우 발효기간이 길어져 잡균의 오염을 초래하고 40℃를 초과할 경우에는 균주의 생육이 정지될 수 있고, 발효 기간이 2일 미만일 경우 발효가 충분하지 않아 생리활성물질 등의 생성이 저조하게 될 수 있으며, 7일을 초과한 경우는 과발효에 의해 생리활성물질이 분해될 수 있다.
또한 발효시, 필요에 따라서, 증숙과 고온숙성된 산양삼 전초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이 40~50% (v/w)가 되도록 조정 및/또는 살균한 후, 복합종균을 접종하여 발효할 수 있다. 수분이 함량이 상기 범위일 때 발효 효율이 가장 높다. 40% 미만의 수분함량일 경우 미생물이 생존 혹은 생육을 위한 수분이 충분하지 않아 원활한 발효가 진행되지 않고 50% 초과의 경우 발효 종료 후 건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으며, 살균 처리를 하지 않을 경우 잡균의 오염 등으로 원활한 발효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은 제조된 활성산양삼을 에탄올(주정)로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50~70% 에탄올,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에탄올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서, 여과하여 농축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산양삼의 중량의 1 ~ 3배로 농축한다.
활성산양삼의 중량의 1배 미만으로 농축 시 농축시간이 오래 걸려 진세노사이드 등의 생리활성물질 파괴될 수 있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3배 초과로 농축 시 진세노사이드 등의 생리활성물질 충분히 함유되어 있지 않아 제품 제조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배로 농축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은 0.2 brix 이상의 고농도 사용 시에도 세포독성 없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MCP-1와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현저히 증진된 항염증 활성 활성을 갖는다 (시험예 5 및 6, 도 3~도 6).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은 또한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Rd2 4.63 mg/g 이상, Rg3 2.90 mg/g 이상, F2 4.09 mg/g 이상, Rh2 0.8 mg/g 이상과 컴파운드 케이 6.30 mg/g 이상으로 함유하고, 클로르제닉산 0.47 mg/ml 이상 및 쿼르세틴 0.55 mg/ml 이상을 함유한다. 또한 현저히 증진된 페놀릭스, 플라보노이드 및 갈변물질을 함유한다 (표 3 및 표 4, 도 1).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ⅰ) 산양삼 전초를 100℃에서 30~60분간 증숙과 증숙된 산양삼을 70~90℃에서 2~4일 고온숙성을 1~5회 반복한 후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의 복합 종균으로 발효하여 활성산양삼을 제조하는 단계;
ⅱ) 활성산양삼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ⅲ) 활성산양삼 분말에 50~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서, 단계 ⅲ)으로부터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을 여과하여 활성산양삼 분말 중량 대비 1~3배로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ⅰ): 활성산양삼 제조
활성산양삼 제조공정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산양삼 전초 또는 산양새싹삼 전초를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후 사용한다.
단계 ⅱ) 건조 및 분말화
단계 ⅰ)로부터의 활성산양삼을 48~52℃의 열풍으로 2~3일간 건조시킨 후, 100 메쉬 이상으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상기와 같이 건조하여 분말화하면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추출에 효율적이다.
단계 ⅲ) 추출
활성산양삼 분말에 에탄올(주정) 10~20배(w/v)를 첨가하여 30~60℃에서 4~8시간 동안 추출하여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제조한다.
에탄올은 바람직하게는 50~70% 농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농도로 사용한다 (표 2).
ⅳ) 여과 및 농축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여과한 후 활성산양삼 분말 중량 대비 1~3배로 농축한다.
여과는 여과필터를 사용하고, 농축은 통상의 감압농축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활성산양삼의 중량의 2배로 농축 시 진세노사이드 등의 생리활성물질 충분히 함유되어 있고 농축시간 등의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루에 체중 1 ㎏당 0.1~500 ㎎, 바람직하게는 1~100 ㎎의 양으로 섭취되도록 상기 기능성 식품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품은 마스크팩, 스킨, 크림, 로션 등의 형태의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은 고농도로 사용시에도 세포독성이 전혀 없고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및 MCP-1 억제활성을 통하여 현저히 증진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고,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Rd2, Rg3, F2, Rh2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과 쿼르세틴, 페놀릭스, 플라보노이드스 및 갈변물질 함량도 현저히 증진되어 있어,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a는 진세노사이드 표준물질 21종의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1b는 비교예 (산양삼 전초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HPLC 크로마토그램이며, 도 1c는 실시예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의 페놀릭스, 플라보노이드 및 갈변물질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총 페놀릭스 함량을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총 플라보노이드스 함량을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갈변물질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비교예 (산양삼 전초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b는 실시예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세포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TL: 무처리구, LPS: LPS 처리구, 0.025, 0.05, 0.1, 0.2, 0.3: 시료 농도(brix)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의 NO 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비교예 (산양삼 전초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b는 실시예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NO 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TL: 무처리구, LPS: LPS 처리구, 0.025, 0.05, 0.1, 0.2, 0.3: 시료 농도(brix)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비교예 (산양삼 전초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b는 실시예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TL: 무처리구, LPS: LPS 처리구, 0.025, 0.05, 0.1, 0.2, 0.3: 시료 농도(brix)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MCP-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비교예 (산양삼 전초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MCP-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b는 실시예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MCP-1 억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TL: 무처리구, LPS: LPS 처리구, 0.025, 0.05, 0.1, 0.2, 0.3: 시료 농도(brix)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제조예 1. 활성산양삼 제조
3년근 이상 산양삼 전초 1 kg을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하고 완전히 물기를 제거한 후, 증자기에 적당량의 물과 함께 100℃에서 1시간 쪄서 증숙한 후 건조 채반에 담고 수분이 증발되게 하면서 75℃에서 3일간 숙성시키는 과정 (증숙과 숙성)을 3회 진행하여 증숙 및 숙성된 산양삼 전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증숙 및 숙성된 산양삼 전초 500 g을 발효용기에 넣고 2배의 정세수(1 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수화시켜 수분 함량을 약 50% 정도로 되게 조정한 후, 120℃에서 30분간 살균하고,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를 각각 맥아엑기스 액체배지에서 종균으로 배양하며 1:1 비율로 혼합한 복합종균을 5% (v/w)로 접종하고 30℃에서 7일간 발효시켜 활성산양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활성산양삼 추출물 제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활성산양삼을 50℃에서 2일간 열풍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 메쉬 정도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활성산양삼 건조 분말 20 g에 50% 주정을 20배인 400 ml을 가한 후 40℃에서 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건조 분말 대비 2배인 40 ml로 농축하여 활성산양삼 추출물(항염증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비교를 위하여 산양삼 전초 원료를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열풍건조하여 분쇄한분말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하게 추출, 농축하여 산양삼 전초 추출물을 제조하였가 (비교예).
<이화학적 특성>
제조된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과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의 pH를 pH 미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총산도는 중화적정법을 통해 수행하여 젖산으로 환산하여 표기하였고, 가용성 고형분은 당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냈다.
분석항목 비교예 실시예
pH 5.11 4.26
산도 (%, 젖산기준) 1.66 2.52
가용성 고형분 (%, brix) 20.2 19.8
*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냄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활성산양삼 추출물(실시예, 항염증 조성물)은 비교예 (산양삼 전초 추출물) 보다 pH는 감소하였고 총산도는 증가하여서, 보존성과 기호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큰 차이는 없었다.
시험예 1: 활성산양삼 최적 추출 조건 확립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활성산양삼의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의 최적 추출 용매(주정; 에탄올) 농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활성산양삼을 50℃에서 2일간 열풍 건조하고 분쇄기로 분쇄하여 100 메쉬 정도로 분말화한 후, 분말 5 g에 각각 주정 농도를 0%, 25%, 50%, 75% 및 95%로 하여 20배인 100 ml씩 첨가한 후 40℃에서 5시간 교반한 후 여과하여 주정 농도별 활성산양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 추출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활성산양삼 분말 중량 대비 2배인 10 ml로 농축하여 주정농도별 활성산양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활성산양삼 추출물 2 ml씩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진세노사이드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분석>
상기 분석시료에 대해서 기능성식품 분석법에 기술된 방법을 변형하여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ress liquid chromatograph)로 분석하였다. 진세노사이드 분석에 사용한 분석 컬럼은 TSKgel ODS-100Z을 사용하여 시료 주입량 10 ㎕, 온도는 30℃, 측정파장은 203 nm, 유속은 1.0 mL/min으로 하였고 이동상으로는 A용액은 HPLC water, B용액은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였다. HPLC 분석 조건은 이동상 용액은 0분에는 A용액 81% : B용액 19%로 흘려주고, 15분에는 A용액 80% : B용액 20%로 흘려주고, 40분에는 A용액 77% : B용액 23%, 42분에는 A용액 70% : B용액 30%, 75분에는 A용액 65% : B용액 35%, 80분에는 A용액 30% : B용액 70%, 90분에는 A용액 10% : B용액 90%로 이동상을 흘려주었다. 분석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표 2 에 나타내었다.
함량 (mg/ml) 주정 농도
0% 25% 50% 70% 95%
진세노사이드 Rd2 2.55 3.94 4.48 4.21 2.41
진세노사이드 F2 1.49 2.14 2.97 2.31 1.63
진세노사이드 Rg3 1.44 1.76 2.64 2.27 1.50
진세노사이드 C.K 1.88 2.93 5.70 4.83 2.05
진세노사이드 Rh2 0.26 0.27 0.68 0.58 0.26
*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냄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정 농도 50~70%에서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Rd2, F2, Rg3, Rh2 및 컴파운드 케이가 많이 추출되었으며, 특히 50% 주정농도에서 추출량이 가장 많았다.
시험예 2. 항염증 조성물의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항염증 조성물)과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 각각 2 ml을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한 후 분석시료로 사용하여, 상기 시험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도 1에 나타냈다.
함량 (mg/ml) 비교예 실시예
진세노사이드 Rd2 3.43 4.63
진세노사이드 F2 3.81 4.09
진세노사이드 Rg3 0.98 2.90
진세노사이드 C.K 0.55 6.30
진세노사이드 Rh2 0.26 0.80
*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냄
표 3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경우에는,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진세노사이드 Rd2는 약 1.3배(4.63 mg/g), 진세노사이드 F2는 약 1.1배(4.09 mg/g), 진세노사이드 Rg3는 약 2.9배(2.90 mg/g), 진세노사이드 Rh2는 약 3.1배(0.8 mg/g)로 증진되었고, 특히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는 약 11.4배(6.30 mg/g)로 현저히 증진되었다 (도 1b, 도 1c).
시험예 3.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페놀릭산과 플라보놀 화합물 함량 분석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항염증 조성물)과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대하여 생리활성성분인 페놀릭산(클로르제닉산) 및 플라보놀(쿼르세틴)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페놀릭산과 플라보놀 함량 분석은 상기 시험예 2에서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분석시료에 대해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컬럼은 XBridgeTM C18(4.6mm, 5 μm, Waters Corp., Milford, MA, USA) 컬럼을 사용하였고 0.5% 글라시알 아세트산 (glacial acetic acid, 이동상 용매 A)와 100% 메탄올(이동상 용매 B)을 0~100% 선형 구배(linear gradient)로 30℃에서 60분간 1분당 1 ml의 속도로 가동하면서 UV 검출기로 페놀산(280 nm)과 플라보놀(270 nm)을 검출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함량 (mg/ml) 비교예 실시예
Chlorgenic acid 0.22 0.47
Quercetin 0.42 0.55
*모든 실험은 삼 반복 수행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경우는,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클로르제닉산(0.47 mg/ml)은 2.1배 증가하였고 쿼르세틴(0.55 mg/ml)은 1.3배 증가하였다.
시험예 4.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총 페놀릭스 및 총 플라보노이드스 함량 분석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항염증 조성물)과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대하여 생리활성성분인 총 페놀릭스와 총 플라보노이드스 함량을 분석하였다.
<총 페놀릭스 함량>
총 페놀릭스 함량은 Folin Denis법(1912)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험예 2에서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분석시료를 50% 에탄올에 100배 희석한 후, 시험관에 0.5 ml 분주하고 25% Na2CO3 용액 0.5 ml를 첨가하여 3분간 정치시켰다. 다시 2N-Folin-Ciocalteu 페놀 시약 0.25 ml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30℃에서 1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페놀릭스 함량은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여 갈산에 상당하는 양으로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a에 나타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페놀릭스 함량은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이,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1.6배 이상 증진되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험예 2에서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분석시료를 50% 에탄올로 50배 희석한 후, 시험관에 0.1 ml 분주하고 1 N NaOH 0.01 ml를 첨가한 후, 디에틸렌글리콜 1.0 ml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방치 후 420 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루틴(rutin)의 최종 농도를 0, 0.25, 0.5, 1.0 mg/ml로 제조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고 그 결과는 도 2b에 나타내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이,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1.5배 이상 증진되었다.
<갈변물질 함량>
갈변물질의 함량은 비효소적 갈변도 측정 방법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험예 2에서와 같이 준비된 각각의 분석시료를 50% 에탄올로 10배 희석한 후, 분광광도계(Spectronic 2D)를 이용하여 42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는 도 2c에 나타내었다.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변물질은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이,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에 비하여 3.4배 이상 증진되었다.
시험예 5. 항염증 조성물의 세포독성 검증
본 발명의 항염증 조성물의 세포독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RAW 264.7 대식세포주 대상으로 세포독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분석시료 준비>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시예의 활성산양삼 추출물(항염증 조성물)과 비교예의 산양삼 전초 추출물을 각각 3차 증류수로 0.025, 0.05, 0.1, 0.2 및 0.3 brix의 농도로 희석한 후 0.45 ㎛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시험>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는 10% 소태아혈청(FBS), 페니실린(100 U/mL)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mL)이 첨가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기에서 37℃와 5% CO2를 유지하며 배양하였고, 20 계대(passages)를 넘기지 않은 세포만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로 동일하게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기존의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배지를 넣어준 후 상기에서 준비된 각각의 농도별 분석시료를 처리한 후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에 MTT 시약(5 mg/mL)을 넣고, 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각 웰에 형성된 포마잔(formazan)은 DMSO 100 ㎕를 첨가하여 녹이고,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LPS (리포폴리사카라이드)를 처리한 군의 흡광도 값을 기준으로 세포 생존율을 비교하여 도 3에 나타냈다.
대식세포 MTT 반응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경우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우는 0.2 brix 이상의 고농도에서 세포생존율이 80% 미만으로 나타나 세포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도 3a), 실시예의 경우에는 고농도로 처리시에도 세포생존율이 90% 이상으로 확인되어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b).
시험예 6. 활성산양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검증
본 발명의 활성산양삼 추출물(실시예)의 항염증 효과 검증은 RAW 264.7 대식세포주를 대상으로 하여 NO 생성 억제활성 및 IL-6, MCP-1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수행하였다.
<NO 생성 억제활성 측정>
대식세포에서 염증유발물질인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RAW 264.7 대식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3×105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상기 시험예 5와 같은 DMEM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시킨 후 시험예 5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한 농도별 분석시료를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LPS(1 ㎍/ml)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 100 ㎕를 취하여 동량의 Griess 시약을 첨가하고 10분간 방치한 후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성된 아질산염(nitrite)의 농도는 아질산나트륨를 DMEM 배지에 용해한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LPS를 처리한 대조군과 LP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생성된 아질산염의 양 차이를 기준으로 각 분석시료의 NO 생성 억제활성을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양삼 추출물(실시예)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 억제활성이 증가하였다. 게다가 비교예에 비하여 NO 생성 억제활성은 현저히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 비교예의 경우는 실시예에 비하여 NO 생성 억제활성이 떨어지고 또한 0.2 브릭스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세포독성으로 인하여 항염증 조성물로도 사용할 수 없다 (도 4a).
<염증성 사이토카인 IL -6 억제 활성 측정>
코팅버퍼(Coating buffer)에 캡처 항체를 1/250로 희석하여 각 웰에 50 ㎕씩 분주 후 냉장보관으로 오버나이트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분석 다일루언트(Assay Diluent)를 100 ㎕ 분주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했다. 워시버퍼 200 ㎕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 한 후, 분석시료 또는 LPS(1 ㎍/ml, 대조구)를 50 ㎕씩 각 웰에 분주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방치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5회 세척 후 작용검출제(working detector; Detecion Antibody + Sav-HRP reagent) 50 ㎕씩 각 웰에 분주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7회 세척 후 기질 용액 50 ㎕씩 각 웰에 분주 후 암실에 30분 방치했다. 정지용액 20 ㎕씩 각 웰에 분주 후 흡광도 45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양삼 추출물(실시예)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억제활성을 나타냈고, 고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현저히 높은 IL-6 억제활성을 보였다 (도 5b). 이에 비하여 비교예의 경우는 0.2 brix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IL-6 억제활성도 실시예에 비하여 현저히 떨어졌다 (도 5a).
<염증성 사이토카인 MCP -1 억제활성 측정>
코팅버퍼(Coating buffer)에 캡처 항체를 1/250로 희석하여 각 웰에 50 ㎕씩 분주 후 냉장보관으로 오버나이트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ELISA/ELISASPOT Diluent을 100 ㎕ 분주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하여 블로킹했다. 워시버퍼 200 ㎕를 이용하여 3회 세척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분석시료 또는 LPS(1 ㎍/ml, 대조구)를 50 ㎕씩 각 웰에 분주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방치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5회 세척 후 검출 항체 50 ㎕씩 각 웰에 분주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5회 세척 후 avidin-HRP 50 ㎕씩 각 웰에 분주 후 실온에서 30분 방치했다. 워시버퍼 100 ㎕를 이용하여 5번 세척 후 TMB 용액 50 ㎕씩 각 웰에 분주 후 15분 방치했다. 정지용액 25 ㎕씩 각 웰에 분주 후 흡광도 450 nm에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양삼 추출물(실시예)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MCP-1 억제활성을 나타냈고, 고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현저히 높은 MCP-1 억제활성을 보였다 (도 6b). 이에 비하여 비교예의 경우는 0.2 brix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MCP-1 억제활성도 실시예에 현저히 못 미쳤다 (도 6a).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157P 20161212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848P 20130719

Claims (6)

  1. 활성산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0.2 brix 이상의 농도에서도 세포독성이 없이 증진된 염증 억제활성을 갖는 항염증 조성물로,
    상기 활성산양삼은 산양삼 전초를 100℃에서 30~60분간 증숙과 증숙된 산양삼을 70∼90℃에서 2~4일 고온숙성을 1~5회 반복한 후 수탁번호 KACC 92157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수탁번호 KACC9184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의 복합 종균으로 발효하여 제조된 것이고,
    상기 추출은 활성산양산을 50~70%(v/v) 농도의 에탄올로 추출한 것인 항염증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산양삼 추출물은 증진된,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활성,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및 MCP-1의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산양삼 추출물은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Rd2 4.63 mg/g 이상, Rg3 2.90 mg/g 이상, F2 4.09 mg/g 이상, Rh2 0.8 mg/g 이상과 컴파운드 케이 6.30 mg/g 이상으로 함유하고, 클로르제닉산 0.47 mg/ml 이상 및 쿼르세틴 0.55 mg/ml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4. 제 1항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
  5. 제 1항에 따른 항염증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6. ⅰ) 산양삼 전초를 100℃에서 30~60분간 증숙과 증숙된 산양삼을 70∼90℃에서 2~4일 고온숙성을 1~5회 반복한 후 수탁번호 KACC 92157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BMK484 균주와 수탁번호 KACC91848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P1201 균주의 복합종균으로 발효하여 활성산양삼을 제조하는 단계;
    ⅱ) 활성산양삼을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및
    ⅲ) 활성산양삼 분말에 50~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66208A 2018-12-20 2018-12-20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08A KR102364062B1 (ko) 2018-12-20 2018-12-20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08A KR102364062B1 (ko) 2018-12-20 2018-12-20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60A true KR20200077060A (ko) 2020-06-30
KR102364062B1 KR102364062B1 (ko) 2022-02-17
KR102364062B9 KR102364062B9 (ko) 2023-02-23

Family

ID=7112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08A KR102364062B1 (ko) 2018-12-20 2018-12-20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995A (ko) * 2020-11-02 2022-05-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Rg3 및 프로토파낙사디올, 루틴, 클로로제닉산, 및 필수아미노산이 강화된 산양삼새싹 송이버섯균사체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166A (ko) * 2011-05-31 2012-12-12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미량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18942B1 (ko) * 2017-11-14 2018-11-15 재단법인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콩과 한방 성분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166A (ko) * 2011-05-31 2012-12-12 주식회사 바이오포트코리아 미량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18942B1 (ko) * 2017-11-14 2018-11-15 재단법인경남한방항노화연구원 콩과 한방 성분을 이용한 발효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8995A (ko) * 2020-11-02 2022-05-10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Rg3 및 프로토파낙사디올, 루틴, 클로로제닉산, 및 필수아미노산이 강화된 산양삼새싹 송이버섯균사체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062B1 (ko) 2022-02-17
KR102364062B9 (ko) 202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esina et al. Antimicrobial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Acalypha wilkesiana and Acalypha hispida
KR102001740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및 컴파운드 케이 고함량 숙취 예방 및 해소용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22647B1 (ko) 어성초 및 화산송이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38934A (ko) 아로니아 발효액 및 갈대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63978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및 Rh2와 생리활성성분이 증진된 새싹삼 발효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4062B1 (ko)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0408B1 (ko) 진세노사이드 Re, Rd2, F2 및 프로토파낙사디올이 강화된 음료용 프리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Orodan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 of some gemmotherapic remedies used in respiratory diseases
KR102100493B1 (ko) 새싹인삼을 이용한 컴파운드 k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균용 조성물
KR102464052B1 (ko) 진세노사이드 F2, Rg3, Rd2 및 컴파운드 케이, 클로로제닉산, 쿠마린산, 카테킨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새싹삼 복합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2537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스틱형 용기용 도라지 액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94084B1 (ko) 인체 흡수형 진세노사이드 및 오메가-6 지방산이 증진된 산양삼 숙성 복합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1016B1 (ko) 항산화 및 면역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1417310B1 (ko) 아그배나무 가지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74351B1 (ko) 흑인삼꽃봉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88299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신장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116919A (ko) 산더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고지혈증 또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06018B1 (ko)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증숙인삼열매 발효물의 제조방법
US9585928B2 (en) Agave syrup extract having anticancer activity
KR102416743B1 (ko) 발아식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37929B1 (ko) 파바톤 콩잎 추출물과 활성산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식품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3927B1 (ko) 항염증 활성이 강화된 아로니아 음료조성물
KR101980684B1 (ko) 진세노사이드 f4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꽃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