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6098A -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6098A
KR20200076098A KR1020180164831A KR20180164831A KR20200076098A KR 20200076098 A KR20200076098 A KR 20200076098A KR 1020180164831 A KR1020180164831 A KR 1020180164831A KR 20180164831 A KR20180164831 A KR 20180164831A KR 20200076098 A KR20200076098 A KR 2020007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nife
cutting knife
stee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442B1 (ko
Inventor
천창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6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4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1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cutting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Landscapes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는 검사할 강판절단 나이프가 장착되는 나이프장착판; 및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회전하거나 상기 촬영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회전이동유닛; 상기 촬영유닛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회전이동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에서 촬영된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검사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STEEL SHEET CUTTING KNIFE EDG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강판을 절단하는 나이프의 절단날을 검사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강판(ST)은 도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위치되며 원형 링형상인 한 쌍의 강판절단 나이프(KN)에 의해서 양 측면이 각각 절단되거나, 소정의 원하는 폭으로 절단된다.
강판절단 나이프(KN)에 의해서 강판(ST)의 양 측면을 절단하는 것을 사이드 트리밍(Side Trimming)이라고 하고, 강판절단 나이프(KN)에 의해서 강판(ST)을 소정의 원하는 폭으로 절단하는 것을 슬리팅(Slitting)이라고 한다.
강판(ST)을 절단하기 위해서, 한 쌍의 강판절단 나이프(KN)는 도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서로 소정 간극 이격된다. 한 쌍의 강판절단 나이프(KN)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극을 갭(Gap, GP)이라고 하고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는 간극을 랩(Lap, LP)이라고 한다.
도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갭(GP)과 랩(LP)으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강판절단 나이프(KN) 사이로 강판(ST)이 이송되면서강판절단 나이프(KN)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강판(ST)이 절단된다. 이에 따라,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면(FC)이 강판(ST)에 형성된다.
강판(ST)의 절단면(FC)의 형상은 절단 품질을 평가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이며, 한 쌍의 강판절단 나이프(KN)가 이루는 갭(GP)과 랩(LP)의 크기에 따라 강판(ST)의 절단면(FC) 형상이 변한다. 예컨대, 슬리팅에서는 갭(GP)의 크기에 따라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단각(AC)이 변화하여 용접시 용접불량을 유발하며, 사이드 트리밍에서는 갭(GP)과 랩(LP)의 크기에 따라 강판(ST)의 절단면(FC)에 크랙이 유발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강판절단 나이프(KN)로 강판(ST)의 절단시 갭(GP)과 랩(LP)의 크기는 주의깊게 관리하여야만 한다.
한편, 강판절단 나이프(KN)가 계속해서 강판(ST)을 절단하게 되면,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이 마모되며, 이에 따라 갭(GP)과 랩(LP)의 크기가 변화되고, 이에 의해서 강판(ST)의 절단면(FC)의 품질이 저하된다.
그러므로, 강판(ST)의 절단면(FC) 품질을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절단날(EG)이 마모된 강판절단 나이프(KN)를 교체해야만 한다. 한편,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에는 전술한 마모 이외에 미세한 깨짐도 발생한다.
이러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마모나 깨짐은 매우 미세하여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렵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을 손으로 접촉하여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마모나 깨짐여부를 측정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교체여부를 판단하였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94725호 (1994.10.2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여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마모 또는 깨짐을 용이하게 검사함으로써 강판절단 나이프의 교체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는 검사할 강판절단 나이프가 장착되는 나이프장착판; 및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회전하거나 상기 촬영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회전이동유닛; 상기 촬영유닛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회전이동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에서 촬영된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검사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는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유닛은 카메라헤드를 포함하는 카메라헤드부와, 상기 카메라헤드부에 연결되며 줌렌즈가 포함되는 줌렌즈부 및, 상기 줌렌즈부에 연결되며 배율렌즈를 포함하는 배율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배율렌즈부에 연결되며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이동유닛은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나이프장착판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이동유닛은 상기 제1회전구동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상기 촬영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회전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이동유닛은 상기 촬영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이동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이동유닛은 상기 제2이동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이동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구동유닛은 상기 제2회전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구동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추가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나이프장착판에는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지지하는 나이프지지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여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마모 또는 깨짐을 용이하게 검사함으로써 강판절단 나이프의 교체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촬영유닛이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실물사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일부를 확대 촬영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9는 강판절단 나이프를 사용하여 강판을 절단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이의 일부확대단면도 및 강판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8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촬영유닛이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도1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의 실물사진이다.
그리고,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일부를 확대 촬영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나이프장착판(200), 촬영유닛(300), 제1회전이동유닛(400), 제2회전이동유닛(500) 및, 검사유닛(60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이프장착판(200)에는 검사할 강판절단 나이프(KN)가 장착될 수 있다. 검사할 강판절단 나이프(KN)는, 예컨대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링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나이프장착판(200)은 원형 링 형상의 강판절단 나이프(KN)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일 수 있다. 그러나, 나이프장착판(2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검사할 강판절단 나이프(KN)가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나이프장착판(20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지지유닛(210)이 구비될 수 있다. 나이프지지유닛(210)은 나이프장착판(200)에 장착된 강판절단 나이프(KN)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나이프지지유닛(210)은 원형 링 형상의 강판절단 나이프(KN)의 내경부(ID)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나이프지지유닛(210)은 장공(211a)이 형성되며 나이프장착판(200)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나이프지지부재(211)와, 나이프지지부재(211)의 장공(211a)을 관통하여 나이프장착판(200)에 연결되는 고정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나이프지지부재(211)가 원형 링 형상의 강판절단 나이프(KN)의 내경부(ID)에 밀착되도록 나이프장착판(200)에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부재(212)로 나이프지지부재(211)를 고정하면, 나이프지지부재(211)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가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직경의 강판절판 나이프(KN)가 나이프지지유닛(210)에 의해서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나이프지지유닛(2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이프장착판(200)에 구비되며 나이프장착판(200)에 장착된 강판절단 나이프(KN)를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나이프지지유닛(210)은, 예컨대 2개가 나이프장착판(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나이프장착판(200)에 구비되는 나이프지지유닛(21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가능하다.
촬영유닛(300)은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할 수 있다. 촬영유닛(300)은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헤드부(310)와, 줌렌즈부(320) 및, 배율렌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헤드부(310)는 카메라헤드(31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헤드(311)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줌렌즈부(320)는 카메라헤드부(310)에 연결되며 줌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줌렌즈부(3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헤드부(310)에 연결되며 줌렌즈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배율렌즈부(330)는 줌렌즈부(320)에 연결되며 배율렌즈(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배율렌즈부(3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줌렌즈부(320)에 연결되며 배율렌즈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촬영유닛(3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340)는 배율렌즈부(330)에 연결되며 LED 등의 조명(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340)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촬영부분에 조명이 비추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촬영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조명부(3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제어유닛(C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조명부(34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율렌즈부(330)에 연결되며 조명을 포함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회전이동유닛(400)은 나이프장착판(200)이 회전하거나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나이프장착판(200)이 제1회전이동유닛(400)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예컨대 원형 링 형상의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모든 부분이 촬영유닛(300)에 의해서 확대 촬영될 수 있다.
또한, 나이프장착판(200)이 제1회전이동유닛(400)에 의해서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직경이 달라진다고 하더라도, 촬영유닛(300)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할 수 있다.
제1회전이동유닛(400)은 제1회전구동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구동부(410)에는 나이프장착판(200)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나이프장착판(200)에는 회전축(도시도지 않음)이 구비되고 제1회전구동부(410)는 나이프장착판(200)의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여, 나이프장착판(200)이 제1회전구동부(4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나이프장착판(200)이 제1회전구동부(4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회전구동부(410)는 나이프장착판(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회전구동부(410)는 회전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회전구동모터가 기어(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나이프장착판(200)의 전술한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나이프장착판(200)이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구동모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제어유닛(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제어유닛(CM)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회전구동부(410)가 나이프장착판(200)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1회전이동유닛(400)은 제1이동구동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구동부(420)에는 전술한 제1회전구동부(410)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동구동부(420)는 나이프장착판(200)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1회전구동부(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이동구동부(420)는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구동부(410)가 구비되는 제1이동판(421)과, 제1이동판(421)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이동판(422) 및, 제1이동판(421)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하도록 일측은 제1이동판(421)에 연결되며 타측은 제2이동판(422)에 연결되는 좌우이동조절기(4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좌우이동조절기(423)를 조절함에 따라 제1이동판(421)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하여 제1회전구동부(410)가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이동구동부(420)는 전술한 제2이동판(422)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424)와, 제2이동판(422)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하도록 일측은 제2이동판(422)에 연결되며 타측은 이동지지부재(424)에 연결되는 전후이동조절기(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후이동조절기(425)를 조절함에 따라 제2이동판(422)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하여 제1회전구동부(410)가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이동구동부(4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나이프장착판(200)이 촬영유닛(300)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1회전구동부(4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1이동구동부(420)는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베이스(BS)에 구비될 수 있다.
제2회전이동유닛(500)은 촬영유닛(300)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촬영유닛(300)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절단 나이프(KN)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촬영유닛(300)이 제2회전이동유닛(500)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촬영유닛(300)의 초점이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에 맞추어 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촬영유닛(300)이 제2회전이동유닛(500)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절단 나이프(KN)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여러 각도에서 확대 촬영할 수 있다. 예컨대,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절단 나이프(KN)와 90도 각도에서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거나, 도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절단 나이프(KN)와 45도 각도에서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거나, 도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절단 나이프(KN)와 0도 각도에서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할 수 있다.
제2회전이동유닛(500)은 제2이동구동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구동부(510)는 촬영유닛(300)에 연결되며 촬영유닛(30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이동구동부(51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유닛(300)에 연결되는 이동부재(511)와, 이동부재(51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가이드봉(512) 및, 이동부재(511)가 이동가이드봉(51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상하이동조절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유닛(300)이 이동부재(511)에 형성된 연결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일부가 관통하여 고정되게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이동부재(511)가 촬영유닛(3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511)에 형성된 삽입이동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이동가이드봉(512)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이동부재(511)가 이동가이드봉(512)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가이드봉(512)에는 랙기어(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하이동조절기(513)에는 이동가이드봉(512)의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상하이동조절기(513)의 조작에 따라 이동부재(511)가 이동가이드봉(5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고정나사(514)에 의해서 이동부재(51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이동구동부(51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촬영유닛(300)에 연결되며 찰영유닛(300)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회전이동유닛(500)은 제2회전구동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구동부(520)는 제2이동구동부(510)에 연결되며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이동구동부(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2회전구동부(520)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구동부(510)의 이동가이드봉(512)이 구비되는 회전부재(521), 회전부재(52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지지부재(522), 회전부재(521)가 회전지지부재(52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조절기(5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521)에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회전지지부재(522)에는 회전부재(521)의 회전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회전부재(521)가 회전지지부재(522)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부재(521)의 회전축이 회전조절기(523)에 기어(도시되지 않음)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사용자의 회전조절기(523)의 조작에 따라 회전부재(521)가 회전지지부재(5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제2회전구동부(52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이동구동부(5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회전이동유닛(500)은 추가이동구동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이동구동부(530)는 제2회전구동부(520)에 연결되며 제2회전구동부(52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2이동구동부(510)와 촬영유닛(30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이동구동부(530)는 제2회전구동부(520)에 연결되는 추가이동부재(531)와, 추가이동부재(53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추가이동가이드봉(532) 및, 추가이동부재(531)가 추가이동가이드봉(53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추가상하이동조절기(533)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이동부재(531)에 제2회전구동부(520)의 회전지지부재(522)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추가이동부재(531)가 제2회전구동부(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이동부재(531)에 형성된 삽입이동구멍(도시되지 않음)에 추가이동가이드봉(532)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추가이동부재(531)가 추가이동가이드봉(532)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이동가이드봉(532)에는 랙기어(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추가상하이동조절기(533)에는 추가이동가이드봉(532)의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서, 사용자의 추가상하이동조절기(533)의 조작에 따라 추가이동부재(531)가 추가이동가이드봉(5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이동구동부(53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2회전구동부(520)에 연결되며 제2회전구동부(52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추가이동구동부(530)는 전술하고 도1과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이동유닛(400)의 제1이동구동부(420)가 구비된 장치베이스(BS)에 구비될 수 있다.
검사유닛(600)은 촬영유닛(300)에서 확대 촬영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유닛(600)은 촬영유닛(300)의 카메라헤드부(310)에 포함된 전술한 카메라헤드(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유닛(300)에 의해서 확대 촬영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석할 수 있다.
검사유닛(600)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610)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610)에는 영상분석프로그램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유닛(300)에서 확대 촬영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고 영상분석프로그램에 의해서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검사유닛(600)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유닛(300)에서 확대 촬영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마모부(WE)를 보여줄 수 있다. 여기에서, 도8의 (a)는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와 90도 각도에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를 확대 촬영한 것이고, 도8의 (b)는 촬영유닛(300)이 강판절단 나이프(KN)와 0도 각도에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를 확대 촬영한 것이다.
또한, 검사유닛(600)은 영상분석프로그램에 의해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마모정도나 깨짐 정도를 분석하고 강판절단 나이프(KN)의 교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사유닛(6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촬영유닛(300)에서 확대 촬영된 강판절단 나이프(KN)의 절단날(EG)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를 사용하면,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여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마모 또는 깨짐을 용이하게 검사함으로써 강판절단 나이프의 교체여부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200 : 나이프장착판
210 : 나이프지지유닛 211 : 나이프지지부재
211a : 장공 212 : 고정부재
300 : 촬영유닛 310 : 카메라헤드부
311 : 카메라헤드 320 : 줌렌즈부
330 : 배율렌즈부 340 : 조명부
400 : 제1회전이동유닛 410 : 제1회전구동부
420 : 제1이동구동부 421 : 제1이동판
422 : 제2이동판 423 : 좌우이동조절기
424 : 이동지지부재 425 : 전후이동조절기
500 : 제2회전이동유닛 510 : 제2이동구동부
511 : 이동부재 512 : 이동가이드봉
513 : 상하이동조절기 514 : 고정나사
520 : 제2회전구동부 521 : 회전부재
522 : 회전지지부재 523 : 회전조절기
530 : 추가이동구동부 531 : 추가이동부재
532 : 추가이동가이드봉 533 : 추가상하이동조절기
600 : 검사유닛 610 : 컴퓨터
KN : 강판절단 나이프 EG : 절단날
ID : 내경부 ST : 강판
GP : 갭 LP : 랩
FC : 절단면 AC : 절단각
WE : 마모부 BS : 장치베이스
CM : 모터제어유닛 CL : 조명제어유닛

Claims (10)

  1. 검사할 강판절단 나이프가 장착되는 나이프장착판; 및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적어도 일부를 확대 촬영하는 촬영유닛;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회전하거나 상기 촬영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회전이동유닛;
    상기 촬영유닛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제2회전이동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에서 촬영된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의 영상을 보여주거나 분석하는 검사유닛;
    을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는 원형 링 형상인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은 카메라헤드를 포함하는 카메라헤드부와, 상기 카메라헤드부에 연결되며 줌렌즈가 포함되는 줌렌즈부 및, 상기 줌렌즈부에 연결되며 배율렌즈를 포함하는 배율렌즈부를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유닛은 상기 배율렌즈부에 연결되며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이동유닛은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나이프장착판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이동유닛은 상기 제1회전구동부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나이프장착판이 상기 촬영유닛을 중심으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회전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이동유닛은 상기 촬영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이동구동부를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이동유닛은 상기 제2이동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촬영유닛이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이동구동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구동유닛은 상기 제2회전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회전구동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추가이동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이프장착판에는 상기 강판절단 나이프를 지지하는 나이프지지유닛이 구비되는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KR1020180164831A 2018-12-19 2018-12-19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KR102178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31A KR102178442B1 (ko) 2018-12-19 2018-12-19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831A KR102178442B1 (ko) 2018-12-19 2018-12-19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098A true KR20200076098A (ko) 2020-06-29
KR102178442B1 KR102178442B1 (ko) 2020-11-13

Family

ID=7140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831A KR102178442B1 (ko) 2018-12-19 2018-12-19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4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725A (ja) 1993-04-09 1994-10-21 Inoac Corp 切断刃の検査方法
JP2002219633A (ja) * 2001-01-25 2002-08-06 Mitsui Kokuin:Kk 微細刃具の刃先検査装置
JP2007017276A (ja) * 2005-07-07 2007-01-25 Toray Ind Inc 刃先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KR20070098189A (ko) * 2006-03-31 2007-10-05 최광선 미세공구의 검사방법
JP2009540298A (ja) * 2006-06-05 2009-11-19 ヴィジコン インスペク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ステント検査システム
KR20100085457A (ko) * 2009-01-20 2010-07-29 윤송원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725A (ja) 1993-04-09 1994-10-21 Inoac Corp 切断刃の検査方法
JP2002219633A (ja) * 2001-01-25 2002-08-06 Mitsui Kokuin:Kk 微細刃具の刃先検査装置
JP2007017276A (ja) * 2005-07-07 2007-01-25 Toray Ind Inc 刃先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KR20070098189A (ko) * 2006-03-31 2007-10-05 최광선 미세공구의 검사방법
JP2009540298A (ja) * 2006-06-05 2009-11-19 ヴィジコン インスペク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ステント検査システム
KR20100085457A (ko) * 2009-01-20 2010-07-29 윤송원 칼날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442B1 (ko)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416178B4 (de) Chirurgisches Mikroskop
CN110998225B (zh) 眼镜框形状测定装置及透镜加工装置
CN102825505A (zh) 基于机器视觉的机床刀具在位检测系统
JP6872974B2 (ja) 工具検査装置、加工機械、加工機械の工具検査方法
JP5403235B2 (ja) 角膜内皮検査装置
JP2008030078A5 (ko)
KR101800088B1 (ko)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JP4687248B2 (ja) 外観検査装置
CN107214564B (zh) 一种视觉检测调整装置及其实现方法
JP2013050379A (ja) 硬さ試験機
KR101591939B1 (ko)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KR20200076098A (ko) 강판절단 나이프의 절단날 검사장치
US20160163077A1 (en) Refractometer
JP6386867B2 (ja) 眼底撮影装置
JP4937717B2 (ja) 眼科装置
CN106896532B (zh) 轴对准装置及轴对准位置设定程序
KR20120071773A (ko) 사이드 트리머 제어장치 및 이에 의한 제어방법
JP2007198761A (ja) 欠陥検出方法および装置
CN215179741U (zh) 光学检测装置
KR20080107681A (ko) 자동 검사장비의 마스크 촬영장치
JP7078560B2 (ja) 精密工作機械
JP2007017276A (ja) 刃先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7052567B2 (ja) 眼鏡レンズ加工制御データ取得装置
JP3007894B2 (ja) 薄板金属盤の外周溶接装置の自動追従方法、及び薄板金属盤の外周溶接装置の溶接状態良否判定方法
TW202010998A (zh) 加工裝置的維護方法及加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