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622A -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622A
KR20200072622A KR1020180159965A KR20180159965A KR20200072622A KR 20200072622 A KR20200072622 A KR 20200072622A KR 1020180159965 A KR1020180159965 A KR 1020180159965A KR 20180159965 A KR20180159965 A KR 20180159965A KR 20200072622 A KR20200072622 A KR 2020007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layer
upper electrode
solar cell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6829B1 (ko
Inventor
이경열
최광종
송흥현
최은유
임동찬
김만
김소연
이주열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8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01L31/02019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21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31/0264Inorganic materials
    • H01L31/0328Inorganic materials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semiconductor material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31/0272 - H01L31/03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핑거 및 버스바를 메시 전극층으로 대체하고, 종래의 리본을 셀 연결부로 대체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그리드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구리(Cu)로 된 메쉬 전극층을 구비한 상부 전극층, 및 상부 전극층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일측방향 또는 복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태양전지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front side grid module for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핑거 및 버스바를 메시 전극층으로 대체하고, 종래의 리본을 셀 연결부로 대체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442, 제10-2012-0053239에 선행 개시된 바와 같이 선행특허문헌에는 태양전지 모듈을 서로 직렬로 연결시키기 위해 핑거(또는 핑거라인), 버스바 및 리본이 서로 별개로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핑거는 태양전지 셀의 전면에 고르게 배치되어 광전변환된 전하를 전극층으로부터 수집하며, 버스바는 핑거에서 수집된 전하를 모으며, 리본은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버스바에서 모은 전하를 인접하는 태양전지 모듈로 이송한다.
이때, 핑거 및 버스바를 형성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단계별 공정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버스바와 리본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여 양산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8442(발명의 명칭 : 태양전지 모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3239(발명의 명칭 :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681(발명의 명칭 : 터치 패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8017(발명의 명칭 : 나노볼이 코팅된 와이어 메쉬 광전극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3917(발명의 명칭 : 태양 전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52559(발명의 명칭 : 대면적이면서 유연성 기판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투명전광판 및 이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3512(발명의 명칭 : 투명도가 조절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9131(발명의 명칭 : 투명 디스플레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5201(발명의 명칭 : 패턴이 형성된 투명전극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517(발명의 명칭 : 메탈메쉬-탄소나노튜브 플렉서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808(발명의 명칭 : 메쉬 전극 내장형 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일본국 출원번호 JP 2015-064585 일본국 출원번호 JP 2015-064585 일본국 출원번호 JP 2014-072647 일본국 등록특허 JP 5888255 일본국 등록특허 JP 5573372 일본국 등록특허 JP 5427383 일본국 등록특허 JP 5408945 일본국 등록특허 JP 606500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1314(발명의 명칭 : 태양전지 모듈)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9624(발명의 명칭 :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메쉬 전극층은 종래의 핑거와 버스바를 통합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셀 연결부(130)는 상부 전극층(100)의 형성시에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과 같이 별도의 리본을 만들어서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존 공정과 차별화되어 기존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리드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구리(Cu)로 된 메쉬 전극층을 구비한 상부 전극층, 및 상부 전극층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일측방향 또는 복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태양전지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셀 연결부는 상부 전극층의 테두리면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층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방향으로 연속적이면서 경사지게 더 연장 형성된다.
또한, 셀 연결부는 구리로 이루어진 구리층을 포함한다.
또한, 메쉬 전극층 및 구리층은 전주도금으로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주석(Sn)으로 이루어지며, 구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을 더 포함한다.
또한, 용접층은 상부 전극층의 상부면 또는 상부 전극층의 테두리면에서부터 구리층을 따라 구리층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또한, 구리층은 상부 전극층으로부터 연속적이면서 일체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리층 경사부, 및 경사부로부터 일체로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전극층 접속부를 포함하며, 용접층은 구리층 경사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 경사부, 및 전극층 접속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 연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용접층의 연장부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접속부가 서로 용접된다.
또한, 용접층의 연장부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부 전극층과 제1 전극층 접속부가 서로 용접된다.
또한, 상부 전극층은 메쉬 전극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은(Ag)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을 포함한다.
또한,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은 웨이퍼의 상부 박막층을 메쉬 전극층의 구리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셀 연결부는 구리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을 포함한다.
또한, 셀 연결부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은 상부 전극층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의 형성시에 함께 형성되어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은 도금층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의 입사로 캐리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캐리어가 상부 전극층으로 흐르게 되는 웨이퍼 층, 및 웨이퍼 층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전극층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메쉬 전극층은 종래의 핑거와 버스바를 통합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셀 연결부(130)는 상부 전극층(100)의 형성시에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과 같이 별도의 리본을 만들어서 버스바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존 공정과 차별화되어 기존 공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부 전극에 셀 연결부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전극, 웨이퍼, 하부 전극을 포함한 태양 전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셀 연결부 상부면에 주석으로 도금된 용접층 및 셀 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접하는 태양 전지 셀 간을 셀 연결부 및 용접층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핑거, 버스바, 및 리본이 서로 별개로 구현된 선행문헌 KR 10-2011-0078442의 도 2에 개시된 종래기술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 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층(100), 웨이퍼 층(200), 및 하부 전극층(300)을 대략적으로 포함한다. 상부 전극층(100)은 그리드 메쉬로 이루어진 메쉬 전극층(110, 구리층)과 메쉬 전극층의 하부면에 은으로 이루어진 은층(120)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을 포함한다.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은 도금이나 페이스트 또는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금으로 설명한다.
메쉬 전극층(110)은 그리드 메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래의 핑거(전극)와 버스바를 일체로 통합한 구조가 된다.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은 웨이퍼의 상부 박막층(210)을 메쉬 전극층(110)의 소재인 구리로부터 보호한다. 즉, 웨이퍼의 상부 박막층(210)은 태양광의 입사에 의해 웨이퍼 층(200)에서 생성된 전자를 끌어오는 층으로서, 웨이퍼의 상부 박막층(210)이 구리로 이루어진 메쉬 전극층(110)과 직접 접촉되는 경우에 반응이 일어나 훼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중간에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을 메쉬 전극층(110)의 하부면에 도금한다. 다만,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은 상부 박막층(210)과 구리가 서로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을 전기적으로 도통시켜줄 수 있는 소재이면 모두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메쉬 전극층(110)의 두께는 대략 8 ~ 12[um](바람직하게는 10[um]),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의 두께는 대략 1[um]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두께는 실제 적용환경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부 전극층(100)은 셀 연결부(130)를 더 포함한다. 셀 연결부(130)는 상부 전극층(100)이 복수방향 또는 일측방향으로 연속적이면서 경사지게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셀 연결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 전극층(110) 및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적어도 2방향 이상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인접하는 복수의 태양전지 셀을 연결 접속할 수 있다. 셀 연결부(130)는 구리로 이루어진 구리층(131)과 구리층(131)의 하부면에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을 포함한다. 이때, 구리층(131)에는 그리드 메쉬 전극이 형성되지는 않는다. 셀 연결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태양전지 셀(10)의 상부 전극층과 바로 인접하는 제2 태양전지 셀(20)의 하부 전극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에 따라 제1 태양전지 셀(10)의 상부 전극층(100)의 그리드 메쉬 전극에 의해 수집된 전자가 제2 태양전지 셀(20)의 하부 전극층(300)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 연결부(130)는 상부 전극층(100)의 형성시에 같이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의 기술과 같이 별도의 리본을 만들어서 상부 전극층 위에 결합하는 기존 기술보다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셀 연결부(130)는 그리드 메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셀 연결부(130)의 소재와 상부 전극층(100)의 소재가 동일한 구리를 이용하기 때문에 셀 연결부(130)의 구리층(131)은 상부 전극층(100)의 메쉬 전극층(110) 형성시에 함께 전주도금으로 형성된다. 또한, 셀 연결부(130)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은 상부 전극층(100)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 형성시에 함께 형성된다. 셀 연결부(13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전극층(100)의 테두리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 전극층(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층 접속부(131a), 제1 전극층 접속부에서 경사지게 연속 연장 형성되는 경사부(131b), 경사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속 연장되며 하부 전극층(300)의 테두리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극층 접속부(131c)를 포함한다. 제2 전극층 접속부는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하부 전극층과 후술하는 주석 용접층(140)에 의해 용접(솔더링)된다. 제1 전극층 접속부(131a)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부 전극층(1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 전극층(100) 또는 메쉬 전극층(110)의 상부면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이하에서는 상부 전극층으로 통일하여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 메쉬 전극층을 원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전극층 접속부(131c)도 하부 전극층(300)의 일면에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부 전극층(300)의 하부면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2 전극층 접속부(131a,131c)가 각각 상부 전극층(100)과 하부 전극층(300)의 전면에 형성될 경우에는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구리층 보호층)도 각각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2 전극층 접속부(131a,131c)가 각각 상부 전극층(100)과 하부 전극층(300)의 전면에 각각 형성되면, 상부 전극층(100)에는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구리층 보호층), 제1 전극층 접속부(131a), 용접층 제1 연장부(140a)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하부 전극층(300)에는 순차적으로 용접층 제2 연장부(140c), 제2 전극층 접속부(131c),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구리층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제1 태양전지 셀(10)의 셀 연결부(130)의 제2 전극층 접속부(131c)와 인접하는 제2 태양전지 셀(20)의 하부 전극층을 서로 용접(솔더링)하기 위해 저융점 솔더링이 가능한 주석 용접층(140)이 사용된다. 주석 용접층(140)은 상부 전극층(100)의 상부면 또는 제1 전극층 접속부(131a)의 상부면에 주석(Sn) 도금으로 형성되며, 상부 전극층(100)의 상부면 또는 제1 전극층 접속부(131a)의 상부면에서부터 구리층(131)을 따라 구리층(131)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이때, 주석 용접층(140)이 상부 전극층(100)의 상부면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속 연장되도록 하는 것이 생산 공정상 이점이 많다. 상술한 도금 이외에도 페이스트 또는 스퍼터링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주석 용접층(140)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용접층 경사부(140b)와 경사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속 연장되며 제2 전극층 접속부(131c)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 제2 연장부(140c)를 포함한다. 주석 용접층(140)의 용접층 제2 연장부(140c)에 압력과 열이 가해짐으로써 셀 연결부(130)의 제2 전극층 접속부(131c)가 제2 태양전지 셀(20)의 하부 전극층에 용접(솔더링)된다. 주석 용접층(140)의 두께는 용접이 원활하도록 대략 3 ~ 7[u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5[um] 이상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층 제1 연장부(140a)는 도 3과 같이 제1 전극층 접속부(131a)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제1 전극층 접속부(131a)가 상부 전극층(100)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용접층 제1 연장부(140a)도 제1 전극층 접속부(131a)의 상부면 전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원리는 하부 전극층(300)에도 동일하다. 즉,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하부 전극층(300) 전면에 용접층 제2 연장부(140c)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전극층 접속부(131c)도 용접층 제2 연장부(140c)의 하부면 전면에 형성된다.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20,30)의 하부 전극층 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석 용접층(140)의 용접층 제2 연장부(140c)가 형성되고, 주석 용접층(140)의 용접층 제2 연장부(140c)의 하부면에는 셀 연결부(130)의 제2 전극층 접속부(13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부 전극층(300), 용접층 제2 연장부(140c), 제2 전극층 접속부(131c),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태양전지 셀(10)에서 가장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20)로 셀 연결부(130)에 의해 전자를 이동시키고, 주석 용접층(140)에 의해 셀 연결부(130)를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20)의 하부 전극층에 솔더링시킨다.
웨이퍼 층(200)은 상부 박막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이 메쉬 전극층(110)과 상부 박막층(210) 사이에 구비되어 전자를 이동시키고 상부 박막층(210)을 보호하는 매개층으로서 기능한다. 이때,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은 상부 박막층(210)이 구리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뿐만아니라 상부 박막층(210)과 상부 전극층(10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주는 매개층으로서도 기능한다. 웨이퍼 층(200)은 상부 전극층(100) 하부에 구비되어 태양광의 입사로 캐리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캐리어중 전자는 상부 박막층(210)과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을 거쳐 메쉬 전극층(110)으로 이동되고, 생성된 캐리어 중 전공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하부 전극층(300)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셀 연결부(130)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 및 용접층 경사부(140b)는 구리층(131)의 녹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셀 연결부(130)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32)은 녹을 방지하는 보호층으로서 기능한다.
도금 순서로서, 메쉬 전극층(110) 형성시에 셀 연결부(130)의 구리층(131)이 전주도금으로 함께 형성되고, 메쉬 전극층(110)과 구리층(131)의 하부면에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120,132)이 도금된다. 셀 연결부(130)의 구리층(131)의 상부면에 주석 용접층(140)이 도금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제1 태양전지 셀
20 : 제2 태양전지 셀
30 : 제3 태양전지 셀
100 : 상부 전극층
110 : 메쉬 전극층
120 :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상부 박막층 보호층)
130 : 셀 연결부
131 : 구리층
131a : 제1 전극층 접속부(제1 수평 연장부,접속부)
131b : 구리층 경사부
131c : 제2 전극층 접속부(제2 수평 연장부,접속부)
132 :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구리층 보호층)
140 : 용접층
140a : 용접층 제1 연장부
140b : 용접층 경사부
140c : 용접층 제2 연장부
200 : 웨이퍼 층
210 : 상부 박막층
300 : 하부 전극층

Claims (12)

  1. 그리드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구리(Cu)로 된 메쉬 전극층을 구비한 상부 전극층, 및
    상기 상부 전극층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일측방향 또는 복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더 연장 형성됨으로써 태양전지 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연결부는,
    상기 상부 전극층의 테두리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전극층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방향으로 연속적이면서 경사지게 더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연결부는,
    구리로 이루어진 구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전극층 및 구리층은 전주도금으로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주석(Sn)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층은,
    상기 상부 전극층의 상부면 또는 상기 상부 전극층의 테두리면에서부터 상기 구리층을 따라 구리층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층은,
    상기 상부 전극층으로부터 연속적이면서 일체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구리층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일체로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인접하는 태양전지 셀의 상부 전극층 및 하부 전극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전극층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접층은,
    상기 구리층 경사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 경사부, 및
    상기 전극층 접속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용접층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층의 연장부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전극층과 상기 전극층 접속부가 서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층은,
    상기 메쉬 전극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은(Ag)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은,
    웨이퍼의 상부 박막층을 상기 메쉬 전극층의 구리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연결부는,
    상기 구리층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연결부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은 상기 상부 전극층의 은층 또는 은을 포함한 합금층의 형성시에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KR1020180159965A 2018-12-12 2018-12-12 태양 전지의 전극 모듈 KR102176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65A KR102176829B1 (ko) 2018-12-12 2018-12-12 태양 전지의 전극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65A KR102176829B1 (ko) 2018-12-12 2018-12-12 태양 전지의 전극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622A true KR20200072622A (ko) 2020-06-23
KR102176829B1 KR102176829B1 (ko) 2020-11-11

Family

ID=7113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65A KR102176829B1 (ko) 2018-12-12 2018-12-12 태양 전지의 전극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829B1 (ko)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945B2 (ko) 1971-08-27 1979-04-19
JPS5427383B2 (ko) 1973-06-16 1979-09-10
KR20110078442A (ko) 2009-12-31 2011-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20120053239A (ko) 2010-11-17 2012-05-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5483A (ko) * 2010-12-13 2012-06-21 한국철강 주식회사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3917B1 (ko) 2010-10-28 2012-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 전지
KR101231314B1 (ko) 2011-05-25 2013-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101268017B1 (ko) 2010-06-23 2013-05-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볼이 코팅된 와이어 메쉬 광전극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70808B1 (ko) 2011-03-31 2013-06-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쉬 전극 내장형 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4072647A (ja) 2012-09-28 2014-04-21 Nec Commun Syst Ltd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49624A (ko) 2012-10-17 2014-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5573372B2 (ja) 2009-06-11 2014-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薄膜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05520A (ko) * 2011-12-07 2014-09-01 누보선, 인크. 확장 금속 메쉬의 롤을 사용하는 자동화된 가요성 태양광 전지 제조 및 상호 연결
JP2015064585A (ja) 2009-02-12 2015-04-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駆動回路、電子機器
KR101521681B1 (ko) 2012-04-24 2015-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5888255B2 (ja) 2013-01-31 2016-03-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極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61517B1 (ko) 2014-12-30 2016-09-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메탈메쉬-탄소나노튜브 플렉서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KR101672304B1 (ko) * 2015-11-19 2016-1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도가 제어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KR101675201B1 (ko) 2014-11-21 2016-11-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지체를 이용한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 제조방법
KR101689131B1 (ko) 2015-07-24 2016-12-23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메탈 메쉬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JP6065009B2 (ja) 2012-06-29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743512B1 (ko) 2016-07-26 2017-06-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도가 조절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1752559B1 (ko) 2015-08-17 2017-07-03 엔젯 주식회사 대면적이면서 유연성 기판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투명전광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945B2 (ko) 1971-08-27 1979-04-19
JPS5427383B2 (ko) 1973-06-16 1979-09-10
JP2015064585A (ja) 2009-02-12 2015-04-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駆動回路、電子機器
JP5573372B2 (ja) 2009-06-11 2014-08-2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薄膜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78442A (ko) 2009-12-31 2011-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101268017B1 (ko) 2010-06-23 2013-05-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나노볼이 코팅된 와이어 메쉬 광전극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63917B1 (ko) 2010-10-28 2012-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 전지
KR20120053239A (ko) 2010-11-17 2012-05-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5483A (ko) * 2010-12-13 2012-06-21 한국철강 주식회사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0808B1 (ko) 2011-03-31 2013-06-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메쉬 전극 내장형 전자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31314B1 (ko) 2011-05-25 2013-02-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KR20140105520A (ko) * 2011-12-07 2014-09-01 누보선, 인크. 확장 금속 메쉬의 롤을 사용하는 자동화된 가요성 태양광 전지 제조 및 상호 연결
KR101521681B1 (ko) 2012-04-24 2015-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JP6065009B2 (ja) 2012-06-29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4072647A (ja) 2012-09-28 2014-04-21 Nec Commun Syst Ltd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49624A (ko) 2012-10-17 2014-04-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5888255B2 (ja) 2013-01-31 2016-03-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極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675201B1 (ko) 2014-11-21 2016-11-1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지체를 이용한 은나노와이어 투명전극 제조방법
KR101661517B1 (ko) 2014-12-30 2016-09-3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메탈메쉬-탄소나노튜브 플렉서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KR101689131B1 (ko) 2015-07-24 2016-12-23 케이알에코스타 주식회사 메탈 메쉬를 이용한 투명 디스플레이
KR101752559B1 (ko) 2015-08-17 2017-07-03 엔젯 주식회사 대면적이면서 유연성 기판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투명전광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72304B1 (ko) * 2015-11-19 2016-1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도가 제어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KR101743512B1 (ko) 2016-07-26 2017-06-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도가 조절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플렉서블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829B1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3661B1 (en) Solar cell module
EP1811576A2 (en) Photovoltaic module
JP6319396B2 (ja) 太陽電池セ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セル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5879512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47922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911103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装置
US20130160815A1 (en) Photovoltaic Cell Having Discontinuous Conductors
JP2014042000A (ja) 太陽電池セル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241763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03403882A (zh) 太阳能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WO2018180922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76829B1 (ko) 태양 전지의 전극 모듈
WO2013014972A1 (ja) 光起電力モジュール
TW201340361A (zh) 太陽能電池及製造太陽能電池的方法
EP2759401A1 (en) Thin film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041349A (ja) 光起電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38779A (ko) 태양 전지 조립체 ⅱ
JP3204967U (ja) 組立式のソーラーパネル設備
KR101088006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381569A1 (en) Wiring material, solar cell using same, and solar cell module
EP3151287A1 (en) Solar cell module
US10193492B2 (en) Solar Cell Module
US20140166099A1 (en) Crystalline photovoltaic cell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JP201818624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8573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