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483A -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483A
KR20120065483A KR1020100126638A KR20100126638A KR20120065483A KR 20120065483 A KR20120065483 A KR 20120065483A KR 1020100126638 A KR1020100126638 A KR 1020100126638A KR 20100126638 A KR20100126638 A KR 20100126638A KR 20120065483 A KR20120065483 A KR 2012006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layer
electrode
layer
transparent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984B1 (ko
Inventor
유승협
김호연
한동근
Original Assignee
한국철강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강 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9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기 태양전지 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은: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 및 상기 광전변환층 상에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제1단위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1단위셀과 인접한 제2단위셀의 제2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1전극은 제1투명 박막층 및 제2투명 박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박막층은 상기 제1투명 박막층과 상기 제2투명 박막층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Organic Solar Cell Module using Metal-Based Multilayer Transparent Electrode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대체 에너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태양광 에너지는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점이 없어 특히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 모듈은 다이오드와 같이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의 접합 구조를 가지며, 광기전력 모듈에 빛이 입사되면 빛과 광기전력 모듈의 반도체를 구성하는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 전하를 띤 전자와 (+) 전하를 띤 정공이 발생하여 이들이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최근 들어, 단가 공정이 가능하며, 경량의 박막으로 제조 가능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유기 흡광 물질을 사용하는 유기 태양전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태양전지 셀은 기판, 양(음) 전극, 정공(전자) 수송층, 유기 물질로 이루어져 광자를 정공과 전자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 전자(정공) 수송층, 및 음(양)전극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유기 태양전지 셀들의 전극들이 서로 연결되어 전체 전압을 높여줌으로써 모듈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유기 태양전지는 수십 나노미터의 두께에 해당하는 매우 얇은 광전변환층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하부 전극과 상부 전극간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기 태양전지 모듈내의 단위 셀에서 하부, 상부 전극간의 단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 모듈은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은: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 및 상기 광전변환층 상에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제1단위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1단위셀과 인접한 제2단위셀의 제2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1전극은 제1투명 박막층 및 제2투명 박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박막층은 상기 제1투명 박막층과 상기 제2투명 박막층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전극은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 상에 패터닝된 광전변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변환층 상에 패터닝된 제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전극, 상기 광전변환층, 및 제2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셀이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제1단위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1단위셀과 인접한 제2단위셀의 제2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제1투명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을 상기 제1투명 박막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 및 상기 제1투명 박막층 상에 제2투명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투명전극으로 널리 알려진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사용하여 모듈을 제작할 시에 발생하는 단위셀 내의 양극과 음극간의 단락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대신하여 매우 얇은 금속 박막층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전극의 두께를 줄임으로서 이러한 단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박막층의 상, 하에 절연 또는 반도체 특성을 갖는 투명 또는 준투명 박막 물질을 위치시킴으로써 최종 빛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다.
도2는 종래의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다.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들 중 인용부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인용부호들로 표시됨을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은 기판(100), 제1전극(200), 광전변환층(300) 및 제2전극(400)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태양전지 모듈에 포함된 단위 셀들(UC1, UC2, UC3)은 서로 직렬 연결된다.
도1에서 A1으로 표시된 영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단위셀(UC2)의 제1전극과 제1단위셀(UC1)의 제2전극이 상기 A1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1단위셀과 제2단위셀은 서로 직렬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200)은 제1투명 박막층(210), 금속 박막층(220) 및 제2투명 박막층(23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금속 박막층(220)을 제1전극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CO: Transparent Conductive Oxide)로 제1전극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박막화가 가능하다.
도2는 종래의 유기 태양전지 모듈을 나타낸다. 종래의 유기 태양전지에서 제1전극(200)은 ITO와 같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을 포함하며 대략 150nm의 두께를 갖는다. 광전변환층(300)은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도2의 L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동일 단위 셀의 제2전극(400)과 제1전극(200) 사이에 거리가 너무 짧아져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L2로 표시된 부분에서 상기 제1전극(200)과 상기 제2전극(400) 사이의 짧은 거리로 인해 전극 사이에 전기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강하여 두 전극 사이에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모듈의 전압이 낮아지고 효율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전극(200)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단위셀의 두 전극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의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극(200)은 종래에 사용되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에 비해 전도성이 좋은 금속 박막층(200)을 포함하기 때문에 박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전극(200)의 두께가 감소하여 광전변환층(300)의 최소 두께를 갖는 부분(L2)에서도 상기 광전변환층(300)이 적정한 두께로 유지되어 제1전극(200)과 제2전극(400) 사이의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금속 박막층(220)을 제1전극(200)으로 사용하는 경우 빛의 투과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금속 박막층(220) 하부 및 상부에 투명 박막층(210,230)을 위치시킴으로써 제1전극(200)의 최종 빛 투과율이 보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박막층(210,230)은 광전변환층(300)으로 빛 투과율을 보상하기 위해 투명 또는 준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박막층(220)은 패터닝되어 각 단위셀 영역에만 형성된 데 반해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 및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기판의 전면에 대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투명 박막층(210, 230) 들이 제1전극의 표면의 단차를 증가시키지 않고 오히려 완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 과정을 설명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상에 제1투명 박막층(210)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EN(Polyethylene naphthalate)과 같은 투명한 물질, 또는 스테인리스(stainless) 강판과 같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기판(100) 측을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광전변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판(10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기판의 반대측을 통해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광전변환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기판(100)은 불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이 시쓰루(see-through) 타입인 경우 상기 기판(100), 제1전극(200) 및 제2전극(400)은 모두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은 기판(100)의 전면에 형성되며 굴절률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은 절연성 또는 반도체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은 투명 또는 준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기판(100)을 통해 입사된 빛을 광전변환층(300)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은 텅스텐 산화물(WO3), 황화아연(ZnS), 바나듐 산화물(V2O5), 몰리브덴 산화물(MoO3), 산화티탄(TiOx), 산화아연(ZnO), 텔루르 산화물(TeO2) 또는 셀렌화 아연(ZnSe)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은 제1전극(200)의 높은 빛 투과율을 위해 굴절률이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의 굴절률은 2이상일 수 있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 상에 패턴화된 금속 박막층(220)을 형성한다. 상기 패턴화된 금속 박막층(220)은 실시예에 따라 마스크를 사용함으로써 패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층(220)은 광 흡수율이 적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은(Ag), 백금(Pt), 금(Au)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층(220)은 그 표면이 평평하여야 보다 얇은 두께에서도 높은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금속 박막층(220)은 50Å내지 200Å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금속 박막층(220)이 50Å 보다 작은 경우 상기 금속 박막층(220)은 전하 또는 정공 수송층으로 기능하기에 저항이 너무 커진다. 상기 금속 박막층(220)이 200Å 보다 두꺼운 경우 상기 제1전극(200)의 빛 투과율이 너무 낮아져 광전변환층(300)의 광전변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화된 금속 박막층(220) 및 상기 제1투명 박막층(210)의 전면에 제2투명 박막층(230)을 형성한다.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텅스텐 산화물(WO3), 황화아연(ZnS), 바나듐 산화물(V2O5), 몰리브덴 산화물(MoO3), 산화티탄(TiOx), 산화아연(ZnO), 산화니켈(NiOx) 또는 탄산세슘(Cs2CO3)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굴절률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의 굴절률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물질은 반도체의 에너지 밴드를 이용해 전자나 정공의 이동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이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수십nm 이내의 두께, 예컨대 100nm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절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널링(tunneling)을 통해 전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수nm 이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은 투명 또는 준투명한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기판(100)을 통해 입사된 빛이 광전변환층(300)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투명 박막층(230) 상에 패턴화된 광전변환층(300)을 형성한다. 상기 패턴화된 광전변환층(300)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프린팅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광전변환층(300)은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진공 증착(Vaccum Deposition),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롤투롤(Roll to Roll), 닥터 블레이딩(Doctor Blading) 및 스프레이(Spray)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전변환층(300)은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진 광흡수형 유기 반도체층 및 상기 유기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전자받게형 유기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이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변환층(300)은 광흡수형 유기 반도체 물질 및 전자받게형 유기 반도체 물질이 일정한 비율로 섞인 벌크(bulk)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전변환층(300)은 P형 도핑이 수행된 정공 수집층, 광흡수형 및 전자받게형 유기 반도체층, 그리고 N형 도핑이 수행된 전자 수집층이 순차로 적층된 P-I-N 타입 광전변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광전변환층(300)은 N-I-P 타입 광전변환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흡수용 반도체는 광 흡수 계수가 큰 펜타센(Pentacene), CuPC(Copper Phthalocyanine), SubPC(Subphthalocyanine)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받게형 물질로는 풀러린(fullerene)과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화된 제2전극(400)을 상기 광전변환층(300) 상에 형성한다. 상기 패턴화된 제2전극(400)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되거나 프린팅 기반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턴화된 제2전극(400)은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이용하는 진공 증착(Vaccum Deposition), 잉크젯 프린팅(Inkjet Printing), 롤투롤(Roll to Roll), 닥터 블레이딩(Doctor Blading) 및 스프레이(Spray)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400)을 패턴화하여 형성하는 경우 단위 셀(UC1, UC2) 간의 직렬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제2전극(400)은 후면 반사를 위해 알루미늄(Al), 은(Ag), 금(Au)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전극(400)은 ITO(Indium 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또는 그래핀(Graphene)과 같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400)은 실시예에 따라 단일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은 상기 제1전극(200)과 광전변환층(300) 사이와 상기 광전변환층(300)과 상기 제2전극(40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퍼층은 결과적인 태양전지 모듈의 외관의 형태를 좋게 하기 위해, 전극의 극성을 바꾸기 위해, 전자와 정공의 이동성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또는 금속으로 인한 유기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류-전압 특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1투명 박막층(210)으로는 황화아연(ZnS), 금속 박막층(220)으로는 은(Ag), 그리고 제2투명 박막층(230)으로는 텅스텐 산화물(WO3)이 사용된다. 광전변환층(300)으로는 펜타센과 풀러린(C60)의 이중층 구조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광전변환층(300) 상에 BCP(bathocuproine)를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제2전극(400)으로는 Al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유기 태양전지 모듈 내의 각 층들은 진공 증착 방법을 통해 적층된다.
도4의 전류-전압 특성은 4개의 단위 셀들이 서로 직렬 연결되어 각각의 단위셀의 전압이 더해지는 모듈의 특성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금속 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에서는 제1전극(200)과 제2전극(400) 사이에 단락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기판
200: 제1전극
210: 제1투명 박막층
220: 금속 박막층
230: 제2투명 박막층
300: 광전변환층
400: 제2전극

Claims (17)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 각각은: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는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빛을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 및
    상기 광전변환층 상에 제2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제1단위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1단위셀과 인접한 제2단위셀의 제2전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제1투명 박막층 및 제2투명 박막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금속 박막층은 상기 제1투명 박막층과 상기 제2투명 박막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3. 상기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박막층과 상기 제2투명 박막층은 상기 복수의 단위셀이 형성된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층의 두께는 50Å이상 및 200Å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층은 은(Ag), 백금(Pt), 금(Au) 및 구리(C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박막층 및 상기 제2투명 박막층은 절연성 또는 반도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박막층은 텅스텐 산화물(WO3), 황화아연(ZnS), 바나듐 산화물(V2O5), 몰리브덴 산화물(MoO3), 산화티탄(TiOx), 산화아연(ZnO), 텔루르 산화물(TeO2) 또는 셀렌화 아연(ZnS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명 박막층은 텅스텐 산화물(WO3), 황화아연(ZnS), 바나듐 산화물(V2O5), 몰리브덴 산화물(MoO3), 산화티탄(TiOx), 산화아연(ZnO), 산화니켈(NiOx) 또는 탄산세슘(Cs2CO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박막층 및 상기 제2투명 박막층 중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은 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10.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층은 광흡수형 유기 반도체층 및 전자받게형 유기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11.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층은 광흡수형 유기 반도체 물질과 전자받게형 유기 반도체 물질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12.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층은 P형 도핑된 정공수집층, 광흡수형 및 전자 받게형 유기 반도체층, 그리고 N형 도핑된 전자수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
  13. 기판상에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전극은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전극 상에 패터닝된 광전변환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변환층 상에 패터닝된 제2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전극, 상기 광전변환층, 및 상기 제2전극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셀이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셀 중 제1단위셀의 제1전극과 상기 제1단위셀과 인접한 제2단위셀의 제2전극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의 전면에 제1투명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을 상기 제1투명 박막층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 및 상기 제1투명 박막층 상에 제2투명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 박막층, 상기 금속 박막층 및 상기 제2투명 박막층 중 적어도 하나는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 상기 패터닝된 광전변환층 및 상기 패터닝된 제2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쉐도우 마스크를 사용하는 진공 증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터닝된 금속 박막층, 상기 패터닝된 광전변환층 및 상기 패터닝된 제2전극은 잉크젯 프린팅법, 롤투롤법, 닥터 블레이딩법 또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태양전지 모듈의 제조방법.
KR1020100126638A 2010-12-13 2010-12-13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638A KR101160984B1 (ko) 2010-12-13 2010-12-13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638A KR101160984B1 (ko) 2010-12-13 2010-12-13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483A true KR20120065483A (ko) 2012-06-21
KR101160984B1 KR101160984B1 (ko) 2012-07-03

Family

ID=4668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638A KR101160984B1 (ko) 2010-12-13 2010-12-13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9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19B1 (ko) * 2012-03-16 2013-11-08 주식회사 포스코 태양전지
KR20160094704A (ko) * 2015-02-02 2016-08-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테르븀층과 버퍼층을 구비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유기 태양전지
KR101687991B1 (ko) 2015-10-20 2016-12-20 한국과학기술원 열차단형 반투명 태양전지
KR20200072622A (ko) * 2018-12-12 2020-06-23 삼원액트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4353A (ja) 2008-07-30 2010-02-12 Kyocera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0067753A (ja) 2008-09-10 2010-03-25 Sanyo Electric Co Ltd 光起電力装置および光起電力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19B1 (ko) * 2012-03-16 2013-11-08 주식회사 포스코 태양전지
KR20160094704A (ko) * 2015-02-02 2016-08-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이테르븀층과 버퍼층을 구비하는 스마트 윈도우용 투명 유기 태양전지
KR101687991B1 (ko) 2015-10-20 2016-12-20 한국과학기술원 열차단형 반투명 태양전지
KR20200072622A (ko) * 2018-12-12 2020-06-23 삼원액트 주식회사 태양 전지의 상부 전극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984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wdhury et al. Stability of perovskite solar cells: issues and prospects
Ouyang et al. Enhancing the photoelectric performance of photodetectors based on metal oxide semiconductors by charge‐carrier engineering
Kim et al. Photovoltaic technologies for flexible solar cells: beyond silicon
US20110203650A1 (en) Optical converter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optical converter device
CN104979408A (zh) 具有介电层的太阳能电池
US20200161483A1 (en) Hole bloc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hole-blocking layer
KR101160984B1 (ko) 금속기반 다층 박막형 투명 전극을 사용한 유기 태양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Nath et al. Role of electrodes on perovskite solar cells performance: A review
Chandel et al. Optimization of highly efficient and eco-friendly EA-substituted tin based perovskite solar cell with different hole transport material
KR20210058043A (ko) 태양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모듈
CN105023966A (zh) 薄膜光伏太阳能电池的互连件及其制造方法
Jaiswal et al. Numerical study of eco-friendly Sn-based Perovskite solar cell with 25.48% efficiency using SCAPS-1D
CN104659115B (zh) 太阳能电池接触件及其制造方法
CN102082190B (zh) 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EP2341551A2 (en) Hybrid solar cells
JP6923224B2 (ja) 有機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9209335B2 (en) Solar cell system
KR20120012325A (ko) 태양광 발전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2653A (ko) 태양 전지
CN104254926B (zh) 光伏装置
US9287421B2 (en) Solar cell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38549B1 (ko)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7833B1 (ko) 탠덤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6034B1 (ko) 유기 태양전지 모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 모듈
CN221150034U (zh) 异质结太阳能电池及光伏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