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2111A -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2111A
KR20200072111A KR1020180159902A KR20180159902A KR20200072111A KR 20200072111 A KR20200072111 A KR 20200072111A KR 1020180159902 A KR1020180159902 A KR 1020180159902A KR 20180159902 A KR20180159902 A KR 20180159902A KR 20200072111 A KR20200072111 A KR 2020007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ning
rail
deformable
display
roof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399B1 (ko
Inventor
최자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399B1/ko
Priority to US16/686,616 priority patent/US20200189484A1/en
Publication of KR2020007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007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 B60J7/003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moveable head-liners, screens, curtains or blinds for ceilings one or more sliding rigid plate or lam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60J7/0573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power driven arrangements, e.g.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차량의 실내로 전면 노출 가능한 루프부 및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써, 상기 루프부를 부분적으로 가릴 수 있게 마련되는 가변 루프부를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루프나 시트의 구조 변경에 맞게 변형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VARIABLE HEAD L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천장에 내장되는 헤드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율 주행 자동차의 개발에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차량의 기능이 변경되는 추세이다.
즉, 자동차 내부의 구조가 다변형되는 구조로 변경되는 것으로서, 자동차 시트의 경우 기존에는 1열, 2열, 3열, 4열과 같은 개념으로 정해진 구간에서만 이동되던 것을 자율 주행시에는 전방에서 후방까지 전체 시트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 등이다.
그리고, 자동차의 루프(roof)는 전체가 투명 글라스(glass)로 변경되고, 도어나 루프 등이 완전 개방형으로 변경되고, 자동차 내부에서 차주가 운전하지 않는 시간이 길어져서 내부 유틸리티의 기능이 증대가 된다.
그런데, 현재 차체를 커버하는 부품으로서의 기존의 고정된 형상으로는 미래 자동차의 루프 구조에 대응이 불가능하다.
즉, 루프 전체가 글라스화가 되고, 시트의 이동성이 중요시되는데, 기존의 헤드라이닝은 이에 부합되지 못한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83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나 시트의 구조 변경에 맞게 변형이 가능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차량의 실내로 전면 노출 가능한 루프부 및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써, 상기 루프부를 부분적으로 가릴 수 있게 마련되는 가변 루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루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변 루프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결합되는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 시트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루프부는 글라스(glass) 또는 인테리어 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변 루프부는 영상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루프부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 중 일 측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동작시키는 힌지 모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구동시키는 케이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레일 구조를 구성하는 레일은 상측과 하측으로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며, 영상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 루프부는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다른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루프부는 차량 내 시트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변 루프부는 롤타입(roll-type)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에 의해 상기 루프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이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차량의 실내로 전면 노출 가능한 루프부,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는 고정 봉과 슬라이딩 봉 및 상기 고정 봉과 상기 슬라이딩 봉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봉과 상기 슬라이딩 봉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 구조를 구성하는 레일은 상측과 하측으로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고,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다른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며, 영상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루프부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 중 일 측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관점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구조가 형성된 루프부, 상기 상측 레일과 상기 하측 레일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고정 봉과 슬라이딩 봉, 상기 고정 봉과 상기 슬라이딩 봉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 상기 슬라이딩 봉에 감겨져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롤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롤이 상기 슬라이딩 봉에서 하방향으로 풀어져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기존과 달리 이동 및 확장이 가능한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성에 맞게 사용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보다 제고시킨다.
또한, 시트의 움직임에 따라 사람의 머리 상단으로 가변 루프부를 이동시켜 선바이저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리고, 가변 루프부가 플렉서블해지면서 스크린을 적용하면 자체적으로 램프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여 자동차 실내에서의 유틸리티 활용성을 증가시키고, 가변 루프부를 W/S글라스부터 리어글라스까지 확장시켜 자동차 실내를 효율적으로 가림으로써 카고스크린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루프(roof)부 전체가 글라스 또는 인테리어 트림부 등으로 구성되는 차량 천장에 내장되고, 차량 실내등과 같은 기능 구성이 구비되는 헤드라이닝이 다양하게 변형되어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자율 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에 구현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의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에서 가변 루프부(13)는 루프부(11) 내측에 구비된다. 루프부(11)는 글라스(glass) 또는 인테리어 트림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루프부(11)는 차량 천장에 맞게 곡면 형상일 수 있고, 일 예로 상면은 전체가 글라스일 수 있고, 하면은 개방된 구성일 수 있다.
그래서, 가변 루프부(13)는 상면과 하면 간에 구비되고, 도시와 같이, 루프부(11) 전방에서 후방까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루프부(11)에는 레일 구조(12)가 설치되고, 일 예로 가변 루프부(13)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14, 15)가 레일 구조(12)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는 두 개 이상의 복수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롤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수단에 의해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일 구조(12)는 도시의 예에서 루프부(11)의 측면 내측에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루프부(11)의 상면 내측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할 경우, 롤러(14, 15)는 가변 루프부(13)의 상면에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롤러(14, 15)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가 롤러(14, 15)와 결합되어 구성되고,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차량 내에 이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가변 루프부는 루프부에 복수 장착되어, 복수의 차열마다 사용자가 별도로 제어함으로써 가변 루프부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제어부 및 조작부는 이후 다른 실시예에도 구비되는 구성인데, 이후 실시예에서 편의상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기능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줄일 수 있으며, 가변 루프부, 롤러 등의 복수 채용에 의한 응용도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모두 적용 가능하다.
먼저, 사용자가 버튼, 음성 인식, 터치 패널 등의 조작부에 의해 구동 명령을 인식시키면 제어부가 모터를 제어하여 가변 루프부(13)가 동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아가, 이러한 모터의 구동이 도 2a, 도 2b와 같이 시트의 위치에 따라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즉, 시트의 위치 이동을 제어부가 인식하여 시트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가변 루프부(13)가 이동되도록 제어부가 모터를 구동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 루프부가 선바이저의 기능 및 실내등을 통한 램프 기능을 구현할 수가 있다.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의 루프부(21) 및 레일 구조(22)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가변 루프부가 디스플레이(23)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디스플레이(23)가 루프부(21) 내측에 구비되어 루프부(21)의 전방과 후방 간을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영상제공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표시하는 장치가 되고, 도시와 같이 원하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23)가 차량 실내 측으로 회전되게 하여 운전자가 디스플레이(23)를 감상 또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23)의 레일 구조(22) 상 이동을 위해 디스플레이(23)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 롤러 바(24)가 구비되고, 사이드 롤러 바(24)가 루프부(21) 내측의 레일 구조(22)를 따라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사이드 롤러 바(24) 또한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된다.
각 사이드 롤러 바(24)의 일 측에는 디스플레이(23)의 힌지축(23-1)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다른 일 측에는 디스플레이(23)의 삽입돌기(23-2)가 삽입되는 홈(24-1)이 형성된다.
도시상, 후방에 사이드 롤러 바(24)의 홀 및 디스플레이(23)의 힌지축(23-1)이 형성되고, 전방에 사이드 롤러 바(24)의 홈(24-1) 및 디스플레이(23)의 삽입돌기(23-2)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지만 전방과 후방의 구성이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원하는 위치로 디스플레이(23)가 위치된 후 힌지축(23-1)을 구동시키기 위한 힌지 모터(미도시)를 구동시키면 디스플레이(23)의 삽입돌기(23-2)가 사이드 롤러 바(24)의 홈(24-1)을 이탈하여 하방으로 회전되게 된다.
나아가,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23)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기 위해 케이블 모터(26)가 구비되고, 케이블 모터(26)와 삽입돌기(23-2) 간에 연결된 케이블(25)이 결합되어, 케이블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케이블(25)을 당김으로써 디스플레이(23)의 회전 각도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가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즉, 루프부(31), 가변 루프부(33), 가변 루프부(33)에 결합된 롤러(34-1, 34-2), 디스플레이(35), 디스플레이(35)의 이동을 위한 사이드 롤러 바, 케이블(36) 등이 각각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가변 루프부(33)와 디스플레이(35)를 모두 구성하기 위해 이중 레일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측 레일(32-1)과 하측 레일(32-2)이 루프부(31) 내측에 구성되고, 일 측 레일을 따라 가변 루프부(33)가 동작하고, 다른 일 측 레일을 따라 디스플레이(35)가 동작되게 구성된다.
도시와 같이, 가변 루프부(33)가 상측 레일(32-1)에서 동작되고, 디스플레이(35)가 하측 레일(32-2)에서 동작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순차적으로 그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루프부(41)와 루프부(41) 내측의 레일(42)의 구성은 앞서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앞서의 가변 루프부, 디스플레이 대신 패브릭(fabric) 소재 등의 스크린(45)이 레일(45) 상에서 동작된다.
즉, 고정 봉(44)과 슬라이딩 봉(45)이 레일(45)에 결합되어, 레일(45) 상에서 동작하고, 스크린(45)의 일 단과 타 단이 각각 고정 봉(44)과 슬라이딩 봉(45)에 결합된다.
고정 봉(44)은 레일(45) 상에 고정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고정 봉(44)과 슬라이딩 봉(45)은 모두 레일(45) 상에서 동작될 수 있고, 다만 고정 봉(44)과 슬라이딩 봉(45)을 모두 이동시켜 위치를 설정한 다음, 스크린(45)을 푸는 경우에 위치 고정되는 것이 고정 봉(44)이며, 슬라이딩하여 스크린(45)을 푸는 것이 슬라이딩 봉(45)이 된다.
스크린(43)은 고정 봉(44)과 슬라이딩 봉(45)에 모두 복수 회 감겨져 있을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봉에만 복수 회 감겨져 있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롤 타입의 스크린에 의해, 파노라마 선루프와 같은 효과를 구현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는 제2 실시예와 제4 실시예가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즉, 루프부(51)에 상측 레일(52-1)과 하측 레일(52-2)의 이중 레일 구조가 구성되고, 상측 레일(52-1) 상에서 스크린(53)이 고정 봉(54) 및 슬라이딩 봉(55)에 의해 동작하고, 하측 레일(53-2) 상에서 디스플레이(56)가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파노라마식의 선루프와 같은 기능 및 디스플레이의 활용이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순차적으로 그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루프부(61)와 루프부(61) 내측에 상측 레일(62-1)과 하측 레일(62-2)이 구성된다.
제4 실시예와 같은 스크린(63)과, 고정 봉(64) 및 슬라이딩 봉(65)이 구성된다.
다만, 여기서는 고정 봉(64)과 슬라이딩 봉(65)이 서로 다른 측의 레일에 구성이 된다.
도시상 예에서는 고정 봉(64)은 상측 레일(62-1) 상을 동작하고, 슬라이딩 봉(65)은 하측 레일(62-2) 상을 동작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2의 도시와 같이 고정 봉(64)과 슬라이딩 봉(65)은 루프부(61)의 전방과 후방 간을 이동할 수 있고, 고정 봉(64)과 슬라이딩 봉(65) 간에 스크린(63)이 감겨져 구성된다.
다만, 슬라이딩 봉(65)에는 스크린(63)이 전체 폭이 감겨지는 것이 아니라, 측면 일부분에 해당하는 폭만 감겨져 구성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봉(65)의 스크린(63)이 감겨진 부분보다 중앙 측으로는 디스플레이 롤(66)이 감겨져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롤(66)은 감겨질 수 있는 플렉서블한 롤 타입(roll-type) 디스플레이로서, 스크린(63)이 위치한 후 별도의 디스플레이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롤(66)이 슬라이딩 봉(65)에서 풀리게 함으로써 도 11c와 같은 형태로 구현시킬 수가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에 의해서 카고스크린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하고, 또한 롤 타입 디스플레이를 함께 구현시킬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21, 31, 41, 51, 61 : 루프부
12, 22, 42 : 레일
13, 33 : 가변 루프부
14, 15, 34-1, 34-2 : 롤러
23, 35, 56 : 디스플레이
24 : 사이드 롤러 바
25, 36 : 케이블 26 : 케이블 모터
32-1 , 52-1, 62-1 : 상측 레일 32-2, 52-2, 62-2 : 하측 레일
43, 53, 63 : 스크린
44, 54, 64 : 고정 봉 45, 55, 65 : 슬라이딩 봉
66 : 디스플레이 롤

Claims (15)

  1.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차량의 실내로 전면 노출 가능한 루프부; 및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으로써, 상기 루프부를 부분적으로 가릴 수 있게 마련되는 가변 루프부를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루프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 루프부는 상기 레일 구조에 결합되는 롤러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내 시트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여, 상기 시트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 루프부는 글라스(glass) 또는 인테리어 트림부를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루프부는 영상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루프부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 중 일 측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회전 동작시키는 힌지 모터;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구동시키는 케이블 모터를 더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를 구성하는 레일은 상측과 하측으로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며, 영상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 루프부는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다른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변 루프부는 차량 내 시트의 위치 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루프부는 롤타입(roll-type)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함에 의해 상기 루프부를 가릴 수 있는 면적이 확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12. 레일 구조를 포함하고 차량의 실내로 전면 노출 가능한 루프부;
    상기 레일 구조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는 고정 봉과 슬라이딩 봉; 및
    상기 고정 봉과 상기 슬라이딩 봉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봉과 상기 슬라이딩 봉은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레일 구조를 구성하는 레일은 상측과 하측으로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은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고,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 중 다른 일 측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며, 영상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력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루프부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 중 일 측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 회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15. 상측 레일과 하측 레일을 포함하는 레일 구조가 형성된 루프부;
    상기 상측 레일과 상기 하측 레일을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고정 봉과 슬라이딩 봉;
    상기 고정 봉과 상기 슬라이딩 봉에 감겨져 있는 스크린;
    상기 슬라이딩 봉에 감겨져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롤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롤이 상기 슬라이딩 봉에서 하방향으로 풀어져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KR1020180159902A 2018-12-12 2018-12-12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KR10263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2A KR102634399B1 (ko) 2018-12-12 2018-12-12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US16/686,616 US20200189484A1 (en) 2018-12-12 2019-11-18 Variable head li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902A KR102634399B1 (ko) 2018-12-12 2018-12-12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111A true KR20200072111A (ko) 2020-06-22
KR102634399B1 KR102634399B1 (ko) 2024-02-06

Family

ID=7107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902A KR102634399B1 (ko) 2018-12-12 2018-12-12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189484A1 (ko)
KR (1) KR1026343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7A (ko) 2022-09-01 2024-03-12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막 관통 펩타이드 도메인과 그 양 끝에 염기성 또는 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0233B1 (en) * 2018-12-19 2023-08-23 Audi Ag Vehicle with a display device
CN115179830B (zh) * 2022-09-03 2023-06-30 太原理工大学 一种智能座舱用自适应背部调节座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370U (ko) 1998-03-24 1999-10-25 홍종만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조립체
KR20120062111A (ko)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 블라인드 개별 작동형 파노라마 루프
US9528313B1 (en) * 2015-09-30 2016-12-27 Nathan Dhilan Arimilli Non-intrusive, adaptive tracking and shading device
US20180162299A1 (en) * 2016-12-12 2018-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with coupled motion and enhanced storage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8370U (ko) 1998-03-24 1999-10-25 홍종만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조립체
KR20120062111A (ko) *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롤 블라인드 개별 작동형 파노라마 루프
US9528313B1 (en) * 2015-09-30 2016-12-27 Nathan Dhilan Arimilli Non-intrusive, adaptive tracking and shading device
US20180162299A1 (en) * 2016-12-12 2018-06-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sole with coupled motion and enhanced storage capabili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2667A (ko) 2022-09-01 2024-03-12 주식회사 안단테에프엠 막 관통 펩타이드 도메인과 그 양 끝에 염기성 또는 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항균 펩타이드 및 그 변이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9484A1 (en) 2020-06-18
KR102634399B1 (ko) 202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72111A (ko) 변형 헤드라이닝 장치
US7469960B2 (en) Vehicle roof comprising a roller blind system
US20130341972A1 (en) Roller blind apparatus for panoramic sunroofs
EP2196342B1 (en) Roll sunshade device
US20150002991A1 (en) Display screen arrangement and method of assembly
US20090174217A1 (en) Integrated Shade Assembly for a Vehicle Window
US20190100151A1 (en) Vehicle privacy screen
US20130341973A1 (en) Two-way interlock sliding system and roller blind apparatus havnig the same
US7287811B2 (en) Assembly for covering an opening
KR20140040402A (ko) 롤러형 바를 이용한 롤 블라인드 장치
CN205365443U (zh) 具有投影设备的车辆
JP2009018792A (ja) 乗用車のための可動のルーフ
CN111132869A (zh) 具有在投影面背面的投影仪的显示装置
JP5071036B2 (ja) 自動車用ルーフシェード装置
US20190126837A1 (en) System for covering a motor-vehicle luggage compartment
CN211809414U (zh) 用于车辆内饰的装饰件
US6517149B2 (en) Motor vehicle roof with a roof opening and two covers
CN113479140B (zh) 车辆内部部件和包括车辆内部部件的车辆
JP2020117172A (ja) 車両用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9096268A (ja) キャンバストップ構造
JP6081203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01180278A (ja) 巻取式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4046836A (ja) サンルーフ装置
CN206277920U (zh) 能够调节遮蔽量的门帘组件
JP2002225567A (ja) 自動車ドアの雨覆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