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1899A -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99A
KR20200071899A KR1020180158961A KR20180158961A KR20200071899A KR 20200071899 A KR20200071899 A KR 20200071899A KR 1020180158961 A KR1020180158961 A KR 1020180158961A KR 20180158961 A KR20180158961 A KR 20180158961A KR 20200071899 A KR20200071899 A KR 20200071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ck beam
body structure
connection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8953B1 (ko
Inventor
김도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89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8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8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차량 전방으로 연장된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멤버; 및 제1백빔의 하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복수의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 지지체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FRONT LOWER CRASH BODY-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분야에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백빔을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여 차량이 전방 방향으로 충돌시에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가 우선적으로 충돌 하중을 받게 되어 충격을 완화시키므로, 차량의 엔진 룸을 형성하는 구조로서의 기능과 승객을 전방 충돌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전방 충돌로 인해 차량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은 차체의 전방 백빔을 통해 프런트사이드멤버로 전달된다. 이 프런트사이드멤버가 좌굴되면서 충격을 일정량을 흡수한 후 나머지 충격이 프런트사이드멤버를 통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이다.
한편, 전기차 등 차세대 차량은 실내 공간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엔진룸의 공간은 비교적 종래의 차량보다 작게 설계되고 있다. 결국 전방 충돌시 충격량을 흡수 할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큰 충격량이 차체로 전달되어 실내공간이 압착됨으로써,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방 차체 구조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691110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전방 차체 구조분야에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백빔을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는,
차량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차량 전방으로 연장된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멤버; 및 제1백빔의 하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복수의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멤버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지지멤버는 평행을 이루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멤버는 상면과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된 멤버 형상이며,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비드는 지지멤버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비드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비드는 지지멤버의 내부를 향해 만입되도록 형성된 일정 길이의 홈 형상일 수 있다.
지지멤버의 측면은 차량 내측을 향하는 지지멤버의 내측단에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멤버의 외측단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지지멤버의 측면은 지지멤버의 내측단과 외측단에서 각각 상면과 하면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멤버의 단면 형상이 닫힌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면과 하면의 외측단은 지지멤버의 측면보다 차량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플랜지부를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멤버의 후단부는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 중 차체와 연결되는 전방마운트가 형성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 및 제2백빔에 연결된 커넥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션부는 제1백빔의 중앙 지점과 제2백빔의 중앙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
커넥션부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고 전면부와 후면부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닫힌 형상의 단면을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는 상단이 제1백빔과 연결되고 하단이 제2백빔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백빔은 패널형상의 전면부 및 전면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되고, 커넥션부의 전면부는 제2백빔 전면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커넥션부의 후면부는 제2백빔의 상부 절곡부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션부는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커넥션부는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제2백빔 및 제1백빔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션부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션부는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로 구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의 좌측부 및 제2백빔의 우측부에 연결되며, 제2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의 우측부 및 제2백빔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제2커넥션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베이스패널에서 돌출되며 베이스패널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제2커넥션부의 베이스패널 중앙부에 교차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측 돌출부와 타측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에 따르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2개의 백빔을 통해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차체 구조에 비해서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록 엔진룸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2개의 백빔을 통해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성능이 유지 내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지지멤버가 제2백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지지멤버의 후단부가 전방마운트가 형성된 지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가 차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지지멤버가 제2백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지지멤버의 후단부가 전방마운트가 형성된 지점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최근 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차량은 엔진룸의 공간을 축소하고, 차량의 실내 공간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서, 엔진룸의 공간을 축소하는 숏 오버행 차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차체 내부에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도 짧아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경우 전방 충돌시 프런트사이드멤버가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게 된다. 결국, 큰 충격량이 차체로 전달되어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면서, 탑승자에게 상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는, 차량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차량 전방으로 연장된 프런트사이드멤버(5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100);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600)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멤버(300); 및 제1백빔(100)의 하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복수의 지지멤버(3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20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는 프런트사이드멤버(5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100)이 마련된다. 제1백빔(100)은 전방 충돌시 좌굴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나머지 충격은 프런트사이드멤버(5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양 측의 프런트사이드멤버(500)가 좌굴되면서 많은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프런트사이드멤버(5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근 숏 오버행 차체로 엔진룸이 작아지는 추세에 비추어 프런트사이드멤버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멤버(300)를 통해 전방 충돌에 대해서 충격을 이중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복수의 지지멤버(300)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600)의 전단부에서 각각 차량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지지멤버(300)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200)은 전방 충돌시 좌굴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나머지 충격은 복수의 지지멤버(300)를 통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지지멤버(300)들이 좌굴되면서 많은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지지멤버(300)를 통해 프런트서브프레임(6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지멤버(300)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600)의 전단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지지멤버(300)는 평행을 이루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각각 2개의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가 4개의 로드패스를 형성하면서, 4개의 로드패스를 통해 충격이 차체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가 이중으로 전방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좌굴되기 때문에, 프런트사이드멤버(500)의 길이가 짧아진다고 하더라도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충돌 강성이 유지 내지 향상되는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5와 같이 지지멤버(300)는 상면(320)과 하면(340) 및 상면(320)과 하면(340)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된 멤버 형상이며,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비드(38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380)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충돌시에 좌굴이 더 잘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결국, 지지멤버(300)가 좌굴성능이 우수해지므로 충격량을 많이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비드(380)는 지지멤버(300)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비드(380)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드가 지지멤버(300)의 전방부에 형성됨으로써, 전방 충돌시 지지멤버(300)의 전방부는 좌굴되도록 하고 후방부는 좌굴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만약, 지지멤버(300)가 전방부에서 후방부까지 완전히 좌굴된다면, 차량의 전방부가 탑승자가 있는 실내공간으로 밀고 들어와서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멤버(300)의 전방부만 좌굴을 유도하고 후방부는 좌굴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전방부가 실내공간으로 밀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비드(380)는 지지멤버(300)의 내부를 향해 만입되도록 형성된 일정 길이의 홈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충돌시 지지멤버(30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단계적으로 구겨지면서 좌굴되므로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지지멤버(300)의 측면은 차량 내측을 향하는 지지멤버의 내측단(365)에서 상면(320)과 하면(340)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멤버(300)의 외측단은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지지멤버(300)의 외측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전방 충돌시에 지지멤버(300)는 전방부가 차량의 외측으로 꺽이면서 휘게 되므로 충격 흡수량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지지멤버(300)의 측면은 지지멤버의 내측단(365)과 외측단(370)에서 각각 상면(320)과 하면(340)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멤버(300)의 단면 형상이 닫힌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면(320)과 하면(340)의 외측단(370)은 지지멤버(300)의 측면보다 차량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플랜지부(375)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지지멤버(300)가 닫힌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비드(380)가 형성되지 않은 지지멤버(300)의 후방부는 충돌강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후방부가 좌굴되지 않음으로써 차체가 실내공간으로 밀고 들어오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향샹된다. 특히, 숏 오버행 차체 중에서도 극도로 전방 차체 길이가 짧은 경우라 하더라도 지지멤버(300)의 후방부가 충돌에 대해서 좌굴되지 않음으로써, 차체가 실내공간으로 밀고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5와 같이 지지멤버(300)의 후단부는 프런트서브프레임(600)의 전단부 중 차체와 연결되는 전방마운트(620)가 형성된 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멤버(300)를 통해 유입된 충격은 프런트서브프레임(600)을 통해 전방마운트(620)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로드패스가 더욱 잘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3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는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에 연결된 커넥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넥션부(400)가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을 연결함으로써 로드패스가 더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션부(400)가 전방 충돌시 차량의 내측으로 좌굴되면서 충격량을 흡수하므로 차량의 충돌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 내지 3과 같이 커넥션부(400)는 제1백빔(100)의 중앙 지점과 제2백빔(200)의 중앙 지점을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커넥션부(400)가 연결됨으로써 제1백빔(100)과 제2백빔(200)간에 상호 로드패스가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제1백빔(100) 또는 제2백빔(200) 중에서 어느 하나에만 충돌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커넥션부(400)를 통해 충격이 다른 백빔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과 같이 커넥션부(400)는 전면부(420)와 후면부(440)로 구성되고 전면부(420)와 후면부(440)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닫힌 형상의 단면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전면부(420)와 후면부(440)가 이격되어 속이 비어있음으로써, 전방 충돌시 우선적으로 커넥션부(400)의 전면부(420)가 좌굴된다. 이어서 커넥션부(400)의 후면부(440)가 좌굴됨으로써 이중으로 충격을 감쇄되므로 충격 흡수량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커넥션부(400)의 전면부(420)와 후면부(440)는 상단이 제1백빔(100)과 연결되고 하단이 제2백빔(200)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백빔(200)은 패널형상의 전면부(420) 및 전면부(420)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220)로 구성되고, 커넥션부(400)의 전면부(420)는 제2백빔(200)의 전면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커넥션부(400)의 후면부(440)는 제2백빔(200)의 상부 절곡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절곡부(220)가 형성되어 제2백빔(200)의 단면2차모멘트가 증대되고, 따라서, 전방 충돌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커넥션부(400)의 전면부(420) 및 후면부(440)가 각각 제2백빔(200)의 전면부(420)의 상부 및 상부 절곡부(220)에 연결됨으로써, 전면부(420)와 후면부(440) 사이가 확실히 이격된다. 결국, 전면부(420)와 후면부(440)가 각각 좌굴되면서 전방 충돌에 대한 충격 흡수량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도 6과 같이 커넥션부(400)는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커넥션부(400)는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제2백빔(200) 및 제1백빔(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커넥션부(400)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제1백빔(100), 제2백빔(200) 및 한 쌍의 커넥션부(400)가 연결되어 사각형의 크래쉬박스를 형성함으로써 전방 충돌시 충돌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즉, 충돌 초기시에 크래쉬박스가 좌굴되면서 우선적으로 충격을 감쇄시키고 난 후,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를 통해서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커넥션부(400)가 좌측 및 우측에 한 쌍이 배치됨으로써 프런트사이드멤버(500) 및 지지멤버(300)에 더욱 효과적으로 충격을 전달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한 쌍의 커넥션부(400)는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로 구성되고, 제1커넥션부(46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100)의 좌측부 및 제2백빔(200)의 우측부에 연결되며, 제2커넥션부(48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100)의 우측부 및 제2백빔(200)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가 서로 교차됨으로써 충격에 대한 로드패스가 다양하게 형성된다. 즉, 전방 충돌시 충격이 제1커넥션부(460) 및 제2커넥션부(480)가 서로 교차된 지점에서 각각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으로 전달되면서 충격이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션부(48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485) 및 베이스패널(485)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베이스패널(485)에서 돌출되며 베이스패널(485)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490)가 형성되고, 제1커넥션부(460)는 제2커넥션부(480)의 베이스패널(485) 중앙부에 교차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측 돌출부(490)와 타측 돌출부(49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 돌출부(490)와 타측 돌출부(490)의 사이에 제1커넥션부(460)가 배치되게 함으로써 조립시 정확한 위치에서 서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커넥션부(480)에 돌출부(490)가 형성됨으로써 전방 충돌에 대한 저항 강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제1커넥션부(460)가 좌굴되는 경우, 제2커넥션부(480)가 이를 받쳐줌으로써 충격을 더욱 흡수하게 되고, 베이스패널(485) 및 돌출부(490)를 따라서 제1백빔(100) 및 제2백빔(200)으로 충격이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경우 숏 오버행 차체라 하더라도 프런트사이드멤버 및 지지멤버를 통해서 전방 충돌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충격 흡수량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넥션부를 통해 다양한 로드패스가 형성되어 제1백빔 및 제2백빔으로 효과적으로 충돌 에너지가 분산되므로 전방 충돌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제1백빔 200 : 제2백빔
300 : 지지멤버 400 : 커넥션부
500 : 프런트사이드멤버

Claims (17)

  1. 차량 전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는 각각 차량 전방으로 연장된 프런트사이드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1백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멤버; 및
    제1백빔의 하방에 배치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고, 복수의 지지멤버의 전단부에 연결된 제2백빔;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방 지지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멤버는 차량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지지멤버는 평행을 이루며 전방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멤버는 상면과 하면 및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으로 구성된 멤버 형상이며,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비드는 지지멤버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복수의 비드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비드는 지지멤버의 내부를 향해 만입되도록 형성된 일정 길이의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지지멤버의 측면은 차량 내측을 향하는 지지멤버의 내측단에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멤버의 외측단은 개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지지멤버의 측면은 지지멤버의 내측단과 외측단에서 각각 상면과 하면을 연결함으로써 지지멤버의 단면 형상이 닫힌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고, 상면과 하면의 외측단은 지지멤버의 측면보다 차량 외측으로 더 연장되어 플랜지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지지멤버의 후단부는 프런트서브프레임의 전단부 중 차체와 연결되는 전방마운트가 형성된 지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 및 제2백빔에 연결된 커넥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커넥션부는 제1백빔의 중앙 지점과 제2백빔의 중앙 지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커넥션부는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성되고 전면부와 후면부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닫힌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커넥션부의 전면부와 후면부는 상단이 제1백빔과 연결되고 하단이 제2백빔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2백빔은 패널형상의 전면부 및 전면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차량의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로 구성되고, 커넥션부의 전면부는 제2백빔 전면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커넥션부의 후면부는 제2백빔의 상부 절곡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커넥션부는 한 쌍이 마련되고, 한 쌍의 커넥션부는 하단부 및 상단부가 각각 제2백빔 및 제1백빔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한 쌍의 커넥션부는 차량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각각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한 쌍의 커넥션부는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로 구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의 좌측부 및 제2백빔의 우측부에 연결되며, 제2커넥션부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제1백빔의 우측부 및 제2백빔의 좌측부에 연결되고, 제1커넥션부 및 제2커넥션부가 서로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제2커넥션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패널 및 베이스패널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베이스패널에서 돌출되며 베이스패널을 따라 연장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커넥션부는 제2커넥션부의 베이스패널 중앙부에 교차되도록 연결됨으로써 일측 돌출부와 타측 돌출부의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KR1020180158961A 2018-12-11 2018-12-11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KR102588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961A KR102588953B1 (ko) 2018-12-11 2018-12-11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961A KR102588953B1 (ko) 2018-12-11 2018-12-11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899A true KR20200071899A (ko) 2020-06-22
KR102588953B1 KR102588953B1 (ko) 2023-10-16

Family

ID=7114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961A KR102588953B1 (ko) 2018-12-11 2018-12-11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89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4416A1 (fr) * 2006-08-01 2008-02-06 Peugeot Citroën Automobiles S.A. Cadre de bloc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JP2009292340A (ja) * 2008-06-05 2009-12-17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KR20110114263A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크래쉬박스
JP2016117433A (ja) * 2014-12-22 2016-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101691110B1 (ko) 2015-07-09 2017-0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4416A1 (fr) * 2006-08-01 2008-02-06 Peugeot Citroën Automobiles S.A. Cadre de bloc avant de véhicule automobile
JP2009292340A (ja) * 2008-06-05 2009-12-17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KR20110114263A (ko) * 2010-04-13 2011-10-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크래쉬박스
JP2016117433A (ja) * 2014-12-22 2016-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101691110B1 (ko) 2015-07-09 2017-01-09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8953B1 (ko) 202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678B2 (en)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for coping with small overlap collision
JP5749959B2 (ja) 車体前部構造
KR102660344B1 (ko) 차량의 차체 전방 구조체
KR102691483B1 (ko) 차량의 전방 지지체
KR20120062217A (ko) 차량용 범퍼의 크래쉬박스
US8888167B2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KR101458702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KR10082647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CN107487368B (zh) 前纵梁结构及具有其的车身
CN215398951U (zh) 车身侧面碰撞的传力结构及汽车
CN108725590B (zh) 前部车身增强结构
KR100916148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JP6027448B2 (ja) 車体前部構造
JPH0840304A (ja) 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を吸収する構造
KR101189063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20200071899A (ko) 차량의 전방 하부 충돌 차체구조
JP5027684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057986B1 (ko) 차량용 범퍼유닛
US20200079432A1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2456470B1 (ko)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
CN107662566B (zh) 防撞梁总成及车辆
KR20200074318A (ko) 차량의 전방 충돌 구조체
KR101137257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CN214450791U (zh) 吸能盒、防撞梁总成及车辆
KR20050015333A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