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0216A - 전기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0216A
KR20200070216A KR1020207003827A KR20207003827A KR20200070216A KR 20200070216 A KR20200070216 A KR 20200070216A KR 1020207003827 A KR1020207003827 A KR 1020207003827A KR 20207003827 A KR20207003827 A KR 20207003827A KR 20200070216 A KR20200070216 A KR 20200070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charged
dus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ttachm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 이이즈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0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전기 집진 장치는, 기체 유입부 및 기체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기체 유입부와 기체 유출부의 사이에 흐르는 기체 중의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12)를 구비한다. 하전부(12)는,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하전 극판(15)과 접지 극판(14)을 갖는다. 하전 극판(15) 및 접지 극판(14)의 적어도 한쪽에 복수의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분진 부착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분진은, 하전 극판(15)에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발생하는 경도력에 의해 분진 부착부(20a)에 퇴적됨으로써 하전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 장치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부유 입자를 하전(荷電)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체 중의 분진을 하전시켜 포집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코로나 방전의 고전계에 의해 발생하는 정전기력으로 하전한 분진을, 접지 극판의 판면 상에 포집하는 기술이 널리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부와 집진부를 갖는다. 하전부는, 하전부의 방전극에 직류 고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양극 코로나 또는 음극 코로나를 발생시키고, 하전부를 통과하는 분진에 양 또는 음의 전하를 갖게 하여 하전한다. 집진부는, 직류 고전압이 인가된 하전 극판과, 접지된 접지 극판을 갖고, 하전한 분진을 정전기력으로 접지 극판 면 상에 포집한다.
이하,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의 원리에 대하여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와 집진부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부(104)와 집진부(105)에 의해 구성된다. 통풍 방향은, 하전부(104)로부터, 집진부(105)로의 방향(도 22에 있어서의 좌로부터 우)이다. 하전부(104)와 집진부(105)에는 각각 +11㎸와 +8.3㎸의 직류 고전압이 직류 고압 전원(109)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하전부(104)는, 돌기 형상의 방전극(104A)과 접지 극판(104B)에 의해 구성된다. 방전극(104A)에 +11㎸의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방전극(104A)과 접지 극판(104B)의 사이의 공간에 양극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이 양극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한 양이온이, 공간 중의 분진(도시되지 않음)에 양의 전하를 주어, 분진은 양으로 하전된다. 하전한 분진은 후단의 집진부(105)에 있어서의, 하전 극판(105A)과 접지 극판(105B) 사이에서 형성되는 강전계에 의해, 정전기력으로 접지 극판(105B) 상에 포집된다(집진 원리).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일반적인 터널 환기 설비용 전기 집진 장치는, 풍량당 소비 전력이 110W/(㎥/s) 정도이다. 이로부터 1㎥/min당 소비 전력은 약 2W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의한 공기 청정기에서는, 처리 풍량이 0.3㎥/min인 경우에 소비 전력은 3.5W이고, 이로부터 1㎥/min당 소비 전력은 약 12W가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1997-225340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1997-239289호 공보
이와 같은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104)에 있어서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에 따르는 전기요금이 커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미소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분진을 하전시키는 것에 의해, 하전부에서의 전력 발생을 줄이고, 소비 전력에 따르는 전기요금을 적게 할 수 있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과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는, 기체 유입부 및 기체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기체 유입부와 기체 유출부의 사이에 흐르는 기체 중의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를 구비한다. 하전부는,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하전 극판과 접지 극판을 갖는다. 하전 극판 및 접지 극판의 적어도 한쪽에 복수의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분진 부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분진은, 하전 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경도력(gradient force)에 의해 분진 부착부에 퇴적되고, 하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진은, 경도력에 의해 분진 부착부에 퇴적되고, 퇴적된 분진 부착부와 동일한 극성으로 유도 하전에 의해 하전한다. 이것에 의해, 비산한 하전 분진을, 하전 분진과 상이한 극성으로 하전하고 있는 접지 극판 또는 하전 극판으로 집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를 사용한 터널 환기 설비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동 터널 환기 설비의 상면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분진의 퇴적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b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분진의 재비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2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 하전 극판의 개념도이다.
도 13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다른 하전부 하전 극판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6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a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에 분진이 퇴적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b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에 퇴적된 분진이 재비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9는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0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 사시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와 집진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우선,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의 설치의 일례로서, 터널 환기 설비에 사용되는 구성을 도 1~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를 사용한 터널 환기 설비를 내부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를 사용한 터널 환기 설비의 상면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 집진 장치(3)는, 터널 본선(1)의 상부에서, 환기 흡입구(2)로부터 환기 토출구(6)에 이르는 환기 풍로(4)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환기 팬(5)은, 환기 풍로(4)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환기 풍로(4)는 3 계통 있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 흡입구(2), 전기 집진 장치(3), 환기 풍로(4), 환기 팬(5)으로 1 계통을 구성하고, 공통의 환기 토출구(6)는 3 계통을 통합한 토출구로 되어 있다.
전기 집진 장치(3)의 측방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집진 보조 기기(7)와, 전기 집진 장치(3)와 전기 집진 보조 기기(7)를 작동시키는 고압 발생반(8)과, 제어반(9)이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도이다.
전기 집진 장치(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과, 케이싱(10) 내에 마련된 하전부(12)와 집진부(13)로 이루어지는 집진 유닛(11)과, 그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댐퍼(31)와,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상부에 세정 배관(32)과, 하부에 배선 단자함(33)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 유닛(11)은 케이싱(10) 내에 복수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0)은, 기체 유입부(10a) 및 기체 유출부(10b)를 갖는다.
댐퍼(31)는, 하전부(12) 및 집진부(13)를 구성하는 극판을 물로 세정할 때에 닫혀, 케이싱(10) 밖으로의 물의 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 세정 배관(32)은, 극판이나 애자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 내 배관이고, 그 재질은 스테인리스 또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배선 단자함(33)은 고압 발생반(8)으로부터의 배선을 일단 받는 상자이고, 배선 단자함(33)의 단자로부터 하전부(12)와 집진부(13)로 배선하여 고전압을 인가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의 형태의 특징인, 집진 유닛(11)의 하전부(1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11)은, 하전부(12)와, 집진부(13)와, 하전부 고압 전원(18)과, 집진부 고압 전원(19)을 포함한다.
하전부(12)는, 케이싱(10)의 내부에 마련되고, 기체 유입부(10a)와 기체 유출부(10b)의 사이에 흐르는 기체 중의 분진을 하전시킨다. 또한, 하전부(12)는, 접지 극판으로서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 극판으로서 하전부 하전 극판(15)을 갖는다.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은,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여기서 말하는 평행이란, 몇 도 기운 대략 평행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복수의 하전부 하전 극판(15)을 갖고 있지만,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은,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간격인 극판 간격 D1은 10㎜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극판 사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0.3㎸/㎜~1㎸/㎜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집진부(13)는,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갖는다.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은,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전부(12)와 마찬가지로, 집진부(13)는,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복수의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갖고 있지만,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은, 적어도 1개 있으면 된다.
하전부 고압 전원(18)은, 하전부 하전 극판(15)을 하전한다. 집진부 고압 전원(19)은,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하전한다. 또, 바람이 불어오는 쪽에 하전부(12), 바람이 불어가는 쪽에 집진부(13)가 배치되어 있다.
하전부(12), 집진부(13)의 극판 재질은, 예컨대 SUS 304이고, 판 두께는 0.4㎜~0.6㎜ 정도이다. 또, 하전부(12), 집진부(13)의 재질로서는, 도전체이면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하전부 하전 극판(15) 및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적어도 한쪽에는, 복수의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분진 부착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에는, 분진 부착부(20a)가,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한쪽 면 및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한쪽 면에 마련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분진 부착부(20a)는, 복수의 금속선에 의해 구성되고,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한쪽 면에 서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분진 부착부(20a)는, 인접하는 극판의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서로 마주 본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면 및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는 분진 부착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금속선은, 예컨대 선의 지름이 5㎛~20㎛ 정도, 길이가 0.1㎜~3㎜ 정도이다. 또, 금속선은,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접착되어 있다.
또, 인접하는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간격인 극판 간격 D1에 대한, 금속선의 길이의 비율은 0.01~0.3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율이 0.01 이상,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금속선의 길이가 0.1㎜ 이상이면, 금속선 단부에 발생하는 경도력이 강해지고,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율이 0.3 이하,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금속선의 길이가 3㎜ 이하이면,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 사이에서 스파크(국부 단락)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분진 부착부(20a)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금속선의 재질은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분진 부착부(20a)는, 도전성을 가지면서 녹에 강하기 때문에, 장치의 내구성이 높아진다.
분진 부착부(20a)에 있어서의, 한 개 한 개의 금속선의 극판으로의 접착은, 정전 식모를 이용한다. 정전 식모는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행한다. 정전 식모의 방법은, 우선,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을 20~30㎜ 정도의 간격으로 대향 배치하고,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5㎸ 정도의 직류 고전압을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다수의 금속선을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면, 유전 분극에 의해 금속선의 한쪽이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 상에 접착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금속선을 식모했지만, 식모 이외의 방법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금속선을 부직포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접착 고정하더라도 좋다. 또한, 식모한 각각의 금속선은, 한쪽의 단부가 극판 면에 접착되고, 다른 쪽의 단부가 극판 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 즉, 금속선은 선 상태로 되어 있다. 또, 금속선은, 극판 면에 대하여 직립(수직으로 선 상태)이더라도 좋고, 극판 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선 상태이더라도 좋다.
또한, 금속선은, 1개씩 떼어 접착할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금속선을 다발 형상으로 하여 극판 면에 접착 고정하더라도 좋다.
도전성 접착제는, 예컨대 도전물로서의 은과, 바인더로서의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고, 약 180℃에서 경화하는 것이고, 경화 후의 체적 저항률은 2.5×10-6Ωㆍ㎝이다.
또, 도전물은 도전성을 갖는 것이면 은 이외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금, 구리 등이다.
또한, 바인더는 열 경화성을 갖는 것이면 실리콘 이외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이다.
상기 구성을 가진 전기 집진 장치(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널 본선(1) 내의 차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터널 환기 설비로서 이용된다. 터널 환기 설비는, 환기 팬(5)을 운전함으로써, 환기 흡입구(2)로부터 분진을 포함한 오염 공기를 빨아들인다. 오염 공기 중의 분진은, 환기 풍로(4) 내에서 전기 집진 장치(3)에 의해 집진된다. 그리고, 터널 환기 설비는, 환기 토출구(6)로부터 분진을 제거한 공기를 터널 본선(1) 밖으로 배출한다.
전기 집진 장치(3)는, 집진 유닛(11)의 하전부(12)에서 환기 흡입구(2)로부터 빨아들여진 오염 공기 중의 분진을 하전시켜, 집진부(13)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에 부착시켜, 오염 공기 중으로부터 분진을 제거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특징은, 하전부 고압 전원(18)을 이용하지만,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미소한 코로나 방전으로, 경도력과 유도 하전에 의해 분진을 부착, 하전시키는 것이다. 이 작용을 도 7~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도 7은 도 6의 C부 확대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고압 전원(18)에서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음의 고전압을 거는 것에 의해, 하전부 접지 극판(14)으로부터 하전부 하전 극판(15)으로 향하는 전기력선이 작용한다. 이 전기력선은,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 상의 분진 부착부(20a)의 각 금속선 선단부에서 조밀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경도력이란, 유전체가 불평등 전계 중에서,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받는 힘을 가리키고, 도 7에 있어서 전기력선이 조밀하게 되어 있는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 상의 분진 부착부(20a)로 향해서 작용한다.
이 불평등 전계 중으로 날아온 분진의 거동에 대하여, 도 8a, 도 8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실시의 형태 1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분진의 퇴적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b는 실시의 형태 1의 하전부의 분진의 재비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12)로 날아온 분진은, 경도력에 의해,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분진 부착부(20a)의 가장 바람이 불어오는 쪽(도 8a에 있어서의 좌측)이 되는 영역 S1로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또한, 영역 S1로 끌어당겨지지 않은 분진은, 최초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영역 S1보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도 8a에 있어서의 우측)이 되는 영역 S2로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또한, 영역 S2로 끌어당겨지지 않은 분진은, 2번째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영역 S2보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영역 S3으로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또한, 영역 S3으로 끌어당겨지지 않은 분진은, 3번째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영역 S3보다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영역 S4로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은, 분진 부착부(20a) 부근에서 전기력선이 조밀한 강전계가 되고,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여, 날아온 분진을 끌어당겨, 퇴적시킨다.
그리고,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분진 부착부(20a)에 퇴적된 분진은, 다량으로 퇴적되면 박리한다. 이때, 퇴적된 분진은, 부착되어 있던 극판과 동일한 전기 극성으로 하전(이 하전을 유도 하전이라고 한다)하여 재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분진 부착부(20a)에 퇴적되어 있던 분진은 양의 극성,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분진 부착부(20a)에 퇴적되어 있던 분진은 음의 극성으로 하전하여 재비산한다.
이 하전하여 재비산한 분진은, 집진부(13)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의 표면에 정전기력으로 포집된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한쪽 면에 분진 부착부(20a)를 갖는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한 것에 의해, 분진을 유도 하전에 의해 하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평행이란 몇 도 기운 대략 평행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즉,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적어도 한쪽 면에 분진 부착부(20a)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각 극판의 분진 부착부(20a)에서 전기력선이 만곡하여 조밀하게 되고,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다수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도력에 의해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분진 부착부(20a)에 분진이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다량으로 퇴적된 분진은, 퇴적된 하전부 접지 극판(14) 또는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동일한 극성으로 유도 하전에 의해 하전하고, 비산한다.
이 비산한 하전 분진은, 집진부(13)에 있어서 하전 분진과 상이한 극성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에서 집진된다. 결과적으로, 분진은, 하전부 접지 극판(14), 하전부 하전 극판(15) 사이에 고전압을 거는 것만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미소한 코로나 방전으로 하전되어, 집진된다. 이것에 의해, 하전부(12)에서의 전력 발생을 줄이고, 소비 전력에 따르는 전기요금을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집진부(13)는 평행 평판 내에 발생하는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분진을 포집하고 있고, 이것은 물리 접촉에 의한 필터식보다 압력 손실이 적고 분진의 포집률도 높다.
또한,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필터식보다 강전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작고, 또한 분진의 포집률이 높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2와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8a, 도 8b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0은 실시의 형태 2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도 10은 도 9의 D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 집진 장치도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12)와, 그 하류 측에 마련된 집진부(13)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전부(12)에 있어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어느 한쪽의 풍향 방향의 길이가, 인접하는 다른 쪽의 극판보다 길거나 또는 짧게 되어 있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부 하전 극판(15)이 하전부 접지 극판(14)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풍향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만 분진 부착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짧은 극판에만 분진 부착부(20a)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분진 부착부(20a)에 있어서의 금속선은, 일단 측이 극판 표면에 접착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타단 측이 극판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 즉, 선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금속선은, 반드시 직립 상태일 필요는 없고, 극판 표면과 금속선의 각도는 90도 이하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은 금속선을 극판 표면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한 정전 식모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진 부착부(20a)의 금속선은, 1개씩 떼어 접착될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금속선을 다발 형상으로 한 금속선 다발(21)(도 14 참조)이더라도 괜찮다. 이 경우,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상류 단변, 하류 단변을 구부려 세우고, 이 구부린 부분에 금속선 다발(21)을 접착하더라도 좋다. 또, 금속선 다발(21)에 대해서는, 실시의 형태 3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음의 고전압을 걸었을 때에,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의 위치를 겹치지 않게 한 것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단부에 보다 강한 불평등 전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8a, 도 8b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도력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단부의 분진 부착부(20a)에 분진이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그리고, 다량으로 퇴적된 분진은, 재비산한다. 이때, 분진은, 유도 하전에 의해, 퇴적되어 있던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동일한 극성으로 하전하여 비산한다.
이 비산한 하전 분진을, 하전 분진과 상이한 극성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에서 집진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하전부 접지 극판(14), 하전부 하전 극판(15) 사이에 고전압을 거는 것만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미소한 코로나 방전으로 분진을 하전하고, 집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전부(12)에서의 전력 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줄어든다. 또한, 분진 부착부(20a)가 극판의 단부에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높은 집진 성능을 얻을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ㆍ경량화ㆍ생산비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3)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3과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과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2는 실시의 형태 3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 하전 극판의 개념도이고, 도 13은 실시의 형태 3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도 13은 도 11의 E부 확대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 집진 장치에 있어서, 분진 부착부(20a)는,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에 바람의 흐름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하전부(12)에 있어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어느 한쪽의 풍향 방향의 길이가, 인접하는 다른 쪽의 극판보다 길거나 또는 짧게 되어 있다.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부 하전 극판(15)이 하전부 접지 극판(14)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에만 분진 부착부(20a)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짧은 극판에만 분진 부착부(20a)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금속선은, 예컨대 전체 길이가 10㎜ 정도이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진 부착부(20a)는,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에 극판으로부터 5㎜ 정도 비어져 나오도록 도전성 테이프(27)를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전 식모보다 금속선의 접착이 용이하게 되어, 제조 용이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진 부착부(20a)가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에 바람의 흐름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음의 고전압을 걸었을 때에, 인접하는 양측의 하전부 접지 극판(14)에 전계가 발생하고,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단부에 보다 강한 불평등 전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8a, 도 8b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도력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단부의 분진 부착부(20a)에 분진이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그리고, 다량으로 퇴적된 분진은, 재비산한다. 이때, 분진은, 유도 하전에 의해, 퇴적되어 있던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동일한 극성으로 하전하여 비산한다.
이 비산한 하전 분진을, 하전 분진과 상이한 극성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에서 집진할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하전부 접지 극판(14), 하전부 하전 극판(15) 사이에 고전압을 거는 것만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미소한 코로나 방전으로 분진을 하전하고, 집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하전부(12)에서의 전력 발생이 줄어들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줄어든다. 또한, 분진 부착부(20a)가 극판의 단부에만 구비되어 있더라도 높은 집진 성능을 얻을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ㆍ경량화ㆍ생산비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3의 전기 집진 장치의 다른 하전부 하전 극판의 개념도이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진 부착부(20a)는, 금속선 다발(21)을 균등한 간격으로 구비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 금속선 다발(21)은, 복수의 금속선을 다발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극판에 금속선을 1개씩 접착하는 것보다 접착이 매우 용이하게 되어, 제조 용이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1개의 금속선 다발(21)은, 금속선을 약 100개 모은 것으로 하고 있다. 선의 지름이 5㎛~20㎛의 금속선을 100개 정도의 다발로 하면, 하나의 다발의 직경은 0.5㎜~2㎜ 정도가 되고, 도전성 테이프(27)를 이용한 접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금속선 다발(21)의 선단 측은, 금속선끼리의 선단이 떨어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선 다발(21)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금속선의 총 개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 금속선의 수가 많을수록, 경도력에 의한 분진 부착량이 많아지므로, 금속선 다발(21)에 의하면,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의 형태 4)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4와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특징은, 분진 부착부로서 금속망(20b)을 구비한 것이다. 이 금속망(20b)은,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한쪽 면 및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한쪽 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다. 금속망(20b)은, 문자 그대로, 복수의 금속선에 의한 그물이고,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한쪽 면의 단부에 서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망(20b)은, 인접하는 극판의 대향하는 면의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주 본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면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면의 어느 한쪽의 면에는 금속망(20b)이 마련되어 있다. 금속망(20b)의 단부는, 금속망(20b)을 구성하는 금속선의 절단 단부로 되어 있고, 금속망(20b)의 주위는, 금속선 단부가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금속망(20b)은, 예컨대, 선의 지름 20㎛~60㎛ 정도, 메시 150~500 정도의 스테인리스 금속망으로 구성되고,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끼워 넣어 스폿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금속망(20b)은, 반드시 직립 상태일 필요는 없고, 극판 표면과 금속망(20b)의 각도는 90도 이하이더라도 좋다. 여기서, 금속망(20b)과 극판의 접점으로부터, 금속망(20b)의 정점까지의 거리를 금속망(20b)의 높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금속망(20b)의 정점이란, 기체가 흐르는 방향에 평행하고, 또한, 극판에 직교하는 면에 의한 금속망(20b)의 단면에 있어서, 극판과 금속망(20b)의 접점과 반대쪽의 단부를 말한다.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극판 간격 D1에 대한, 금속망(20b)의 높이의 비율은 0.01~0.3이 바람직하다. 비율이 0.01 이상,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금속망(20b)의 높이가 0.1㎜ 이상이면, 금속망(20b) 단부에 발생하는 경도력이 강해져,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율이 0.3 이하, 즉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금속망(20b)의 높이가 3㎜ 이하이면,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 사이에서 스파크(국부 단락)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망(20b)의 재질로서, 실시의 형태 1~3의 분진 부착부(20a)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가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금속망(20b)은, 도전성을 가지면서 녹에 강하기 때문에, 장치의 내구성이 높아진다.
본 실시의 형태의 특징에 대하여, 도 16~17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4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도 16은 도 15의 F부 확대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고압 전원(18)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음의 고전압을 거는 것에 의해, 하전부 접지 극판(14)으로부터 하전부 하전 극판(15)으로 향하는 전기력선이 작용한다. 이 전기력선은, 하전부 접지 극판(14) 및 하전부 하전 극판(15) 상의 금속망(20b) 부분에서 조밀하게 되도록 만곡하고,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불평등 전계는, 금속망(20b)의 단부, 즉, 금속선의 선단 부분에서 전기력선이 가장 조밀하게 된다고 생각되지만, 금속망(20b)의 1 매스를 구성하는 단부에 있어서도 전기력선이 조밀하게 되는 부분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실시의 형태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전부(12)에 흐르는 유체에 포함되는 분진은, 발생하는 경도력에 의해 금속망(20b)에 끌어당겨져, 금속망(20b)에 부착되고, 퇴적되게 된다. 또한, 금속망(20b)은, 극판에 세워져 마련되어 있으므로, 하전부(12)에 흐르는 유체는, 금속망(20b)을 통과한다. 그 때문에, 유체에 포함되는 분진은, 금속망(20b)을 통과할 때에 금속망(20b)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서도 금속망(20b)에 부착되게 된다.
또한, 바람이 불어오는 쪽의 금속망(20b)에 끌어당겨지지 않은 분진도, 최초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금속망(20b) 부근에서 형성되는 불평등 전계의 영역에서 바람이 불어가는 쪽의 금속망(20b)에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도 17a는 실시의 형태 4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에 분진이 퇴적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7b는 실시의 형태 4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에 퇴적된 분진이 재비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즉,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은, 금속망(20b) 부근에서 전기력선이 조밀한 강전계가 되고,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여, 날아온 분진을 끌어당겨, 퇴적시킨다. 그리고,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금속망(20b)에 퇴적된 분진은, 다량으로 퇴적되면 박리한다. 이때, 박리한 분진은, 부착되어 있던 극판과 동일한 전기 극성으로 하전하여 재비산한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3과 마찬가지로, 하전한 입자는, 재비산하고, 집진부(13)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의 표면에 정전기력으로 포집된다.
이와 같이, 금속망(20b) 근방에서는 불평등 전계의 영역이 형성되고, 날아오는 분진이 끌어당겨져, 부착된다. 금속망(20b)은, 금속선을 종횡으로 배치한 것이므로, 단부가 되는 개소가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부착되는 분진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많은 분진을 하전할 수 있다. 하전한 분진은, 재비산하여 집진부(13)에서 포집되게 되므로, 높은 집진율이 된다.
(실시의 형태 5)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 5와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19는 실시의 형태 5의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또, 도 19는 도 18의 G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전기 집진 장치도 실시의 형태 4와 마찬가지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12)와, 그 하류 측에 마련된 집진부(13)를 포함한다. 또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에 금속망(20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하전부(12)에 있어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어느 한쪽의 풍향 방향의 길이가, 인접하는 다른 쪽의 극판보다 길게 또는 짧게 되어 있다. 예컨대, 도 18에 나타내는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부 하전 극판(15)이 하전부 접지 극판(14)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때, 짧은 극판에만 금속망(20b)을 마련하더라도 좋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 하전 극판(15)에 음의 고전압을 걸었을 때에,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의 위치를 겹치지 않게 한 것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단부에 보다 강한 불평등 전계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7a, 도 17b에 있어서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도력에 의해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단부의 금속망(20b)에 분진이 끌어당겨져, 퇴적된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1~4와 마찬가지로, 퇴적된 분진은, 퇴적된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동일한 전기 극성으로 하전한다. 그리고, 하전한 분진은, 다량으로 퇴적되면 박리하고, 비산한다. 비산한 하전 분진을 집진부(13)의 상이한 극성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에서 집진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전부 하전 극판(15)과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단부의 위치를 겹치지 않게 한 것에 의해, 전계가 집중하기 쉬워져, 높은 집진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20은 전기 집진 장치의 하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 사시도이다. 도 21은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조 사시도이다.
이상의 실시의 형태 1~5에서 설명한 하전부(12)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하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부 하전 극판(15)이 극판 간격 유지관(41)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극판은 복수의 극판 유지봉(42)이 관통하고, 양단의 하전부 프레임(25)의 사이에 평행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하전부 프레임(25)에는 애자(24)가 마련되어 있고, 하전부 하전 극판(15)을 포함하는 전압 인가 부품을 지지하고, 또한 하전부 접지 극판(14)을 포함하는 접지 부품으로부터 전기 절연하고 있다.
집진부(13)는, 도 6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하전부 접지 극판(14), 하전부 하전 극판(15)의 매수와 각각 대략 동일한 매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또한, 집진부(13)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12)와 마찬가지로 양단의 집진부 프레임(26)의 사이에,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이 극판 간격 유지관(41)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극판에 4개씩의 극판 유지봉(42)을 이용하여 평행하게 지지 고정하고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전부(12)와 집진부(13)를 마련했지만, 집진부(13)를 마련하지 않고, 하전부(12)만의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한, 높은 집진 효율이 필요한 경우에는, 하전부 하전 극판(15), 및 하전부 접지 극판(14)의 각각 대향 위치에 예리한 돌기를 마련하고, 보조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유입하는 분진의 하전을 촉진시키는 구성이더라도 좋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전부(12)와 집진부(13)의 접지 극판 및 하전 극판은 평판 형상의 극판을 이용했지만, 섬유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의 극판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미소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경도력에 의해 하전 극판과 접지 극판의 금속망에 분진을 퇴적시킨다. 퇴적된 분진이 비산할 때에 퇴적되어 있던 하전 극판 또는 접지 극판과 동일한 극성으로 유도 하전에 의해 하전하고, 이 비산한 하전 분진을 집진부의 상이한 극성의 접지 극판 또는 하전 극판에서 집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하전부에서의 전력 발생을 줄이고, 전력 절약이 가능하게 되므로, 넓은 범위에서 유용하다.
1 : 터널 본선
2 : 환기 흡입구
3 : 전기 집진 장치
4 : 환기 풍로
5 : 환기 팬
6 : 환기 토출구
7 : 전기 집진 보조 기기
8 : 고압 발생반
9 : 제어반
10 : 케이싱
10a : 기체 유입부
10b : 기체 유출부
11 : 집진 유닛
12 : 하전부
13 : 집진부
14 : 하전부 접지 극판(접지 극판)
15 : 하전부 하전 극판(하전 극판)
16 : 집진부 접지 극판
17 : 집진부 하전 극판
18 : 하전부 고압 전원
19 : 집진부 고압 전원
20a : 분진 부착부
20b : 금속망
21 : 금속선 다발
24 : 애자
25 : 하전부 프레임
26 : 집진부 프레임
31 : 댐퍼
32 : 세정 배관
33 : 배선 단자함
41 : 극판 간격 유지관
42 : 극판 유지봉
104 : 하전부
104A : 방전극
104B : 접지 극판
105 : 집진부
105A : 하전 극판
105B : 접지 극판
109 : 직류 고압 전원

Claims (9)

  1. 기체 유입부 및 기체 유출부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기체 유입부와 상기 기체 유출부의 사이에 흐르는 기체 중의 분진을 하전시키는 하전부
    를 구비하고,
    상기 하전부는, 상기 기체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하전 극판과 접지 극판을 갖고,
    상기 하전 극판 및 상기 접지 극판의 적어도 한쪽에 복수의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분진 부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분진은, 상기 하전 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경도력(gradient force)에 의해 상기 분진 부착부에 퇴적됨으로써 하전되는
    전기 집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부착부는, 상기 하전 극판 또는 상기 접지 극판의 표면에 세워진 전기 집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부착부는, 상기 하전 극판 또는 상기 접지 극판과 평행하게 되도록 마련된 전기 집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부착부는, 스테인리스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 극판과 상기 접지 극판의 어느 한쪽이, 인접하는 다른 쪽의 극판보다 긴 또는 짧은 것이고, 상기 하전 극판, 상기 접지 극판 중, 짧은 극판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상기 분진 부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선은, 선의 지름을 5㎛~20㎛로 하고,
    각각의 상기 금속선의 일단을 상기 하전 극판 또는 상기 접지 극판에 접착하고,
    상기 하전 극판과 상기 접지 극판의 극판 사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0.3㎸/㎜~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선을 다발로 하고, 상기 하전 극판과 상기 접지 극판에 상기 금속선의 다발을 균등한 간격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 부착부는, 금속망으로 한 전기 집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망은, 선의 지름을 20㎛~60㎛로 하고,
    상기 하전 극판과 상기 접지 극판의 극판 사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0.3㎸/㎜~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KR1020207003827A 2017-10-30 2018-10-29 전기 집진 장치 KR20200070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9254 2017-10-30
JPJP-P-2017-209254 2017-10-30
PCT/JP2018/040026 WO2019087997A1 (ja) 2017-10-30 2018-10-29 電気集塵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216A true KR20200070216A (ko) 2020-06-17

Family

ID=6633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827A KR20200070216A (ko) 2017-10-30 2018-10-29 전기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WO2019087997A1 (ko)
KR (1) KR20200070216A (ko)
WO (1) WO2019087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1221B (zh) * 2021-11-11 2022-08-12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驻极体的表面积尘清除系统及其除尘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340A (ja) 1995-12-22 1997-09-02 Fuji Electric Co Ltd 電気集じん機
JPH09239289A (ja) 1996-03-05 1997-09-16 Aten:Kk 静電式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22062A (ja) * 1983-12-05 1985-06-29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US5707428A (en) * 1995-08-07 1998-01-13 Environmental Elements Corp. Laminar flow electrostatic precipitation system
JP3503718B2 (ja) * 1996-03-28 2004-03-08 東陶機器株式会社 電気集塵器及びこれの集塵電極の集塵電極用被覆膜
DE19650585C2 (de) * 1996-12-06 2001-11-22 Appbau Rothemuehle Brand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Aufladung und Abtrennung schwierig abzuscheidender Partikel aus einem Gasfluid
US6635106B2 (en) * 2000-03-03 2003-10-21 Matsushita Seiko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3997941B2 (ja) * 2003-03-28 2007-10-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集塵装置
CA2605965C (en) * 2005-04-19 2012-01-03 Ohio University Composite discharge electrode
JP2010075864A (ja) * 2008-09-26 2010-04-08 Panasonic Corp 電気集塵機
PL2836305T3 (pl) * 2012-04-13 2018-01-31 Tecnologica S A S Di Vanella Salvatore & C Zespół filtrujący
JP5655841B2 (ja) * 2012-10-30 2015-0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JP6684986B2 (ja) * 2014-10-29 2020-04-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WO2016076554A1 (ko) * 2014-11-10 2016-05-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주파수 필터 및 그 제작 방법
JP2018051507A (ja) * 2016-09-30 2018-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MY182128A (en) * 2017-06-29 2021-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340A (ja) 1995-12-22 1997-09-02 Fuji Electric Co Ltd 電気集じん機
JPH09239289A (ja) 1996-03-05 1997-09-16 Aten:Kk 静電式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7997A1 (ja) 2019-05-09
JPWO2019087997A1 (ja)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489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EP2471602B1 (en) Electrical screening device for structures near high voltage parts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s
FI125997B (en) Electrical particle charging system and gas filtration method
JP2002500562A (ja) 空気清浄機
GB156417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S11040355B2 (en) Electric dust collecting filter and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same
KR101287915B1 (ko) 허니컴대전부를 갖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KR102481567B1 (ko) 전기 집진 장치
KR20160094615A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JP2018051507A (ja) 電気集塵装置
KR101287913B1 (ko)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
KR20200070216A (ko) 전기 집진 장치
RU2431785C2 (ru) Ионный вентилятор-фильтр
JP6684986B2 (ja) 電気集塵装置
KR20150027430A (ko) 전기집진 장치
KR101549600B1 (ko) 유해나노입자 제거장치
RU2181466C1 (ru) Ионный вентилятор-фильтр
KR102533511B1 (ko) 전기집진장치용 빗살형 이오나이저
US95745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ostatic bypass
KR102528775B1 (ko) 덕트 내 미세먼지 정화장치
KR0147748B1 (ko) 공기정화기의 전기집진필터
JPH0459940B2 (ko)
CN112154032B (zh) 静电除尘器和送风设备
JPS60114362A (ja) イオン風式空気清浄器
KR102530863B1 (ko) 중심 방전형 양방향전기집진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