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684A -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684A
KR20200068684A KR1020207012620A KR20207012620A KR20200068684A KR 20200068684 A KR20200068684 A KR 20200068684A KR 1020207012620 A KR1020207012620 A KR 1020207012620A KR 20207012620 A KR20207012620 A KR 20207012620A KR 20200068684 A KR20200068684 A KR 20200068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sound
adaptation
audio signal
lev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7425B1 (ko
Inventor
더크 위팅
토비아스 브런즈
잰 레니스-호쉬뮤트
Original Assignee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filed Critical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Publication of KR20200068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03G5/02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A61B5/123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subjective metho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 H03G9/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 H03G9/025Combinations of two or more types of control, e.g. gain control and tone control in untuned amplifiers frequency-dependent 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e.g. multiple-band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L9/0041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 G01L9/0076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using photoelectric means
    • G01L9/0077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using photoelectric means for measuring reflected light
    • G01L9/0079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flexible diaphragms using photoelectric means for measuring reflected light with Fabry-Pero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02Manually-operate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상이한 사운드 압력 레벨들의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을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이한 레벨들을 갖는,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을 개인에게 플레이하는 하위단계; 개인으로부터,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 중의 어느 것이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피드백을 획득하는 하위단계; 및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에 대한 레벨로서,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연관된 제1 음향 오디오 신호를 개별 리스닝 임계치 초과인 음향 오디오 신호로서 특성화하는 피드백이 이용가능한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의 상이한 레벨들 중 최저 레벨을 이용하는 하위단계를 포함하는, 제1 리스닝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와, 사후-프로세싱된 제2 음향 신호를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고려하여 개인에 의해 선택된 총 음량 레벨에 따라 제2 오디오 신호를 플레이하는 하위단계; 및 개인이 상호작용에 의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추가적인 변동을 희망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변동시키는 하위단계를 포함하는 제2 오디오 신호의 적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입력 레벨 마다 출력 레벨의 개별 부스트 및/또는 개별 컷을 정의하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에 대한 레벨들이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에서의 최소 출력 레벨들로서 이용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디오 신호가 개별적으로 적응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뿐만 아니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효과적인 리스닝 임계치(listening threshold)를 고려하는 것에 의한 개별 사운드 적응(sound adaptation)에 관한 것이다.
음악 신호들을 개별 청취(hearing)에 적응(adapt)시키기 위하여, 등화기(equalizer)의 적응은 현재의 오디오 디바이스들에서의 폭넓게 알려진 변형(variation)이다. 등화기에 의해, 음악 신호가 플레이되기 전에 주파수-종속적 증폭(frequency-dependent amplification)이 음악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각각의 주파수 대역들만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등화기를 동작시키는 것은 비전문가에게는 보통 복잡하다. 그러므로, 과거에는, 방법들이 단순화된 또는 안내된 방법으로 사운드(sound)를 청취에 적응시키도록 개발되었다. 여기서, 지각된 사운드에 대해 영향력을 가지는 다음과 같은 상이한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헤드폰(headphone)들로부터 귀까지의 음향 경로(acoustic path), 최대 음향 레벨에 대한 기술적 제한들,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 청취 능력의 가능성있는 제한 뿐만 아니라, 적응이 행해져야 하는 음악의 작품(piece)의 스펙트럼 내용. 청취 능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일부 방법들은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 방법들을 이용한다. 최근의 연구들은 음악을 리스닝할 때의 바람직한 사운드 설정이 리스닝 임계치에 기초하여 추론될 수 없음을, 즉, 동일한 주파수-종속적 리스닝 임계치를 갖는 사람들이 매우 상이한 사운드 선호도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상적인 음량(즉, 리스닝 임계치 초과)에서 음악을 리스닝하는 것은 오직 매우 제한된 정도까지의 절대적 리스닝 임계치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사운드 선호도들은 상이한 음악 작품들에 대해 "바로 그" 최적의 등화기 설정이 없도록, 상이한 음악 작품들 사이에서 달라진다.
일부 현존하는 방법들은 사용자의 리스닝 임계치(예컨대, Mimi Music 앱, Samsung Sound Adapt)를 추정함으로써, 사운드 개인화를 위한 파라미터들(여기서, 동일한 사운드 설정은 동일한 리스닝 임계치로부터 후속함)을 설정하기 위하여 노력한다. 여기에서의 하나의 문제는 리스닝 임계치 측정이 비-교정된(non-calibrated) 오디오 디바이스들 상에서 수행된다는 것이다. 이용된 헤드폰 및 이로 인한 시스템의 송신 경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따라, 교정된 오디오미터(audiometer)에 의한 것과 같은 절대적인 리스닝 임계치 측정이 행해질 수 없다.
청취 보조기(hearing aid)들에서의 설정들은 측정된 리스닝 임계치에 기초하여 행해지지만, 적응은 전문가(청능사(audiologist))에 의해 행해진다. 청취 보조기의 사용자는 미리 결정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스위칭할 수 있지만, 사운드 파라미터들의 임의의 자유로운 변경은 수행할 수 없다.
리스닝 임계치들을 결정하지 않는 적응 방법들에서, 사운드 파라미터들을 위한 디폴트 설정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의 신호의 사운드를 설정할 수 있다(예컨대, Soundhawk 앱, EAR들, Earmachine, BioAid). 그러나, 이 적응 개념들은 음악 작품의 조용한 악절(passage)들에서 역할을 하는, 사용자의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고려하지 않는다.
자동차에서의 사운드 적응을 위하여, 사운드 느낌이 가변적인 배경 잡음에 대하여 유지되도록, 주어진 배경 잡음에 대하여, 주파수-종속적 증폭을 타겟 신호에 적용하는 시스템이 제시되었다(문헌["Noise dependent equalization control." Audio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48th International Conference: Automotive Audio. Audio Engineering Society, 2012]). 그러나, 이 해결책은 예를 들어, 개별 청취 능력(hearing ability)에 기초하여 존재하는, 청취자(listener)의 개별 차이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그/그녀는 개별 사운드 설정들(트레이닝 단계(training phase))을 수행하는 동안, 시뮬레이팅된 운전/주변 잡음을 사용자에게 플레이하고, 그 다음으로, 동작 단계 동안에 실제의 운전/주변 잡음을 분석하고, 시뮬레이팅된 주변 잡음이 실제의 잡음과 정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운드 설정들을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자동차 오디오 시스템들을 위한 방법들이 특허되었다("Sound reproduction device including auditory scenario simulation"; 예컨대, US 9,445,169 또는 JP 5898305). 그러므로, 개선된 접근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리스닝 특성들 및 리스닝 선호도들을 완전히 고려하는 개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목적은 독립항들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설정 방법은 2개의 단계들로 분할된다: 제1 단계에서, 개별 리스닝 임계치에 적응된 레벨을 획득하는 목적을 가지고 어떤 종류의 리스닝 테스트가 (주파수 범위당) 수행된다. 이 제1 단계는 테스트 신호 또는 또한 실제의 신호와 같은 제1 오디오 신호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제2 단계에서, 제2(예컨대, 실제의) 오디오 신호는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을 위한 레벨을 고려함으로써 사운드 적응 특성 맵(sound adaptation characteristic map)을 변동시켜서 설정된다. 상세하게, 방법은 제1 리스닝 테스트를 수행하고 제2 오디오 신호의 적응을 수행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제1 리스닝 테스트는 다음의 하위단계들을 포함한다:
-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상이한 사운드 압력 레벨들의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을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이한 레벨들을 갖는,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을 플레이하는 것;
- 개인으로부터,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 중의 어느 것이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피드백을 획득하는 것; 및
-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에 대한 레벨로서,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연관된 제1 음향 오디오 신호를 개별 리스닝 임계치 초과인 음향 오디오 신호로서 특성화하는 피드백이 이용가능한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의 상이한 레벨들 중 최저 레벨을 이용하는 것.
그러한 방법으로 결정된 개별(주파수-종속적) 리스닝 임계치에 대한 주파수-종속적 레벨들에 기초하여, 적응은 다음의 하위단계들로 수행된다:
- 사후-프로세싱된 제2 음향 신호를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고려함으로써 개인에 의해 선택된 총 음량 레벨에 따라 제2 오디오 신호를 플레이하는 것;
- 개인이 상호작용에 의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추가적인 변동이 희망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변동시키는 것.
여기서,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입력 레벨 마다 출력 레벨들의 개별 부스트(individual boost) 및/또는 개별 컷(individual cut)을 정의한다.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에 대한 레벨들은 사운드 적응 특성 맵에서 최소 출력 레벨들로서 이용된다. 그러한 방법으로,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에 대한 레벨들은 또한, 사운드 적응 특성 맵들에 저장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이 제2 오디오 신호, 즉, 예를 들어, 현재 플레이되어야 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저장이 수행된다.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응시키는 단계는 더 이후에, 예를 들어, 오디오 신호의 변동이 희망될 때에 반복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 단계는 사운드 적응 온라인(sound adaptation online) 또는 현재 신호의 재조절(readjustment)로 지칭되고, 제1 리스닝 테스트에서 결정된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에 대한 레벨들을 여전히 고려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별 사운드 적응은 2단계 방법에 의해 유효 리스닝 임계치들을 고려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는 점에 기반한다. 제1 단계에서 (오프라인) 리스닝 테스트가 효과적인 리스닝 임계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반면, 제2 단계에서는 음악 신호들의 사운드 적응을 위한 방법이 수행된다(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선택적으로, 이 접근법은 현재의 신호의 재조절을 위한 제3 단계에 의해 확장될 수 있고, 여기서, 이 제3 단계는 사운드 특성을 "온라인으로"(즉, 동작 동안) 수정하기 위하여 제2 단계의 단계들을 필수적으로 반복한다. 이것을 위하여, 유효 리스닝 임계치는 개인별로 관련이 있고(그리고 각각의 개인의 관점으로부터 가변불가능한 리스닝 특성을 표현함), 통상적으로 재결정될 필요가 없으므로, 제1 단계는 반복될 필요가 없다.
제1 단계에서 유효 리스닝 임계치를 추정하는 것은 신호 제시를 위한 더 낮은 제한을 결정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는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이, 플레이되어야 할 오디오 신호에 대한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후속 적용에서와 같이 정의되고, 전체 주파수 범위에서의 조용한 신호 부분들은 가청(audible)인 것으로, 즉, 개별 유효 리스닝 임계치 초과인 것으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운드 개인화(sound personalization)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압축 설정들 선택 의해 수행되고, 여기서, 사용자는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리스닝하면서, 상이한 사운드 적응들 사이에서 라이브(live)로 변동될 수 있다(단계 3). 단계 2에서, 또는 반복된 단계 2, 즉, 단계 3에서, 바람직하게는, 사운드 적응들이 중간 및 높은 신호 레벨들에서 수행된다.
또 다른 관점에서, 이것은 제1 단계의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이, 개개의 (출력) 레벨 적응들을 중간 및 높은 신호 레벨들(입력 레벨)로 확장시키는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에 대한 레벨들(최소 레벨들)을 적어도 포함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양자의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 정의되는 것 뿐만 아니라, 중간 및 높은 신호 레벨에 대한 레벨 부스트들/컷들(boosts/cuts)은 주파수-선택적 방식으로 변동되는 것이 명백하다. 가장 중요한 장점은 사운드 설정 내에서의 개별 사운드 선호도 및 개별 유효 리스닝 임계치의 고려이다. 유효 리스닝 임계치는 조용한 신호 부분들이 가청인 것으로 유지됨을 보장한다. 중간 내지 높은 음량 범위에서는, 유효 리스닝 임계치는 사소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여기서, 사운드 선호도의 설정들이 이용된다. 이 방법은 유효 개별 리스닝 임계치, 및 실제의 리스닝 조건들 하에서 음악을 리스닝하기 위한 개별 사운드 적응을 고려하는 것을 조합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스닝 테스트 및 적응은 개인에 의해 및/또는 개인의 음향 환경에서 선택된 오디오 디바이스들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교정된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고 디바이스-특정 특성들이 마찬가지로 직접적으로 고려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리스닝 룸 또는 리스닝 룸에서의 개인의 위치, 그리고 여기서, 특히, 거리 및 음량 레벨의 연관된 감쇠에 의해 영향받는 특성들이 또한 고려된다. 이 접근법은 또한, 개념이 특정 하드웨어로 한정되지 않고 완전한 리스닝 상황이 고려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리스닝 상황이 변경될 때, 방법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오디오 신호는 운전 및/또는 주변 잡음의 시뮬레이션을 허용하는 신호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히, 제2 오디오 신호를 적응시키는 단계는 상이한 총 음량 레벨들에 대하여(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이한 출력 음량 레벨들에 대하여) 반복된다. 이것은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이 총 음량 레벨마다 저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성공적인 구현 후에, 오디오 시스템의 음량 제어는 개별 리스닝 상황에 대해 교정되어, 신호는 리스닝 임계치 미만으로만 하락되어 제어의 최저 단계에서 불가청으로 바뀐다. 최대 음량 설정은 기술적 시스템의 전체 동적 범위를 이용한다.
특히, 제3 단계에서, 또는 제2 단계를 수행할 때, 적응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변동시키는 것은 시간에 따른 결과적인 사운드 특성 변동 및/또는 시간에 따른 사운드 압력 레벨 차이들을 평활화(smooth)하기 위하여,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적어도 하나의 차원을 연속적으로 적응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 적응은 예를 들어, 2차원 시프트 제어, 또는 베이스(bass), 중간, 및 트레블(treble)을 위한 3개의 개별적인 제어들과 같은 제어를 작동시키는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사한 제어로, 유효 리스닝 임계치를 결정할 때, 상호작용은 사용자와 실행되는 장치 사이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유효 리스닝 임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는 예를 들어, 테스트 신호일 수 있는 반면, 제2 오디오 신호는 테스트 신호, 또는 (제한된 주파수 범위를 갖거나 갖지 않는) 복합 오디오 신호, 또는 또한 현재 음악 작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변동시키는 것은 개별 리스닝 임계치에 대한 레벨 초과인 입력 값들에 대하여, 그리고 제한을 위한 레벨 미만인 레벨들에 대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별 리스닝 임계치의 각각의 레벨에 적어도 10 dB 초과인 입력 레벨들 및/또는 제한을 위한 각각의 레벨에 적어도 3 dB 미만인 레벨들이 변동될 수 있다. 이 레벨 범위는 특히, 이 레벨 범위가 사운드 특성을 결정하기 때문에 관심을 끈다.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변동은 이러한 맵이 마스킹 임계치(masking threshold) 미만으로 하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여기서, 마스킹 임계치는 개별 리스닝 임계치에 의해 결정된다.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적응시키거나 적용하는 것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출력 레벨들에 대해 사운드 적응 맵에 따라 제2 오디오 신호를 사후-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되는 멀티대역 압축기(multiband compressor)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추가의 실시예는 위에서 논의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리스닝 테스트들의 하위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추가 적응 스테이지 뿐만 아니라, 적응시키는 하위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적응시키기 위한 추가 적응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추가의 개발들은 하위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논의할 것이다. 이들은 이하를 도시하고: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1b는 일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예시하기 위한 대역에서의 압축 특성 곡선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3 차원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적응을 위한 방법에서의 개별화 스테이지들의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3은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적응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논의되기 전에, 동일한 엘리먼트들 및 구조들은 동일한 것의 설명이 상호-적용가능하거나 상호-교환가능하도록 동일한 참조 번호들과 함께 제공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한다.
도 1a는 2개의 단계들(110 및 150)을 갖는 방법(100)을 도시한다. 제1 단계(110)에서, 제1 리스닝 테스트는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을 위한 레벨들을 결정할 목적으로 수행된다. 단계(150)는 적응을 위한 것이고, 미리 결정된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을 고려하는 사운드 개인화를 위한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획득하는 목적을 가진다.
단계(110)에서는, 필수적으로, 다음의 3개의 단계들(112, 114, 및 116)이 수행된다. 스텝(112)에서는, 상이한 레벨들, 예컨대, 감소하는 레벨들을 가지는 제1 오디오 신호가 플레이된다. 제1 오디오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하여 플레이되어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상이한 스위칭 레벨들을 갖는 제1 음향 신호를 개인에게 출력한다. 그것을 개인이 청취하고, 그 다음으로, 단계(114)에서 주파수 범위당 피드백을 제공한다. 피드백은 가장 작은 또는 일반적으로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1 음향 신호들을 특성화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개인은 그 또는 그녀가 더 이상 청취하지 않을 때까지, 제1 음향 신호를 획득하는 것을 수신확인(acknowledge)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된, 연관된 음향 신호가 개별 리스닝 임계치를 초과하고 피드백이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당 가장 낮은 레벨은, 단계(116)에 의해 나타난 바와 같이, 주파수 범위당 리스닝 임계치에 대한 레벨로서 채택되는데, 이는 개별 리스닝 임계치가 주파수-선택적이기 때문이며, 이 제1 리스닝 테스트는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 예컨대, 높고 낮은 주파수 범위 또는 복수의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20 내지 100 Hz, 100 내지 400 Hz, 400 내지 4,000 Hz, 4,000 내지 10,000 Hz, 10,000 내지 20,000 Hz)에 대하여 반복된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준비된 음악 신호(예컨대, 대역-제한된 음악 신호)는, 사인파 톤(sinusoidal tone)들로 측정된 오디오계측 리스닝 임계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음악 신호들을 위한 유효 리스닝 임계치가 결정되도록 제1 오디오 신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단계(110)의 결과는 추후에 도 1b에 기초하여 논의될 것이다. 도 1b는 입력 레벨들과 비교된 출력 레벨의 도면을 도시한다. 선형 전치증폭(linear preamplification)에서는, 입력 레벨이 출력 레벨로 일대일 맵핑된다. 예를 들어, -100 dB가 가정될 경우, 사운드 적응이 없으면 -100 dB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이러한 신호는 참조 번호 HS에 의해 표시되는 리스닝 임계치 미만이다. 이 실시예에서, 약 -70 dB를 가지는 이 리스닝 임계치 HS는 개인-특이적 및 주파수-특이적이다. 그러한 방법으로, 이 도면은 하나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서만 유효하고, 또한, 한명의 사람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이 결정된 리스닝 임계치로부터 시작하여, 더 낮은 입력 레벨들에 연관된 신호들은 증가되어, -100 dB 내지 -70 dB 사이의 범위에서 또는 -100 dB 내지 -60 dB 사이의 범위에서의 입력 레벨들에 기초한 출력 레벨들은 항상 리스닝 임계치 HS를 초과한다.
제2 단계(150)에서는, 제2 오디오 신호가 적응된다. 이 사운드 적응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주파수 범위에 걸친 중간 및 높은 신호 레벨들과 관련이 있고, 여기서, 적응은 또한, 전체 주파수 스펙트럼의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걸쳐 수행된다. 여기서, 주파수 범위들은 단계(110)에서의 적응과 유사하게, 또는 그에 독립적으로, 주파수 대역들 중의 하나로 하위분할될 수 있다.
단계(150)는 2개의 단계들(152 및 154)을 포함한다. 단계(152)는 개인에 의해 선택된 총 음량 레벨에 대응하는 현재의 음악 신호와 같은 제2 오디오 신호를 플레이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사운드 선호도들이 상이한 음량 범위들에서 청취자에 대하여 흔히 상이하기 때문에 중요하며, 특히, 단계(150)의 수단에 의해 결정된 적응은 바람직하게는 총 음량 레벨 범위에서 적용된다. 이에 대한 이유는 사용자가 낮은 전반적인 음량(부스팅된 베이스(bass) 및 트레블(treble))에서 배스툽 곡선(bathtub curve)을 선호할 수 있는 반면, 동일한 사용자가 베이스 및 트레블이 불쾌한 출력 레벨 범위로 부스팅되지 않도록 더 높은 전체 음량을 갖는 선형 증폭을 선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제2 오디오 신호는 사운드 적응 특성 맵에 따라 사후-프로세싱된 제2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고려함으로써 플레이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도 1b는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섹션, 즉, 특정 주파수 범위, 예컨대, 약 100 Hz 범위(800 내지 1500 Hz)에서의 특성 라인 K를 도시한다. 모든 관련된/가청 주파수들(30 Hz 내지 20 kHz, 또는 20 Hz 내지 22 kHz)에 걸친 전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은 도 1c에서 예시된다.
도 1c에 기초하여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은, 도 1b에서 이미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레벨들에 비교한 입력 레벨들 및 제3 차원에서 주파수 범위(단위: kHz)를 맵핑하는 3개의 차원을 포함한다. 예시되지 않더라도, 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은 또한 제4 차원, 즉, 전체 음량 레벨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단계(154)에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베이스, 중간, 또는 트레벨을 부스팅함으로써 사운드 적응 특성 맵 KF를 변동시킨다. 이 변동에 의해, 제2 음향 신호의 사후-프로세싱이 변경되어, 사용자는 직접적인 피드백을 수신한다. 그러나, 상기는 사운드 적응 맵을 변동시킬 때, 참조 번호 HSL에 의해 표시된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 미만으로 하락하지 않는다는 것, 및 그에 따라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이 라인 HSL에 의해 하나의 영역으로 제한된다는 것이 여전히 고려된다. 다음에서는, 도 1b를 참조하여, 변동(154)을 논의할 것이다. 압축기의 대역에 대하여 도 1b에서 도시된 이 압축 특성 곡선 K는 2개의 흑색 도트들 사이의 소위 사운드 개별화 범위(KIB)에서 변동될 수 있다. 이 사운드 개별화 범위는 전형적으로 소위 제한 포인트(L)와 리스닝 임계치(HS) 사이에 있고, 여기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HS까지 10 dB, 그리고 L까지 3 dB와 같은 특정 거리가 존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개별화 범위는 그러므로 상단 범위에 배치된다. 하단 범위는 리스닝 테스트에 의해 결정된 리스닝 임계치(HS)에 의해 결정되거나 지배된다. 이 리스닝 임계치로부터 시작하면, 범위 U1에서의 사운드 개별화 범위의 하단 포인트로의 전이가 발생하고, 이 전이는 포인트들 HS 및 사운드 개별화 범위 KIB에 따라 시프트된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이 주파수 범위 내에서의 주파수 범위의 부스트를 희망할 때, 사운드 개별화 범위(KIB)는 상단을 향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 어느 하나로 시프트되는 반면, 하단을 향한 시프트는 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레벨들을 컷하는 것을 희망할 때에 발생한다.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범위(KIB)는 선형 엘리먼트(압축 없음)로서 시프트될 수 있거나, 범위(KIB)는 또한 상이한 다른 범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사운드 적응 내에서의 이 중간 범위의 시프트로부터 시작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가중화가 수행된다. KIB의 시프트에 따라, 범위(U2)가 적응되어, 제한(L)까지의 전이가 발생한다.
도면과 관련해서, 대각선(점선 라인)으로부터의 사운드 개별화 범위(KIB)의 거리는 입력 레벨에 대한 출력 레벨의 부스트 또는 컷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예시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본원에서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10 내지 0 dB(제한)의 입력 레벨 사이의 범위를 제외하고, 항상 부스트가 있다.
그러한 방법으로 설정된 압축 특성 곡선으로부터 시작하여, 제2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제시 레벨이 리스닝 임계치(HS)에 근접할 경우에, 유효 리스닝 임계치는 프로세싱을 결정하는 것과 같이 사후-프로세싱된다. 제시 레벨이 임계치(HS)를 크게 초과할 경우, 범위(KIB)에서의 사운드 개인화는 프로세싱을 결정한다. 리스닝 음량을 감소시킬 때, 이 방법은 모든 신호 부분들이 가청 범위에서 유지되고 개별 주파수 범위들이 리스닝 임계치 미만으로 하락하지 않도록 한다. 중간 내지 높은 음량 범위에서는, 개별 사운드 선호도가 신호 프로세싱의 설정을 지배한다.
이 적응은 몇몇 주파수 범위들에 걸쳐 수행되어, 그 결과 특성 맵(KF)가 획득된다. 도 2는 적응의 단계를 위한 가능한 제어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1 차원(참조. 화살표(22))에서는, 설정 포인트(20)가 방향 T(베이스)로 또는 방향 H(트레블)로 이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운드 적응이 베이스 방향으로 더 많이, 또는 트레블의 방향으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2차원 맵이 가정된다. 방향 T로 이동시키는 것(20)은 (예컨대, 20 내지 150 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저-주파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범위(KIB)의 부스트로 이어진다. 방향 H로의 이동은, 한편, 저-주파수 주파수 대역에서 범위(KIB)를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 고-주파수 주파수 대역(예컨대, 1,000 및 20,000 Hz 사이의 범위)에서 KIB에 의한 부스트를 증가시킨다. 150 내지 1,000 Hz 사이의 중간 범위를 부스팅하기 위하여, 포인트(20)는 방향 M(중간)으로 축(24)을 따라 시프트되고, 이것은 중간 주파수 대역에 대한 KIB의 부스트로 이어진다.
서로 독립적인 트레블 및 베이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예시된 제어 대신에, 등화기와 유사한 제어, 즉, T, M, 및 H에 대한 3개의 제어들의 배열이 서로 독립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든 제어들은 단계(154)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의 변동들을 허용한다.
아마 몇몇 음량 레벨들(총 음량 레벨)에 대한 몇몇 특성 곡선들이 유용하므로,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이한 전체 음량 레벨들과 그 후 연관되는 사운드 적응 특성 맵들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사운드 적응 특성 맵들의 저장은 상이한 신호들(예컨대, 스피치(speech) 신호 및 음악 신호)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거나, 상이한 음악 스타일들(클래식 대 팝)에 대하여 저장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 단계(150)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반복될 수 있다. 도 3은 2 개의 단계들(110, 150) 뿐만 아니라, 현재의 신호(제2 오디오 신호로서의 현재 음악 신호(ASL))의 재조절이 발생하는 연관된 추가의 단계(160)를 예시한다. 단계(160)는 근본적으로 단계(150)와 비교될 수 있고, 여기서, 차이점은 사운드 적응이 미리 정의된 테스트 신호들(AS2)의 도움으로 오프라인으로 발생하는 단계(150)에서와 다르게 현재 음악 신호(ASL)가 이용된다는 것이다. 이 단계(160)는 또한, 소위 생활 적응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계(110)를 참조하면, 여기서, 또한, 테스트 신호(참조. 참조 번호 AS1)가 이용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계(110)뿐만 아니라 단계(150) 둘 모두 및 (자명하게) 단계(160)는 실제 음향 경로로 실행되어, 배경 잡음의 영향 및 사용자의 개별 리스닝 능력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을 결정할 때에 고려된다.
도 1b 및 도 1c의 실시예들의 맥락에서는, 각각 분할된 주파수 범위가 또한 서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하나의 주파수 범위는 다른 주파수 범위와 비교하여, 다른 주파수 범위가 극도로 부스팅될 때에 마스킹된다. 그러므로, 실시예들에 따르면, 마스킹 임계치들을 추정함으로써, 어느 신호 부분들이 리스닝 임계치(HS)를 초과하지만, 인접한 대역들의 마스킹으로 인해 가청이 아니라는 것이 결정될 수 있다. 이 주파수 부분들에서, 리스닝 임계치는 감소될 수 있거나, 반대로 마스킹 대역들이 부스팅되어 이 부분들이 마스킹되고, 이에 따라 프로세싱 후에 불가청인 것으로 유지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는 방법(100)을 적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스트 신호 소스들 및 피드백 입력을 위한 수단을 제외하고, 이 장치는 또한 사운드 적응을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사운드 적응을 위한 이 수단은 예를 들어, 사운드 적응 특성 맵에 따라 사운드 적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소위 멀티대역 동적 압축기일 수 있다.
위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서는, 전체 주파수 범위가 3개의 부분적인 범위들(베이스, 중간, 및 트레블)로 분할된다는 것을 가정한다. 자명하게도, 그러한 방법으로, 상당히 더 많은 부분적인 범위들, 예를 들어 옥타브 단계들 또는 그에 필적하는 것으로의 분할이 가능하다.
도 3c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단계(110, 150)에 있어서, 실제 조건하의 음향 경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라디오가 가정될 경우에, 실제의 조건들은 예를 들어, 주변 잡음, 예컨대, 사운드 잡음들이 존재할 때에 충족된다. 정지된 상황에서 적응을 여전히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스닝 테스트(110)의, 또는 사운드 적응(150) 동안의 리스닝 시나리오들의 시뮬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로 미리 정의된 리스닝 신호들에 추가적으로, 주변 잡음 또는 운전 잡음과 같은 시뮬레이션 신호는 테스트 신호와 혼합되어, 이 주변 잡음은 유효 리스닝 임계치의 측정 또는 추정 및 적응으로 통합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시스템의 리플레이 동작 동안의 사운드 설정은 현실적인 환경 조건들 하에서 발생하는 것이 장점이고, 그러한 방법으로, 개별 리스닝 임계치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주변 잡음도 낮은 리스닝 음향들에서 가청성(audibility)을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것이 보장된다.
모든 위에서 논의된 실시예들은, 사용자와의 양자의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유효 리스닝 임계치를 결정하는 것 뿐만 아니라, 리스닝 임계치를 초과하는 오디오 신호를 적응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존재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개인의 도움을 통한 양자의 이러한 주관적인 측정 결과들은 그 다음으로, 신호 프로세싱에서 고려되어, 낮은 리스닝 음량들에서의 사운드 설정 동안에, 특히,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의 개별 영향력이 제공되는 반면, 중간 및 높은 리스닝 음량들에서의 다른 설정들(예컨대, EQ)은 리스닝 임계치에 의해 결정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리스닝 임계치(HS)와 사운드 개별화 범위(KIB) 사이에, 리스닝 임계치 및 KIB 양자에 의해 영향받는 전이 범위(U1)가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방법은 음악을 리스닝하기 위한 것과 같은, 오디오 신호들을 리플레이하기 위해 적절한 모든 디바이스들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자동차에서 음악을 리스닝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의 필수적인 분야인데, 이것은 여기서, 시간-가변적인 배경 잡음이 존재하고 음악을 리스닝할 때에 큰 개별 사운드 선호도들이 있기 때문이다. 집에서의 라디오 및 TV의 사용, 비행기에서, 그리고 MP3 플레이어 및 스마트폰들 상에서의 음악 리스닝은 추가적인 적용 분야이다.
일부 양태들은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이 양태들은 또한, 상응하는 방법의 설명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하며, 장치의 블록 또는 디바이스는 또한, 개개의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도, 방법 단계의 맥락에서 설명된 양태들은 또한, 상응하는 장치의 상응하는 블록 또는 세부사항 또는 특징의 설명을 나타낸다. 방법 단계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하드웨어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일부 또는 몇몇은 이러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구현 요건들에 따라서는, 발명의 실시예들이 하드웨어로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개개의 방법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하거나 협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장 매체,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DVD, 블루-레이 디스크, CD, ROM, PROM, EPROM,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전자적 판독가능 제어 신호들을 그 상에서 저장한 또 다른 자기 또는 광학 메모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할 수 있다.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가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과 협력할 수 있는 전자적 판독가능 제어 신호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data carrier)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프로그램 코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작동할 때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동작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한 캐리어 상에서 저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머신 판독가능한 캐리어 상에서 저장된다.
다시 말해서, 발명 방법의 실시예는 그러므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때,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발명 방법의 추가의 실시예는 그러므로, 데이터 캐리어 상에서 기록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데이터 캐리어(또는 디지털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이다.
발명 방법의 추가의 실시예는 그러므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표현하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이다.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들의 시퀀스는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접속을 통해, 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적응된 프로세싱 수단, 예를 들어, 컴퓨터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그 상에 설치한 컴퓨터를 포함한다.
발명에 따른 추가의 실시예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기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송신은 예를 들어, 전자적 또는 광학적일 수 있다. 수신기는 예를 들어,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유사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장치 또는 시스템은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신기로 송신하기 위한 파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성들 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중의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협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바람직하게는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이것은 컴퓨터 프로세서(CPU)와 같은 범용적으로 적용가능한 하드웨어, 또는 ASIC과 같은 방법에 대해 특정적인 하드웨어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에 대해 단지 예시적이다. 본원에서 설명된 배열들 및 세부사항들의 수정들 및 변동들은 당해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분명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그러므로, 발명은 본원에서의 실시예들의 설명 및 기술을 통해 제시된 특정 세부사항들에 의한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 청구항들의 범위에 의해 오직 제한되는 것이 그 의도이다.

Claims (15)

  1.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의 하위단계들을 포함하여 제1 리스닝 테스트(110)를 수행하는 단계: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상이한 사운드 압력 레벨들의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을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이한 레벨들을 갖는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AS1)을 플레이하는 하위단계(112);
    상기 개인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 중의 어느 것이 개별 리스닝 임계치(HS)를 초과하는지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피드백을 획득하는 하위단계(114); 및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HS)에 대한 레벨로서,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연관된 제1 음향 오디오 신호를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HS) 초과인 음향 오디오 신호로서 특성화하는 피드백이 이용가능한 상기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의 상기 상이한 레벨들의 최저 레벨을 이용하는 하위단계(116); 및
    다음의 하위단계들을 포함하여 제2 오디오 신호(AS2)의 적응(150)을 수행하는 단계:
    사후-프로세싱(post-processing)된 제2 음향 신호를 상기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고려하여 상기 개인에 의해 선택된 총 음량 레벨에 따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를 플레이하는 하위단계(150); 및
    상기 개인이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의 추가적인 변동이 희망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시키는 하위단계(154);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입력 레벨 마다 상기 출력 레벨의 개별 부스트(boost) 및/또는 개별 컷(cut)을 정의하고,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HS)에 대한 레벨들이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에서의 최소 출력 레벨들로서 이용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의 적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이한 총 음량 레벨들에 대하여 반복되고; 및/또는
    상기 방법은 총 음량 레벨 마다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스닝 테스트 및/또는 상기 적응은 상기 개인에 의해 및/또는 상기 개인의 상기 음향 환경에서 선택된 상기 오디오 디바이스들을 이용함으로써 수행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시키는 것은 시간에 따른 결과적인 사운드 특성 변동 및/또는 시간에 따른 사운드 압력 레벨 차이들을 평활화(smooth)하기 위하여,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의 적어도 하나의 차원을 연속적으로 적응시킴으로써 수행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는 테스트 신호, 복합 오디오 신호, 제한된 주파수 범위를 갖는 복합 오디오 신호 및/또는 음악 작품인,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시키는 것은 상기 개별 임계치(HS)에 대한 레벨을 초과하는 입력 레벨들에 대하여, 및/또는 제한을 위한 레벨 미만인 레벨들에 대하여 수행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입력 레벨들에 대해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시키는 것은 상기 개별 임계치(HS)의 각각의 레벨에 적어도 10 dB 초과, 및/또는 제한을 위한 상기 각각의 레벨보다 적어도 3 dB 작은,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를 플레이하는 단계는, 멀티대역 압축기의 도움으로 수행되고,
    상기 멀티대역 압축기는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에 따라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상기 출력 레벨들에 대해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를 사후-프로세싱(post-processing)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은 마스킹 임계치(masking threshold) 미만으로 하락하지 않도록 선택되고, 상기 마스킹 임계치는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HS)에 따라 결정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AS1)을 플레이할 때, 신호 부분이 상기 제1오디오 신호들에 부가되어, 운전 및/또는 주변 잡음의 시뮬레이션을 허용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 ASL)는 재생되어야 할 오디오 신호이고,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 ASL)의 적응은 동작 동안에 반복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방법.
  12.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작동될 때,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3.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개별 리스닝 임계치(HS)에 대한 레벨들을 정의하기 위한 초기 적응 스테이지로서,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서의 상이한 사운드 압력 레벨들의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을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상이한 레벨들을 갖는 그리고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AS1)을 플레이하는 수단; 및
    상기 개인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음향 신호들 중의 어느 것이 개별 리스닝 임계치(HS)를 초과하는지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피드백(114)을 획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연관된 제1 음향 오디오 신호를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HS) 초과인 음향 오디오 신호로서 특성화하는 피드백이 이용가능한 상기 복수의 제1 오디오 신호들의 상기 상이한 레벨들의 최저 레벨이,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HS)에 대한 레벨로서 이용되는, 상기 초기 적응 스테이지; 및
    제2 오디오 신호(AS2)를 적응시키기 위한 추가 적응 스테이지로서,
    사후-프로세싱된 제2 음향 신호를 상기 개인에게 출력하기 위하여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고려하여 상기 개인에 의해 선택된 총 음량 레벨에 따라 상기 제2 오디오 신호(AS2)를 플레이하는 수단; 및
    상기 개인이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의 추가적인 변동을 희망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할 때까지,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154)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은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에 대한 입력 레벨 마다 상기 출력 레벨의 개별 부스트 및/또는 개별 컷을 정의하고, 상기 상이한 주파수 범위들의 주파수 범위당 상기 개별 리스닝 임계치들(HS)에 대한 레벨들이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에서의 최소 출력 레벨들로서 이용되는,
    상기 추가 적응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피드백을 수신하고 및/또는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는 상기 피드백을 수신하고 및/또는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변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2개의 주파수 범위들 또는 2차원 사운드 적응 맵에서 상기 출력 레벨들의 개별 부스트 및/또는 개별 컷을 위한 하나 또는 몇몇 제어들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운드 적응 특성 맵(KF)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 설정 장치.
KR1020207012620A 2017-10-16 2018-10-12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2497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8483.3 2017-10-16
DE102017218483.3A DE102017218483A1 (de) 2017-10-16 2017-10-16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parametern zur individuellen anpassung eines audiosignals
PCT/EP2018/077951 WO2019076773A1 (de) 2017-10-16 2018-10-12 Verfahren zur einstellung von parametern zur individuellen anpassung eines audio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684A true KR20200068684A (ko) 2020-06-15
KR102497425B1 KR102497425B1 (ko) 2023-02-08

Family

ID=6385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620A KR102497425B1 (ko) 2017-10-16 2018-10-12 오디오 신호의 개별 적응을 위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544034B2 (ko)
EP (1) EP3698474B1 (ko)
JP (2) JP7440415B2 (ko)
KR (1) KR102497425B1 (ko)
CN (1) CN111264030B (ko)
CA (1) CA3079116C (ko)
DE (1) DE102017218483A1 (ko)
ES (1) ES2900057T3 (ko)
PL (1) PL3698474T3 (ko)
WO (1) WO2019076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636A (zh) * 2019-08-30 2019-11-22 母国标 音视频调节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123A (ja) * 1997-06-06 199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US20020172350A1 (en) * 2001-05-15 2002-11-21 Edwards Brent W. Method for generating a final signal from a near-end signal and a far-end signal
US20070121979A1 (en) * 2005-11-30 2007-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 Corp. Organized Under The Laws Of The Province Of Ontario, Canada) Hearing aid having improved RF immunity to R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duced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10200217A1 (en) * 2010-02-16 2011-08-18 Nicholas Hall Gurin System and method for audiometric assessment and user-specific audio enhancement
US20130339025A1 (en) * 2011-05-03 2013-12-19 Suhami Associates Ltd. Social network with enhanced audio communications for the Hearing impaired
US20140079243A1 (en) * 2011-05-25 2014-03-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ound reproduction device including auditory scenario sim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8305A (ja) 1981-12-07 1983-06-11 Sumitomo Chem Co Ltd 脱色されたスチレン・マレイン酸系低重合体の製造法
JPH05206772A (ja) * 1992-01-30 1993-08-13 Alpine Electron Inc ラウドネス装置
JP2001156568A (ja) 1999-12-01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質調整装置
JP2002281599A (ja) 2001-03-22 2002-09-27 Victor Co Of Japan Ltd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再生装置
US20040234089A1 (en) * 2003-05-20 2004-11-25 Neat Ideas N.V. Hearing aid
US7715577B2 (en) * 2004-10-15 2010-05-11 Mimosa Acoust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hearing aid based on acoustic reflectance
KR100707339B1 (ko) * 2004-12-23 2007-04-13 권대훈 청력도 기반 이퀄라이제이션 방법 및 장치
JP2008527882A (ja) * 2005-01-14 2008-07-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音声信号の音響レベルを周波数に依存して増幅する信号処理装置及び音声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7715571B2 (en) * 2006-03-23 2010-05-11 Phonak Ag Method for individually fitting a hearing instrument
KR100810077B1 (ko) * 2006-05-26 2008-03-05 권대훈 표준 청력특성을 이용한 이퀄라이제이션 방법
DE102006046699B3 (de) * 2006-10-02 2008-01-03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Hörvorrichtung mit unsymmetrischer Klangwaage und entsprechendes Einstellverfahren
DE102007007120A1 (de) * 2007-02-13 2008-08-2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m Erzeugen von akustischen Signalen eines Hörgeräts
JP5062055B2 (ja) * 2007-08-31 2012-10-3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音声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US20090060209A1 (en) 2007-08-31 2009-03-0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 Corporation Of Japan Audio-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56570B1 (ko) * 2007-12-21 2014-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이퀄라이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2442590B1 (en) * 2008-11-24 2014-07-02 Oticon A/S Method to reduce feed-back in hearing aids
TWI384889B (zh) * 2008-12-26 2013-02-01 Alpha Networks Inc 聲音播放裝置參數調整方法
EP2230542A1 (en) * 2009-03-16 2010-09-22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Assembly with an optical fiber alignment
JP2010277617A (ja) * 2009-05-26 2010-12-09 Clarion Co Ltd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JP2010278791A (ja) * 2009-05-29 2010-12-09 Funai Electric Co Ltd オーディオ機能を有する機器
US9653062B2 (en) * 2009-08-15 2017-05-16 Archiveades Georgiou Method, system and item
EP2375782B1 (en) * 2010-04-09 2018-12-12 Oticon A/S Improvements in sound perception using frequency transposition by moving the envelope
WO2012002537A1 (ja) * 2010-07-01 2012-01-0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および音声制御システム
EP2521377A1 (en) * 2011-05-06 2012-11-07 Jacoti BVBA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with hearing support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JP5206772B2 (ja) 2010-11-22 2013-06-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JP2012213114A (ja) 2011-03-31 2012-11-01 Jvc Kenwood Corp 音響信号処理装置及び音響信号処理方法
US8964998B1 (en) * 2011-06-07 2015-02-24 Sound Enhancement Technology, Llc System for dynamic spectral correction of audio signals to compensate for ambient noise in the listener's environment
US9173028B2 (en) * 2011-07-14 2015-10-27 Sonova Ag Speech enhancement system and method
KR101368927B1 (ko) * 2012-01-03 2014-02-28 (주)가온다 오디오 신호 출력 방법 및 장치, 오디오 신호의 볼륨 조정 방법
JP2013247559A (ja) * 2012-05-28 2013-12-09 Paakaru Kk 聴覚補装具送信機及び聴覚補装具
KR20150104626A (ko) * 2013-01-09 2015-09-15 에이스 커뮤니케이션스 리미티드 자율 관리 음향 개선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4150598A1 (en) * 2013-03-15 2014-09-25 Thx Ltd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sound field at specified positions within a given listening space
WO2016011288A1 (en) * 2014-07-16 2016-01-21 Eariq, Inc.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on and reproduction of audio signals based on auditory feedback
US9943253B2 (en) 2015-03-20 2018-04-17 Innovo IP,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audio perception
CN106101929A (zh) * 2016-06-30 2016-11-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保护人耳听力方法及移动终端
CN107170463A (zh) * 2017-05-09 2017-09-15 佛山博智医疗科技有限公司 音频信号调节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41123A (ja) * 1997-06-06 1998-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再生装置
US20020172350A1 (en) * 2001-05-15 2002-11-21 Edwards Brent W. Method for generating a final signal from a near-end signal and a far-end signal
US20070121979A1 (en) * 2005-11-30 2007-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 Corp. Organized Under The Laws Of The Province Of Ontario, Canada) Hearing aid having improved RF immunity to R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oduced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10200217A1 (en) * 2010-02-16 2011-08-18 Nicholas Hall Gurin System and method for audiometric assessment and user-specific audio enhancement
US20130339025A1 (en) * 2011-05-03 2013-12-19 Suhami Associates Ltd. Social network with enhanced audio communications for the Hearing impaired
US20140079243A1 (en) * 2011-05-25 2014-03-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ound reproduction device including auditory scenario s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123514A (ja) 2023-09-05
EP3698474B1 (de) 2021-11-03
JP7440415B2 (ja) 2024-02-28
WO2019076773A1 (de) 2019-04-25
CA3079116A1 (en) 2019-04-25
PL3698474T3 (pl) 2022-03-28
JP2020537470A (ja) 2020-12-17
US20200233638A1 (en) 2020-07-23
KR102497425B1 (ko) 2023-02-08
CA3079116C (en) 2023-10-03
EP3698474A1 (de) 2020-08-26
CN111264030B (zh) 2024-03-29
CN111264030A (zh) 2020-06-09
DE102017218483A1 (de) 2019-04-18
ES2900057T3 (es) 2022-03-15
US11544034B2 (en) 202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7948B2 (en) Efficient DRC profile transmission
JP2021097418A (ja) 多様な再生環境のため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制御
JP2023123514A (ja) オーディオ信号の個人適用のためのパラメータを設定するための方法
US9485578B2 (en) Audio format
EP4044180B1 (en) Decoding an encoded audio signal using drc profiles
JP2018133637A (ja) 音響装置及び音質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