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8008A -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8008A
KR20200068008A KR1020180090786A KR20180090786A KR20200068008A KR 20200068008 A KR20200068008 A KR 20200068008A KR 1020180090786 A KR1020180090786 A KR 1020180090786A KR 20180090786 A KR20180090786 A KR 20180090786A KR 20200068008 A KR20200068008 A KR 2020006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upport members
support
battery cel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3683B1 (ko
Inventor
쉬-창 쉬
궈-옌 쉬
콴-첸 첸
추안-쯔 린
Original Assignee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로마 에이티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6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4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electrolyte level, electrolyte density or electrolyte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셀 테스트용 프로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로브 지지 구조물은 베이스와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거리로 상기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병렬로 배열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BATTERY CELL FORMATION DEVICE AND PROBE SUPPORTING STRUCTURE THEREOF}
본원은 배터리 셀 형성 장치 및 프로브 지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리 가능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및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을 포함한 배터리 셀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전기 화학 셀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전기 화학 셀은 전기 전도성 용액을 생성하는 전해질 및 협동하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한다. 셀의 전극이 외부회로에 연결되면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된다. 그러나 전기 화학 셀의 제조 후에, 전극은 자가 방전 및 에너지 저장 능력과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최적화하도록 활성화되어야 한다. 셀 형성 공정에서, 전기 화학 셀은 반복 충전 및 방전에 의해 활성화된다.
종래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는 베터리의 전기 화학 셀을 수용하기 위한 베이스, 한 쌍의 양극 및 음극 프로브, 전극 프로브를 운반하기 위한 트레이, 다중 온도 센서 및 음압 모듈(negative pressure module)을 포함한다. 그 구성요소 사이의 거리뿐만 아니라 전극 프로브 및 온도 센서의 수 또한 베이스 상에 제공된 전기 화학 셀의 수 및 두 개의 인접한 전기 화학 셀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전기화학 셀의 크기가 변함에 따라, 배터리 셀 형성 장치에 배치된 전기 화학 셀의 수 및 두 개의 인접한 전기화학 셀 사이의 거리 또한 변할 수 있다. 배터리 셀 형성 장치에 제공된 트레이의 단일 사양으로 인해, 트레이 상의 전극 프로브의 위치 및 두 개의 인접한 전극 프로브 사이의 거리는 전기 화학 셀의 수 또는 두 개의 인접한 전기 화학 셀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없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조자는 다른 사양의 또 다른 트레이를 생산해야 하므로, 높은 제조 비용 및 트레이의 낮은 호환성의 단점을 야기한다.
본원은 서로 다른 크기의 배터리 셀 또는 서로 다른 배열의 배터리 셀에 대해 높은 호환성을 갖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배터리 셀 테스트 용 프로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로브 지지 구조물은 베이스 및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지지부재는 지지부재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거리로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다. 지지부재는 병렬로 배열된다.
본원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배터리 셀 테스트 용 프로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로브 지지 구조물은 베이스,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 및 적어도 한 개의 구획부재를 포함한다. 지지부재는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병렬로 배열된다. 구획부재는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본원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배터리 셀 형성 장치는 트레이,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 및 상기 프로브 지지 구조물 중 하나를 포함한다. 트레이에는 배터리 셀을 지지하는 표면이 있다. 프로브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의 두 지지부재 상에 각각 배치된다.
본원에 따르면,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프로브 지지 구조물은 두 개의 인접한 지지부재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거리로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두 개의 인접한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는 배터리 셀의 수 및 배열의 변화를 충족시키도록 조절 가능하다. 일단 배터리 셀의 수 또는 사양이 변경되면, 현 프로브 지지 구조물을 다른 사양의 또 다른 프로브 지지 구조물로 대체할 필요가 없다. 대신, 사용자는 지지부재 상에 배치된 프로브가 전극 또는 배터리 셀의 금속 패드와 접촉하도록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 형성 장치는 사양 또는 배열이 다른 배터리 셀의 셀 형성 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아래 주어진 상세 설명 및 단지 예시로서 주어지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 첨부 도면에 의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1a는 본원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1c는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는 인접한 두 배터리 셀 사이의 거리가 다른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배터리 셀의 사양이 다른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다음의 상세 서술에서, 개시된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에서, 잘 알려진 구조물과 장치는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1a 내지 도1c를 참조하라. 도1a는 본원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1c는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 형성 장치(1)는 트레이(10), 프로브 지지 구조물(20) 및 복수의 프로브(30)를 포함한다. 본원의 프로브(30)의 수는 상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10)는 플라스틱 용기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트레이(10)의 하단에 있는 표면(110)은 복수의 홈(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형성 공정을 위해 준비된 복수의 배터리 셀(2)은 홈 내에 위치되고 표면(110)에 의해 지지된다.
프로브(2) 지지 구조물은 베이스(210), 복수의 지지부재(220)와 복수의 구획부재(230)를 포함한다. 베이스(210)는 프레임(211) 및 로드(212)를 포함한다. 프레임(211)은 트레이(10) 상에 배치되고, 프레임(211)의 두 내부 표면(211a)은 서로 마주한다. 로드(212)는 프레임(211) 상에 배치되고, 로드(212)는 내부 표면(211a)의 법선 방향(N)을 따라 하나의 내부 표면(211a)으로부터 다른 내부 표면(211a)까지 확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로드(212)의 양단은 두 개의 내부 표면(211a)에 각각 고정된다.
지지부재(220)의 수는 배터리 셀(2)의 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1c에서 지지부재(220)의 수는 배터리 셀(2)의 수와 동일하다. 각 지지부재(220)는 제 1관통 구멍(221)을 가진다. 로드(212)는 지지부재(220)가 베이스(210) 상에 배치되도록 제 1관통 구멍(221)을 통과 한다. 각 구획 부재(230)는 제 2 관통 구멍(231)을 가진다. 로드(212)는 구획부재(230)가 베이스(210) 상에 배치되도록 제 2관통 구멍(231)을 통과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 모두 로드(212)를 통해 베이스(210)의 로드(2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지만, 본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브 지지 구조물의 베이스는 로드를 포함하지 않고, 지지부재 및 구획부재 모두 프레임의 내측에서 두 개의 슬롯 상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1a와 도1c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각 배터리 셀(2)은 두께(T1)를 가지고, 두 인접한 배터리 셀(2) 사이에 거리(D1)가 있다.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두 내부 표면(221a) 사이에 병렬 및 교대로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 개의 구획부재(230)는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지지부재(220) 사이에 위치한다. 각 지지부재(220)는 두께(S1)를 가지고, 각 구획부재(230)는 두께(S2)를 가진다. 두 인접한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는 구획부재(230)의 두께(S2)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20)의 두께와 구획부재(230)의 두께의 합은 두 내부 표면(221a) 사이의 거리(S3)와 동일하다(S3=[지지부재(220)의 수]
Figure pat00001
S1+[구획부재(230)의 수]
Figure pat00002
S2).
따라서,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불규칙한 배열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211)으로 둘러쌓인 공간에 단단히 배열된다. 게다가, 각 구획부재(230)는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210)의 프레임(211)에 나사 고정되어, 구획부재(230)의 제조 공차에 의한 지지부재(220)의 위치에 있어 예상치 못한 변위에 유리하다.
예를 들어 프로브(30)는 포고 핀 또는 각 지지부재(220) 상에 배치된 온도 센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각 지지부재(220)는 윗면(222)을 가지고, 윗면(222)은 수용 공간(223)을 한정하도록 리세스(recessed)된다. 프로브(30)는 수용 공간(223)에서 수용되고, 각 프로브(30)는 양극, 음극 또는 배터리 셀(2)의 금속패드와 접촉하도록 윗면(222) 상의 구멍 중 하나를 통과한다. 프로브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가 없는 지지부재와 비교하여, 수용 공간(223)은 배터리 셀 형성 장치(1)의 높이가 지나치게 큰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프로브(30)를 수용하는 데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 셀 형성 장치(1)는 음압 환기를 위한 파이프, 전해질 투입 노즐 및 흡입 노즐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지지부재(220)의 크기와 구획부재(230)의 크기 모두 상기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다는 것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지지부재(220)와 프로브 지지 구조물(20)의 구획부재(230)의 배열은 도1c에 도시되어 있으나, 본원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터리 셀의 사양 또는 두 개의 인접한 배터리 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될 시,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의 수 또는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의 배열이 상기 변화를 충족하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도2는 두 개의 인접한 배터리 셀 사이의 거리가 다른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 및 도4는 배터리 셀의 사양이 다른 도1a의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2)은 트레이(10)의 표면(110) 상에 위치한다. 한 쌍의 배터리 셀(2) 사이의 거리(D2)는 도1c의 인접한 모든 배터리 셀(2) 사이의 거리(D1)보다 크다. 따라서, 도1c의 지지부재(220)의 배열은 프로브(30)가 한 쌍의 배터리 셀(2)의 전극 또는 금속 패드에 접촉하지 못하게 한다. 배터리 셀 형성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의 배열을 변경해야 한다.
우선,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로드(212)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한 쌍의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재배열된다. 새로이 배열된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로드(212) 상에 배치된다. 일종의 재배열은 한 쌍의 두 인접한 지지부재(220) 사이의 구획부재(230)의 수를 변경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거리는 한 쌍의 지지부재(220) 사이에 구획부재(230)를 더 놓음으로써 조절된다. 조절된 거리는 한 쌍의 지지부재(220) 상에 배치된 프로브(30)가 그 사이에 거리를 둔 상기 배터리 셀과 접촉하기에 유리하다. 도2에서 총 5개의 구획부재(230)는 한 쌍의 지지부재(220) 사이에 배치되어, 한 쌍의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는 구획부재(230)의 두께(S2)보다 5배 크고, 다른 쌍의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는 구획부재(230)의 두께(S2)와 동일하다.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 셀(2)은 트레이(10)로부터 제거되고, 복수의 배터리 셀(3)은 트레이(10) 상에 위치된다. 배터리 셀(3)은 배터리 셀(2)과는 다른 크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 셀(3)은 도1c의 배터리 셀(2)의 두께(T1)보다 큰 두께(T2)를 갖는다. 따라서, 도1C의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의 배열은 프로브(30)가 한 쌍의 배터리 셀(3)의 전극 또는 금속 패드와 접촉하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다시 로드(212)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를 분리하고 나서,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를 인접한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재배열할 수 있다. 조절된 거리는 지지부재(220)에 배치된 프로브(30)가 배터리 셀(3)의 전극 또는 금속 패드와 접촉하기에 유리하다. 도3에서, 총 3 개의 구획부재(230)는 모든 인접한 지지부재(220) 사이의 거리가 구획부재(230)의 두께(S2)보다 3 배 크도록 각 지지부재(220) 사이에 배치된다.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배터리 셀(4)은 트레이(10)에 위치되고, 각 배터리 셀(4)은 도1C의 배터리 셀(2)의 두께(T1) 및 도2의 배터리 셀(3)의 두께(T2)보다 작은 두께(T3)를 가진다. 두 인접한 배터리 셀(4) 사이에 거리(D3)가 있고, 거리(D3)는 도1c의 거리(D1) 보다 작다. 이러한 경우에, 지지부재(220)와 구획부재(230)는 로드(212)와 다시 분리된다. 사용자는 지지부재(220)를 분리하고 지지부재(220)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지지부재(220)를 배열할 수 있으므로, 지지부재(220) 상에 배치된 프로브(30)가 배터리 셀(4)의 전극 또는 금속 패드와 접촉하는 데에 유리하다. 도4에서 지지부재(220)는 두 인접한 지지부재(220) 사이의 간극이 두께(S2)보다 작도록 단단히 배열된다. 따라서, 두 인접한 지지부재(220) 사이에 어떠한 구획부재(230)도 배치할 수 없다. 새로이 배열된 지지부재(220)는 모든 구획부재(230)가 제거된 로드(212) 상에 배치된다.
본원에 따르면, 배터리 셀 형성 장치의 프로브 지지 구조물은 두 인접한 지지부재 사이에 조절 가능한 거리로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두 인접한 지지부재의 거리는 배터리 셀의 수와 배열의 변경을 충족시키도록 조절 가능하다. 일단 배터리 셀의 수와 사양이 변경되면, 현 프로브 지지 구조물을 다른 사양의 또 다른 프로브 지지 구조물로 대체할 필요가 없다. 대신, 사용자는 지지부재 상에 배치된 프로브가 배터리 셀의 전극 또는 금속 패드와 접촉하도록 지지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 형성 장치는 다른 사양 또는 배열을 가진 배터리 셀의 셀 형성 공정에 적용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하고 호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원의 일 양태에서, 두 인접한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는 하나 이상의 구획부재를 그 두 지지부재 사이에 놓음으로써 조절된다. 구획부재는 거리를 유지하도록 지지부재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는데 유리하다.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앞의 서술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서술되었다. 그러나, 그 실시예는 본원의 원리 및 그 실제 적용을 가장 잘 설명하고, 그럼으로써 당업자가 본원 및 고려된 특정 용도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으로 다양한 실시예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선택 및 서술되었다.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은 예시이며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원의 범위를 포괄하거나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시의 관점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 : 배터리 셀 형성 장치
2 : 배터리 셀
3 : 배터리 셀
10 : 트레이
20 : 프로브 지지 구조물
30 : 프로브
110 : 표면
210 : 베이스
211 : 프레임
211a : 내부 표면
212 : 로드
220 : 지지부재
221 : 제 1관통 구멍
221a : 내부 표면
222 : 윗면
223 : 수용 공간
230 : 구획부재
231 : 제 2관통 구멍

Claims (10)

  1. 베이스; 및
    프로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사이에 조절 가능한 거리로 상기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은 병렬로 배열되는 배터리 셀 테스트를 위한 프로브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프로브 지지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재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구획부재는 상기 베이스에 나사 고정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구획부재의 수가 복수이고, 상기 구획 부재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사이에 위치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의 수가 복수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획부재의 수가 복수이며, 상기 지지부재들 및 상기 구획부재들이 교대로 배열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두 내부 표면들이 서로 마주하고, 상기 지지부재들 및 상기 구획부재들이 상기 두 내부 표면들의 법선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며, 상기 지지부재들의 두께와 상기 구획부재들의 두께의 합이 상기 두 내부 표면들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프로브 지지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상에 배치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각각의 제 1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한 개의 구획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구획 부재의 제 2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각각의 윗면이 프로브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리세스(recessed)되는 프로브 지지 구조물.
  10.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표면을 가지고 있는 트레이;
    프로브 지지 구조물;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상에 각각 배치되는 적어도 두 개의 프로브들;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 지지 구조는 베이스;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 사이에서 조절 가능한 거리로 상기 베이스 상에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지지부재들은 병렬로 배열됨;
    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형성 장치.
KR1020180090786A 2017-08-23 2018-08-03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 KR102163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128533 2017-08-23
TW106128533A TWI653456B (zh) 2017-08-23 2017-08-23 電池化成裝置及其針盤結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008A true KR20200068008A (ko) 2020-06-15
KR102163683B1 KR102163683B1 (ko) 2020-10-12

Family

ID=65435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86A KR102163683B1 (ko) 2017-08-23 2018-08-03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65906B2 (ko)
JP (1) JP6630412B2 (ko)
KR (1) KR102163683B1 (ko)
TW (1) TWI653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3375B (zh) * 2017-10-25 2018-12-01 Chroma Ate Inc. 電池化成系統及其針盤
CN113796170A (zh) * 2019-05-10 2021-12-14 沃尔沃卡车集团 用于在车辆的底盘中布置ecu的系统
EP4033264B1 (en) * 2019-12-06 2024-04-24 Guangdong HYNN Technologies Co., Ltd. Probe module separation-distance quick-adjustment mechanism and forming needle bed
CN112164827B (zh) * 2020-09-02 2021-12-10 珠海泰坦新动力电子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化成装置及方法
KR102184057B1 (ko) * 2020-09-07 2020-11-27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엘 4개 와이어 접속방식이 가능한 전극 접속 유니트
CN112198342B (zh) * 2020-10-10 2022-06-03 歌尔科技有限公司 电池测试装置
TWI780522B (zh) * 2020-11-25 2022-10-1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間距可變之電池夾具及具備該夾具之電池化成設備
CN114552033B (zh) * 2020-11-25 2023-12-15 致茂电子(苏州)有限公司 间距可变的电池夹具及具备该夹具的电池化成设备
CN113866466A (zh) * 2021-09-28 2021-12-31 广东恒翼能科技有限公司 一种探针自动变距的软包电池测试针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3872A (ja) * 1998-08-18 2002-07-30 シーエムダブリュー オートメイ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グループを形成するように結合される複数の蓄電池をフォーミングする装置
JP2002313398A (ja) * 2001-04-16 2002-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セル電圧測定用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KR20110099979A (ko) * 2010-03-03 2011-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효율 및 장착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20160132596A (ko)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6700B2 (ja) * 2008-12-24 2011-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N201561991U (zh) 2009-12-01 2010-08-25 上海涂装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太阳能电池检测的可调节探针支架
KR101411233B1 (ko) 2010-08-23 2014-06-2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지검사장치
WO2012096844A1 (en) * 2011-01-10 2012-07-19 Cobasys, Llc Adaptable battery module for prismatic cells
US9472797B2 (en) * 2011-05-25 2016-10-18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DE102011076888A1 (de) * 2011-06-01 2012-12-06 Elringklinger Ag Leitungssystem zum Verbinden einer Mehrzahl von Spannungsabgriffstellen und/oder Temperaturmessstellen einer elektrochemischen Vorrichtung mit einer Überwachungseinheit
JP5978037B2 (ja) * 2012-07-20 2016-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モジュール
CN103235163B (zh) 2013-03-28 2015-06-03 顺德中山大学太阳能研究院 一种探针间距可调测试太阳能电池接触电阻用测试探头
KR102233776B1 (ko) * 2014-01-28 2021-03-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JP6163261B2 (ja) * 2014-05-29 2017-07-1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2016090286A (ja) * 2014-10-30 2016-05-23 矢崎総業株式会社 温度検出体の取付構造
DE102014118188A1 (de) * 2014-12-09 2016-06-09 Elringklinger Ag Zellkontaktierungssystem für eine elektrochemische Vorrichtung
KR101817236B1 (ko) * 2014-12-24 2018-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의 전극 리드 용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팩트한 이차전지 모듈
KR20160085621A (ko) * 2015-01-08 2016-07-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JP6395935B2 (ja) * 2015-07-09 2018-09-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CN205882076U (zh) 2016-08-10 2017-01-11 青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化成装置
JP6539623B2 (ja) * 2016-09-13 2019-07-0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US10326181B2 (en) * 2016-11-04 2019-06-18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a batter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3872A (ja) * 1998-08-18 2002-07-30 シーエムダブリュー オートメイショ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グループを形成するように結合される複数の蓄電池をフォーミングする装置
JP2002313398A (ja) * 2001-04-16 2002-10-25 Mitsubishi Heavy Ind Ltd セル電圧測定用ピックアップユニット
KR20110099979A (ko) * 2010-03-03 2011-09-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효율 및 장착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20160132596A (ko)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용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30412B2 (ja) 2020-01-15
US10665906B2 (en) 2020-05-26
US20190067759A1 (en) 2019-02-28
TWI653456B (zh) 2019-03-11
JP2019040861A (ja) 2019-03-14
TW201913103A (zh) 2019-04-01
KR102163683B1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683B1 (ko) 배터리 셀 형성 장치와 그 프로브 지지 구조물
JP7045550B2 (ja) 組立構造が向上したバッテリーパック
US10141546B2 (en) Inner case of battery module assembly for vehicle's battery pack
KR101999403B1 (ko) 배터리 팩
WO2014119287A1 (ja) 電池ブロック、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ブロック用ホルダ
US9337465B2 (en) Battery pack
JPWO2018061737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101023920B1 (ko)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TW200742148A (en) Battery suitable for preparation of battery module
CN102714282A (zh) 电能存储单元及电池块、电能存储设备及具有其的车辆
KR101833567B1 (ko) 전지 셀 고정 기능을 갖는 충방전기용 트레이
US20120115016A1 (en) Battery module
KR102115481B1 (ko) Bms 통합형 컴팩트 이차전지 모듈
KR20160002834U (ko) 전지 수용 케이스 및 전지 수용 어셈블리
JP2014229725A (ja) 蓄電ユニット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蓄電装置
JP2014160551A (ja) 電池ブロック、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20140046847A (ko) 배터리 팩
US10170768B2 (en) Grid assembly for a plate-shaped battery electrode of an electrochemical accumulator battery
KR101728101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및 시스템 및,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의 배치 방법
CN109428127B (zh) 电池化成装置及其针盘结构
US10418637B2 (en) Grid arrangement for plate-shaped battery electrode and accumulator
JP2015220206A (ja) 蓄電装置
KR101805243B1 (ko) 블록형 폴리머 배터리 및 블록형 폴리머 배터리 제조 방법
JP2008502099A (ja) 蓄電池
JP2017098011A (ja) 車両用電池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