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443A -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443A
KR20200067443A KR1020180154310A KR20180154310A KR20200067443A KR 20200067443 A KR20200067443 A KR 20200067443A KR 1020180154310 A KR1020180154310 A KR 1020180154310A KR 20180154310 A KR20180154310 A KR 20180154310A KR 20200067443 A KR20200067443 A KR 2020006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rame
coupling portion
coupl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481B1 (ko
Inventor
황철호
김경중
윤태수
정태겸
홍경표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4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3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 A61F5/0125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knees the device articulating around a single pivot-p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6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limits of mov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가 단순하여 경제적이고, 재활기기 및 신체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보조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에 맞춰 착용할 수 있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12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브릿지(100); 일측으로 연장된 제2프레임(210) 및 상기 제2프레임(2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브릿지(200);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신체가 거치되는 제1거치부(300); 한 쌍의 상기 제2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신체가 거치되는 제2거치부(400);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2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브릿지(200)를 회전시키는 모터(500); 및 상기 제1브릿지(100) 및 상기 제2브릿지(200)에 물리적으로 탈부착되어 상기 제2브릿지(200)의 회전여부를 결정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Medical assistant apparatus for joint}
본 발명은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환자의 재활을 보조함과 동시에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고정할 수 있는 보조기 역할을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활기구란 종래 부상으로 인해 재활이 필요한 환자의 재활을 보조하는 기구이고, 보조기란 환자의 신체 일부분을 고정할 때 사용하는 장치를 말하며, 흔히 볼 수 있는 깁스가 보조기에 해당할 수 있다.
종래 재활이 필요한 환자는 필요에 따라 재활기구와 보조기를 번갈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재활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활기구가 설치된 병/의원 또는 재활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1147호 “상지 재활 훈련 로봇 장치”(공개일 2018.10.17.)와 같은 휴대용 재활기기가 소개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그 장치가 복잡하고, 종래의 재활기기는 재활의 역할만을 수행하고 보조기의 역할을 할 수 없으며, 환자 개개인의 신체에 맞춰 제작하는 재활기기이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환자에게 부담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1147호 “상지 재활 훈련 로봇 장치”(공개일 2018.10.1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의 목적은 장치가 단순하여 경제적이고, 재활을 수행하는 역할과 신체의 일부분을 고정하는 보조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에 맞춰 착용할 수 있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는, 일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12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브릿지(100), 일측으로 연장된 제2프레임(210) 및 상기 제2프레임(2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브릿지(200),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신체가 거치되는 제1거치부(300), 한 쌍의 상기 제2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신체가 거치되는 제2거치부(400),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2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브릿지(200)를 회전시키는 모터(500) 및 상기 제1브릿지(100) 및 상기 제2브릿지(200)에 물리적으로 탈부착되어 상기 제2브릿지(200)의 회전여부를 결정하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20)는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정렬되는 중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는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되, 상기 모터(500)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600)이 삽입되되, 상기 제2결합부(220)의 외면과 맞닿아 상기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는 캡(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이 개방된 호 형상으로, 상기 제2결합부(22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캡(700)에 고정되어 상기 제2브릿지(200)의 회전 한계를 결정하는 스토퍼(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500)는 상기 캡(7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600)과 상기 제2결합부(220)는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결합부(220)는 상기 모터(50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600)은 외주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1키홀(6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220)는 외주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2키홀(221)을 포함하며, 상기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는 서로 정렬된 상기 제1키홀(610) 및 상기 제2키홀(221)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축(600)과 상기 제2결합부(22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210)은 다단 파이프 방식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2프레임(210)은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5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500)의 회전속도를 제어 가능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에 의하면, 제1브릿지 또는 제2브릿지가 모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재활이 필요한 환자에게 재활기기로 활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회전 제어부를 이용해 제1브릿지와 제2브릿지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재활을 하지 않을 경우 깁스와 같이 신체 일부분을 고정하는 보조기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의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의 구동 실시예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žŸ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1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10)는, 제1브릿지(100), 제2브릿지(200), 제1거치부(300), 제2거치부(400), 모터(500) 및 회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10)는 관절이 사이에 위치하는 신체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에 관절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10)가 사용될 수 있는 사용자의 신체는 팔꿈치를 포함되는 팔, 무릎을 포함하는 다리 또는 발목을 포함하는 발과 같은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에서는 한 쌍의 제1브릿지(100)와 한 쌍의 제2브릿지(200)가 사용된다.
도 2 및 도 3은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단일의 제1브릿지(100)와 단일의 제2브릿지(200)를 분해한 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는 서로 결합/분해 가능하며, 제1브릿지(100)는 서로 일체화된 제1프레임(110) 및 제1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제2브릿지(200) 또한 제1브릿지(100)와 마찬가지로 서로 일체화된 제2프레임(210) 및 제2결합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는 유사한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 각각은 일측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10)를 팔에 사용할 경우 각각 한 쌍의 제1프레임(110)과 한 쌍의 제2프레임(210)은 팔의 내측(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바라봤을 때 몸통 방향)과 팔의 외측(사용자가 자신의 팔을 바라봤을 때 바깥 방향)에 위치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210)은 각각 일측에(각각의 결합부의 반대 방향)에 결합홀(111, 211)이 형성되는데, 제1프레임(110)의 결합홀(111)은 제1거치부(300)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고, 제2프레임(210)의 결합홀(211)은 제2거치부(4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 결합홀(111, 211)에 대해서는 제1거치부(300)와 제2거치부(400)를 설명할 때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210)은 내부가 막혀 있는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210)의 형태를 본 실시예와 같은 내부가 막혀있는 프레임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태의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 각각은 복수의 파이프가 삽입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에 따라 다른 신체 사이즈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단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이 다단 파이프 형태로 적용될 경우, 결합홀(111, 211)에 핀 또는 나사가 삽입되어 다단 파이프의 길이 조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210)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형태는 상술한 다단 파이프에 한정하지 않으며, 라쳇(Rachet) 구조 또는 스트랩 구조(Tooth strap)가 사용되어,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220)는 각각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 각각의 측면이 면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22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220)가 외곽이 원형으로 구성될 경우, 둘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큰 면적의 원형이 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20)의 크기가 제2결합부(220)의 크기보다 크며, 각각은 중심축이 서로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는 환 형상으로, 내부에 중공홀(도번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공홀에는 구동축(6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일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600)은 제1결합부(120)의 중공홀 및 제2결합부(220)의 중공홀에 삽입된다. 구동축(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부(300)는 한 쌍의 제1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고, 제2거치부(400)는 한 쌍의 제2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각각 사용자의 신체가 지지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10)를 팔의 재활 및 고정이 필요한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 팔꿈치를 기준으로 손 방향의 팔은 제1거치부(300)에, 팔꿈치를 기준으로 어깨 방향의 팔은 제2거치부(400)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부(300) 및 제2거치부(400)는 일측이 개방된 (제1거치부는 상부가, 제2거치부는 하부가 각각 개방됨) 형태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제1거치부(300) 및 제2거치부(400)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부(300) 및 제2거치부(400)는 각각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 방향의 부재에 나사홀이 형성되어,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의 결합홀과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210)의 경우, 복수개의 결합홀(111, 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제1거치부(300)와 제2거치부(400)를 이동시켜 결합할 수 있다.
제1거치부(300) 및 제2거치부(400)의 개방된 방향에는 사용자의 신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는 일예로서 벨크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축(600)은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 각각의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 간의 고정 및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220) 각각에 형성된 중공홀에 삽입되며, 후술할 모터(500)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모터(500)의 구동 시 함께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축(600)은 모터(500)의 회전축과 결합하기 위해, 중앙 부분에 함몰 형성된 홀(도번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600)은 제1브릿지(100) 및 제2브릿지(200) 중 하나와 결합되어 모터(500)에 의해 결합된 브릿지와 함께 회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브릿지(200)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축(600)이 제2브릿지(20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방법은, 구동축(600)과 제2브릿지(200)의 제2결합부(220) 각각에 형성된 키홀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축(600)은 외주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제1키홀(610)을 포함하고, 제2결합부(220) 또한 외주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 제2키홀(221)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2브릿지(200)를 회전하여, 제1키홀(610)과 제2키홀(221)이 서로 이어지도록 정렬할 수 있으며, 제1키홀(610)과 제2키홀(221)을 서로 정렬한 후, 키(미도시)를 제1키홀(610)과 제2키홀(221)에 삽입함으로써, 구동축(600)과 제2브릿지(20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구동축(600)과 제2브릿지(200)가 함께 회전하는 경우는 사용자의 재활을 위한 것이다.
재활을 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키를 제1키홀(610) 및 제2키홀(221)에서 빼서, 구동축(600)이 모터(500)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제2브릿지(20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는 제2브릿지(200)의 회전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800)는 제2결합부(220)의 외주면에 위치하되, 단면이 외주의 일부분이 개방된 호 형상일 수 있다. 즉, 모터(500)에 의해 구동축(600)과 구동축(600)에 연결된 제2브릿지(200)가 회전하더라도 스토퍼(800)의 개방된 부분에서만 회전 가능하다. 스토퍼(800)를 사용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재활할 때, 특정 각도범위에서 신체를 이동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는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220)를 결합하기 위한 캡(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700)은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어 사이에 있는 구성들(스토퍼, 구동축, 제2결합부)을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축(6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700)의 외측에는 모터(500)가 위치하고, 모터(500)의 회전축(510)은 구동축(600)에 삽입되어 모터(50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60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모터(500)는 브라켓과 같은 소정의 수단을 통해 캡(700)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20), 스토퍼(800) 및 캡(700)은 볼트(12) 및 너트(13)를 통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결합부(120), 스토퍼(800) 및 캡(700) 각각에는 관통 형성되고 서로 정렬된 나사홀(121, 810, 710)이 형성되며, 볼트(12)가 해당 나사홀들에 삽입되어, 너트(13)를 통해 고정된다. 모터(500)가 동작할 경우, 모터(500)의 회전축, 구동축(600) 및 제2브릿지(200)가 회전한다.
모터(500)는 외부의 구동신호를 통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스토퍼가 한정하는 각도 내에서) 제2브릿지(20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500)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은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분을 재활해야 하는 환자이기 때문으로, 모터(500)의 회전속도는 분당 75~160°일 수 있다.
사용자는 모터(500)와 연결된 외부의 제어부를 통해 모터(500)에 구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모터(500)의 ON/OFF 및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제어부는 본 실시예의 외측에 버튼 또는 터치 가능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통해 형성되거나, 스마트폰 또는 무선 제어기기를 이용하여 신호를 본 실시예의 모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의 동작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부(220)에 인접한 제2프레임(210)에는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를 고정하는 용도의 회전 제어부의 구성으로, 회전 제어용 홀(212) 및 핀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제어용 홀(212)은 제2브릿지(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2브릿지(200)의 회전 제어용 홀(212)을 도 4에 도시된 제1결합부(120) 및 캡(700)의 나사홀(121, 710)과 정렬시킨 후, 별도의 핀을 나사홀(121, 710) 및 나사홀과 정렬된 회전 제어용 홀(212)에 삽입하여 제2브릿지(200)를 고정함으로써,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신체의 일부분을 고정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에게 보조기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홀(121, 710)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제2브릿지(200)의 회전 정도를 조절해 나사홀과 회전 제어용 홀(212)을 정렬하고, 핀을 삽입함으로써 제2브릿지(200)가 고정되는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단, 상술한 회전 제어용 홀(212) 및 나사홀에 삽입되는 핀의 구성은 회전 제어부의 일실시예로, 다른 방법을 통해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를 고정할 수 있다.
회전 제어용 홀(212) 및 핀을 사용하여 제1브릿지(100)와 제2브릿지(200)를 고정함으로써, 모터(500)가 동작하더라도 제2브릿지(200)가 회전하지 않으므로, 신체의 일부분을 고정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에게 보조기로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경제적이고, 길이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여, 소정 범위 내의 신체사이즈를 가지는 복수의 사용자들에게도 적합하며, 손쉽게 제1브릿지(100) 및 제2브릿지(200)를 고정하거나 회전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어 재활기기 또는 보조기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12 : 볼트 13 : 너트
100 : 제1브릿지 110 : 제1프레임
111 : 결합홀 120 : 제1결합부
121 : 나사홀
200 : 제2브릿지 210 : 제2프레임
211 : 결합홀 212 : 회전 제어용 홀
220 : 제2결합부 221 : 제2키홀
300 : 제1거치부 400 : 제2거치부
500 : 모터 510 : 회전축
600 : 구동축 610 : 제1키홀
700 : 캡 710 : 나사홀
800 : 스토퍼 810 : 나사홀

Claims (6)

  1. 일측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110) 및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에 형성된 제1결합부(12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브릿지(100);
    일측으로 연장된 제2프레임(210) 및 상기 제2프레임(210)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결합부(220)를 포함하며, 한 쌍이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브릿지(200);
    한 쌍의 상기 제1프레임(11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신체가 거치되는 제1거치부(300);
    한 쌍의 상기 제2프레임(210) 사이에 설치되어 환자의 신체가 거치되는 제2거치부(400);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20)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2브릿지(200)를 회전시키는 모터(500); 및
    상기 제1브릿지(100) 및 상기 제2브릿지(200)에 물리적으로 탈부착되어 상기 제2브릿지(200)의 회전여부를 결정하는 회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220)는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정렬되는 중공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홀에 삽입되되, 상기 모터(500)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동축(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600)이 삽입되되, 상기 제2결합부(220)의 외면과 맞닿아 상기 제1결합부(120)와 결합되는 캡(7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이 개방된 호 형상으로, 상기 제2결합부(22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캡(700)에 고정되어 상기 제2브릿지(200)의 회전 한계를 결정하는 스토퍼(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600)과 상기 제2결합부(220)는 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결합부(220)는 상기 모터(500)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600)은 외주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1키홀(6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220)는 외주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2키홀(221)을 포함하며,
    서로 정렬된 상기 제1키홀(610) 및 상기 제2키홀(221)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축(600)과 상기 제2결합부(220)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는 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KR1020180154310A 2018-12-04 2018-12-04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KR102203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310A KR102203481B1 (ko) 2018-12-04 2018-12-04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310A KR102203481B1 (ko) 2018-12-04 2018-12-04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443A true KR20200067443A (ko) 2020-06-12
KR102203481B1 KR102203481B1 (ko) 2021-01-14

Family

ID=71088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310A KR102203481B1 (ko) 2018-12-04 2018-12-04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3173A1 (en) * 2021-10-29 2023-05-04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Elbow orthosis and process for adapting a configuration of such an orthosis to a pati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66A (ko) * 2007-08-30 2009-03-04 한창수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KR20120078921A (ko) * 2011-01-03 2012-07-11 최주희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120106235A (ko) * 2011-03-18 2012-09-26 선동윤 무릎관절 보조기
US20140257156A1 (en) * 2013-03-05 2014-09-11 Boa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closure of medical devices
KR20150110163A (ko) * 2014-03-24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지 재활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6726356A (zh) * 2017-01-22 2017-05-31 北京大学 一种可快速更换脚板的动力踝关节康复驱动单元
KR101911147B1 (ko) 2016-11-25 2018-10-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훈련 로봇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266A (ko) * 2007-08-30 2009-03-04 한창수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KR20120078921A (ko) * 2011-01-03 2012-07-11 최주희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20120106235A (ko) * 2011-03-18 2012-09-26 선동윤 무릎관절 보조기
US20140257156A1 (en) * 2013-03-05 2014-09-11 Boa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closure of medical devices
KR20150110163A (ko) * 2014-03-24 2015-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지 재활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11147B1 (ko) 2016-11-25 2018-10-23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상지 재활 훈련 로봇 장치
CN106726356A (zh) * 2017-01-22 2017-05-31 北京大学 一种可快速更换脚板的动力踝关节康复驱动单元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3173A1 (en) * 2021-10-29 2023-05-04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Elbow orthosis and process for adapting a configuration of such an orthosis to a pat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481B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052B1 (ko)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1737200B1 (ko) 팔꿈치 재활훈련장치
EP2983628B1 (en) A bi-directional dampening and assisting unit
US8043242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joint therapy and stabilization
US7156818B2 (en) Multi-functional joint brace
US10213356B2 (en) Orthosis device
JP4660225B2 (ja) 身体関節の位置を矯正するための装具
JP2003526470A (ja) 回内/回外・屈曲両用治療運動装置
EP1837001A1 (en) Knee brace with lightweight structure
JPH0542174A (ja) 動的ひじ支持体
US6533741B1 (en) Articulated upper extremity splint to immobilize and support an injured limb
KR20190059568A (ko) 상지 재활을 위해 엔드 이펙터 타입의 재활로봇과 연결가능한 재활 로봇
US20190142680A1 (en) Motion assistance apparatus
KR101907176B1 (ko) 석션 보조 장비
KR102203481B1 (ko) 의료용 관절 보조장치
JP2018505754A (ja) 関節リハビリテーションのために設計された整形外科用整形具すなわちブレースのための二軸多中心関節状連結器
KR101501635B1 (ko) 가변 외 고정 장치
JP2007160029A (ja) 膝関節リハビリ用歩行補助具
US20220096259A1 (en) A spherical joint mobilization brace
KR20170069885A (ko) 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200349715Y1 (ko) 중풍환자용 재활운동기구
CN109381324B (zh) 可调矫形器
CN208355609U (zh) 万向可调臂外展矫形器
TWI713989B (zh) 可調康復器械、步態輔助方法及預張緊方法
KR102140244B1 (ko) 하지 보조기용 관절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