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408A -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7408A KR20200067408A KR1020180154225A KR20180154225A KR20200067408A KR 20200067408 A KR20200067408 A KR 20200067408A KR 1020180154225 A KR1020180154225 A KR 1020180154225A KR 20180154225 A KR20180154225 A KR 20180154225A KR 20200067408 A KR20200067408 A KR 202000674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gap
- fastening
- skeleton
- double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구성이 스페이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의 배치를 줄이고, 다양한 두께로 생산해낼 수 있으며, 한 종류의 PC벽체 만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의 이중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현장상황에 변동 대응이 유리할 수 있고, 이중벽체가 받는 응력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설치된 이중벽체들을 견고하게 일체화 할 수 있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구성이 스페이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의 배치를 줄이고, 다양한 두께로 생산해낼 수 있으며, 한 종류의 PC벽체 만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의 이중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현장상황에 변동 대응이 유리할 수 있고, 이중벽체가 받는 응력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설치된 이중벽체들을 견고하게 일체화 할 수 있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벽체의 시공 시, 현장타설 RC벽체 공법의 경우, 철근의 배근과 거푸집의 설치 공정, 미장 공정 등에 많은 인력과 긴 공기가 소요되는 바, 경쟁력이 떨어지게 되어 종래에는 PC벽체를 활용한 조립식의 이중벽체공법이 선호되고 있다.
이중벽체공법이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PC벽체를 이중으로 시공하고 내측의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채워넣는 방식으로, 내측의 콘크리트로 인해 접합부의 일체성이 확보되며, 현장타설 RC벽체 대비 공기가 단축되고 최적화 설계로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이같은 구조의 이중벽체공법은 선제작된 벽체을 이용해야 하는 바, 시공 시 구조물을 형성하면서 벽체의 형태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작업할 때 마다 공장생산단계에서 그때그때 필요한 다양한 두께의 벽체를 생산해야 하는데, 이 작업방식은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어, 이를 해결할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두께로 생산할 수 있으면서 이중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구성이 스페이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의 배치를 줄일 수 있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벽체 만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의 이중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벽체가 받는 응력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벽체의 두께를 높일 시, 벽체부의 간격 변형으로 인해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의 크기가 넓어질 경우에도 이음철근을 골고루 배근할 수 있도록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부를 양 측 또는 일 측 장변 방향으로 다수개 연장할 시 연장된 벽체부들끼리 견고하게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격추가부를 일정 이상 설치하여 간격추가부와 간격체결부의 간격이 멀어지게되어 체결이 비교적 약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 도중에 간격추가부를 원하는 만큼 설치할 수 있어 현장상황에 대한 변동 대응이 유리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으로 체결된 이중벽체와 장변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벽체부 사이를 추가적으로 체결하여 타설단계 이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생길 수 있는 어긋남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한 쌍의 판형 벽체로 이루어진 벽체부, 상기 벽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벽체부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뼈대부, 상기 뼈대부 및 한 쌍의 벽체부를 한 번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벽체부가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뼈대부, 상기 뼈대부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벽체부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포개어 설치할 수 있는 간격추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뼈대부는, 상기 간격추가부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오목형 또는 볼록형의 체결부위인 제1체결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추가부는, 상기 뼈대부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상기 제1체결보조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체결부위인 제2체결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는, 상기 뼈대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체부에, 벽체 조립 시 상기 간격추가부가 맞닿는 위치에 간격체결부매입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상기 벽체부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트러스부, 상기 트러스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근할 수 있는 이음철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상기 벽체부 중 상기 트러스부가 설치되지 않은 벽체부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추가트러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양 측 장변 또는 일 측 장변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상기 벽체부가 상기 이음철근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벽체부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뼈대부에 각각 구비된 장변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상기 간격체결부로 체결된 한 쌍의 상기 벽체부가 상기 이음철근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 측 벽체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간격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은, 뼈대부가 구비된 다수개의 벽체부를 인양하여 내측면이 같은 방향에 오도록 장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벽체부의 외측면에 임시고정장치를 배치하는 벽체배치단계, 상기 벽체부의 뼈대부에 간격추가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씩 포개어 설치하는 간격조절단계, 이음철근부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근하고 뿌리골격을 배치하는 배근단계, 반대편 벽체부를 인양하여 상기 간격추가부에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배치하고, 간격체결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단계, 상기 벽체부들의 내측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고 임시고정장치를 제거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근단계는, 벽체부의 각기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뼈대부의 장변이음부에 이음철근부를 직접 체결하는 장변이음단계, 상기 뼈대부 상부 중앙과, 상기 이중벽체의 조립 시 상기 뼈대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벽체부에 구비된 간격이음부에 이음철근부를 직접 체결하는 간격이음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벽체부, 간격조절부, 뼈대부, 간격체결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두께로 생산할 수 있으면서 이중벽체의 두께를 결정하는 구성이 스페이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어 불필요한 구성의 배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간격추가부, 제1체결보조부, 제2체결보조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한 종류의 벽체 만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의 이중벽체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트러스부, 이음철근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이중벽체가 받는 응력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추가트러스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이중벽체의 두께를 높일 시, 벽체부의 간격 변형으로 인해 내측에 형성되는 중공부의 크기가 넓어질 경우에도 이음철근을 골고루 배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변이음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벽체부를 양 측 또는 일 측 장변 방향으로 다수개 연장할 시 연장된 벽체부들끼리 견고하게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간격이음부의 구성으로 인하여, 간격추가부를 일정 이상 설치하여 간격추가부와 간격체결부의 간격이 멀어지게되어 체결이 비교적 약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벽체배치단계, 간격조절단계, 배근단계, 체결단계, 타설단계의 구성으로 인하여, 시공 도중에 간격추가부를 원하는 만큼 설치할 수 있어 현장상황에 대한 변동 대응이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장변이음단계, 간격이음단계의 구성으로 인하여, 한 쌍으로 체결된 이중벽체와 장변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벽체부 사이를 추가적으로 체결하여 타설단계 이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생길 수 있는 어긋남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뼈대부의 두께를 적용한 조립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뼈대부와 간격추가부의 두께를 적용한 조립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뼈대부의 두께를 적용한 조립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2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뼈대부와 간격추가부의 두께를 적용한 조립형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내측면"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이중벽체가 조립될 시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벽체부 안쪽 면을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는 벽체부(10), 간격조절부(20), 트러스부(30), 이음철근부(4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목적 및 효과에 따른 각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기재하도록 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는 상기 벽체부(10), 간격조절부(20)의 구성으로 인해, 벽체의 공장생산 단계에서 다양한 두께의 이중벽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벽체부(10)는, 한 쌍의 판형 벽체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종래 이중벽체 제작에 사용되는 PC패널을 사용될 수 있다. 조립 후 중공부(B)에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간의 접착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내측면(A)이 거칠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부(10) 한 쌍 중 어느 한 벽체부(10)는, 아래에서 설명할 간격체결부(22)가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간격체결부매입홈(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체결부매입홈(11)은, 간격체결부(22)를 체결할 수 있는 홈으로, 뼈대부(21)가 형성되지 않은 벽체부(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벽체 조립 시 뼈대부(21)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간격추가부(23)와 맞닿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간격조절부(20)는, 상기 벽체부(10) 한 쌍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이중벽체(1)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뼈대부(21), 간격체결부(22)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뼈대부(21)는, 상기 벽체부(10)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A)에 장변 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될 수 있는 돌출형의 구성으로, 조립된 이중벽체의 상·하부가 골고루 응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하부 수직 형태의 일자형으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벽체부(10)와의 견고한 일체화를 위해 벽체부(10)와 가까울수록 장변이 더 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의 (a)와 같이 상기 뼈대부(21) 이외에 부가적인 간격조절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을 시, 상기 뼈대부(21)가 상기 벽체부(10)로부터 돌출된 높이(h2)는 중공부(B)의 두께와 동일하므로, 조립된 이중벽체(1) 두께의 최소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조립된 이중벽체(1)의 두께 = (벽체부(10)의 두께(h1) x 2) + 뼈대부(21)가 돌출된 높이(h2)).
상기 간격체결부(22)는, 상기 뼈대부(21) 및 한 쌍의 벽체부(10)를 한 번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벽체부(1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벽체부(10) 한 쌍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뼈대부(21)의 상·하부 수직 일자형태에 따라, 수직으로 다수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뼈대부(21)는 상기 간격체결부(22)가 체결될 수 있도록 매입홈(212)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는, 상기 뼈대부(21) 이외에도 상기 이중벽체(1)의 두께를 조절하는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 종류의 벽체부(10) 만으로 현장에서 다양한 두께의 이중벽체(1)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추가부(23)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추가부(23)는, 상기 뼈대부(21), 상기 뼈대부(21)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벽체부(10)의 내측면(A)과 맞닿도록, 즉 한 쌍의 벽체부(10) 내측면(A)과 모두 맞닿을 수 있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포개어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간격체결부(22)와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너트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중벽체(1) 시공 시 상기 간격추가부(23)를 다수개 사용할수록 이중벽체(1)의 두께가 넓어지는데, 이 때 조립된 이중벽체(1)의 두께는, (벽체부(10)의 두께(h1) x 2) + 뼈대부(21)와 간격추가부(23)의 총 높이(h3)가 된다. 이 때, 도면 2의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중벽체(1)의 두께를 결정하는 구성이 스페이서의 역할을 병행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중공부(B)에 불필요한 배치를 줄일 수 있어 이중벽체(1)의 시공이 비교적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 뼈대부(21) 및 다수개의 간격추가부(23)의 용이한 체결 및 시공 과정에서 간격체결부(22)를 체결하기 전에 간격추가부(23)가 상기 뼈대부(21)에 붙어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뼈대부(21)와 간격추가부(23)는 제1체결보조부(211), 제2체결보조부(231), 제3체결보조부(232)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보조부(211)는, 상기 뼈대부(21)에서 상기 간격추가부(23)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오목형 또는 볼록형의 체결부위로, 상기 간격체결부(22)와 간격추가부(23)가 볼트와 너트의 형태인 바, 도 1 내지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매입홈(212)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체결보조부(231)는, 상기 간격추가부(23)에서 상기 뼈대부(21)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상기 제1체결보조부(211)와 대응되는 형태의 구성으로, 상기 제1체결보조부가 오목형으로 형성될 시 볼록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체결보조부(232)는, 상기 간격추가부(23)에서 상기 제2체결보조부(231)가 형성된 면의 대치된 면에 상기 제2체결보조부(231)와 대응되는 형태, 즉 상기 제1체결보조부(2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체결보조부(231)가 상기 제1체결보조부(211), 제3체결보조부(232)에 모두 체결될 수 있는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제1체결보조부(211)를 시작으로 다수개의 간격추가부(23)가 포개진 형태(도 2의 (b)에서 확인 가능)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는 조립된 이중벽체(1)가 응력, 하중을 포함한 외부, 내부적인 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강재로써 트러스부(30), 이음철근부(4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부(30)는, 상기 벽체부(10) 한 쌍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A)에 연속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중공부(B)에 철근을 골고루 배근할 수 있도록 절점이 용접으로 이어진 삼각형 형태의 철근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철근이 삼각형 형태일 경우, 축방향력으로 인한 휘는 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모든 하중과 반작용이 격점에만 작용하고, 하중으로 인한 변형이 작아지는 바, 구조적으로 안정된 골조 역할을 할 수 있다. 원활한 벽체부(10) 한 쌍의 조립을 위해, 상기 뼈대부(21)를 구비한 벽체부(10)의 내측면(A)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장 생산 단계에서 상기 벽체부(10)와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이음철근부(40)는, 상기 트러스부(30)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근할 수 있는 일자형의 철근으로, 상기 트러스부(30)와 함께 중공부(B)에 채워질 콘크리트의 골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수평으로 배근되는 수평철근부(41), 수직으로 배근되는 수직철근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간격추가부(23)를 다수 개 사용하여 중공부(B)의 크기가 넓어지게 될 경우, 넓어진 중공부(B)에 철근이 충분히 배근되지 못할 수 있다. 중공부(B)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대한 저항성능이 매우 약한 바, 인장과 압축에 대해 저항성능이 높은 철근이 중공부에 골고루 배근되어 상기 콘크리트와 일체화 되어야 견고한 이중벽체(1')를 시공할 수 있으므로, 확장된 중공부(B)에도 상기 이음철근부(40)를 골고루 배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3 내지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는 추가트러스부(50)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도 4의 경우, 이음철근부(40)에 의해 가려진 추가트러스부(50)의 일부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추가트러스부(50)는, 상기 벽체부(10) 한 쌍 중 상기 트러스부(30)가 설치되지 않은 벽체부(10)의 내측면(A)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구성으로, 역시 구조적으로 안정된 골조 역할을 위해 절점이 용접으로 이어진 삼각형 형태의 철근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활한 벽체부(10) 한 쌍의 결합을 위해, 구조상 상기 트러스부(30)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트러스부(30)와 마찬가지로, 공장 생산 단계에서 상기 벽체부(10)와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효과적인 현장대응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설치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간격추가부(23)를 다수 개 사용할 경우 또는 벽체부(10)를 양 측 또는 일 측 장변으로 다수개 연장할 경우에도 이중벽체(1'')를 견고하게 일체화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는 도 5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음보조부(60)의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보조부(60)는, 하나 이상의 벽체부(10)가 상기 이음철근부(40)로 연결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게 일체화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벽체부(10)의 내측면에 상기 이음철근부(4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변이음부(61), 간격이음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변이음부(61)는, 벽체부(10)의 양 측 또는 일 측 장변 방향으로 또 다른 벽체부(10')의 연결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벽체부(10) 및 또 다른 벽체부(10') 양 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뼈대부(21)에 구비될 수 있다. 벽체부(10)와 또 다른 벽체부(10')를 연결할 시, 상기 벽체부들(10, 10')의 각 양 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뼈대부(21)의 마주보는 면에 상기 장변이음부(6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음철근부(40)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음철근부(40)는 장변 방향으로 연결된 벽체부들(10, 10')의 특성 상 수평철근부(41)를 사용할 수 있으며, 고리형태의 상기 장변이음부(61)에 체결될 수 있도록 양 측이 굴절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음부(62)는, 상기 간격체결부(22)로 체결되어 조립된 한 쌍의 상기 벽체부(1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구성으로, 고리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음부(62)로 인해, 상기 수평철근부(41)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벽체부(10) 사이 간격을 가로질러 연결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평철근부(41)는 상기 장변이음부(61)에 사용된 그것과 마찬가지로 양 측이 굴절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의 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상기 시공방법은 벽체배치단계(S1), 간격조절단계(S2),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 배근단계(S4), 체결단계(S5), 타설단계(S6)를 포함하여, 시공 도중에 간격추가부(23)를 원하는 만큼 설치할 수 있어 현장상황에 대한 변동 대응이 유리한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1'')의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벽체배치단계(S1)는, 뼈대부(21)가 구비된 다수개의 벽체부(10)를 인양하여 내측면이 같은 방향에 오도록 장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벽체부(10)의 외측면에 임시고정장치(100)를 배치하는 단계로, 상기 임시고정장치(100)는 상기 벽체부(10)가 수직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는 삼각대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조절단계(S2)는 상기 간격추가부(23)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포개어 설치하는 단계로, 상기 벽체배치단계(S1)에서 설치한 벽체부(10)의 뼈대부(21)에 구비된 제1체결보조부(211)에 상기 간격추가부(23)의 제2체결보조부(231)를 체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간격추가부(23) 설치시 상기 뼈대부(21)에 체결된 간격추가부(23)의 제3체결보조부(232)에 새롭게 체결할 간격추가부(23)의 제2체결보조부(231)를 체결하여 다수개의 간격추가부(23)를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중벽체(1'')를 최소 두께로 설치해야 할 시, 상기 간격조절단계(S2)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간격추가부(23)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이중벽체(1'')를 시공할 수 있다.
상기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는 상기 간격조절단계(S2)에서 설치한 간격추가부(23)의 수량이 특정 수량(한계값) 미만인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특정 수량은, 상기 간격체결부(22)와 벽체부(21)가 체결될 상태를 기준으로 책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이중벽체(1'') 조립 후 상기 간격체결부(22)가 상기 뼈대부(21)의 매입홈(212)에 매입될 길이가 상기 벽체부(21) 길이(도 2 (a)의 h2)의 1/2 미만이 되는 구간의 간격추가부(23) 수량을 특정 수량(한계값)으로 책정할 수 있다.
상기 배근단계(S4)는, 상기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 이후, 트러스부(30), 추가트러스부(50) 또는 이음보조부(60)에 이음철근부(40)를 배근하고 바닥에 뿌리골격을 심는 단계로, 트러스부추가단계(S41), 간격이음단계(S42) 및 장변이음단계(S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에서 간격추가부(23)의 수량이 특정 수량(한계값) 미만으로 확인될 시 상기 배근단계(S4)는 트러스부(30)에 이음철근부(4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하고 뿌리골격을 심는 작업과 함께 장변이음단계(S43)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에서 간격추가부(23)의 수량이 특정수량(한계값) 미만이 아닌 것으로 확인될 시 상기 배근단계(S4)는 역시 트러스부(30)에 이음철근부(40)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하는 작업과 함께 트러스부추가단계(S41), 간격이음단계(S42) 및 장변이음단계(S43)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트러스부추가단계(S41)는, 상기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에서 확인한 간격추가부(23)가 특정 수량(한계값) 미만이 아닐 시, 추가트러스부(50)가 설치된 형태의 뼈대부(21)가 구비되지 않은 벽체부(10)(공장 생산 단계에서 상기 추가트러스부(50)가 상기 벽체부(10)에 설치된 상태로 생산되도록 한다.)를 상기 벽체배치단계(S1)에서 설치한 벽체부(10)의 반대편 벽체부(10)로 사용하는 단계이다. 추가적으로, 효과적인 현장대응을 위해 뼈대부(21)가 구비되지 않은 반대편 벽체부(10)에 상기 추가트러스부(50)를 연속된 간격으로 따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 다만, 이렇게 추가트러스부(50)를 따로 설치할 경우에는, 한 쌍의 벽체부(10)가 이중벽체(1'')로써 체결된 후에는 내측 중공부에 상기 추가트러스부(50)를 설치하기 어려운 바, 상기 한 쌍의 벽체부(10)가 상기 간격체결부(22)로 체결되기 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음단계(S42)는, 역시 상기 간격추가부확인단계(S3)에서 확인한 간격추가부(23)가 특정 수량(한계값) 미만이 아닐 시, 이중벽체(1'')를 이루는 한 쌍의 벽체부(10)에 구비된 간격이음부(62)에 상기 이음철근부(40)를 설치하는 단계로, 상기 한 쌍의 벽체부(10)가 맞닿은 상태, 즉 상기 뼈대부(21) 또는 간격추가부(23)의 일측 면이 또 다른 벽체부(10)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러스부추가단계(S41)와 간격이음단계(S42)로 인해, 상기 간격추가부(23)의 수량이 특정수량(한계값) 미만이 아닌 것으로 확인될 시, 상기 간격추가부(23)로 인해 더 넓어진 중공부에 이음철근부(40)를 골고루 배근하고, 상기 한 쌍의 벽체부(10)의 간격 연결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간격추가부(23)의 설치로 인해 발생한 벽체부의 추가 간격에 따른 적절한 현장대응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장변이음단계(S43)는, 벽체부(10)의 각기 양측자리에 위치한 뼈대부(21)의 장변이음부(61)에 이음철근부(40)를 직접 체결하는 단계로 상기 벽체배치단계(S1)에서 배치한 뼈대부(21)가 형성되어 있는 벽체부(10)를 추가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트러스부추가단계(S41)와 같이, 한 쌍의 벽체부(10)가 이중벽체(1'')로써 체결된 후에는 내측 장변이음부(61)에 상기 이음철근부(40)를 설치하기 어려운 바, 상기 한 쌍의 벽체부(10)가 상기 간격체결부(22)로 체결되기 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근단계(S4)는, 트러스부(30)에 이음철근부(40) 설치하기, 뿌리골격 배치하기, 트러스부추가단계(S41) 및 장변이음단계(S43)를 완료하고 난 후, 상기 한 쌍의 벽체부(10)를 맞닿게 하여 간격이음단계(S42)를 실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장변이음단계(S43)로 인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장변 방향으로 이어진 벽체부(10)들을 체결시킴으로써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생기는 벽체부 사이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단계(S5)는, 상기 벽체배치단계(S1)에서 배치한 벽체부(10)에 맞은편 벽체부(10)를 상기 간격체결부(22)로 체결하는 단계로, 한 쌍의 벽체부(10)가 이중벽체(1'')로써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서 상기 체결단계(S5)의 일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타설단계(S6)는, 상기 체결단계(S5)에서 체결된 한 쌍의 벽체부(10) 사이 중공부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고 상기 임시고정장치(100)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중벽체(1'') 시공의 마무리 단계이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벽체부
11 : 간격체결부매입홈
20 : 간격조절부 21 : 뼈대부
211 : 제1체결보조부 22 : 간격체결부
23 : 간격추가부 231 : 제2체결보조부
232 : 제3체결보조부 30 : 트러스부
40 : 이음철근부 50 : 추가트러스부
60 : 이음보조부 61 : 장변이음부
62 : 간격이음부 100 : 임시고정장치
20 : 간격조절부 21 : 뼈대부
211 : 제1체결보조부 22 : 간격체결부
23 : 간격추가부 231 : 제2체결보조부
232 : 제3체결보조부 30 : 트러스부
40 : 이음철근부 50 : 추가트러스부
60 : 이음보조부 61 : 장변이음부
62 : 간격이음부 100 : 임시고정장치
Claims (8)
- 한 쌍의 판형 벽체로 이루어진 벽체부;
상기 벽체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벽체부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뼈대부,
상기 뼈대부 및 한 쌍의 벽체부를 한 번에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벽체부가 사용자가 원하는 간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뼈대부, 상기 뼈대부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벽체부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포개어 설치할 수 있는 간격추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뼈대부는, 상기 간격추가부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오목형 또는 볼록형의 체결부위인 제1체결보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간격추가부는, 상기 뼈대부와 맞닿는 면에 형성된 상기 제1체결보조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체결부위인 제2체결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벽체부는, 상기 뼈대부가 형성되지 않은 벽체부에, 벽체 조립 시 상기 간격추가부가 맞닿는 위치에 간격체결부매입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는,
상기 벽체부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된 트러스부;
상기 트러스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근할 수 있는 이음철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는,
상기 벽체부 중 상기 트러스부가 설치되지 않은 벽체부의 내측면에 연속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추가트러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는,
양 측 장변 또는 일 측 장변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상기 벽체부가 상기 이음철근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각 벽체부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뼈대부에 각각 구비된 장변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는,
상기 간격체결부로 체결된 한 쌍의 상기 벽체부가 상기 이음철근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 측 벽체부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간격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 뼈대부가 구비된 다수개의 벽체부를 인양하여 내측면이 같은 방향에 오도록 장변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상기 벽체부의 외측면에 임시고정장치를 배치하는 벽체배치단계;
상기 벽체부의 뼈대부에 간격추가부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씩 포개어 설치하는 간격조절단계;
이음철근부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근하고 뿌리골격을 배치하는 배근단계;
반대편 벽체부를 인양하여 상기 간격추가부에 내측면이 밀착되도록 배치하고, 간격체결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단계;
상기 벽체부들의 내측면 사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고 임시고정장치를 제거하는 타설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시공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단계는,
벽체부의 각기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뼈대부의 장변이음부에 이음철근부를 직접 체결하는 장변이음단계,
상기 뼈대부 상부 중앙과, 상기 이중벽체의 조립 시 상기 뼈대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벽체부에 구비된 간격이음부에 이음철근부를 직접 체결하는 간격이음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225A KR102283875B1 (ko) | 2018-12-04 | 2018-12-04 |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4225A KR102283875B1 (ko) | 2018-12-04 | 2018-12-04 |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7408A true KR20200067408A (ko) | 2020-06-12 |
KR102283875B1 KR102283875B1 (ko) | 2021-08-03 |
Family
ID=7108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4225A KR102283875B1 (ko) | 2018-12-04 | 2018-12-04 |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387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35814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CN113235813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CN113235816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CN113235815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9385B1 (ko) | 2021-09-07 | 2022-05-09 | (주)자연과환경 | 이중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21221A (ja) * | 2000-07-06 | 2002-01-23 | Taisei Corp | 接合部の構造及びパネル |
KR20110058309A (ko) * | 2009-11-26 | 2011-06-01 | 주식회사 유림산업 | 높이 조정이 용이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193895B1 (ko) * | 2012-08-01 | 2012-10-29 | 대한이.이엔.씨(주)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벽 구조물 및 상기 합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
JP2018066263A (ja) * | 2018-01-31 | 2018-04-26 | 泰徳 松中 | コンクリート型枠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225A patent/KR1022838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21221A (ja) * | 2000-07-06 | 2002-01-23 | Taisei Corp | 接合部の構造及びパネル |
KR20110058309A (ko) * | 2009-11-26 | 2011-06-01 | 주식회사 유림산업 | 높이 조정이 용이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193895B1 (ko) * | 2012-08-01 | 2012-10-29 | 대한이.이엔.씨(주)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와 현장타설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벽 구조물 및 상기 합벽 구조물의 시공방법 |
JP2018066263A (ja) * | 2018-01-31 | 2018-04-26 | 泰徳 松中 | コンクリート型枠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35814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CN113235813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CN113235816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CN113235815A (zh) * | 2021-06-01 | 2021-08-10 | 三一筑工科技股份有限公司 | 空腔墙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3875B1 (ko) | 2021-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67408A (ko) |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32260B1 (ko)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
JP6424075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柱鉄骨梁接合部材並びにその製作方法、及び建物の構築方法 | |
KR102089764B1 (ko) | S바 철근 및 pc부재 수평철근을 이용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130043324A (ko) | 콘크리트 일체 성형용 강판보 | |
KR20170027234A (ko) |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 |
KR100909882B1 (ko) | 바닥높이 절감형 데크플레이트 슬래브 구조 | |
KR101557388B1 (ko) | 전단보강용 철근조립 유닛 | |
JP2005220699A (ja) | 既設柱の補強構造、及びその補強方法 | |
JP6574336B2 (ja) |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 |
KR102122889B1 (ko) | 앵글형 선조립 기둥 | |
KR101946500B1 (ko) |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 |
JP2017040122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柱梁接合部プレキャスト部材 | |
KR102149128B1 (ko) | 앵글형 선조립 기둥 | |
KR102350905B1 (ko) |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 |
JP5001897B2 (ja) | 建物の構築方法 | |
RU2107789C1 (ru) | Опалубка для стен | |
JP5458393B2 (ja) | 梁構造 | |
JP6873302B2 (ja) | 複合建物 | |
JP4264900B2 (ja) | 梁と床板の接合構造 | |
JP7400270B2 (ja) | 柱の接合構造及び柱の構築方法 | |
KR102149129B1 (ko) | 앵글형 선조립 기둥 | |
JP2019011675A (ja) | 複合構造 | |
KR102158021B1 (ko) | 사각단면 강재 기둥과 합성거더의 접합 구조 | |
KR102314861B1 (ko) | 무바닥판 커플채널 합성거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