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7016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7016A
KR20200067016A KR1020180153857A KR20180153857A KR20200067016A KR 20200067016 A KR20200067016 A KR 20200067016A KR 1020180153857 A KR1020180153857 A KR 1020180153857A KR 20180153857 A KR20180153857 A KR 20180153857A KR 20200067016 A KR20200067016 A KR 2020006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disposed
holder
guid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578B1 (ko
Inventor
조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78B1/ko
Priority to CN201980059688.1A priority patent/CN112740509A/zh
Priority to JP2021513192A priority patent/JP2022500978A/ja
Priority to EP19859464.0A priority patent/EP3852238A4/en
Priority to US17/274,979 priority patent/US11936266B2/en
Priority to PCT/KR2019/011776 priority patent/WO2020055132A1/ko
Publication of KR2020006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4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for insulating the magnetic circui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 상에 배치되는 제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부에서 연장되고 개구와 홈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는 상기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의 개구와 상기 홀더의 홈 내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켜서 회전력을 얻는 장치로서, 차량, 가정용 전자제품, 산업용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특히, 상기 모터가 사용되는 전자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onic Power Steering System 이하, EPS라 한다.)은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차량의 운전자는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다.
모터는 샤프트, 로터 및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복수의 티스를 포함하고, 티스에 코일이 감기며 절연을 위해 티스와 코일 사이에는 인슐레이터가 마련된다. 인슐레이터에 권선이 완료되면, 코일의 시작단과 종료단은 버스바의 터미널과의 퓨징을 위해 위치가 정렬되어야 한다. 다만, 코일을 권선하고 난 뒤의 코일의 종료단의 경우, 권선 과정 또는 코일의 장력으로 인하여 위치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는 모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자동화의 장애가 되며, 퓨징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의 종료단의 위치가 정렬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주 방향으로 정렬된 스테이터 코어에 배치된 인슐레이터의 형상을 상이하게 하여 하나의 코어에 권선된 코일을 다른 코어에 권선하는 경우 인슐레이터를 통하여 용이하게 넘어 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 상에 배치되는 제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부에서 연장되고 개구와 홈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는 상기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의 개구와 상기 홀더의 홈 내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제1 인슐레이터와 제2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시작단은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종료단은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에서 연장되고 개구와 홈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는 상기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의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종료단은 상기 홀더의 홈 내에 배치되는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내면에서 외면으로 이어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는 내면 및 상기 가이드의 내면과 상기 상면의 경계인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경계면은 곡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가이드는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와 회전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가이드의 상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의 홈은 상기 개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상면과 하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상기 하면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의 홈은 상기 홀더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의 일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종료단의 위치를 정렬되어, 제조 자동화에 유리하며, 코일에 대한 퓨징의 품질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일부를 지지하는 홀더의 강성이 확보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스테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내측에서 바라본 제1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외측에서 바라본 제1 인슐레이터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인슐레이터의 홀더의 평면도,
도 6은 제1 인슐레이터의 측면도,
도 7은 코일이 권선된 제1 인슐레이터를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코일이 권선된 제1 인슐레이터를 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제2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2 인슐레이터의 홈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코일이 권선된 제2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200),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300),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400) 및 로터(400)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500), 스테이터(300)의 상측에 배치되는 버스바(600) 및 샤프트(5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상기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C)을 향하여 배치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라 함은 내측과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상기 모터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상부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과 커버(200)의 결합에 의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300), 로터(400), 샤프트(500), 버스바(600) 및 센서부(7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샤프트(5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어링(10)을 수용하는 포켓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200)에도 샤프트(500)의 상부를 지지하는 베어링(10)을 수용하는 포켓부가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300)는 로터(4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스테이터(300)의 내측에는 로터(4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 스테이터 코어(310)에 권선되는 코일(320),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20)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320)이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슐레이터(33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20)을 절연시킨다. 그에 따라, 인슐레이터(33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320)은 인슐레이터(330)가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310)의 투스(312)에 권선될 수 있다.
도 2는 스테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테이터 코어(310)는 제1 코어(310A)와 제2 코어(3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어(310A)와 제2 코어(310B)는 일체이거나 분할된 별물일 수 있다. 제1 코어(310A)와 제2 코어(310B)는 권선 과정에서 하나의 코일(330)이 권선되는 코어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인슐레이터(320)는 제1 인슐레이터(320A)와 제2 인슐레이터(3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슐레이터(320A)와 제2 인슐레이터(320B)는 그 형상이 서로 상이 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슐레이터(320A)는 제1 코어(310A)에 장착되고, 제2 인슐레이터(320B)는 제2 코어(310B)에 장착된다.
코일(330)에 대하여 제2 인슐레이터(320B)에서 권선이 시작되고, 제1 인슐레이터(320A)에서 권선이 종료된다.
코일(330)의 시작단(S)과 종료단(T)은 버스바의 터미널과 퓨징을 위해, 커팅되어 직립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도 3은 내측에서 바라본 제1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외측에서 바라본 제1 인슐레이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인슐레이터(320A)는 바디(321A)와 가이드(322A)와 홀더(323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21A)는 스테이터 코어의 티스에 배치되어 코일(330)이 권선되는 부분이다. 가이드(322A)는 바디(321A)의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홀더(323A)는 가이드(322A)의 상측에서 연장된다.
홀더(323A)는 개구(324A)를 갖는다. 홀더(323A)는 개구(324A)를 형성하는 측면(1)과 하면(2)과 상면(3)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324A)의 일측면은 개방될 수 있다. 코일(330)의 종료단(T)은 홀더의(323A)의 일측면이 개방된 개구(324A)의 영역을 통해서 홀더(323A)를 향하도록 유도된다.
홀더(323A)는 홈(7)을 갖는다. 홀더(323A)는 측면(4)과 상면(5)과 하면(6)을 포함한다. 홈(7)은 홀더(323A)의 하면(6)에서 상면(5)까지 형성될 수 있다. 홀더(323A)의 측면(4)은 가이드(322A)의 상면(8a)과 단차를 이룰 수 있다. 홈(7)과 개구(324A)는 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홀더(323A)의 홈(7)은 개구(324A)의 상측에 배치된다. 홈(7)의 입구 방향은 홀더(323A)의 내측일 수 있다.
홀더(323A)의 하면(6)은 개구(324A)를 형성하는 홀더(323A)의 상면(3)과 동일한 면일 수 있다. 개구(324A)의 하면(2)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하면(2)의 경사 방향은 가이드(322A)의 외측으로 하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개구(324A)의 하면(2)은 가이드(322A)의 외측면(322Aa)에 연결된다. 제1 인슐레이터(320A)는 상부파트(P1)와 하부파트(P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323A)와 개구(324A)는 상부파트(P1)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인슐레이터의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홀더(323A)의 홈(7)의 입구는 홀더(323A)의 내면에 배치된다. 측면(4)은 내면(9)에서 외면(10)으로 이어지는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측면(4)은 도 5의 w1과 같이, 홀더(323A)의 내측에서 측면(4)을 따라 외측으로 감기는 코일(330)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측면(4)은, 측면(4)과 내면(9)의 에지 또는 측면(4)과 외면(10)의 에지에서 코일(3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면(4)은 제1 면(4a)과 제2 면(4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면(4a)과 제2 면(4b)은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외주면에 배치됨 홈(311)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면(4a)과 및 제2 면(4b) 모두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갖을 수 있다.
홀더(323A)는 원주방향 두께(T1)가 반경방향 두께(T2)보다 매우 큰 형상을 갖는다. 이는 권선 후, 코일(330)의 단부가 홀더(323A)의 내면(9)과 측면(4)을 거쳐 외면(10)으로 감길 때, 코일(330)의 텐션에 대항하는 홀더(323A)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은 제1 인슐레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322A)의 내면(8b)과 상면(8a)의 내측 경계(8c)는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이는 도 6의 w2와 같이, 홀더(323A)의 내면(9)에서 측면(4)을 거쳐 외면(10)으로 감기는 코일(330)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323A)의 내면(8b)과 상면(8a)의 내측 에지에서 코일(3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코일이 권선된 제1 인슐레이터를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은 코일이 권선된 제1 인슐레이터를 외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코일(330)의 종료단(T)은 홀더(323A)의 내측에서 측면(4)을 거쳐 홀더(323A)의 외면(10) 또는 가이드(322A)의 외측면(322Aa)을 따라 감긴다. 이렇게 감긴 코일(330)의 종료단(T)은 개구(324A)를 거쳐 홀더(323A)의 홈(7)에 삽입된다. 홀더(323A)는 종료단(T)을 고정한다. 홀더(323A) 안에 위치한 종료단(T)은 직립된 상태로 위치가 정렬된다. 코일(330)의 종료단(T)은 권선이 끝나는 지점이기 때문에, 코일(330)의 장력 또는 코일(330)이 느슨해지는 이유로 그 위치가 정렬되기 어렵다. 홀더(323A)는 이러한 코일(330)의 종료단(T)을 고정함으로써, 종료단(T)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종료단(T)의 정렬된 위치는 버스바(400)의 터미널과의 퓨징이 이루어지는 위치이다.
도 9는 제2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2 인슐레이터의 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인슐레이터(320B)는 바디(321B)와 가이드(322B)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21B)는 코일(330)이 권선되어 배치되는 부분이다. 가이드(322B)는 바디(321B)의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2 인슐레이터(320B)는 제1 인슐레이터(320A)와 달리 홀더(323A)가 생략된다. 이는 코일(330)의 권선을 위해 제2 인슐레이터(320B)의 가이드(322B)의 상측으로 노즐이 진입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가이드(322B)의 내측에 홈(11)이 배치된다. 홈(11)은 가이드(322B)의 내측면(13)과 상면(12)에 걸쳐 배치될수 있다.
제2 인슐레이터(320B)는 상부파트(P3)와 하부파트(P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홈(11)은 상부파트(P3)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코일이 권선된 제2 인슐레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홈(11)에는 코일(330)의 시작단(S)이 위치한다. 코일(330)의 권선과정에서, 홈(11)에 코일(330)의 시작단(S)에 삽입됨으로써, 시작단(S)의 위치는 자연스럽게 직립 상태로 정렬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로터(400)는 중심부에 샤프트(500)가 삽입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로터(400)의 상기 홈에는 샤프트(500)가 결합될 수 있다.
로터(400)는 로터 코어,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400)는 마그넷이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로터(400)는 마그넷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캔부재가 로터 코어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마그넷과 로터 코어가 이중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400)는 마그넷이 로터 코어의 내부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입의 로터는 로터 코어 내부에 마그넷이 삽입되는 포켓이 마련될 수 있다.
로터 코어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로터 코어는 하나의 통으로 구성되는 단일 코어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로터 코어는 스큐(skew)각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퍽(Puck)(단위 코어)이 적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로터 코어는 샤프트(500)가 삽입되게 중앙에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00)는 로터(40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류 공급을 통해 로터(400)와 스테이터(300)에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발생하면 로터(400)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샤프트(500)가 회전한다. 이때, 샤프트(500)는 베어링(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500)는 차량의 조향축과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샤프트(5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조향축은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코일(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600)는 버스바 본체와 상기 버스바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 본체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몰드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각각은 스테이터(300)의 코일(3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로터(400)와 회전 연동 가능하게 설치된 센싱 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여 로터(4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샤프트(5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센서부(700)는 센싱 마그넷 조립체(710)와 인쇄회로기판(PCB, 72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마그넷 조립체(710)는 로터(400)의 회전과 연동하도록 샤프트(500)에 결합되어 로터(400)의 위치를 검출되게 한다. 이때, 센싱 마그넷 조립체(710)는 센싱 마그넷과 센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넷과 상기 센싱 플레이트는 동축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싱 마그넷은 내주면을 형성하는 홀에 인접하여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메인 마그넷과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서브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마그넷은 모터의 로터(400)의 마그넷과 동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마그넷은 메인 마그넷보다 세분화되어 많은 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 마그넷을 통해 로터(400)의 회전 각도를 더욱 세밀하게 분할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따라, 상기 모터(1)의 구동을 더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상기 센싱 플레이트는 원판 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센싱 마그넷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 플레이트는 샤프트(5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싱 플레이트에는 샤프트(5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된다.
인쇄회로기판(720)에는 센싱 마그넷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는 홀 IC(Hall IC)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는 센싱 마그넷의 N극과 S극의 변화를 감지하여 센싱 시그널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샤프트
200: 로터
300: 스테이터
310: 코어
320: 인슐레이터
320A: 제1 인슐레이터
321A: 바디
322A: 가이드
323A: 홀더
324A: 개구
320B: 제2 인슐레이터
330: 코일
400: 버스바
500: 하우징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 상에 배치되는 제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상기 코일이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일부에서 연장되고 개구와 홈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는 상기 측면과 접촉하고, 상기 가이드의 개구와 상기 홀더의 홈 내에 배치되는 모터.
  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와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터는 스테이터 코어, 상기 스테이터 코어와 결합되는 제1 인슐레이터와 제2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1 인슐레이터 및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배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시작단은 상기 제2 인슐레이터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종료단은 상기 제1 인슐레이터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인슐레이터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에서 연장되고 개구와 홈을 갖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가이드의 상면과 단차를 이루는 측면 및 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일부는 상기 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의 개구를 관통하고,
    상기 종료단은 상기 홀더의 홈 내에 배치되는 모터.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내면과 외면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은 상기 내면에서 외면으로 이어지는 곡면을 포함하는 모터.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내면 및 상기 가이드의 내면과 상기 상면의 경계인 경계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의 경계면은 곡면인 모터.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슐레이터의 가이드는 상기 샤프트를 기준으로 상기 바디의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와 회전축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가이드의 상측에서 연장된 모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홈은 상기 개구의 상측에 배치된 모터.
  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상면과 하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상기 하면은 경사지게 배치되는 모터.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홈은 상기 홀더의 하면에서 상면까지 형성된 모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일측면은 개방된 모터.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슐레이터와 상기 제2 인슐레이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원주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치되는 모터.
KR1020180153857A 2018-09-11 2018-12-03 모터 KR102627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57A KR102627578B1 (ko) 2018-12-03 2018-12-03 모터
CN201980059688.1A CN112740509A (zh) 2018-09-11 2019-09-11 电机
JP2021513192A JP2022500978A (ja) 2018-09-11 2019-09-11 モータ
EP19859464.0A EP3852238A4 (en) 2018-09-11 2019-09-11 ENGINE
US17/274,979 US11936266B2 (en) 2018-09-11 2019-09-11 Motor having stator with guide and holder
PCT/KR2019/011776 WO2020055132A1 (ko) 2018-09-11 2019-09-11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857A KR102627578B1 (ko) 2018-12-03 2018-12-03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016A true KR20200067016A (ko) 2020-06-11
KR102627578B1 KR102627578B1 (ko) 2024-01-22

Family

ID=7107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857A KR102627578B1 (ko) 2018-09-11 2018-12-03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0048A (ja) * 2008-10-28 2010-05-13 Asmo Co Ltd インシュレータ、ステ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0200486A (ja) * 2009-02-25 2010-09-09 Minebea Co Ltd モータ
DE102014205827A1 (de) * 2014-03-28 2015-10-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ixierung eines Drahtendes einer Spule in der Endkappe eines Wickelkörpers
JP2016072997A (ja) *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および自動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0048A (ja) * 2008-10-28 2010-05-13 Asmo Co Ltd インシュレータ、ステータ及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10200486A (ja) * 2009-02-25 2010-09-09 Minebea Co Ltd モータ
DE102014205827A1 (de) * 2014-03-28 2015-10-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ixierung eines Drahtendes einer Spule in der Endkappe eines Wickelkörpers
JP2016072997A (ja) *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東芝 回転電機の固定子、回転電機、および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578B1 (ko) 202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515B2 (en) Cover assembly, motor and electric steering device including same
US11909287B2 (en) Insulator and motor comprising same
JP7406547B2 (ja) モータ
KR20240024134A (ko) 모터
US11942823B2 (en) Motor
US11329524B2 (en) Rotor and motor having same
US20210281139A1 (en) Motor
KR20200036616A (ko) 모터
US20230047704A1 (en) Motor
KR20200067016A (ko) 모터
KR102582437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27297B1 (ko) 모터
CN111670529B (zh) 转子和包括转子的马达
US20220037948A1 (en) Motor
KR20200064531A (ko) 모터
US20230036262A1 (en) Motor
KR102509428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102651689B1 (ko) 로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11757318B2 (en) Rotor and motor having same
KR20210090006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20086181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40029258A (ko) 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200037555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