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5314A -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5314A
KR20200065314A KR1020180151667A KR20180151667A KR20200065314A KR 20200065314 A KR20200065314 A KR 20200065314A KR 1020180151667 A KR1020180151667 A KR 1020180151667A KR 20180151667 A KR20180151667 A KR 20180151667A KR 20200065314 A KR20200065314 A KR 2020006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unit
air
hole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화
이규훈
Original Assignee
(주)스마트비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마트비전텍 filed Critical (주)스마트비전텍
Priority to KR102018015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65314A/ko
Publication of KR2020006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5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04Load carriers other than helical or spiral channels o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65G29/02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for inclined or vertical trans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은 피딩통부,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딩통부 내부에 제공된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홀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피딩디스크부 및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형성된 피딩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딩디스크부가 회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를 상기 피딩홀로 전달하면 상기 피딩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소재를 배출하는 에어피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Feeding unit and parts supplying apparatus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와이어 씰 등의 부품, 알약 등의 소형 제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와이어 씰, 알약 등의 소재는 소형으로 공급시에 정렬되어 전달하기가 어렵고, 형상 불량 등의 소재가 섞여 있어, 공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10-2018-0014993호
본 발명은 와이어 씰, 알약 등의 소형 소재의 공급시에 공급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정렬되게 전달할 수 있는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소재 공급시에 소재가 끼거나, 자세 불량으로 전달되는 문제, 소재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은 피딩통부,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딩통부 내부에 제공된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홀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피딩디스크부 및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형성된 피딩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딩디스크부가 회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를 상기 피딩홀로 전달하면 상기 피딩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소재를 배출하는 에어피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의 상기 피딩디스크부는, 상기 소재안착홀이 형성된 에지부 보다 회전축에 인접한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안착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디스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의 상기 피딩통부는, 상기 바닥판에 이물낙하홀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낙하홀의 일부는 상기 바닥판의 측방으로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의 상기 피딩통부는, 상기 바닥판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가 일측으로 몰리게 제공되되, 상기 소재가 상기 소재안착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은 상기 피딩통부의 외측벽 또는 내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에 위치된 소재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의 안착 자세를 조정하는 에어요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은 상기 피딩통부의 외측 바닥판에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에 위치된 소재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슈팅홀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상기 소재안착홀에서 부양하여 이탈시키는 에어슈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은 상기 에어피딩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며, 상기 피딩홀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에 이웃하되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의 상측을 쉴딩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에어피딩부에 이웃하여 상기 피딩통부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피딩부가 공기를 분사하는 소재에 이웃하게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의 상면을 눌러주는 에어쉴딩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의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에어피딩부에 이웃하여 상기 피딩통부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피딩부가 공기를 분사하는 소재에 이웃하게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쉴딩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는 소재를 외부로 전달하는 도넛판부재, 상기 피딩유닛, 상기 피딩홀에 연통되어 상기 피딩유닛에서 소재를 전달받되,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일단부가 결합된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소재를 전달받으며, 상기 도넛판부재에 이웃하여 구비되어 상기 소재를 정렬된 상태로 상기 도넛판부재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어레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피딩유닛과 상기 어레이유닛을 연결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과 연통되는 이동슬릿이 형성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슬릿에 위치한 소재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무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에어무빙부는, 상기 레일부의 양쪽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재의 양쪽 측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이동시키는 사이드무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에어무빙부는,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재의 상방에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이동시키는 어퍼무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어레이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의 상단부가 상기 어레이유닛으로 쓰러지면, 상기 소재의 측면 또는 하단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세우면서 상기 어레이유닛으로 밀어주는 에어스탠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어레이유닛과 상기 레일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소재를 상기 레일부에서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동무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어레이유닛에 인접하게 상기 레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가 이동되는 상기 레일부 방향으로 진입되게 구동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조정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어레이유닛은, 상기 연결유닛과 상기 도넛판부재 사이를 연결하게 구비되는 지지통부 및 상기 지지통부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연결유닛에서 전달된 소재가 수용되는 소재수용홈이 형성된 스프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지지통부는,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부가 연통되는 입측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지지통부는, 회전되는 상기 도넛판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통부의 출측홀에 구비되고, 첨단부가 상기 스프라켓부에 형성된 소재수용홈의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수용홈에 수용된 소재를 상기 도넛판부재 방향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는 배출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어레이유닛은, 회전되는 상기 도넛판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통부의 출측홀에 구비되되, 상기 스프라켓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통부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넛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부가 겹치게 배치되는 끼임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는 와이어 씰, 알약 등의 소형 소재의 공급시에 공급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정렬되게 전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는 소재 공급시에 소재가 끼거나, 자세 불량으로 전달되는 문제, 소재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딩유닛의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에어쉴딩건을 제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의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쉴딩블럭을 제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딩유닛에서 피딩통부에 이물낙하홀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딩유닛의 피딩디스크부가 경사디스크부재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에어쉴딩건을 제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의 에어요동부가 피딩통부의 외측벽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에서 에어슈팅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의 에어무빙부가 사이드무빙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이 에어스탠딩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이 진동무빙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어레이유닛이 끼임방지판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딩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 씰, 알약 등의 소형 소재(P)의 공급시에 공급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정렬되게 전달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는 소재(P) 공급시에 소재(P)가 끼거나, 자세 불량으로 소재(P)가 전달되는 문제, 소재(P)가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은 피딩통부(110),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딩통부(110) 내부에 제공된 소재(P)가 안착되는 소재안착홀(121)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피딩디스크부(120) 및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 형성된 피딩홀(11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딩디스크부(120)가 회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를 상기 피딩홀(111)로 전달하면 상기 피딩홀(111)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소재(P)를 배출하는 에어피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피딩부(130)에 의해서 상기 소재(P)를 상기 소재안착홀(121)과 연통된 피딩홀(111)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피딩홀(111)과 연통된 연결유닛(200) 등으로 소재(P)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소재(P)의 자중(自重)만으로 자유낙하하여서는 상기 피딩홀(111)을 통한 배출시에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끼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후행하여 전달되는 소재(P)가 외부로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에어피딩부(13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소재(P)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피딩통부(110)는 상기 소재(P)가 제공되는 구성으로, 상기 소재(P)를 저장하기 위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소재(P)를 수용하기 위한 도어(116)가 힌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딩디스크부(120)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바닥판(114)과, 상기 바닥판(114)에 수직하게 결합된 측벽(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측벽(115)에는 상기 에어피딩부(130) 등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는 이물낙하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14)과 상기 피딩디스크부(120) 사이에 낀 소재(P)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피딩통부(110)는 중력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됨에 의해서,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소재안착홀(121)에 소재(P)를 순차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의 상기 피딩통부(110)는, 상기 바닥판(114)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P)가 일측으로 몰리게 제공되되, 상기 소재(P)가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순차적으로 안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딩통부(110)가 비스듬하게 배치되고,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의 상단부에는 상기 피딩홀(111)이 형성되며, 자중에 의해서 상기 바닥판(114)의 하단부에 몰린 소재(P)들은 순차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에 형성된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114)의 상단부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재(P)는 순차적으로 상기 피딩홀(111)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피딩디스크부(120)는 상기 소재(P)를 상기 피딩홀(111)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피딩디스크부(120)는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소재(P)가 안착될 수 있는 소재안착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재안착홀(121)과 상기 바닥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소재(P)가 안착되고, 상기 피딩디스크부(120)가 제1구동모터 등과 연결되어 중심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피딩홀(111) 방향으로 소재(P)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소재안착홀(121)은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순차적으로 소재(P)를 상기 피딩홀(111)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피딩디스크부(120)는 중앙부에 경사디스크부재(122)가 결합되어 상기 소재(P)를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인 에지부로 유도할 수 있게 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에어피딩부(130)는 상기 소재(P)를 상기 피딩홀(11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에 의해서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가 상기 피딩홀(111)로 이동하면, 상기 에어피딩부(130)가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를 상기 소재안착홀(121)에서 상기 피딩홀(111)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바닥판(114)과 상기 소재안착홀(121)로 형성된 공간에 소재(P)가 안착되어 이동되어 오다가, 상기 바닥판(114)에 형성된 피딩홀(111)과 상기 소재안착홀(121)이 중첩되는 위치가 되면, 상기 소재(P)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피딩홀(111)을 통하여 외부로 자유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에어피딩부(130)가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의 이동하는 힘을 더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소재(P)가 자중에 의한 이동시에 상기 피딩홀(111)에 걸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에어피딩부(130)는 상기 피딩홀(111)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에 결합되고, 상기 피딩홀(111)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게 구성된다.
그밖에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은, 이탈방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고, 에어요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며, 에어슈팅부(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피딩유닛(100)은 정렬브러쉬(170)가 구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정자세로 안착되지 않은 소재(P)를 정자세로 안착하게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렬브러쉬(170)는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에 결합되며,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인접한 단부에는 유연소재(P)가 구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의 상면과 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딩디스크부(1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소재(P)와 상기 정렬브러쉬(170)의 접촉으로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정자세로 안착되지 않은 소재(P)를 상기 소재안착홀(121)로 밀어서 소재(P)가 정자세로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되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는 소재(P)를 외부로 전달하는 도넛판부재(400), 상기 피딩유닛(100), 상기 피딩홀(111)에 연통되어 상기 피딩유닛(100)에서 소재(P)를 전달받되,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 일단부가 결합된 연결유닛(200) 및 상기 연결유닛(200)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소재(P)를 전달받으며, 상기 도넛판부재(400)에 이웃하여 구비되어 상기 소재(P)를 정렬된 상태로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어레이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는 상기 피딩유닛(100)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소재(P)를 상기 연결유닛(200)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유닛(200)에 의해서 소재(P)를 상기 어레이유닛(300)에 전달시에 소재(P)가 기울어지거나 불량 자세로 전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어레이유닛(300)에 의해서 상기 소재(P)를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전달시에 소재(P)가 넘어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넛판부재(400)는 상기 어레이유닛(300)에서 정렬된 소재(P)를 전달받아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넛판부재(400)는 상기 어레이유닛(300)에 이웃하여 구비되며 상기 어레이유닛(300)의 지지통부(310)에 일부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어레이유닛(300)의 스프라켓부(320)가 전달하는 소재(P)를 상면에 전달받게 된다.
또한 상기 도넛판부재(400)는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면에 안착된 소재(P)를 전달하기 위해서 제2구동모터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피딩유닛(100)에서 소재(P)를 전달받아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피딩유닛(100)과 상기 어레이유닛(300)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부(210)와 상기 레일부(210) 상에 배치된 소재(P)를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무빙부(220)를 포함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어레이유닛(300)은 상기 연결유닛(200)에서 소재(P)를 전달받아 정렬된 상태의 소재(P)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어레이유닛(300)은 상기 연결유닛(200)과 도넛판부재(400) 사이에 배치되며, 지지통부(310), 스프라켓부(320) 등을 포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어레이유닛(300)은, 상기 연결유닛(200)과 상기 도넛판부재(400) 사이를 연결하게 구비되는 지지통부(310) 및 상기 지지통부(310)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연결유닛(200)에서 전달된 소재(P)가 수용되는 소재수용홈(321)이 형성된 스프라켓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에서 전달된 소재(P)가 상기 지지통부(310)에서 회전되는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측면에 수용되어,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통부(310)는 상기 스프라켓부(320)가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며, 상기 소재(P)가 상기 연결부재에서 전달되는 입측홀(311)과 상기 소재(P)를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전달하는 출측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측면에 형성된 소재수용홈(321)에 소재(P)가 수용되어 전달되도록, 상기 소재수용홈(321)과 협력하여 상기 소재(P)의 이탈을 방지하며 이동시키는 지지측면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지지통부(310)는, 상기 연결유닛(200)의 타단부가 연통되는 입측홀(3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스프라켓부(320)가 회전되게 수용된 상기 지지통부(310)의 상면이 개방된 형태고, 상기 연결유닛(200)에서 전달되는 소재(P)가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소재수용홈(321)에 안착시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소재(P)가 상기 지지통부(310)의 상부로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커버부재(313)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커버부재(313)는 상기 지지통부(310)와 상기 연결부재가 연결되는 상기 지지통부(310)의 입측홀(311)의 상단을 덮도록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에서 상기 스프라켓부(320)로 전달되는 소재(P)의 상단을 지지하게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지지통부(310)는, 회전되는 상기 도넛판부재(4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통부(310)의 출측홀(312)에 구비되고, 첨단부가 상기 스프라켓부(320)에 형성된 소재수용홈(321)의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수용된 소재(P)를 상기 도넛판부재(400) 방향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는 배출가이드부재(3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소재수용홈(321)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통부(310)의 지지측면벽과 협력하여 이동되던 소재(P)가 상기 지지측면벽이 부재한 상기 지지통부(310)의 출측홀(312)에 위치하면, 상기 배출가이드부재(314)의 첨단부와 상기 소재수용홈(321)의 일부 영역이 겹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P)가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위치할 영역을 점점 줄여줌에 의해서, 상기 소재(P)는 상기 소재수용홈(321)에서 점점 빠져나가며 상기 도넛판부재(400) 방향으로 밀려져 이동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라켓부(320)는 상기 소재(P)를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수용하여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전달하도록 상기 지지통부(310)에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3구동모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측면에 복수의 소재수용홈(3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라켓부(320)가 일정 간격으로 측면에 형성된 소재수용홈(321)에 소재(P)를 수용하므로, 소재(P)가 정렬된 상태로 상기 도넛판부재(400)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의 이탈방지부(14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에어쉴딩건(141)을 제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의 이탈방지부(14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쉴딩블럭(142)을 제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은 상기 에어피딩부(130)에 이웃하여 구비되며, 상기 피딩홀(111)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121)에 이웃하되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의 상측을 쉴딩하는 이탈방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에어피딩부(130)가 상기 피딩홀(111)에 중첩되게 위치되는 소재안착홀(121)에 위치한 소재(P)의 상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소재(P)를 상기 피딩홀(111)로 밀어주면서 배출할 때, 상기 에어피딩부(130)에서 분사된 공기가 상기 소재(P)와 충돌되면서 주변으로 퍼져나가게 되는데, 이때 이와 같은 확산 공기에 의해서 주변에 배치된 또 다른 소재(P)가 영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딩홀(111)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121)에 이웃하여 배치된 또 다른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는 상기 소재안착홀(121)에서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이탈방지부(140)가 상기 피딩홀(111)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121)에 이웃하여 배치된 또 다른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의 상면을 쉴딩하여 상기 소재안착홀(121)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이탈방지부(140)의 일례로는 상기 피딩홀(111)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121)에 이웃하여 배치된 또 다른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의 상면에 공기를 분사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에어쉴딩건(141)과, 상기 피딩홀(111)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121)에 이웃하여 배치된 또 다른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의 상면에 접하는 블럭형태의 부재에 의해서 상기 소재(P)의 이탈을 방지하는 쉴딩블럭(142)이 있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의 상기 이탈방지부(140)는, 상기 에어피딩부(130)에 이웃하여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피딩부(130)가 공기를 분사하는 소재(P)에 이웃하게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P)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된 소재(P)의 상면을 눌러주는 에어쉴딩건(1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쉴딩건(141)은 상기 소재(P)의 수직 상부에서 공기를 분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피딩홀(111)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피딩홀(11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소재(P)의 배출을 서포트해 줄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의 상기 이탈방지부(140)는, 상기 에어피딩부(130)에 이웃하여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피딩부(130)가 공기를 분사하는 소재(P)에 이웃하게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P)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쉴딩블럭(142)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에어쉴딩건(141)과 상기 쉴딩블럭(142)을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에서 피딩통부(110)에 이물낙하홀(112)이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의 상기 피딩통부(110)는, 상기 바닥판(114)에 이물낙하홀(112)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낙하홀(112)의 일부는 상기 바닥판(114)의 측방으로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는 이물낙하홀(112)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14)과 상기 피딩디스크부(120) 사이에 낀 소재(P)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피딩디스크부(120)는 상기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서 회전되게 구비되고,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과 일정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이와 같이 회전되는 피딩디스크부(120)의 측면과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 및 상기 바닥판(114) 사이에 자리를 잡지 못한 소재(P)가 끼거나, 소재(P)에서 탈락된 이물질 등이 낄 수 있는데, 이를 상기 이물낙하홀(112)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물낙하홀(112)은 상기 바닥판(114)에 형성되되,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됨에 의해서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의 피딩디스크부(120)가 경사디스크부재(122)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에어쉴딩건(141)을 제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의 상기 피딩디스크부(120)는, 상기 소재안착홀(121)이 형성된 에지부 보다 회전축에 인접한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안착홀(121)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디스크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딩디스크부(120)는 중앙부에 경사디스크부재(122)가 결합되어 상기 소재(P)를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인 에지부로 유도할 수 있어, 상기 소재(P)가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소재안착홀(121)로 이동되는 것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경사디스크부재(122)는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중앙부에 구비되되, 상기 경사디스크부재(122)의 경사부의 하단은 상기 피딩디시크부의 가장자리인 에지부에 형성된 소재안착홀(121)에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되게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의 에어요동부(150)가 피딩통부(110)의 외측벽(115)에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은 상기 피딩통부(110)의 외측벽(115) 또는 내측벽(115)에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111)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121)에 위치된 소재(P)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의 안착 자세를 조정하는 에어요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피딩유닛(100)은 에어요동부(150)가 구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정자세로 안착되지 않은 소재(P)를 정자세로 안착하게 유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에어요동부(150)는 상기 피딩통부(110)의 측벽(115)에 결합되며,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요동부(150)는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정자세로 안착되지 않은 소재(P)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의 일부 위치 변경을 위한 요동을 형성하여 상기 소재(P)가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피딩유닛(100)에서 에어슈팅부(16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유닛(100)은 상기 피딩통부(110)의 외측 바닥판(114)에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111)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121)에 위치된 소재(P)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바닥판(114)에 형성된 슈팅홀(113)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를 상기 소재안착홀(121)에서 부양하여 이탈시키는 에어슈팅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정자세로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딩홀(111)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피딩부(130)에 의해서 상면에 공기압을 전달받음에 따라 정자세로 안착되지 않은 소재(P)가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끼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에어슈팅부(160)에 의해서 상기 소재(P)를 상기 소재안착홀(121)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구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에어슈팅부(160)는 상기 피딩홀(111)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120)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121)에 위치된 소재(P)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바닥판(114)에 형성된 슈팅홀(113)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도록, 상기 바닥판(114)의 외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슈팅부(160)에 의해서 상기 소재안착홀(121)에서 이탈되어 부양된 소재(P)는 다시 다른 소재안착홀(121)에 정자세로 안착될 기회를 확보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다시 정자세로 상기 소재안착홀(121)에 안착되어 상기 피딩부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200)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200)의 에어무빙부(220)가 사이드무빙부(221)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피딩유닛(100)과 상기 어레이유닛(300)을 연결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111)과 연통되는 이동슬릿(211)이 형성된 레일부(210) 및 상기 레일부(210)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슬릿(211)에 위치한 소재(P)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무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피딩유닛(100)에서 소재(P)를 전달받아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피딩유닛(100)과 상기 어레이유닛(300) 사이에 구비되는 레일부(210)와 상기 레일부(210) 상에 배치된 소재(P)를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무빙부(22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210)의 상단부는 상기 피딩유닛(100)에서 소재(P)를 전달받기 위해서, 상기 피딩유닛(100)의 피딩통부(110)의 바닥판(114)에 형성된 피딩홀(111)과 연동되게 이동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성기 피딩홀(111)을 통하여 상기 피딩유닛(100)에서 배출된 소재(P)는 상기 이동슬릿(211)에 수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210)의 하단부는 상기 어레이유닛(300)과 연계되며, 상기 에어무빙부(220)에 의해서 이동되면서 상기 어레이유닛(300)의 스프라켓부(320)의 소재수용홈(321)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 에어무빙부(220)는 상기 레일부(210)의 상단부에 수용된 소재(P)를 상기 레일부(210)의 하단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에어무빙부(220)는 상기 레일부(210)의 하단부인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소재(P)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일례로 상기 에어무빙부(220)는 상기 소재(P)의 상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어퍼무빙부(222)와 사이 소재(P)의 측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사이드무빙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사이드무빙부(221)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에어무빙부(220)는, 상기 레일부(210)의 양쪽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재(P)의 양쪽 측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를 이동시키는 사이드무빙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소재(P)의 양측에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함에 의해서, 상기 소재(P)는 상기 레일부(210)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에어무빙부(220)는, 상기 레일부(2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재(P)의 상방에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를 이동시키는 어퍼무빙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소재(P)의 상부에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함에 의해서, 상기 소재(P)는 상기 레일부(210)의 하단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어레이유닛(300)에 인접하게 상기 레일부(210)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P)가 이동되는 상기 레일부(210) 방향으로 진입되게 구동되어, 상기 소재(P)가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조정하는 스토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부(250)에 의해서, 일정 개수의 소재(P)를 그룹으로 밀착되게 모은 후에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소재(P)를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전달하는 것을 조정함으로서, 상기 어레이유닛(300)의 스프라켓부(320)의 소재수용홈(321)에 수용되는 소재(P)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재(P)가 이웃하는 다른 소재(P) 없이 단독으로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인접하게 배치된 후에 상기 에어무빙부(2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밀려지면,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정자세로 수용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일부만 수용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스프라켓부(320)와 상기 지지통부(310)의 지지측면벽 사이에 소재(P)가 끼면서 절단되거나, 스프라켓부(3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등의 하자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스토퍼부(250)가 일정 개수의 소재(P)를 밀착된 상태로 모은 후에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전달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부(250)는 상기 소재(P)의 상단부가 노출된 상기 레일부(210)의 상면에 밀착하게 상하로 이동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부(210)에 밀착되게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재(P)의 이동을 차단하여 일정 개수의 소재(P)를 모을 수 있게 하고, 상기 레일부(210)에서 상승하여 이탈되는 경우에는 소재(P)가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200)이 에어스탠딩부(23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어레이유닛(300)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부(210)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P)의 상단부가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쓰러지면, 상기 소재(P)의 측면 또는 하단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를 세우면서 상기 어레이유닛(300)으로 밀어주는 에어스탠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스탠딩부(230)는, 상기 소재(P)가 상기 에어무빙부(2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밀려져서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정자세로 수용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일부만 수용되는 경우에, 이러한 소재(P)를 정자세로 상기 소재수용홈(321)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어퍼무빙부(222)에 의해서 상기 소재(P)의 상단부가 공기에 의해서 밀려지는 경우에, 상기 어레이유닛(300)의 스프라켓부(320)에 형성된 소재수용홈(321)에 인접하게 배치된 소재(P)에 이웃하여 또 다른 소재(P)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서, 상기 소재(P)의 하단부가 지지되지 않으면서 상기 소재(P)의 상단부만이 상기 어퍼무빙부(222)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밀려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소재(P)의 상단부만이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넘어져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에어스탠딩부(230)가 상기 소재(P)의 하단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P)를 세워주면서 상기 소재수용홈(321)으로 밀어주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연결유닛(200)이 진동무빙부(24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연결유닛(200)은, 상기 어레이유닛(300)과 상기 레일부(21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P)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소재(P)를 상기 레일부(210)에서 상기 어레이유닛(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동무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진동무빙부(240)는, 상기 소재(P)가 상기 에어무빙부(220)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서 일부분만이 밀려져서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정자세로 수용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일부만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소재수용홈(321)에 인접한 부분에서는 상기 소재(P)의 전체 영역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진동을 이용하게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진동무빙부(240)는 상기 소재수용홈(321)에 인접한 상기 레일부(210)에 구비될 수 있고,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소재공급장치에서 어레이유닛(300)이 끼임방지판(33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공급장치의 상기 어레이유닛(300)은, 회전되는 상기 도넛판부재(4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통부(310)의 출측홀(312)에 구비되되, 상기 스프라켓부(320)의 하면과 상기 지지통부(310)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넛판부재(400)의 가장자리에 일부가 겹치게 배치되는 끼임방지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끼임방지판(330)은 상기 도넛판부재(400)와 상기 어레이유닛(300)의 지지통부(310)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소재(P)가 이동시에 상기 간극에 걸려져서 넘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즉, 상기 끼임방지판(330)은 상기 도넛판부재(400)의 가장자리에 일부가 겹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통부(310)의 바닥면과 상기 도넛판부재(400) 사이의 간극을 제거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피딩유닛 110: 피딩통부
111: 피딩홀 112: 이물낙하홀
113: 슈팅홀 114: 바닥판
115: 측벽 116: 도어
120: 피딩디스크부 121: 소재안착홀
122: 경사디스크부재 130: 에어피딩부
140: 이탈방지부 141: 에어쉴딩건
142: 쉴딩블럭 150: 에어요동부
160: 에어슈팅부 170: 정렬브러쉬
200: 연결유닛 210: 레일부
211: 이동슬릿 220: 에어무빙부
221: 사이드무빙부 222: 어퍼무빙부
230: 에어스탠딩부 240: 진동무빙부
250: 스토퍼부 300: 어레이유닛
310: 지지통부 311: 입측홀
312: 출측홀 313: 커버부재
314: 배출가이드부재 320: 스프라켓부
321: 소재수용홈 330: 끼임방지판
400: 도넛판부재

Claims (20)

  1. 피딩통부;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상기 피딩통부 내부에 제공된 소재가 안착되는 소재안착홀이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 피딩디스크부; 및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형성된 피딩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피딩디스크부가 회전되어 상기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를 상기 피딩홀로 전달하면 상기 피딩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소재를 배출하는 에어피딩부;
    를 포함하는 피딩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디스크부는,
    상기 소재안착홀이 형성된 에지부 보다 회전축에 인접한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안착홀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디스크부재;
    를 포함하는 피딩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통부는, 상기 바닥판에 이물낙하홀이 형성되되, 상기 이물낙하홀의 일부는 상기 바닥판의 측방으로 개구되어 외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딩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통부는, 상기 바닥판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가 일측으로 몰리게 제공되되, 상기 소재가 상기 소재안착홀에 순차적으로 안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딩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통부의 외측벽 또는 내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에 위치된 소재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의 안착 자세를 조정하는 에어요동부;
    를 포함하는 피딩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통부의 외측 바닥판에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 보다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하류측에 위치한 소재안착홀에 위치된 소재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슈팅홀을 관통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상기 소재안착홀에서 부양하여 이탈시키는 에어슈팅부;
    를 포함하는 피딩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피딩부에 이웃하여 구비되며, 상기 피딩홀에 중첩되게 배치된 소재안착홀에 이웃하되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의 상측을 쉴딩하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는 피딩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에어피딩부에 이웃하여 상기 피딩통부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피딩부가 공기를 분사하는 소재에 이웃하게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안착홀에 안착된 소재의 상면을 눌러주는 에어쉴딩건;
    을 포함하는 피딩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에어피딩부에 이웃하여 상기 피딩통부의 측벽에 결합되며, 상기 에어피딩부가 공기를 분사하는 소재에 이웃하게 상기 피딩디스크부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 또 다른 소재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되는 쉴딩블럭;
    을 포함하는 피딩유닛.
  10. 소재를 외부로 전달하는 도넛판부재;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피딩유닛;
    상기 피딩홀에 연통되어 상기 피딩유닛에서 소재를 전달받되, 상기 피딩통부의 바닥판에 일단부가 결합된 연결유닛; 및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소재를 전달받으며, 상기 도넛판부재에 이웃하여 구비되어 상기 소재를 정렬된 상태로 상기 도넛판부재로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어레이유닛;
    을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피딩유닛과 상기 어레이유닛을 연결하게 결합되며, 상기 피딩홀과 연통되는 이동슬릿이 형성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슬릿에 위치한 소재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무빙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무빙부는,
    상기 레일부의 양쪽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재의 양쪽 측방으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이동시키는 사이드무빙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무빙부는,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소재의 상방에서 공기를 분사하되,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이동시키는 어퍼무빙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어레이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레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의 상단부가 상기 어레이유닛으로 쓰러지면, 상기 소재의 측면 또는 하단부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소재를 세우면서 상기 어레이유닛으로 밀어주는 에어스탠딩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어레이유닛과 상기 레일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에 진동을 부여하여 상기 소재를 상기 레일부에서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진동무빙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어레이유닛에 인접하게 상기 레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재가 이동되는 상기 레일부 방향으로 진입되게 구동되어, 상기 소재가 상기 어레이유닛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조정하는 스토퍼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유닛은,
    상기 연결유닛과 상기 도넛판부재 사이를 연결하게 구비되는 지지통부; 및
    상기 지지통부에 회전되게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연결유닛에서 전달된 소재가 수용되는 소재수용홈이 형성된 스프라켓부;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부는,
    상기 연결유닛의 타단부가 연통되는 입측홀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부는,
    회전되는 상기 도넛판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통부의 출측홀에 구비되고, 첨단부가 상기 스프라켓부에 형성된 소재수용홈의 일부와 중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소재수용홈에 수용된 소재를 상기 도넛판부재 방향으로 이동되게 유도하는 배출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유닛은,
    회전되는 상기 도넛판부재의 일부가 삽입되는 상기 지지통부의 출측홀에 구비되되, 상기 스프라켓부의 하면과 상기 지지통부의 상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도넛판부재의 가장자리에 일부가 겹치게 배치되는 끼임방지판;
    을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KR1020180151667A 2018-11-30 2018-11-30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KR20200065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667A KR20200065314A (ko) 2018-11-30 2018-11-30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1667A KR20200065314A (ko) 2018-11-30 2018-11-30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5314A true KR20200065314A (ko) 2020-06-09

Family

ID=7108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1667A KR20200065314A (ko) 2018-11-30 2018-11-30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653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1357A (zh) * 2023-08-23 2023-11-07 河北农哈哈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农机工件的自动化加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993A (ko) 2016-08-02 2018-02-12 주식회사 오픈엠 열가소성 캐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4993A (ko) 2016-08-02 2018-02-12 주식회사 오픈엠 열가소성 캐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1357A (zh) * 2023-08-23 2023-11-07 河北农哈哈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农机工件的自动化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260C (zh) 胶囊填充封口装置
KR101890551B1 (ko) 용기뚜껑 제조장치
KR20180056633A (ko) 자동화된 약물 분배 장치에 사용되는 약물 공급 캐니스터
KR20200065314A (ko) 피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공급장치
TWI732600B (zh) 搬送裝置及錠劑印刷裝置
ITBO20090388A1 (it) Gruppo di alimentazione per il dosaggio di compresse in capsule
EP1522302B1 (en) Unit for feeding solid drug forms to a conveyor line of a machine for filling capsules
JP2007168905A (ja) 微小錠剤計量装置
JP2008150170A (ja) 整列供給装置
US6168045B1 (en) Unit for orienting and supplying bottom shells of medicinal capsules
JP3672004B2 (ja) カプセルへの錠剤充填装置
CN217675201U (zh) 一种气雾瓶的瓶盖筛选装置
US59541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presenting and/or orienting parts
US6189676B1 (en) Orienting assembly for orienting top or bottom shells of medicinal capsules, and relative supply and orienting unit
KR101863642B1 (ko) 제약용기의 뚜껑 조립장치
US6761015B2 (en) Mechanism for inserting a straw into a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e
KR101820342B1 (ko)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CN111153366B (zh) 一种塑料瓶组合设备
JP2018095319A (ja) 投入機
CN113335891A (zh) 一种超高速理瓶机
JP5267309B2 (ja) キャッピング装置
KR20190107275A (ko) 용기 내부 마개의 자동 공급 장치
JP2003206018A (ja) 物品整送装置
JPH08198433A (ja) 弾性リング部材の供給装置
KR102068298B1 (ko) 정제용 계수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