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883A -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 Google Patents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883A
KR20200063883A KR1020180150133A KR20180150133A KR20200063883A KR 20200063883 A KR20200063883 A KR 20200063883A KR 1020180150133 A KR1020180150133 A KR 1020180150133A KR 20180150133 A KR20180150133 A KR 20180150133A KR 20200063883 A KR20200063883 A KR 20200063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negative poisson
ratio
bar
minim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121B1 (ko
Inventor
유홍희
정신우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0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1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8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embers, e.g. a flat strap, yielding through stretching, pulling a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들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의 꼭지점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유연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 상기 제2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유연 바아가 상호 연결되어 보타이 모양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단절 고정 바아들과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유연 바아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여 얻어진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을 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META MATERIAL TO HAVE NEGATIVE POISSON’S RATIO AND OPTIMIZING METHOD TO DEDUCT OPTIMAL SHAPE}
본 발명은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에서 형상의 최적화에 의해서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킬 수 있어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의 푸아송비 구조는 통상의 구조에 비해 높은 전단계수, 압축 저항, 크랙 저항, 에너지 흡수 성능을 갖고 있어 최근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음의 푸아송비 구조는 장갑차의 장갑, 가변 필터, 헬멧, 혈관 확장용 스텐트, 공기 없는 타이어, 의류, 가구 등에 이르기까지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향후 우주구조물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가 갖는 특징 때문이다. 예를 들면, 양의 푸아송비를 갖는 일반적인 구조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면 재료가 흩어지면서 국부적으로 높은 응력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음의 푸아송비를 갖는 구조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면 오히려 재료가 충돌 지점으로 몰리면서 응력이 균일하게 퍼지므로 구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벌집 모양 복합 재료의 판넬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는 복합재료 판넬(1)을 구성할 때 벌집 모양의 허니콤 구조를 사용했었는데, 그런데 이러한 구조물의 경우 다른 물체와 충돌할 때 양의 푸아송비 특성에 의해 재료들이 흩어져 보호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보타이 모양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복합재료 판넬에 적용시킴으로써 전술한 벌집 모양의 복합재료 판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료가 좌우 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오히려 충돌지점으로 모이기 때문에 기존 보호 판넬에 비해 우수한 보호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직선으로만 이루어진 보타이 모양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는 국부적인 변형을 겪기 때문에 발생 응력이 높다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더 낮은 음의 푸아송비 값을 얻는 데 부적합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더 낮은 음의 푸아송비 값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음의 푸아송비를 갖는 메타 물질 및 이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기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59648호(발명의 명칭: 격자구조체를 이용한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의 적층 구조를 가지는 충격보호 구조물, 등록일자: 2014년 11월 3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음의 푸아송비 구조에서 형상의 최적화에 의해서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킬 수 있어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들과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의 꼭지점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유연 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 상기 제2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유연 바아가 상호 연결되어 보타이 모양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단절 고정 바아들과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유연 바아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여 얻어진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최적 형상은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절 고정 바아의 양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절 고정 바아의 연장 부분이 상단과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의 연장 부분의 하단 사이를 상기 유연 바아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 조인트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중앙 부분이 우측 및 상방으로 경사지되 상방으로 더 치우친 경사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중앙 부분에 비해 완만한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곡되고 하단부는 중앙 부분에 비해 완만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곡되며,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직선으로 구성된 초기 음의 푸아송비 구조의 형상에 비해, 30 내지 50%의 푸아송비 값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상기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에 비해 상하단의 절곡 부분이 짧게 형성되되 절곡 부분을 구비하며,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생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20 내지 40%의 발생 응력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단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형상을 갖고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10 내지 20%의 부피 감소가 이루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은, 상기 단절 고정 바아들과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유연 바아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는 최적값 계산 단계와, 상기 최적값 계산 단계를 통하여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을 구하는 최적 형상 획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최적값 계산 단계는, 확장된 해밀턴의 법칙(Extended Hamilton’s principle)을 적용하여 상기 메타 물질의 구조물에 대하여 정적 평형 방정식을 유도하는 단계와, 유도된 상기 정적 평형 방정식에 리츠 방법(Ritz method)을 적용하여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 형태의 상기 정적 평형 방정식을 비선형 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비선형 상미분 방정식에 뉴턴-랩슨 방법(Newton-Raphson method)을 적용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변위, 응력의 값을 포함하는 해를 구하는 단계와, 매틀랩(MATLAB)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최적 형상 획득 단계 시,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는 최적 형상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음의 푸아송비 구조에서 형상의 최적화에 의해서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킬 수 있어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집 모양 복합 재료의 판넬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직선으로 이루어진 초기 음의 푸아송비 구조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음의 푸아송비 값이 최소화된 최적 설계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발생 응력 값이 최소화된 최적 설계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소모되는 재료량이 최소화된 최적 설계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100)은,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110)와, 제1 단절 고정 바아(11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110)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120)와, 제1 단절 고정 바아(110)와 제2 단절 고정 바아(120)의 꼭지점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유연 바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단절 고정 바아(110)들과, 제2 단절 고정 바아(120)들이 교대로 배치되되 엇갈리게 배치되고, 이들에 유연 바아(130)가 연결되어 보타이(bow tie) 모양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단절 고정 바아(110, 120)들과 유연 바아(130)의 연결점으로부터 유연 바아(130)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여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는 등의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을 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절 고정 바아(110) 및 제2 단절 고정 바아(120)의 양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부분(111, 12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단절 고정 바아(110)의 연장 부분(111)의 상단과 제2 단절 고정 바아(120)의 연장 부분(121)의 하단 사이를 유연성이 있는 유연 바아(130)가 연결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체적으로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연 바아(130)와 연결되는 예를 들면 제1 단절 고정 바아(110)의 연장 부분(111)의 상단과, 유연 바아(130)와 연결되는 제2 단절 고정 바아(120)의 연장 부분(121)의 하단에는 각각 롤러 조인트(112, 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 방향의 하중(F)을 받고 있는 O점과 Q점에서는
Figure pat00001
방향과
Figure pat00002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연 바아(130)의 가로 길이는 L로 표현되고, 세로 길이는 H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O점으로부터 변형 전 유연 바아(130)의 일지점, 예를 들면 중심선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가
Figure pat00003
로 표현되고, 두께는
Figure pat00004
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값을 찾아내어 구조의 성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 때 설계의 목적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값은 달라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설계 목적을 설정하고 최적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설계 목적은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거나, 발생 응력 값을 최소화하거나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는 것인데, 이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100)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은, 전술한 것처럼, 단절 고정 바아(110, 120)들과 유연 바아(130)의 연결점으로부터 유연 바아(130)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는 단계인 최적값 계산 단계와, 최적값 계산 단계를 통하여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는 등의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을 구하는 최적 형상 획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단계를 부연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최적값 계산 단계는, 확장된 해밀턴의 원리(Extended Hamilton’s principle)를 적용하여 전술한 메타 물질의 구조물에 대하여 정적 평형 방정식을 유도하는 단계와, 유도된 정적 평형 방정식에 리츠 방법(Ritz method)을 적용하여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 형태의 정적 평형 방정식을 비선형 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비선형 상미분 방정식에 뉴턴-랩슨 방법(Newton-Raphson method)을 적용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변위, 응력의 값을 포함하는 해를 구하는 단계와, 매틀랩(MATLAB)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 시, 매틀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인 ‘fmincon’을 앞서의 세 단계에서 개발된 프로그램과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최적 형상 획득 단계 시, 개발된 해석기와 최적화 알고리즘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작동함으로써 요구하는 목적, 예를 들면, 부피의 최소화, 음의 푸아송비 값의 최소화, 발생 응력 값의 최소화에 부합되는 최적의 형상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최적화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직선으로 이루어진 초기 음의 푸아송비 구조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음의 푸아송비 값이 최소화된 최적 설계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6은 발생 응력 값이 최소화된 최적 설계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소모되는 재료량이 최소화된 최적 설계의 형태와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먼저, 본 실시예의 최적화 방법이 적용되기 전에 초기 구조의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A1으로 표시된 형상은 구조가 변형되기 전 최초 형상이고, B1으로 표시된 형상은 구조가 변형된 후의 형상이다. 여기서, B1의 색은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 응력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초기 구조의 음의 푸아송비 값은 -2.2360, 부피는 626.10
Figure pat00009
, 발생 최대 응력은 63.3 MPa이다.
한편, 전술한 최적화 방법에 의해 구조의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값을 찾아낼 수 있으며, 찾은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값을 적용하는 경우 구조 형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A2)은, 중앙 부분이 우측 및 상방으로 경사지되 상방으로 더 치우친 경사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중앙 부분에 비해 완만한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곡되고 하단부는 중앙 부분에 비해 완만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곡되며,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x축에서 0에서 25mm 구간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5mm의 전후 구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여 y축에서 75mm 근처까지 증가하게 되고, 이후 x축으로의 25mm 및 y축으로의 75mm부터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 최적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 형상이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B2와 같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은 직선으로 구성된 초기 음의 푸아송비 구조의 형상에 비해, 30 내지 50%의 푸아송비 값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최적 형상의 음의 푸아송비 값은 -3.1174, 부피는 626.10
Figure pat00014
, 발생 최대 응력은 57.2 MPa이다. 도 4의 형상과 비교하면, 푸아송비 값이 39.4%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발생 응력도 초기 형상 대비 10.7% 낮아져 구조의 내구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최적화 방법에 의해 구조의 발생 응력 값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값을 찾아낼 수 있으며, 찾은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값을 적용하는 경우 구조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A3)은,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에 비해 상하단의 절곡 부분이 짧게 형성되되 절곡 부분을 구비하며,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x축에서 0에 인접한 구간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이후 구간에서 급격하게 증가하여 y축에서 75mm 근처까지 증가하게 되고, 이후 x축으로의 대략 35mm 및 y축으로의 75mm부터는 다시 완만하게 증가하는 최적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 형상이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B3와 같이 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은 직선으로 구성된 초기 구조의 형상에 비해, 20 내지 40%의 발생 응력의 감소가 발생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의 최적 형상의 음의 푸아송비 값은 -2.4111, 부피는 574.76
Figure pat00019
, 발생 최대 응력은 43.9 MPa이다. 도 4의 형상과 비교하면, 발생 응력 값이 30.6%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푸아송비 값이 초기 형상 대비 7.8% 낮아졌으며, 부피가 초기 형상 대비 8.2% 낮아져 소모되는 재료의 양 또한 그만큼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최적화 방법에 의해 재료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최적의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값을 찾아낼 수 있으며, 찾은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값을 적용하는 경우 구조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A4)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단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형상을 갖고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x축에서 0에서 50mm 구간까지, y축에서 75mm 근처까지 증가하게 되는데, 상하단 부분에서는 약간 완만한 형상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최적 형상이 외부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에 의해 B4와 같이 변할 수 있다.
이처럼,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연 바아(130)의 최적 형상은, 10 내지 20%의 부피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의 최적 형상의 음의 푸아송비 값은 -2.3817, 부피는 541.50
Figure pat00024
, 발생 최대 응력은 47.6 MPa이다. 도 4의 형상과 비교하면, 부피가 13.5%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수적으로 푸아송비 값이 초기 형상 대비 6.5% 낮아졌으며, 발생 응력 또한 초기 형상 대비 24.8% 낮아져 구조의 내구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의 푸아송비 구조에서 형상의 최적화에 의해서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킬 수 있어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110: 제1 단절 고정 바아
111: 연장 부분
112: 롤러 조인트
120: 제2 단절 고장 바아
121: 연장 부분
122: 롤러 조인트
130: 유연 부분

Claims (13)

  1. 수평 방향으로 일정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
    상기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엇갈리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 및
    상기 제1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의 꼭지점 간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유연 바아;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단절 고정 바아, 상기 제2 복수 개의 제2 단절 고정 바아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유연 바아가 상호 연결되어 보타이 모양의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단절 고정 바아들과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유연 바아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여 얻어진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형상은,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 고정 바아의 양단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단절 고정 바아의 연장 부분이 상단과 상기 제2 단절 고정 바아의 연장 부분의 하단 사이를 상기 유연 바아가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탈 물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절 고정 바아와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은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롤러 조인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탈 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중앙 부분이 우측 및 상방으로 경사지되 상방으로 더 치우친 경사 형상을 가지며, 상단은 중앙 부분에 비해 완만한 경사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곡되고 하단부는 중앙 부분에 비해 완만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절곡되며,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직선으로 구성된 초기 음의 푸아송비 구조의 형상에 비해, 30 내지 50%의 푸아송비 값의 감소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탈 물질.
  7. 제5항에 있어서,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상기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에 비해 상하단의 절곡 부분이 짧게 형성되되 절곡 부분을 구비하며,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20 내지 40%의 발생 응력의 감소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9. 제5항에 있어서,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단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형상을 갖고 중앙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증가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은, 10 내지 20%의 부피 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11. 제1항에 따른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절 고정 바아들과 상기 유연 바아의 연결점으로부터 상기 유연 바아의 일지점까지의 수직 방향 거리 및 두께의 최적값을 구하는 최적값 계산 단계; 및
    상기 최적값 계산 단계를 통하여 상기 유연 바아의 최적 형상을 구하는 최적 형상 획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값 계산 단계는,
    확장된 해밀턴의 법칙(Extended Hamilton’s principle)을 적용하여 상기 메타 물질의 구조물에 대하여 정적 평형 방정식을 유도하는 단계;
    유도된 상기 정적 평형 방정식에 리츠 방법(Ritz method)을 적용하여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 형태의 상기 정적 평형 방정식을 비선형 상미분 방정식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비선형 상미분 방정식에 뉴턴-랩슨 방법(Newton-Raphson method)을 적용하여 외부 하중에 의한 변위, 응력의 값을 포함하는 해를 구하는 단계; 및
    매틀랩(MATLAB)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형상 획득 단계 시, 상기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음의 푸아송비 값을 최소화시키거나 발생 응력을 최소화시키거나 소모되는 재료량을 최소화시키는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KR1020180150133A 2018-11-28 2018-11-28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KR10214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33A KR102144121B1 (ko) 2018-11-28 2018-11-28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33A KR102144121B1 (ko) 2018-11-28 2018-11-28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83A true KR20200063883A (ko) 2020-06-05
KR102144121B1 KR102144121B1 (ko) 2020-08-13

Family

ID=7108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133A KR102144121B1 (ko) 2018-11-28 2018-11-28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1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270A (zh) * 2020-06-22 2020-09-22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负泊松比胞元及其蜂窝结构
CN113642211A (zh) * 2021-07-29 2021-11-1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复合材料负泊松比结构吸能盒及其设计方法
CN113833792A (zh) * 2021-09-29 2021-12-24 长安大学 一种自调节厚度梯度的星型-三角形负泊松比结构
CN113864395A (zh) * 2021-09-06 2021-12-31 苏州淡珀科技有限公司 一种超材料的减振降噪装置
CN115263993A (zh) * 2022-07-08 2022-11-01 天津大学 一种用于水下航行器的传感器超材料隔振器
CN115405644A (zh) * 2022-08-24 2022-11-29 广州大学 一种基于极小曲面的负泊松比结构及其设计方法
CN117231825A (zh) * 2023-11-13 2023-12-15 上海交通大学三亚崖州湾深海科技研究院 一种水平带间隙超材料的水下潜器法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1186A1 (en) * 1989-07-14 1991-02-07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Core layers
US20070286987A1 (en) * 2003-12-31 2007-12-13 Anderson Ralph L Nonwovens Having Reduced Poisson Ratio
WO2018189719A1 (en) * 2017-04-13 2018-10-18 Lead Tech S.R.L. Multistable, compressible, composite metamaterial with articulated elements and which can be made with 3d printing proces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1001186A1 (en) * 1989-07-14 1991-02-07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Core layers
US20070286987A1 (en) * 2003-12-31 2007-12-13 Anderson Ralph L Nonwovens Having Reduced Poisson Ratio
WO2018189719A1 (en) * 2017-04-13 2018-10-18 Lead Tech S.R.L. Multistable, compressible, composite metamaterial with articulated elements and which can be made with 3d printing process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음의 푸아송비를 갖는 메타물질 최적 설계(2018.10.) 1부.*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92270A (zh) * 2020-06-22 2020-09-22 湖北汽车工业学院 一种负泊松比胞元及其蜂窝结构
CN113642211A (zh) * 2021-07-29 2021-11-12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复合材料负泊松比结构吸能盒及其设计方法
CN113864395A (zh) * 2021-09-06 2021-12-31 苏州淡珀科技有限公司 一种超材料的减振降噪装置
CN113864395B (zh) * 2021-09-06 2023-04-21 苏州淡珀科技有限公司 一种超材料的减振降噪装置
CN113833792A (zh) * 2021-09-29 2021-12-24 长安大学 一种自调节厚度梯度的星型-三角形负泊松比结构
CN115263993A (zh) * 2022-07-08 2022-11-01 天津大学 一种用于水下航行器的传感器超材料隔振器
CN115405644A (zh) * 2022-08-24 2022-11-29 广州大学 一种基于极小曲面的负泊松比结构及其设计方法
CN115405644B (zh) * 2022-08-24 2023-07-18 广州大学 一种基于极小曲面的负泊松比结构及其设计方法
CN117231825A (zh) * 2023-11-13 2023-12-15 上海交通大学三亚崖州湾深海科技研究院 一种水平带间隙超材料的水下潜器法兰
CN117231825B (zh) * 2023-11-13 2024-02-13 上海交通大学三亚崖州湾深海科技研究院 一种水平带间隙超材料的水下潜器法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121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3883A (ko) 음의 푸아송비 구조를 갖는 메타 물질 및 그의 최적 형상을 도출하는 최적화 방법
KR101157000B1 (ko) 차체 구조 부재용 성형품
JP5752749B2 (ja) パネル部材、プレス型、及びパネル部材の製造方法
JP6112224B2 (ja) 凹凸を有するパネル
JP2019023489A (ja) 曲面連結構造および立体連結構造
CN105923048A (zh) 车辆用车架
EP3851335A1 (en) Automobile frame member and electric vehicle
JP2018034664A (ja) 車両用骨格構造
RU2520633C2 (ru) 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ый металлический тепловой экран
JP7000827B2 (ja) 接合構造
JP6400000B2 (ja) ロール成形角形鋼管
JP4905898B2 (ja) 車輌用インナパネル
Baverel et al. Configuration processing of nexorades using genetic algorithms
JP5085359B2 (ja) 自動車のルーフリインフォース
KR101459647B1 (ko) 상이한 강성의 내외측봉으로 이루어져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를 이루는 격자구조체, 이를 이용한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 및 이러한 충격 대응 합성보강재의 제작방법
CN104097649A (zh) 用于车辆的顶板结构
JP2018079844A (ja) 車体フレーム
JP6206372B2 (ja) 車両用ルーフ構造、及び車両用ルーフパネルの製造方法
JP6041098B2 (ja) 橋梁の伸縮装置
EP3338588A1 (en) A trolley case
JP2015180547A5 (ja) 積層構造体
JP6024786B2 (ja) 積層構造体
CN113573971A (zh) 骨架部件以及车身构造
JP2018177210A (ja) 重荷重用広幅タイヤ
CN112823251B (zh) 隔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