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522A -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522A
KR20200063522A KR1020180149306A KR20180149306A KR20200063522A KR 20200063522 A KR20200063522 A KR 20200063522A KR 1020180149306 A KR1020180149306 A KR 1020180149306A KR 20180149306 A KR20180149306 A KR 20180149306A KR 20200063522 A KR20200063522 A KR 20200063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xis
lens barrel
lens holde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146B1 (ko
Inventor
박성찬
권상현
김혜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9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146B1/ko
Priority to US16/459,671 priority patent/US10914912B2/en
Priority to CN201911017986.2A priority patent/CN111239952A/zh
Publication of KR20200063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3
    • H04N5/2254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제1 재질로 형성된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고, 제2 재질로 형성된 렌즈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가 접합되는 접합부에는 상기 제1 재질 및 상기 제2 재질이 뒤섞인 혼화(混和)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Void)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 렌즈가 장착된 렌즈 배럴 및 렌즈 배럴을 지지하는 렌즈 홀더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과 캐리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는 렌즈 배럴의 외부면과 렌즈 홀더의 내부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결합하는 방식과, 접착제를 통해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를 결합하는 방식이 있다.
나사 결합 방식의 경우, 조립 과정에서 이물이 발생할 염려가 있고, 렌즈 배럴이 이미지 센서에 대해 기울어지게(Tilt) 조립될 염려가 있다.
접착제 결합 방식의 경우, 접착제가 과다 주입되어 접착제가 넘치는 문제가 있고, 접착제의 경화 과정에서 렌즈 배럴의 조립 위치가 변경되거나, 접착제를 경화하기 위한 열에 의해 렌즈 배럴의 내부에 배치된 렌즈가 변형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UV 접착제 및 열 경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 배럴과 캐리어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제1 재질로 형성된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고, 제2 재질로 형성된 렌즈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가 접합되는 접합부에는 상기 제1 재질 및 상기 제2 재질이 뒤섞인 혼화(混和)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Void)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재질로 형성된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고, 제2 재질로 형성된 렌즈 홀더;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홀더에 부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배치된 코일을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재질과 상기 제2 재질은 서로 같거나 다른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가 접합되는 접합부에는 상기 제1 재질 및 상기 제2 재질이 뒤섞인 혼화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Void)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UV 접착제 및 열 경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 조립체(200), 렌즈 조립체(200)를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 렌즈 조립체(200)를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700) 및 렌즈 조립체(200)와 렌즈 구동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120)과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렌즈 조립체(200)는 내부에 렌즈가 장착된 렌즈 배럴(210) 및 렌즈 배럴(210)과 결합되는 렌즈 홀더(320)를 포함한다.
렌즈 배럴(2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에 장착된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1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고,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조립체(200)를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일 예로, 렌즈 구동 장치는 렌즈 조립체(2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렌즈 조립체(210)를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X축 방향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 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는 초점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부(400) 및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50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700)은 렌즈를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700)은 이미지 센서(710) 및 이미지 센서(7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720)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를 통과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710)는 렌즈를 통과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7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71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710)는 인쇄회로기판(720)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조립체(200)와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12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조립체(200)와 렌즈 구동 장치가 수용된다.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700)이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초점 조정부(400) 및 흔들림 보정부(500)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기판(600)이 배치된다. 기판(600)은 하우징(120)의 측면을 감싸는 하나의 기판(600)으로 제공된다.
하우징(120)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점 조정부(400)의 구동 코일(430) 및 제1 위치 검출부(470)와, 흔들림 보정부(500)의 제1 구동 코일(510b), 제2 구동 코일(520b) 및 제2 위치 검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구비된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2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1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1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1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720)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렌즈 구동 장치 중 초점 조정부(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 조립체(200)는 렌즈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2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400)를 구비한다.
초점 조정부(400)는, 렌즈 조립체(200)를 수용하는 캐리어(300), 및 렌즈 조립체(200)와 캐리어(3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410)와 구동 코일(430)을 포함한다.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 코일(430)은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마그네트(410)와 구동 코일(430)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기판(600)은 하우징(120)의 측면에 장착된다.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어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구동 코일(430)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구동 코일(4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410)와 구동 코일(430)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캐리어(3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300)에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수용되고, 렌즈 홀더(320)에는 렌즈 배럴(210)이 장착되므로,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300)가 이동될 때, 캐리어(300)와 하우징(12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00)와 하우징(120) 사이에 구름부재(B1)가 배치된다. 구름부재(B1)는 볼 형태일 수 있다.
구름부재(B1)는 마그네트(410)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요크(450)는 마그네트(410)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요크(450)는 기판(600)의 외측면(구동 코일(430)이 매립된 면의 반대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요크(450)는 구동 코일(430)을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4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요크(450)와 마그네트(410) 사이에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제1 요크(450)와 마그네트(41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B1)는 캐리어(300) 및 하우징(12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크(450)는 마그네트(4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요크(450)와 마그네트(4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한편, 마그네트(410)와 캐리어(300) 사이에는 제2 요크(4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요크(420)는 마그네트(4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요크(420)와 마그네트(4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제1 위치 검출부(470)가 제공된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복수의 코일(470a, 470b) 및 복수의 코일(470a, 47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코일(470a, 470b)도 구동 코일(430)과 마찬가지로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코일(470a, 470b)이 도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코일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마그네트(410)에 인접하게 배치된 센싱 요크(46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센싱 요크(46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되고, 센싱 요크(460)는 도전체 또는 자성체일 수 있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센싱 요크(460)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위치 검출부(470)는 구동 코일(43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캐리어(30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캐리어(300)에 장착된 센싱 요크(46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제1 위치 검출부(470)의 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제어부는 제1 위치 검출부(470)로부터 인덕턴스 값을 전달받아 렌즈 배럴(210)의 위치(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 검출부(470)의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센싱 요크(46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센싱 요크(46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고, 캐리어(300)에는 렌즈 배럴(210)이 수용되며, 캐리어(300)는 렌즈 배럴(210)과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제1 위치 검출부(470)의 인덕턴스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210)의 위치(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위치 검출부(470)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검출부(470)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의 코일(470a, 470b)을 포함한다.
센싱 요크(460)가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위치 검출부(470)의 2개의 코일(470a, 470b)에서 발생되는 신호 차를 이용하여 렌즈 배럴(21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2개의 코일(470a, 470b)의 인덕턴스 값은 센싱 요크(460)와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렌즈 배럴(210)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요크(460)의 이동에 따라 2개의 코일(470a, 470b)의 인덕턴스는 증감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코일(470a)의 인덕턴스가 증가할 때, 다른 하나의 코일(470b)의 인덕턴스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코일(470a, 470b)의 인덕턴스 값을 서로 감산할 경우,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에 의한 요인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렌즈 배럴(21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 위치 검출부(470)가 센싱 요크(460)와 마주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싱 요크(46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제1 위치 검출부(470)가 마그네트(410)와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렌즈 구동 장치 중 흔들림 보정부(500)에 관하여 설명한다.
흔들림 보정부(500)는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5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 배럴(21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일 예로, 흔들림 보정부(500)는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한다.
흔들림 보정부(500)는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를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다.
복수의 마그네트는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코일은 제1 구동 코일(510b) 및 제2 구동 코일(520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를 포함한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는 광축(Z축) 방향을 따라 순차로 캐리어(300) 내에 삽입되며,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는 렌즈 배럴(21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렌즈 배럴(210)은 렌즈 홀더(320)에 삽입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흔들림 보정 시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채용하더라도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높이(광축(Z축) 방향으로의 높이)가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재의 프레임(310)은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사각형의 두 변이 제거된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310)은 광축(Z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ㄱ' 또는 'ㄴ' 형상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는 각각 프레임(310)의 개방된 두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의 배치 위치는 프레임(310)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는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으로 캐리어(300)에 대하여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1 구동 코일(510b)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2 마그네트(520a)와 제2 구동 코일(520b)은 제1 축(X축)에 수직한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즉, 복수의 마그네트와 복수의 코일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2 축(X축)은 광축(Z축)과 제1 축(Y축)에 모두 수직한 축을 의미한다.
복수의 마그네트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코일도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는 렌즈 홀더(32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는 각각 렌즈 홀더(320)의 측면에 장착된다. 렌즈 홀더(320)의 측면은 서로 수직한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렌즈 홀더(320)의 제1 면과 제2 면에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가 배치된다.
제1 구동 코일(510b) 및 제2 구동 코일(520b)은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1 구동 코일(510b)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고, 제2 마그네트(520a)와 제2 구동 코일(520b)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기판(600)은 하우징(120)의 측면에 장착된다.
제1 마그네트(510a)와 제2 마그네트(520a)는 렌즈 홀더(320)와 함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제1 구동 코일(510b)과 제2 구동 코일(520b)은 하우징(12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흔들림 보정부(500)의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를 지지하는 복수의 볼 부재가 제공된다. 복수의 볼 부재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캐리어(300),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복수의 볼 부재는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를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2)는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 볼 부재(B3)는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볼 부재(B2)는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볼 부재(B3)는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볼 부재(B3)는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한다.
캐리어(300)와 프레임(310)이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 볼 부재(B2)를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부(301)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부(301)는 제1 볼 부재(B2)의 복수의 볼 부재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끼워진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홈부(301)의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의 평면 형상은 제1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2 볼 부재(B3)를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부(311)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부(311)는 제2 볼 부재(B3)의 복수의 볼 부재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되어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끼워진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및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축(Y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2 가이드홈부(311)의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의 평면 형상은 제2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되어 렌즈 홀더(320)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3 볼 부재(B4)가 제공된다.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렌즈 홀더(320)를 지지한다.
일 예로,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X축)을 따라 구름운동한다.
또한, 제3 볼 부재(B4)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운동한다.
한편, 제2 볼 부재(B3)와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를 접촉 지지한다.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수용홈(302)이 형성된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끼워진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용홈(302)은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302)의 형상과, 제1 가이드홈부(301) 및 제2 가이드홈부(311)의 형상은 서로 다르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X축) 방향으로만 구름 운동 가능하고,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Y축) 방향으로만 구름 운동 가능하며,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름 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흔들림 보정부(500)을 지지하는 복수의 볼 부재는 자유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자유도란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의 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 필요한 독립 변수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의 자유도는 6이다. 물체의 움직임은 세 방향의 직교좌표계와 세 방향의 회전좌표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일 예로, 3차원 좌표계에서 물체는 각 축(X축, Y축, Z축)을 따라 병진 운동할 수 있고, 각 축(X축, Y축, Z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유도의 의미는, 흔들림 보정부(500)에 전원이 인가되어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흔들림 보정부(500)가 이동될 때, 제1 볼 부재(B2), 제2 볼 부재(B3) 및 제3 볼 부재(B4)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데 필요한 독립 변수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제3 볼 부재(B4)는 두 개의 축(제1 축(X축) 및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고,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는 하나의 축(제1 축(X축) 또는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 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3 볼 부재(B4)의 자유도와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의 자유도는 다르다.
제1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이 함께 제1 축(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1 볼 부재(B2)와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X축)을 따라 구름 운동한다. 이때, 제2 볼 부재(B3)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또한, 제2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이 제2 축(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2 볼 부재(B3)와 제3 볼 부재(B4)는 제2 축(Y축)을 따라 구름 운동한다. 이때, 제1 볼 부재(B2)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흔들림 보정부(500)와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요크(510c, 520c)가 제공된다.
복수의 요크(510c, 520c)는 캐리어(300)에 고정되고,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요크(510c, 520c)와,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 사이에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한다.
복수의 요크(510c, 520c)와,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흔들림 보정부(500)가 복수의 요크(510c, 520c)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흔들림 보정부(500)의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는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요크(510c, 520c)는 제1 마그네트(510a) 및 제2 마그네트(520a)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일 예로, 복수의 요크(510c, 520c)는 자성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크(510c, 520c)를 제공하는 한편,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캐리어(3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330)가 제공된다.
스토퍼(330)는 렌즈 홀더(3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캐리어(30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폐루프 제어를 위한 제2 위치 검출부가 제공된다. 제2 위치 검출부는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 검출부는 복수의 코일 및 복수의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코일로부터 인덕턴스 값을 전달받아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 및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도 제1 구동 코일(510b)과 마찬가지로 기판(600)에 적층 매립된 동박패턴일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제1 구동 코일(510b) 또는 제2 구동 코일(520b)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이 2개의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1 구동 코일(510b) 또는 제2 구동 코일(520b)의 양측에 코일이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코일이 제1 구동 코일(510b)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복수의 코일이 제2 구동 코일(520b)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마그네트(510a)는 제1 구동 코일(510b)과 제1 축(X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또한, 제1 마그네트(510a)의 일측은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 중 어느 하나의 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 마그네트(510a)의 타측은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 중 다른 하나의 일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마그네트(510a)의 일측과 일부가 마주보는 코일을 제1-1 센싱 코일(511a)이라 하기로 하고, 제1 마그네트(510a)의 타측과 일부가 마주보는 코일을 제1-2 센싱 코일(511b)이라 하기로 한다.
제1 마그네트(510a)가 제1 축(X축) 방향 및/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의 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코일의 인덕턴스의 변화로부터 제1 마그네트(510a)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510a)는 렌즈 홀더(320)에 장착되고, 렌즈 홀더(320)에는 렌즈 배럴(210)이 장착되며, 렌즈 홀더(320)는 렌즈 배럴(210)과 함께 제1 축(X축) 방향 및/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결국 제2 위치 검출부의 복수의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210)의 위치(제1 축(X축) 및/또는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렌즈 배럴(210)이 제1 축(X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1 센싱 코일(511a)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는 증감 방향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제2 위치 검출부는, 렌즈 배럴(210)의 이동에 따른 제1-1 센싱 코일(511a)의 인덕턴스 값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 값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두 인덕턴스 값을 합산하여 렌즈 배럴(210)의 제1 축(X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렌즈 배럴(210)이 제2 축(Y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1-1 센싱 코일(511a)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는 증감 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의 제2 위치 검출부는, 렌즈 배럴(210)의 이동에 따른 제1-1 센싱 코일(511a)의 인덕턴스 값과 제1-2 센싱 코일(511b)의 인덕턴스 값을 서로 감산하여 렌즈 배럴(210)의 제2 축(Y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배치된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되어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된다. 제3 볼 부재(B4)는 수용홈(302)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은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를 결합하는 방식은 나사 결합 방식과 접착제 방식이 있다.
나사 결합 방식은 렌즈 배럴의 외부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렌즈 홀더의 내부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서로 체결하는 방식이다.
다만, 나사 결합 방식의 경우 체결과정에서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의 마찰에 의해 이물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한, 체결과정에서 조립 틸트(Tilt)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조립 틸트(Tilt)란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가 조립된 상태에서 이미지 센서에 대한 렌즈의 수직도가 설계치보다 어긋난 상태를 의미하는데, 최근 카메라 모듈이 소형화됨에 따라 이러한 작은 오차가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접착제 방식은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대신 렌즈 배럴을 렌즈 홀더에 삽입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한 후 경화하여 렌즈 배럴을 렌즈 홀더에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다만, 접착제 방식의 경우 접착제의 도포량을 관리하기 어렵고, 접착제의 경화 과정에서 렌즈 배럴의 위치가 틀어질 염려가 있다. 특히, 접착제를 경화하기 위한 열에 의해 렌즈 배럴의 내부에 위치한 렌즈가 변형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사 결합 방식 및 접착제 방식 이외에 다른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를 결합시킨다.
렌즈 홀더(320)의 중앙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삽입홀에 렌즈 배럴(210)이 삽입된다. 삽입홀의 직경은 렌즈 배럴(210)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는 접합부(230)가 형성되며, 접합부(230)에 의해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직접 접합된다. 여기서, 접합부(230)는 렌즈 배럴(210)의 일부 및 렌즈 홀더(320)의 일부가 용융되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별도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렌즈 배럴(210)을 렌즈 홀더(32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의 외부면 중 적어도 일부와 렌즈 홀더(320)의 내부면 중 적어도 일부는 용융된 후 서로 접합된다. 즉,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용융된 후 서로 뒤섞여 접합됨으로써 접합부(230)가 형성된다.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마주보는 면들 중 접합부(230)와 인접한 부분은 불규칙한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210)과 접합부(230)의 계면 및 렌즈 홀더(320)와 접합부(230)의 계면은 불규칙한 요철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렌즈 배럴(210)의 외부면과 렌즈 홀더(320)의 내부면 사이에는 적어도 20㎛의 이격 공간이 구비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는 접합부(230) 이외의 영역에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20㎛의 이격 공간이 구비된다.
렌즈 배럴(210)은 제1 재질로 형성되고, 렌즈 홀더(320)는 제2 재질로 형성되며, 제1 재질과 제2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한다.
제1 재질과 제2 재질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 프탈 아미드(Poly Phthal Amid) 및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재질과 제2 재질은 서로 같거나 다른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한다.
제1 재질과 제2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충전제(Filler)가 포함될 수 있다.
충전제(Filler)는 제1 재질과 제2 재질의 물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이다.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접합된 접합부(2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231, Void)가 형성된다. 보이드(231)는 복수 개가 불규칙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이드(231)는 접합부(230) 이외의 영역(예를 들어, 렌즈 배럴(210)의 일부 및 렌즈 홀더(320)의 일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과정에서 접합부(230)를 형성하기 위하여 휘발성 물질(800)이 사용된다. 휘발성 물질(800)은 렌즈 배럴(210)의 적어도 일부 및 렌즈 홀더(320)의 적어도 일부의 용융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휘발성 물질(800)로는 클로로포름(Chloroform),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 Hydro Furan), 케톤(Ketone), 벤젠(Benzene)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휘발성 물질(800)을 도포하면,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가 일시적으로 용융되고, 용융된 소재들이 서로 뒤섞여 접합부(2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접합부(230)에는 렌즈 배럴(210)의 제1 재질과 렌즈 홀더(320)의 제2 재질이 서로 뒤섞인 혼화(混和)층이 구비된다.
휘발성 물질(800)은 렌즈 배럴(210)과 렌즈 홀더(320)의 면을 용융시킨 후 휘발되어 사라지지만, 접합부(230) 내에 일부 남아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휘발성 물질(800)은 렌즈 배럴(210)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포되거나 렌즈 배럴(21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230)는 렌즈 배럴(210)의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되거나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은, UV 접착제 및 열 경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렌즈 배럴과 렌즈 홀더를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200: 렌즈 조립체
210: 렌즈 배럴
230: 접합부
320: 렌즈 홀더

Claims (12)

  1. 제1 재질로 형성된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고, 제2 재질로 형성된 렌즈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가 접합되는 접합부에는 상기 제1 재질 및 상기 제2 재질이 뒤섞인 혼화(混和)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Void)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질과 상기 제2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인 렌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질과 상기 제2 재질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 프탈 아미드(Poly Phthal Amid) 및 액정고분자(Liquid Crystal Polym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질과 상기 제2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는 충전제(Filler)가 포함되는 렌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층에는 클로로포름(Chloroform), 시클로헥사논(Cyclohexanone)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 Hydro Furan), 케톤(Ketone), 벤젠(Benzene)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층은 상기 렌즈 배럴의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화층은 상기 렌즈 배럴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드는 상기 접합부 내에 복수 개가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 사이에는, 상기 접합부 이외의 영역에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어도 20㎛의 이격 공간이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10. 제1 재질로 형성된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되고, 제2 재질로 형성된 렌즈 홀더;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를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렌즈 홀더에 부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마그네트와 마주보게 배치된 코일을 구비하는 렌즈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재질과 상기 제2 재질은 서로 같거나 다른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가 접합되는 접합부에는 상기 제1 재질 및 상기 제2 재질이 뒤섞인 혼화층이 구비되고,
    상기 접합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이드(Void)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질과 상기 제2 재질 중 적어도 하나는 충전제(Filler)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렌즈 홀더는, 상기 접합부 이외의 영역에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카메라 모듈.
KR1020180149306A 2018-11-28 2018-11-28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97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06A KR102597146B1 (ko) 2018-11-28 2018-11-28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6/459,671 US10914912B2 (en) 2018-11-28 2019-07-02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CN201911017986.2A CN111239952A (zh) 2018-11-28 2019-10-24 透镜组件、相机模块及移动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306A KR102597146B1 (ko) 2018-11-28 2018-11-28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522A true KR20200063522A (ko) 2020-06-05
KR102597146B1 KR102597146B1 (ko) 2023-11-02

Family

ID=7077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306A KR102597146B1 (ko) 2018-11-28 2018-11-28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14912B2 (ko)
KR (1) KR102597146B1 (ko)
CN (1) CN1112399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243A (ko) * 2020-08-28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30154619A (ko) * 2022-05-02 2023-11-0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렌즈 어셈블리 및 휴대용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204B1 (ko) * 2019-03-15 2024-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액츄에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116A (ko) * 2006-06-21 2007-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레이져 장치
JP2011145323A (ja) * 2010-01-12 2011-07-28 Panasonic Corp 撮像装置及び携帯機器
KR2018004455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KR20180108626A (ko) * 2016-01-29 2018-10-04 주식회사 쿠라레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0209B2 (ja) * 2005-08-30 2012-11-07 リアルデ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カーボネート偏光レンズを製造する高歩留まり結合処理
US7311453B2 (en) * 2005-12-19 2007-12-25 Largan Precision Co., Ltd. Lens tube and mounting base thereof
JP2010015091A (ja) * 2008-07-07 2010-01-21 Teijin Chem Ltd ガラス繊維強化樹脂組成物からなる鏡筒
CN101630054A (zh) * 2008-07-15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相机模组及其制造方法
KR20120076124A (ko) 2010-12-29 2012-07-09 주식회사 코렌 렌즈 조립체의 조립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장치
TWI650016B (zh) * 2013-08-22 2019-02-01 新力股份有限公司 成像裝置、製造方法及電子設備
US9766424B2 (en) * 2013-09-13 2017-09-19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JP6268856B2 (ja) * 2013-09-24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40296B1 (ko) * 2015-11-13 2020-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8469662B (zh) * 2017-02-23 2020-10-27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光学镜头、其组装方法及镜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116A (ko) * 2006-06-21 2007-1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레이져 장치
JP2011145323A (ja) * 2010-01-12 2011-07-28 Panasonic Corp 撮像装置及び携帯機器
KR20180108626A (ko) * 2016-01-29 2018-10-04 주식회사 쿠라레 성형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44559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휴대용 디바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8243A (ko) * 2020-08-28 2022-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30154619A (ko) * 2022-05-02 2023-11-0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렌즈 어셈블리 및 휴대용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39952A (zh) 2020-06-05
US10914912B2 (en) 2021-02-09
US20200166725A1 (en) 2020-05-28
KR102597146B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525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163416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7028B1 (ko) 카메라 모듈
PH12016000210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lcuding the same
JP2023126227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光学機器
KR20180135299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89837B1 (ko) 카메라 모듈
CN110308605B (zh) 便携式电子设备及相机模块
US20230251455A1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101813392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2362B1 (ko) 카메라 모듈
KR102597146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10258491A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instrument
KR20230042687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CN212486606U (zh) 相机模块与电子装置
KR102460755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0728A (ko) 카메라 모듈
US11835788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068976A (ko)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386054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473465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10020731A (ko) 카메라 모듈
KR102163058B1 (ko) 카메라 모듈
KR102439902B1 (ko) 카메라 모듈
KR2023010229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