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662A - 구강 재활 치료 도구 - Google Patents

구강 재활 치료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662A
KR20200061662A KR1020180147228A KR20180147228A KR20200061662A KR 20200061662 A KR20200061662 A KR 20200061662A KR 1020180147228 A KR1020180147228 A KR 1020180147228A KR 20180147228 A KR20180147228 A KR 20180147228A KR 20200061662 A KR20200061662 A KR 2020006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rehabilitation treatment
treatment tool
foo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147B1 (ko
Inventor
민경철
Original Assignee
민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철 filed Critical 민경철
Priority to KR1020180147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1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을 자극하여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길다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이루며 음식물을 뜨기 위한 수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입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재활 치료 도구{Oral rehabilitation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구강 재활 치료 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은 음식물의 저작, 타액과의 혼합, 미각의 작용을 지니고 호흡 및 발성의 보조가 되는 기관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구강은, 안면 하부 중앙에 있는 소화기의 입구를 이루는 기관이고, 구열을 거쳐 구협까지를 말하며, 인두에 이어진다. 앞 및 측벽은 입술과 볼이고 이 후방에 하악골의 치조돌기와 그것을 뒤덮는 점막과 거기에 치아의 치열궁이 있다. 상벽은 구개, 하벽은 구저와 혀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강은, 뇌졸중, 노화, 조산, 뇌성마비 등의 원인으로 구강 운동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구강 기능 저하로 인해 음식물의 저작(咀嚼)이나 타액과의 혼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미각이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며, 호흡 및 발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구강을 자극하여 구강 운동 기능, 구강 감각, 구강 인식, 구강 처리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길다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이루며 음식물을 뜨기 위한 수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입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극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자극 돌기;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자극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저부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을 이루며 음식물이 놓이기 위한 음식물 안착면; 및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음식물 안착면보다 높게 구비되는 음식물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하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천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천이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부 경사면;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하부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이부는, 상기 자극부 보다 상기 수저부에 더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천이부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 중심과 상기 수저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저부의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자극부의 말단 가장자리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와, 상기 수저부와, 그리고 상기 자극부는, 상기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와, 수저부와, 자극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재활 치료사(이하, 환자 가족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됨)가 수저부를 통해 음식물을 환자의 입에 넣어주면서 음식물의 위치를 환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으로 음식물의 저작이나 타액과의 혼합을 위한 구강 기능에 대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고, 자극부를 통해 환자의 구강을 누르면서 자극시키는 것으로 구강의 감각을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이용하여 저작에 대한 구강 기능과 미각이나 호흡 등에 대한 구강 감각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사용하여, 구강 인식, 구강 감각, 구강 운동 기능, 그리고 먹기 등의 구강 처리 기능 증진의 단계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고, 혀, 치아, 구개, 입술, 볼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고 이에 자극을 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저부를 통한 음식 제공, 적절한 양을 적절한 위치에 제공할 수 있고, 자극부를 통한 감각 자극 뿐만 아니라 자극부를 씹어 재활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자극부를 통해 자극을 제공할 수 있고, 아동 치발기처럼 어금니 사이에 위치시켜 직접적인 저작 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저부는 몸체의 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입을 충분히 벌릴 수 없는 구강 기능 저하나 마비 환자에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 내로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입 뿐만 아니라 구강 내의 치아와 볼, 치아와 입술 사이 공간으로도 음식을 제공하고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저부의 상면은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되고, 수저부의 하면은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바닥에 놓더라도 수저부가 바닥에 닿지 않게 되어 수저부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 오목면을 포함하는 천이부가 구비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수저부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펜(pen)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중지를 받칠 수 있고, 자극부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칼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검지를 받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환자의 구강에 충분한 자극을 가할 수 있고, 정교하게 목적한 자극 부위에 음식을 제공하거나 직접적인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수저부의 말단 가장자리와 자극부의 말단 가장자리 각각은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환자의 구강으로 넣는 과정에서나 구강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몸체와, 수저부와, 그리고 자극부는,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제조 시 치수 공차를 서로 다르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는,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와, 수저부(120)와, 자극부(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재활 치료사나 환자의 가족 등(이하, "재활 치료사"라 통칭함)이 수저부(120)를 통해 음식물을 환자의 입에 넣어주면서 음식물의 위치를 환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으로 음식물의 저작이나 타액과의 혼합을 위한 구강 기능에 대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고, 자극부(130)를 통해 환자의 구강을 누르면서 자극시키는 것으로 구강의 감각을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하나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이용하여 저작에 대한 구강 기능 뿐만 아니라 미각이나 호흡 등에 대한 구강 감각을 회복하기 위한 재활훈련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10)는,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의 몸체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다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120)[도 2를 기준으로 좌측 부분으로 "수저부(120)"에 해당함, 이하 수저부(120)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함]는 몸체(110)의 타단부[도 2를 기준으로 우측 부분으로 "자극부(130)"를 구비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얇은 수저부(120)를 통해, 입을 충분히 벌릴 수 없는 구강 기능 저하나 마비 환자에 보다 효과적으로 구강 내로 음식물을 정교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상면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상면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고,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하면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하면에 비해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바닥에 놓더라도 몸체(110)의 일단부(120)를 이루는 수저부(120)가 바닥에 닿지 않게 되어 수저부(120)가 오염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수저부(120)는, 죽이나 미음 등의 음식물을 떠서 환자의 구강 내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저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에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저부(1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안착면(121)과 음식물 걸림턱(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안착면(121)은 음식물이 놓이는 부분으로 몸체(110)의 일단부의 상면을 이룰 수 있고, 음식물 걸림턱(122)은 음식물 안착면(121)에 놓인 음식물이 옆으로 흘러 내리지 않도록 몸체(110)의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되 음식물 안착면(121)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기능 저하나 마비로 인해 구강의 입구가 좁아진 환자를 위해, 이러한 수저부(120)를 통해 소량의 죽이나 미음 등을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 치료사 등이 환자의 어금니 부분, 혀 안쪽, 또는 혀 앞쪽 등 구강 내의 위치를 바꿔가며 죽이나 미음 등의 음식물을 환자에게 제공하면서, 그 부위에 음식물이 있음을 환자에게 인식시키는 것으로, 환자가 그 부위의 움직임을 집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환자의 구강 기능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수저부(120)의 말단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수저부(120)를 환자의 구강으로 넣는 과정에서나 구강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극부(130)는, 환자의 구강을 자극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자극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극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부 자극 돌기(131)와 하나 이상의 하부 자극 돌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자극 돌기(131)는 몸체(110)의 타단부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고, 하부 자극 돌기(132)는 몸체(110)의 타단부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환자의 잇몸, 이, 혀, 입천장 등에 자극을 가해 구강 감각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상부 자극 돌기(131)는 환자의 윗 잇몸, 윗 이, 입천장 등을 눌러 자극을 가할 수 있고, 하부 자극 돌기(132)는 환자의 아랫 잇몸, 아랫 이, 혀 등을 눌러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나아가. 자극부(130)가 잇몸과 치아 자극 외에 환자의 혀 자극에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혀의 위, 옆, 앞 부분 등을 눌러 직접적인 자극과 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자극부(130)의 말단 가장자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을 향해 볼 때 둥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극부(130)를 환자의 구강으로 넣는 과정에서나 구강 내에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조직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몸체(110)와, 수저부(120)와, 그리고 자극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상면을 향해 볼 때 서로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의 제조 시 치수 공차를 서로 다르게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일단부(120)와 몸체(110)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천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이부(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경사면(141)과 하부 오목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경사면(141)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상면에서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질 수 있고, 하부 오목면(142)은 몸체(110)의 타단부의 하면과 몸체(110)의 일단부(120)의 하면을 오목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저부(120)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펜(pen)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중지를 받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수저부(120)를 정교하게 환자의 구강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극부(130)를 이용하기 위해 재활 치료사가 칼을 잡듯이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를 잡을 경우 재활 치료사의 검지를 받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도 환자의 구강에 충분한 자극을 가할 수 있다.
나아가, 천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부(130) 보다 수저부(120)에 더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천이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구강 재활 치료 도구(100)의 길이를 기준으로 그 중심(C10)과 수저부(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구강 재활 치료 도구 110: 몸체
120: 몸체의 일단부(수저부) 121: 음식물 안착면
122: 음식물 걸림턱 130: 자극부
131: 상부 자극 돌기 132: 하부 자극 돌기
140: 천이부 141: 상부 경사면
142: 하부 오목면 C10: 구강 재활 치료 도구의 중심

Claims (3)

  1. 구강의 기능이나 감각을 회복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구강 재활 치료 도구로,
    길다란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이루며 음식물을 뜨기 위한 수저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입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부;
    를 포함하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
  3. 제2항에서,
    상기 구강 재활 치료 도구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천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천이부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상면에서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상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부 경사면; 및
    상기 몸체의 타단부의 하면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하부 오목면;
    을 포함하는
    구강 재활 치료 도구.
KR1020180147228A 2018-11-26 2018-11-26 구강 재활 치료 도구 KR10212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28A KR102125147B1 (ko) 2018-11-26 2018-11-26 구강 재활 치료 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228A KR102125147B1 (ko) 2018-11-26 2018-11-26 구강 재활 치료 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662A true KR20200061662A (ko) 2020-06-03
KR102125147B1 KR102125147B1 (ko) 2020-06-19

Family

ID=7108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228A KR102125147B1 (ko) 2018-11-26 2018-11-26 구강 재활 치료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1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647A (ko) 2022-08-26 2024-03-0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재활 훈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86A (ja) * 1998-04-30 1999-11-09 Yoshie Mishima 嚥下機能訓練器具
US20050091854A1 (en) 2003-10-29 2005-05-05 Johnson Lori 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oral tactile stimulation while delivering food
JP4979985B2 (ja) * 2006-05-31 2012-07-18 コンビウェルネス株式会社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JP6233871B2 (ja) * 2012-09-28 2017-11-2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嚥下調整食用スプーン及び嚥下調整食片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9186A (ja) * 1998-04-30 1999-11-09 Yoshie Mishima 嚥下機能訓練器具
US20050091854A1 (en) 2003-10-29 2005-05-05 Johnson Lori A.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oral tactile stimulation while delivering food
JP4979985B2 (ja) * 2006-05-31 2012-07-18 コンビウェルネス株式会社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JP6233871B2 (ja) * 2012-09-28 2017-11-22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嚥下調整食用スプーン及び嚥下調整食片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147B1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3969C (en) An oral training appliance
JP4979985B2 (ja)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JP6017780B2 (ja) 口腔機能訓練器
JP3657615B2 (ja) おしゃぶり
JP4399645B1 (ja) 唾液分泌促進器
CN210095946U (zh) 多功能隐形矫治器
KR102125147B1 (ko) 구강 재활 치료 도구
Gargari et al. Esthetic and function rehabilitation of severely worn dentition with prosthetic-restorative approach and VDO increase. Case report
CN114073844A (zh) 包覆上颚齿的口腔内吞咽辅具及其制造方法
JP4474187B2 (ja)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JP2007319304A (ja) 嚥下障害リハビリ訓練器
US11660166B2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JP2006326017A (ja) 口腔内清掃治療用開口器
JP2897121B2 (ja) 嚥下障害補助具
JP2018126265A (ja) 嚥下機能訓練器
JP6120780B2 (ja) 口腔装置
WO2013057979A1 (ja) 笑顔口舌健康体操マウスピース
JP3668744B2 (ja) (熱可塑性材を使用したバイトブロック)
RU163407U1 (ru) Съемный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коррекции мио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нарушений у детей
JP6933783B1 (ja) 口腔内迷走神経刺激器具及びその使用方法
CN107693139A (zh) 反颌矫正装置及反颌矫正方法
JP3500401B2 (ja) 介護用電動歯ブラシ器
KR102611351B1 (ko) 연하장애 환자를 위한 마우스피스형 보조장치
CN218960972U (zh) 牙齿矫正装置
WO2024080315A1 (ja) マウスピ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