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631A - 차량 주행 안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주행 안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0631A
KR20200060631A KR1020180145333A KR20180145333A KR20200060631A KR 20200060631 A KR20200060631 A KR 20200060631A KR 1020180145333 A KR1020180145333 A KR 1020180145333A KR 20180145333 A KR20180145333 A KR 20180145333A KR 20200060631 A KR20200060631 A KR 2020006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radient
information
road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4045B1 (ko
Inventor
김태림
권성진
강호준
이동원
신석산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5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0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30Arrangements interacting with transmitters or receivers otherwise than by visible means, e.g. using radar reflectors or radio transmit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주행 안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주행 안내 장치는 주변의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노면에 설치되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 형성부; 및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따라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주변 상황에 따라 구배 형성부를 제어하여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주행 안내 장치{APPARATUS FOR GUIDING VEHICLE DRIVING}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여 차량 주행을 안내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표지병은 도로부속물로서 도로 상에 설치된 노면표시의 선형을 보완하여 야간 또는 우천시에 운전자의 시선을 명확히 유도하는 것으로써, 교통안전 및 원활한 소통을 위해 도로 표면에 설치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도로표지병의 개략적인 구조는 사각 또는 원형 등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의 표면에 차선을 따라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고, 몸체에는 저면에 지주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이 지주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매설토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로표지병은 도로의 차선, 중앙선, 차선의 경계선, 특히 도로의 커브 등에서 차선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차선의 정보를 제공토록 함으로써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안전운행과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도로표지병은 도로의 노면 상에 차선을 따라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운전미숙이나 졸음운전 등으로 차선을 넘는 경우, 차량의 바퀴가 도로표지병을 넘어가는 진동이 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경고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2711호(2018.03.21)의 '도로 표지병'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도로 상황이나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을 적절한 방향으로 안내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황 등에 따라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차량이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황에 따른 적합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는 주변의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노면에 설치되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 형성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구배 형성부를 제어하여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배 형성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차량 수와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배 형성부는 차로 또는 차선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상황을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는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 형성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메인 서버 또는 인프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안내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안내정보에 따라 상기 구배 형성부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배 형성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구배 형성부는 차로 또는 차선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안내정보는 전방 도로의 정체 상황을 안내하는 정체 상황 정보, 전방 도로에서 발생된 사고를 안내하는 사고 안내정보, 전방 도로 상에 있는 장애물을 안내하는 장애물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제한속도를 안내하는 제한속도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공사구간을 안내하는 공사구간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갓길 주행 여부를 안내하는 갓길 주행 안내정보, 및 차속 제한을 유도하는 차속 제어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따라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나 상기 메인 서버 또는 상기 인프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차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경로 안내정보에 따라 상기 구배 형성부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차량의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경로 안내정보는 차량의 차선 변경을 안내하기 위한 차선 변경 정보,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주행 방향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황 등에 따라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차량이 주행 상황이나 도로 상황에 따른 적합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차선 이탈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는 서로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주변의 차량이나 인프라 또는 서버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도로 상황이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노면에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터널이나 교량, 갓길 등에서의 차선 변경을 예방하고, 공사구간에서의 차선 변경을 유도하며, 교차로 선회시 차량 운행방향을 유도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배 형성부의 액추에이터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배 형성부의 액추에이터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 변경 방지를 위한 구배 형성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구배 형성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구배 형성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 간의 통신을 토대로 한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와 메인 서버 또는 인프라 간 통신을 토대로 한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와 차량 간 통신을 토대로 한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배 형성부의 액추에이터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배 형성부의 액추에이터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차선 변경 방지를 위한 구배 형성부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구배 형성부의 동작 예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구배 형성부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는 서로 간에 각종 주변 상황을 송수신함과 더불어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와의 안내정보를 송수신하고, 이들을 기초로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에는 구배 형성부(32)가 구비된다. 구배 형성부(32)는 도로의 차선 또는 차로 등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차량 주행을 안내한다.
이러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의 구배 형성부(32)는 주변의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부터 전달받은 주변 상황이나, 메인 서버(10)나 인프라(20)로부터 전달받은 안내 정보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차량의 차로 이탈을 방지하거나, 차량이 주변 상황이나 안내 정보에 따른 적절한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는 감지부(31), 구배 형성부(32), 통신부(33), 및 제어부(35)를 포함한다.
감지부(31)는 주변의 차량(40)을 감지한다. 감지부(31)는 케이스(미도시)의 측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나 개수 등은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감지부(31)로는 카메라, 라이다 센서, 레이더 센서, 적외서 센서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감지부(31)는 주변의 차량(40)을 감지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배 형성부(32)는 도로의 노면, 예를 들어 도로의 차선이나 차로 등에 설치되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차로는 차량이 주행하는 공간이며, 이러한 차로를 구분하는 라인을 차선이다. 차로와 차선은 통상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구배 형성부(32)는 돌출부(321), 액추에이터부(322) 및 덮개부(323)를 포함한다.
돌출부(321)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돌출부(321)는 상하 방향으로 상승할 경우 노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되며, 하강할 경우 노면으로 삽입되어 그 상단부가 노면과 동일한 높이의 위치가 된다.
덮개부(323)는 돌출부(321)의 상부에 설치되어 돌출부(321)를 보호함과 더불어 차량의 바퀴로부터 돌출부(321)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켜 돌출부(321)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부(323)는 상측으로 라운드되게 형성되어 자율주행 차량 또는 운전자의 의지에 따른 차선 변경시 차량의 바퀴가 덮개부(323)를 밟고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액추에이터부(322)는 제어부(35)의 제어신호에 따라 돌출부(3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3 은 액추에이터부(322)의 동작 전 돌출부(321)가 노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 4 는 액추에이터부(322)의 동작에 따라 돌출부(321)가 노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나타내었다.
통신부(33)는 인접한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에 구비된 통신부(33)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거나,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3)는 인접한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에 구비된 통신부(33)와 주변 상황을 송수신하거나,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에 주변 상황을 전달하고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로부터 안내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33)는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경로 안내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35)는 감지부(31)를 통해 주변의 차량(40)을 감지하고, 감지부(31)에 의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주변 상황이 인식됨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5)는 감지부(31)를 통해 주변의 차량(40)이 감지되면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차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감지부(31)에 의해 감지된 차량 수와 속도를 토대로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사고가 발생된 차선과 인접한 다른 차로로 차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사고가 발생된 차로와 인접한 다른 차로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가 동작하여 차로에 구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40)이 다른 차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도로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장애물이 존재하는 차선과 인접한 다른 차선으로 차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차로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가 동작하여 차로에 구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40)이 다른 차선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차량의 속도가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이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가 동작하여 차로에 구배가 형성됨으로써, 차량(40)이 감속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가 터널이나 교량의 차선에 설치된 경우, 해당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감지부(31)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구배를 형성하여 차량이 차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가 갓길 차선에 설치된 경우, 해당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감지부(31)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면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구배를 형성하여 차량이 갓길로 진입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주변의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나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에 주변 상황을 전달하며, 이 경우,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부터 주변 상황을 전달받으면 해당 주변 상황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전방의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부터 전달된 주변 상황이 정체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방의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부터 전달된 주변 상황이 전방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방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전방 도로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되거나, 차량(40)의 속도가 전방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또한, 제어부(35)는 감지부(31)를 통해 감지된 감지 정보를 통해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인식된 주변 정보를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로 전달한다. 이후 제어부(35)는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로부터 안내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안내정보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여기서, 안내정보에는 전방 도로의 정체 상황을 안내하는 정체 상황 정보, 전방 도로에서 발생된 사고를 안내하는 사고 안내정보, 전방 도로에 있는 장애물을 안내하는 장애물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보행자의 존재를 안내하는 보행자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제한속도를 안내하는 제한속도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공사구간을 안내하는 공사구간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갓길 주행 여부를 안내하는 갓길 주행 안내정보, 및 차속을 감소시키도록 유도하는 차속 제어 안내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의 제어부(35)는 그 설치 위치, 예를 들어 차로에 설치되어 있는지 또는 차선에 설치되어 있는지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부(35)는 통신부(33)를 통해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경로 안내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경로 안내정보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경로 안내정보에는 차량(40)의 차선 변경을 안내하기 위한 차선 변경 정보, 및 차량(40)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주행 방향 안내정보가 포함된다.
즉, 제어부(35)는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경로 안내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경로 안내정보에 따라 차량(40)의 차로 변경을 안내하기 위해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경로 안내정보가 교차로에서의 우회전을 안내하는 정보일 경우, 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제어 장치(30)의 제어부(35)는 우측 차로로 주행하도록 노면 구배를 형성하여 차량이 우측 차로로 이동하도록 한다.
더욱이,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경로 안내정보가 교차로에서의 우회전을 안내하는 정보일 경우, 교차로에 설치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좌회전 신호가 턴온되면 차량의 좌회전을 유도하도록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이 경우, 복수 개의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가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태로 구배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좌회전을 유도한다.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부터 주변 상황이 전달되면 해당 주변 상황에 따라 안내정보를 생성한다. 이 경우 메인 서버(10)는 안내정보를 투사할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를 선별하는데,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에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이용한다.
즉,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주변 상황이 전달되면,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식별정보를 검출하고, 해당 식별정보에 맵핑된 위치 정보, 즉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도로 구배를 형성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를 선별하고, 선별된 각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에 안내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각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는 메인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안내정보에 따라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
또한,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을 통해 투사할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안내정보를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에 전달한다.
이 경우,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부터 전달된 주변 상황이 정체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방 도로가 정체 상황임을 안내하는 정체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전방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방 도로에서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안내하는 사고 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전방 도로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판단되면 전방 도로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안내하는 장애물 안내정보를 생성하며, 차량(40)의 속도가 전방 도로의 제한속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방 도로의 제한속도를 안내하는 제한속도 안내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의 제어부(35)는 통신부(33)를 통해 메인 서버(10)로부터 안내정보를 전달받고, 해당 안내정보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방법을 도 8 내지 도 11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표시 장치 간의 통신을 토대로 한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중 어느 하나의 제어부(35)는, 감지부(31)를 통해 주변의 차량(40)이 감지되면(S100), 감지부(31)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한다(S102).
이어 제어부(35)는 해당 주변 상황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S106).
아울러, 제어부(35)는 해당 주변 상황을 인접한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 통신부(33)를 통해 전달하고(S104), 해당 주변 상황을 전달받은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는 해당 주변 상황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S108).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와 메인 서버 또는 인프라 간 통신을 토대로 한 차량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감지부(31)를 통해 주변의 차량(40)이 감지되면(S200), 감지부(31)를 통해 생성된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주변 상황을 인식한다(S202).
이어, 제어부(35)는 해당 주변 상황을 메인 서버(10) 또는 인프라(20)로 전달하고(S204),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에 기 설정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할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를 선별함과 더불어 선별된 각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에게 전달할 안내정보를 생성한다(S206).
이와 같이, 각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별로 안내정보가 생성되면, 메인 서버(10)는 선별된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으로 안내정보를 전달하고(S208,S210), 각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는 메인 서버(10)로부터 전달받은 안내정보에 따라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S212,S214).
이 경우, 각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를 통해 투사되는 안내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40)의 현재 위치와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위치 및 도로 상황에 따라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와 차량 간 통신을 토대로 한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0 을 참조하면, 메인 서버(10)는 도로의 기후상황이나 도로 공사 등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면(S300), 이러한 도로 상황이 발생된 지점을 기초로 노면에 구배를 형성할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를 선별한다(S302).
이어 메인 서버(10)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에게 전달할 안내 정보를 생성하고(S304), 생성된 안내정보를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에 전달한다(S306,S310).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 각각의 제어부(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 서버(10)로부터 안내정보가 전달됨에 따라, 해당 안내정보에 따라 구배 형성부(32)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S308,S312).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와 차량 간 통신을 토대로 한 주행 안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먼저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로 경로 안내정보를 전달한다(S400).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의 제어부(35)는 차량(4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경로 안내정보를 전달받음에 따라, 주행 경로 안내를 위해 구배 형성부(32)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한다(S402).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구배 형성부(32)는 액추에이터부(322)를 통해 돌출부(3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부(323)에 공기를 주입하여 덮개부(323)가 부풀어 오르도록 함으로써 노면에 구배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는 차량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정보를 다양한 색상과 패턴으로 도로의 노면에 투사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에도 노면의 안내정보를 손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30)는 서로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주변의 차량(40)이나 인프라 또는 서버 등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도로 상황이나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노면에 안내정보를 투사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주변 상황에 따른 다양한 안내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메인 서버
20: 인프라
30: 차량 주행 안내 장치
31: 감지부
32: 구배 형성부
321: 돌출부
322: 액추에이터부
323: 덮개부
33: 통신부
34: 전원부
35: 제어부
36: 케이스

Claims (12)

  1. 주변의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노면에 설치되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 형성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구배 형성부를 제어하여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 형성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 수와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주변 상황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 형성부는 차로 또는 차선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상황을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6. 도로의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구배 형성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메인 서버 또는 인프라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안내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안내정보에 따라 상기 구배 형성부를 제어하여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 형성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돌출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돌출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돌출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배 형성부는 차로 또는 차선에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정보는 전방 도로의 정체 상황을 안내하는 정체 상황 정보, 전방 도로에서 발생된 사고를 안내하는 사고 안내정보, 전방 도로 상에 있는 장애물을 안내하는 장애물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제한속도를 안내하는 제한속도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공사구간을 안내하는 공사구간 안내정보, 전방 도로의 갓길 주행 여부를 안내하는 갓길 주행 안내정보, 및 차속 제한을 유도하는 차속 제어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생성된 감지 정보에 따라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상기 주변 상황에 따라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다른 차량 주행 안내 장치나 상기 메인 서버 또는 상기 인프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차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경로 안내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경로 안내정보에 따라 상기 구배 형성부를 통해 노면에 구배를 형성하는 차량의 경로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정보는 차량의 차선 변경을 안내하기 위한 차선 변경 정보, 및 차량의 주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주행 방향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행 안내 장치.
KR1020180145333A 2018-11-22 2018-11-22 차량 주행 안내 장치 KR102284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33A KR102284045B1 (ko) 2018-11-22 2018-11-22 차량 주행 안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333A KR102284045B1 (ko) 2018-11-22 2018-11-22 차량 주행 안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631A true KR20200060631A (ko) 2020-06-01
KR102284045B1 KR102284045B1 (ko) 2021-08-02

Family

ID=7108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333A KR102284045B1 (ko) 2018-11-22 2018-11-22 차량 주행 안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40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104B1 (ko) * 2022-06-17 2023-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라이다 검지형 도로 시설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42Y1 (ko) * 2001-04-12 2001-10-11 김동준 차량 유도 통제기
KR20080000441A (ko) * 2006-06-27 2008-0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터체인지 하류부 또는 진출부의 정체를 완화하기 위한차로유도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125038A (ko) * 2010-05-12 2011-11-18 노화준 승강식 과속방지턱 장치
KR101477189B1 (ko) * 2013-07-30 2014-12-30 대명건설산업(주) 도로의 불법 유턴을 방지할 수 있는 유턴방지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042Y1 (ko) * 2001-04-12 2001-10-11 김동준 차량 유도 통제기
KR20080000441A (ko) * 2006-06-27 2008-0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인터체인지 하류부 또는 진출부의 정체를 완화하기 위한차로유도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10125038A (ko) * 2010-05-12 2011-11-18 노화준 승강식 과속방지턱 장치
KR101477189B1 (ko) * 2013-07-30 2014-12-30 대명건설산업(주) 도로의 불법 유턴을 방지할 수 있는 유턴방지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104B1 (ko) * 2022-06-17 2023-05-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라이다 검지형 도로 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045B1 (ko)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nomous vehicle
JP7427280B2 (ja) 自動運転制御装置及び車両
CN110356402B (zh) 车辆控制装置、车辆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9643603B2 (en) Travel controller, server, and in-vehicle device
EP2746137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a driver
US860065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11130492B2 (en) Vehicle control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206595B2 (ja) 走行制御装置および走行制御方法
US20190317499A1 (en) Automatic Driving Device
US20060095195A1 (en) Vehicle operation control device
US20090088966A1 (en) Driving support system
JP6354440B2 (ja) 走行制御装置および走行制御方法
JP2016038837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及び方法
US2021026113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8217774A1 (en) Improved roadway guidance system
CN113710530A (zh) 用于运行自主交通工具中的驾驶员信息系统的方法和驾驶员信息系统
CN112406903A (zh) 自动驾驶系统
WO2016027347A1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931298B1 (ko) 고속도로 2차 사고 예방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N115867475A (zh) 用于车辆自动驾驶操作的方法和装置以及车辆
KR20190064228A (ko) 이미지 센싱을 이용한 차선 정보 제공 장치, 차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JP6375770B2 (ja) 走行制御装置および走行制御方法
KR20200060631A (ko) 차량 주행 안내 장치
JP2022075292A (ja) 車両の運転支援装置
JP4692831B2 (ja) 周辺状況認識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