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762A -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 Google Patents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762A
KR20200059762A KR1020180144878A KR20180144878A KR20200059762A KR 20200059762 A KR20200059762 A KR 20200059762A KR 1020180144878 A KR1020180144878 A KR 1020180144878A KR 20180144878 A KR20180144878 A KR 20180144878A KR 20200059762 A KR20200059762 A KR 20200059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ec
strain
primer set
probe
escherichia col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훈
곽효선
김순한
이우정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장)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9762A/ko
Publication of KR2020005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7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51Quantitative ampl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7/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 C12Q2537/1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reaction format or use of a specific feature the purpose or use of
    • C12Q2537/165Mathematical modelling, e.g. logarithm,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3/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 C12Q2563/107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zed by the use of physical, structural and functional properties fluorescenc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10Detection mode being characterised by the assay principle
    • C12Q2565/101Interaction between at least two lab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 서열번호 4 및 5, 또는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3, 6 및 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포함하는 ETEC 균주의 검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ETEC 균주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Development of a Singleplex Real-Time PCR Kit for Rapid Detection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LT, ST target gene}
본 발명은 병원성 대장균인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프로브,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포함하는 ETEC 균주의 검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ETEC 균주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사병은 개발도상국의 어린아이들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심각성을 갖는 질병이며, 설사병을 일으키는 가장 빈번한 세균은 병원성 대장균으로 알려져 있다 (Nataro, JP and Kaper, JB, 1998). 병원성 대장균은 병원 인자와 발병 기작에 따라, 장출혈성 대장균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장병원성 대장균(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PEC), 장독소원성 대장균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장관흡착성 대장균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EAEC), 장관조직침입성 대장균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EIEC) 등 5 종류로 분류된다.
병원성 균주를 검출하기 위한 기존의 real-time PCR Kit의 경우 대체로 활성이 낮고 몇몇 표적 유전자들은 균주가 존재함에도 활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또한, 현재 시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real-time PCR 장비인 ABI 7500과 Bio-Rad CFX Connect에서 동시에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실제로 식품샘플에 병원성 대장균이 어느 정도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민감도가 떨어져 검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해 사회적으로 아주 큰 이슈로 대두될 수 있어, 보다 특이적이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병원성 대장균의 검출이 가능한 real-time PCR kit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15671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또는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또는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료로부터 분리된 DNA에 대하여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또는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또는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로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프로브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프로브는 5'-말단에 형광 표지인자(reporter)가 결합되어 있고, 3'-말단에 형광 억제물질(quencher)이 결합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 표지인자는 FAM(6-carboxyfluorescein), HEX(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TET(tetrachloro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Cy5(cyanine-5) 또는 Cy3(cyanine-3)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 억제물질은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black hole quencher 1), BHQ2(black hole quencher 2), BHQ3(black hole quencher 3),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또는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DNA 중합효소, dNTP 및 버퍼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로부터 분리된 DNA에 대하여 상기 프라이머 세트 및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식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합효소연쇄반응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또는 경쟁적 중합효소연쇄반응(Competitive RT-PCR)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서 PCR 산물이 107 bp의 밴드로 확인되면 시료 내에 ETEC 균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서 PCR 산물이 163 bp 및 214 bp의 밴드로 확인되면 시료 내에 ETEC 균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서 Ct 값이 확인되면 시료 내에 ETEC 균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에만 특이적인 존재하는 유전자를 표적으로 제작되어 ETEC 균주에 대한 특이도 및 민감도가 높음으로써, 식품 내에 존재하는 ETEC 균주만을 특이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ETEC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LT 유전자(왼쪽) 및 ST 유전자(오른쪽)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singleplex, crosscheck PCR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2는 ETEC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LT 유전자(위쪽) 및 ST 유전자(아래쪽)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singleplex real-time PCR을 통해 민감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ETEC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LT 유전자(위쪽) 및 ST 유전자(아래쪽)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singleplex real-time PCR을 통해 기존 A사의 PCR 키트와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KHU: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한 경우; 및 A 사: A 사의 PCR 키트를 사용한 경우) .
도 4는 ETEC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LT 유전자(위쪽) 및 ST 유전자(아래쪽)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양성 대조군 DNA에 대한 singleplex real-time PCR을 ABI 7500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이다.
도 5는 ETEC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LT 유전자(위쪽) 및 ST 유전자(아래쪽)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이용하여 양성 대조군 DNA에 대한 singleplex real-time PCR을 Bio-rad CFX connect 기기를 이용하여 수행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병원성 대장균 중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장독소원성 대장균) 균주의 검출을 위한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키트; 및 이를 이용한 ETEC 균주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프라이머"는 짧은 자유 3'-말단 수산화기(free 3' hydroxyl group)를 가지는 염기서열로서, 상보적인 템플레이트(template)와 염기쌍을 형성할 수 있고, 템플레이트 가닥 복사을 위한 시작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짧은 염기서열을 말한다. 프라이머는 적절한 완충용액 및 온도에서 중합반응을 위한 시약(DNA 중합효소 또는 역전사효소) 및 상이한 4가지 dNTP(Deoxynucleoside triphosphate)의 존재 하에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ETEC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유전자를 증폭을 위하여 각각 정방향(forward) 및 역방향(reverse) 프라이머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프라이머의 길이, Tm 값, 프라이머의 GC 함량, 및 프라이머 내의 자가-상보적 서열에 의한 프라이머의 복합체(dimer) 형성 방지와 같은 조건들을 충분히 고려하고, EPEC 균주의 검출에 대한 민감도 및 특이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디자인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는 포스포아미다이트(phosphoramidite) 고체 지지체 합성법이나 기타 널리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기서열은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의 예로는 메틸화, 캡화, 천연 뉴클레오티드 하나 이상의 동족체로의 치환 및 뉴클레오티드 간의 변형, 예를 들면 하전되지 않은 연결체(예: 메틸 포스포네이트, 포스포트리에스테르, 포스포로아미데이트, 카바메이트 등) 또는 하전된 연결체(예: 포스포로티오에이트, 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 등)로의 변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의 염기서열은 검출 가능한 시그날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표지를 이용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브는 프로브의 말단에 형광물질로 표지될 수 있다. 프로브의 5'-말단에는 형광 표지인자(reporter dye)가 결합될 수 있고, 3'-말단에는 형광 억제물질(quencher)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형광 표지인자로는 현재까지 개발된 어떠한 물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예를 들어, FAM(6-carboxyfluorescein), HEX(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TET(tetrachloro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Cy5(cyanine-5) 또는 Cy3(cyanine-3)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FAM(6-carboxyfluorescein)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형광 억제물질로는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black hole quencher 1), BHQ2(black hole quencher 2), BHQ3(black hole quencher 3),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또는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합효소연쇄반응은 (i) 초기 변성(denaturation) 단계; (ii) 변성(denaturation), 어닐링(annealing) 및 연장(extension)으로 이루어지는 한 싸이클을 수회 내지 수십 회 반복하는 단계; 및 (iii) 최종 열처리 단계; 또는 이들 단계을 적합하게 변형한 열 싸이클(thermal cycle)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PCR 조건으로는 90~95℃에서 5~20분간 열처리하여 초기 변성시킨 후, 90~95℃에서 10초~2분간 변성 단계(denaturation); 54~60℃(Tm)에서 10초~2분간 어닐링 단계(annealing); 및 70~75℃에서 10초~2분간 합성 단계(extension)를 총 10~50회 반복하여 PCR 증폭을 실시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 조건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변형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5℃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 95℃에서 30초, 60.3℃ 또는 60℃(Tm)에서 30초, 72℃에서 30초씩 20~50번 반복한 다음, 72℃에서 15분 반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PCR 증폭 산물의 크기의 분석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가로즈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젤 전기영동에 의하여 표적 크기 마커와의 비교를 통하여 증폭 산물의 크기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은 타겟 DNA의 증폭과 동시에 형광 방출에 의한 타겟 DNA의 절대 또는 상대적인 정량이 가능한 실험방법으로서, 전기영동하여 분석하는 단계가 생략되고, 증폭산물의 증폭정도를 자동화, 수치화시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 및 정량이 가능하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타겟 DNA 내의 증폭된 서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형광 표지인자 및 형광 억제물질이 태깅되어 있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프로브의 사용없이 SYBR-Green 등의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에 대한 결과는 Ct(cycle threshold) 값을 이용하여 분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라이머 세트(Primer set)의 제작
본 발명자들은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만을 특이적으로 검출 또는 정량하기 위하여, 상기 ETEC 균주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LT 유전자 (Accession No. S60731.1) 및 ST 유전자(STh 유전자: Accession No. M29255.1; 및 STp 유전자: Accession No. M58746.1)를 표적으로 하여 Taqman™ Real-time PCR 방법에 사용될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를 제작하였다. 프라이머 세트 및 프로브의 염기서열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다.
gene 방향 서열
LT gene forward primer 5'-AGCTTGGAGAGAAGAACCCT-3' (서열번호 1)
reverse primer 5'-TGTGCTCAGATTCTGGGTCT-3' (서열번호 2)
probe 5'-FAM-TCTCCACAACCTTGTGGTGCATGATGA-TAMRA -3' (서열번호 3)
STh gene forward primer 5'-TGCCATGTTCCGGAGGTAAT-3' (서열번호 4)
reverse primer 5'-AGCACCCGGTACAAGCAG-3' (서열번호 5)
probe 5'-FAM-TCTCCACAACCTTGTGGTGCATGATGA-TAMRA-3' (서열번호 6)
STp gene forward primer 5'-TTATATAAGAGCCTAGTCATCCTACCA-3' (서열번호 7)
reverse primer 5'-ATGTCGAGGTACACTCGCTTTT-3' (서열번호 8)
probe 5'-FAM-CCTGCACTGGAAAATACGAACAAGAAAA-TAMRA-3' (서열번호 9)
실시예 2. ETEC 균주의 검출에 대한 특이도 검증
기존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는 하나의 균주를 타겟으로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균주까지 검출되는 사례가 빈번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ETEC 균주만을 특이적으로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onventional PCR을 이용하여 Crosscheck PCR 검증을 수행하였다. 상기 검증을 통해 ETEC 균주 이외의 균주에 대한 활성이 나오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LT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를 수행한 경우 ETEC 균주에서는 107 bp의 밴드(band)가 확인되었고, ETEC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15종의 균주((-)로 표시함, 표 2)에서는 밴드가 확인되지 않았다 (도 1, 왼쪽 패널). 또한, ST 유전자의 경우에는 STh STp 유전자를 표적하였고, 상기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경우 ETEC 균주에서는 163 bp 및 214 bp의 밴드(band)가 확인되었고, ETEC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15종의 균주에서는 두 개의 밴드가 확인되지 않았다 (도 1, 오른쪽 패널). 15종의 균주에 대한 정보는 하기 표 2와 같다.
15종의 Pathogen
C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Vibrio cholerae
Vibrio vulnificu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Yersinia enterocolitica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AEC (Enteroaggregative Escherichia coli)
EPEC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IEC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EHEC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할 경우 real-time PCR 뿐만 아니라, conventional PCR 방법을 통해서도 ETEC 균주만을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ETEC 균주의 검출에 대한 민감도 검증
기존 real-time PCR 키트는 민감도가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에 대하여 민감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한 DNA 샘플은 100 ng/μl의 양을 기준으로 연속희석(serial dilution) 방법을 수행하여, 100 ng/μl (도 2에서 100), 10 ng/μl (도 2에서 10-1), 1 ng/μl (도 2에서 10-2), 100 pg/μl (도 2에서 10-3), 10 pg/μl (도 2에서 10-4), 1 pg/μl (도 2에서 10-5) 및 0.1 pg/μl (도 2에서 10-6)의 양이 포함된 DNA template를 준비하였다.
그 결과, LT 유전자를 표적으로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0.1 pg/μl의 DNA 샘플에서도 ETEC 균주의 검출이 가능하였고 (도 2, 위쪽 패널), ST 유전자를 표적으로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1 pg/μl의 DNA 샘플까지 ETEC 균주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도 2, 아래쪽 패널).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할 경우 0.1 또는 1 pg/μl의 양으로 포함된 ETEC 균주를 검출할 수 있어, ETEC 균주의 검출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4. 활성도 측정
기존 real-time PCR 키트는 활성이 크지 않아 오랜 시간동안 real-time PCR 활성을 관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경우 기존 real-time PCR 키트보다 활성도가 높은지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T 유전자 및 ST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여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한 경우 기존 키트보다 활성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도 3).
따라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할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ETEC 균주의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양성 대조군 DNA를 통한 검증
식품 샘플 내에 존재하는 ETEC 균주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DNA 정제과정이 필요하고, 이 과정에서 DNA의 오염에 의해 정확한 실험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ETEC 균주에 대한 양성 대조군 DNA를 사용하여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제작된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 장비 중 하나인 ABI 7500을 통해 real-time PCR를 수행한 경우 ETEC 균주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4). 또한, 다른 장비인 Bio-rad CFX connect를 통해 real-time PCR을 수행한 경우에도 ETEC 균주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
따라서, 식품 내에 존재하는 ETEC 균주로부터 DNA를 정확히 정제한 후, 본 발명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real-time PCR를 수행할 경우 ETEC 균주만을 특이적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10>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20> Development of a Singleplex Real-Time PCR Kit for Rapid Detection of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ETEC) LT, ST target gene <130> PN1810-395 <160> 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T forward primer <400> 1 agcttggaga gaagaaccct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T reverse primer <400> 2 tgtgctcaga ttctgggtct 20 <210> 3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T probe <400> 3 tctccacaac cttgtggtgc atgatga 27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h forward primer <400> 4 tgccatgttc cggaggtaat 20 <210> 5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h reverse primer <400> 5 agcacccggt acaagcag 18 <210> 6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h probe <400> 6 tctccacaac cttgtggtgc atgatga 27 <210> 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p forward primer <400> 7 ttatataaga gcctagtcat cctacca 27 <210> 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p reverse primer <400> 8 atgtcgaggt acactcgctt tt 22 <210> 9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Tp probe <400> 9 cctgcactgg aaaatacgaa caagaaaa 28

Claims (15)

  1.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 또는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2.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 또는
    서열번호 9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로브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프로브.
  3. 제 1 항의 프라이머 세트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 2 항의 프로브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5'-말단에 형광 표지인자(reporter)가 결합되어 있고, 3'-말단에 형광 억제물질(quencher)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표지인자는 FAM(6-carboxyfluorescein), HEX(hexachloro-6-carboxyfluorescein), TET(tetrachlorofluorescein), 텍사스 레드(texas red), 로다민 그린(rhodamine green), 로다민 레드(rhodamine red), 테트라메틸로다민(tetramethylrhodamine), NED(N-(1-naphthyl) ethylenediamine), Cy5(cyanine-5) 또는 Cy3(cyanine-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억제물질은 TAMRA(6-carboxytetramethylrhodamine), BHQ1(black hole quencher 1), BHQ2(black hole quencher 2), BHQ3(black hole quencher 3), DDQ(Deep Dark Quencher), 블랙베리 퀸처(Blackberry Quencher) 또는 아이오와 블랙(Iowa bla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의 조성물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용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DNA 중합효소, dNTP 및 버퍼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0. 시료로부터 분리된 DNA에 대하여 제 1 항의 프라이머 세트 및 제 2 항의 프로브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수행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TEC(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균주의 검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식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효소연쇄반응은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또는 경쟁적 중합효소연쇄반응(Competitive RT-PC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서 PCR 산물이 107 bp의 밴드로 확인되면 시료 내에 ETEC 균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서 PCR 산물이 163 bp 및 214 bp의 밴드로 확인되면 시료 내에 ETEC 균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에서 Ct 값이 확인되면 시료 내에 ETEC 균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144878A 2018-11-21 2018-11-21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KR20200059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78A KR20200059762A (ko) 2018-11-21 2018-11-21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4878A KR20200059762A (ko) 2018-11-21 2018-11-21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762A true KR20200059762A (ko) 2020-05-29

Family

ID=7091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4878A KR20200059762A (ko) 2018-11-21 2018-11-21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97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19B1 (ko) 2011-10-21 2012-06-27 대한민국 병원성 대장균 검출방법 및 검출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719B1 (ko) 2011-10-21 2012-06-27 대한민국 병원성 대장균 검출방법 및 검출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4802B2 (ja) ループ媒介性等温増幅(lamp)の配列特異的実時間モニタリング
JP2012080871A (ja) Rnaの直接検出法
KR101712451B1 (ko) 디지털 pcr을 이용한 식중독균의 검출 방법
EP2933341B1 (en) Methods for detecting pathogen in coldwater fish
EP1358346A2 (en) Real time quantitative pcr with intercalating dye for single and multiplex target dna
JP2011083286A (ja) 核酸の迅速な検出方法
KR20190041237A (ko) 뎅기 바이러스 검출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090100950A (ko) 실시간 pcr을 이용한 브루셀라 속 균주의 검출 방법
WO2012058303A2 (en) Rapid salmonella serotyping assay
KR102388060B1 (ko) 결핵균 및 베이징 계통 결핵균의 감별을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결핵균 검출 방법
KR20200059762A (ko) LT, ST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독소원성 대장균 (ET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KR20200059763A (ko) jkp, bfpA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병원성 대장균 (EP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KR20200059764A (ko) pCVD 타겟 유전자를 통해 장관흡착성 대장균 (EAEC)을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JP7391321B2 (ja) アクネ菌のdnaタイプの判別用オリゴヌクレオチドセット、キット及びアクネ菌のdnaタイプの判別方法
KR20190041314A (ko) 치쿤군야 바이러스 검출용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세트 및 이의 용도
KR20200059760A (ko) rfc 유전자를 통해 시겔라 플렉스네리를 신속 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KR20200059761A (ko) ssrA 타겟 유전자를 통해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를 신속 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JP6873903B2 (ja) 強毒型クロストリジウムディフィシル株の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
KR20200059766A (ko) ceuE 타겟 유전자를 통해 캠필로박터 콜리를 신속검출할 수 있는 Singleplex Real-Time PCR 키트의 개발
US20120009575A1 (en) Inducible nucleic acid targets for detection of pathogens, methods and compositions thereof
JP7414232B2 (ja) 皮膚常在菌の検出用オリゴヌクレオチドセット、キット及び皮膚常在菌の検出方法
KR102405994B1 (ko) 마이코플라스마 갈리셉티쿰의 야외주와 백신주를 동시에 구별하여 검출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KR102438017B1 (ko) Pna 프로브를 이용한 돼지 f18 섬모형 장독소 및 시가독소형 대장균증 진단방법 및 키트
WO2022215574A1 (ja) 対立遺伝子の検出方法及び対立遺伝子の検出キット
KR102027157B1 (ko) 장관병원성 대장균 (Ente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EPEC)과 장관조직 침입성 대장균 (Enteroinvasive Escherichia coli, EIEC) screening이 가능한 검출용 primer 및 PNA probe와 이를 이용한 대장균 Real-time multiplex PCR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