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861A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입상 배관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8861A
KR20200058861A KR1020180143485A KR20180143485A KR20200058861A KR 20200058861 A KR20200058861 A KR 20200058861A KR 1020180143485 A KR1020180143485 A KR 1020180143485A KR 20180143485 A KR20180143485 A KR 20180143485A KR 20200058861 A KR20200058861 A KR 2020005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shape
shape deformation
insertion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502B1 (ko
Inventor
문종현
Original Assignee
보광테크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광테크윈(주) filed Critical 보광테크윈(주)
Priority to KR102018014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5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5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8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8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receiving utility lines, e.g. cabl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는, 건물의 일 층을 이루는 슬라브에 형성되는 배치홀에 배치되는 배관을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상기 배관을 위치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슬라브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상 배관 고정 장치 {A PIP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의 일 층을 이루는 슬라브에 형성되는 배치홀에 배치되는 배관을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아파트 혹은 빌딩 등의 다층 건물에는 냉방 혹은 난방을 위한 냉온 배관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 냉온 배관은 하나의 층에서 다른 층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건물의 층을 구성하는 층간 슬라브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층간 슬라브에서는 하나의 층과 다른 층을 서로 관통시키는 배치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온 배관은 상기 배치홀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있다. 다만, 시공 상의 용이함과 냉온 배관의 다양한 직경에 의해 상기 냉온 배관과 상기 배치홀은 서로 유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냉온 배관을 상기 층간 슬라브를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다만, 기존의 입상 배관 장치와 상기 층간 슬라브 간의 결합력이 강력하기 때문에, 지진으로 인해 상기 층간 슬라브가 진동될 경우에 기존의 입상 배관 장치는 상기 층간 슬라브와 함께 진동되어 상기 냉온 배관을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진 발생시 입상 배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는, 건물의 일 층을 이루는 슬라브에 형성되는 배치홀에 배치되는 배관을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상기 배관을 위치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슬라브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슬라브에 위치 고정시키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치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형상변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부는, 상기 형상변형부가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슬라브의 하측 방향으로의 공간인 하측 공간과 상기 슬라브의 상측 방향으로의 공간인 상측 공간은 상기 배치홀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형상변형부가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슬라브의 하측 공간과 상기 슬라브의 상측 공간은 서로 격리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는, 소정의 온도 이하일 경우, 제1 형상이고, 소정의 온도 초과될 경우,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가 제2 상태일 경우, 위치 이동된 상기 슬라브가 상기 배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와 연결되며, 상기 형상변형부와 상기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부는, 일단부가 상기 형상변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가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보다 더 작도록, 상기 보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는, 제1 형상변형부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와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형상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홀과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고정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홀, 상기 제1 삽입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과 대향되게 상기 제1 삽입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치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형상변형부; 및 상기 배관에 외력이 작용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배관에 작용되는 외력이 완충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와 연결되며, 상기 형상변형부와 상기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 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부는, 일단부가 상기 형상변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가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보다 더 작도록, 상기 보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보완부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상 배관 고정 장치에 따르면, 지진 시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 진동 에너지를 감쇄 시켜 건물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편리하게 층간 슬라브 및 입상 배관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구비하는 제1 본체부 및 제1 형상변형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구비하는 제2 본체부 및 제2 형상변형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슬라브의 배치홀에 배치되어 배관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슬라브의 배치홀에 배치되어 배관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구비하는 제1 본체부 및 제1 형상변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가 구비하는 제2 본체부 및 제2 형상변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는 건물의 일 층을 이루는 슬라브(10, 도 5 참조)에 형성되는 배치홀(h10, 도 5 참조)에 배치되는 배관을 상기 슬라브(10)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10)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브(10) 기준으로 상기 배관을 위치 고정시키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슬라브(10)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는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슬라브(10)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치홀(h10)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와 연결되는 형상변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는 상기 고정부(200)가 제2 상태일 경우, 위치 이동된 상기 슬라브(10)가 상기 배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형상변형부(300)와 상기 슬라브(10) 사이에 배치되는 보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과 접촉되어, 상기 본체부(100)와 상기 배관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은 유체(액체 혹은 기체)가 유동될 수 있는 모든 관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체부(100)는 제1 본체부(110) 및 제2 본체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본체부(110)는 상기 슬라브(10)와 연결되는 제1-1 본체부(111) 및 상기 제1-1 본체부(111)와 연결되며 상기 배관의 일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되는 제1-2 본체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본체부(111)는 얇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1 본체부(111)는 상기 고정부(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홀(h110),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홀(h120) 및 상기 제1 삽입홀(h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h120)과 대향되게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홀(h130)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삽입홀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1 본체부(111)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홀(h110), 상기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소정의 각도를 가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홀(h120) 및 상기 제1 삽입홀(h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h120)과 대향되게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h110)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제1-1 본체부(111)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홀(h13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삽입홀(h120)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홀(h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삽입홀(h130)은 상기 본체부(100)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삽입홀(h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0)(구체적으로, 상기 제1-1 본체부(111) 및 상기 제2-1 본체부(121))는 상기 고정부(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21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머리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변형부(300)가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변형부(300)가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210)가 상기 삽입홀과 상기 슬라브(10)에 형성된 고정홀(h2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홀은 상기 고정홀(h20)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삽입홀(h110) 내지 상기 제3 삽입홀(h130)로 인하여,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슬라브(10)의 고정홀(h2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슬라브(10)에 고정되려고 하는 경우, 상기 삽입홀과 상기 슬라브(1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정부(200)가 삽입되는 홀이 일치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된 상기 보완부(400)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배관을 기준으로 회전이 용이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삽입홀(h110) 내지 상기 제3 삽입홀(h130)로 인하여, 상기 본체부(100)를 회전시키지 않고,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슬라브(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2 본체부(112)는 상기 제1-1 본체부(111)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2 본체부(112)는 상기 제1-1 본체부(111)의 상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2 본체부(112)의 내면에는 상기 패킹부(5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20)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1-2 본체부(112)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체결홀(h1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본체부(120)는 상기 슬라브(10)와 연결되는 제2-1 본체부(121) 및 상기 제2-1 본체부(121)와 연결되며 상기 배관의 일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되는 제2-2 본체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1 본체부(121)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1-1 본체부(111)의 기술적 특징을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제2-1 본체부(121)도 상기 고정부(20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1 본체부(121)와 상기 제1-1 본체부(111)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관이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20)가 서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2-2 본체부(122)에는 체결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제2 체결홀(h1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2 본체부(122)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제1-2 본체부(112)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2-2 본체부(122)와 상기 제1-2 본체부(112)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관이 배치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체결홀(h122)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연장나사부(12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볼트로만 상기 제1-2 본체부(112)와 상기 제2-2 본체부(122)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20)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상기 배관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제1 본체부(110)는 상기 배관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상기 배관의 외면의 나머지 일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20)는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배관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본체부(120)와 상기 제1 본체부(110)는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200)는 상기 삽입홀 및 상기 슬라브(10)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1-1 본체부(111) 및 상기 제2-1 본체부(121)를 상기 슬라브(1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본체부(100)를 상기 슬라브(10)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슬라브(10)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10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에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고정부(200)에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파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슬라브(10)로부터 고정되지 않고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고정부(200)를 제작할 때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상기 미리 정해진 기준은 상기 고정부(200)의 재질 또는 구체적인 설계로 인해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는 두절 볼트(Head off Bol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고정부(20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상기 형상변형부(300)는, 상기 형상변형부(300)가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슬라브(10)의 하측 방향으로의 공간인 하측 공간(S100, 도 5 참조)과 상기 슬라브(10)의 상측 방향으로의 공간인 상측 공간(S200, 도 5 참조)은 상기 배치홀(h10)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S10, 도 5 참조)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형상변형부(300)가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슬라브(10)의 하측 공간(S100)과 상기 슬라브(10)의 상측 공간(S200)은 서로 격리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300)는, 소정의 온도 이하일 경우, 제1 형상이고, 소정의 온도 초과될 경우,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300)는 소정의 온도 이상일 경우 형상이 변형되는 변형부(312, 322) 및 상기 변형부를 상기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는 변형고정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형상변형부(300)는 제1 형상변형부(311, 312)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와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제1 형상변형부(321, 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는 상기 제1-1 본체부(111)에 연결되는 제1 변형고정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상변형부(321, 322)는 상기 제2-1 본체부(121)에 연결되는 제2 변형고정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는 상기 제1-1 본체부(11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1 본체부(111)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는 상기 제2-1 본체부(121)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1 본체부(121)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에 연결되는 제1 변형부(3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형상변형부(321, 322)는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에 연결되는 제2 변형부(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가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하측 공간(S100)과 상기 상측 공간(S200)은 상기 배치 공간(S10)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가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하측 공간(S100)과 상기 상측 공간(S200)은 서로 격리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는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될 경우, 부피가 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슬라브(10)에 고정되고, 상기 배관이 상기 본체부(100)가 제공하는 소정의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는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온에서는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는 상기 제1 형상일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배치 공간(S10)에 의해 상기 하측 공간(S100)과 상기 상측 공간(S200)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될 경우, 소정의 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는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어 상기 배치 공간(S10) 상에서 확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측 공간(S100)과 상기 상측 공간(S20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상측 공간(S200)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하측 공간(S100)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측 공간(S100)에서 발생된 연기가 상기 상측 공간(S200)으로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배관에 외력이 작용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배관에 작용되는 외력이 완충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형상변형부(300)와 상기 슬라브(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완부(400)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 및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완부(400)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완부(40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 및/또는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변형부(312) 및/또는 상기 제2 변형부(322)와 대향적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고정부(200)가 제2 상태일 경우, 지진에 의해 상기 슬라브(10)가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슬라브(10)의 지진 에너지를 감쇄시킬 수 있다.
패킹부(500)는 상기 제1-2 본체부(112) 및 상기 제2-2 본체부(122)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500)는 상기 제1-2 본체부(112) 및/또는 상기 제2-2 본체부(122)와 상기 배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 본체부(112) 및/또는 상기 제2-2 본체부(122)와 상기 배관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슬라브의 배치홀에 배치되어 배관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관(F10)은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본체부(112)와 상기 제2-2 본체부(122)는 상기 배관(F10)을 포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본체부(112)의 내면 및 상기 제2-2 본체부(122)의 내면과 상기 배관 사이에는 상기 패킹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1 본체부(111)와 상기 제2-1 본체부(121)는 상기 고정부(200)에 의해 상기 슬라브(1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배관(F10)은 상기 배치 공간(S10) 상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 및 상기 제2 변형고정부(321)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311)와 상기 배치 공간(S10)을 제공하는 상기 슬라브(1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고정부(200)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브(10)의 진동에너지를 감쇄시킬 수 있어, 건물 내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슬라브(10)에 의해 상기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가 슬라브의 배치홀에 배치되어 배관을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0)는 상기 형상변형부(300, 도 1 참조)가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100)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S10)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보완부(400)의 일단부는 상기 형상변형부에 연결되고, 상기 보완부의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부(1600)에 연결되도록, 상기 보완부(400)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얇은 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형상변형부)를 포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1600)의 내면이 제공하는 공간에 상기 형상변형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에 연결된 상기 보완부(400)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1610)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321, 322)에 연결된 상기 보완부(400)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부(16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10)는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를 포위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1620)는 상기 제1 형상변형부(321, 322)를 포위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상기 형상변형부(300)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상기 가이드부(1600)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가 상기 형상변형부(300)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보다 더 작도록, 상기 보완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6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1620)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 (일례로, 원형)는 상기 제1 변형부(312)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일례로, 원형)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변형부의 일단부 (상기 변형부의 타단부는 상기 제1-1 본체부(111) 및 상기 제2-1 본체부(121)와 연결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 있음)가 형성하는 형상이 상기 배치 공간(S10)의 단면보다 클 경우에, 상기 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S10)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지 않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상기 본체부(100)의 상측 방향에서 상기 본체부(100)의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보완부(40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가이드부(16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1620)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 (일례로, 원형)는 상기 제1 가이드부(16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1620)의 타단부가 이루는 둘레 (일례로, 원형)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변형부의 일단부가 형성하는 형상인 상기 변형부의 타단부가 형성하는 형상보다 더 큰 경우(보관 과정에서의 변형), 상기 가이드부(1600)로 인해, 상기 변형부는 상기 배치 공간(S1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600)는 상기 배치 공간(S10)을 제공하는 상기 슬라브(10) 내면과 면 접촉되어, 상기 슬라브(10)가 진동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1600)와 상기 슬라브(10)의 내면은 서로 마찰되어, 상기 슬라브(10)에 발생되는 지진에너지를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배치 공간(S10)을 제공하는 상기 슬라브(10) 내면과 면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형상변형부(300)가 상기 배치 공간(S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00)는 용이하게 회전되어, 상기 고정홀(h20)과 상기 삽입홀이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부(100)는 용이하게 위치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가이드부(1600)가 없는 경우,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배치 공간(S10)을 제공하는 상기 슬라브(10) 내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본체부(100)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보완부(400)는 벤딩되어 상기 보완부(400)의 타단부는 상기 슬라브(10)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600)는 상기 본체부(100)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00)가 포함하는 가이드부(1600)는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형상변형부(321, 322)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제1 가이드부(1610)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311, 312)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1 형상변형부(321, 322)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제2 가이드부(162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입상 배관 고정 장치(D1000)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610)는 상기 제1 변형부(312)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620)는 상기 제1 변형부(312)의 측 방향의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이로 인해서, 상기 제1 변형부(312) 및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측 방향 단부가 상기 배치 공간(S10)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제1 변형고정부는 상기 제1 변형부(312)의 측 방향 일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변형고정부(311-1) 및 상기 제1 변형부(312)의 측 방향 타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변형고정부(311-2, 도 3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변형고정부는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측 방향 일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 변형고정부(321-1) 및 상기 제2 변형부(322)의 측 방향 타단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변형고정부(321-2, 도 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10)는 상기 제1-1 변형고정부(311-1) 및 상기 제2-1 변형고정부(321-1)에 연결되는 보완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1620)는 상기 제1-2 변형고정부(311-2) 및 상기 제2-2 변형고정부(321-2)에 연결되는 보완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고정부 및 상기 제2 변형고정부는 자력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보완부(40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 및/또는 상기 제2 변형고정부에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고정부 및/또는 상기 제2 변형고정부의 외면은 상기 보완부(400)가 연결되는 부분에 소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 및/또는 상기 제2 변형정부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부(110) 및 상기 제2 본체부(120) 사이에 상기 배관을 배치한 상태에서, 체결수단으로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2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완부(400)는 상기 제1 변형고정부 및 상기 제2 변형고정부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완부(400)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1600)가 결합되어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1610. 1620), 상기 형상변형부(300)는 상기 배치 공간(S10)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1610. 1620)로 인해, 상기 형상변형부(300)는 상기 배치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를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하여, 상기 본체부(110, 120)를 상기 슬라브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D10 : 입상 배관 고정 장치 100 : 본체부
200 : 고정부 300 : 형상변형부

Claims (13)

  1. 건물의 일 층을 이루는 슬라브에 형성되는 배치홀에 배치되는 배관을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위치 고정시키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브 기준으로 상기 배관을 위치 고정시키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슬라브에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상기 슬라브에 위치 고정시키며,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슬라브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상태 변화 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치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형상변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형상 변형부는,
    상기 형상변형부가 제1 형상일 경우, 상기 슬라브의 하측 방향으로의 공간인 하측 공간과 상기 슬라브의 상측 방향으로의 공간인 상측 공간은 상기 배치홀이 제공하는 공간인 배치 공간에 의해 서로 연통되고,
    상기 형상변형부가 제2 형상일 경우, 상기 슬라브의 하측 공간과 상기 슬라브의 상측 공간은 서로 격리되도록, 형상 변형될 수 있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는,
    소정의 온도 이하일 경우, 제1 형상이고,
    소정의 온도 초과될 경우, 상기 제1 형상에서 상기 제2 형상으로 형상 변형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제2 상태일 경우, 위치 이동된 상기 슬라브가 상기 배관에 외력이 인가되어 상기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와 연결되며, 상기 형상변형부와 상기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부는,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진,
    입상 배관 고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부는,
    일단부가 상기 형상변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가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보다 더 작도록, 상기 보완부에 연결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는,
    제1 형상변형부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와 이격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형상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 형상변형부의 측 방향 타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홀은,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홀과 상기 슬라브에 형성된 고정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홀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입상 배관 고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1 삽입홀, 상기 제1 삽입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2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삽입홀과 대향되게 상기 제1 삽입홀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삽입홀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는 제3 삽입홀을 구비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슬라브 및 상기 배관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치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형상변형부; 및
    상기 배관에 외력이 작용이 작용되는 경우 상기 배관에 작용되는 외력이 완충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와 연결되며, 상기 형상변형부와 상기 슬라브 사이에 배치되는 보완부;를 더 포함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가 위치 이동되어, 상기 형상 변형부가 상기 배치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형상변형부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부는,
    일단부가 상기 형상변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가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단부가 이루는 둘레보다 더 작도록, 상기 보완부에 연결되는,
    입상 배관 고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보완부의 타단부에 연결된,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20180143485A 2018-11-20 2018-11-20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214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85A KR102145502B1 (ko) 2018-11-20 2018-11-20 입상 배관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85A KR102145502B1 (ko) 2018-11-20 2018-11-20 입상 배관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8861A true KR20200058861A (ko) 2020-05-28
KR102145502B1 KR102145502B1 (ko) 2020-10-14

Family

ID=7092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85A KR102145502B1 (ko) 2018-11-20 2018-11-20 입상 배관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03A (ko) 2021-07-09 2023-01-17 보광테크윈(주) 내진형 입상 배관 고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017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동원산업 입상배관용 편심형 고정클램프
KR20120022520A (ko) * 2011-01-26 2012-03-12 희민 박 지진 격리 장치
KR20160003644U (ko) * 2015-04-13 2016-10-21 문학조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KR20180000556U (ko) * 2016-08-17 2018-02-27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4017A (ko) * 2010-05-10 2011-11-16 주식회사 동원산업 입상배관용 편심형 고정클램프
KR20120022520A (ko) * 2011-01-26 2012-03-12 희민 박 지진 격리 장치
KR20160003644U (ko) * 2015-04-13 2016-10-21 문학조 입상관 층막음용 고정 클램프
KR20180000556U (ko) * 2016-08-17 2018-02-27 김제봉 방화 및 내화재가 구비된 배관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502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5374U (ja) 配管固定装置
US9175468B1 (en) Shock suppressor
KR20200058861A (ko) 입상 배관 고정 장치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728639B1 (ko) 탄성고무를 이용한 제진댐퍼
KR101381283B1 (ko) 상시 진동 고정형 점성댐퍼
JP4148800B2 (ja) 防振具
KR102333183B1 (ko) 난방파이프 타설용 경계구에 조립되는 철선 삽입형 결속고정구
JP5320031B2 (ja) 制振建物
KR20180008092A (ko) 진동 흡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바닥 구조
JPH0658369A (ja) ケーブル制振装置
KR101771141B1 (ko) 바닥 구조
KR20230009603A (ko) 내진형 입상 배관 고정 장치
TWM485921U (zh) 隔震器
KR101835037B1 (ko) 내진용 입상관 버팀대
JP2011149215A (ja) 3次元免震装置
JP2000257754A (ja) 配管構造
TW201544730A (zh) 隔震器
KR102582081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KR102534635B1 (ko) 온열판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16412B1 (ko) 댐핑이 추가된 면진시스템
KR20000074794A (ko) 온수관배관용 조립식 블록
KR102587651B1 (ko) 층간소음방지구조
KR101482431B1 (ko) 바닥충격음 소산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바닥충격음 소산 바닥구조
TW201445032A (zh) 高效能套管摩擦阻尼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