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454A - 복강 촬영 수단 - Google Patents

복강 촬영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454A
KR20200054454A KR1020180137747A KR20180137747A KR20200054454A KR 20200054454 A KR20200054454 A KR 20200054454A KR 1020180137747 A KR1020180137747 A KR 1020180137747A KR 20180137747 A KR20180137747 A KR 20180137747A KR 20200054454 A KR20200054454 A KR 20200054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bdominal cavity
photographing
capsule
abdo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102018013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4454A/ko
Publication of KR20200054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복강 촬영 수단에 따르면, 갈비뼈를 따라 부착되며, 투명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투시관; 상기 투시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시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캡슐형 내시경;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복강을 조명하는 조명수단,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생체 외로 송신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복강수술을 진행한 후, 복강의 내부를 계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경우, 복강수술과 함께 가슴연골에 투시관을 설치하고, 투시관의 내부에 캡슐형 내시경을 구비함으로써, 복강의 내부 중 한 곳을 집중적으로 실시간 관찰하거나 복강의 내부 전체를 관찰하여 복강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복강 촬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강 촬영 수단{Abdominal photography}
본 발명은 복강 촬영 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슐내시경(capsule endoscope;wireless endoscope)은 2000년 이후 새롭게 개발된 내시경으로, 환자가 알약처럼 삼키면 작은 창자 속으로 들어가 의사들이 비디오 화면이나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내장의 장기나 체강(體腔)의 내부를 직접 살필 수 있게 만든 캡슐 형태의 초소형 내시경을 말한다.
일반 내시경은 검사에 따르는 고통과 불쾌감 등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내시경검사를 회피하고, 대신 약물치료를 받으려는 경우가 있는데, 캡슐내시경은 이러한단점을 보완하고, 특히 위장관 가운데 가장 긴 소장 등의 질환 진단에 이용할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초창기에 개발된 캡슐내시경은 복용 후 6~8시간 동안 영상을 찍고 인체 밖으로배출된 뒤, 컴퓨터에서 영상 개선작업을 거쳐 보아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2003년 한국의 과학기술부 21세기 프론티어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단이공개한 초소형 캡슐내시경인 '미로(MIRO)'는 두께 10㎜, 길이 25㎜의 특수재질로 만들어진 비타민 크기만한 내시경으로, 구강에서 직장까지 이동하며 소장의영상을 촬영한다.
그러나, 캡슐형 내시경은 위, 창자의 내부만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위, 창자 등의 외부에서는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장기의 외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CT촬영이나 MRI촬영을 해야 확인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촬영은 고가의 장비를 이용함에 따라 환자의 부담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꺼려하는 점이 있었다.
게다가, 복강 수술 후에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경우에도, X-ray, CT, MRI 등을 수시로 촬영할 수 없었으며, 주기적인 촬영을 통해서 일시적인 부분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장기 외부를 촬영할 수 있는 수단 즉, 복강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28112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복강수술을 진행 후 또는 복강의 내부를 계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경우, 복강수술과 함께 가슴연골에 투시관을 설치하고, 투시관의 내부에 캡슐형 내시경을 구비함으로써, 복강의 내부 중 한 곳을 집중적으로 실시간 관찰하거나 복강의 내부 전체를 관찰하여 복강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복강 촬영 수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형 내시경이 복강을 촬영할 때, 제1자기수단과 제2자기수단이 레일구조로 결합되어 기 설정된 위치를 동일하게 촬영함에 따라, 복강의 내부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에 의한 변화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복강 촬영 수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강 촬영 수단에 따르면, 갈비뼈를 따라 부착되며, 투명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투시관; 상기 투시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시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캡슐형 내시경;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복강을 조명하는 조명수단,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생체 외로 송신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시관은, 좌측의 갈비뼈의 7 내지 10번이 연결되는 좌측 가슴연골에 부착되는 좌측관과, 우측의 갈비뼈의 7 내지 10번이 연결되는 우측 가슴연골에 부착되는 우측관 및 상기 좌측관과 우측관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관과 우측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상기연통관을 중심으로 좌측관과 우측관을 왕복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통관은, 좌측관과 우측관을 연결할 때,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형 내시경이 통과될 때, 연결부분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수단은, 제1촬영부와 상기 제1촬영부로부터 120~150°로 벌어지게 구비된 제2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는, 복강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구비되어 서로 다른 복강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복강수술을 진행한 후, 복강의 내부를 계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경우, 복강수술과 함께 가슴연골에 투시관을 설치하고, 투시관의 내부에 캡슐형 내시경을 구비함으로써, 복강의 내부 중 한 곳을 집중적으로 실시간 관찰하거나 복강의 내부 전체를 관찰하여 복강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복강 촬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캡슐형 내시경이 복강을 촬영할 때, 제1자기수단과 제2자기수단이 레일구조로 결합되어 기 설정된 위치를 동일하게 촬영함에 따라, 복강의 내부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에 의한 변화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복강 촬영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갈비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을 갈비뼈의 연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복강 촬영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갈비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을 갈비뼈의 연골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은, 투시관(10), 캡슐형 내시경(20)을 포함한다.
먼저, 투시관(10)은 갈비뼈를 따라 부착된다.
그리고, 투시관(10)은 후술할 캡슐형 내시경(20)이 내부에 구비되며, 캡슐형 내시경(20)으로 신체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투명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투시관(10)은, 갈비뼈를 따라 부착될 때, 가슴연골의 하단을 따라 부착될 수 있다.
즉, 투시관(10)은 좌측관(11), 우측관(12) 및 연통관(13)을 포함한다.
좌측관(11)은, 환자의 좌측의 갈비뼈의 7 내지 10번이 연결되는 좌측 가슴연골에 부착된다.
우측관(12)은, 환자의 우측의 갈비뼈의 7 내지 10번이 연결되는 우측 가슴연골에 부착된다.
그리고 연통관(13)은, 좌측관(11)과 우측관(12)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좌측관(11)과 우측관(12)의 내부를 연통시킨다.
이때, 연통관(13)은, 좌측관(11)과 우측관(12)을 연결할 때, 만곡지게 형성되어 캡슐형 내시경(20)이 통과될 때, 연결부분에서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좌측관(11)과 우측관(12)인 좌측 가슴연골과 우측 가슴연골에 연결될 때, 신체에 무해한 접착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골이 삽입될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끼움부재를 끼움홈에 가슴연골을 끼워 넣은 다음, 끼움부재의 좌측관(11)과 우측관(1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슴연골을 감싸며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를 가슴연골을 감싸며 부착시키되, 다수개를 이격시켜 부착시킨다.
그리고, 고정부재에 좌측관(11)과 우측관(12)을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끼움부재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투시관(10)은 추후 가슴연골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투시관(10)은, 후술할 캡슐형 내시경(20)의 이동이 유연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식염수 등의 인체에 무해한 무해액이 충진되어 있다.
또한, 투시관(10)은 좌측관(11)과 우측관(12)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관 끝단부에 연장되되, 7 내지 9번 갈비뼈를 따라 피검사자의 옆구리와 등부분까지 캡슐형 내시경(2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연장된 연장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검사자의 복강을 전체적으로 관찰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복강 촬영 수단은 국소 부위만을 관찰할 경우, 캡슐형 내시경(20)이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투시관(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이동 제한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제한막이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이동 제한막 사이에 캡슐형 내시경이 구비될 수 있으며, 투시관(10)의 일단과 이동 제한막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캡슐형 내시경(20)은, 투시관(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투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즉, 캡슐형 내시경(20)은, 연통관(13)을 중심으로 좌측관(11)과 우측관(12)을 왕복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캡슐형 내시경(20)은, 조명수단, 촬영수단, 송수신수단을 포함한다.
먼저, 조명수단은 복강을 조명한다. 이때, 조명수단은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는 광효율이 좋으므로, 내시경과 같이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품에 적합하다. 그리고 LED는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발산된 빛을 피사체에 더 많이 보낼 수 있으며, 저전압으로도 많은 빛을 낼 수 있다.
촬영수단은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영역을 촬영한다.
또한, 촬영수단은 촬영한 영상 정보, 음향 정보와 인체 내 매질의 분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수단은, 제1촬영부(21)와 제1촬영부(21)로부터 120~150°로 벌어지게 구비된 제2촬영부(22)를 포함한다.
이때, 제1촬영부(21)와 제2촬영부(22)는, 복강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구비되어 서로 다른 복강을 촬영한다.
또한, 제1촬영부(21)와 제2촬영부(22)는 투시관(10)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가슴연골을 중심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을 촬영할 수 있다.
송수신수단은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생체 외로 송신한다.
한편, 송수신수단은 영상정보, 음향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피검사자의 인체에 부착된 수신 전극으로 송신한다.
이때, 피검사자의 인체에 부착된 수신 전극은 전기적 신호를 감지한 후, 수신기로 무선 송신한다.
또한, 송수신수단은 다수의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무선 주파수 또는 인체 통신(human body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하여 수신 전극에 전달할 수 있다.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법은 인체에 무해한 주파수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급전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투시관(10)의 내부에는 투시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자기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20)의 촬영수단의 반대측에 제1자기수단에 부착되는 제2자기수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자기수단과 제2자기수단은 레일구조로 결합되어, 캡슐형 내시경(20)이 투시관(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제1촬영부(21)와 제2촬영부(22)는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하여 촬영하기 때문에, 누적된 촬영영상과 비교하여 복강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인체의 외부에서 자성수단을 가슴연골에 대응되는 인체에 위치시키고, 촬영을 요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캡슐형 내시경(20)은 이동되는 자성수단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자성수단을 좌우로 이동시키면, 복강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자성수단을 이용하여 인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켜 놓으면, 캡슐형 내시경(20)은 복강에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계속적으로 복강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강의 내부 변화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캡슐형 내시경(20)은,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전원부는, 자가발전장치와 축전기를 포함한다.
또한, 자가발전장치는 다시 전력 재생 회로와 승압 회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력 재생 회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급전용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한 급전용 신호로부터 전력을 재생시킨다.
그런 다음, 승압 회로에 의해 재생된 전력을 승압하여 이를 축전기에 축적한다.
축전기는 승압회로로부터 승압된 전력을 축적하는 전원충전 기능뿐만 아니라 조명수단, 촬영수단, 송수신수단의 동작을 위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캡슐형 내시경(20)은, 축전기에 권선된 급전용 코일을 더 포함한다. 이때, 급전용 코일에 자계를 생성하도록 급전용 코일 주위에서 자석이 회전되도록 피검사자의 신체에 벨트형 자석 회전 장치 또는 재킷형 자석 회전 장치를 착용한다. 이에 따라, 자석 회전 장치에 의해 자석이 회전됨에 따라 급전용 코일에 자계가 생성되고, 급전용 코인은 생성된 자계를 기초로 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켜 전력을 각 구성에 공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강 촬영 수단은, 복강수술을 진행한 후, 복강의 내부를 계속적으로 관찰이 필요한 경우, 복강수술과 함께 가슴연골에 투시관(10)을 설치하고, 투시관(10)의 내부에 캡슐형 내시경(20)을 구비함으로써, 복강의 내부 중 한 곳을 집중적으로 실시간 관찰하거나 복강의 내부 전체를 관찰하여 복강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투시관
11 : 좌측관
12 : 우측관
13 : 연통관
20 : 캡슐형 내시경
21 : 제1촬영부
22 : 제2촬영부

Claims (4)

  1. 갈비뼈를 따라 부착되며, 투명으로 이루어진 관형상의 투시관;
    상기 투시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투시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캡슐형 내시경;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복강을 조명하는 조명수단, 상기 조명수단에 의해 조명된 영역을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를 생체 외로 송신하는 송수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복강 촬영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관은, 좌측의 갈비뼈의 7 내지 10번이 연결되는 좌측 가슴연골에 부착되는 좌측관과, 우측의 갈비뼈의 7 내지 10번이 연결되는 우측 가슴연골에 부착되는 우측관 및 상기 좌측관과 우측관의 상단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좌측관과 우측관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관을 포함하고,
    상기 캡슐형 내시경은, 상기연통관을 중심으로 좌측관과 우측관을 왕복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촬영 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좌측관과 우측관을 연결할 때,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캡슐형 내시경이 통과될 때, 연결부분에서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촬영 수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제1촬영부와 상기 제1촬영부로부터 120~150°로 벌어지게 구비된 제2촬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촬영부와 제2촬영부는, 복강을 향하도록 구비되되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구비되어 서로 다른 복강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 촬영 수단.

KR1020180137747A 2018-11-11 2018-11-11 복강 촬영 수단 KR20200054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747A KR20200054454A (ko) 2018-11-11 2018-11-11 복강 촬영 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747A KR20200054454A (ko) 2018-11-11 2018-11-11 복강 촬영 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454A true KR20200054454A (ko) 2020-05-20

Family

ID=7091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747A KR20200054454A (ko) 2018-11-11 2018-11-11 복강 촬영 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44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12B1 (ko) 2007-10-30 2009-11-2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형 내시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112B1 (ko) 2007-10-30 2009-11-24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형 내시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43583A1 (en) Endoscopy apparatus
Swain Wireless capsule endoscopy
JP4578740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Fritscher-Ravens et al. The wireless capsule: new light in the darkness
US20090076325A1 (en)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system, and in-vivo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JP2004321796A (ja) カプセル形内視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支援3次元画像形成方法、無線内視鏡装置および医療技術装置
JP2004202252A (ja) 内視鏡装置
JP2014509905A (ja) 腹腔鏡システム
GB2437339A (en) Controllable microcapsule type robot endoscope
US20170079517A1 (en) Instrument for early diagnosis of larynx cancer
CN107106132A (zh) 用于通过使用用于超声成像的摄像机进行适当经食道超声心动描记术探针定位的设备、系统和方法
CN109330634A (zh) 一种消化道内取样装置
Kim et al. Prototype modular capsule robots for capsule endoscopies
CN102085084B (zh) 基于无线供能体外磁控制取样胶囊系统
KR20200054454A (ko) 복강 촬영 수단
CN105769111A (zh) 一种广角双摄像头胶囊内镜
CN202489922U (zh) 具有光学相干层析成像功能的胶囊小肠镜系统
Dogramadzi et al. Computer controlled colonoscopy
Osagie et al. Structural dynamics and evolution of capsule endoscopy (pill camera) technology in gastroenterologist assertion
CN110974126B (zh) 一种胶囊内镜系统
JP6261953B2 (ja) 内視鏡装置
CN113854938A (zh) 一次性磁控有线传输胶囊内窥镜系统
CN202437057U (zh) 具有双向光学相干层析成像功能的胶囊小肠镜系统
KR20220021240A (ko) 소화기 진단용 유·무선 복합 내시경
KR100921656B1 (ko)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