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656B1 -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656B1
KR100921656B1 KR1020090036328A KR20090036328A KR100921656B1 KR 100921656 B1 KR100921656 B1 KR 100921656B1 KR 1020090036328 A KR1020090036328 A KR 1020090036328A KR 20090036328 A KR20090036328 A KR 20090036328A KR 100921656 B1 KR100921656 B1 KR 100921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onnector
sensor
subject
receiv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배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090036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5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for aler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3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designed for sing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징후를 검사하도록 상기 피검체에 고정되어 상기 피검체와 함께 이동되는 검사 장치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피검체에 착용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상기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내설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검사자의 콧구멍이나 입을 통해 식도나 위장 등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체내의 위치에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위치한 센서를 체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된 센서에 위산 등의 분비물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출혈이 발생되는 것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표시되는 수신 정보로부터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에 이상 징후가 발생된 것을 검사할 수도 있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검사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의사 등이 밀착하여 검사를 계속하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에게 이상 징후가 차후로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얻어진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관련 치료를 즉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간 검사, 가요성 연결체, 센서, 센서 모듈, 조작구동 와이어, 공급관, 채집관, 휨 유도부

Description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WATCHING SYSTEM OF INSPECTING INTERIOR OF HUMAN BODIES AND PORTABLE MEDICAL DEVICE USED THEREIN}
본 발명은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출혈이 발생되는지 여부나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었는지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검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2차 감염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어느 장소에서도 검사할 수 있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상이나 질병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시료에 의하여 검사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방법은 인체에서 발생된 이상 증상을 신속하게 발견하지 못하고 혈액에 반영되는 증상을 간접적으로 뒤늦게 확인하는 것이어서, 검사할 수 있는 질환의 종류가 크게 제한될 뿐만 아니라 질병의 발현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를 위한 검사 방법으로는 부적합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X선이나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를 통과하거나 인체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여 화상 처리에 의하여 인체의 질환이나 이상 증상을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X-선, CT, MRI 검사 방법이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검사 방법은 화상 처리된 화면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질환이나 증상을 검사하므로 검사의 정확도를 높힐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피사체와의 거리나 신호 처리의 오류에 의하여 명확한 영상을 확보하는 데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되며, 무엇보다도 별도의 검사실을 운영할 정도로 검사 장비가 고가이고 대형이어서, 특정 환자가 이들 검사 설비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면서 검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CT, MRI 등에 의한 검사 방법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의사가 직접 검사해야만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검사 설비를 점유하는 문제 이외에도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가 특정 환자만을 밀착하여 치료해야 하는 또 다른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CT, MRI 검사 방법은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비교적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질병의 발현에 따른 즉각적인 치료를 위한 검사 방법으로는 부적합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별도의 화상 처리를 하지 않으면서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의 화상을 직접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검사하는 내시경 장치가 있다. 내시경 장치는 인체의 구강이나 항문을 통해 삽입되어 식도, 위, 대장 등을 정밀하게 촬영하여 염증이나 질병의 발현을 정밀하게 검사하여 진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내시경 장치는 CT, MRI 등의 검사 장비보다는 작지만 별도의 내시경실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 병원에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특정 환자가 이들 검사 설비를 독점적으로 점유하면서 검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내시경 장치에 의한 검사 방법은 의사에 의해서만 인체 내부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으므로, 진료를 담당하는 의사가 특정 환자만을 밀착하여 치료하지 않는다면 인체 내부에서 발병하는 질환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내시경 장치는 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관을 환자마다 재사용함에 따라 비위생적이어서, 관에 묻어있는 병균에 의하여 2차 감염의 가능성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장치는 관 등을 살균 소독하는 과정을 거칠 수 밖에 없는 데, 이로 인하여, 고가의 내시경 장치로도 연속적인 검사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내시경 장치에 의해서도 질병의 발현에 따라 즉각적인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검사 방법으로는 부적합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출혈이 발생되는지 여부나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었는지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하여, 실시간으로 얻어진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곧바로 관련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인체 내부를 실시간으로 검사함에 있어서 의사와 같은 전문가가 환자에 1:1로 밀착 진료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징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검사 장치가 피검사자의 신체에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휴대용으로 제작함으로써, 검사 과정에서도 피검사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사자가 상기 검사 장치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검사자가 소정의 장비가 마련된 검사실에 가지 않더라도, 응급실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피검사자에게 착용하도록 한 상태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체내 검사를 위하여 한번 인체의 내부에 삽입하였던 것을 재사용하지 않도록 저렴하게 1회용으로 모듈화함으로써, 위생적인 체내 검사를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비에 구애받지 않고 연속적으로 그리고 동시에 다수의 환자들에 대하여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인체 내에 검사 장치를 삽입함에 있어서 검사자가 시각적으로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검사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검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체내 물질을 흡입하여 채집할 수 있도록 하거나, 체내에 직접 약물이나 음식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징후를 검사하도록 상기 피검체에 고정되어 상기 피검체와 함께 이동되는 검사 장치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피검체에 착용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상기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내설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피검사자의 콧구멍이나 입을 통해 식도나 위장 등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체내의 위치에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위치한 센서를 체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된 센서에 위산 등의 분비물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출혈 등의 병증이 발생되는 것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표시되는 수신 정보로부터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에 이상 징후가 발생된 것을 검사할 수도 있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검사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의사 등이 밀착하여 검사 를 계속하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에게 이상 징후가 차후로 발생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피검체'라는 용어는 '피검사자의 인체'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을 통해 수신기에 전송된 센서 신호 정보를 통하여, 피검사자의 검사 위치에서의 이상 징후를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 즉석에서 검사될 수도 있고, 전문가에 의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출력되는 경고 신호를 통해 전문가가 밀착하여 간호하거나 검사하지 않더라도, 검사 위치에서 이상 징후가 발생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실시간'이라는 의미는 상기 센서에 의하여 상기 수신기에 연속적으로 센서 신호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엄밀한 의미에서의 실시간(on-time)'이라는 의미이지만,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것이 미리 정해진 주기(일반적으로 10초 내지 3분)마다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주기와 같거나 이보다 짧은 시간의 오차를 갖는 실시간'의 의미이다.
이와 같이,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에 위치시킨 센서에 의하여 실질적인 실시간으로 이상 징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응급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위 검사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교통 사고 등에 의하여 응급 환자가 응급실에 실려 온 경우에, 응급실에 대기중인 의사의 수는 제한적이므로 이 응급 환자만을 의사가 검사하고 진료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더욱이, 소화기관이나 호흡기관에 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별도의 검사실에 설치된 내시 경이나 CT, MRI 등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가요성 연결체를 피검체의 내부의 식도나 소장 등에 삽입한 후,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정상의 범위에 있는지를 즉석에서 검사할 수 있으며, 담당 의사가 다른 응급 환자를 진료하기 위하여 해당 응급 환자로부터 멀리 떨어져야 하는 상황에서도, 담당 의사가 의심이 가는 증상(예를 들어, 내부 출혈)이 예상되는 체내의 위치에 상기 센서를 고정시키고 동시에 해당 센서의 범위를 설정하여 둠으로써, 의사가 해당 응급 환자와 함께 하지 않더라도 경고 신호를 통해 해당 응급 환자에게 나타나는 이상 징후를 실질적인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응급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 즉시에 관련 응급 치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응급 치료가 아니더라도, 소화기관 등의 수술(예컨대, 상부위장관 등의 개복수술)을 한 후에 수술 봉합부에 출혈 등의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지 대체로 2~3일 동안 지속적으로 관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는 검사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자가 환자의 옆에 항상 있지 않더라도, 환자의 체내에서 발생되는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이상 징후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즉석에서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피검사자에게 착용되므로, 고가의 검사 장비를 점유하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의 이상 징후를 곧바로 감지할 수 있 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는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하여 동시에 이상 징후를 발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문가의 상세 검사는 상기 수신기에 수신된 센서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후속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검사 장치는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피검사자에 착용되므로, 피검사자와 별개로 검사 장비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피검사자만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간단히 검사 장비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피검사자가 수술을 받은 이후에 의식이 회복된 상태에는 피검사자가 수신기 등의 검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피검사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침상에서 다른 침상으로 이동하는 경우나 침상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피검사자에게 착용하고 있는 검사 장비를 별도로 함께 이동시키지 않고 피검사자만 이동시키더라도 간편하게 검사 장치와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신기는 배터리에 의하여 센서 신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상가 가요성 연결체의 내부에 다발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가요성 연결체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가요성 연결체는 부드러운 가요성(flexible)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피검체의 입안이나 콧구멍을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반사적으로 발생되는 통증, 이물감, 알르레기, 구토 등의 거부 증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는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에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이 피검체의 통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상기 수신기에 구비하거나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센서를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체내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디스플레이 유닛이 상기 수신기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소자로부터의 이미지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당연히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센서에 촬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전송된 촬영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색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출혈 등의 병증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고음이나 점멸등에 의해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이와 같은 다수의 검사장치로부터 경고 신호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수신하는 중앙 시스템을 구비하여, 중앙 시스템에 검사 장치로부터 경고 신호가 수신되면 즉시 의료 전문가가 호출되어 해당 환자를 진료하거나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환자들에게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가 장착된 상태로 있더라도,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 전문가가 1:1로 밀착 치료하지 않더라도, 환자의 체내에서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곧바로 의료 전문가를 호출하여 즉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상기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와; 상기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의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유무선 방식으로 전송 받는 중앙 시스템을; 구비하여, 상기 검사 장치를 착용한 피 검체에 장착된 상기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경고 신호가 중앙 시스템에 전송되어 상기 경고 신호가 출력된 피검체에 의료 전문가가 즉시 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을 또한 제공한다.
이 때, 촬영 소자에 의한 촬영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는 주변을 밝히는 발광체가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한편, 상기 센서는 주변의 pH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전송된 pH 신호가 미리 정해진 pH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비물이 이상 배출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찬가지로 경고음이니 점멸등에 의해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작에 높은 비용이 소요되는 수신기는 반복하여 재사용되지만, 비교적 저렴하고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 상기 센서 및 상기 케이블은 하나의 1회용 모듈로 구성됨에 따라,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었던 가요성 연결체 등이 다시 사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피검사자의 2차 감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었던 부분의 살균 소독에 소요되는 시간동안 사용이 제한되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동시에 다수의 피검사자에 대하여 검사할 수도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수신기는 연속적으로 센서로부터의 신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배터리 교환없이 보다 오랜 시간동안 피검사자에게 이상 징후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을 두고 상기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수신기가 상기 촬영 소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소자가 촬영하는 때에만 상기 발광체가 켜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는 상기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상기 수신기에 전송되는 센서 신호 정보를 후속적으로 상세 검토할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수신기의 경고에 따라 즉각적인 응급 치료를 행한 이후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증상을 후속적으로 다시 살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료의 완전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피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관찰하는 1회용 휴대 검사 장치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 소자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촬영 소자의 피사체를 밝히는 발광체와; 상기 피검체에 착용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촬영 소자로부터의 촬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상기 촬영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촬영 소자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내설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수신기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수신기로부터 촬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촬영 소자가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끝단이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면서 상기 가요성 연결체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의 가요성 연결체에는, 타단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되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조작구동 와이어가 구비되어,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의 일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굽어지도록 조작하여, 검사자가 상기 센서를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세밀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조작구동 와이어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휘는 변위(110d)가 발생되고, 이와 동시에 가요성 연결체를 회전(110r)시키는 것에 의하여,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을 자유자재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긴것을 풀게 되면, 가요성 연결체는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직선 형태로 천천히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구동 와이어는 서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2개 이상으로 설치되어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와 고정되는 구성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 부에 위치하는 케이블에 고정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보다 용이하게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원하는 특정 방 향으로만 굽어지는 휨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는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국부적으로 가요성 연결체의 두께를 작게 하거나 두께를 없애 관통된 휨 유도부가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휨 유도부는 가요성 연결체에 홈을 형성하거나 구멍을 천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며, 그 단면은 V형태 또는 U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에 노출된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기면, 다수의 휨 유도부가 형성된 측의 휨 강성이 휨 유도부가 형성되지 않은 측의 휨 강성보다 작으므로, 가요성 연결체의 끝단 타단부는 휨 유도부가 형성된 측으로만 굽어지며, 동시에 휨 유도부가 형성된 타단부에서만 휨 변위가 발생된다. 따라서, 피검체의 내부로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을 삽입하는 조작자는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가요성 연결체가 전체적으로 굽어지는 것이 아니라,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만이 국부적으로 굽어지는 휨 변위가 발생되므로,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가요성 연결체를 삽입하고자 하는 조작자는 구불구불한 장기의 경로를 따라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을 손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가 도달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는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부에 비하여 잘 휘는 휨강성이 낮은 재질로 연장됨으로써, 가요성 연결체가 전체적으로 굽어지지 않고 끝단만 굽어지도록 하는 것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는 상기 피검체의 내부로부터 물질을 흡입하거나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물질을 공급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출혈에 의해 고인 혈액이나 기타 노폐물 등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통로에 흡입기를 연결하여 체내로부터 혈액 등을 빼낼 수 있다. 또한, 피검사자의 체내의 특정 위치에 약물을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통로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상 징후가 발생된 위치의 치료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피검사자의 체내로부터 상기 통로를 이용하여 혈액 등을 빼내는 경우에, 치료를 담당한 사람이 빼내는 물질을 시각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피검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검사 장치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 형태의 가요성 연결체와; 상기 피검체를 검사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된 센서 모듈과; 타단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되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조작구동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작구동와이어의 일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인체의 내부에 센서가 부착된 가요성 연결체를 삽입하는 과정에 서 조작구동 와이어를 이용하여 복잡한 장기를 따라 삽입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끝단이 고정되어야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가요성 연결체를 굽어지게 할 수 있는데, 조작구동 와이어의 끝단을 손쉽게 고정하기 위하여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센서 모듈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검체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원하는 특정 방향으로만 굽어지는 휨변위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는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다수의 휨 유도부가 다수 형성되어,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만 국부적으로 굽어지며, 동시에 휨 유도부가 형성된 측으로만 굽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을 복잡한 형상의 장기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때, 상기 휨 유도부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외주 방향을 따라 180도의 간격을 두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열되고,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휨 유도부의 열을 따라 2열로 배열된다. 따라서,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으로 노출되는 2개의 조작구동 와이어는 외주 방향을 따라 180도 간격을 두게 되어, 조작구동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기면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일측으로 굽어지는 휩 변위가 발생되고, 조작구동 와이어 중 다른 하나를 잡아당기면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타측으로 굽어지는 휩 변위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휨 유도부 중 2개 이상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휨유도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를 관통 형성된 휨 유도공을 통과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이 때, 가요성 연결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구동 와이어가 장기 내부의 점액질에 오염되거나 반대로 조작구동 와이어에 의하여 장기 내부에 상처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구동와이어가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방수 튜브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 때에는,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중공부를 통해 뻗어 설치된다.
그러나, 조작구동 와이어가 가요성 연결체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가요성 연결체의 중공부를 관통하는 케이블과 상호 엉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구동 와이어는 가요성 연결체의 벽에 묻히도록 뻗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형성된 구멍(510h)을 관통한 상태에서 와이어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가요성 연결체를 압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미리 조작구동 와이어를 가요성 연결체의 벽 내부에 묻히도록 한 상태에서 성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때, 조작구동 와이어는 가요성 연결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가요성 연결체의 끝단을 휘게 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가요성 연결체와 조작구동 와이어 사이의 마찰은 최소화되는 것이 좋으므로, 가요성 연결체의 벽에 길이 방향을 따라 구멍을 미리 형성한 후에, 와이어를 관통시켜 조작구동 와이어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한 조립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가 도달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는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부에 비하여 잘 휘는 휨강성이 낮은 재질로 연장됨으로써, 가요성 연결체가 전체적으로 굽어지지 않고 끝단만 굽어지도록 하는 것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재질과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을 감싸는 오버랩 튜브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한편,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미리 정해진 특정 방향으로만 굽어지게 하기 위하여, 가요성 연결체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얇게하거나 가요성 연결체를 관통시키는 휨 유도부를 형성하는 대신에, 가요성 연결체를 휨 강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을 90도 간격으로 교번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때, 90도 간격으로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을 교번시켜 제작하는 것은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만 국한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가요성 연결체에 휨 유도부가 형성된 경우의 원리와 유사하게, 조작구동 와이어는 휨 강성이 작은 재질을 따라 배열되어, 조작구동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휨 강성이 작은 재질을 향하는 쪽으로만 휨 변위를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을 원하는 방향으로만 굽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은, 피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서 이상 징후가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에 사용되는 휴대용 수신기로서,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상기 수신기에 고정되고,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내설된 케이블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센서 신호를 표시하거나 상기 센서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의 휴대용 수신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에는 상기 센서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신호를 외부에 전송하는 신호전송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수신부에 저장된 센서 신호 정보를 후속적으로 정밀 재검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신호전송부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커넥터일 수도 있고, RF방식이나 블루투스 방식 등에 의한 무선 방식일 수도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검체의 신체 내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된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이 휴대용 수신기에 고정된 상태로 타단에 센서가 고정된 상기 가요성 연결체를 비강을 통해 피검체의 신체 내부에 삽입고정하는 센서고정단계와;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고정된 센서로부터 상기 피검체의 신체 내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신호 수신단계와;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의료 전문가가 상기 피검체 에 1:1로 밀착 진료하거나 치료하지 않더라도 상기 경고 신호를 통해 피검체의 이상 유무를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검사 방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검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검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징후를 검사하도록 상기 피검체에 고정되어 상기 피검체와 함께 이동되는 검사 장치로서,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피검체에 착용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휴대용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상기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내설된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검사자의 콧구멍이나 입을 통해 식도나 위장 등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사자의 체내의 위치에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위치한 센서를 체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된 센서에 위산 등의 분비물이 과다하게 분비되거나 출혈이 발생되는 것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표시되는 수신 정보로부터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에 이상 징후가 발생된 것을 검사할 수도 있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검사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의사 등이 밀착하여 검사를 계속하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에게 이상 징후가 차후로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얻어진 검사 결과를 기초로 하여 관련 치료를 즉시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내에 위치한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신호가 수신기에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의사나 간호사 등의 의료 전문가가 피검사자에 1:1로 밀착 진료하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의 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징후를 실질적인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관련 치료를 지체없이 곧바로 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체내 검사 장치의 수신기가 피검사자의 팔목 등에 고정되거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휴대용으로 형성됨에 따라, 검사 과정에서도 피검사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검사 장치는 수신기를 포함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피검사자가 소정의 장비가 마련된 검사실에 가지 않더라도, 응급실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검사할 수 있게 되므로, 검사 시설이 열악한 응급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도 피검사자의 체내의 이상 징후를 검사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검사 장치는 인체에 삽입되는 부분이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요성 연결체, 센서, 케이블을 1회용 모듈로 구성함에 따라, 인체의 내부에 한번이라도 삽입하였던 부품을 재사용하지 않게 되어, 위생적인 체내 검사를 가능하게 하여 2차 감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소독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다수의 피검사자들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검사를 할 수 있게되고, 또한 다수의 피검사자들에 대하여 동시 검사를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자의 인체 내에 검사 장치를 삽입함에 있어서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위치한 촬영 소자를 통해 시각적으로 삽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검사하고자 하는 체내의 위치에 정확하게 센서를 위치시켜 정확한 검사와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 연결체에 체내 물질을 흡입하여 채집하거나 약물 등을 투여하는 통로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검사 기능 이외에 피검사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보조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100)는, 일단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사자의 체내에 삽입되는 가요 성 연결관(110)과,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에 고정되어 체내의 이상 징후를 감지하는 다수의 센서가 고정된 센서 모듈(120)과, 센서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센서 모듈(120)의 센서(199,224)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전송하도록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부에 다발 형태로 내설된 케이블(130)과, 케이블(130)로부터의 신호선과 전원선을 연결하는 커넥터(140)와, 케이블(130)을 통해 전송된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150)와,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을 휘게 조작하도록 가요성 연결관(110)에 대하여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이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가요성 연결관(110)의 일단에 노출된 조작구동 와이어(169)를 감는 얼레(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요성 연결관(110)은 체온(36℃)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잘 휘지만 체온 정도의 온도에서는 서서히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는 성질을 갖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다발 형태의 케이블(130) 등을 내설하도록 파이프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단면을 갖는 다발 형태로 케이블(130)을 내부에 수용함에 따라, 가요성 연결관(110)은 약 6mm이하의 작은 외경을 갖도록 그 단면이 최소화된다. 또한, 센서(119, 224)가 위치하는 피검사자의 체내의 검사 위치와 피검사자의 외부를 연통하는 2개의 통로(111,112)가 형성되어, 체내의 검사 위치에 형성된 관통공(110a)을 통해 혈액 등의 분비물을 흡입하거나 체내의 검사 위치에 약물 등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검사 위치로부터 분비물을 흡입하거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한 통로(111,112)는 도4,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30)과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30)의 방수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벽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요성 연결체(110)는 예를 들어 인장강도가 28.9Mpa 내지 89.6Mpa인 Estane, Pellethane, Carbothane, Tecoflex, Tecothane, Texin 등의 폴리우레탄 계열이나, 인장강도 15MPa 내지 89.6MPa인 Aesno, Besno, 나일론 6, 나일론 6.6, Pebax, Vestamid 등의 나일론 계열이나, 인장 강도가 1.31MPa 내지 16.1MPa의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센서 모듈(12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에 고정된다.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홀(202)이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몸체(200)와, 몸체(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메인 기판(210)과, 메인 기판(210)과 광 투과홀(202) 사이에 설치되는 촬영 소자부(220)와, 몸체(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광부(230)와 발광부(230)를 덮도록 몸체(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돔 형상의 상부 커버(240)와, 몸체(200) 내부를 밀봉하도록 몸체(200)의 하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가요성 연결관(110)에 삽입되는 하부 커버(250)와, 하부 커버(250)의 내부를 관통하여 메인 기판(210)에 접속되는 케이블(130)과, 주변의 pH값을 감지하기 위하여 몸체(200)의 외주면에 노출된 pH센서(199)로 구성된다.
여기서, 몸체(200)는 메인 기판(210)과 촬영 소자부(220)를 수용하도록 중공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촬영 소자부(220)에 의해 촬영이 가능하도록 중앙부의 광투과홀(202)이 형성되고 발광부(230)가 안착되여 단턱면이 상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 기판(210)은 케이블(1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수신기(150)로부터 케이블(130)을 통해 전송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부(230)와 촬영 소자부(220)를 제어하여, 이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 신호를 수신기(150)로 전송한다.
또한, 촬영 소자부(220)는 몸체(200)의 광 투과홀(202)에 인접하게 배열되어 광 투과홀(202)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확대시키는 렌즈(222)와, 렌즈(222)를 통해 확대된 광을 이용하여 촬영 신호 데이터를 생성하는 촬영 소자(224)로 구성된다. 생성된 촬영 신호 데이터는 메인 기판(210) 및 케이블(130)을 통해 수신기(130)로 전송된다.
그리고, 발광부(230)는 90도 간격으로 배열되는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다수의 발광체(232)를 구비하여 메인 몸체(200)의 단턱면에 위치하는 발광체 기판(234)과, 메인 기판(210)으로부터 전원 및 발광체(232)의 ON/OFF신호를 전송하는 다수의 접속 핀(236)으로 구성된다. 이 때, 발광체 기판(234)은 돔 형태의 상부 커버(240)를 통해 입사되는 광이 광 투과홀(202)을 통과하여 촬영 소자부(220)에 입사되도록 환상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 때, 발광부(230)는 가요성 연결관(110)이 피검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동안과 촬영 소자부(220)가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때에만 ON이 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상부 커버(240)는 몸체(200)의 상부를 돔 형태로 덮어 밀봉하여, 촬영 소자(223)와 발광체(232)가 피검사자의 체내의 분비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가요성 연결관(110)이 체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체내의 기관의 내벽에 상처내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커버(240)는 광이 광 투과홀(202)을 통해 촬영 소자부(220)에 입사되도록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의 투명 재질의 윈도우(24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부 커버(250)는 몸체(200) 내부를 밀봉하도록 몸체(20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로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면에 끼워져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하부 커버(250)와 몸체(200)는 피검체에 무해한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pH센서(199)는 몸체(200)의 외벽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pH센서(199)와 케이블(130)의 접속 배선(미도시)을 통해 수신기(150)로 센서 모듈(120)이 위치한 체내의 pH 신호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케이블(130)은 센서 모듈(120)과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수신기(150)와 센서 모듈(120)사이의 전원 및 센서 신호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관(110) 내부의 케이블(130)은 신호를 전송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는 도체전선(131a)을 절연 피복(131b)이 감싸고 있고, 이들이 다발 형태로 뭉친 형태로 유지되도록 절연 피복(132)이 감싸는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기(150)와 접속되는 부분은 통상적인 커넥터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도면부호 13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일자(一字)형태로 분산되어 배열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130)이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부에서 다발 형태를 유지함에 따라, 케이블(130)을 감싸는 가요성 연결관(110)의 외경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130)은 센서 모듈(120)의 메인 기판(210)에 접속되어 하부 커버(250)를 관통하여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부를 통해 수신기(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케이블(130)은 촬영 소자부(2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원 라인과, 발광부(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전원 라인과, 촬영 소자부(220)를 제어하고 촬영 소자부(220)로부터의 촬영 신호 정보를 수신기(150)로 전송하는 복수의 제어/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50)는 착용 벨트(159)에 의해 피검사자의 손목에 착용되거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휴대용으로 구성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120)의 촬영 소자(232)로부터 촬영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촬영신호정보 수신부(150a)와, 센서 모듈(120)의 pH센서(199)로부터 pH 신호 정보를 수신하는 pH신호 정보수신부(150b)와, 내장된 충전용 배터리에 의해 내부 제어 회로 및 센서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50c)와, 검사자의 조작 스위치(152a)에 의해 센서 모듈(120)로부터의 센서 신호의 허용 범위를 정하는 경고범위 설정유닛(150d)와, 촬영 소자(232)로부터의 촬영 신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창(151)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거나 경고범위를 조작 스위치(152a)로 설정하는 과정에서 현재 설정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50e)와, 센서 모듈(120)로부터의 센서 신호가 경고범위 설정유닛(150d)에 의해 설정된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램프(152)의 점등이나 스피커(153)에 의하여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경고신호 출력 부(150f)와, 센서 모듈(120)로부터 수신된 센서 신호 정보를 저장하도록 메모리로 이루어진 데이터 저장부(150g)와, 데이터 저장부(150g)에 저장된 센서 신호 정보를 외부 기기에 유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150h)와, 센서 모듈(120)로부터 센서 신호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에 있는지를 비교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는 신호 프로세싱부(150j)를 구비한다.
이 때, 수신기(150)는 피검사자에 의해 휴대되므로 피검사자와 별도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검사 장치를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피검사자와 함께 이동하므로 사용의 편의가 증대된다. 또한, 수신기(150)의 디스플레이 창(151)을 통하여, 센서 모듈(120)의 촬영 소자(224)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센서 모듈(120)을 피검사자의 체내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가요성 연결관(110)을 체내로 삽입시키는 과정에서, 검사자는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피검체의 장기 내벽에 상처를 입히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신기(150)의 디스플레이 창(151)을 통하여 촬영 소자(224)로부터 전송된 촬영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소자(22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지만, 수신기(150)의 제작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신호 전송부(150h)를 통해 별도의 디스플레이 유닛(170)의 창(171)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도 있다. 이 때, 별도의 디스플레이 유닛(170)은 워크 스테이션, 셀룰라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개인정보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IMT 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및 스마트 폰(Smart Phone)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는 MP3 플레이어, 핸드 헬드(Hand Held)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UMPC(Ultra Mobile PC)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Mobile Terminal)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전송부(150h)는 범용 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formation Processing),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루비(Rubee), 바이너리(Binary) CDMA, 와이브로(WIBRO), 및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을 포함하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얼레(160)는, 도1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관(110)을 미리 정해진 어느 방향으로 휘도록 조작하는 조작구동 와이어(169)를 감는 원통부(161)와, 원통부(161)를 회전시키도록 원통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일측 원형플레이트으로부터 연장된 손잡이(162)와, 원통부(161)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고 가요성 연결관(110)을 삽입시키는 관통공(163a)을 구비한 타측 원형플레이트(163)로 구성된다. 따라서, 얼레(160)는 가요성 연결관(110)에 고정되어 손잡이(162)로 일측 원통부(161)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작구동 와이어(169)를 감거나 풀수 있게 된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구동 와이어(169)는 일단이 센서 모듈(120)이 위치한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부에 위치한 케이블(130)에 여러겹 감긴 상태로 용접(169a)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가요성 연결관(110)의 일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구동 와이어(169)는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벽과 케이블(130)의 사이에서 상대이동을 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도4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벽에 빈 공간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발 형상의 케이블(130)과 가요성 연결관(110)의 내벽 사이에 약물 주입 등의 용도를 위한 통로(111,112)가 배열되고, 그 사이의 틈새에 높은 인장강도를 갖는 재질(예컨대, 명주실)의 조작구동 와이어(169)가 배열된다.
따라서,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조작구동 와이어(169)를 얼레(160)로 감는 것에 의해 도면부호 169d로 표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요성 연결관(110)은 도면부호 110d로 표시된 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 때, 가요성 연결관(110)을 중심축(110c)을 중심으로 도면부호 110r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요성 연결관(110)을 어느 방향으로도 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요성 연결관(110)을 콧구멍을 통해서라도 피검체의 체내의 내벽을 긁지 않고서도 원활하게 검사 위치에 도달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구동 와이어(169)의 일단이 케이블(130)에 고정된 경우에는 얼레(160)를 감아 조작구동 와이어(169)를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케이블(130)을 굽어지게 하더라도, 미리 예정된 방향으로 휘도록 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가요성 연결체(110)의 타단부의 직경을 타원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에 의하여 어느 일방 또는 타방으로 굽어지게 할 수는 있더라도, 특정 방향으로 굽어 지도록 조작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가요성 연결체(110)의 타단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굽어지는 조작을 손쉽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잡한 장기의 내부로 가요성 연결체를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가요성 연결체(110)를 전체적으로 굽어지게 하기 보다는 가요성 연결체(110)의 끝단만 굽어지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도16에 도시된 구성이 가요성 연결체(110)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연결체(310)의 타단부에는 가요성 연결체의 다른 영역(310x)에 비하여 휨강성이 낮아 잘 휘는 신축성있는 재질(310y)로 연장시킨다. 그리고, 가요성 연결체(310)의 타단부(310y)에는 원주 방향으로 180도만큼 간격을 둔 다수의 휨 유도공(310g', 310g")이 2열로 배열된다. 그리고, 가요성 연결체(310)의 타단부(310y)를 휘도록 구동하는 조작구동 와이어(369)가 타단부의 휨 유도공(310g', 310g")을 관통하면서 가요성 연결체(310)의 타단부(310y)에 고정된다. 이 때, 조작구동 와이어(369)가 휨 유도공(310g',310g") 전부를 관통할 필요는 없으며, 가요성 연결체(130)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그리고나서, 조작구동 와이어(369)가 장기의 내벽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휨 유도공(310g', 310g")을 통해 장기의 분비물이 의도하지 않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작구동 와이어(369)를 감싸는 방수 튜브(330)가 가요성 연결체(310)의 외주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 때, 방수 튜브(330)는 중간부에 비해 그 양끝단의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되어, 방수 튜브(330)의 양끝단에서는 가요성 연결체(310)에 밀착되지만, 밀착되는 방수튜브(330)의 양끝단의 사이에서는 가요성 연결체(310)와 약간의 공간이 생겨 조작구동 와이어(369)를 잡아당기는 힘을 상쇄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가요성 연결체(310)의 내부를 통해 가요성 연결체(310)의 일단에는 조작구동 와이어(369)의 2개의 양끝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노출된 2개의 양 끝단 중 어느 하나를 도면부호 369d로 표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잡아당기는 측의 휨 유도공(310g")은 그 구멍이 좁아지면서 잡아당기는 측의 가요성 연결체(310)가 오그라들게 되고, 잡아당기지 않는 측의 휨 유도공(310g')은 반대로 그 구멍이 넓어지면서 가요성 연결체(310)가 늘어나므로, 가요성 연결체(310)의 끝단은 도면부호 120d로 표시된 방향으로 굽어지는 휨 변형이 발생된다. 반대로, 노출된 2개의 양 끝단 중 다른 하나를 도면부호 369d'로 표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동일한 원리로 가요성 연결체(310)의 끝단이 도면부호 120d'로 표시된 방향으로 굽어지는 휨 변형이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요성 연결체(310)의 끝단부만을 굽어지게 할 수 있게 되어, 피검체의 장기 내부에 가요성 연결체(310)를 삽입하는 과정이 용이해진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가요성 연결체(310)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구동 와이어(369)의 양 끝단은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하여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에 고정된 2개의 얼레(미도시)에 각각 감겨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가요성 연결체(410)에는 원주 방향으로 180도만큼 간격을 두고 가요서 연결체(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된 휨 유도홈(410g, 410g")이 2열로 형성되고, 조 작구동 와이어(469', 469")는 가요성 연결체(4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센서 모듈(120)에 고정된다. 도16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요성 연결체(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조작구동 와이어(469', 469") 중 어느 하나(469')를 도면부호 469d'로 표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잡아당긴 조작구동 와이어(469')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휨 유도홈(410g')는 오그라들어 홈(410g')의 폭이 좁아지며, 잡아당기지 않은 조작구동 와이어(469")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휨 유도홈(410g")은 반대로 벌려져 홈(410g")의 폭이 더 넓어지게 되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체(120)는 도면부호 120d'로 표시된 방향으로 휘게 된다.
즉, V자 형태의 휨 유도홈(410g', 410g")이 원주 방향으로 180도의 간격을 둔 2열로 가요성 연결체(410)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됨에 따라, 휨 강성이 낮은 휨 유도홈(410g', 410g")이 배열된 방향으로만 가요성 연결체(410)가 굽어지는 휨 변위가 발생된다. 그리고, 휨 유도홈(410g', 410g")이 가요성 연결체(410)의 타단부에만 형성됨에 따라 휨 강성이 낮아지는 부위가 가요성 연결체(410)의 타단부에 국한되므로, 조작구동 와이어(469', 469")를 잡아당기면 가요성 연결체(410)가 전체적으로 굽어지는 것이 아니라 휨 강성이 낮은 가요성 연결체(410)의 타단부만 굽어지는 휨 변위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V자 형태의 휨 유도홈(410g', 410g")이 원주 방향으로 180도의 간격을 둔 2열로 가요성 연결체(410)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길이가 긴 가요성 연결체를 조작하더라도 그 끝단부만을 굽어지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가요성 연결체(410)를 복잡한 장기의 내부 에 자유 자재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요성 연결체(410)에 V자형태의 휨 유도홈(410g', 410g")이나 휨 유도공(310g,310g")을 형성하는 것은, 실리콘이나 PVC등 연성을 갖는 가요성 연결체(410)에 V형 커터(미도시)를 내려 누르는 것에 의해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히 제작될 수 있다. 즉, V형 커터가 가요성 연결체(410)의 외벽을 관통시키지 않은 깊이만큼 침투한 상태에서 내려누르는 경우에는 V형 홈(410g', 410g")이 형성되고, V형 커터가 가요성 연결체(410)의 외벽을 관통시킨 깊이만큼 침투한 상태에서 내려누르는 경우에는 V형 구멍(310g, 310g")이 형성된다.
한편,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체(410)의 타단부의 휨 강성을 낮추기 위하여, 가요성 연결체(410)의 다른 부분(410x)에 비하여 휨 강성이 낮은 다른 재질(410y)로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가요성 연결체(410)에 설치된 조작구동 와이어(469', 469")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가요성 연결체(410)가 전체적으로 굽어지지 않고 끝단(410y)만 굽어지도록 하는 것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재질과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을 감싸는 오버랩 튜브(4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이 때, 가요성 연결체(410)의 타단부(410y)는 휨 강성이 낮으면서 동시에 여러번 휘더라도 충분한 내구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보다 좋은 재료로 형성되어, 조작구동 와이어(469',469") 의 조작 시 보다 잘 굽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도21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체(510)의 타단부가 미리 정해진 특정 방향으로만 굽어지게 하는 또 다른 구성으로서, 휨 강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재질(510a, 510b)이 90도 간격으로 교번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510)를 제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때, 조작구동 와이어(569', 569")는 휨 강성이 작은 재질(510b)을 따라 배열되어 고정되어, 조작구동 와이어(예컨대, 569')를 도면부호 569d'로 표시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휨 강성이 작은 재질(510b)을 향하는 방향(이 경우, 120d')으로만 휨 변위가 발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연결체(510)의 성형시에 조작구동 와이어(569',569")가 삽입 설치될 구멍(510h)을 미리 형성하여, 이 구멍(510h)에 조작구동 와이어(569', 569")를 삽입시키고, 그 끝단을 센서 모듈(120)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가요성 연결체(510)의 내부에 조작 구동 와이어(569',569")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100)는 가요성 연결체(110), 센서 모듈(120), 케이블(130)이 피검체의 체내로 삽입된다. 그러나, 일단 피검체의 체내로 삽입되면 피검체 내부의 분비물과 이물질에 의하여 삽입되는 부분은 오염되고, 이를 살균 소독한다고 하더라도 한번 삽입된 부분이 다른 피검사자에게 사용되는 것은 위생적으로 좋지 않으며, 피검사자에게도 거부감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더욱이, 가요성 연결체(110)는 종래의 내시경 장치와 달리 부드러운 고무 재질의 튜브로 적용됨에 따라 삽입에 따른 거부감이 크게 낮아질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월등히 낮으므로,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품을 1회용으로 하여, 2차 감염 및 살균 소독에 따른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소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100)의 검사 원리를 상술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의 검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센서 모듈(120)이 위치시킨 상태에서, 센서 모듈(110)에 의해 수신기(150)로 전송되는 센서 신호 정보를 수신기(150)의 디스플레이 창(151)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이상 징후가 발생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이 때, 디스플레이 창(151)에는 pH센서(199)에 의하여 전송된 pH값일 수도 있고, 촬영 소자(224)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정화상 또는 동영상일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의사나 간호사 등의 전문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검사 위치에 병증이나 이상 징후가 있는지를 먼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의사나 간호사 등의 전문 검사자가 피검사자에 1:1로 밀착하여 지속적으로 이상 징후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곤란하므로, 전문 검사자는 시각적으로 확인한 검사 위치의 증세에 따라 수신기(150)의 조작 스위치(152a)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20)로부터의 센서 신호의 허용 범위를 설정한다. 이 경우에, 피검사자의 체내의 검사 위치에서 과다한 분비물이 분비되어 pH값이 허용치를 벗어나거나, 출혈이 발생되어 적색의 비율이 허용치를 벗어나면 이상 징후로 감지하여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점멸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출혈 발생이나 암의 발병 등을 감지하는 원리를 살펴보면, 촬영 소자(224)로부터 케이블(130)을 통해 수신기(150)로 전송된 촬영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이미지 처리부(150a')의 촬영 이미지 생성부(150a")에서는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 이미지의 색깔을 이전의 촬영 이미지와 대비하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던 촬영 이미지와 대비하는 것에 의하여 이상 징후의 감지가 이루어진다.
출혈 발생의 감지 원리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촬영 이미지 생성부(150a")로부터 공급되는 촬영 이미지의 각 픽셀 데이터를 분석하여 출혈 패턴을 검출한다. 즉, 신호 프로세싱부(150j)의 출혈 패턴 검출부(150j')는 각 픽셀 데이터 중 적색 데이터(R) 값을 이용하여 각 촬영 이미지별 평균 적색 데이터 값을 산출하여 저장부(150g)에 저장하고, 각 촬영 이미지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어 블록별 평균 적색 데이터 값, 평균 녹색 데이터 값, 평균 청색 데이터 값을 산출하여 데이터 저장부(150g)에 저장한다. 여기서, 각 블록은 부분적인 오차에 의해 잘못 검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x2의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출혈 패턴 검출부(150j')는 미리 설정된 비교값과 상기 블록별 평균 적색 데이터값을 비교하여, 블록별 적색 데이터값의 전체 평균값 또는 블록별 적색 데이터값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설정된 비교값보다 큰 경우에 출혈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하여, 출혈검출신호(AS1)를 생성하고 이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교값은 출혈이 발생되지 않았을 초기 검사 단계에서의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초기 평균값의 일정배수(예컨대, 약 1.3배)로 설정되어, 상기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전체 평균값이 상기 비교값보다 큰 경우에 출혈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교값은 초기 검사 단계에서의 블록별 적색 데이터 중 어느 한 값의 일정 배수(예컨대, 약 1.5배)로 설정되어, 상기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전체 평균값이 상기 비교값보다 큰 경우에 출혈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비교값은 블록별 적색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값이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전체 평균값의 일정 배수(예컨대, 약 1.5배)로 설정되어, 상기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값이 상기 비교값보다 큰 경우에 출혈이 감지된 것으로 감지할 수도 있다. 이는, 피검사자의 출혈 성향이나 검사 위치의 적색 분포에 따라 상기 비교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비교값이 각 촬영 이미지의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평균값의 1.5배로 설정되고,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값이 상기 비교값보다 큰 경우에 출혈이 감지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출혈 패턴 검출부(150j')에 의하여 도13에 도시된 블록별 적색 데이터가 얻어졌다면, 이들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평균값은 139.25의 1.5배인 208.875가 비교값이 되며, 이 블록별 적색 데이터의 어느 하나의 값이 255로서 비교값보다 크므로, 이 경우에는 출혈이 발생된 것으로 보고, 이에 따라 경고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암의 발병 등과 같은 병증 패턴의 감지는 신호 프로세싱부(150j)의 병증 패턴 검출부(150j")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병증패턴 검출부(150j")는 암(cancer), 폴립(polyp), 얼써(Ulcer), 미란(Erosion) 등 병증패턴에 따라 이미 설정된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병증 블록 데이터 값을 각각의 비교값으로 하여, 촬영 소자(224)로부터 전송되어 얻어진 블록별 적색, 녹색, 청색의 데이터의 패턴을 각각 비교하여, 미리 저장된 병증 블록 데이터값에 미리 정해진 비율 이상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 병증이 있는 것으로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병증 데이터 값은 도14에 도시된 병증(A)을 포함한 실제 병증 이미지에서 분석된 각 블록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데이터 평균값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병증 패턴 검출부(150j")는 각 블록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평균 데이터 값과 병증 블록 데이터 값의 유사도에 따라 0 ~ 1 사이의 실수 값 또는 0 ~ 100 사이의 실수 값을 갖는 비교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교 신호와 사용자(진단자)에 의해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병증 패턴 검출신호(AS2)를 생성한다. 여기서, 임계값이 낮게 설정될 경우 병증 패턴 검출신호(AS2)가 자주 발생되지만 병증을 검출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임계값이 높게 설정될 경우 병증 패턴 검출신호(AS2)가 적게 발생되는 대신 병증을 검출할 수 있는 확률이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임계값은 피검사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병증 패턴 검출부(150j")는 각 촬영 이미지 별로 분석하여 병증 패턴 검출신호(AS2)를 생성할 수 있으나, 감지 정확도를 높히기 위하여 연속된 복 수의 촬영 이미지를 평균화하여 병증검출신호(AS2)를 생성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100)의 검사 방법을 상술한다.
단계 1: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드러운 고무 재질로 제작된 가요성 연결관(110)의 일단이 체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요성 연결관(110)을 피검사자의 콧구멍을 통해 식도로 삽입시킨다(S110). 이 때, 가요성 연결관(110)이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체온보다 약간 높은 40℃정도의 온도 환경에 일정 시간동안 둔 가요성 연결관(110)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때, 가요성 연결관(110)의 타단에 고정된 촬영 소자(224)로부터의 촬영 신호를 수신기(150)에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창(151)에 가요성 연결관(110)의 끝단을 시각적으로 관찰하여 삽입되고 있는 위치를 확인하면서, 검사하고자 하는 피검체의 체내 위치에 삽입 설치한다.
단계 2: 그리고 나서, 휴대용으로 제작된 수신기(150)를 착용 벨트(159)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팔에 고정시킨다(S120).
단계 3: 그리고 나서,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체내 검사 위치에 위치한 센서 모듈(120)의 센서들(199, 224)로부터 수신되는 센서 신호 정보를 수신기(150)의 디 스플레이 창(151)을 통해 확인하여 1차적으로 검사를 시행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그 이후에 피검사자의 체내에서 발생되면 즉각적인 치료가 수반되어야 하는 임계치를 정하여 이를 기초로 조작 스위치(152a)를 조작하여 허용 범위를 설정한다(S130).
단계 4: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전문적 검사자가 피검사자를 떠난 상태에, 연속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센서(199, 224)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기(150)에 수신한다(S140).
단계 5: 수신기(150)에 수신되는 센서 신호가 S130단계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를 벗어났는지를 신호 프로세싱부(150j)가 평균치에 기초하거나 순간치에 기초하여 판단한다(S150). 이와 동시에, 수신기(150)의 메모리에는 데이터 저장부(150g)에 의하여 수신되는 센서 신호가 저장된다.
단계 6: 수신기(150)에 수신되는 센서 신호가 S130단계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센서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신기(150)에 수신되는 센서 신호가 S130단계에서 설정한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해당 경고 신호를 점멸등과 경고음을 통하여 출력한다(S160). 선택적으로, 경고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담당 주치의의 삐삐등의 무선 통신기에 직접 경고 신호가 전송되는 것이 좋다.
단계 7: 이 때, 담당 주치의는 피검사자에게 신속하게 와서, 수신기(150)의 디스플레이 창(151)을 통해 피검사자에 나타난 이상 징후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에 해당하는 치료를 즉시에 행한다. 이 때, 체내의 검사 위치에 약물의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요성 연결관(110)의 제1통로(111)를 통해 해당 위치에 약물을 투여할 수도 있으며, 체내에서 출혈이 되거나 비정상적으로 분비물이 과다 분비된 경우에는 가요성 연결관(110)의 제2통로(112)의 끝단에 의료용 진공펌프(미도시)를 연결하여 혈액이나 분비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단계 8: 단계 7의 응급 조치가 종료된 이후에, 담당 주치의는 휴대용 수신기(150)의 메모리에 저장된 센서 신호 정보를 외부 기기에 전송하여, 피검사자의 병증이나 이상 징후를 보다 상세히 재검사하여 그 이후의 후속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것을 보조한다(S17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내에 고정된 센서 모듈에 촬영 신호와 pH신호를 수신하여 체내의 이상 징후를 검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검사 종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이 밖의 다른 종류의 검사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
도3은 피검사자가 도1의 검사 장치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의 절단선 Ⅳ-Ⅳ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1의 휴대용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도1의 센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7은 도6의 센서 모듈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8은 도7의 센서 모듈이 도1의 가요성 연결체와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9는 도7의 센서 모듈이 또 다른 형태의 가요성 연결체와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10은 도1의 조작구동 와이어를 감는 얼레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의 조작구동 와이어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12는 도5의 이미지 처리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13은 도12의 이미지 처리부에서 촬영 정보를 분석하여 출혈 패턴, 병증 패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4는 도12의 이미지 처리부에서 병증 패턴을 검출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병증 이미지의 촬영 사진
도15는 도1의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의 작용 원리를 도시한 순서도
도16은 도11의 조작구동와이어를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하는 제1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도11의 조작구동와이어를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하는 제2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18은 도17의 가요성 연결체를 일측으로 휜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19는 도17의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도11의 조작구동와이어를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하는 제3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도11의 조작구동와이어를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하는 제4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22는 도21의 절단선 Y-Y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검사 장치 110: 가요성 연결체
110a: 연통공 111: 제1통로
112: 제2통로 120: 센서 모듈
130: 케이블 140: 커넥터
150: 휴대용 수신기 160: 조작구동 와이어 얼레
169: 조작구동 와이어 170: 데이터 처리 장치
199: pH센서 224: 촬영 소자
232: 발광체 321, 410g : 휨 유도홈

Claims (26)

  1. 가요성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일단이 바깥에 노출된 상태로 피검자의 신체 내부에 삽입되는 가요성 연결체와, 상기 피검체의 내부에 투입되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에 장착되어 상기 피검체의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피검체에 착용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와 상기 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내설된 케이블을 구비한 2개 이상의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와;
    상기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각각의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경고 신호를 유무선 방식으로 전송 받는 중앙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검체에 장착된 상기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로부터 경고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경고 신호가 중앙 시스템에 전송됨으로써, 상기 경고 신호가 출력된 피검체에 의료 전문가가 즉시 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에 수신된 정보로부터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이 피검체의 통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전송된 촬영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적색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출혈이 발생된 것으로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주변의 pH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수신기에 전송된 pH 신호가 미리 정해진 pH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비물이 이상 배출된 것으로 감지하고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체, 상기 센서 및 상기 케이블은 1회용인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가 상기 촬영 소자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 소자가 촬영하는 때에만 상기 발광체가 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로서,
    타단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으로부터 노출되되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조작구동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작구동와이어의 일단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휘도록, 국부적으로 가요성 연결체의 두께를 작게 하거나 두께를 없애 관통된 휨 유도부가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휨 유도부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 180도 간격을 두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일렬로 배열되고,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휨 유도부를 각각 2개 이상 통과하도록 상기 가요성 연결체에 2열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휨 유도부 중 2개 이상이 상기 가요성 연결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휨 유도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를 관통 형성된 휨 유도공을 통과하여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에는 휨 강성이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이 90도 간격으로 교번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동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는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부의 재질보다 휨강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재질과상기 가요성 연결체의 타단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2개의 재질을 감싸는 오버랩 튜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90036328A 2009-04-27 2009-04-27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KR100921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328A KR100921656B1 (ko) 2009-04-27 2009-04-27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328A KR100921656B1 (ko) 2009-04-27 2009-04-27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1656B1 true KR100921656B1 (ko) 2009-10-14

Family

ID=41561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328A KR100921656B1 (ko) 2009-04-27 2009-04-27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6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704B2 (en) 2017-03-06 2023-01-03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Flexible mechanism
EP4183312A1 (de) * 2021-11-19 2023-05-24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und inspektionskamera mit einer solchen sensor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424A (ja) * 2002-06-24 2004-01-29 Olympus Corp 携帯型内視鏡装置
JP2005270468A (ja) * 2004-03-26 2005-10-06 Olympus Corp 携帯型内視鏡装置
JP2006129950A (ja) * 2004-11-02 2006-05-25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252925A (ja) * 2006-03-23 2007-10-04 Ethicon Endo Surgery Inc 使い捨て型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4424A (ja) * 2002-06-24 2004-01-29 Olympus Corp 携帯型内視鏡装置
JP2005270468A (ja) * 2004-03-26 2005-10-06 Olympus Corp 携帯型内視鏡装置
JP2006129950A (ja) * 2004-11-02 2006-05-25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252925A (ja) * 2006-03-23 2007-10-04 Ethicon Endo Surgery Inc 使い捨て型内視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0704B2 (en) 2017-03-06 2023-01-03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Flexible mechanism
EP4183312A1 (de) * 2021-11-19 2023-05-24 Robert Bosch GmbH Sensorvorrichtung und inspektionskamera mit einer solchen sensor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3089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JP4578740B2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US11759096B2 (en) Endoscope
JP2001137182A (ja) 医療用カプセル内視鏡
CN108135445A (zh) 具有可变剖面尖端的内窥镜
US20060189844A1 (en) Endoscopic devide
US20140094649A1 (en) Insertion opening attachment
JP2006501011A (ja) ガス及び液体から構成されるグループから選択される少なくとも1つのアイテムを体の内部へ及び内部から運搬し得る多機能チューブ及び体の内部器官へ当該チューブを配置する方法
CN100367904C (zh) 内视镜装置
EP3510989B1 (en) Catheter placement device and placement system
US20050038335A1 (en) Pressure-propelled system for body lumen
CN115348831A (zh) 模块化内窥镜的系统和方法
CN109717822A (zh) 一种胶囊小肠镜辅助定位系统
JP2006288822A (ja) 内視鏡形状検出装置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CN109843144A (zh) 用后即弃的医疗系统、装置及相关方法
KR100921656B1 (ko) 피검체 체내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의료용 체내 검사 장치
US202303806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ive insertion and retraction of robotic endoscope
CN110151110B (zh) 可固定式胃出血监测胶囊内窥镜及胃出血实时监测系统
CN211796355U (zh) 可固定式胃出血监测胶囊内窥镜及胃出血实时监测系统
TWI688364B (zh) 可拋棄式內視鏡組及內視鏡裝置
CN113854938A (zh) 一次性磁控有线传输胶囊内窥镜系统
Wang A study on RF based wireless capsule endoscope
JP4505445B2 (ja) 医療用カプセル内視鏡
JP2014039822A (ja) 1つ又は複数の粘膜領域に関連する血中酸素濃度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CN112386211B (zh) 柔性内窥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