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262A -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262A
KR20200054262A KR1020207010676A KR20207010676A KR20200054262A KR 20200054262 A KR20200054262 A KR 20200054262A KR 1020207010676 A KR1020207010676 A KR 1020207010676A KR 20207010676 A KR20207010676 A KR 20207010676A KR 20200054262 A KR20200054262 A KR 2020005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erminal
connection line
compress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761B1 (ko
Inventor
료 사사키
토시노리 아라이
나오히사 고마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3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Abstract

압축기에서, 토출관(22)은, 용기(20)의 축방향 일단에서 용기(20)의 중심축과 겹쳐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는, 용기(20)의 축방향 일단에서 용기(20)의 중심축과 어긋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은,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인도되고,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는 일 없이, 각각 용기(20) 중에서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와 전동기를 전기 접속하고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본 발명은,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폐용기 내에 압축 기구부와 전동기부가 수용된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서, 전동기부는, 회전자와 고정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자는, 압축 기구부에 주축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고정자는, 밀폐용기에 수축 끼워맞춤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자는, 고정자의 권선에 접속된 접속선에 의해, 밀폐용기에 배치된 기밀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기밀 단자를 통하여 외부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압축 기구부가 구동된다.
특허 문헌 1부터 특허 문헌 3에는, 저속 회전시의 고효율화와, 고속 회전 속도에서의 운전 가능화의 양립을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밀폐용기에 2개의 기밀 단자를 마련하고, 기밀 단자의 일방을 전동기부의 권선의 제1의 접속선과 접속함과 함께, 기밀 단자의 타방을 전동기부의 권선의 제2의 접속선과 접속한 밀폐형 전동 압축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제1의 접속선과 제2의 접속선이 밀폐용기, 회전자 또는 토출관에 접촉하고,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제1의 접속선과 제2의 접속선을 서로 연결하는 수지제의 연결재를 구비한 밀폐형 전동 압축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2006-246674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9-191822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개2012-082776호 공보
특허 문헌 1부터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밀폐형 전동 압축기에서는, 접속선이 토출관의 가까이를 통과한다. 접속선은, 길이 치수에 의하지 않고 서로 교차하고 있는데, 길이 치수가 클수록 서로 교차할 우려가 있든지, 또는, 연결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밀폐용기의 상부 공간에 말려 올라간 기름이 접속선의 교차 부분 또는 연결 부분에 체류하여, 압축된 냉매 가스와 함께 토출관으로부터 압축기 외로 갖고 나오기 쉬워진다. 그 결과, 기름 고갈에 의해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접속선에 체류하는 기름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하는 전동기와,
상기 압축 기구와 상기 전동기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축방향 일단에 부착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상기 용기의 내주벽에 따라 인도(引導, 引き回し)되고,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는 일 없이, 각각 상기 용기 중에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동기를 전기 접속하는 제1 접속선 및 제2 접속선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선이 용기의 내주벽에 따라 인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선의 길이 치수가 커도, 접속선이 서로 교차하지 않아, 기름이 체류한 부분이 접속선에 생기기 어렵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회로도.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의 회로도.
도 3은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4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일부의 횡단면도.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압축기의 일부의 평면도.
도 6은 비교례에 관한 압축기의 일부의 평면도.
도 7은 실시의 형태 2에 관한 압축기의 일부의 평면도.
도 8은 실시의 형태 3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9는 실시의 형태 4에 관한 압축기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설명을 적절히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필요에 응하여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 중, 2개 이상의 실시의 형태가 조합되어 실시되어도 상관 없다. 또는,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의 형태 중, 하나의 실시의 형태 또는 2개 이상의 실시의 형태의 조합이 부분적으로 실시되어도 상관 없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 1부터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0013]
***구성의 설명***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냉동 사이클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냉방 운전시의 냉매 회로(11)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난방 운전시의 냉매 회로(11)를 도시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기조화기이지만, 냉장고 또는 히트 펌프 사이클 장치라는 공기조화기 이외의 장치라도 좋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11)를 구비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압축기(12)와, 4방밸브(13)와, 실외 열교환기인 제1 열교환기(14)와, 팽창밸브인 팽창기구(15)와, 실내 열교환기인 제2 열교환기(16)를 또한 구비한다. 압축기(12), 4방밸브(13), 제1 열교환기(14), 팽창기구(15) 및 제2 열교환기(16)는, 냉매 회로(11)에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12)는, 냉매를 압축한다. 4방밸브(13)는, 냉방 운전시와 난방 운전시에서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한다. 제1 열교환기(14)는, 냉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동작하여,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킨다. 즉, 제1 열교환기(14)는,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행한다. 제1 열교환기(14)는, 난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여, 실외 공기와 팽창기구(15)에서 팽창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팽창기구(15)는, 응축기로 방열한 냉매를 팽창시킨다. 제2 열교환기(16)는, 난방 운전시에는 응축기로서 동작하여,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킨다. 즉, 제2 열교환기(16)는, 압축기(12)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하여 열교환을 행한다. 제2 열교환기(16)는, 냉방 운전시에는 증발기로서 동작하여, 실내 공기와 팽창기구(15)에서 팽창한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냉동 사이클 장치(10)는, 제어 장치(17)를 또한 구비한다.
제어 장치(17)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어 장치(17)와 압축기(12)와의 접속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 장치(17)는, 압축기(12)뿐만 아니라, 냉매 회로(11)에 접속된 압축기(12) 이외의 구성 요소에 접속되어도 좋다. 제어 장치(17)는, 제어 장치(17)에 접속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의 상태를 감시하거나, 제어하거나 한다.
냉매 회로(11)를 순환하는 냉매로서는, R32, R125, R134a, R407C 또는 R410A라는 HFC계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R1123, R1132(E), R1132(Z), R1132a, R1141, R1234yf, R1234ze(E)또는 R1234ze(Z)라는 HFO계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R290(프로판), R600a(이소부탄), R744(이산화탄소) 또는 R717(암모니아)이라는 자연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그 밖의 냉매가 사용된다. 또는, 이들의 냉매중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HFC」는, Hydrofluorocarbon의 약어(略語)이다. 「HFO」는, Hydrofluoroolefin의 약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압축기(12)의 종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압축기(12)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밀폐형 전동 압축기이다. 압축기(12)는, 구체적으로는, 다(多)실린더의 로터리 압축기이지만, 단(單)실린더의 로터리 압축기, 스크롤 압축기 또는 레시프로 압축기라도 좋다.
압축기(12)는, 용기(20)와, 압축 기구(30)와, 전동기(40)와, 크랭크축(50)을 구비한다.
용기(20)는, 구체적으로는, 밀폐용기이다. 용기(20)의 저부에는, 냉동기유(25)가 저류되어 있다. 용기(20)에는, 냉매를 용기(20) 중에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21)과, 냉매를 용기(20)의 밖으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관(22)이 부착되어 있다.
전동기(40)는, 용기(20)에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기(40)는, 용기(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전동기(4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집중권의 모터이지만, 분포권의 모터라도 좋다.
압축 기구(30)는, 용기(20)에 수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축 기구(30)는, 용기(2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압축 기구(30)는, 용기(20) 내에서 전동기(40)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크랭크축(50)은, 전동기(40)와 압축 기구(30)를 연결하고 있다. 크랭크축(50)은, 냉동기유(25)의 급유로와 전동기(40)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있다.
냉동기유(25)는,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크랭크축(50)의 하부에 마련된 오일 펌프 등의 급유 기구에 의해 퍼 올려진다. 그리고, 냉동기유(25)는, 압축 기구(30)의 각 활주부에 공급되어, 압축 기구(30)의 각 활주부를 윤활한다. 냉동기유(25)로서는, 합성유인 POE, PVE 또는 AB 등이 사용된다. 「POE」는, Polyolester의 약어이다. 「PVE」는, Polyvinyl Ether의 약어이다. 「AB」는, Alkylbenzene의 약어이다.
전동기(40)는, 크랭크축(50)을 회전시킨다. 압축 기구(30)는,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냉매를 압축한다. 즉, 압축 기구(30)는, 크랭크축(50)을 통하여 전달되는 전동기(40)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냉매를 압축한다. 이 냉매는, 구체적으로는, 흡입관(21)에 흡입된 저압의 가스 냉매이다. 압축 기구(30)에서 압축된 고온이면서 고압의 가스 냉매는, 압축 기구(30)로부터 용기(20) 내의 공간에 토출된다.
크랭크축(50)은, 편심축부(51)와, 주축부(52)와, 부축부(53)를 갖는다. 이들은, 축방향에서 주축부(52), 편심축부(51), 부축부(53)의 순서로 마련되어 있다. 즉, 편심축부(51)의 축방향 일단측에 주축부(52), 편심축부(51)의 축방향 타 단측에 부축부(53)가 마련되어 있다. 편심축부(51), 주축부(52) 및 부축부(53)는, 각각 원주형상이다. 주축부(52) 및 부축부(53)는, 서로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즉, 동축으로 마련되어 있다. 편심축부(51)는, 중심축이 주축부(52) 및 부축부(53)의 중심축부터 빗나가도록 마련되어 있다. 주축부(52) 및 부축부(53)가 중심축 둘레로 회전하면, 편심축부(51)는 편심 회전한다.
이하에서는, 용기(20)의 상세를 설명한다.
용기(20)는, 몸통부(胴部)(20a)와, 용기 상부(20b)와, 용기 하부(20c)를 갖는다.
몸통부(20a)는, 원통형상이다. 용기 상부(20b)는, 몸통부(20a)의 상측의 개구를 가로막고 있다. 용기 상부(20b)는, 용기(20)의 축방향 일단에 상당한다. 용기 하부(20c)는, 몸통부(20a)의 하측의 개구를 가로막고 있다. 용기 하부(20c)는, 용기(20)의 축방향 타단에 상당한다. 몸통부(20a)와 용기 상부(20b)가 용접에 의해 연결되고, 몸통부(20a)와 용기 하부(20c)가 용접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용기(20)는 밀폐되어 있다. 몸통부(20a)에는, 흡입 머플러(23)에 접속된 흡입관(21)이 마련되어 있다. 용기 상부(20b)에는, 토출관(22)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동기(40)의 상세를 설명한다.
전동기(40)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브러시레스 DC 모터이지만, 유도 전동기 등, 브러시레스 DC 모터 이외의 모터라도 좋다. 「DC」는, Direct Current의 약어이다.
전동기(40)는, 고정자(41)와, 회전자(42)를 갖는다.
고정자(41)는, 원통형상이고, 용기(2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42)는, 원주형상이고, 고정자(41)의 내측에 공극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공극의 폭은, 예를 들면, 0.3㎜ 이상 1.0㎜ 이하이다.
고정자(41)는, 고정자 철심(43)과, 권선(44)을 갖는다. 고정자 철심(43)은,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복수장의 전자강판을 일정한 형상에 타발하고, 축방향으로 적층하고, 코킹에 의해 고정하여 제작된다. 각 전자강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 1.5㎜ 이하이다. 고정자 철심(43)은, 외경이 용기(20)의 몸통부(20a)의 내경보다 크고, 용기(20)의 몸통부(20a)의 내측에 수축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권선(44)은, 고정자 철심(43)에 감겨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권선(44)은, 고정자 철심(43)에 절연부재를 통하여 집중권으로 감겨져 있다. 권선(44)은, 심선과, 심선을 덮는 적어도 한층의 피막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심선의 재질은, 구리이다. 피막의 재질은, AI/EI이다. 「AI」는, Amide-Imide의 약어이다. 「EI」는, Ester-Imide의 약어이다. 절연부재의 재질은, PET이다. 「PET」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약어이다.
또한, 고정자 철심(43)의 전자강판끼리를 고정하는 방법은, 코킹으로 한하지 않고, 용접 등,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고정자 철심(43)을 용기(20)의 몸통부(20a)의 내측에 고정한 방법은, 수축 끼워맞춤으로 한하지 않고, 압입 또는 용접 등,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권선(44)의 심선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라도 좋다. 절연부재의 재질은, PBT, FEP, PFA, PTFE, LCP, PPS 또는 페놀 수지라도 좋다. 「PBT」는, Polybutylene Terephthalate의 약어이다. 「FEP」는, Fluorinated Ethylene Propylene의 약어이다. 「PFA」는, Perfluoroalkoxy Alkane의 약어이다. 「PTFE」는, Polytetrafluoroethylene의 약어이다. 「LCP」는, Liquid Crystal Polymer의 약어이다. 「PPS」는, Polyphenylene Sulfide의 약어이다.
회전자(42)는, 회전자 철심(45)과, 영구자석(46)을 갖는다. 회전자 철심(45)은, 고정자 철심(43)과 마찬가지로, 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복수장의 전자강판을 일정한 형상에 타발하고, 축방향으로 적층하고, 코킹에 의해 고정하여 제작된다. 각 전자강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 1.5㎜ 이하이다. 영구자석(46)은, 회전자 철심(45)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영구자석(46)은, 자극을 형성한다. 영구자석(46)으로서는, 페라이트 자석 또는 희토류 자석이 사용된다.
또한, 회전자 철심(45)의 전자강판 사이를 고정하는 방법은, 코킹으로 한하지 않고, 용접 등,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회전자 철심(45)의 평면시 중심에는, 크랭크축(50)의 주축부(52)가 수축 끼워맞춤 또는 압입되는 축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자 철심(45)의 내경은, 주축부(52)의 외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회전자 철심(45)의 축구멍의 주위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관통구멍은, 후술하는 토출 머플러(35)로부터 용기(20) 내의 공간에 방출된 가스 냉매의 통로의 하나가 된다. 각각의 관통구멍은, 용기(20)의 상부에 인도된 냉동기유(25)를 용기(20)의 하부에 떨어뜨리기 위한 통로의 하나도 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전동기(40)가 유도 전동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회전자 철심(45)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롯에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으로 형성된 도체가 충전 또는 삽입된다. 그리고, 도체의 양단을 엔드 링으로 단락(短絡)한 케이지형 권선이 형성된다.
용기 상부(20b)에는, 인버터 장치 등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단자(24)와, 단자(24)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부착되는 로드(28)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24)는, 구체적으로는, 글라스 단자 등의 기밀(氣密) 단자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 단자(24)는, 용접에 의해 용기(20)에 고정되어 있다. 단자(24)에는, 전동기(40)의 권선(44)에 접속단자(47)를 통하여 접속된 접속선(26)이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자(24)와 전동기(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용기 상부(20b)에는, 축방향 양단이 개구한 토출관(22)이 또한 마련되어 있다. 압축 기구(30)로부터 토출되는 가스 냉매는, 회전자(42)와, 회전자(42)의 상방의 유분리판(29)을 순번대로 통과하여, 용기(20) 내의 공간부터 토출관(22)을 통하여 외부의 냉매 회로(11)에 토출된다.
유분리판(29)은, 냉매와 함께 퍼 올려진 용기(20) 내의 냉동기유(25)를 분리한다. 유분리판(29)은, 크랭크축(50)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고,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또는, 유분리판(29)은, 회전자(42)에 리벳 등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회전자(42)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냉동기유(25)는, 냉매보다도 비중이 크다. 그 때문에, 유분리판(29)은, 원심력에 의해 냉동기유(25)를 외주 방향으로 날려서 분리할 수 있다.
토출관(22)은, 용기 상부(20b)의 외주부에 설치되어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크랭크축(50)의 직상(直上)으로, 용기 상부(20b)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토출관(22)이 용기 상부(20b)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 유분리판(29)에 의해 분리된 냉동기유(25)가 토출관(22)에 진입하여, 용기(20) 밖으로 토출됨으로써, 용기(20) 내의 냉동기유(25)의 양이 감소하고, 압축 기구(30)의 윤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윤활성의 저하를 막기 위해, 토출관(22)은 용기 상부(20b)의 중앙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관(22)의 외경은, 용기 상부(20b)의 외경의 0.1배 이상 0.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토출관(22)을 용기 상부(20b)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저항 용접이 사용되고 있다. 토출관(22)은, 링 재(27)를 통하여 용기 상부(20b)에 접합되어 있다. 링 재(27)의 재질은, 철이다. 토출관(22)에 링 재(27)를 부착하고, 링 재(27)의 경사부를 용기 상부(20b)에 눌러댐으로써, 링 재(27)의 전둘레에 용기 상부(20b)가 간극 없이 접촉하여, 용접성이 향상한다. 토출관(22)은, 용기(20) 중에서 링 재(27)보다도 압축 기구(30)에 가까운 위치까지 늘어나 있다. 이와 같이, 링 재(27)보다도 토출관(22)을 압축 기구(30)를 향하여 돌출시킴으로써 링 재(27)의 경사부에 트랩 된 냉동기유(25)가 토출관(22)에 진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22)을 용기 상부(20b)에 부착하는 방법은, 저항 용접으로 한하지 않고, 납재를 이용한 가스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 등,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단, 가스 용접에서는 입열량이 많고, 입열(入熱) 범위가 넓다. 그 때문에, 토출관(22)을 가스 용접에 의해 부착한 후에, 단자(24)를 저항 용접에 의해 부착하는 경우, 용기 상부(20b)의 단자(24)를 부착하는 부분의 표면에 일그러짐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일그러짐이 생겨 있으면, 용기 상부(20b)의 표면과 단자(24)의 표면이 접촉하지 않아, 저항 용접시에 용접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토출관(22)의 용접에서도, 저항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입열량의 저감, 및, 입열 범위의 축소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뿐만 아니라 도 4도 참조하여, 압축 기구(30)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4는, 축방향에 따라 본 압축기(12)의 일부의 횡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압축 기구(30)는, 실린더(31)와, 롤링 피스톤(32)과, 주축받이(33)와, 부축받이(34)와, 토출 머플러(35)를 갖는다.
실린더(31)의 내주는, 평면시 원형이다. 실린더(31)의 내부에는, 평면시 원형의 공간인 실린더실(61)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31)의 외주면에는, 냉매 회로(11)로부터 가스 냉매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냉매는, 실린더실(61)에서 압축된다. 실린더(31)는, 축방향 양단이 개구하고 있다.
롤링 피스톤(32)은, 링형상이다. 따라서, 롤링 피스톤(32)의 내주 및 외주는, 평면시 원형이다. 롤링 피스톤(32)은, 실린더실(61) 내에서 편심 회전한다. 롤링 피스톤(32)은, 롤링 피스톤(32)의 회전축이 되는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실린더(31)에는, 실린더실(61)에 이어져서, 반경 방향으로 늘어나는 베인홈(62)이 마련되어 있다. 베인홈(62)의 외측에는, 베인홈(62)에 이어지는 평면시 원형의 공간인 배압실(63)이 형성되어 있다. 베인홈(62) 내에는, 실린더실(61)을 저압의 작동실인 흡입실과 고압의 작동실인 압축실로 구획하기 위한 베인(64)이 설치되어 있다. 베인(64)은, 선단이 둥글게 된 판형상이다. 베인(64)은, 베인홈(62) 내에서 활주하면서 왕복 운동한다. 베인(64)은, 배압실(63)에 마련된 베인 스프링에 의해 항상 롤링 피스톤(32)에 꽉 눌려 있다. 용기(20) 내가 고압이기 때문에, 압축기(12)의 운전이 시작하면, 베인(64)의 배압실(63)측의 면인 베인 배면에 용기(20) 내의 압력과 실린더실(61) 내의 압력의 차에 의한 힘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베인 스프링은, 주로 용기(20) 내와 실린더실(61) 내의 압력에 차가 없는 압축기(12)의 기동시에, 베인(64)을 롤링 피스톤(32)에 가압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주축받이(33)는, 측면시 역T자형상의 축받이이다. 주축받이(33)는,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보다도 위의 부분인 주축부(52)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크랭크축(50)의 내부에는, 급유로가 되는 관통구멍(54)이 축방향에 따라 마련되어 있고, 주축받이(33)와 주축부(52)의 사이에는, 이 관통구멍(54)을 통하여 빨아 올려진 냉동기유(25)가 공급됨으로써 유막이 형성되어 있다. 주축받이(33)는, 실린더(31)의 실린더실(61) 및 베인홈(62)의 상측을 폐색하고 있다. 즉, 주축받이(33)는, 실린더(31) 내의 2개의 작동실의 상측을 폐색하고 있다.
부축받이(34)는, 측면시 T자형상의 축받이이다. 부축받이(34)는,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보다도 아래의 부분인 부축부(53)에 활주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부축받이(34)와 부축부(53)의 사이에는, 크랭크축(50)의 관통구멍(54)을 통하여 빨아 올려진 냉동기유(25)가 공급됨으로써 유막이 형성되어 있다. 부축받이(34)는, 실린더(31)의 실린더실(61) 및 베인홈(62)의 하측을 폐색하고 있다. 즉, 부축받이(34)는, 실린더(31) 내의 2개의 작동실의 하측을 폐색하고 있다.
주축받이(33)와 부축받이(34)는, 각각 볼트 등의 체결구(36)에 의해 실린더(31)에 고정되어, 롤링 피스톤(32)의 회전축인 크랭크축(50)을 지지하고 있다. 주축받이(33)는, 주축받이(33)와 주축부(52) 사이의 유막의 유체 윤활에 의해 주축부(52)에 접촉하지 않고서 주축부(52)를 지지하고 있다. 부축받이(34)는, 주축받이(33)와 마찬가지로, 부축받이(34)와 부축부(53) 사이의 유막의 유체 윤활에 의해 부축부(53)에 접촉하지 않고서 부축부(53)를 지지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주축받이(33)에는, 실린더실(61)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매 회로(11)에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토출구는, 실린더실(61)이 베인(64)에 의해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되어 있을 때에 압축실에 이어지는 위치에 있다. 주축받이(33)에는, 토출구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토출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 토출 밸브는, 압축실 내의 가스 냉매가 소망하는 압력이 될 때까지 닫고, 압축실내의 가스 냉매가 소망하는 압력이 되면 열린다. 이에 의해, 실린더(31)로부터의 가스 냉매의 토출 타이밍이 제어된다.
토출 머플러(35)는, 주축받이(33)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토출 밸브가 열린 때에 토출된 고온이면서 고압의 가스 냉매는, 일단 토출 머플러(35)에 들어가고, 그 후 토출 머플러(35)로부터 용기(20) 내의 공간에 방출된다.
또한, 토출구 및 토출 밸브는, 부축받이(34), 또는, 주축받이(33)와 부축받이(34)의 양방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토출 머플러(35)는, 토출구 및 토출 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축받이의 외측에 부착된다.
용기(20)의 옆에는, 흡입 머플러(23)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 머플러(23)는, 냉매 회로(11)로부터 저압의 가스 냉매를 흡입한다. 흡입 머플러(23)는, 액냉매가 되돌아오는 경우에 액냉매가 직접 실린더(31)의 실린더실(61)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한다. 흡입 머플러(23)는, 실린더(31)의 외주면에 마련된 흡입구에 흡입관(21)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는, 실린더실(61)이 베인(64)에 의해 흡입실과 압축실로 구획되어 있을 때에 흡입실에 이어지는 위치에 있다. 흡입 머플러(23)의 본체는, 용접 등에 의해 용기(20)의 몸통부(20a)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크랭크축(50)의 편심축부(51), 주축부(52) 및 부축부(53)의 재질은, 주조재 또는 단조재이다. 주축받이(33) 및 부축받이(34)의 재질은, 주조재 또는 소결재이고, 구체적으로는, 소결강, 회주철 또는 탄소강이다. 실린더(31)의 재질도, 소결강, 회주철 또는 탄소강이다. 롤링 피스톤(32)의 재질은, 주조재이고, 구체적으로는, 몰리브덴, 니켈 및 크롬을 함유한 합금강, 또는, 철계 주조재이다. 베인(64)의 재질은, 고속도공구강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압축기(12)가 스윙식의 로터리 압축기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베인(64)이, 롤링 피스톤(32)과 일체로 마련된다. 크랭크축(50)이 구동되면, 베인(64)은, 롤링 피스톤(32)에 회전 자유롭게 부착된 지지체의 홈에 따라 왕복운동한다. 베인(64)은, 롤링 피스톤(32)의 회전에 따라 요동하면서 반경 방향으로 진퇴함에 의해, 실린더실(61)의 내부를 압축실과 흡입실로 구획한다. 지지체는, 횡단면이 반원 형상의 2개의 주형상 부재로 구성된다. 지지체는, 실린더(31)의 흡입구와 토출구의 중간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유지구멍에 회전 자유롭게 끼워진다.
***동작의 설명***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동작을 설명한다. 압축기(12)의 동작은,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냉매 압축 방법에 상당한다.
단자(24)로부터 접속선(26)을 통하여 전동기(40)의 고정자(41)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고정자(41)의 권선(44)에 전류가 흐르고, 권선(44)에서 자속이 발생한다. 전동기(40)의 회전자(42)는, 권선(44)에서 발생하는 자속과, 회전자(42)의 영구자석(46)에서 발생하는 자속과의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자(42)는, 고정자(41)의 권선(44)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회전 자계와 회전자(42)의 영구자석(46)의 자계와의 흡인 반발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회전자(42)의 회전에 의해, 회전자(42)에 고정된 크랭크축(50)이 회전한다.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압축 기구(30)의 롤링 피스톤(32)이 압축 기구(30)의 실린더(31)의 실린더실(61) 내에서 편심 회전한다. 실린더(31)와 롤링 피스톤(32) 사이의 공간인 실린더실(61)은, 베인(64)에 의해 흡입실과 압축실로 분할되어 있다. 크랭크축(50)의 회전에 수반하여, 흡입실의 용적과 압축실의 용적이 변화한다. 흡입실에서는, 서서히 용적이 확대함에 의해, 흡입 머플러(23)로부터 흡입관(21)을 통하여 저압의 가스 냉매가 흡입된다. 압축실에서는, 서서히 용적이 축소함에 의해, 속의 가스 냉매가 압축된다. 압축되어, 고압이면서 고온이 된 가스 냉매는, 토출 머플러(35)로부터 용기(20) 내의 공간에 토출된다. 토출된 가스 냉매는, 또한, 전동기(40)를 통과하여 용기 상부(20b)에 있는 토출관(22)부터 용기(20)의 밖으로 토출된다. 용기(20)의 밖으로 토출된 냉매는, 냉매 회로(11)를 통과하여, 재차 흡입 머플러(23)에 되돌아온다.
***구성의 상세한 설명***
도 3 외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한 압축기(12)의 구성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5는, 축방향에 따라서 본 압축기(12)의 일부의 상면을 도시하고 있다.
용기 상부(20b)는, 평면시에서 원형상이다.
용기 상부(20b)의 중심부에는, 토출관(22)이 마련되어 있다. 즉, 토출관(22)은, 용기(20)의 축방향 일단에서 용기(20)의 중심축과 겹쳐지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용기 상부(20b)에서, 토출관(22)의 주위에는, 복수의 단자(24)가 마련되어 있다. 즉, 복수의 단자(24)는, 용기(20)의 축방향 일단에서 용기(20)의 중심축과 어긋난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복수의 단자(24)는, 복수의 접속선(26)을 통하여 용기(20) 내의 전동기(4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각 단자(24)는, 용기 상부(20b)에 마련된 관통구멍에 끼워져 있다. 각 단자(24)의 최외각은, 그 관통구멍의 내주연(內周緣)에 당접하여 있다.
도 5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용기 상부(20b)에는, 축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로드(28)도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용기 상부(20b)에는, 온도 센서 등의 부속품이 또한 부착되어도 좋다.
복수의 단자(24)에는,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가 포함된다.
또한, 복수의 단자(24)에는,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와는 별개의 단자(24)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접속선(26)에는, 용기(20) 중에서 제1 단자(24a)와 전동기(40)를 전기 접속하는 제1 접속선(26a)과, 용기(20) 중에서 제2 단자(24b)와 전동기(40)를 전기 접속하는 제2 접속선(26b)이 포함된다.
또한, 복수의 단자(24)에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와는 별개의 단자(24)가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접속선(26)에는, 용기(20) 중에서 당해 별개의 단자(24)와 전동기(40)를 전기 접속한 별개의 접속선(26)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은,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인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의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의 길이 치수가 커도,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이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는 일 없이, 각각 용기(20) 중에서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와 전동기(40)를 전기 접속할 수 있다.
가령,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이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고 있다고 하면, 용기(20)의 상부 공간에 말려 올라간 냉동기유(25)가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의 교차 부분에 체류하고, 압축된 냉매 가스와 함께 토출관(22)으로부터 용기(20)의 밖으로 갖고 나오기 쉬워진다. 그 결과, 밀폐용기의 기밀 단자가 하나밖에 없는 경우에 비하여, 기름 순환율이 증가하여 버리고, 기름 고갈에 의해 압축기(12)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의 교차 부분을 생기게 하지 않음으로써, 기름 고갈에 의한 압축기(12)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접속선(26)에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과는 별개의 접속선(26)이 포함되는 경우, 제1 접속선(26a) 및 당해 별개의 접속선(26)도,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지 않고, 또한, 제2 접속선(26b) 및 당해 별개의 접속선(26)도,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지 않을 것이 요구되다. 따라서, 당해 별개의 접속선(26)도,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인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은, 각각 복수의 리드선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선(26a)이 3개의 리드선(W1, W2, W3)으로 구성되고, 제2 접속선(26b)이 3개의 리드선(W4, W5, W6)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의 각각에 포함된 복수의 리드선의 단(端)에는, 전동기(40)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47)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드선(W1, W2, W3)의 단에, 각각 접속단자(T1, T2, T3)가 마련되고, 리드선(W4, W5, W6)의 단에, 각각 접속단자(T4, T5, T6)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접속선(26a)에 포함된 적어도 1개의 리드선 및 제2 접속선(26b)에 포함된 적어도 1개의 리드선은, 각각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취출되고 나서,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리드선(W1, W2, W3)의 집합 및 2개의 리드선(W4, W5)의 집합이, 각각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로부터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취출되고 나서,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도되어 있다. 즉, 리드선(W1, W2, W3)은, 제1 단자(24a)로부터 취출되고 나서, 평면시로 거의 U자형상으로 구부러지고, 각각 구부러진 부분에서 접속단자(T1, T2, T3)까지의 부분이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인도되어 있다. 리드선(W4, W5)은, 제2 단자(24b)로부터 리드선(W1, W2, W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취출되고 나서, 평면시로 거의 U자형상으로 구부러지고, 각각 구부러진 부분에서 접속단자(T4, T5)까지의 부분이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리드선(W1, W2, W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의 어느 하나, 또는, 양편의 길이 치수가 더욱 커져도,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이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는 일 없이, 각각 용기(20) 중에서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와 전동기(40)를 전기 접속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드선(W6)의 길이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다. 그 때문에, 리드선(W6)은, 제2 단자(24b)로부터 리드선(W1, W2, W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취출되고 나서, 평면시로 거의 S자형상으로 구부러지고, 2번째로 구부러진 개소로부터 접속단자(T6)까지의 부분이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리드선(W1, W2, W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인도되어 있다. 그러나, 리드선(W6)의 길이 치수가 작지 않은 경우에는, 리드선(W6)도, 리드선(W4, W5)과 마찬가지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드선(W6)도, 제2 단자(24b)로부터 리드선(W1, W2, W3)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취출되고 나서, 평면시로 거의 U자형상으로 구부러지고, 각각 구부러진 부분에서 접속단자(T6)까지의 부분이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리드선(W1, W2, W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속선(26a)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리드선은, 평면시로 제1 단자(24a)와 용기(20)의 내주벽(20d)을 잇는 최단의 직선(L1)을 넘어서 인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접속선(26b)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리드선은, 평면시로 제2 단자(24b)와 용기(20)의 내주벽(20d)을 잇는 최단의 직선(L2)을 넘어서 인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선(26a)에 포함되는 복수의 리드선 중에서 최장의 리드선(W1)이, 직선(L1)을 넘어서 인도되고, 제2 접속선(26b)에 포함되는 복수의 리드선 중에서 최장의 리드선(W4)이, 직선(L2)을 넘어서 인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의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의 길이 치수가 더욱 크게 되어도,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을 서로로부터 확실하게 떼어놓을 수 있다.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는, 각각 3개의 핀(71)을 갖는다. 제1 접속선(26a)과 제1 단자(24a)와의 접속, 및, 제2 접속선(26b)과 제2 단자(24b)와의 접속에는, 각각 금속제의 접속단자를 수지제의 커버로 덮어서 구성되는 클러스터(72)가 사용되고 있다. 3개의 핀(71)에의 접속을 한번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 사이의 오결선(誤結線)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의 어느 일방에 클러스터(72)를 사용하고, 타방의 단자(24)에 커버 없는 금속제의 접속단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클러스터(72)에의 냉동기유(25)의 체류를 막기 위해,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의 양방에 커버 없는 금속제의 접속단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접속선(26)의 일단의 접속단자(47)와 접속선(26)의 타단의 클러스터(72)와 토출관(22)과의 위치 관계에 관해서는, 평면시로, 접속단자(47)와 클러스터(72) 사이에 토출관(22)이 배치되는 위치 관계라도 좋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평면시로, 접속단자(47)와 클러스터(72)의 사이에 토출관(22)이 배치되지 않는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관계를 채용함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접속선(26)을 토출관(22)으로부터 뗄 수 있다. 접속선(26)의 타단에 클러스터(72)를 사용하지 않고, 커버 없는 금속제의 접속단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실시의 형태의 효과의 설명***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접속선(26)이 용기(20)의 내주벽(20d)에 따라 인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선(26)의 길이 치수가 커도, 접속선(26)이 서로 교차하지 않고, 냉동기유(25)가 체류한 부분이 접속선(26)에 생기기 어렵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고정자(41)의 권선(4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이, 교차하는 일 없이 용기 상부(20b)의 제1 단자(24a) 및 제2 단자(24b)에 결선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동기유(25)가 체류하기 쉬운 접속선(26)의 교차 부분이 존재하지 않아, 냉동기유(25)가 토출관(22)으로부터 냉매 가스와 함께 압축기(12) 밖으로 갖고 나오기 어렵다. 그 결과, 기름 순환율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속 회전시의 고효율화와, 고속 회전 속도에서의 운전 가능화의 양립이 가능하고, 또한, 신뢰성이 높은 압축기(12)를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성***
본 실시의 형태는, 종치형의 압축기(12)뿐만 아니라, 횡치형의 압축기에서, 완형(梡形) 밀폐용기가 원통형 밀폐용기의 해방부에 압입되고, 중심에 토출관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접속선(26)의 느슨해짐에 의해 접속선(26)이 회전자(42)에 접촉하여,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24)의 3개의 핀에 접속되다, 접속선(26)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끼리를 플라스틱제의 슬리브로 결속하여도 좋다. 그 경우, 슬리브에의 냉동기유(25)의 체류를 억제하기 위해, 슬리브의 길이가 최단의 리드선의 60% 이하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선(26a)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W1, W2, W3)은, 이들 3개의 리드선(W1, W2, W3) 중에서 최단의 리드선(W3)의 60% 이하의 길이를 갖는 슬리브에 의해 묶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접속선(26b)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W4, W5, W6)은, 이들 3개의 리드선(W4, W5, W6) 중에서 최단의 리드선(W6)의 60% 이하의 길이를 갖는 슬리브에 의해 묶여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에 관해, 주로 실시의 형태 1과의 차이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 단자(24)와, 대응하는 복수의 접속단자(47)와의 위치 관계에 제한을 마련한다. 즉, 용기 상부(20b)의 토출관(22)의 중심과 제1 단자(24a)의 중심을 이은 직선(L3)에 대해, ±60°의 각도 범위인 제1 범위에, 전동기(40)의 고정자(41)의 권선(44)과 제1 접속선(26a)을 구성한 3개의 리드선(W1, W2, W3)을 각각 접속하는 3개의 접속단자(T1, T2, T3)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용기 상부(20b)의 토출관(22)의 중심과 제2 단자(24b)의 중심을 이은 직선(L4)에 대해, ±60°의 각도 범위인 제2 범위에, 전동기(40)의 고정자(41)의 권선(44)과 제2 접속선(26b)을 구성하는 3개의 리드선(W4, W5, W6)을 각각 접속하는 3개의 접속단자(T4, T5, T6)가 배치된다. 제1 범위와 제2 범위는, 평면시로 서로 중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접속선(26a)의 복수의 접속단자(47)는, 각각 평면시로 제1 단자(24a)의 중심과 토출관(22)의 중심을 이은 직선(L3)에 대해, 토출관(22)의 중심 주위 ±60도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접속선(26b)의 복수의 접속단자(47)는, 각각 평면시로 제2 단자(24b)의 중심과 토출관(22)의 중심을 이은 직선에 대해, 토출관(22)의 중심 주위 ±60도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접속선(26a)을 제1 단자(24a)에, 제2 접속선(26b)을 제2 단자(24b)에 결선함으로써,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에 포함되는 각 리드선이 토출관(22)의 가까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냉동기유(25)가 토출관(22)으로부터 냉매 가스와 함께 압축기(12) 밖으로 갖고 나오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접속선(26a) 및 제2 접속선(26b)에 포함되는 각 리드선을 필요 이상으로 연장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결선 가능해진다. 따라서, 접속선(26)끼리를 연결한 연결재 등의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용기(20) 내에서 접속선(26)이 느슨해짐, 회전자(42)에 접촉하여 단선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접속선(26)이 전동기(40)의 권선(44)에 접속단자(47)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선(26)이 전동기(40)의 권선(44)과 일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단자(24)에는, 전동기(40)의 권선(44)으로부터 연장된 접속선(26)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4.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용기(20)의 몸통부(20a)와 용기 하부(20c)가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20)의 몸통부(20a)와 용기 하부(20c)가 일체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10 : 냉동 사이클 장치
11 : 냉매 회로
12 : 압축기
13 : 4방밸브
14 : 제1 열교환기
15 : 팽창기구
16 : 제2 열교환기
17 : 제어 장치
20 : 용기
20a : 몸통부
20b : 용기 상부
20c : 용기 하부
20d : 내주벽
21 : 흡입관
22 : 토출관
23 : 흡입 머플러
24 : 단자
24a : 제1 단자
24b : 제2 단자
25 : 냉동기유
26 : 접속선
26a : 제1 접속선
26b : 제2 접속선
27 : 링 재
28 : 로드
29 : 유분리판
30 : 압축 기구
31 : 실린더
32 : 롤링 피스톤
33 : 주축받이
34 : 부축받이
35 : 토출 머플러
36 : 체결구
40 : 전동기
41 : 고정자
42 : 회전자
43 : 고정자 철심
44 : 권선
45 : 회전자 철심
46 : 영구자석
47 : 접속단자
50 : 크랭크축
51 : 편심축부
52 : 주축부
53 : 부축부
54 : 관통구멍
61 : 실린더실
62 : 베인홈
63 : 배압실
64 : 베인
71 : 핀
72 : 클러스터
L1 : 직선
L2 : 직선
L3 : 직선
L4 : 직선
T1 : 접속단자
T2 : 접속단자
T3 : 접속단자
T4 : 접속단자
T5 : 접속단자
T6 : 접속단자
W1 : 리드선
W2 : 리드선
W3 : 리드선
W4 : 리드선
W5 : 리드선
W6 : 리드선.

Claims (6)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하는 전동기와,
    상기 압축 기구와 상기 전동기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축방향 일단에 부착된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상기 용기의 내주벽에 따라 인도되고, 평면시로 서로 교차하는 일 없이, 각각 상기 용기 중에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와 상기 전동기를 전기 접속하는 제1 접속선 및 제2 접속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은, 각각 복수의 리드선이고, 상기 제1 접속선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리드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리드선은, 각각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보다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취출되고 나서, 상기 용기의 내주벽에 따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인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선에 포함되는 적어도 1개의 리드선은, 평면시로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용기의 내주벽을 잇는 최단의 직선을 넘어 인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은, 각각 복수의 리드선이고, 상기 복수의 리드선은, 상기 복수의 리드선 중에서 최단의 리드선의 60% 이하의 길이를 갖는 슬리브에 의해 묶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를 상기 용기의 밖으로 토출하기 위해, 상기 용기의 축방향 일단에서 상기 용기 중심축과 겹쳐지는 위치에 마련된 토출관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는, 상기 용기의 축방향 일단에서 상기 용기 중심축과 어긋난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은, 각각 복수의 리드선이고, 상기 복수의 리드선의 단에는, 상기 전동기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접속선 및 상기 제2 접속선의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는, 각각 평면시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의 중심과 상기 토출관의 중심을 이은 직선에 대해, 상기 토출관의 중심 둘레 ±60도의 범위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0207010676A 2017-10-24 2017-10-24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KR102328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7/038265 WO2019082255A1 (ja) 2017-10-24 2017-10-24 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262A true KR20200054262A (ko) 2020-05-19
KR102328761B1 KR102328761B1 (ko) 2021-11-22

Family

ID=66247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0676A KR102328761B1 (ko) 2017-10-24 2017-10-24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52376B2 (ko)
KR (1) KR102328761B1 (ko)
CN (1) CN111247339B (ko)
CZ (1) CZ309414B6 (ko)
WO (1) WO2019082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1001960A1 (ja) * 2019-07-03 2021-10-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ータリ圧縮機
JP7400459B2 (ja) 2019-12-26 2023-12-1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674A (ja) 2005-03-07 2006-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駆動装置、電動機駆動方法及び圧縮機
JP2009191822A (ja) 2008-02-18 2009-08-27 Toshiba Carrier Corp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00083680A (ko) * 2009-01-13 2010-07-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2012082776A (ja) 2010-10-13 2012-04-26 Toshiba Carrier Corp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1329A (en) * 1986-06-16 1988-12-13 Susumu Ubukata Motor protector mounting structure for enclosed electric compressors
JPS63182287U (ko) * 1987-05-14 1988-11-24
JPH036078U (ko) * 1989-06-09 1991-01-22
JPH087106Y2 (ja) * 1990-11-30 1996-02-28 三菱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動圧縮機
JP5014065B2 (ja) * 2007-11-01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
US8829747B2 (en) * 2008-10-10 2014-09-0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Electric compressor for car air conditioning
JP5380487B2 (ja) * 2011-05-13 2014-01-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密閉形電動圧縮機
JP5988005B1 (ja) * 2015-04-16 2016-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固定子、および、それを有するモータおよび圧縮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674A (ja) 2005-03-07 2006-09-1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動機駆動装置、電動機駆動方法及び圧縮機
JP2009191822A (ja) 2008-02-18 2009-08-27 Toshiba Carrier Corp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20100083680A (ko) * 2009-01-13 2010-07-2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2012082776A (ja) 2010-10-13 2012-04-26 Toshiba Carrier Corp 密閉型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52376B2 (ja) 2020-09-09
JPWO2019082255A1 (ja) 2020-05-28
CN111247339A (zh) 2020-06-05
CZ2020217A3 (cs) 2020-06-24
CZ309414B6 (cs) 2022-12-14
CN111247339B (zh) 2022-04-05
KR102328761B1 (ko) 2021-11-22
WO2019082255A1 (ja)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8761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WO2019102574A1 (ja) 電動機、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320908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JP6407432B2 (ja)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8475955B (zh) 电动机、压缩机、制冷循环装置及电动机的制造方法
CN106981935B (zh) 定子铁心、压缩机以及冷冻循环装置
JP6556342B2 (ja) 固定子、モータ、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1229742A1 (ja) 電動機、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992586B1 (ko) 압축기 및 냉동 사이클 장치
US11378080B2 (en) Compressor
JP6878443B2 (ja) ロータリ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