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968A -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968A
KR20200053968A KR1020180137527A KR20180137527A KR20200053968A KR 20200053968 A KR20200053968 A KR 20200053968A KR 1020180137527 A KR1020180137527 A KR 1020180137527A KR 20180137527 A KR20180137527 A KR 20180137527A KR 20200053968 A KR20200053968 A KR 20200053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strain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5439B1 (ko
Inventor
송호현
명길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37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439B1/ko
Priority to US17/290,965 priority patent/US20220040085A1/en
Priority to CN201980073824.2A priority patent/CN112996485A/zh
Priority to CA3117554A priority patent/CA3117554A1/en
Priority to PCT/KR2019/015077 priority patent/WO2020096379A1/ko
Priority to SG11202104033VA priority patent/SG11202104033VA/en
Publication of KR2020005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87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co-transformation
    • C12N15/90Stable introduction of foreign DNA into chromos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ir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종래 기능성 성분과 달리 피부 재생 효과를 가지면서 피부에 자극이 없어 안전하고, 자극을 완화하여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LOW IRRITATING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SKIN CALMING EFFECT COMPRISING CURTURE OR ITS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본 명세서에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또는 상기 균주, 파쇄물 또는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최근 화학 원료, 곤충 및 동물성 원료를 지양하게 됨에 따라 자연 유래의 친바이오 효능 원료를 찾을 필요가 대두되고 있다. 미생물 자원은 석유, 물 등과는 달리 재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자원으로 분류되고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 고유의 특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연구 및 산업적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편, 많은 피부 외용 제품들에 있어서, 피부 보호 목적과는 관련이 없는 성분들, 예컨대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은 그 사용이 불가피하지만, 이들 성분들은 민감한 피부에 여러 가지 부작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미백, 주름 개선, 각질 제거, 피부 재생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제품에 함유되는 AHA (알파 하이드록시산), 레티놀, 알부틴 등의 기능성 성분들은, 피부에 자극적이고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해 이들 물질은 최대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농도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컨대, 레티놀 및 그 유도체들은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효능 성분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반하여 피부 자극도 높아 민감한 피부에는 사용이 주의된다. 이에, 피부 자극 완화 또는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소재 개발이 필요하며, 또한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 그 기능성 효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소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08-0010443 A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 재생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 재생 및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142P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표시되는 18S rDNA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은 배양액의 에탄올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처 치유를 촉진하거나 흉터 형성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알파 하이드록시산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파 하이드록시산은 젖산 (lactic acid), 사과산 (Malic acid), 주석산 (Tartar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및 글리콜릭산 (Giyco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는 민감성 피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기탁번호가 KCCM12142P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GJW 균주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저자극 피부 재생 효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저자극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 재생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미생물 자원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피부에 자극이 없고 피부 재생 및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균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의 추출물에 대한 피부 세포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의 추출물에 대한 피부 재생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x축은 시간, y축은 재생된 면적 (wound healing area, %)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험예에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의 추출물에 대한 피부 진정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기능성 화장품에 함유된 기능성 성분, 예컨대 피부 재생 효능을 갖는 성분들 중에는 피부 자극이 높아 피부 트러불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재생 및 피부 진정 효능을 가지면서 피부에 자극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민감성 피부에도 사용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은 단독으로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 등과 함께 목적으로 하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는 통칭 흑효모 (black yeast)라고도 하며, 토양, 공기 중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중 하나로 환경 적응력이 매우 뛰어나다. A. pullulans는 낮은 습도, 고온, 높은 태양광 조사, 심지어 방사성 핵종 (radionuclides)이 있는 환경에서도 생존, 생장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 pullulans는 사람의 피부처럼 멜라닌 색소를 생성해 자외선이나 유기 프리 라디칼 (free radical)에 대해 스스로를 보호하고 균체 주변으로 풀루란 (pullulan)과 같은 베타-글루칸 등을 생성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N.A. Yurlova et al. 2008. Studies in Micrology 61: 39-49).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142P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표시되는 18S rDNA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기탁번호가 KCCM12142P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GJW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표시되는 18S rDNA를 갖는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저자극 피부 재생 효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저자극 피부 진정 효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균주는 균주를 배양하여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다음, 멸균된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용매, 예컨대 멸균유에 분산시키고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균주의 파쇄물은 균주 자체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 힘에 의하여 파쇄하여 얻은 산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균주의 배양물은 고체 배양 또는 액체 배양 등 배양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균주를 배양한 배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또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균주 배양의 결과물인 대사물 또는 분비물을 포함하는 물질 또는 그 파쇄물을 의미할 수 있고, 균주 자체도 배양물 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양물은 감자 추출물 (potato extract) 및 덱스트로스 (dextrose)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서 배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란, 균주 자체, 균주의 파쇄물, 균주의 배양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추출하여 얻어진 산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분획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은 배양액의 에탄올 분획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중량% 이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또는 2 중량% 이상으로 포함되고,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또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자극은 상기 조성물을 민감성 피부로 진단된 사람의 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피부 건조, 홍반, 발진, 각질,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 등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거나 민감성 피부 당사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자극이 미미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서 저자극은 상기 조성물 또는 유효성분을 HET-CAM 테스트를 통해 종결 반응 평가법으로 자극 점수를 평가하였을 때 S score 값이 6 미만, 5 미만, 4 미만, 3 미만, 2 미만, 1 미만 또는 0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서 저자극은 상기 조성물 또는 유효성분을 HET-CAM 테스트를 통해 반응 시간 측정법으로 자극 점수를 평가하였을 때 IS score 값이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이하, 1 이하 또는 0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HET-CAM 테스트는 토끼에 대한 안 자극 드레이즈 시험법에 대한 대체 시험법으로, 시험물질의 점막에 대한 급성 자극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법이다. 물질에 의한 눈의 결막 (conjunctiva)의 혈관 반응 정도를 대변하며, 수정 배양된 계란의 융모요막 (chorioallantoic membrane, CAM)에 시험물질을 적용하여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품종 (대개 화이트혼(white horn))이 낳은 신선하고 고유의 형태를 지닌 종란을 이용한다.
<1> 눈의 보정 (calibration)
종란의 상태는 입수때마다 Texapon Asv® (Cognis, 소듐 마그네슘 라우릴-미리스틸-6-에톡시-설페이트;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내부 기준 물질 (internal benchmark substance)로 이용하여 자극 정도에 따른 자극 역치값을 결정한다. 이때, 5% Texapon Asv®은 OCED 가이드라인 No. 405에 의거한 드레이즈 토끼 안 점막 자극 시험법 (Draize rabbit eye test)에서 중간 정도의 자극으로 EU Directives (EC,1991)에 의거하여 R36에 분류되어 있다.
[0.5% - 약함 - 출혈 및 융해]
[1.0% - 중간 - 출혈 및 융해]
[5.0% - 강함 - 출혈 및 융해]
상기 주어진 농도에 따라 적어도 2 개의 종란에 적용하여 그때 그때 반응 파라미터를 눈으로 확인하여 판단기준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며, 설명한 정도의 카테고리는 5분의 적용기간으로 결정된 것으로 사전시험의 주관적 평가의 표준이 된다.
<2> 사전시험 (Preliminary test)
사전시험은 본 실험을 반응시간측정법으로 할 것인지 종결반응평가법으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행한다.
- 시험물질을 준비된 종란에 떨어드린다.
- 액체: 300㎕
(** SOP 근거 논문: 고체인 경우 막을 적어도 25% 정도 충분히 덮을 정도의 양을 떨어뜨린다)
- 시험물질을 적용한 후, 모세혈관의 출혈 (hemorrhage), 융해 (lysis), 응고 (혈관내/혈관외)가 일어나는 것을 체크한다.
- 고체, 크림, 색이 있는 물질 또는 투과성이 없는 시험 물질의 경우 30초간 반응시킨 후 생리식염수로 20초간 세척한 다음, 시험 관찰자가 일정 기간 동안 (예컨대, 3분간) 관찰한다. 반응 후 하기 표 1의 반응에 대한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구체적 효과의 정도 영향 값
0 없음
1 약함
2 중간
3 심함
(**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는 아래의 요건과 일치하는가 확인 후 실시한다)
㈀ 반응시간측정법은 시험물질을 적용하였을 때 적용된 시험물질에 의해서 전 CAM을 관찰하는데 방해받지 않아야 한다 (전 CAM의 시야가 확보되어야 한다).
㈁ 종결반응평가법은 시험물질을 CAM에 적용한 후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였을 때, 시험물질이 막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 시험물질을 사용시에는 생리식염수로 세척한 후 적어도 30초 이상을 관찰한 후에 상기 표 1의 기준에 적용시킨다.
<2> 본 실험
[반응시간측정법]
- 각 시험물질당 6개의 종란을 이용한다.
- 초시계는 3개 이상을 준비한다.
- 사전시험에서 출혈과 융해 반응만 일어났다면 2개의 초시계를 왼손에 들고 오른손의 피펫 안의 물질 300 ㎕을 CAM에 적용하자마자 초시계를 작동한다.
- 주의 깊게 관찰하여 출혈과 융해가 처음 나타나기 시작한 때에 초시계를 정지시킨 후 초 단위로 용지에 기록한다.
- 응고반응이 일어나는 물질이라면 2개의 초시계 중 1개만 정지시키고 나머지 한 개로 융해를 관찰한 후 그 시점의 시간을 기억한다. 그리고 나서 정지시키지 않고 응고가 일어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 6개의 종란의 기록이 모두 끝난 후 자극지수를 구한다 (하기에 상술함).
- 실험이 있는 날에는 실험실내 권고물질인 음이온 계면활성제 Texapon Asv® (소듐 마그네슘 라우릴-미리스틸-6-에톡시-설페이트) 5% 농도로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각 파라미터에 대하여 관찰자의 눈을 항상 보정 (calibration)시켜야 한다. 이 권고물질은 자극지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표준물질이고 기준물질로서 사용된다. 사용되어진 농도의 물질은 드레이즈법 안 자극 실험에서 중간 정도의 자극으로 판명된다.
현상 설명
출혈 혈관으로부터의 출혈이 있음
(눈을 현미경으로 관찰시 볼 수 있는 눈결정과 비슷)
융해 CAM 상에서 작은 혈관이 사라짐
(결과: 출혈, 미세 혈관의 디스토니아, 또는 붕괴)
응고 단백질의 혈관내 응고(혈전증) 또는 혈관외 응고
(마치 열에 의해 계란 단백이 뿌옇게 변하는 것처럼 보임. 혈관내 변화를 현저하게 보기 위해서는 3%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처리하여 보면 확실함)
[종결반응평가법]
- 비투과성물질이라 CAM을 관찰할 수 없을 시에는 종결반응평가법을 시행한다.
- 반응시간측정법과 동일하게 시험물질 당 6개의 준비된 종란을 이용한다.
- 물질 적용 후 초시계를 누른다.
- 30초간 정체 후 30초에 이르렀을 때 생리식염수로 CAM을 20초간 조심스럽게 세척한다. 이때 너무 세게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CAM이 찢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 물질 처치 기간 동안 혈액이 같이 섞여 있다면 세척하는 동안 함께 씻겨나가게 되므로 세척 후 30초 후에 반응을 평가하여야 한다.
- 사전실험과 동일하게 각각의 반응에 대한 정도를 구분하고 리스트 (0=없음, 1=약함, 2=중간, 3=강한 반응)에 따른다.
<4> 결과산출
반응시간측정법에 따른 환산점수판정표는 표 3에 나타내었다. IS 값은 원 데이터로부터 300[IS]=5[301-H]+7[301-L]+9[301-C]의 수식으로 계산되며 0부터 21 사이의 값을 갖는다 (H, L, C는 300초까지의 관찰시간 동안 각각의 반응이 관찰되는 시작 시간임).
[IS] score 자극 미미
(slightly
Irritating)
약간 자극 (moderately irritating) 자극 (irritating) 심한 자극 (severely irritating)
5.0이하
5.0<IS≤10.0
10.0<IS≤15.0
15<IS<21.0
종결반응평가법에 의한 평가는 각 관찰 항목의 합 [S] 값으로 나타내며, 환산점수판정표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비투과성물질의 자극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험물질을 물에 용해시켜 최고의 농도로 반응시간측정법에 의해 산출해야 한다.
[S] score 자극 미미
(slightly
Irritating)
약간 자극 (moderately irritating) 자극 (irritating) 심한 자극 (severely irritating)
6미만
6≤S≤12
12<S<16
16이상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처 치유를 촉진하거나 흉터 형성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 또는 피부 트러블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 제품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 제품은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색소 및 기능성 성분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기능성 성분은 예컨대 미백, 주름 개선, 각질 제거 또는 피부 재생 등의 효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알파 하이드록시산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알파 하이드록시산은 카르복시산 (carboxylic acid)의 α 위치에 있는 탄소에 알코올기 (alcohol group) 또는 히드록시기 (hydroxy group)를 첨가한 화합물로서, 젖산 (lactic acid), 사과산 (Malic acid), 주석산 (Tartar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및 글리콜릭산 (Giyco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에 의한 피부 건조, 홍반, 발진, 각질, 가려움 또는 화끈거림을 완화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는 민감성 피부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민감한 피부를 지닌 사람의 손상된 피부를 피부에 자극 없이 재생 또는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 (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활택제 (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 측면에서 상기 조성물 1 ㎍/kg 내지 200 mg/kg, 다른 일 측면에서 50 ㎍/kg 내지 50 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으로서, 다양한 제형의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따른 유효성분 이외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 형태로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주사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에 대해 약제학적 용도를 갖는 국소 도포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0.001 내지 0.1 중량%, 프로판디올, 부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폴리올 5 내지 12 중량%, 피피지-13-데실테트라데세스-24 및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을 포함하는 가용화제 0.01 내지 1 중량%,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증제 0.3 내지 1 중량% 및 잔량으로 물을 포함하는 스킨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 0.001 내지 0.1 중량%,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 올레핀) 및 스쿠알란을 포함하는 오일 15 내지 20 중량%,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오스 디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 프로판디올, 부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폴리올 5 내지 12 중량%,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점증제 0.3 내지 1 중량% 및 잔량으로 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 및 합성 향미제 (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일 측면에서 약 5 내지 12 g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 측면에서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 염, 알긴산 및 그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는 제주도 곶자왈 지형의 콩짜개 덩굴에서 분리하였으며 그 분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채집된 콩짜개 덩굴을 멸균 증류수에 1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중량 대비 10배의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에 침지시킨 후 250 rpm의 속도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상기 PBS 용액을 생리식염수에 10배, 100배 비율로 희석한 후 PDA (potato extract 4g/L, dextrose 20g/L, agar 15g/L)에 접종하였다. 접종된 배지를 25~30℃에서 2일에서 7일까지 배양하였고, 미생물 집락 (colony)이 보이는 균주를 최소 2회에서 최대 4회까지 계대 배양하여 단일 균주를 최종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동정은 하기 표 5의 ITS1 프라이머 및 ITS4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18S rR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Gene Bank에서 검색한 결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F3-3-60의 18S rRNA 염기서열과 94% 유사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상기 균주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상기 균주를 2017년 10월 31일자로 기탁기관인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 기탁하고 기탁번호 KCCM12142P를 부여받았다.
서열번호 2 ITS1 5'-TCC GTA GGT GAA CCT GCG G-3'
서열번호 3 ITS4 5'-TCC TCC GCT TAT TGA TAT GC-3'
실시예 2.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 Aureobasidium pullulans ) GJW의 배양액 및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 균주를 배양 배지 (potato extract 4g/L, dextrose 20g/L)에 접종하고 5일 동안 30℃ 및 120 rpm 조건에서 배양하여 배양액을 획득하였다.
그 후,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 균주 배양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넣어 반응시키고 4℃에서 1일간 정치시켜 배양액의 에탄올 분획을 얻었다. 침전물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분리하였고 상기 에탄올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배양액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일반 효모 추출물 제조
일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7296) 균주를 배양 배지 (peptone 20g/L, dextrose 20g/L, yeast extract 10g/20L)에 접종하고 1일 동안 30℃ 및 120 rpm 조건에서 배양하여 배양액을 획득하였다.
그 후, 상기 일반 효모 배양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넣어 반응시키고 4℃에서 1일간 정치시켜 배양액의 에탄올 분획을 얻었다. 침전물은 원심분리를 통하여 분리하였고 상기 에탄올 분획을 동결건조시켜 배양액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세포 안전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이 피부 세포에 대해 안전성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을 정제수 (DW)에 용해시킨 후 피부각질형성세포 (HaCaT)에 처리하여 세포의 생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 × 105 cells/mL 농도의 피부세포를 96 well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각각 100 μL씩 분주하고 24시간을 배양한 다음, 여기에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을 각각 10 μg/mL, 20 μg/mL, 50 μg/mL 및 100 μg/mL 농도로 처리하고 추가로 24시간을 배양하였다. 실험은 농도별로 3회 반복하였다. 세포의 생활성은 MTT assay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무처리군의 생활성을 100%로 보았을 때 추출물 처리군의 생활성을 표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은 피부 세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피부 세포에 대해 안전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참조).
실험예 2. 피부 저자극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자극성 여부는 HET-CAM (The Hen's egg test-Chorioallantoic membrane)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HET-CAM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안 자극에 관하여 동물 및 인체 시험을 대체 및 사전 검사 (pre-screening)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수정란을 자동 배양기에서 온도 37.5±0.5℃, 습도 55±7%의 조건으로 9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10일째에 검란기를 통하여 기실이 관찰되어 CAM이 잘 발달된 수정란만을 선택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 대상 시료를 동일한 농도로 비히클에 희석하여 준비한 다음, 10일간 배양한 유정란의 융모요막에 도포하여 30초간 반응시킨 후 37℃ 멸균생리식염수로 조심스럽게 CAM을 세척하고 30초 경과한 시점에서 혈관의 출혈, 용해, 응고 반응 정도를 평가하여 자극 점수를 측정하였다. HET-CAM 테스트의 평가 방법 중 종결 반응 평가법을 이용하고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융모요막의 혈관 반응 (출혈, 용해, 응고)을 평가하고 각 항목의 값을 이용하여 측정된 S score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S score의 평가 기준표는 상기 표 4를 참조한다.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은 S score 값이 0으로 자극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일반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7296) 추출물은 S score 값이 7로 자극이 약하게 있는 수준 (moderately irritating)으로 확인되어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이 일반 효모 추출물에 비해 현저하게 저자극 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pullulans 추출물 일반 효모 추출물
[S] score 0 7
실험예 3. 피부 재생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이 피부 재생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층 (Monolayer)으로 채운 피부각질형성세포 (HaCaT)에 선형의 스크래치 손상 (wound)을 가하였다. HaCaT 세포는 10% FBS (Fetal bovine serum, Gibco, USA)가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Lonza, USA) 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 조건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스크래치를 가한 직후, 각 실험 대상 시료가 함유되어 있는 새 배지로 갈아주고 각 실험 대상 시료가 피부 재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시험 스크래치된 면적 (100% 기준)에 세포가 재생된 정도를 타임랩스 현미경으로 36시간 동안 30분 간격으로 이미징하고, 재생된 면적 (wound healing area, %)을 비교하였다 (n=4 per group).
그 결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은 12시간, 24시간 및 36시간에서 모두 무처리군 (CON) 대비 유의한 세포 재생 효능을 나타내었고, 뛰어난 재생 효능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마데카소사이드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은 재생 효능을 나타내었다. 반면, 일반 효모 추출물 (Saccharomyces cerevisiae KCTC7296)은 12시간, 24시간 및 36시간에서 모두 무처리군 (CON) 대비 유의한 세포 재생 효능이 확인되지 않았다 (도 2 및 표 7 참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은 스크래치 손상 36시간 후 무처리군 (CON)의 재생된 면적 대비 재생 면적 증가율이 약 10.3%로 확대된 재생 면적을 나타낸 반면, 일반 효모 추출물은 무처리군 (CON)의 재생된 면적 대비 재생 면적 증가율이 약 1.3%에 불과하여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은 일반 효모 추출물과 달리 우수한 재생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처리 물질 재생된 면적(%)
스크래치 손상 직후 12시간 후 24시간 후 36시간 후
CON(control) 0 27.36 49.99 63.39
10%FBS
(positive control)
0 34.92 83.03 99.88
마데카소사이드(12ppm) 0 33.56 54.56 62.48
GJW추출물(12ppm) 0 34.22 58.09 69.93
일반효모추출물(12ppm) 0 29.33 52.55 64.23
실험예 4. 피부 진정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이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람의 피부각질형성세포 (HaCaT)를 96 well 세포 배양 플레이트에 적정량 배양하고 배지를 제거한 다음,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를 이용하여 세포를 세척하고 0.1%의 젖산 (lactic acid)을 포함하는 배지로 치환해 주었다. 이때 상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함께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본 실험예에서 자극 반응에 대한 피부 진정 효과는 세포배양액에 분비된 IL-1α (interleukin-1α)의 농도를 ELISA ki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rmoFisher #BMS-243-2)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n=4 per group).
그 결과, 젖산으로 유도된 자극 반응에 의해 IL-1α의 농도가 증가하는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배양액의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젖산으로 유도된 자극 반응을 완화하여 피부 진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 참조).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0.01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부틸렌 글리콜 2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2 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에탄올 10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1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영양화장수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0.01 중량%, 밀납 4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5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 글리세린 3 중량%, 부틸렌 글리콜 3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영양크림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0.01 중량%, 밀납 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중량%,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중량%, 유동파라핀 10 중량%, 스쿠알란 5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부틸렌 글리콜 3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팩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0.01 중량%, 폴리비닐알콜 13 중량%,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탄올 5 중량%, 노닐페닐에테르 0.3 중량%, 미량 방부제, 미량 색소, 미량 향료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팩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5. 국소 투여용 약제 ( 패취제 )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국소 투여용 약제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2.0
베타-1,3-글루칸 3.0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0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0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0
정제수 잔량
total 100
제형예 6. 산제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2g, 유당 1g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7. 정제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8. 캡슐제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9. 환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1g, 유당 1.5g, 글리세린 1g, 자일리톨 0.5g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환 당 4g이 되도록 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0. 과립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150g, 대두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600mg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mg을 첨가하여 섭씨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1. 드링크제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12. 카라멜
상기 실시예 2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배양액 50mg, 옥수수 시럽 (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 및 성형하여 캬라멜을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수탁기관]
기탁기관명 : 한국미생물보존센터(국외)
수탁번호 : KCCM12142P
수탁일자 : 20171031
<110> AMOREPACIFIC CORPORATION <120> LOW IRRITATING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SKIN CALMING EFFECT COMPRISING CURTURE OR ITS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130> 18P504/IND <160> 3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74 <212> DNA <213> Unknown <220> <223> Aureobasidium pullulans GJW <400> 1 ggggactgcg gaggatcatt aagagtaagg gtgctcagcg cccgacctcc aaccctttgt 60 tgttaaaact accttgttgc tttggcggga ccgctcggtc tcgagccgct ggggattcgt 120 cccaggcgag cgcccgccag agttaaacca aactcttgtt attaaaccgg tcgtctgagt 180 taaaattttg aataaatcaa aactttcaac aacggatctc ttggttctcg catcgatgaa 240 gaacgcagcg aaatgcgata agtaatgtga attgcagaat tcagtgaatc atcgaatctt 300 tgaacgcaca ttgcgcccct tggtattccg aggggcatgc ctgttcgagc gtcattacac 360 cactcaagct atgcttggta ttgggtgccg tccttagttg ggcgcgcctt aaagacctcg 420 gcgaggcctc accggcttta ggcgtattag aatttattcg aacgtctgtc aaaggagagg 480 acttctgccg actgaaacct tttatttttc taggttgacc tcggatcagg tagggatacc 540 cgctgaactt aagcatatca ataaggcgga ggaa 574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1 primer <400> 2 tccgtaggtg aacctgcgg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TS4 primer <400> 3 tcctccgctt attgatatgc 20

Claims (16)

  1.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142P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인,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표시되는 18S rDNA를 갖는 것인,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은 배양액의 에탄올 분획물인,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상처 치유를 촉진하거나 흉터 형성을 완화하는 것인,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민감성 피부인,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저자극 피부 재생용 조성물.
  8.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 이의 파쇄물, 이의 배양물, 상기 균주의 추출물, 상기 파쇄물의 추출물 또는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기탁번호가 KCCM12142P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GJW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서열로 표시되는 18S rDNA를 갖는 것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물의 추출물은 배양액의 에탄올 분획물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것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알파 하이드록시산에 의한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것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 하이드록시산은 젖산 (lactic acid), 사과산 (Malic acid), 주석산 (Tartaric acid), 구연산 (citric acid) 및 글리콜릭산 (Giyco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5.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민감성 피부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저자극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0180137527A 2018-11-09 2018-11-09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645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27A KR102645439B1 (ko) 2018-11-09 2018-11-09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US17/290,965 US20220040085A1 (en) 2018-11-09 2019-11-07 Hypoallergen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skin soothing, containing culture product or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CN201980073824.2A CN112996485A (zh) 2018-11-09 2019-11-07 包含出芽短梗霉菌株的培养物或提取物的用于皮肤再生或皮肤镇定的低刺激组合物
CA3117554A CA3117554A1 (en) 2018-11-09 2019-11-07 Hypoallergen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skin soothing, containing culture product or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PCT/KR2019/015077 WO2020096379A1 (ko) 2018-11-09 2019-11-07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SG11202104033VA SG11202104033VA (en) 2018-11-09 2019-11-07 Hypoallergen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or skin soothing, containing culture product or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527A KR102645439B1 (ko) 2018-11-09 2018-11-09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968A true KR20200053968A (ko) 2020-05-19
KR102645439B1 KR102645439B1 (ko) 2024-03-11

Family

ID=7061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527A KR102645439B1 (ko) 2018-11-09 2018-11-09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40085A1 (ko)
KR (1) KR102645439B1 (ko)
CN (1) CN112996485A (ko)
CA (1) CA3117554A1 (ko)
SG (1) SG11202104033VA (ko)
WO (1) WO20200963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406A1 (ko) * 2021-02-22 2022-08-25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흑효모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2032B1 (ko) * 2022-12-01 2023-08-31 애경산업(주) Ak195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56A (ko) * 2002-06-21 2003-12-31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오레오바시디움 속 신균주 brd-109(기탁번호:kctc10182bp) 및 본 균주가 생산하는 베타-글루칸 생산방법
KR20080010443A (ko) 2005-04-28 2008-01-30 도쿠리쓰교세이호징 가가쿠 기주쓰 신코 기코 피부 재생 촉진제
KR20150028201A (ko) * 2013-08-30 2015-03-13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흑효모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98240B1 (en) * 2006-11-02 2013-09-11 Aureo Co., Ltd. Agent for promoting healing of living body
JP5913988B2 (ja) * 2012-01-06 2016-05-11 出光興産株式会社 Aureobasidiumpullulans菌体抽出物を含む多機能化粧品原料
CN111491644A (zh) * 2017-11-20 2020-08-0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包含出芽短梗霉菌株的培养物或者提取物的用于改善微细粉尘引起的皮肤损伤的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56A (ko) * 2002-06-21 2003-12-31 주식회사 바이오알앤즈 오레오바시디움 속 신균주 brd-109(기탁번호:kctc10182bp) 및 본 균주가 생산하는 베타-글루칸 생산방법
KR20080010443A (ko) 2005-04-28 2008-01-30 도쿠리쓰교세이호징 가가쿠 기주쓰 신코 기코 피부 재생 촉진제
KR20150028201A (ko) * 2013-08-30 2015-03-13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흑효모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민수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7, 46, 1568-1573(2017.12.31.)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406A1 (ko) * 2021-02-22 2022-08-25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흑효모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20511A (ko) * 2021-02-22 2022-08-30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흑효모 유래의 엑소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2032B1 (ko) * 2022-12-01 2023-08-31 애경산업(주) Ak195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04033VA (en) 2021-05-28
WO2020096379A1 (ko) 2020-05-14
US20220040085A1 (en) 2022-02-10
KR102645439B1 (ko) 2024-03-11
CN112996485A (zh) 2021-06-18
CA3117554A1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574B1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2645439B1 (ko)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의 배양물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 재생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5476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산자나무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617197B1 (ko) 피부노화 또는 피부주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9282B1 (ko) 복합효모발효 보리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보습용 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
KR10213965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87077B1 (ko) 피부 생리활성을 가지는 백년초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62347B1 (ko)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21137B1 (ko)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57674B1 (ko) 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6883B1 (ko) 복사나무 수지를 함유하는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또는 상처 치유용 조성물
KR102196051B1 (ko) 인진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1724529B1 (ko)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38329B1 (ko)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20140073631A (ko) 잎새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476671B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90053467A (ko) 세라티아 속 미생물의 배양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204696B1 (ko) 1-모노에이코사펜타에노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40003257A (ko) 사가섬 에조엔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119463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