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3289A -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3289A
KR20200053289A KR1020180136737A KR20180136737A KR20200053289A KR 20200053289 A KR20200053289 A KR 20200053289A KR 1020180136737 A KR1020180136737 A KR 1020180136737A KR 20180136737 A KR20180136737 A KR 20180136737A KR 20200053289 A KR20200053289 A KR 20200053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protein
carbonic anhydrase
gly
lys
ar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화
차형준
김수혁
문혁준
배병홍
유은지
조병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3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3289A/ko
Publication of KR2020005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88Lyases (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1/00Carrier-bound or immobilised enzymes; Carrier-bound or immobilised microbial cells; Preparation thereof
    • C12N11/14Enzymes or microbial cells immobilised on or in an inorganic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52Genes encoding for enzymes or pro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96Stabilising an enzyme by forming an adduct or a composition; Forming enzyme conjug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402/00Carbon-oxygen lyases (4.2)
    • C12Y402/01Hydro-lyases (4.2.1)
    • C12Y402/01001Carbonate dehydratase (4.2.1.1), i.e. carbonic anhydras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무수화효소에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단백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전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은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도입함으로써 규조암 등의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으로부터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를 한 번에 정제 및 고정화할 수 있어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FUSION PROTEIN COMPRISING CARBONIC ANHYDRASE AND SILICA AFFINITY PEPT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지구온난화이며, 상기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인 온실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기 위한 노력이 전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의 포집 및 저장 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은 기체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최종적으로 고체상태인 탄산칼슘 등으로 저장하는 기술로, 최근에는 자연계에서 얻을 수 있는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인 소의 탄산무수화효소(bovine carbonic anhydrase, BCA)를 이용하여 CCS 공정을 가속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P. Mirjafari et al. 2007. Ind. Eng. Chem. Res. 46(3), 921-926 및 N. Favre et al. 2009. J. Mol. Catal. B - Enzym. 60, 163-170 참조). 그러나, 상기 BCA는 생산 및 정제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이를 대규모 CCS 공정 등에 도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따라, 탄산무수화효소 재조합 단백질을 대장균 등을 이용하여 생산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생산된 재조합 단백질의 분리 및 정제공정이 여전히 복잡하고 비용이 적지 않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탄산무수화효소를 이용한 CCS 공정에서 50℃ 이상의 배가스(fuel gas)가 발생되므로, 단백질인 탄산무수화효소의 열 변성이 일어나지 않도록 높은 열 안정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또한, 효소를 재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화학적 고정화 방법은 유독물질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고정화가 용이한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 및 이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P. Mirjafari et al. 2007. Ind. Eng. Chem. Res. 46(3), 921-926 N. Favre et al. 2009. J. Mol. Catal. B - Enzym. 60, 163-170
본 발명은,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고정화가 용이한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탄산무수화효소에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가 결합된 융합단백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융합단백질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 된 형질전환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융합단백질을 정제 및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융합단백질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 된 형질전환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축적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으로부터 융합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융합단백질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융합단백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전환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은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도입함으로써 규조암 등의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고정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은 온도에서도 탁월한 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으로부터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를 한 번에 정제 및 고정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탄산무수화효소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조합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은 규조암 등의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효소의 재사용성이 매우 향상되므로, 대규모 CCS 공정 등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단백질이 규조암 표면에 고정화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단백질을 제조하기 위한 벡터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SDS-PAGE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단백질의 고온(60℃)에서의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융합단백질의 재활용에 따른 효소 활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에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silica affinity peptide)가 결합된 융합단백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융합단백질"이란, 상기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가 상기 탄산무수화효소의 N-말단, C-말단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되도록 합성된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산무수화효소"란, 내부에 아연을 포함하는 금속효소(metalloenzyme)로서 이산화탄소의 수화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상기 탄산무수화효소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α, β, γ, δ 및 ε형 탄산무수화효소, 및 인공 합성된 탄산무수화효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게노비브리오 마리너스(Hydrogenovibrio marinus) 유래의 탄산무수화효소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게노비브리오 마리너스 유래의 탄산무수화효소의 바람직한 예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탄산무수화효소를 코딩하는 핵산은 서열번호 2의 핵산 서열을 가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란, 실리카(silica) 표면을 갖는 지지체와 강하게 결합하는 성질을 갖는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상기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는 실리카 입자, 실리콘 웨이퍼(wafer), 규조암(diatomite) 또는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OS), 테트라메틸오르소실리케이트(TMOS), 메틸트리메톡시실란(MTMS), 디메틸디메톡시실란(DMS) 등의 실리카 전구체를 이용하여 광화(mineralized)된 실리카 나노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규조암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는 하기 표 1에 나타난 서열번호 3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이 1회 내지 10회 연속하여 연결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열 번호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 아미노산 서열
3 Ribosomal Protein L2 MAVVKCKPTSPGRRHVVKVVNPELHKGKPFAPLLEKNSKSGGRNNNGRITTRHIGGGHKQAYRIVDFKRNKDGIPAVVERLEYDPNRSANIALVLYKDGERRYILAPKGLKAGDQIQSGVDAAIKPGNTLPMRNIPVGSTVHNVEMKPGKGGQLARSAGTYVQIVARDGAYVTLRLRSGEMRKVEADCRATLGEVGNAEHMLRVLGKAGAARWRGVRPTVRGTAMNPVDHPHGGGEGRNFGKHPVTPWGVQTKGKKTRSNKRTDKFIVRRRSK
4 L2NC MAVVKCKPTSPGRRHVVKVVNPELHKGKPFAPLLEKNSKSGGRNNNGRITTRHIGGGHKQRVLGKAGAARWRGVRPTVRGTAMNPVDHPHGGGEGRNFGKHPVTPWGVQTKGKKTRSNKRTDKFIVRRRSK
5 L2C RVLGKAGAARWRGVRPTVRGTAMNPVDHPHGGGEGRNFGKHPVTPWGVQTKGKKTRSNKRTDKFIVRRRSK
6 L2(252-273) TKGKKTRSNKRTDKFIVRRRSK
7 CotB1p SGRARAQRQSSRGR
또한, 본 발명은 탄산무수화효소에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가 결합된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화학적 펩티드 합성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상기 융합단백질 코팅서열을 포함하는 유전자를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해 증폭하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 한 후 재조합 벡터에 클로닝하여 발현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 된 형질전환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융합단백질을 정제 및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조합 벡터"란, 목적하는 숙주세포에서 목적 펩타이드를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제작물을 의미한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상기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벡터는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플라스미드, 바이러스, 코즈미드 등 다양한 형태의 재조합 벡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벡터 pET22b(+)를 사용하였다.
상기 형질전환체는 상기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상기 재조합 벡터를 발현시켜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CaCl2 침전법, CaCl2 침전법에 DMSO(dimethyl sulfoxide)라는 환원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효율을 높인 Hanahan 방법,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 인산칼슘 침전법, 원형질 융합법, 실리콘 카바이드 섬유를 이용한 교반법, 아그로박테리아 매개된 형질전환법, PEG를 이용한 형질전환법, 덱스트란 설페이트, 리포펙타민 및 건조/억제 매개된 형질전환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질전환체의 수득에 사용되는 숙주세포 역시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제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숙주세포는 원핵 세포와 진핵 세포를 모두 포함하며, DNA의 도입효율이 높고, 도입된 DNA의 발현효율이 높은 숙주가 통상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장균(E. coli), 슈도모나스, 바실러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진균, 효모와 같은 주지의 진핵 및 원핵 숙주들, 스포도프테라 프루기페르다(SF9)와 같은 곤충 세포, CHO, COS 1, COS 7, BSC 1, BSC40, BMT 10 등의 동물 세포 등이 사용될 수 있는 숙주세포의 예이다. 바람직하게는 경제적인 생산을 위해 대장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가 발현되는 형질전환체를 영양배지에서 배양하면 본 발명의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을 대량으로 발현 및 축적할 수 있다. 배지와 배양조건은 숙주세포에 따라 관용되는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숙주세포의 배양시 세포의 생육과 단백질의 대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온도, 배지의 pH 및 배양 시간 등의 조건들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현유도인자로 IPTG(isopropyl-b-D-thiogalactopyranoside)를 사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유도할 수 있고, 유도시간은 단백질의 양이 최대화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비교적 간단하게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를 회수하고, 회수된 형질전환체로부터 파쇄액을 수득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모습을 도식화 하면 도 1의 왼쪽 그림과 같다. 또한, 도 1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융합단백질에 도입된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si-tag)가 규조암(diatomite) 등의 지지체에 결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고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 된 형질전환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축적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으로부터 융합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융합단백질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융합단백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으로부터 융합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수 방법은 제조된 본 발명의 융합단백질을 회수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 여과, 추출, 분무, 건조, 증방, 침전, 결정화, 전기영동, 분별용해(예를 들면 암모늄설페이트 침전), 크로마토그래피(예를 들면 이온 교환, 친화성, 소수성 및 크기배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capture) 및 전환(conversion)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방법은 상기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이산화탄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공급원, 예를 들면 폐수 또는 연도가스 등의 형태로 공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 및 전환한 다음에는, 금속 양이온 공급원을 추가하여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최종적으로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침전물로 전환함으로써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은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가 융합되어 규조암 등의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은 60℃ 이상의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도 탁월한 활성을 나타내고,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고온 환경에 노출될 기회가 높은 이산화탄소의 포집 및 전환 공정에서 급격한 활성의 저감 없이 우수한 효율을 유지하며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리카 친화성 단백질과 탄산무수화효소의 융합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벡터의 제조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하이드로게노비브리오 마리너스(Hydrogenovibrio marinus) 탄산무수화효소(hmCA)의 핵산 서열을 두 개의 프라이머 forward primer: 5'- CAT ATG CAT AGC AAT GCC C -3', backward primer: 5'- AAG CTT GTA ATA TTG ATA GTA ACG GTG A -3’를 이용하여 증폭하였고, 상기 증폭된 hmCA 핵산 서열을 Ndel, Hindlll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pET-22b(+) vector에 도입하였다.
그런 다음, 하기 표 2에 나타난 링커(linker)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Si-tag)를 코딩하는 핵산 서열을 포함하는 서열번호 10의 핵산 서열을 합성하고, Hindlll, Xhol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상기 hmCA 핵산 서열이 도입된 pET-22b(+) vector에 도입하였다.
상기 제조된 재조합 벡터는 도 2와 같이 도식화 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C-말단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와 결합할 수 있는 Si-tag를 갖게 된다.
서열 번호 핵산 핵산 서열
8 Linker GAGGGCAAGAGCAGCGGTAGCGGCAGCGAAAGCAAAAGCACC
9 Si-tag ATGGCGGTGGTTAAGTGCAAACCGACCAGCCCGGGTCGTCGTCACGTGGTTAAGGTGGTTAACCCGGAGCTGCACAAGGGCAAACCGTTCGCGCCGCTGCTGGAAAAGAACAGCAAAAGCGGTGGCCGTAACAACAACGGTCGTATCACCACCCGTCACATTGGTGGCGGTCACAAGCAACGTGTTCTGGGCAAGGCGGGTGCGGCGCGTTGGCGTGGTGTGCGTCCGACCGTTCGTGGTACCGCGATGAACCCGGTTGACCACCCGCACGGCGGTGGCGAGGGTCGTAACTTTGGCAAGCACCCGGTGACCCCGTGGGGTGTTCAAACCAAAGGCAAGAAAACCCGTAGCAACAAGCGTACCGATAAATTTATCGTGCGTCGTCGTAGCAAA
10 Linker+Si-tag AAGCTTGAGGGCAAGAGCAGCGGTAGCGGCAGCGAAAGCAAAAGCACCATGGCGGTGGTTAAGTGCAAACCGACCAGCCCGGGTCGTCGTCACGTGGTTAAGGTGGTTAACCCGGAGCTGCACAAGGGCAAACCGTTCGCGCCGCTGCTGGAAAAGAACAGCAAAAGCGGTGGCCGTAACAACAACGGTCGTATCACCACCCGTCACATTGGTGGCGGTCACAAGCAACGTGTTCTGGGCAAGGCGGGTGCGGCGCGTTGGCGTGGTGTGCGTCCGACCGTTCGTGGTACCGCGATGAACCCGGTTGACCACCCGCACGGCGGTGGCGAGGGTCGTAACTTTGGCAAGCACCCGGTGACCCCGTGGGGTGTTCAAACCAAAGGCAAGAAAACCCGTAGCAACAAGCGTACCGATAAATTTATCGTGCGTCGTCGTAGCAAACTCGAG
실시예 2. 재조합 벡터를 가지는 형질전환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벡터를 대장균(E. coli)에 도입하기 위하여 42°C에서 2분간 열충격을 가했으며 벡터가 도입된 각각의 형질전환체는 앰피실린이 첨가된 LB 배지에서 선별하였다.
실시예 3. 형질전환체를 이용한 융합단백질의 발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형질전환체를 50 μg/mL 앰피실린 첨가된 LB 배지에서 37°C 배양하여 배양액의 흡광도(OD600)가 0.6 내지 0.8 정도가 되었을 때 유도물질인 IPTG(isopropyl-b-D-thiogalactopyranoside, Sigmaaldrich, 최종 농도: 1 mM)을 첨가하고, 단백질 활성부위(active site)에 아연을 도입하기 위해 ZnSO4 0.1 mM 을 첨가한 후, 단백질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IPTG 첨가 후 추가로 12시간 동안 28℃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4. 융합단백질이 발현된 세포 파쇄액과 규조암을 이용한 효소 고정화
실시예 3에서 배양된 세포를 4000×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세포 파쇄를 위한 용액(25 m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0)에 부유시킨 다음 초음파 분쇄기(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파쇄하였다. 이때 비율은 0.6 g(wet weight)의 cell에 10 ml의 세포 파쇄 용액(phosphate buffer)을 넣어 주었다. 이후 파쇄된 세포를 9000x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회수하였다. 상기 상등액 0.8 ml에 규조암(diatomite) 0.2 g을 넣어 주고 1시간 동안 회전 믹싱기(SLB, SLRM-3)를 이용하여 잘 섞어 주었다. 그런 뒤 이를 10000×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버리고, 세척 용액(25 mM sodium phosphate, 0.2 M NaCl, pH 8.0) 1 ml를 넣어 30분간 회전 믹싱기를 이용하여 잘 섞어 주었다. 그런 뒤 다시 10000×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버리고 상기에서와 같은 세척 방법으로 두 번 더 세척했다. 이 과정이 끝난 뒤에는 세척 용액 1.6 ml에 재부유 해주었다. 그런 뒤 i) 처음 세포를 분쇄하고 원심분리를 한 용액, ii) 규조암과 이를 섞어 주고 원심분리를 해서 얻은 상등액, iii) 세척 작용이 끝난 뒤에 재부유한 용액 각각을 SDS-PAGE를 통해 분석하였다. SDS-PAGE 분석을 위해, 상기 파쇄된 세포의 단백질 총체를 포함하는 샘플들은 샘플용 완충액(0.5M Tris-HCl(pH 6.8), 10% 글리세롤, 5% SDS, 5% β-머캅토에탄올, 0.25% 브로모페놀 블루)과 혼합한 후, 5분간 100℃에서 끓이고, 12%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겔을 사용하여 전개한 후 쿠마시 블루로 염색하여(Bio-Rad) 검출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세포 분쇄액의 수용성 분액인 Wh를 보았을 때 원하는 단백질이 잘 생산 되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에서 단백질과 섞어준 뒤 세척 과정을 거친 규조암을 SDS해서 얻은 샘플인 Elu에서도 단백질이 있는 것을 보았을 때 고정화가 잘 되었고 세포 파쇄액에서 고정화가 단번에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도 3에서 FT는 붙지 않은 단백질을 의미한다.)
실시예 5. 발현된 융합단백질의 정제
실시예 3에서 배양된 세포를 4000×g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세포 파쇄를 위한 용액(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300mM NaCl, pH 8, 10 mM imidazole)에 부유시킨 다음 초음파 분쇄기(Fisher Scientific)를 이용하여 파쇄하였다. 세포 파쇄액을 10,000×g에서 20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의 탄산무수화효소를 분리, 정제하였다. 구체적으로, 니켈 레진이 충진된 컬럼(Qiagen)에 상등액을 적용하여 단백질과 컬럼이 결합하도록 하고, 세척 버퍼(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300mM NaCl, 30mM imidazole, pH 8.0)로 컬럼에 결합하지 않은 단백질을 씻어 내었다. 컬럼으로부터 단백질의 용출은 50 mM sodium phosphate buffer, 300mM NaCl, 250mM imidazole(pH 공개특허 10-2015-0122542 - 10 - 8.0)을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상기 정제된 용액은 투석을 통하여 25 mM sodium borate (pH 8.0)으로 바뀌며 염이 제거되었다.
실시예 6. 정제된 융합단백질과 규조암을 이용한 효소 고정화
실시예 5에서 정제된 재조합 융합단백질을 Protein Assay Dye Reagent Concentrate (Bio-Rad Cat. #50000006)와 플레이트 리더기(BIO-RAD, xMark)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Bradford assay), 이를 농도에 맞게 단백질을 희석하고 이를 규조암과 섞어 주었다. 이후, 상기 실시예 4에서와 같이 1시간 동안 섞어 주고 3회 세척한 후 재부유시켰다.
실시예 7. 고정된 융합단백질의 이산화탄소 포집 활성 확인
실시예 5 또는 6에서 준비된 단백질 용액이나 규조암이 재부유된 용액을 이용하여 탄산무수화효소의 이산화탄소 포집에 관한 활성을 측정하였다. 반응용액(20 mM Tris, 0.1 mM phenol red, pH 8.3) 600ul를 UV spectrometer cuvette(DAIHAN, KA. 1938)에 넣고 단백질 용액이나 규조암 용액을 0.5~ 7.0 ul 정도 넣어 주었다. 그런 뒤 4℃에서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용액을 400ul 넣어주었다. 이때 UV-spectrophotometer(SHIMADZU, UV-1800)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pH가 8.3에서 5.8까지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순수하게 반응용액과 이산화탄소 포화용액만을 넣었을 때 걸린 시간을 t0, 단백질이나 규조암을 같이 넣어주었을 때 걸린 시간을 t라고 할 때, 탄산무수화 효소의 이산화탄소 포집 활성은 (t0-t)/t 로 계산될 수 있다.
실시예 6에서 준비된 규조암 용액과 실시예 5에서 준비된 단백질 용액을 비교하면, 실시예 6에서 사용된 효소가 전부 붙고 세척과정에서 떨어지지 않았다고 가정할 경우, 규조암에 고정된 효소는 용액에 있는 효소에 비해서 최대 30.899 %의 활성을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값은 손실이 없다고 가정한 값이기 때문에 실제 이보다 더 큰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15-0122542에서 제조되고 정제된 hmCA와 같은 몰수로 계산하는 경우, 융합단백질의 활성은 약 46.8% 인 것으로 계산되었다.
실시예 8. 고정된 융합단백질과 비고정 융합단백질의 안정성 비교
실시예 5 또는 6에서 준비된 단백질 용액이나 규조암이 재부유된 용액을 열처리(jSR Plant Growth Chamber 기기를 이용하여 60℃, 상대습도 0%, rotation 180 rpm)를 해주면서, 시간에 따른 효소의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효소의 활성은 실시예 7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비고정(Free) 효소와 고정된(Immobilized) 효소의 활성차이는 도 4에 나타내었다.
공개특허 10-2015-0122542에서의 탄산무수화 효소는 14시간 경과시 16% 정도로 감소했으며 고정화되지 않은 융합단백질의 경우 15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초기 활성의 30% 정도로 감소한 반면, 고정된 융합단백질은 30시간 경과시까지 초기 활성의 70% 이상을 유지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지지체에 고정된 융합단백질의 열 안전성이 현저히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고정된 융합단백질의 재사용성 평가
실시예 6에서 준비된 규조암 용액을 이용하여 고정된 재조합 융합단백질이 재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실시예 7에 기재된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1회 반응이 끝날 때마다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용액을 제거한 뒤 이후의 반응을 진행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의 고정된 융합단백질을 4회 재활용 했을 때 초기 활성의 약 93% 정도를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원의 고정된 융합단백질이 매우 우수한 재사용성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110>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120> FUSION PROTEIN COMPRISING CARBONIC ANHYDRASE AND SILICA AFFINITY PEPT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130> P2018-0664-KR <160> 10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97 <212> PRT <213> Hydrogenovibrio marinus <400> 1 Met His Ser Asn Ala Pro Leu Ile Asp Leu Gly Ala Glu Met Lys Lys 1 5 10 15 Gln His Lys Glu Ala Ala Pro Glu Gly Ala Ala Pro Ala Gln Gly Lys 20 25 30 Ala Pro Ala Ala Glu Ala Lys Lys Glu Glu Ala Pro Lys Pro Lys Pro 35 40 45 Val Val His Asn Pro His Trp Ser Tyr Ser Gly Glu Glu Gly Pro Asp 50 55 60 His Trp Gly Asp Leu Ser Pro Asp Tyr Ala Thr Cys Lys Thr Gly Lys 65 70 75 80 Asn Gln Ser Pro Ile Asn Leu Met Ala Asp Asp Ala Val Gly Thr Thr 85 90 95 Ser Leu Pro Gly Phe Asp Val His Tyr Arg Asp Thr Val Leu Lys Val 100 105 110 Ile Asn Asn Gly His Thr Leu Gln Ala Asn Val Pro Leu Gly Ser Tyr 115 120 125 Ile Lys Ile Lys Asn Gln Arg Tyr Glu Leu Leu Gln Tyr His Phe His 130 135 140 Thr Pro Ser Glu His Gln Leu Asn Gly Phe Asn Tyr Pro Met Glu Leu 145 150 155 160 His Leu Val His Arg Asp Gly Arg Gly His Tyr Leu Val Ile Gly Ile 165 170 175 Leu Phe Arg Glu Gly Lys Glu Asn Asp Ala Leu Gln Thr Ile Leu Asn 180 185 190 His Leu Pro Lys Lys Val Gly Lys Gln Glu Ile Phe Asn Gly Ile Glu 195 200 205 Phe Asn Pro Asn Val Phe Phe Pro Glu Ser Lys Lys Phe Phe Lys Tyr 210 215 220 Ser Gly Ser Leu Thr Thr Pro Pro Cys Thr Glu Gly Val Tyr Trp Met 225 230 235 240 Val Phe Lys Gln Pro Ile Glu Ala Ser Ala Glu Gln Leu Glu Lys Met 245 250 255 Asn Glu Leu Met Gly Ala Asn Ala Arg Pro Val Gln Asp Leu Glu Ala 260 265 270 Arg Ser Leu Leu Lys Ser Trp Ser Asn Pro Lys Asn Asp Ser Gln Asp 275 280 285 His Arg Tyr Tyr Gln Tyr Tyr Leu Glu 290 295 <210> 2 <211> 891 <212> DNA <213> Hydrogenovibrio marinus <400> 2 atgcatagca atgccccatt gattgacttg ggcgcggaaa tgaaaaaaca gcacaaggag 60 gcagctcccg aaggcgctgc gccggctcaa ggtaaggcac ctgccgcgga agccaaaaaa 120 gaagaagcac ctaaaccaaa acccgttgtg cataacccac attggtctta ttcgggagaa 180 gaaggccccg accattgggg agacttgtcg cctgattatg caacctgtaa aaccggcaaa 240 aatcagtcac caattaactt gatggcagat gatgccgttg gcaccacttc actaccgggc 300 tttgatgtgc actaccgtga tacggttctt aaagtcatca acaacggcca cacgctgcaa 360 gccaacgtgc ctttgggtag ctatatcaaa atcaaaaatc agcgttatga gctgttgcag 420 tatcattttc ataccccctc agaacatcag ttgaacggtt tcaattatcc gatggagttg 480 catttggttc accgagatgg tcgtgggcat tatctggtaa ttggtatttt gttcagagag 540 ggtaaagaga acgatgcgtt gcaaactatc ctgaaccact tgcctaaaaa agtcggtaaa 600 caggaaattt ttaatggcat tgaatttaat ccaaatgtct ttttccctga aagtaaaaaa 660 ttctttaaat acagcggctc tttaaccaca ccgccttgta cggaaggggt ttattggatg 720 gtgttcaaac aaccaatcga agcgtcggcg gagcaacttg aaaagatgaa cgaattaatg 780 ggggcgaatg ctcgtcctgt tcaggatttg gaagctcgct cgttgttgaa atcttggagc 840 aatcctaaaa acgatagtca ggatcaccgt tactatcaat attacctcga g 891 <210> 3 <211> 27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ibosomal Protein L2 <400> 3 Met Ala Val Val Lys Cys Lys Pro Thr Ser Pro Gly Arg Arg His Val 1 5 10 15 Val Lys Val Val Asn Pro Glu Leu His Lys Gly Lys Pro Phe Ala Pro 20 25 30 Leu Leu Glu Lys Asn Ser Lys Ser Gly Gly Arg Asn Asn Asn Gly Arg 35 40 45 Ile Thr Thr Arg His Ile Gly Gly Gly His Lys Gln Ala Tyr Arg Ile 50 55 60 Val Asp Phe Lys Arg Asn Lys Asp Gly Ile Pro Ala Val Val Glu Arg 65 70 75 80 Leu Glu Tyr Asp Pro Asn Arg Ser Ala Asn Ile Ala Leu Val Leu Tyr 85 90 95 Lys Asp Gly Glu Arg Arg Tyr Ile Leu Ala Pro Lys Gly Leu Lys Ala 100 105 110 Gly Asp Gln Ile Gln Ser Gly Val Asp Ala Ala Ile Lys Pro Gly Asn 115 120 125 Thr Leu Pro Met Arg Asn Ile Pro Val Gly Ser Thr Val His Asn Val 130 135 140 Glu Met Lys Pro Gly Lys Gly Gly Gln Leu Ala Arg Ser Ala Gly Thr 145 150 155 160 Tyr Val Gln Ile Val Ala Arg Asp Gly Ala Tyr Val Thr Leu Arg Leu 165 170 175 Arg Ser Gly Glu Met Arg Lys Val Glu Ala Asp Cys Arg Ala Thr Leu 180 185 190 Gly Glu Val Gly Asn Ala Glu His Met Leu Arg Val Leu Gly Lys Ala 195 200 205 Gly Ala Ala Arg Trp Arg Gly Val Arg Pro Thr Val Arg Gly Thr Ala 210 215 220 Met Asn Pro Val Asp His Pro His Gly Gly Gly Glu Gly Arg Asn Phe 225 230 235 240 Gly Lys His Pro Val Thr Pro Trp Gly Val Gln Thr Lys Gly Lys Lys 245 250 255 Thr Arg Ser Asn Lys Arg Thr Asp Lys Phe Ile Val Arg Arg Arg Ser 260 265 270 Lys <210> 4 <211> 13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2NC <400> 4 Met Ala Val Val Lys Cys Lys Pro Thr Ser Pro Gly Arg Arg His Val 1 5 10 15 Val Lys Val Val Asn Pro Glu Leu His Lys Gly Lys Pro Phe Ala Pro 20 25 30 Leu Leu Glu Lys Asn Ser Lys Ser Gly Gly Arg Asn Asn Asn Gly Arg 35 40 45 Ile Thr Thr Arg His Ile Gly Gly Gly His Lys Gln Arg Val Leu Gly 50 55 60 Lys Ala Gly Ala Ala Arg Trp Arg Gly Val Arg Pro Thr Val Arg Gly 65 70 75 80 Thr Ala Met Asn Pro Val Asp His Pro His Gly Gly Gly Glu Gly Arg 85 90 95 Asn Phe Gly Lys His Pro Val Thr Pro Trp Gly Val Gln Thr Lys Gly 100 105 110 Lys Lys Thr Arg Ser Asn Lys Arg Thr Asp Lys Phe Ile Val Arg Arg 115 120 125 Arg Ser Lys 130 <210> 5 <211> 7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2C <400> 5 Arg Val Leu Gly Lys Ala Gly Ala Ala Arg Trp Arg Gly Val Arg Pro 1 5 10 15 Thr Val Arg Gly Thr Ala Met Asn Pro Val Asp His Pro His Gly Gly 20 25 30 Gly Glu Gly Arg Asn Phe Gly Lys His Pro Val Thr Pro Trp Gly Val 35 40 45 Gln Thr Lys Gly Lys Lys Thr Arg Ser Asn Lys Arg Thr Asp Lys Phe 50 55 60 Ile Val Arg Arg Arg Ser Lys 65 70 <210> 6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2(252-273) <400> 6 Thr Lys Gly Lys Lys Thr Arg Ser Asn Lys Arg Thr Asp Lys Phe Ile 1 5 10 15 Val Arg Arg Arg Ser Lys 20 <210> 7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otB1p <400> 7 Ser Gly Arg Ala Arg Ala Gln Arg Gln Ser Ser Arg Gly Arg 1 5 10 <210> 8 <211> 4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 <400> 8 gagggcaaga gcagcggtag cggcagcgaa agcaaaagca cc 42 <210> 9 <211> 39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i-tag <400> 9 atggcggtgg ttaagtgcaa accgaccagc ccgggtcgtc gtcacgtggt taaggtggtt 60 aacccggagc tgcacaaggg caaaccgttc gcgccgctgc tggaaaagaa cagcaaaagc 120 ggtggccgta acaacaacgg tcgtatcacc acccgtcaca ttggtggcgg tcacaagcaa 180 cgtgttctgg gcaaggcggg tgcggcgcgt tggcgtggtg tgcgtccgac cgttcgtggt 240 accgcgatga acccggttga ccacccgcac ggcggtggcg agggtcgtaa ctttggcaag 300 cacccggtga ccccgtgggg tgttcaaacc aaaggcaaga aaacccgtag caacaagcgt 360 accgataaat ttatcgtgcg tcgtcgtagc aaa 393 <210> 10 <211> 44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Linker+Si-tag <400> 10 aagcttgagg gcaagagcag cggtagcggc agcgaaagca aaagcaccat ggcggtggtt 60 aagtgcaaac cgaccagccc gggtcgtcgt cacgtggtta aggtggttaa cccggagctg 120 cacaagggca aaccgttcgc gccgctgctg gaaaagaaca gcaaaagcgg tggccgtaac 180 aacaacggtc gtatcaccac ccgtcacatt ggtggcggtc acaagcaacg tgttctgggc 240 aaggcgggtg cggcgcgttg gcgtggtgtg cgtccgaccg ttcgtggtac cgcgatgaac 300 ccggttgacc acccgcacgg cggtggcgag ggtcgtaact ttggcaagca cccggtgacc 360 ccgtggggtg ttcaaaccaa aggcaagaaa acccgtagca acaagcgtac cgataaattt 420 atcgtgcgtc gtcgtagcaa actcgag 447

Claims (10)

  1.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에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 (silica affinity peptide)가 결합된 융합단백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산무수화효소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α, β, γ, δ 및 ε형 탄산무수화효소, 및 인공 합성된 탄산무수화효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단백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산무수화효소는 하이드로게노비브리오 마리너스(Hydrogenovibrio marinus) 유래의 탄산무수화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단백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산무수화효소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단백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는 서열번호 3 내지 6의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및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이 1회 내지 10회 연속하여 연결된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단백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는 탄산무수화효소의 N-말단, C-말단 또는 이들 모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합단백질.
  7. 청구항 1의 융합단백질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 된 형질전환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축적하는 단계; 및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융합단백질을 정제 및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의 융합단백질 코딩서열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되어 형질전환 된 형질전환체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융합단백질을 발현 및 축적하는 단계;
    상기 배양된 형질전환체의 파쇄액으로부터 융합단백질을 정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정제된 융합단백질에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를 혼합하여 융합단백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표면을 갖는 지지체는 규조암(diatom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 또는 8에 따라 제조된 탄산무수화효소 융합단백질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의 포집(capture) 및 전환(conversion)방법.
KR1020180136737A 2018-11-08 2018-11-08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53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37A KR20200053289A (ko) 2018-11-08 2018-11-08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737A KR20200053289A (ko) 2018-11-08 2018-11-08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289A true KR20200053289A (ko) 2020-05-18

Family

ID=70913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737A KR20200053289A (ko) 2018-11-08 2018-11-08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32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74A1 (ko) * 2020-06-15 2021-12-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염 처리를 통해 실리카 나노입자에 고정화된 목적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14369593A (zh) * 2022-01-29 2022-04-19 天津大学 二氧化硅结合肽介导醇脱氢酶和胺脱氢酶共固定化级联反应制备手性胺的方法
KR20220136704A (ko) * 2021-04-01 2022-10-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열 안정성 증가를 위한 전세포 촉매의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 Favre et al. 2009. J. Mol. Catal. B - Enzym. 60, 163-170
P. Mirjafari et al. 2007. Ind. Eng. Chem. Res. 46(3), 921-926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74A1 (ko) * 2020-06-15 2021-12-23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염 처리를 통해 실리카 나노입자에 고정화된 목적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KR20220136704A (ko) * 2021-04-01 2022-10-11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열 안정성 증가를 위한 전세포 촉매의 생체모방 실리카 고정화 방법
CN114369593A (zh) * 2022-01-29 2022-04-19 天津大学 二氧化硅结合肽介导醇脱氢酶和胺脱氢酶共固定化级联反应制备手性胺的方法
CN114369593B (zh) * 2022-01-29 2024-04-30 天津大学 二氧化硅结合肽介导醇脱氢酶和胺脱氢酶共固定化级联反应制备手性胺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605B1 (ko) 재조합 생물촉매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탄산염으로 전환 및 제조 방법
KR20200053289A (ko) 탄산무수화효소 및 실리카 친화성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86922B (zh) 一种自组装双亲短肽及其应用
KR101591786B1 (ko) 해양 박테리아 유래의 재조합 생물촉매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포집방법
KR100961528B1 (ko) 대장균에서 활성형 인간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대량제조방법
CN107937364B (zh) 一种对映选择性提高的菜豆环氧化物水解酶突变体
CN110184254A (zh) 一种具有高耐碱性的酯酶突变体及其应用
CN112266908A (zh) 一种重组肌肽水解酶突变体及其应用
CN110592035B (zh) 一种羰基还原酶的突变体、重组表达载体及其在生产手性醇中的应用
CN115992103A (zh) 酶突变体及类蛇毒三肽的制备方法
CN108048423B (zh) 一种催化活性提高的菜豆环氧化物水解酶突变体及其应用
KR102420704B1 (ko) 염 처리를 통해 실리카 나노입자에 고정화된 목적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CN113088504B (zh) 一种改造的酸性磷酸酶及其应用
JPWO2019031574A1 (ja) D型アミノ酸脱水素酵素
CN117440963A (zh) 重组蛋白纯化方法
US9580488B2 (en) Fusion tags and expression vector system for the expression of human parathyroid hormone (rhPTH)
CN110066815B (zh) 海带α型碳酸酐酶基因Sjα-CA3及其编码蛋白和应用
CN106636019B (zh) Sortase A介导的(S)-羰基还原酶寡聚体高效催化(S)-苯基乙二醇的合成
US20120009657A1 (en) Novel fusion carbonic anhydrase/cellulose binding polypeptide encoded by a novel hybrid gene, and method of creating and using the same
JPWO2005075652A1 (ja) グルタリル−7−アミノセファロスポラン酸(GL−7−ACA)アシラーゼ活性が増強された改変γ−グルタミルトランスペプチダーゼ(改変GGT)の製造方法
CN116041451B (zh) 一种内含肽变体及其在生物法制备蓝铜胜肽中的应用
CN110551181A (zh) 一种人乳头瘤病毒66型l1蛋白的突变体
CN117721165B (zh) Atp再生体系和多肽的合成方法
CN114854782B (zh) 一种高效表达具有高活性的重组多肽连接酶原的方法
KR102009709B1 (ko) 융합 폴리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인간 부갑상선 호르몬 1-84를 생산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