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2076A - 레일 표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표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2076A
KR20200052076A KR1020180135201A KR20180135201A KR20200052076A KR 20200052076 A KR20200052076 A KR 20200052076A KR 1020180135201 A KR1020180135201 A KR 1020180135201A KR 20180135201 A KR20180135201 A KR 20180135201A KR 20200052076 A KR20200052076 A KR 20200052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unit
coupled
support fram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107B1 (ko
Inventor
민경찬
이순구
최영길
백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경기업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경기업,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경기업
Priority to KR102018013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1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12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 E01B31/17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by gr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04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rails, T, I, H or other simila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1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레일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안정적으로 연마될 수 있도록 한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일측에는 제 1 지지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베이스가 힌지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 1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조작나사봉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엔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걸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마석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마유닛과, 일단은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마유닛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박스와, 상기 전동박스를 통해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과 상기 연마석의 회전축을 구동연결하는 전동유닛과, 상기 조작나사봉과 상기 연마유닛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작나사봉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연마유닛을 회동시켜 상기 연마석이 상기 레일의 횡단면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는 연마석 회동유닛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에는 레일에 끼워져 롤링되는 제 1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레일 표면 연마장치{APPARATUS FOR GRINDING SURFACE OF RAIL}
개시된 내용은 레일 표면을 연마석으로 고르게 연마하기 위한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레일은 용접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용접 부위는 레일의 표면을 울퉁불퉁하고 불규칙하게 만들므로 연마에 의해 레일 표면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레일에는 전술한 용접 부위 이외에도 일정 길이의 레일이 서로 연결되는 레일 연결부와, 열차 주행 시 열차바퀴와의 마찰에 의한 찰상, 마모 등에 의해 형성되는 표면 손상부가 필연적으로 형성된다.
레일의 원활한 성능 발휘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용접 부위, 레일 연결부 또는 표면 손상부 등으로 인한 레일의 불규칙한 표면을 고르게 연마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작업을 위해 레일 표면 연마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062285호(2010.06.10. 공개)에는 경전철용 콘크리트 주행레일에 대한 연마 수행을 위한 장치로서, 주행경로 외벽에 설치된 안내레일 상에 위치하는 두 쌍 이상의 주행륜과, 상기 주행륜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차축과, 차축과 차축 사이를 연결하는 차대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경전철용 콘크리트 주행레일 상을 이동하는 이동대차; 및 상기 이동대차를 구성하는 차축 중 전방차축으로부터 상기 주행레일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에 주행레일과 접촉하는 전처리휠과, 상기 전처리휠에 동력을 제공하여 전처리휠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전처리부와, 상기 이동대차를 구성하는 차축 중 상기 전방차축 후방에 이격된 후방차축으로부터 상기 주행레일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면서 주행레일에 대한 수직높이 조절이 가능한 원판형 연마휠과, 상기 원판형 연마휠에 동력을 제공하여 원판형 연마휠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연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전철용 콘크리트 주행레일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경우에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대차에 설치되고 별도의 가이드레일이 필요하므로 레일의 연마가 필요한 국부적인 장소에 신속하게 설치하여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경우에는 레일의 상부면만 연마 가능할 뿐 측면은 연마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으며 경전철용 콘크리트 주행레일에 국한되어 일반 범용 철도 레일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다른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97502호(2017.01.18. 공고)에는 상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매립형 궤도 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며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부재와, 횡방향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도록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한 쌍의 횡방향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서, 레일 표면 연마장치가 레일에 설치되도록 레일에 결합되는 프레임과, 횡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 이루어지며, 양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종방향 프레임에 결합되고, 종방향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에서 종방향 프레임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수평이동 프레임부재과, 상기 수평이동 프레임부재에 결합되어 수평이동 프레임부재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승하강부와, 상기 승하강부를 따라 연직방향으로 승하강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는 연마석이 결합되어 있어서 연마석을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손쉽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레일의 상부면만 연마 가능할 뿐 측면은 연마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137657호(2011.12.23. 공개)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97502호(2017.01.18. 공고)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따라 레일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측면까지 안정적으로 연마될 수 있도록 한 레일 표면 연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일측에는 제 1 지지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베이스가 힌지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 1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조작나사봉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엔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걸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마석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마유닛과, 일단은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마유닛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박스와, 상기 전동박스를 통해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과 상기 연마석의 회전축을 구동연결하는 전동유닛과, 상기 조작나사봉과 상기 연마유닛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작나사봉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연마유닛을 회동시켜 상기 연마석이 상기 레일의 횡단면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는 연마석 회동유닛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에는 레일에 끼워져 롤링되는 제 1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연마석에 의해 연마되는 레일과 나란히 연장되는 인접레일로 연장되고 단부에는 상기 인접레일 상을 주행하는 제 2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의하면, 조작나사봉의 수동조작에 의해 연마석이 레일의 횡단면을 따라 이동 가능함에 따라 레일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레일의 측면까지 선택적으로 연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의하면, 연마대상 레일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접 레일에 보조지지대가 주행가능하게 걸쳐짐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레일 표면의 연마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레일의 상부면을 연마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레일의 측면을 연마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있어서, 전동유닛에 의한 전동구조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있어서, 연마석 회동유닛의 작동구조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에 있어서, 조작나사봉의 회전구동에 따른 레일가이드의 회동작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레일의 상부면을 연마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레일의 측면을 연마하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는 레일(3)의 불규칙한 표면을 고르게 연마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에는 제 1 지지대(1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지지대(13)가 구비되며 제 2 지지대(13)의 상단에 회동베이스(15)가 힌지결합되는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제 1 지지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조작나사봉(20)과, 지지프레임(10)의 회동베이스(15)에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엔진(30)과, 지지프레임(10)의 양측에 걸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마석(41)이 회전축(43)을 통해 회전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마유닛(40)과, 일단은 구동엔진(30)의 출력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연마유닛(40)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박스(50)와, 전동박스(50)를 통해 구동엔진(30)의 출력측과 연마석(41)의 회전축(43)을 구동연결하는 전동유닛(60)과, 조작나사봉(20)과 연마유닛(40)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조작나사봉(20)의 회전조작에 따라 연마유닛(40)을 회동시켜 연마석(41)이 레일(3)의 횡단면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는 연마석 회동유닛(70)과, 지지프레임(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에는 레일(3)에 끼워져 롤링되는 제 1 가이드롤러(81)가 구비되는 레일가이드(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0)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구성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에 해당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는 "⊃" 형상의 하부프레임부재와, 이 하부프레임부재의 양측에 걸쳐 수직으로 결합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 형상의 상부프레임부재와, 하부프레임부재의 양측 하부에 결합되어 연마유닛(4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지지프레임(10)의 일측에는 제 1 지지대(11)가 구비된다. 제 1 지지대(11)는 차후에 설명될 조작나사봉(20)이 수직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평행봉의 상하부가 조작나사봉(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의 타측에는 제 2 지지대(13)가 구비된다. 제 2 지지대(13)는 회동베이스(15)의 후방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부분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연장되는 수직브래킷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제 2 지지대(13)의 상단에는 회동베이스(15)가 힌지결합된다. 회동베이스(15)는 차후에 설명될 구동엔진(30)이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에 해당하는 것으로, 후방 양측은 제 2 지지대(13)에 힌지결합되도록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의 하측에는 지지롤러(17)가 구비된다. 지지롤러(17)는 레일(3)의 상부 외측면에 구름접촉되어 연마석(41)이 레일(3)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1개씩 이격되어 배열되는 롤러쌍으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제 1 지지대(11)에는 조작나사봉(2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된다. 조작나사봉(20)은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면서 차후에 설명될 연마석 회동유닛(70)을 연동시킴에 따라 연마석(41)을 포함하는 연마유닛(40)이 레일의 횡단면을 따라 레일의 상부면과 측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나사봉 형태로 형성된다.
조작나사봉(20)의 회전 조작을 위해 조작나사봉(20)의 상측에는 원형의 핸들(21)이 구비되고 핸들(21)에는 파지돌기(23)가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회동베이스(15)에는 구동엔진(30)이 탑재된다. 구동엔진(30)은 연료의 연소를 통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측에는 연료통이 구비되고 출력측으로는 회전축이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구동엔진(30)은 예를 들어 도로노면 커팅기 등과 같이 작업자에 의해 작동되는 수동기계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양측에 걸쳐 연마유닛(40)의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마유닛(40)은 레일(3)의 표면을 실제로 절삭하는 구성부재로, 지지프레임(10)의 양측에 걸쳐 연결되는 수평챔버부재의 중앙에 수직챔버부재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연마유닛(40)의 중앙 하부에는 연마석(41)이 회전구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연마석(41)의 회전축(43)은 수직챔버부재를 통해 수직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술한 일단은 구동엔진(30)의 출력측과 연마유닛(40)의 상부 일측, 다시 말해 수직챔버부재에는 전동박스(50)의 양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동박스(50)는 차후에 설명될 전동유닛(60)의 설치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구동엔진(30)을 지지하는 회동베이스(15)가 연마유닛(40)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구성부재이다.
전술한 전동박스(50)를 통해 전동유닛(60)이 배열된다. 전동유닛(60)은 구동엔진(30)의 출력측과 연마석(41)의 회전축(43)을 구동연결함에 따라 구동엔진(30)의 회전동력이 연마석(41)의 회전축(43)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는 이러한 전동유닛(60)에 의한 전동구조도가 도시된다.
전동유닛(6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동엔진(30)의 출력측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전동박스(50)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스프로킷(61)과, 전동박스(50)의 내부 하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연마석(41)의 회전축(43)으로 수평연장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축(62)과, 전동축(62)의 일단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제 2 스프로킷(63)과, 제 1 및 제 2 스프로킷(61. 63)을 구동연결하는 전동체인(64)과, 전동축(62)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1 베벨기어(65)와, 연마석(41)의 회전축(43)에 결합되고 제 1 베벨기어(65)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66)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엔진(30)의 회전동력은 전동체인(64)을 통해 전동축(62)으로 전달되고 전동축(62)으로 전달된 회전동력은 제 1 및 제 2 베벨기어(65, 66)의 치합에 의해 연마석(41)의 회전축(43)으로 전달됨에 따라 연마석(41)이 최종적으로 회전구동된다.
전술한 조작나사봉(20)과 연마유닛(40)의 일단부 사이에는 연마석 회동유닛(70)이 개재된다. 연마석 회동유닛(70)은 조작나사봉(20)의 회전조작에 따라 연마유닛(40)을 회동시켜 연마석(41)이 레일(3)의 횡단면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4에는 이러한 연마석 회동유닛(70)의 작동구조가 도시된다.
연마석 회동유닛(70)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나사봉(20)에 결합되어 조작나사봉(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블럭(71)과, 승강블럭(71)에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73)와, 지지프레임(10)의 제 1 지지대(11)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연결대(73)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력전달돌기(75')가 돌출형성되는 제 1 구동기어(75)와, 연마유닛(40)의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제 1 구동기어(75)에 치합되는 회동되는 제 2 전동기어(77)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작나사봉(30)의 회전에 따라 승강블럭(71)이 승강되면서 연결대(73)에 연결된 제 1 구동기어(75)가 회동력전달돌기(75')에 의해 전달되는 회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제 2 전동기어(77)를 연동회전시킴에 따라 제 2 전동기어(77)가 일측에 고정된 연마유닛(40)을 회동시켜 최종적으로 연마석(41)이 레일(3)의 횡단면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지지프레임(10)의 양측 단부에는 레일가이드(80)가 각각 결합된다. 레일가이드(80)는 레일(3)에 끼워져 구름접촉됨에 따라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가 레일(3)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레일가이드(80)의 전후방에는 레일(3)에 끼워져 롤링되는 제 1 가이드롤러(81)가 구비된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1)의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한 레일 표면의 연마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마석(41)에 의해 연마되는 레일(3)과 나란히 연장되는 인접레일(3')으로 연장되어 주행가능하게 지지대되는 보조지지대(9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지지대(90)는 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연마석(41)에 의해 연마되는 레일(3)과 나란히 연장되는 인접레일(3')로 연장되는 봉부재 형태로 형성되되, 단부에는 인접레일(3') 상을 주행하는 제 2 가이드롤러(91)가 구비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1)의 경우에는 전술한 레일가이드(80)가 연마석 회동유닛(70)에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5에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레일가이드회동유닛(100)의 구조가 도시된다.
레일가이드회동유닛(100)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레일가이드(80)를 연마석 회동유닛(70)에 연동되어 지지프레임(10)의 양측단에 대해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마석 회동유닛(70)의 제 1 전동기어(77)의 중심축(77')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 1 전동기어(77)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구동기어(101)와, 레일가이드(80)에 형성되고 제 2 구동기어(101)에 내접하는 제 2 전동기어(103)를 포함한다.
연마석 회동유닛(70)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 1 전동기어(77)가 회전될 때 제 1 전동기어(77)의 중심축(77')에 연결된 제 2 구동기어(101)가 회전구동되고, 이에 치합된 제 2 전동기어(103)에 의해 레일가이드(80)가 지지프레임(10)의 양측단에 대해 회동된다.
이 때 제 1 구동기어(75)와 제 1 전동기어(77)의 기어비와 제 2 구동기어(101)와 제 2 전동기어(103)의 기어비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되, 후자가 전자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경우에는 구동엔진(20)의 작동에 따라 연마유닛(40)의 연마석(41)이 전동박스(50) 내의 전동유닛(60)을 통해 회전구동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조작나사봉(20)을 수동 회전조작하게 되면, 조작나사봉(20)에 연동되는 연마석 회동유닛(70)에 의해 연마석(41)을 포함한 연마유닛(70)이 지지프레임(10)에 대해 회동되면서 연마석(41)이 레일의 횡단면을 따라 이동 가능함에 따라 레일(3)의 상부면 뿐만 아니라 레일(3)의 측면까지 선택적으로 연마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표면 연마장치의 경우에는, 연마석(41)에 의해 연마되는 레일(3)과 나란히 연장되는 인접레일(3')에 보조지지대(90)가 주행가능하게 걸쳐짐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레일 표면의 연마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 레일
3' : 인접레일
10 : 지지프레임
11 : 제 1 지지대
13 : 제 2 지지대
15 : 회동베이스
17 : 지지롤러
20 : 조작나사봉
21 : 핸들
23 : 파지돌기
30 : 구동엔진
40 : 연마유닛
41 : 연마석
43 : 회전축
50 : 전동박스
60 : 전동유닛
61 : 제 1 스프로킷
62 : 전동축
63 : 제 2 스프로킷
64 : 전동체인
65 : 제 1 베벨기어
66 : 제 2 베벨기어
70 : 연마석 회동유닛
71 : 승강블럭
73 : 연결대
75 : 제 1 구동기어
75' : 회동력전달돌기
77 : 제 1 전동기어
77' : 중심축
80 : 레일가이드
81 : 제 1 가이드롤러
90 : 보조지지대
91 : 제 2 가이드롤러
100 : 레일가이드회동유닛
101 : 제 2 구동기어
103 : 제 2 전동기어

Claims (7)

  1. 일측에는 제 1 지지대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제 2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지지대의 상단에 회동베이스가 힌지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 1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되고 사용자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구동되는 조작나사봉;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베이스에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엔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걸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는 연마석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마유닛;
    일단은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마유닛의 상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동박스;
    상기 전동박스를 통해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과 상기 연마석의 회전축을 구동연결하는 전동유닛;
    상기 조작나사봉과 상기 연마유닛의 일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조작나사봉의 회전조작에 따라 상기 연마유닛을 회동시켜 상기 연마석이 상기 레일의 횡단면에 대해 이동되도록 하는 연마석 회동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고 전후방에는 레일에 끼워져 롤링되는 제 1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레일가이드를 포함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연마석에 의해 연마되는 레일과 나란히 연장되는 인접레일로 연장되고 단부에는 상기 인접레일 상을 주행하는 제 2 가이드롤러가 구비되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는 레일의 외측면에 구름접촉되는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동유닛은 상기 구동엔진의 출력측에 결합되고 상기 전동박스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는 제 1 스프로킷과, 상기 전동박스의 내부 하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연마석의 회전축으로 수평 연장되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동축과, 상기 전동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2 스프로킷과, 상기 제 1 및 제 2 스프로킷을 구동연결하는 전동체인과, 상기 전동축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 1 베벨기어와, 상기 연마석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베벨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 회동유닛은, 상기 조작나사봉에 결합되어 상기 조작나사봉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승강블럭과, 상기 승강블럭에 상단이 힌지결합되는 연결대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제 1 지지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연결대의 하단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력전달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 1 구동기어와, 상기 연마유닛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회동되는 제 2 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마석 회동유닛에 연동되어 상기 레일가이드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단에 대해 회동시키는 레일가이드회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회동유닛은 상기 제 1 전동기어의 중심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전동기어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 2 구동기어와, 상기 레일가이드에 형성되도 상기 제 2 구동기어에 내접하는 제 2 전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표면 연마장치.
KR1020180135201A 2018-11-06 2018-11-06 레일 표면 연마장치 KR102153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01A KR102153107B1 (ko) 2018-11-06 2018-11-06 레일 표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201A KR102153107B1 (ko) 2018-11-06 2018-11-06 레일 표면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76A true KR20200052076A (ko) 2020-05-14
KR102153107B1 KR102153107B1 (ko) 2020-09-07

Family

ID=7073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201A KR102153107B1 (ko) 2018-11-06 2018-11-06 레일 표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1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571A (zh) * 2020-07-13 2020-09-25 马鞍山蓝信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铁轨道的智能打磨设备
CN112323551A (zh) * 2020-08-13 2021-02-05 罗曼轨道设备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模块化智能打磨车
CN112548757A (zh) * 2020-11-23 2021-03-26 德清新源恒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板材修边机的平台装置
KR102297439B1 (ko) * 2021-02-16 2021-09-02 천운궤도주식회사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agt)의 주행로 연마장치
KR20230052606A (ko) * 2021-10-13 2023-04-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예인수조 레일 자동 그라인딩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104A (ja) * 2001-02-02 2002-08-14 Tsukahara Kogyo Kk レ−ル研削装置
KR20110137657A (ko)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링형 가공대상물 가공용 회전 테이블 장치
KR101697502B1 (ko) 2015-10-13 2017-01-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 표면 연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표면 연마방법
JP2017025492A (ja) * 2015-07-16 2017-02-02 矢作建設工業株式会社 レール削溝機
JP2017057680A (ja) * 2015-09-18 2017-03-23 保線機器整備株式会社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104A (ja) * 2001-02-02 2002-08-14 Tsukahara Kogyo Kk レ−ル研削装置
KR20110137657A (ko)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삼인이엔지 링형 가공대상물 가공용 회전 테이블 장치
JP2017025492A (ja) * 2015-07-16 2017-02-02 矢作建設工業株式会社 レール削溝機
JP2017057680A (ja) * 2015-09-18 2017-03-23 保線機器整備株式会社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KR101697502B1 (ko) 2015-10-13 2017-01-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레일 표면 연마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표면 연마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571A (zh) * 2020-07-13 2020-09-25 马鞍山蓝信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铁轨道的智能打磨设备
CN112323551A (zh) * 2020-08-13 2021-02-05 罗曼轨道设备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模块化智能打磨车
CN112548757A (zh) * 2020-11-23 2021-03-26 德清新源恒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板材修边机的平台装置
KR102297439B1 (ko) * 2021-02-16 2021-09-02 천운궤도주식회사 안내궤도식 고무차륜 경전철(agt)의 주행로 연마장치
KR20230052606A (ko) * 2021-10-13 2023-04-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예인수조 레일 자동 그라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107B1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2076A (ko) 레일 표면 연마장치
KR102339067B1 (ko) 경량 레일표면 연마장치
EP0154777B1 (fr) Dispositif de reprofilage en voie du champignon d'au moins un rail d'une voie ferrée
AU2011257577B2 (en) Grinding machine for grinding rails of a track
US9757836B2 (en) Grinding apparatus
CN109577652A (zh) 地坪机器人
CH625848A5 (ko)
US9315201B2 (en) Hopper gate opener
KR20180015392A (ko) 인코넬 파이프 그라인딩 머신
JP6464066B2 (ja)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US1906872A (en) Railway track grinder
FR2541332A1 (fr) Machine de nivellement et de bourrage de voie ferree avec ensemble de bourrage et de stabilisation
KR20210067039A (ko) 자동 레일표면 연마장치
CN113047142B (zh) 一种沥青混凝土道路修建施工方法
US1758534A (en) Glass-polishing machine
JP3544496B2 (ja) トロリ線の摺動面切削装置
US1891173A (en) Railway track grinder
US876155A (en) Surfacing-machine.
JP6998060B2 (ja) 手押し式レール削正装置
CN217668362U (zh) 一种便于调整打磨高度的水磨石机
DE102009059326A1 (de) Fußbodenbandschleifmaschine
US1937665A (en) Portable rail grinding machine
US1193243A (en) John ii
JP3793616B2 (ja) 斜面用切削機
US1542667A (en) Floor-surfac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