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162A - 유아용 식판 - Google Patents

유아용 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162A
KR20200051162A KR1020180134148A KR20180134148A KR20200051162A KR 20200051162 A KR20200051162 A KR 20200051162A KR 1020180134148 A KR1020180134148 A KR 1020180134148A KR 20180134148 A KR20180134148 A KR 20180134148A KR 20200051162 A KR20200051162 A KR 20200051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late
temperature
bottom plate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495B1 (ko
Inventor
박의영
Original Assignee
박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의영 filed Critical 박의영
Priority to KR102018013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49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1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25Plates, dishes or the like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A47G2200/163Temperature ind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판 형상의 바닥판; 및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홈을 갖는 음식물 수용부를 포함하고,상기 음식물 수용부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색상이 변하고 상기 기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오는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식판{FOOD TRAY FOR INFANNT}
본 발명은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식판에 담기는 음식물의 온도에 따라 식판의 색상을 변하게 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유아용 식판을 사용하게 될 시기에 식판에 담긴 음식물에 호기심을 보이며 손으로 만지고 스스로 먹으려는 시도를 하게된다.
그러나 유아들은 식판의 음식물의 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만지고 먹게되며, 보호자가 먹여주는 경우에도 보호자도 먹어보기 전에는 음식물의 온도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없다.
이에, 유아들이 식판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있는 경우, 음식물이 적정한 온도로 식기 전에 손으로 만지거나 섭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유아들이 큰 화상을 입을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아들의 식판은 어른들이 사용하는 식기와 사이즈와 형태가 전혀 상이하기 때문에 일반 식기와 같이 겹쳐서 보관할 수 없어 보관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등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보호자로 하여금 식판에 담긴 음식물이 적정한 온도로 식은 후에 유아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보호자가 식판을 보고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보관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들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적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식판의 색상이 변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관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은 판 형상의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홈을 갖는 음식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색상이 변하고 상기 기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오는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은 상기 기설정된 온도가 40℃가 되도록 실리콘 원료와 시온안료가 100:2 내지 100:20의 조성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판의 일 측면의 중심 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식판 걸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식판 걸이부가 형성된 측면의 양단과 상기 음식물 수용부 사이의 영역에 돌출 형성되어 소스를 담을 수 있는 홈을 갖는 소스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음식물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스 수용부와 각각 대칭되는 영역에 식도구를 끼울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 식도구 끼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식도구 끼움부는, 상기 식판 걸이부가 형성된 측면을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유아들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적정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식판의 색상을 변하게 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 보관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식판에 담기는 음식물의 온도에 따라 식판의 색상을 변하게 하여 음식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식판에 담기는 음식물의 온도가 아이에게 제공하기 적절한 온도인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음식물 수용부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변하고 기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본래 색상으로 돌아오는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보관이 용이하며 식도구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식판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리콘은 내열온도가 높고 무독성의 친환경 재질로서 열탕소독이 가능하고 파손 위험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의 사시도,평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은 바닥판(110), 음식물 수용부(120), 식판 걸이부(130), 소스 수용부(140), 식도구 끼움부(150) 및 식도구 지지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110)은 판 형상으로 제공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닥판(110)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닥판의 저면은 평평하게 제공됨에 따라 실리콘의 점성과 식탁과 실리콘 사이가 진공 원리가 적용되어 바닥판(110)의 저면이 식탁에 흡착될 수 있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유아들이 식판을 들어올려 음식물을 엎는 것을 방지할 수 잇다.
또한, 바닥판(110)의 테두리는 유아들이 식탁에 흡착된 식판을 들기 어렵게하기 위해 라운딩 처리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음식물 수용부(120)는 바닥판(1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제1 홈(121), 제2 홈(122), 제3 홈(123), 제4 홈(124), 제5 홈(125)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음식물 수용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홈(121, 122, 123, 124, 125)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음식물 수용부(120)의 각 홈의 모서리 영역은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 되어 유아들이 보다 용이하게 음식물을 뜰 수 있고, 세척할 시에도 편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음식물 수용부(120)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색상이 변하고, 기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오는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열변색성 실리콘을 제조하기 위해 시온안료를 사용하는데 시온 안료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안료이다. 시온안료는 기준 온도에 도달함에 따라 색상이 변했다가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원래의 색상으로 돌아가는지 여부에 따라 가역성, 비가역성으로 나뉘며 일반적인 가역성 시온안료는 금속 차염, 코레스켈릭 액정, 메테모 컬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 재질은 음식물 수용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아용 식판(100) 전체가 음식물 수용부(120)와 같은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수용부(120)는 기설정된 온도가 40℃일 수 있다. 즉, 40℃ 이상에서 색상이 흰색으로 변하고 40℃ 미만에서는 색상이 본래의 실리콘 색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40℃는 유아들이 음식을 섭취하기에 가장 적정한 온도이다. 이에, 보호자는 뜨거운 음식물을 담아서 음식물 수용부(120) 색상이 흰색으로 변했다가 다시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왔을때, 음식물이 40℃ 이하가 되었음을 인지하고 유아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40℃에서 가역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실리콘을 만들기 위해서는 실리콘 원료와 시온안료가 100:0.1 내지 100:10의 조성비를 갖도록 실리콘 원료와 시온안료를 배합할 수 있다. 100:0.1 내지 100:10의 조성비를 갖도록 실리콘 원료와 시온안료를 배합하였을 때, 40℃에서 가장 효율이 잘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식물 수용부(120)의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홈(121, 122, 123, 124, 125)의 내면은 유광처리를 하여 음식물로 인한 변색을 방지하고, 세척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음식물 수용부(120)의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홈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서로 다른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수용부(120)에 구획된 홈(121, 122, 123, 124, 125) 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시온안료를 배합하여 각 홈별로 다른 온도에서 색상이 흰색으로 변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내지 제3 홈(121, 122, 123)은 반찬을 수용하는 홈으로써 제1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고, 제4홈(124)은 밥을 수용하는 홈으로써 제2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고, 제5 홈(125)은 국을 수용하는 제3 온도에서 색상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온도, 제2 온도 및 제3 온도를 각각 다른 온도값을 갖도록 각각 다른 종류의 시온안료를 배합할 수 있다. 예로서, 제3 온도를 가장 높게 설정하고 제1 온도는 가장 낮게 설정함에 따라, 국은 반찬 또는 밥보다 더 따뜻한 온도에서 섭취할 수 있고, 반찬은 밥 또는 국보다 더 식은 온도에서 음식을 섭취할 수 있다.
식판 걸이부(130)는 바닥판(110)의 일 측면(111)의 중심 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유아용 식판을 보관할 경우 벽면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도 정리와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식판 걸이부(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의 면적보다 훨씬 작은 면적으로 제공되고, 관통홀(13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판 걸이부(130)의 바닥면과 식탁 사이의 진공 상태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바닥판(110)에 비해 흡착력이 훨씬 약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식판을 식탁으로부터 탈착할 시 식판 걸이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식탁에 흡착된 식판을 쉽게 탈착할 수 있다.
소스 수용부(140)는 식판 걸이부(130)가 형성된 측면(111)의 양단(111a, 111b)과 음식물 수용부(120) 사이의 영역에 돌출 형성되고 소스를 담을 수 있는 홈(145)을 포함한다. 즉, 소스 수용부(140)는 식판 걸이부(130)가 형성된 측면(111)의 일단(111a)과 음식물 수용부(120) 사이의 영역과 식판 걸이부(130)가 형성된 측면(111)의 타단(111b)과 음식물 수용부(120) 사이의 영역에 제공된다. 소스 수용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으로부터 음식물 수용부(120)보다 낮게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홈(145)의 깊이도 음식물 수용부(120)의 홈(121, 122, 123, 124, 125)보다 얕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소스 수용부(140)가 음식물 수용부(120)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유아들이 음식을 섭취할 시 소스가 손이나 팔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식도구 끼움부(150)는 음식물 수용부(120)를 기준으로 소스 수용부(140)와 각각 대칭되는 영역에 수저, 포크 등과 같은 식도구를 끼울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식도구 지지부(160)는 소스 수용부(140)와 식도구 끼움부(150) 사이의 영역에 제공되고 바닥판(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식도구 끼움부(150) 및 식도구 지지부(160)와 관련해서는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 보관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식판(100)은 보관시에 식판 걸이부(130)를 벽면의 고정핀에 걸어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아용 식판(100)을 걸어서 보관함에 따라 세척후의 물기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아용 식판(100)을 벽면에 걸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도 식도구 끼움부(150)와 식도구 지지부(160)에 식도구를 고정시켜 같이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들에게 음식을 제공할 경우 따로 보관된 식도구를 찾아서 제공해야하는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도구 끼움부(150)는 밴드 형태로 제공되고, 식도구 끼움부(150)의 양단은 바닥판(110)에 부착되어 고정된 형태로 제공된다. 식도구 끼움부(150)는 식판 걸이부(130)가 형성된 측면과 대칭이 되는 측면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수용부(120)를 기준으로 소스 수용부(140)와 대칭되는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식도구 끼움부(15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유아용 식판(100)과 같은 재질인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도구 끼움부(150)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식도구 끼움부(150)의 고정된 양단 이외의 영역은 그 자체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식도구를 끼울 경우 개방되는 개방부(155)를 포함한다. 개방부(155)는 식판 걸이부(130)가 형성된 측면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식도구 끼움부(150) 및 개방부(155)가 전술한 바와 같은 식판 걸이부(130)와의 배치관계 및 개방부(155)의 개방 방향을 가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식판(100)을 걸어서 보관하는 경우에도 식도구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식도구 끼움부는 음식물 수용부를 기준으로 소스 수용부와 대칭되는 각 영역에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식도구 끼움부의 개방부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개방되고, 각 식도부 끼움부의 너비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식도구 끼움부의 너비가 넓게 제공될수록 개방되는 공간이 넓어져 식도구의 자루 부분의 부피가 큰 경우에도 식도구를 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식도구의 종류 별로 복수 개의 식도구 끼움부에 선택적으로 식도구를 끼워 보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도구 끼움부는 제1 끼움부, 제2 끼움부 및 제3 끼움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끼움부, 제2 끼움부 및 제3 끼움부는 각각 1: 1.5: 2.5의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식도구 지지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식도구(예: 숟가락, 포크 등)의 상단(예: 머리) 아래 부분을 받쳐줌으로써 식도구가 보다 견고히 고정 지지된 채로 보관할 수 있다. 식도구의 자루(예: 손잡이) 부분이 식도구 끼움부(150)에 끼워져 있어도 식도구의 머리 부분이 기울어져 바닥판(110)을 이탈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식도구 지지부(160)는 도 4에는 유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한 개구리 발가락 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기구의 머리 아래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구조이면 어느 형태로든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유아용 식판 110: 바닥판
120: 음식물 수용부 130: 식판 걸이부
140: 소스 수용부 150: 식도구 끼움부
160: 식도구 지지부

Claims (6)

  1.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유아용 식판에 있어서,
    판 형상의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된 홈을 갖는 음식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음식물 수용부는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색상이 변하고 상기 기설정된 온도 이하에서는 본래의 색상으로 돌아오는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유아용 식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역적 열변색성 실리콘은 상기 기설정된 온도가 40℃가 되도록 실리콘 원료와 시온안료가 100:0.1 내지 100:10의 조성비를 갖는 유아용 식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일 측면의 중심 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관통홀을 포함하는 식판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식판 걸이부가 형성된 측면의 양단과 상기 음식물 수용부 사이의 영역에 돌출 형성되어 소스를 담을 수 있는 홈을 갖는 소스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음식물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기 소스 수용부와 각각 대칭되는 영역에 식도구를 끼울 수 있도록 밴드 형태로 형성된 식도구 끼움부를 더 포함하는 유아용 식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식도구 끼움부는,
    상기 식판 걸이부가 형성된 측면을 향해 개방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식판.
KR1020180134148A 2018-11-05 2018-11-05 유아용 식판 KR10214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48A KR102146495B1 (ko) 2018-11-05 2018-11-05 유아용 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148A KR102146495B1 (ko) 2018-11-05 2018-11-05 유아용 식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62A true KR20200051162A (ko) 2020-05-13
KR102146495B1 KR102146495B1 (ko) 2020-08-21

Family

ID=7072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148A KR102146495B1 (ko) 2018-11-05 2018-11-05 유아용 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4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593A (ko) * 2007-12-18 2009-06-23 신충국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KR101648691B1 (ko) * 2016-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드 유아용 식판
KR200485371Y1 (ko) * 2015-11-16 2017-12-28 지철남 발열 식탁매트
KR20170004414U (ko) * 2016-06-21 2017-12-29 김다형 온도감지 식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5593A (ko) * 2007-12-18 2009-06-23 신충국 숟가락과 젓가락을 고정하는 식판 도시락
KR200485371Y1 (ko) * 2015-11-16 2017-12-28 지철남 발열 식탁매트
KR101648691B1 (ko) * 2016-02-05 2016-08-16 주식회사 엘드 유아용 식판
KR20170004414U (ko) * 2016-06-21 2017-12-29 김다형 온도감지 식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495B1 (ko)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5691B1 (en) Utensils with elevated end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USD556501S1 (en) Poach pod
JP2011136749A (ja) 蓋付き食品容器
KR102146495B1 (ko) 유아용 식판
TWM512360U (zh) 防滑食物容器之組合結構
KR20090012973U (ko) 식판
KR200492321Y1 (ko) 일회용 수저 받침구
JP3175492U (ja) 容器
KR200488061Y1 (ko) 냄비 손잡이 겸용 수저받이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JP3244371U (ja) 料理用ワンプレート皿
KR200175671Y1 (ko) 음식용구 받침부를 가진 음식용 용기
JP3136410U (ja) 鍋敷
KR200402815Y1 (ko) 뚜껑이 있는 배식판
KR20180003689U (ko) 식기
JP3176837U (ja) 給食用弁当容器
KR20240042908A (ko) 식기 수납용 트레이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220029918A (ko) 음식물 수납용기가 복수개 형성되는 유아용 식판
KR200432501Y1 (ko) 조리용 뒤집개
KR20220003022U (ko) 수저세트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실리콘 식판
WO2002065881A1 (es) Soporte alimentario
KR20150059526A (ko) 뒤집기 유도판이 구비된 프라이팬
KR960006530Y1 (ko) 가열된 주방용품 받침대
JP3042947U (ja) 食事用ト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