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908A - 식기 수납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식기 수납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908A
KR20240042908A KR1020220121760A KR20220121760A KR20240042908A KR 20240042908 A KR20240042908 A KR 20240042908A KR 1020220121760 A KR1020220121760 A KR 1020220121760A KR 20220121760 A KR20220121760 A KR 20220121760A KR 20240042908 A KR20240042908 A KR 2024004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ableware
dishes
prese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유경
Original Assignee
홍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유경 filed Critical 홍유경
Priority to KR102022012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908A/ko
Publication of KR2024004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9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41Serving tray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e.g. for carrying glasses,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6Serving trays
    • A47G23/0633Attachments to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 A47G2400/123Anti-spiking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제공된다. 상기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111)을 기준으로 수납 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112)의 내측에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되는 트레이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공간(112)에는 서로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되고, 상기 식기(120, 130, 140)는 상부에 그릇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접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기(120, 130, 140)에 담기는 음식에 따라 상기 식기(120, 130, 140)가 그릇 또는 접시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수납용 트레이{A TABLEWARE STORAGE TRAY}
본 발명은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에 따라 식기를 180도 회전하여 그릇 또는 접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사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학교, 기업 등의 단체에서는 구성원들에게 식사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판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식판은 밥, 국, 반찬 등이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식판의 경우, 국을 담는 공간이 평평하거나, 중앙이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2906호에는 상면에 다수의 반찬홈과 국홈, 밥홈이 형성되는 식판에 있어서, 상기 식판의 상면 일부에는 폭이 좁은 긴 홈 형상의 식사 용구 수납 홈이 구성되되, 상기 식사 용구 수납 홈에는 덮개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식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에 개시되는 식판의 경우에는 단순히 음식을 담아서 취식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그 외의 기능은 없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식판의 경우 동일한 깊이로만 함몰되어 있어 배식량이 적은 음식의 경우에도 깊은 홈에 담아 먹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유아 또는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음식물을 취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게다가, 수저의 사용이 서툴기 때문에 음식물을 흘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음식물에 따라 식기를 180도 회전하여 그릇 또는 접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성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어 음식물을 취식하는 동안 트레이 본체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 또는 중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정량의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을 기준으로 수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의 내측에 식기가 수납되는 트레이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공간에는 서로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식기가 수납되고, 상기 식기는 상부에 그릇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접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기에 담기는 음식에 따라 상기 식기가 그릇 또는 접시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는, 담기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는, 그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함몰부의 상단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는, 개구부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의 하부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음식물에 따라 식기를 그릇 또는 접시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 및 식기의 크기를 상이하게 구현함으로써 유아용, 환자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식기 수납용 트레이 사용 시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흐르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식기(120, 130)를 180도 회전한 상태의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에 뚜껑(19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에 다양한 형태의 식기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환자용 침대 등에 구비되는 테이블(220)에 놓여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식기(120, 130)를 18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에 뚜껑(19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에 다양한 형태의 식기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을 갖는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될 수 있는 트레이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본체(110)에는 함몰된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납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고, 수납 공간(112)에 다양한 사이즈의 식기를 수납(또는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격벽(111)이 구현되고 그에 따라 2개의 수납 공간(112)이 형성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할 뿐 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사용 목적, 용도 등에 따라 격벽(111)의 개수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수납 공간(112)은 운동장 트랙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을 갖는 식기(120, 130, 140)가 수납 공간(112)에 수납될 수 있으며, 수납된 식기(120, 130, 140)가 고정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식기(120, 130, 14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공간(112)의 크기는 대략 식기(120, 130, 140)의 크기(예를 들어, 높이, 너비, 부피 등)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레이 본체(110)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112)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식기를 제1 식기(120), 제1 식기(120)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제1 식기(120)에 담기는 음식보다 작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식기를 제2 식기(130)로 호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식기(120) 및 제2 식기(130)에서 많은 양과 적은 양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표현일 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하게 다른 방식으로 혼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식기(120, 130)는 상부가 그릇부(121, 131), 하부가 접시부(122, 13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그릇부(121, 131)와 접시부(122, 132)가 하나의 식기(120, 130)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릇부(121, 131)는 보울(bowl) 형태로 형성되고, 접시부(122, 132)는 넓고 평평한 형태의 접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의 양, 종류 등에 따라 각각의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그릇부(121, 131)가 위(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그릇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접시부(122, 132)가 위(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접시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물론 식기 중 일부는 그릇으로서 그리고 식기 중 다른 일부는 접시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제1 및 제2 식기(120, 130) 이외에도, 사용자의 음식량, 음식의 종류 등에 따라 식기 또한 상이한 크기,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식기(140)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3 식기(140) 또한 그릇부(141)와 접시부(142)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도 6 및 도 7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나, 제1 식기(120)가 사용되는 수납 공간(112)에도 제3 식기(140)와 같이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식기(120)가 수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식기(140)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112)의 여유 공간에 제2 식기(130, 예를 들어 도 1)가 추가로 수납될 수 있고, 제2 식기(130)와 제3 식기(1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좌우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112)의 여유 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머그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식기(120, 130, 140)의 그릇부 내측면에는 눈금(150)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식기(120, 130, 140)의 그릇부에 수용되는 음식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110)에는 그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180)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182)와, 함몰부(182)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되 함몰부(182)의 상단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돌기(181)로 구성될 수 있다.
함몰부(182)가 흡착판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트레이 본체(110)를 테이블과 같은 평평한 면에 안착시키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트레이 본체(11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식기에 수용된 음식물들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뚜껑(1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미사용 시 또는 이동 시 뚜껑(190)으로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내부에 수용된 식기(120, 130, 140)와 트레이 본체(110) 내측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환자용 침대 등에 구비되는 테이블(220)에 놓여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유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에 거치될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110)의 상단부에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114)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아용 의자(210)의 좌판 상부 양측에 거치대를 구성하고 그 거치대에 거치용 단턱(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턱(211)의 끝단에는 이탈 방지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심한 움직임에도 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유아용 의자(210)에 규격화하여 사용하면, 육아 용품에 보다 폭 넓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는 환자용 침대(미도시)에 구비되는 식사용 테이블(220)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취식하는 도중 음식물을 많이 흘릴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이용하게 된다면 안정적인 환자의 식사를 도울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본체(110)와 식기의 사이즈를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면 유아용, 환자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음식물에 따라 식기를 그릇 또는 접시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 및 식기의 크기를 상이하게 구현함으로써 유아용, 환자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식기 수납용 트레이 사용 시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흐르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식기(120, 130)를 18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에 뚜껑(190)이 닫힌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에 다양한 형태의 식기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을 갖는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될 수 있는 트레이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트레이 본체(110)에는 함몰된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납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고, 수납 공간(112)에 다양한 사이즈의 식기를 수납(또는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격벽(111)이 구현되고 그에 따라 2개의 수납 공간(112)이 형성된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할 뿐 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사용 목적, 용도 등에 따라 격벽(111)의 개수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수납 공간(112)은 운동장 트랙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 형상 등을 갖는 식기(120, 130, 140)가 수납 공간(112)에 수납될 수 있으며, 수납된 식기(120, 130, 140)가 고정되도록 하여 음식물이 식기(120, 130, 140)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공간(112)의 크기는 대략 식기(120, 130, 140)의 크기(예를 들어, 높이, 너비, 부피 등)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트레이 본체(110)에 형성되는 수납 공간(112)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식기를 제1 식기(120), 제1 식기(120)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제1 식기(120)에 담기는 음식보다 작은 양의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식기를 제2 식기(130)로 호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식기(120) 및 제2 식기(130)에서 많은 양과 적은 양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표현일 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하게 다른 방식으로 혼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 및 제2 식기(120, 130)는 상부가 그릇부(121, 131), 하부가 접시부(122, 13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그릇부(121, 131)와 접시부(122, 132)가 하나의 식기(120, 130)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릇부(121, 131)는 보울(bowl) 형태로 형성되고, 접시부(122, 132)는 넓고 평평한 형태의 접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의 양, 종류 등에 따라 각각의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그릇부(121, 131)가 위(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그릇으로서 활용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접시부(122, 132)가 위(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식기(120, 130)를 접시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물론 식기 중 일부는 그릇으로서 그리고 식기 중 다른 일부는 접시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제1 및 제2 식기(120, 130) 이외에도, 사용자의 음식량, 음식의 종류 등에 따라 식기 또한 상이한 크기, 형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식기(140)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3 식기(140) 또한 그릇부(141)와 접시부(142)가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도 6 및 도 7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으나, 제1 식기(120)가 사용되는 수납 공간(112)에도 제3 식기(140)와 같이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식기(120)가 수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식기(140)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공간(112)의 여유 공간에 제2 식기(130, 예를 들어 도 1)가 추가로 수납될 수 있고, 제2 식기(130)와 제3 식기(1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좌우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112)의 여유 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머그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각각의 식기(120, 130, 140)의 그릇부 내측면에는 눈금(150)이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식기(120, 130, 140)의 그릇부에 수용되는 음식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본체(110)에는 그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180)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182)와, 함몰부(182)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되 함몰부(182)의 상단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돌기(181)로 구성될 수 있다.
함몰부(182)가 흡착판과 같은 역할을 하므로 트레이 본체(110)를 테이블과 같은 평평한 면에 안착시키면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어 트레이 본체(110)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식기에 수용된 음식물들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뚜껑(19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미사용 시 또는 이동 시 뚜껑(190)으로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내부에 수용된 식기(120, 130, 140)와 트레이 본체(110) 내측으로 먼지 또는 이물질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환자용 침대 등에 구비되는 테이블(220)에 놓여진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는 유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에 거치될 수 있도록 트레이 본체(110)의 상단부에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그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 부재(114)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유아용 의자(210)의 좌판 상부 양측에 거치대를 구성하고 그 거치대에 거치용 단턱(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턱(211)의 끝단에는 이탈 방지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심한 움직임에도 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가 유아용 의자(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유아용 의자(210)에 규격화하여 사용하면, 육아 용품에 보다 폭 넓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는 환자용 침대(미도시)에 구비되는 식사용 테이블(220)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거동이 불편하기 때문에 음식물을 취식하는 도중 음식물을 많이 흘릴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를 이용하게 된다면 안정적인 환자의 식사를 도울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본체(110)와 식기의 사이즈를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면 유아용, 환자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음식물에 따라 식기를 그릇 또는 접시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 및 식기의 크기를 상이하게 구현함으로써 유아용, 환자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수납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 본체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어 식기 수납용 트레이 사용 시 음식물이 쏟아지거나 흐르지 않아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식기 수납용 트레이(100)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111)을 기준으로 수납 공간(11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 공간(112)의 내측에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되는 트레이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공간(112)에는 서로 상이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식기(120, 130, 140)가 수납되고, 상기 식기(120, 130, 140)는 상부에 그릇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접시부가 형성되어, 상기 식기(120, 130, 140)에 담기는 음식에 따라 상기 식기(120, 130, 140)가 그릇 또는 접시로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120, 130, 140)는, 담기는 음식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110)는, 그 하부면에 미끄럼 방지부(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180)는,
    일정 깊이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182); 및
    상기 함몰부(182)의 중심부에 돌출형성되되 상기 함몰부(182)의 상단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돌기(181)를 포함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110)는, 개구부 상단에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3)의 하부면에는 미끄럼 방지 부재(114)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수납용 트레이.
KR1020220121760A 2022-09-26 2022-09-26 식기 수납용 트레이 KR20240042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60A KR20240042908A (ko) 2022-09-26 2022-09-26 식기 수납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760A KR20240042908A (ko) 2022-09-26 2022-09-26 식기 수납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908A true KR20240042908A (ko) 2024-04-02

Family

ID=9071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760A KR20240042908A (ko) 2022-09-26 2022-09-26 식기 수납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9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36590B2 (en) Removable tray insert and tray set
US7735651B2 (en)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US8006369B2 (en) Making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AU2002336590A1 (en) Removable tray insert and tray set
US20090090649A1 (en) Food serving tray assembly having disposal opening with deep serving wells
KR20240042908A (ko) 식기 수납용 트레이
KR200488277Y1 (ko) 음식용 판형 트레이
KR20090012973U (ko) 식판
KR101668223B1 (ko) 일회용 식판
KR200425887Y1 (ko) 어린이 급식용 배식판
KR102033308B1 (ko) 수용부가 구비된 경사진 덮개
JP2004275233A (ja) 弁当箱
KR102577936B1 (ko) 유아용 식판
KR102146495B1 (ko) 유아용 식판
US956858A (en) Lunch-platter.
CN210748521U (zh) 双面盘
CN215738222U (zh) 一种婴幼儿用的层叠式餐碗
CN216932622U (zh) 正反餐盘
JP2012125526A (ja) ランチプレート
CN213139823U (zh) 一种组合套餐包装餐盒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JP3198204U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230137582A (ko) 식판세트
JP6632489B2 (ja) 食品包装用容器
KR200370504Y1 (ko) 유아용 식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