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137A -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137A
KR20200051137A KR1020180134082A KR20180134082A KR20200051137A KR 20200051137 A KR20200051137 A KR 20200051137A KR 1020180134082 A KR1020180134082 A KR 1020180134082A KR 20180134082 A KR20180134082 A KR 20180134082A KR 20200051137 A KR20200051137 A KR 20200051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ft column
concrete
column
cft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희
Original Assignee
이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희 filed Critical 이병희
Priority to KR1020180134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1137A/ko
Publication of KR2020005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CFT 컬럼 하부면에 밑판을 CFT 컬럼 제작과정에서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이 경우 슬라임이나 공극 발생은 방지할수 있으나, 밑판으로 인하여 CFT 컬럼이 부력으로 뜨는 문제가 발생하여, 시공성 및 수직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FT 컬럼 제작시 기초 하부레벨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면에 상하로 보강판을 설치하며, 외부면에 설치되는 보강판은 CFT 컬럼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의 내력과 동일하게 설계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Concrete Filled with CFT Column}
본 발명은 역타공법에서 사용되는 CFT 컬럼(10)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타공법에 사용되는 CFT 컬럼(10)은 공사비 절감 효과 등의 이유로 역타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CFT 컬럼(10)은 사각형이나 원형의 튜브형 강재 기둥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한 컬럼으로 구조적 성능이 증대되어 공사비 절감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역타공법 현장에서 사용되는 CFT 컬럼(10)은 기초 하부 콘크리트와 CFT 컬럼(10) 내부를 동시에 타설이 불가하여 분리 타설한다. 이 경우, 선 타설한 기초 하부 콘크리트와 후 타설하는 CFT 컬럼(10) 콘크리트가 접하는 부위에서 슬라임이나 공극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CFT 컬럼(10) 하부면에 밑판(101)을 CFT 컬럼(10) 제작 과정에서 설치하여 내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이 경우 슬라임이나 공극 발생은 방지할수 있으나, 밑판(101)으로 인하여 CFT 컬럼(10)이 부력으로 뜨는 문제가 발생하여, 시공성 및 수직도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FT 컬럼(10) 외부면에 추가적인 보강판(201)을 설치하여, CFT 컬럼(10)을 보강하고 밑판(101)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부력이 발생하지 않는 시공 방법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FT 컬럼(10) 제작시 기초 하부레벨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면에 상하로 보강판(201)을 설치하며, 외부면에 설치되는 보강판(201)은 CFT 컬럼(10)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의 내력과 동일하게 설계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CFT 컬럼(10)의 밑판(101)이 불필요하여 부력이 발생되지 않으며, 선 타설한 기초 하부 콘크리트와 후 타설하는 CFT 컬럼(10) 콘크리트가 접하는 부위에서 슬라임이나 공극이 발생하여도 외부면에 설치된 보강판(201)으로 인하여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밑판(101)이 있는 CFT 컬럼(10)의 사시도 및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부면에 보강판(201)이 설치된 CFT 컬럼(10)의 사시도 및 입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외부면에 보강판(201)이 설치된 CFT 컬럼(10)의 단면도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과 과제 해결 수단 및 효과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3는 본 발명의 외부면에 보강판(201)이 설치된 CFT 컬럼(10)의 사시도 및 입면도, 단면도이다.
CFT 컬럼(10) 제작시 기초 하부레벨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면에 상하로 보강판(201)을 설치하며, 외부면에 설치되는 보강판(201)은 CFT 컬럼(10)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의 내력과 동일하게 설계한다.
이경우, 선 타설한 기초 하부 콘크리트와 후 타설하는 CFT 컬럼(10) 콘크리트가 접하는 부위에서 슬라임이나 공극이 발생하여도 외부면에 설치된 보강판으로 인하여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10 : CFT 컬럼
11 : CFT 컬럼 내부 충진 콘크리트
101 : 밑판
201 : 보강판

Claims (1)

  1. CFT 컬럼(10) 제작시 기초 하부레벨을 기준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면에 상하로 보강판(201)을 설치하며, 외부면에 설치되는 보강판(201)은 CFT 컬럼(10)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의 내력과 동일하게 설계하는 단계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FT 컬럼(10)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KR1020180134082A 2018-11-04 2018-11-04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KR20200051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082A KR20200051137A (ko) 2018-11-04 2018-11-04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082A KR20200051137A (ko) 2018-11-04 2018-11-04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137A true KR20200051137A (ko) 2020-05-13

Family

ID=7072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082A KR20200051137A (ko) 2018-11-04 2018-11-04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11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1921A (zh) * 2020-10-20 2021-01-29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临时支护桩转换抗浮桩的施工方法
CN112281922A (zh) * 2020-10-20 2021-01-29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挑盖板永临支护桩体系转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1921A (zh) * 2020-10-20 2021-01-29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临时支护桩转换抗浮桩的施工方法
CN112281922A (zh) * 2020-10-20 2021-01-29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挑盖板永临支护桩体系转换方法
CN112281922B (zh) * 2020-10-20 2022-04-01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悬挑盖板永临支护桩体系转换方法
CN112281921B (zh) * 2020-10-20 2022-04-01 中铁八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一种临时支护桩转换抗浮桩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0277B (zh) 一种人工挖孔灌注桩施工方法
KR20110072755A (ko) 수중 기초에 의해 지지되는 교각 시공방법
CN104294816B (zh) 大直径钻孔灌注桩钢筋笼抗浮施工方法及装置
KR20200051137A (ko) Cft 컬럼 콘크리트 충진 보강 시공 공법
CN111851513A (zh) 自沉式深基坑挡墙结构和地下空间结构的施工方法
CN106088115A (zh) 增加土质高边坡稳定性的方法
JP5779207B2 (ja) 法面の補強構造及び法面の補強方法
JP2002364006A (ja) 水中基礎の構築工法
KR101539185B1 (ko) 지하 부력에 따른 인상 변위를 억제하는 강봉앵커의 시공 방법 및 시공 구조
JP2019039194A (ja) ケーソン構造及び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工法
CN113026801A (zh) 一种施工电梯基础钢管桩加固施工方法
CN208073012U (zh) 一种地脚螺栓定位扶正装置
JP2011241605A (ja) 自重沈下式ケーソン工法およびこの工法で得られた地下構造物
CN218880884U (zh) 一种预应力锚索搅拌桩基坑围护结构
JP5470196B2 (ja) 構造体の設置方法
CN219118404U (zh) 一种杯口基础钢柱快速安装结构
JP2006348510A (ja) 支持杭保持具および支持杭固定方法
CN210458988U (zh) 道路桥梁裂缝加固装置
KR0148168B1 (ko) 스티로폴볼을 이용한 트랜치내 콘크리트 타설공법
CN113502841B (zh) 承台桩的整体现浇施工方法
CN201217642Y (zh) 环形曝气池整体支模结构
KR100477623B1 (ko) 건축 지하 구조물 연약지반 부벽 설치 구조
JP5470195B2 (ja) 構造体の設置方法
CN113585313B (zh) 集水井沉入式拼装模板及其施工方法
CN213390438U (zh) 一种骑马井施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