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1017A -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연관된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연관된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1017A
KR20200051017A KR1020207009849A KR20207009849A KR20200051017A KR 20200051017 A KR20200051017 A KR 20200051017A KR 1020207009849 A KR1020207009849 A KR 1020207009849A KR 20207009849 A KR20207009849 A KR 20207009849A KR 20200051017 A KR20200051017 A KR 2020005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capacitor
charge
electrod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1562B1 (ko
Inventor
가브리엘 스피크
베르트랑 바이세
베르나데트 페리스
스테판 보드뤼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20005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05B81/77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comprising 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hand of a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2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by varying capaci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G07C2209/65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using means for sensing the user's ha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1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D')에 관한 것이며, 상기 디바이스(D')는, 밀봉되지 않고 하부 부분이 배수구(t1, t2)를 포함하는 핸들(10')에 통합된, 밀봉 하우징(B')에 포함되고, 하우징(B')의 부분은 물(e)에 잠길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D')는,
Figure pct00036
접근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고,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E2')을 포함하고, 가변-값 검출 커패시터(Ce)를 갖는 정전식 센서(100)로서, 정전용량이 사용자의 손(M)의 접근을 나타내는, 상기 정전식 센서(100),
Figure pct00037
충전/방전 커패시터(Cs)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물에 잠긴 하우징의 부분에 위치되고, 검출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검출 커패시터의 값을 추정하기 위해 필요한 검출 커패시터와 충전/방전 커패시터를 충전/방전하는 상이한 단계 동안 보호 전극(Ep)이 동시에 충전/방전 커패시터의 단자와 동일한 전위에 있도록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단자에 연결된 보호 전극(Ep)의 부가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연관된 도어 핸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차량 도어 핸들은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맞춰진다. 이러한 사용자에 의해 운반되는 원격 액세스 제어를 위한 "핸즈-프리" 전자식 포브의 인식과 결합된, 사용자의 존재의 검출은 차량의 개방 요소의 원격 잠금 및 잠금 해제를 허용한다. 따라서, 차량에 의해 식별된 대응하는 전자식 포브(electronic fob)를 운반하는 사용자가, 차량을 잠금 해제하고 싶어할 때, 그는 핸들에 접근하거나 또는 차량의 도어 핸들을 터치하며, 차량의 개방 요소는 그 후 자동으로 잠금 해제된다. "잠금 해제 구역"으로 불리는, 차량의 도어 핸들의 정확한 위치에 접근함으로써 또는 누름으로써, 도어(또는 대안적으로 개방 요소의 모두)는 사용자로부터의 임의의 다른 동작 없이 잠금 해제된다. 반대로, 여전히 차량에 의해 식별된 필요 포브를 나르는 사용자가 그의 차량을 잠그고 싶어할 때, 그는 그의 차량의 도어를 닫고 "잠금 구역"으로 불리는, 핸들의 또 다른 정확한 위치에 접근하거나 또는 이를 순간적으로 누른다. 이러한 움직임은 차량의 개방 요소를 자동으로 잠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들 존재 검출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어 핸들에 통합된 두 개의 전극의 형태로, 두 개의 정전식 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은 정확한 잠금 또는 잠금 해제 구역에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전극은 각각의 구역에 전용되며, 즉 하나의 전극은 잠금 구역에서 사용자의 손의 접근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는데 전용되며 하나의 전극은 잠금 해제 구역에서 사용자의 손의 접근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는데 전용된다.
존재 검출 디바이스는 또한 일반적으로 LF(저-주파수) 라디오주파수 안테나를 포함한다. 검출 디바이스는 차량의 전자 컴퓨터(ECU: "전자 제어 유닛"에 대한 약어)에 연결되며 그에 존재 검출 신호를 전송한다. 차량의 전자 컴퓨터는, 사전에 사용자를, 이러한 차량을 액세스하도록 허가된 것으로 식별하였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존재 검출 신호의 수신에 따라, 이러한 식별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라디오주파수 안테나에 의해 식별 요청을 사용자에 의해 운반된 포브로(또는 원격 제어기로) 전송한다. 이러한 포브는 이에 응답하여 그의 식별 코드를 RF(라디오주파수) 파를 통해 차량의 전자 컴퓨터로 전송한다. 전자 컴퓨터는, 식별 코드를 차량으로의 액세스를 허가한 것으로서 인식한다면, 도어의(또는 개방 요소의 모두의) 잠금/잠금 해제를 트리거한다. 다른 한편, 전자 컴퓨터가 임의의 식별 코드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또는 수신된 식별 코드가 잘못되었다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는 수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차량은 그러므로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저-주파수 라디오주파수 안테나, 및 마이크로제어기에 연결되고, 인쇄 회로 보드에 통합되며 전압을 공급받는 두 개의 전극을 포함한,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도어 핸들을 구비한다.
전적으로 설명을 위해, 여기에서 두 개의 전극의 형태로 두 개의 정전식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 디바이스(D)에 대한 고려가 제공될 것이며, 하나의 전극은 잠금 해제 구역에 전용되고 하나의 전극은 잠금 구역에 전용되며, 상기 두 개의 전극은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보드, 및 LF 안테나에 연결된다. 종래 기술로부터의 검출 디바이스(D)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D)가 위치되어 있는 자동차 도어(P) 핸들(10)(차량은 도시되지 않음)을 도시한다. 상기 도어(P) 핸들(10)은 도어(P)의 방향으로 배향된 제1 외부 표면(S1) 및 상기 제1 외부 표면(S1)의 반대편에 있으며 그러므로 차량의 반대편 측면 상에서, 보다 정확하게는 사용자(도시되지 않음)를 향해 배향된 제2 외부 표면(S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수밀성 하우징(B)의 형태를 취하는 이러한 검출 디바이스(D)는, 그의 하나의 면이 제1 외부 표면(S1)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1 잠금 해제 전극(E2), 그의 하나의 면이 제2 외부 표면(S2)에 가깝게 위치되는 LF 안테나(도시되지 않음), 그의 하나의 면이 제2 외부 표면(S2)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2 잠금 전극(E1), 및 제어 수단(6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전극(E1, E2)은 제어 수단(60)에 연결된다. 이들 제어 수단(60)은 검출 구역에서, 즉 잠금 구역(Z1)에서 또는 잠금 해제 구역(Z2)에서 사용자의 존재(접근 및/또는 접촉)를 검출하도록, 접근하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형성된, 접지와 각각의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단자 사이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며, 예를 들어 인쇄 회로 보드(80)에 통합된 마이크로제어기(60)로 이루어진다. LF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LF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식별 요청을 관리하는, BCM("몸체 제어기 모듈") 유형의 차량(도시되지 않음)에 탑재된 전자 컴퓨터에 연결된 그의 부품을 위한 것이다. 사용자의 손(M)이 전극(E1 또는 E2)에 접근할 때, 사용자는, "움직이지 않는"(즉, 사용자의 부재 시) 검출 커패시터의 공칭 정전용량보다 높은 정전용량으로 검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증가시키는, 접지에 연결된, 제2 전극으로서 동작한다.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기 정전용량에서의 변화는 사용자의 손의 접근의 검출을 확인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로부터의 이러한 검출 디바이스(D)는 주요한 결점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정전식 센서(제1 및 제 2 전극(E1 및 E2))를 사용한 사용자의 접근의 검출은 강력하지 않다.
도어(P) 핸들(10)은 수밀성이 아니며, 물(e)은 그러므로 당해 핸들에 스며들 수 있다. 스며든 물(e)을 빼내기 위해, 핸들(10)은, 외형상 작으며, 스며든 물(e)을 빨리 빼내지 않는 배수구(t1, t2)를 포함한다. 이것은, 염수는 보다 점성이고, 그 밀도가 빗물(e)의 것보다 높은 염수(e)의 경우에 있어서 더욱 그러하다.
모세관 작용 현상, 즉 물(e)의 배수를 방해하는, 하우징의 플라스틱으로의 물(e)의 화학적 접착이 또한 발생한다.
물(e)이 핸들에 스며들고 그 안에서 고일 때, 핸들(10)의 하부 부분에서, 즉 수밀성이며 전극(E1 및 E2)을 포함하는 하우징(B)과 핸들(10)의 내부 표면 사이에서, 용량성 결합이 도전성 물(e), 하나 또는 양쪽 전극(들)(E1, E2) 및 인쇄 회로 보드(80), 및 보다 특히 그의 접지 사이에서 발생한다. 이것은 도 1 및 도 2에서 예시된다. 도 2에서, 물(e)은 (전극(E1 및 E2)의 측면 상에 있는) 하우징(B)과 인쇄 회로 보드(80) 사이에서의 핸들(10)에 존재한다. 물(e)을 통한 제1 전극(E1) 또는 제2 전극(E2) 및 인쇄 회로 보드(80)의 접지 평면(P) 사이에서의 전기적 결합(C)은 정전식 센서(들)의 동작을 저하시키며, 이것은(이들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잠금 구역(Z1) 또는 각각 잠금 해제 구역(Z2)은 감소되거나, 또는 심지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로부터의 하나의 해법은 배수구(t1, t2)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그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데 있다. 그러나, 핸들의 외형상, 이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모세관 작용 현상에 연결되는 물(e)을 빼내는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
종래 기술로부터의 또 다른 해법은 핸들(P)을 수밀성으로 만드는 데 있다. 핸들(P)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그 후 수밀성이 아닌 핸들(P)의 것보다 더 비싸지며, 이것은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는, 비-수밀성 도어 핸들에 통합되도록 의도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정전식 센서(들)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물(e)이 핸들(10)의 하부 부분에 고이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안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비-수밀성 핸들에 통합된 수밀성 하우징에 포함되고, 비-수밀성 핸들의 하부 부분은 스며든 물의 배수를 위해 배수 라인을 획정하는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는 물에 잠겨 있고, 상기 디바이스는,
Figure pct00001
사용자의 손의 접근을 나타내는 가변 검출 정전용량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식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 센서,
Figure pct00002
충전/방전 커패시터,
Figure pct00003
검출 정전용량을 측정하는, 접지 평면에 그리고 전압원(voltage source)에 연결된, 마이크로제어기,
Figure pct00004
마이크로제어기에 그리고 충전/방전 커패시터의 제1 단자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수단,
Figure pct00005
마이크로제어기에, 충전/방전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그리고 검출 전극에 연결된 제2 스위칭 수단,
Figure pct00006
상기 검출 커패시터 및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를 충전/방전하도록 설계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Figure pct00007
상기 검출 전극 및 상기 접지 평면이 상기 배수 라인 위쪽에 배열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가 또한 물에 잠기는 하우징의 부분에 포함되고, 보호 전극과 검출 전극 사이에 전기적 결합이 있도록 검출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 전극은 충전/방전 커패시터의 제1 단자와 동시에 제1 스위칭 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제어기 및 접지 평면은 인쇄 회로 보드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되며, 상기 자동차 도어는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하부 부분이 배수구를 포함하는, 비-수밀성 핸들에 통합된, 수밀성 하우징에 포함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부가 물에 잠기는, 상기 디바이스는,
Figure pct00008
사용자의 손의 접근을 나타내는 가변 검출 정전용량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을 포함하는 정전식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 센서,
Figure pct00009
충전/방전 커패시터,
Figure pct00010
전압원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 단계 E1: 검출 커패시터를 충전시키는 단계,
- 단계 E2: 검출 커패시터를 충전/방전 커패시터로 방전시키는 단계,
- 단계 E3: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쳐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 단계 E4: 충전/방전 커패시터 및 검출 커패시터를 방전시키는 단계,
- 단계 E5: 충전/방전 커패시터 및 검출 커패시터를 동시에 충전시켜서, 정전식 분할기 브리지를 형성하는 단계,
- 단계 E6: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쳐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 단계 E7: 단계 E3에서 수행된 전압 측정치와 단계 E6에서 수행된 전압 측정치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 단계 E8: 차이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보다 크면 접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단계 E1 전에, 단계 E1 내지 단계 E6에서, 상기 보호 커패시터가 충전/방전 커패시터의 제1 단자와 동일한 전위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의 제1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보호 커패시터는 검출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나열된 특징 중 임의의 것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도어 핸들 또는 자동차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표, 특징 및 이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다음의 설명을 판독할 때 및 첨부된 도면을 조사할 때 더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로부터의 검출 디바이스(D)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P) 핸들(10)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핸들로의 물(e)의 침투의 현상, 인쇄 회로 보드(80)에 포함된 접지 평면(P)과 잠금 해제 전극(E1) 사이에서의 전기적 결합(C)을 예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D)를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P) 핸들(10)의 측면도;
도 3은 보호 커패시터(Cep)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디바이스(D')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4는 그 일부가 물(e) 배수 라인(l) 아래에 위치되는, 핸들(1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보호 전극(Ep)을 가진, 본 발명의 검출 디바이스(D')를 포함하는 핸들(10')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검출 디바이스(D')를 포함하는 핸들(10')의 정면도.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로부터의 검출 디바이스(D)는 물(e)이 비-수밀성 핸들(10)에 스며들고 핸들(10)의 하부 부분에 계속 있을 때 더 이상 작동하지 않고, 잠금 전극(E1) 또는 잠금 해제 전극(E2) 또는 상기 두 개의 전극과 인쇄 회로 보드(80)의 접지 평면(P) 사이에 전기적 결합을 생성하는 주요 결점을 가진다. 이러한 전기적 결합(C)은 정전식 센서(100)를 덜 민감하고, 또는 심지어 작동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전기적 결합 현상은 전극(E1 및 E2) 및 인쇄 회로 보드(80) 및 그의 접지 평면(P)이 위치되는 하우징(B)이 수밀성일지라도 존재한다.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은 더 이상 신뢰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심지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검출 디바이스(D')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D')는 비-수밀성 핸들(10')에 통합되도록 의도된다.
비-수밀성 핸들(10')은 빗물(e), 얼음 또는 눈이 핸들(10')에 형성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배수구(t1, t2)를 통해 바깥쪽으로 빠질 때까지 핸들(10')의 하부 부분에 스며들고 일시적으로 고일 수 있는 핸들(10')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스며든 물(e)을 위한 배수구(t1, t2)는 일반적으로 물(e)의 바깥쪽으로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핸들(10')의 어느 한 측면 상에 위치된다.
핸들(10')의 하부 부분으로 스며든 물(e)은 스며든 물(e)의 양과 배수구(t1, t2)를 통해 동시에 배수되는 물(e)의 양 사이에서의 균형에 대응하는 핸들(10')에서의 최대 레벨까지 누적될 것이다.
이러한 최대 레벨은 물 배수 라인(l)으로 지칭될 것이다. 상기 물 배수 라인(l)은 물의 침투 및 배수의 속도뿐만 아니라, 그의 밀도(예를 들어, 염수는 더 높은 밀도를 가지며 무염의 물보다 느리게 흐름) 및 또한 그의 온도 및 배수구(t1, t2)의 배열에 의존한다.
물 배수 라인(l)은 테스트를 통해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잠금 전극(E2')에 적용되어 설명될 것이지만, 비-수밀성 핸들(10')에 포함된, 접지 평면(P')을 포함한, 수밀성 하우징(B')에 위치된, 임의의 검출 전극에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
적어도 일부가, 배수 라인(l) 아래에서, 핸들(10)의 하부 부분에 위치되며 그러므로 스며든 물(e)에 잠기는, 수밀성 하우징(B')에 위치된, 검출 디바이스(D')는, 종래 기술에서처럼, 핸들(10') 상에서 사용자의 손의 접근 및/또는 접촉을 검출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정전식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 센서(100)를 포함하며, 그 자체는:
Figure pct00011
사용자의 손으로, 검출 표면(S1)을 향해 사용자의 손(M)의 접근을 나타내는, 가변 검출 정전용량(Ce)을 형성하는, 핸들(10')의 검출 표면(S1)에 가깝게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E2'),
Figure pct00012
접지 평면(P)에 연결된 마이크로제어기(60')로서, 마이크로제어기(60') 및 접지 평면은 인쇄 회로 보드(80)에 통합되는, 상기 마이크로제어기,
Figure pct00013
검출 커패시터(Ce)를 충전/방전시킬 수 있는, 충전/방전 커패시터(Cs),
Figure pct00014
전압원(Vcc);
Figure pct00015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에 연결되며, 마이크로제어기(80')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단자에 걸쳐 전압을 조정하게 할 수 있는, 제1 스위칭 수단(Sw1),
Figure pct00016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2 단자에 연결되며 검출 전극(E2')에 연결되어,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2 단자의 전압과 동시에 검출 전극(E2')의 전압을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제2 스위칭 수단(Sw2),
Figure pct00017
마이크로제어기(60')에 통합된, 검출 전극(E2')(도시되지 않음)의 단자에 걸쳐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Figure pct00018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Sw1, Sw2)은 검출 커패시터(Ce) 및 충전/방전 커패시터(Cs)를 충전/방전시키도록 설계되고, 검출 전극(E2')의 전압(Ve, Ve') 변화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M)의 접근의 검출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도 3에서 예시된다.
마이크로제어기(60')는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Sw1, Sw2)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Sw1, Sw2)은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 또는 각각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2 단자 및 (사용자의 손(M)으로 가변 정전용량(Ce)을 형성하는) 검출 전극(E2')을,
Figure pct00019
제1 위치에서: 비-제로 전압으로, 예를 들어, 공급 전압(Vcc)으로,
Figure pct00020
제2 위치에서 전기 접지로, 그리고
Figure pct00021
제3 위치에서, 개방 회로에서, 보다 정확하게 플로팅된 채로 있는 전위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종래 기술로부터의 정전식 센서(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1 단계(단계 E1)에서,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Sw1, Sw2)은 제1 위치에 있으며, 즉, 비-제로 전압원(Vcc)(예를 들어, 3.3V)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단계에서, 검출 커패시터(Ce)는 충전된다. 제2 단계(단계 E2)에서,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위치(개방 회로)에 있으며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2 위치(접지에 연결됨)에 있고; 이러한 구성에서, 검출 커패시터(Ce)는 두 개의 커패시터 간에 전하 균형이 달성될 때까지 충전/방전 커패시터(Cs)로 부분적으로 방전된다. 균형이 이루어졌다면,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이 측정된다(단계 E3). 실제로, 상기 전압(Ve)은, 저항기(R)의 단자에 걸친 전위 차가 제로이기 때문에(균형이 달성되었다면 전류가 제로이다, 도 3 참조), 접지와 제2 스위칭 수단(Sw2) 사이에서 측정된다.
그 후, 제4 단계(E4)에서, 두 개의 스위칭 수단(Sw1, Sw2)은 제2 위치에 있으며(접지에 연결됨) 두 개의 검출 및 충전/방전 커패시터(Ce 및 Cs)는 완전히 방전된다.
제5 단계(단계 E5)에서,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위치(개방 회로)에 있으며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1 위치에 있고(공급 전압원(Vcc)에 연결됨), 충전/방전 커패시터(Cs) 및 검출 커패시터(Ce)는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충전/방전 커패시터(Cs) 및 검출 커패시터(Ce)는 정전식 분할기 브리지를 형성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즉 접지와 제2 스위칭 수단(S2) 사이에서의) 전압(Ve')이 그 후 측정되며; 이것은 또한 하기 수학 관계식에 의해 제공된다(제6 단계 E6):
Figure pct00022
제6 단계(E6)에서 수행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의 이러한 새로운 측정치는 제3 단계(E3)에서, 사전에 수행된 전극, Ve의 단자에 걸친 전압의 측정치로부터 감해진다. 차이(N)는 그에 따라 획득되며, 이것은 다음과 같다:
N = Ve - Ve'
사용자의 손(M)이 검출 전극(E2')에 접근하면, 검출 정전용량(Ce)은 증가되며, 그러므로 제3 단계(E3)에서 측정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은 증가하고 제6 단계(E6) 동안 측정된 전극(e')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은 감소한다. 그러므로, 손(M)의 접근의 검출은 차이(N)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 확인된다.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은 제3 단계에서 측정된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과 제6 단계(E6)에서 측정된 것(Ve) 간의 차이(N)가 임계치보다 클 때, 즉 다음과 같을 때 확인된다:
N > Th
정전식 센서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이러한 방법은 이 기술분야에서의 숙련자에게 알려지며 여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검출 전극(E2) 및 접지 평면이 배수 라인(l) 위쪽에 배열되고 디바이스(D')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호 전극(Ep)을 포함하도록 제안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보호 전극(Ep)이 종래 기술과 대조적인 특정한 방식으로 핸들(10')에 배열되도록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보호 전극(Ep)이 배수 라인(l) 아래에 위치된, 핸들(10')의 하부 부분에서, 하우징(B')에 포함되는 것을 제안한다. 다시 말해서, 보호 전극(Ep)은 부분적으로 스며든 물(e)에 잠긴 하우징(B')의 부분에 위치된다.
보호 전극(Ep)은 검출 전극(E2')으로부터 및 접지 평면(P)으로부터 분리되며, 보호 커패시터(Cep)를 갖는다. 상기 보호 전극(Ep)은 보호 커패시터(Cep)와 검출 커패시터(Ce) 사이에 전기적 결합이 있도록 검출 전극(E2')에 충분히 가깝다(도 3 비교). 보호 전극(Ep)의 표면적은 검출 전극(E2')의 것보다 작고, 보호 전극(Ep)은 저항기 위쪽으로 연결되지 않고, 손의 접근 시 보호 정전용량(Cep)에서의 변화는 무시해도 될 정도이며 본 발명의 검출 방법에서 무시될 것이다.
전기적 결합은 두 개의 커패시터(Ce 및 Cep) 사이에서 표유 용량성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 전극(Ep)은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와 동시에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보호 커패시터(Cep) 및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는 검출 방법의 단계(E1 내지 E6) 동안 동시에 동일한 전위에 있다. 이것은 이후 설명된다.
잠금/잠금 해제하기 위한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제1 단계(단계 E1)에서,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Sw1, Sw2)은 제1 위치에 있으며, 즉 비-제로 전압원(Vcc)(예를 들어, 3.3V)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단계에서, 검출 커패시터(Ce)는 충전되고,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두 개의 단자는 동일한 전위에 있고,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는 방전된 채로 있으며, 보호 전극은 공급 전압(Vcc)에 있다. 보호 전극(Ep)은 그 후 물(e)로부터 검출 전극(E2')의 전압(Vcc)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보호 전극(Ep)은 이 경우에 물(e)에 의한 검출 전극(E2')과 접지 평면(P') 사이에서의 전위 결합을 피하며 검출 전극(E2')의 정전용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의해 검출 전극(E2')의 충전을 가속시킬 뿐만 아니라 검출 전극(E2')의 검출 민감도를 또한 증가시킨다.
제2 단계(단계 E2)에서,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위치(개방 회로)에 있으며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2 위치에 있고(접지에 연결됨); 이러한 구성에서, 검출 커패시터(Ce)는 두 개의 커패시터 간의 전하 균형이 달성될 때까지 충전/방전 커패시터(Cs)로 부분적으로 방전된다. 균형이 달성되었다면,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이 측정된다(단계 E3). 이러한 제2 단계(E2)에서, 보호 전극(Ep)은 접지에 연결된다. 그 후 검출 전극(E2')과 보호 전극(Ep) 사이에 약 결합이 있지만, 이것은 전압(Ve) 측정에 약간의 영향만을 준다.
그 후, 제4 단계에서, 두 개의 스위칭 수단(Sw1, Sw2)은 제2 위치에 있고(접지에 연결됨) 두 개의 검출 및 충전/방전 커패시터(Ce 및 Cs)는 완전히 방전되며, 보호 전극(Ep)이 또한 접지에 연결되고, 이것은 상기 두 개의 커패시터(Ce 및 Cs)의 방전에 어떠한 영향도 없다.
제5 단계(단계 E5)에서, 제2 스위칭 수단(Sw2)은 제3 위치(개방 회로)에 있으며 제1 스위칭 수단(Sw1)은 제1 위치에 있고(Vcc에 연결됨), 충전/방전 커패시터(Cs) 및 검출 커패시터(Ce)는 균형을 달성할 때까지 부분적으로 충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충전/방전 커패시터(Cs) 및 검출 커패시터(Ce)는 정전식 분할기 브리지를 형성한다. 충전이 완료되면, 검출 전극(E2')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이 측정되고(단계 E6); 이것은 또한 하기 수학 관계에 의해 주어진다(제6 단계(E6):
Figure pct00023
전극(Ve')의 단자에 걸친 전압의 이러한 새로운 측정치는 차이(N)를 얻기 위해, 제3 단계(E3)에서, 사전에 수행된 것(Ve)으로부터 감해진다(단계 E7):
N = Ve - Ve'
제5 단계(단계 E5)의 이러한 구성에서, 보호 전극(Ep)은 공급 전압(Vcc)에 연결되며, 다시 물(e)로부터 검출 전극(E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호 전극(Ep)은 검출 정전용량(Ce)을 감소시키며 방전을 가속시키고 상기 전극(E2')의 검출 민감도를 개선하는데 기여한다.
사용자의 손(M)이 검출 전극(E2')에 접근하면, 검출 정전용량(Ce)은 증가하며, 그러므로 제3 단계(E3)에서 측정된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은 증가하고 제6 단계(E6)에서 측정된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은 감소한다. 손의 접근의 검출은 차이(N)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 확인된다(단계 E8).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은 제3 단계(E3)에서 측정된 검출 전극의 단자에 걸친 전압(Ve)과 제6 단계(E6)에서 측정된 것(Ve') 간의 차이(N)가 임계치보다 클 때, 즉 다음과 같을 때 확인된다:
N > Th
보호 전극(Ep)의 존재는 검출 전극(E2')의 접지로의 결합을 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검출 전극(E2')의 충전 동안 충전 전위(Vcc)에 있음으로써, 제1 단계(E1)에서, 상기 전극의 충전을 가속시키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보호 전극(Ep)이 제5 단계(E5)에서, 충전/방전 전극(Cs)의 충전 및 검출 전극(E2')의 것 동안 충전 전위(Vcc)에 있으므로, 상기 보호 전극(Ep)은 검출 정전용량(Ce)을 감소시키며 그러므로 상기 검출 전극(E2')의 충전을 가속시킨다.
본 발명은 그러므로 방편으로, 검출 전극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핸들에 스며든 물에 잠긴 수밀성 하우징의 부분에 배열된,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단자와 동일한 전위에 연결된 보호 전극(Ep)을 부가함으로써, 물을 통한 접지와 보호 전극 간의 전기적 결합을 회피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검출 전극(E2')의 검출 민감도를 또한 개선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자동차 도어(10')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D')로서,
    상기 디바이스(D')는 비-수밀성 핸들(10')에 통합된 수밀성 하우징(B')에 포함되고, 상기 비-수밀성 핸들의 하부 부분은 물(e)에 잠긴 상기 수밀성 하우징(B')의 부분으로 스며든 물(e)의 배수를 위해 배수 라인(l)을 획정하는 배수구(t1, t2)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디바이스(D')는,
    Figure pct00024
    사용자의 손(M)의 접근을 나타내는 가변 검출 정전용량(Ce)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E2')을 포함하는, 정전식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 센서(100),
    Figure pct00025
    충전/방전 커패시터(Cs),
    Figure pct00026
    접지 평면(P)에 그리고 전압원(voltage source)(Vcc)에 연결되어, 검출 정전용량(Ce)을 측정하는, 마이크로제어기(60'),
    Figure pct00027
    상기 마이크로제어기(60')에 그리고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에 연결된 제1 스위칭 수단(Sw1),
    Figure pct00028
    상기 마이크로제어기(60')에,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2 단자에, 그리고 상기 검출 전극(E2')에 연결된 제2 스위치 수단(Sw2)을 포함하고,
    Figure pct00029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수단(Sw1, Sw2)은 상기 검출 커패시터(Ce) 및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를 충전/방전시키도록 설계되며,
    상기 디바이스(D')는,
    Figure pct00030
    상기 검출 전극(E2') 및 상기 접지 평면(P)이 상기 배수 라인(l) 위쪽에 배열되는 것,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가,
    Figure pct00031
    상기 보호 전극(Ep)과 상기 검출 전극(E2') 사이에 전기적 결합이 있도록 상기 검출 전극(E2')으로부터 분리된, 물(e)에 잠긴 상기 하우징(B')의 부분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전극(Ep)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호 전극(Ep)은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와 동시에 상기 제1 스위칭 수단(Sw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제어기(60') 및 상기 접지 평면(P)은 인쇄 회로 보드(80)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3.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자동차 도어는 검출 디바이스(D')를 포함하고, 상기 디바이스(D')는 비-수밀성 핸들(10')에 통합된 수밀성 하우징(B')에 포함되고, 상기 비-수밀성 핸들의 하부 부분이 배수구(t1, t2)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B')의 일부분이 물(e)에 잠겨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는,
    Figure pct00032
    사용자의 손(M)의 접근을 나타내는 가변 검출 정전용량(Ce)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검출 전극(E2')을 포함하는, 정전식 접근 및/또는 접촉 검출 센서(100),
    Figure pct00033
    충전/방전 커패시터(Cs),
    Figure pct00034
    전압원(Vcc)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 단계 E1: 상기 검출 커패시터(Ce)를 충전시키는 단계,
    - 단계 E2: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로 상기 검출 커패시터(Ce)를 방전시키는 단계,
    - 단계 E3: 상기 검출 전극(Ce)의 단자에 걸쳐 전압(Ve)을 측정하는 단계,
    - 단계 E4: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 및 상기 검출 커패시터(Ce)를 방전시키는 단계,
    - 단계 E5: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 및 상기 검출 커패시터(Ce)를 동시에 충전시켜서, 정전식 분할기 브리지를 형성하는 단계,
    - 단계 E6: 상기 검출 전극(Ce)의 단자에 걸쳐 전압(Ve')을 측정하는 단계,
    - 단계 E7: 단계 E3에서 수행된 전압(Ve) 측정치와 단계 E6에서 수행된 전압(Ve') 측정치 간의 차이(N)를 산출하는 단계,
    - 단계 E8: 상기 차이(N)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제N)보다 크다면 상기 접근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방법은,
    Figure pct00035
    단계 E1 전에, 단계 E1 내지 단계 E6에서, 보호 커패시터(Cep)가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와 동일한 전위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상기 보호 커패시터(Cep)가 상기 충전/방전 커패시터(Cs)의 제1 단자 사이에서 연결되고, 상기 보호 커패시터(Cep)는 상기 검출 커패시터(Ce)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4. 도어 핸들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5. 자동차로서,
    제1항 또는 제2항에 청구된 바와 같은 검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207009849A 2017-09-05 2018-09-03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연관된 도어 핸들 KR102641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758159 2017-09-05
FR1758159A FR3070706B1 (fr) 2017-09-05 2017-09-05 Dispositif de detection d'intention de verrouillage ou de deverrouillage d'un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par un utilisateur et poignee de portiere associee
PCT/FR2018/052148 WO2019048765A1 (fr) 2017-09-05 2018-09-03 Dispositif de détection d'intention de verrouillage ou de déverrouillage d'une port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par un utilisateur et poignée de portière associ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017A true KR20200051017A (ko) 2020-05-12
KR102641562B1 KR102641562B1 (ko) 2024-02-27

Family

ID=6187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849A KR102641562B1 (ko) 2017-09-05 2018-09-03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연관된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1453B2 (ko)
KR (1) KR102641562B1 (ko)
CN (1) CN111051629B (ko)
FR (1) FR3070706B1 (ko)
WO (1) WO20190487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3946A1 (de) * 2018-06-12 2019-12-12 HELLA GmbH & Co. KGaA Biegen von Leiterplatten
FR3087469B1 (fr) * 2018-10-19 2020-09-25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Dispositif de detection d'intention de verrouiller ou de deverrouiller une portiere de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associe
USD950354S1 (en) * 2019-05-15 2022-05-03 Mf Ip Holding, Llc Handle
JP7292610B2 (ja) * 2019-09-04 2023-06-19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ドア制御装置
DE102020102887A1 (de) * 2020-02-05 2021-08-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mit Verkleidungselement, Fahrzeug, sowie Verfahren
CN113224506B (zh) * 2021-05-18 2022-05-10 远峰科技股份有限公司 汽车及其门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4756A1 (en) * 2003-04-22 2004-11-04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oor latch system with water rejection filtering
US20130194069A1 (en) * 2010-09-06 2013-08-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determining spurious contacts on a contact detection sensor for a door handle of an automobile vehicle
US20180283843A1 (en) * 2017-03-29 2018-10-04 Alps Electric Co., Ltd. Water rejection on capacitive door handle
US20180367139A1 (en) * 2017-06-15 2018-12-20 Magna Closures Inc. User interface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5796B1 (fr) * 2007-05-03 2009-06-12 Siemens Vdo Automotive Sas Dispositif de suppression du phenomene d'interferences entre zones de detection capacitives d'un capteur
JP4751860B2 (ja) * 2007-07-27 2011-08-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1111938B1 (ko) * 2007-11-30 2012-02-15 도요타 지도샤(주) 정전 용량식 접촉 검지 장치 및 도어 잠금 장치
DE102009002566A1 (de) * 2009-04-22 2010-10-2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ensorelektronik in einem Kraftfahrzeugtürgriff
US10065590B2 (en) * 2014-10-10 2018-09-04 Iee International Electronics & Engineering S.A. Capacitive sensing device
US9542051B2 (en) * 2014-10-24 2017-01-1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Analog elimination of ungrounded conductive objects in capacitive sensing
US11280119B2 (en) * 2015-07-31 2022-03-22 Rohm Co., Ltd. Contact sensing device, proximity/contact sensing device, door handl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door handle device, and electronic key system
JP6749017B2 (ja) * 2016-11-17 2020-09-02 東京パーツ工業株式会社 静電容量式近接センサおよびこの静電容量式近接センサを備えるドアハンド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4756A1 (en) * 2003-04-22 2004-11-04 Touchsensor Technologies, Llc Electronic door latch system with water rejection filtering
US20130194069A1 (en) * 2010-09-06 2013-08-0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determining spurious contacts on a contact detection sensor for a door handle of an automobile vehicle
US20180283843A1 (en) * 2017-03-29 2018-10-04 Alps Electric Co., Ltd. Water rejection on capacitive door handle
US20180367139A1 (en) * 2017-06-15 2018-12-20 Magna Closures Inc. User interface system for controlling a vehicle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562B1 (ko) 2024-02-27
FR3070706B1 (fr) 2019-08-23
US11421453B2 (en) 2022-08-23
WO2019048765A1 (fr) 2019-03-14
CN111051629A (zh) 2020-04-21
CN111051629B (zh) 2021-06-29
US20210123270A1 (en) 2021-04-29
FR3070706A1 (fr)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1017A (ko) 자동차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를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연관된 도어 핸들
CN105490672B (zh) 接近传感器和具有该接近传感器的无钥匙进入装置
CN106338772B (zh) 用于检测用户锁定或解锁机动车门的意图的设备
KR101802363B1 (ko) 자동차 도어 핸들 접촉 검출 센서 상의 거짓 접촉들을 판정하기 위한 방법
US8305090B2 (en)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and door locking device
KR101308903B1 (ko) 물체의 접근을 검출하기 위한 정전용량식 검출장치, 센서유닛,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5605205B2 (ja) 静電容量検出装置および接触検知センサ
CN110325697A (zh) 具有用于检测锁定和解锁机动车门的意图的装置的机动车门把手
KR102403298B1 (ko)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근접하여 사용자의 손이 접근 및/또는 접촉하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 관련된 용량성 센서 및 검출 모듈
CN110268632B (zh) 检测用户锁定或解锁机动车辆车门的意图的方法和相关设备
JP6529859B2 (ja) 近接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US10139514B2 (en) Method of detecting the approach of a user's hand to a vehicle door handle or the contact of a user's hand therewith, and associated detection device
US9797169B2 (en) Presence sensor for an openable body section of a motor vehicle
JP6031699B2 (ja) 静電容量型近接センサおよびドアハンドル
US11390246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intention to lock or unlock a vehicle door and associated detecting device
JP2010034828A (ja) 静電容量式接触検知装置
US1087989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stray contacts on an approach and/or contact detection sensor, and associated determination device
CN113168740B (zh) 用于检测锁定或解锁机动车门的意图的装置和相关联的方法
CN112805922B (zh) 具有电容传感器和电感传感器的用于检测锁定或解锁机动车辆的开启元件的意图的设备
CN112753165A (zh) 用于检测锁定或解锁机动车辆开启部件的意图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