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693A - 스팀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스팀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693A
KR20200050693A KR1020180133642A KR20180133642A KR20200050693A KR 20200050693 A KR20200050693 A KR 20200050693A KR 1020180133642 A KR1020180133642 A KR 1020180133642A KR 20180133642 A KR20180133642 A KR 20180133642A KR 20200050693 A KR20200050693 A KR 2020005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ontrol valve
housing
suppl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949B1 (ko
Inventor
권순철
예상균
한승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3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949B1/ko
Priority to PCT/KR2019/014757 priority patent/WO2020091531A1/en
Priority to EP19206761.9A priority patent/EP3647666B1/en
Priority to US16/673,006 priority patent/US20200138229A1/en
Publication of KR2020005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DPREHEATING, OR ACCUMULATING PREHEATED, FEED-WATER FOR STEAM GENERATION; FEED-WATER SUPPLY FOR STEAM GENERATION; CONTROLLING WATER LEVEL FOR STEAM GENERATION; AUXILIARY DEVICES FOR PROMOTING WATER CIRCULATION WITHIN STEAM BOILERS
    • F22D5/00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 F22D5/08Controlling water feed or water level; Automatic water feeding or water-level regulators with float-actuat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캐비티와 캐비티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와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와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스팀 발생 장치와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과 급수 장치와 스팀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조절 밸브와 급수 장치와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연결관과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급수조절 밸브와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포함하고,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플로트의 부력은 급수 장치에 저장된 물 중 급수조절 밸브로 낙하되는 물의 자중에 의한 중력보다 크다

Description

스팀 조리 기기{STEAM COOK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가열 조리 장치로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전자 레인지와 히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오븐이 있다. 이 중 전자 레인지는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을 종류에 많은 제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 후 음식물이 건조되어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오븐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공기가 히터와 음식물 사이에서 열전달 매체로 작용함에 따라 조리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위와 같은 종래 가열 조리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팀을 통해 음식물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 조리 장치, 즉, 스팀 조리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팀 조리 기기를 이용하면 음식물에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어 식품이 맛을 유지할 수 있고 캐비티 내에 가득 찬 스팀이 효과적인 열전달 매체로 작용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스팀 조리 기기는 일반적으로 조리 공간을 갖는 캐비티와,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발생 장치와, 스팀 발생 장치의 스팀을 캐비티로 공급하기 위해 스팀 발생 장치와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급수조절밸브에 있어서 추가적인 펌프나 전기적 신호 없이 용이하게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조절밸브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치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상기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과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의 부력은 상기 급수 장치에 저장된 물 중 상기 급수조절 밸브로 낙하되는 물의 자중에 의한 중력보다 크다.
또한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조절 밸브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수 밸브가 폐쇄 상태일 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위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내측 수위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에 의해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물이 증발하여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가 내려갈 시, 상기 연결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위가 연동되어 내려가고 상기 플로트는 하강하여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가 개방될 시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스팀 발생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가 상승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로 올라갈 시 상기 플로트는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플로트는 상기 플로트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일측은 상기 일측 외의 상기 측면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커팅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커팅부와 상기 하우징 내면 사이 공간과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유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관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급수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도록 상기 저장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압력 조절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도록 상기 하우징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 2압력 조절 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로트는 상기 하우징 내의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로트 상단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배수 밸브를 연결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제 1연결관의 어느 일측과 연결되는 제 2연결관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 받는 제 1위치와 상기 급수 장치에 안착되어 상기 급수관으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는 제 2위치 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가 제 2위치에 배치될 시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상기 스팀 공급 장치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상기 플로트와 연결되는 일측을 가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플로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상기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과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사이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 장치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의 수위와 성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는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갈 시 상기 급수관 내의 물의 중력에 의해 상기 급수관 내의 물이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되고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장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상단은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의 일정 높이 이하의 수위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 기기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상기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과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과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와, 상기 하우징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플로트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하우징 내의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로트 상단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일측은 상기 일측 외의 상기 측면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커팅되는 커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급수조절밸브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급수조절밸브의 내의 수면의 높이에 따라 플로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급수조절밸브를 용이하게 개폐하여 스팀 발생 장치로 급수가 가능함.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급수조절밸브는 급수 장치 내의 물이 중력에 자동으로 낙하되고 플로트의 부력에 의해 급수조절밸브를 개폐함에 따라 추가적인 펌프 등의 구성과 제어부의 전기적 신호 없이 급수조절밸브가 동작될 수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후방 사시도로서, 본체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후측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급수조절 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급수조절 밸브의 단면도.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되는 순서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설명 중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뜻하지 않은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후방 사시도로서, 본체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대한 후측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 기기(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음식물 조리를 하도록 마련되는 캐비티(30)와,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40)와, 캐비티(3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스팀 발생 장치(40)와 캐비티(30)를 연결하는 증기관(50)과, 캐비티(30) 내부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캐비티(30)에 연결되는 배출관(미도시)과 배출 노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체(10)는 상판(11), 하판(12), 좌판(13), 우판(14), 전판(15) 및 후판(16)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의 전판(15)에는 캐비티(30) 내부로 음식물을 출납할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판(15) 상부에는 조리 기기(1)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7)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30)는 음식물을 수용하도록 본체(10) 내부에 마련된다. 캐비티(30)는 본체(10)와 마찬가지로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캐비티(30)는 상벽(31), 하벽(32), 좌벽(33), 우벽(34), 후벽(36) 및 이들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 공간(37)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30)의 전면에는 음식물이 출납되는 개구(35)가 형성되고, 개구(35)는 도어(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는 힌지(3)를 통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캐비티(30)의 상측에는 쿨링팬(21)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30)의 후방에는 컨벡션 모터(6), 스팀 발생 장치(40), 급수조절 밸브(100) 등을 설치하기 위한 후방 지지판(20)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후방 지지판(20)은 생략 가능하며, 캐비티(30) 상벽(31) 및 후벽(36) 등이 이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캐비티(30)의 조리 공간(37)의 후부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와, 공기 및 스팀을 조리 공간(37) 내부에서 순환시키기 위한 컨벡션 팬(5)이 마련될 수 있다. 히터(4)와 컨벡션 팬(5) 앞에는 히터(4)와 컨벡션 팬(5)을 커버하기 위한 팬 커버(39)가 마련되고, 팬 커버(39)에는 공기가 유동하도록 통공(39a)이 형성될 수 있다.
쿨링팬(21)은 본체(10)와 캐비티(30) 사이에서 공기를 순환시켜서 캐비티(30) 및 각종 전장품(8)을 냉각시킬 수 있다. 쿨링팬(21)은 본체(10)의 후상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40)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팀 발생 장치(4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41)를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40)는 캐비티(3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후방 지지판(20)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장치(60)과 급수 장치(60)에서 급수되는 물을 후술할 급수조절 밸브(100)로 공급하는 급수관(70)과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을 연결하는 연결관(80)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장치(60)는 급수 하우징(61)과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2)는 급수 하우징(6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급수 하우징(61)과 결합될 수 있다. 급수 하우징(61)은 전판(15)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62)는 급수 하우징(61)의 전방과 전판(15)을 관통하여 전판(15)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부(62)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저장부(6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저장부(62)는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 받는 제 1위치(P1)와 급수 밸브(65)와 연결되어 급수관(7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급수 하우징(61) 내부에 삽입되는 제 2위치(P2)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저장부(62)의 상측에는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 공급홀(미도시)과 저장부(62)에 저장된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아 자동적으로 중력에 의해 급수(70)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 1압력 조절 홀(63)이 배치될 수 있다.
공급홀(미도시)과 제 1압력 조절 홀(63)의 상측에는 이들을 커버하는 커버부재(64)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62)는 제 2위치(P2)에 배치될 시 급수 하우징(61) 후측에 배치되는 급수 밸브(65)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62)에 저장된 물은 자동으로 저장된 물의 중력과 대기압의 압력에 의해 급수관(70)으로 유동될 수 있다.
급수관(7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관(70)으로 유입된 물은 급수관(70)을 따라 하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
급수관(70)을 따라 낙하하는 물은 급수 장치(60)의 하측에 배치되는 급수조절 밸브(100)에 유입될 수 있다. 급수조절 밸브(100)는 급수 장치(60)와 스팀 발생 장치(40) 사이에 배치되어 급수 장치(60)에서 스팀 발생 장치(4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급수조절 밸브(100)에서 유출되는 물은 연결관(80)을 따라 스팀 발생 장치(4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연결관(80)은 배수 밸브(9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관(80)은 일단이 스팀 발생 장치(40)와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 밸브(90)와 연결되는 제 1연결관(81)과 일단이 급수조절 밸브(1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 1연결관(81)과 연결되는 제 2연결관(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관(80)은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와 배수 밸브(90)를 연결할 수 있다.
배수 밸브(90)가 폐쇄 상태일 시 급수 장치(60)에서 급수된 물은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 및 연결관(80)에 저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배수 밸브(90)는 스팀 발생 장치(40)와 급수조절 밸브(100)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밸브(90)가 개방 상태일 시, 연결관(90)과 스팀 발생 장치(40) 및 급수조절 밸브(100)에 저수된 물은 물의 자중에 의해 배수 밸브(90)를 통해 배수관(91)으로 유입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급수조절 밸브(100)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급수조절 밸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급수조절 밸브의 단면도이다.
급수조절 밸브(100)는 밸브 하우징(110)과 밸브 하우징(110)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플로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하우징(110)은 플로트(140)가 밸브 하우징(110)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밸브 하우징(120)과 제 2밸브 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 하우징(120)은 밸브 하우징(110)의 상부를 형성하며 제 2밸브 하우징(130)은 밸브 하우징(110)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밸브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급수관(70)과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밸브 하우징(11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121)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밸브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되는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제 2압력 조절 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압력 조절 홀(122)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되는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아 수위가 달라질 수 있다.
제 2밸브 하우징(130)은 급수조절 밸브(100) 내의 물이 연결관(80)을 통해 스팀 발생 장치(90)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유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출부(131)는 제 2밸브 하우징(130)의 하단에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부(121)를 통해 급수조절 밸브(100)로 유입된 물은 유출부(131)를 통해 급수조절 밸브(100) 외측으로 유출되고 연결관(80)을 통해 스팀 발생 장치(40)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121)를 통해 급수관(70)에서 낙하되는 물은 밸브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밸브 하우징(120)과 제 2밸브 하우징(130)에 의해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플로트(140)가 마련될 수 있다.
플로트(140)는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되는 물의 수면 높이에 연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플로트(140)는 상면(141)과 측면(142)을 가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트(140)는 구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플로트(140)의 상면(141)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플로트(140)가 상측으로 이동될 시 유입부(121)를 폐쇄하는 개폐부(144)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144)는 유입부(121)의 개구를 폐쇄하여 급수관(70)을 통해 물이 급수조절 밸브(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44)는 플로트(140)가 하측으로 이동될 시 플로트(140)와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부(121)의 개구를 개방하여 급수관(70)을 통해 물이 급수조절 밸브(10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수 밸브(90)가 폐쇄상태일 시 연결관(80)과 급수조절 밸브(100) 및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에 물이 저수될 수 있는데 스팀 발생 장치(40)의 내부 수위와 급수조절 밸브(100)의 내부 수위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스팀 발생 장치(40)와 급수조절 밸브(100)는 상하 방향으로 대략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급수조절 밸브(100)가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에 따라 급수장치(40)로부터 선택적으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는 자세하게 후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 장치(40)에서 공급되는 물은 급수조절 밸브(100)를 통해 스팀 발생 장치(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급수조절 밸브(100)의 내부에는 플로트(140)가 배치되고 이에 따라 물은 플로트(141)의 측면(142)과 밸브 하우징(110) 내면 사이를 통해 급수조절 밸브(100) 외측으로 유출된다. 또한 급수조절 밸브(100)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저수되어 있을 시, 저수된 물은 플로트(141)의 측면(142)과 밸브 하우징(110) 내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플로트(141)의 측면(142)과 밸브 하우징(110) 내면 사이의 폭이 좁아 이 사이에 위치한 물은 모세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조절 밸브(100) 내의 수위가 스팀 발생 장치(40) 내의 수위보다 상승될 수 있는데, 이는 스팀 발생 장치(40) 내의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 밸브(100)의 플로트(140)는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로트(140)의 측면(142) 일부가 다른 측면(142)과 밸브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보다 더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플로트(140)의 중심측으로 커팅되는 커팅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부(143)는 소정의 거리만큼 밸브 하우징(110)의 내면과 이격 배치될 수 있어,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되는 물에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출부(131)는 커팅부(143)가 배치되는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팅부(143)는 플로트(140)의 다른 측면(142)보다 밸브 하우징(110)의 내면 사이의 공간이 넓게 확보될 수 있어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 저수된 물이 더 원활하게 유출부(131)를 따라 밸브 하우징(110) 외측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유출부(131)는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되는 절개부(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출부(131)는 하단에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으로의 단면이 넓어지는 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관 형상의 유출부(131) 내부에 저수되는 물에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하 방향으로 동일선 상에 물을 위치하지 않게 하여 유출부(131)의 내주면과 저수된 물 사이의 부착력을 저하시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급수조절 밸브(100)에 의해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가 조절되는 특징에 대하여 자세하게 서술한다.
도 7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구동되는 순서에 대한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스팀 발생 장치(40)의 내부에는 스팀 발생 장치(40)에 저수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형성하는 히터(4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일정량의 물이 스팀 발생 장치(40)에 저수되지 않을 경우 히터(41)가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증기량이 줄어들어 스팀 발생 장치(40)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안정적으로 스팀 발생 장치(40)가 구동되지 못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이와 같이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물을 일정량으로 조절하기 위해 수위 센서 등을 포함하여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수위를 판단하고 펌프 등의 구성을 통해 수위 센서에서 감지된 스팀 발생 장치의 수위에 따라 스팀 발생 장치 내부로 물을 공급하였다.
이와 같이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고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복잡한 전기적 회로가 구성되었으며, 추가적은 구성이 배치됨에 따라 조리 장치의 크기가 증가하고, 조리 기기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기(1)는 스팀 발생 장치(40)의 물 보충시기를 확인하는 전기적 회로 구성이나, 물 보충시기에 자동적으로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을 공급하는 전기적 펌프 또는 밸브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조절 밸브(10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조절 밸브(100)는 단순하게 플로트(140)의 부력과 급수조절 밸브(100)로 유입되는 물의 자중에 의한 중력의 차이로 급수조절 밸브(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140)가 자동으로 급수조절 밸브(10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별도의 구성 또는 전기적 회로 없이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즉, 플로트(140)의 부력은 급수 장치(60)에서 저장된 물 중 급수조절 밸브(100)로 낙하되는 물의 자중에 의한 중력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로트(140)가 급수조절 배브(100) 내부에 저수된 물에 대한 부력으로 밸브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유입부(121)를 폐쇄하게 되는데, 개폐부(144)가 유입부(121)를 폐쇄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물이 밸브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장치(40)가 구동되기 전 급수장치(60)에 저장된 물이 급수관(70)을 통해 급수조절 밸브(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배수 밸브(90)는 폐쇄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급수조절 밸브(100) 내부에 물이 공급되지 않을 시 플로트(140)는 밸브 하우징(1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의 플로트(140)의 상면(141)의 높이를 H1라고 가정할 수 있다.
급수장치(60)에 저장된 물이 지속적으로 급수조절 밸브(100)에 유입됨에 따라 물은 급수조절 밸브(100)의 유출부(130)를 통해 연결관(80)과 스팀 발생 장치(40)에 저수될 수 있다.
물은 연결관(80)에 저수되기 시작하면서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에도 저수되기 시작할 수 있다. 이 때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의 내부의 수위가 대략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게 높아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조절 밸브(100) 내부에 물이 일정량 저수되면서 플로트(140)가 부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플로트(140)의 상면(141)은 H1보다 더 높이 이동될 수 있다.
플로트(140)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플로트(140)의 상단에 배치되는 개폐부(144)가 급수조절 밸브(100)의 유입부(121)를 폐쇄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트(140)의 부력이 급수관(70)을 통해 낙하되는 물의 자중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바 급수관(70) 내부에 저수되는 물은 개폐부(144)를 하측으로 밀지 못하고 개폐부(144)가 안정적으로 유입부(121)를 폐쇄할 수 있다.
개폐부(144)가 유입부(121)를 폐쇄할 시의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를 L1이라고 가정하고 이 때 플로트(140) 상면(141)의 높이를 H2라고 가정할 시, H2는 H1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L1의 높이는 스팀 발생 장치(40)의 히터(41)의 상단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40)의 히터(41)의 상단보다 스팀 발생 장치(40)의 내부의 수위가 높이 형성되어야 히터(41)가 효율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일정량의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히터(41)가 과열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L1까지 스팀 발생 장치(40)의 수위가 형성될 시 히터(41)가 가열되어 스팀 발생 장치(40)가 구동될 수 있다. 이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에 저수된 물이 증발되면서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저수량이 감소할 수 있다.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저수량이 감소되어 스팀 발생 장치(40) 내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에 연동되어 급수조절 밸브(100) 내의 수위도 낮아질 수 있다.
급수조절 밸브(100) 내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플로트(140)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144)가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되고 유입부(121)가 개방됨에 따라 급수관(70)에 저수되었던 물이 다시 급수조절 밸브(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121)가 개방됨에 따라 급수조절 밸브(100)뿐만 아니라 연결관(90)을 통해 스팀 발생 장치(40)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어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 이하로 내려가면 자동적으로 급수조절 밸브(100)를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팀 발생 장치(40)는 스팀 발생 장치(40)에 저수된 물의 량이 줄어들어도 일정량 이하로 저수량이 떨어지면 다시 자동적으로 급수조절 밸브(100)를 통해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급수조절 밸브(100)로 물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의 높이를 L2라고 하고 이 때의 플로트(140) 상면의 높이를 H3로 가정하면, L2의 높이는 히터(41)의 상단보다 높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로 물이 공급되는 시점에서도 안정적으로 히터(41)가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조절 밸브(100)의 플로트(1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급수조절 밸브(100)가 개폐되고 플로트(140)의 이동은 급수조절 밸브(100) 및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에 연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 스팀 발생 장치(40)의 수면이 일정 높이로 낮아질 시 자동으로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급수장치(60)가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급수 장치(60)에 저장된 물의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를 통해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이 공급되어 별도의 공급 펌프와 같은 구성 없이 용이하게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소한의 구성만으로 스팀 발생 장치(40)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조리 기기(1)가 컴팩트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로트(140)의 커팅부(143) 및 유출부(131)의 절개부(131a)에 의해 급수조절 밸브(100) 자체의 크기도 최소화되는 상태로 조리 기기(1)에 설치될 수 있어 조리 기기(1)가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조리 기기(1)는 스팀 발생 장치(40)와 기타 전장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간단한 전기적 회로 구성을 통해 스팀 발생 장치(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제어부는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수위가 적정 수위인지를 판단하고 감지하는 추가적인 전기적 회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이와 같은 전기적 회로가 불필요하고 단순하게 스팀 발생 장치(40)만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급수 장치(60)는 저장부(62)에 물이 공급되고 제 2위치(P2)에 배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10)를 포함한다. 감지센서(210)는 제어부(200)가 감지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센서(210)로부터 신호를 받고(S100) 급수 장치(60)에서 스팀 발생 장치(40)로 물이 급수되어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가 L1이 되는 시간까지 히터(41)를 구동시키지 않고(S110), 이 대기 시간이 지난 후 히터(41)를 구동시킨다(S120). 이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만큼 히터(41)를 주기적으로 구동시키고(S130)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히터(41)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S140)
즉, 제어부(200)는 감지 센서(210)로부터 신호를 받은 후 일정의 대기시간 후 히터(41)를 on/off하는 단순한 제어를 통해 스팀 발생 장치(40)를 안정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히터가 구동되는 동안 스팀 발생 장치 내부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로 형성되면 전자밸브 또는 펌프를 구동시켜 스팀 발생 장치 내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00)는 이와 같은 추가적인 제어 없이 단순하게 히터(41)의 on/off만을 제어하여 스팀 발생 장치(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급수조절 밸브(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급수조절 밸브(10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 밸브(100) 및 조리 기기(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급수조절 밸브(100)는 밸브 하우징(110) 내의 수면에 따라 유입부(12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플로팅 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장치(150)는 부력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의 수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로트(151)와 플로트(151)와 연결되는 일측을 가지는 회동부재(152)와 회동부재(152)의 타측에 연결되고 플로트(151)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유입부(121)를 개폐하는 개폐부(154)와 회동부재(152)의 단부에 배치되고 플로트(151)의 상하 이동에 연동되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의 수위가 L1으로 형성될 시 플로트(151)는 급수조절 밸브(100)의 수위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폐부(154)는 플로트(151)와 회동부재(152)에 연동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유입부(121)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스팀 발생 장치(40) 내부에 저수된 물이 증발하여 스팀 발생 장치(40) 및 급수조절 밸브(100) 내의 수위가 L2로 낮아질 시 플로트(151)는 급수조절 밸브(100)의 수위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개폐부(154)는 플로트(151)와 회동부재(152)에 연동되어 하측으로 이동되고 유입부(121)가 개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1)의 급수조절 밸브(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급수조절 밸브(100)의 구성 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수조절 밸브(100) 및 조리 기기(1)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일부 구성에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급수조절 밸브(100)는 급수관(70)과 연결되는 유입단(162)과 밸브 하우징(110) 내부로 연장되어 밸브 하우징(1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연장관(161)를 포함하는 유입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161)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되는 경사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63)는 하단에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하 방향으로의 단면의 면적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63)의 상단은 대략 스팀 발생 장치(40) 및 급수조절 밸브(100)에 물의 공급이 중단될 시의 수위인 L1과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부(163)는 관 형상의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바 스팀 발생 장치(40)와 급수조절 밸브(100)의 수위가 L1 이하로 내려갈 시 경사부(163)의 적어도 일부, 즉 스팀 발생 장치(40)와 급수조절 밸브(100)의 수위보다 높이 배치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급수관(70) 내부에 저수되어있던 물이 중력에 의해 밸브 하우징(11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스팀 발생 장치(40)와 급수조절 밸브(100)의 수위가 L1이하로 내려가게 될 시 급수관(70) 내부에 저수된 물은 자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급수조절 밸브(100) 내부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경사부(163) 전체가 물에 잠겨 경사부(16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면 급수관(70)에 저수된 물은 급수조절 밸브(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중단될 수 있다.
즉, 경사부(163)의 상단은 L1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의 수위가 L1 이하로 내려갈 시 급수관(70) 내부에 저수된 물의 자유 낙하에 의해 다시 급수조절 밸브(100)와 스팀 발생 장치(40)의 수위가 L1까지 상승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스팀 조리 기기 2 : 도어
10 : 본체 20 : 후방 지지판
21 : 쿨링팬 30 : 캐비티
40 : 스팀 발생 장치 41 : 히터
50 : 증기관 60: 급수장치
61 : 급수 하우징 62 : 저장부
70 : 급수관 80 : 연결관
90 : 배수 밸브 100 : 급수조절 밸브
110 : 밸브 하우징 121 : 유입부
122 : 제2압력조절 홀 131 : 유출부
140 : 플로트 143 : 커팅부
144 : 개폐부

Claims (20)

  1. 캐비티;
    상기 캐비티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조절 밸브;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의 부력은 상기 급수 장치에 저장된 물 중 상기 급수조절 밸브로 낙하되는 물의 자중에 의한 중력보다 큰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는 상기 급수조절 밸브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밸브가 폐쇄 상태일 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위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내측 수위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조리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발생 장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에 의해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물이 증발하여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가 내려갈 시, 상기 연결관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의 수위가 연동되어 내려가고 상기 플로트는 하강하여 상기 유입부를 개방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가 개방될 시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로 물이 유입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스팀 발생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가 상승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의 수위가 소정의 높이로 올라갈 시 상기 플로트는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상기 플로트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일측은 상기 일측 외의 상기 측면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커팅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커팅부와 상기 하우징 내면 사이 공간과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되는 유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관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도록 상기 저장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제 1압력 조절 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유입된 물이 대기압의 영향을 받도록 상기 하우징과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배치되는 제 2압력 조절 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는 상기 하우징 내의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로트 상단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배수 밸브를 연결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제 1연결관의 어느 일측과 연결되는 제 2연결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배수 밸브를 연결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제 1연결관의 어느 일측과 연결되는 제 2연결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상기 플로트와 연결되는 일측을 가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플로트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16.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상기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사이와 연결되고 상기 급수 장치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급수조절 밸브;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의 수위와 성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는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하로 내려갈 시 상기 급수관 내의 물의 중력에 의해 상기 급수관 내의 물이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조리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되고 관 형상으로 마련되는 연장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절개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의 상단은 상기 급수조절 밸브 내의 일정 높이 이하의 수위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20. 캐비티;
    상기 캐비티 후측에 배치되고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스팀 발생 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캐비티 상측에 배치되는 급수장치;
    상기 스팀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스팀을 상기 캐비티로 공급하도록 상기스팀 발생 장치와 상기 캐비티를 연결하는 증기관;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급수조절 밸브;
    상기 급수 장치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상단을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조절 밸브의 하단과 상기 스팀 발생 장치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과 추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와 상기 스팀 발생 장치 및 상기 연결관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도록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조절 밸브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관과 연결되는 유입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어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는 플로트와, 상기 하우징 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로트는 상기 플로트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하우징 내의 수면의 높이에 따라 상기 유입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로트 상단에 마련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의 일측은 상기 일측 외의 상기 측면부보다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이격 배치되도록 커팅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1020180133642A 2018-11-02 2018-11-02 스팀 조리 기기 KR102596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42A KR102596949B1 (ko) 2018-11-02 2018-11-02 스팀 조리 기기
PCT/KR2019/014757 WO2020091531A1 (en) 2018-11-02 2019-11-01 Cooking apparatus
EP19206761.9A EP3647666B1 (en) 2018-11-02 2019-11-01 Cooking apparatus
US16/673,006 US20200138229A1 (en) 2018-11-02 2019-11-04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42A KR102596949B1 (ko) 2018-11-02 2018-11-02 스팀 조리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93A true KR20200050693A (ko) 2020-05-12
KR102596949B1 KR102596949B1 (ko) 2023-11-02

Family

ID=68426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42A KR102596949B1 (ko) 2018-11-02 2018-11-02 스팀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38229A1 (ko)
EP (1) EP3647666B1 (ko)
KR (1) KR102596949B1 (ko)
WO (1) WO2020091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14583B (zh) * 2016-07-15 2020-08-07 华为技术有限公司 使用强度调制和直接检测的高容量光数据传输
AU2018316266A1 (en)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EP4050267A1 (en) 2021-02-25 2022-08-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Cooking oven
CN112869574A (zh) * 2021-03-01 2021-06-01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自动水箱的弹出系统及方法
EP4136976A1 (en) * 2021-08-17 2023-02-22 Renta Elektrikli Ev Aletleri Sanayi Ve Dis Ticaret Limited Sirketi Self-closing water tank drawer
EP4357679A1 (en) * 2022-10-17 2024-04-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team device for food ov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601A (ko) * 2006-08-04 2008-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03878A1 (en) * 2008-03-20 2009-09-23 CANDY S.p.A. Cooking oven with humidification device
JP2010032120A (ja) * 2008-07-29 2010-02-12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10038405A (ja) * 2008-08-01 2010-02-18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20120122141A (ko) * 2011-04-28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JP2014219144A (ja) * 2013-05-08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3803U (ko) * 1976-08-09 1978-02-28
JPS5756081Y2 (ko) * 1977-05-25 1982-12-03
JP4602289B2 (ja) * 2006-06-21 2010-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KR101480462B1 (ko) * 2008-07-21 2015-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
EP2703739B1 (en) * 2012-08-31 2015-07-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cooking oven with an oven cavity and a steam cooking arrangement
JP6484801B2 (ja) * 2015-03-19 2019-03-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5841502B (zh) * 2016-05-24 2018-04-24 江苏神工灶具有限公司 利用余热产生蒸汽的炉灶
KR101876117B1 (ko) * 2017-01-25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2601A (ko) * 2006-08-04 2008-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103878A1 (en) * 2008-03-20 2009-09-23 CANDY S.p.A. Cooking oven with humidification device
JP2010032120A (ja) * 2008-07-29 2010-02-12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10038405A (ja) * 2008-08-01 2010-02-18 Sharp Corp 蒸気発生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KR20120122141A (ko) * 2011-04-28 2012-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JP2014219144A (ja) * 2013-05-08 2014-1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蒸気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531A1 (en) 2020-05-07
KR102596949B1 (ko) 2023-11-02
US20200138229A1 (en) 2020-05-07
EP3647666A1 (en) 2020-05-06
EP3647666B1 (en) 202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0693A (ko) 스팀 조리 기기
KR101041077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101041079B1 (ko) 수위감지유닛과 이를 갖는 스팀발생장치 및 그스팀발생장치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1827831B1 (ko) 스팀조리기기
ES2320885T3 (es) Generador de vapor para aparato de cocina.
JP6484801B2 (ja) 加熱調理器
US10851989B2 (en) Cooker and steam generator
US10871291B2 (en) Cooking appliance
US11166467B2 (en) Cooking appliance
US20030178411A1 (en) Food steamer with automatic electric steam trap, power modulation and automatic connected water supply
KR100731858B1 (ko) 가열조리장치
KR102110413B1 (ko) 조리기기
CN109602270B (zh) 一种带自动补水排水功能的蒸汽系统、控制方法及蒸箱
US11698195B2 (e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with automatic cleaning of cooking chamber
KR20120122171A (ko) 스팀조리기기
US8464705B2 (en) Cooking device
KR102433053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KR10080201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장치
KR102126485B1 (ko)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된 전자 조리 기기
JP2009030236A (ja) 温水洗浄便座の空焚き防止装置
KR100332194B1 (ko) 육류 구이기
JP4059165B2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JP3461692B2 (ja) 排水温度を低下させる蒸気発生器
KR0117174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물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