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113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113A
KR20200050113A KR1020180132675A KR20180132675A KR20200050113A KR 20200050113 A KR20200050113 A KR 20200050113A KR 1020180132675 A KR1020180132675 A KR 1020180132675A KR 20180132675 A KR20180132675 A KR 20180132675A KR 20200050113 A KR20200050113 A KR 2020005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case
cover
reinforcem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768B1 (ko
Inventor
서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2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768B1/ko
Priority to US16/664,281 priority patent/US11060787B2/en
Priority to EP19205737.0A priority patent/EP3647695B1/en
Priority to EP21214490.1A priority patent/EP4001807A3/en
Publication of KR2020005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ack bottom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3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ack corn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ack bott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3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back co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 F25D2323/00277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out-flowing air from the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판상의 아웃 케이스; 상기 저장공간과 독립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후면 하단에 배치되며, 압축기 및 응축기가 수용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상면과 전면을 포함한 상기 기계실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기계실 케이스;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양측단과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기계실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외측면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모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ir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조에서, 냉동사이클의 구동을 위한 압축기와 응축기 등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기계실이 저장 공간과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의 경우 내부의 공간이 비어 있고, 기계실 내부의 구성들의 냉각을 위해 바수의 냉각 공기의 유동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은 내부가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공기의 유동 통로 등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강도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취약점으로 인해 냉장고의 운송이나 설치 중 충격에 의해 기계실이 배치된 측면의 변형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5-0063175호에는 상기 기계실의 측면 벽면에도 발포 단열재가 주입되어 기계실의 측면 강도를 보강하는 한편, 기계실의 측면 벽면의 단열재에 매립되는 유로장치가 구비되어 기계실의 내부에 냉각 공기가 출입되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기계실의 측벽면에 단열재의 형성을 위한 발포액이 완전히 채워지기 어려운 구조를 가지며, 따라서 기계실의 측면 강도의 보강이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기계실의 측벽면에 단열재를 채우게 될 경우 기계실 내부의 방열 성능이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한 소비 전력의 증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의 방열 효율 향상을 위해 유로장치를 크게 할 경우 기계실의 강도 보강 성능이 저하되고, 기계실의 강도 보강 성능의 향상을 위해 유로장치를 작게 할 경우 방열 성능의 저하 및 소비전력의 증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기계실의 크기를 축소시켜 고내 저장 용량 및 단열 성능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이러한 문제는 보다 심각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계실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의 측면 하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계실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기계실의 방열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계실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켜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계실의 조립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의 저장 용량과 단열 성능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기계실 내부의 전장 부품 장착 공간을 실질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기계실의 배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추가의 전장부품을 장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판상의 아웃 케이스; 상기 저장공간과 독립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후면 하단에 배치되며, 압축기 및 응축기가 수용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상면과 전면을 포함한 상기 기계실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기계실 케이스;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양측단과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기계실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외측면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모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과 후단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기계실의 좌우 양측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후단과 연결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단일 금속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회 절곡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의 양단에는 서로 이격되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이격된 양단은 각각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 둘레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센터 파트; 상기 센터 파트의 좌우측 중 일측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 1 사이드 파트; 및 상기 센터 파트의 좌우측 중 다른 일측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의 내측에는 전장부품이 배치되는 브라켓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에는 리액터가 장착되는 브라켓 장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과 접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케이스의 절곡된 단부와 접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파트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는 상기 보강부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계실과 대응하는 아웃 케이스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사이드 그릴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사이드 그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그릴의 개구와 연통되는 브라켓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과 독립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하단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 내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 양측의 상기 사이드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기계실의 상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기계실의 양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아웃 케이스의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면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모두 접촉되는 것을 측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과 후단 모서리에 장착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커버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기계실의 후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상기 기계실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를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수직부 및 수평부와 결합되는 센터 파트; 상기 센터 파트의 일단에 절곡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 1 사이드 파트; 및 상기 센터 파트의 다른 일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의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보강 브라켓의 사이를 기밀하는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기계실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커버 파트; 상기 커버 파트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커버 리어 파트; 및 상기 커버 파트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커버 로어 파트;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아웃 케이스의 후단 및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이 장착되는 케이스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절곡부를 따라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커버 리어 파트와 커버 로어 파트의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절곡부와 접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측면과 접하는 보강부;와 상기 지지부와 보강부를 연결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아웃 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계실과 대응하는 아웃 케이스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사이드 그릴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그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그릴의 개구와 연통되는 브라켓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상기 브라켓 개구와 연통되는 커버 개구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에 형성되는 단열재가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외측면과 상기 보강 브라켓의 외측면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에 모두 접촉되며, 발포액이 결화되는 과정에서 접착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이 어떠한 경우에도 슬립되지 않고 고정된 장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을 향하여 가해지는 하중의 발생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슬립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발포 단열재에 의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기계실은 한층더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기계실이 배치되는 아웃 케이스의 후면 하단에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단부를 따라 연장되는 보강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의 둘레를 따라 보강 브라켓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보강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이 위치되는 상기 캐비닛의 양측면 하단은 강도의 보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강 프레임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성되어 상기 기계실의 후단과 하단을 지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기계실의 측방향의 강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브라켓의 배치로 인하여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은 충분한 강도의 확보가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에 강도 보강을 위해 단열재를 배치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브라켓에 의한 충분한 강도의 확보로 인해 상기 기계실의 크기를 압축기, 응축기 등의 구성이 배치 가능한 가장 작은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기계실의 크기를 축소하게 되더라도 구조적인 강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냉장고의 크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기계실의 축소를 통한 실질적인 추가 공간 확보를 통해 저장 공간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저장공간의 둘레에 배치되는 단열재의 두께를 증가 시켜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의 양측방에 단열재가 배치되지 않음으로 인해서 상기 기계실의 방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비전력의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기계실의 양측방에 단열재가 배치되지 않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형상이 상기 기계실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에 추가 방열을 위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추가의 방열을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구조적인 제한도 없게 된다. 따라서, 기계적인 강도의 확보와 동시에 추가적인 방열 구조를 확보하여 소비전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배치시 상기 보강 브라켓의 내측 영역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계실 내부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리액터와 같은 전방부품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기계실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들 외에도 상기 기계실에 추가적으로 전장부품의 배치가 가능하며, 특히 기존의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들의 배치 또는 배치를 위한 구조를 변경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추가의 전장부품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내부에 이미 장착된 구성들과의 간섭 없이 언제든지 추가 장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장착되는 추가 전장 부품들은 상기 사이드 커버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안전상 또는 외관상 외부 노출이 제한되는 전장부품들 또한 효과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프레임과 보강 브라켓은 서로 결합된 어셈블리 상태로 상기 아웃 케이스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 커버와 메인 플레이트 또한 모듈 형태로 장착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냉장고의 조립 작업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기계실 측면의 발포 및 추가 방열을 위한 구조의 조립이 필요치 않게 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과 보강 브라켓이 장착되어 있는 아웃 케비닛에 모듈 상태의 기계실 케이스를 슬라이드 인 방식으로 삽입하여 장착 가능하게 되어 보다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의 공간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와 프레임 어셈블리 및 기계실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아웃 케이스와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사이드 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사이드 그릴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 일측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베이스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메인 플레이트와 사이드 커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13-13'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14-14'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리액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기계실이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냉장고 도어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공간은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저장 공간은 서로 다른 저장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캐비닛(10)의 상부 공간은 냉장실(10a)로 구성되고, 하부 공간은 냉동실(10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와, 고내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3)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이너 케이스(13)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져 상기 저장 공간을 단열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냉장실(10a)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a)와, 상기 냉동실(10b)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b,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a)는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10a)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b,2c)는 서랍식으로 인출입되어 상기 냉동실(10b)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2b,2c)는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들 중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와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기계실이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아웃 케이스(11)는 상기 캐비닛(10)의 좌우 양측면과 상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후단에는 상기 캐비닛(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백 패널(12)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 패널(12)의 하방 즉,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에는 상기 기계실(20)의 후면을 차폐하는 기계실 커버(5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는 상기 캐비닛(10) 하부의 기계실(2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하단 후측에는 상기 저장 공간과 독립된 공간인 기계실(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1)와 응축기(22) 등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은 후면에 형성되는 기계실 커버(55)와 상기 기계실(20)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그릴(51)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계실(20)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응축기(22) 및 압축기(21)를 냉각한 후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계실(2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캐비닛(10)을 기준으로 기계실 커버(55)가 구비되는 면을 후면 및 후방으로 하며, 상기 도어(2)가 형성되는 면을 전면 및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20)은 캐비닛(10)의 후면 하단에서 개구되며, 내부에 압축기(21)와 응축기(22) 및 냉각팬(23)을 비롯한 다수의 구성들이 배치되고, 상기 기계실 커버(55)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의 내부 양측에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21)와, 응축기(22)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21)와 응축기(22)의 사이에는 냉각팬(23)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제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튜브(222)와, 제상수를 모으기 위한 드레인 팬(2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냉매 배관(P)과 연결되는 드라이어, 팽창장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커버 흡입구(551)와 커버 토출구(5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흡입구(551)와 상기 커버 토출구(552)는 상기 응축기(22)와 압축기(2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팬(23)의 구동시 상기 커버 흡입구(551)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기 응축기(22)를 지나면서 상기 응축기(22)를 냉각하고, 상기 냉각팬(23)에 의해 상기 압축기(21) 측으로 송풍되어 상기 압축기(21)를 냉각한 후 상기 커버 토출구(55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20)의 좌우 양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에는 사이드 그릴(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2)와 대응하는 일측의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외기가 상기 기계실(2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고, 상기 압축기(21)와 대응하는 측면의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상기 기계실(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커버 흡입구(551)와 커버 토출구(552)는 상기 사이드 그릴(51)과 함께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계실 커버(55)의 커버 흡입구(551)와 커버 토출구(552) 또는 상기 사이드 그릴(51)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기계실 내부의 공간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아웃 케이스와 프레임 어셈블리 및 기계실 케이스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아웃 케이스와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좌우 양측면 하단에는 보강 프레임(30)과 보강 브라켓(4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어셈블리가 각각 장착되며, 양측의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사이에는 기계실 케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와 기계실 케이스는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에 상기 기계실(2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기계실(20)의 상면과 전면의 벽면을 형성하는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좌우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20)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조립된 상태로 상기 아웃 케이스(11) 및 프레임 어셈블리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생략되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52)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단부와 상기 보강 브라켓(40)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의 하면은 베이스(54)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4)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20)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기(21) 및 응축기(22)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54)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 및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4)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 및 사이드 커버(53)와 함께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베이스(54)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사이드 커버(53)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아웃 케이스(11)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장착한 후 상기 기계실 케이스를 장착하게 되며,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 커버(55)를 장착하여 상기 기계실(20)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에 동일한 구조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이 위치된 양측면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보강 브라켓(40)은 스틸과 같은 금속 또는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과 양측면 후단의 모서리 영역에 결합되는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연결되는 보강 브라켓(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에 장착되는 수평부(31)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앙측면 후단에 장착되는 수직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는 단부가 서로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후측 하단의 모서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31)의 길이는 기계실(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의 길이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의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31)의 길이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양측면 길이와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동시에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32)는 상기 기계실(20)의 높이와 대응하거나 다소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20)의 보강 및 상기 기계실(20)이 배치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측면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2)는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상단과 같거나 더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는 모두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후단과 하단의 절곡된 케이스 절곡부(112)의 내측면에 안착될 수 있으며,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의 결합 또는 리베팅, 코킹, 용접 등 다양한 상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장착될 때 상기 사이드 커버(53) 단부에 형성되는 커버 삽입부(533,535)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드 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111)은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가 다수회 절곡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와 상기 슬라이드 홈(111)은 적어도 상기 기계실(20)이 장착되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과 후단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각형의 브라켓 개구(4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40) 내부에 상기 브라켓 개구(41)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 개구(41)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커버 개구(531) 및 상기 사이드 그릴(51)과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그릴(51)을 통해 출입되는 공기는 상기 브라켓 개구(41)와 커버 개구(531)를 차례로 지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이드 그릴(51)의 구조 및 상기 사이드 그릴(51)의 장착 구조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상기 냉장고의 사이드 그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사이드 그릴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 일측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과 대응하는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에 형성된 케이스 개구(11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상기 케이스 개구(113)를 차폐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의 측면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상기 커버 개구(531) 및 브라켓 개구(41)의 크기와 같거나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그릴(51)은 전체적으로 그릴 바디(511)와 그릴 테두리(5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바디(511)는 공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그릴 바디(511)의 내측의 개구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 리브(512)와 세로 리브(513)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 리브(512)와 세로 리브(5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통로를 통해서 공기가 출입될 수 있다. 상기 가로 리브(512)와 세로 리브(513)는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기계실(20) 내외측으로 출입되는 공기가 방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 바디(511)의 외측면에는 그릴 구속부(5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 구속부(514)는 상기 그릴 바디(511)의 상면과 하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면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 구속부(514)의 외측면에는 경사면(51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상기 케이스 개구(113)에 삽입될 때 상기 케이스 개구(113)의 단부와 접하여 상기 사이드 그릴(51)의 삽입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그릴 구속부(514)는 탄성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사이드 그릴(51)의 장착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릴 구속부(514)의 단부는 상기 그릴 테두리(515)와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개구(113)의 단부가 상기 그릴 구속부(514)의 단부와 상기 그릴 테두리(515)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상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그릴 테두리(515)는 상기 그릴 바디(511)의 단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소정의 폭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릴 바디(511)는 상기 케이스 개구(113)의 크기보다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테두리(515)는 상기 케이스 개구(113)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릴 바디(511)는 상기 케이스 개구(113)의 내측에서 공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그릴 테두리(515)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외측면과 접하여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 그리고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수평부(31)와 수직부(32)에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영역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강도가 높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하나의 금속판이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를 형성하도록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가 서로 겹쳐지는 일측에 용접이나, 코킹 리베팅 등을 통해 서로 접합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의 배치 구조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는 서로 분리 성형된 후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부(31)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는 상기 기계실(20)의 후단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기계실(20)을 지나 전방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는 수평 지지부(311)와 수평 보강부(313)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수평 보강부(313)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단차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31)는 연속하여 절곡되어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수평 보강부(313) 그리고 상기 수평 단차부(312)가 단일 부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평 지지부(311)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 하단에서 절곡된 케이스 절곡부(11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부(311)는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와 평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지지부(311)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하면이 안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 지지부(311)는 상기 아웃 케이스(11) 하면의 케이스 절곡부(112)와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하면과 모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보강부(313)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 면 하단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20)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11) 일측에서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평 보강부(313)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캐비닛(10)이 설정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단차부(312)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의 외측단과 상기 수평 보강부(313)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평 단차부(312)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의 외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속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단차부(312)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수평 보강부(313)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31)가 상기 아웃 케이스(11) 하단에 장착되면,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사이에는 도 1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수평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공간부(314)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케이스 절곡부(112)에서 함몰된 슬라이드 홈(111)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부(32)는 수직 지지부(321)와 수직 보강부(322) 그리고, 상기 수직 지지부(321)와 수직 보강부(322)의 사이를 연결하는 수직 단차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32)는 연속하여 절곡되어 상기 수직 지지부(321)와 수직 보강부(322) 그리고 상기 수직 단차부(323)가 단일 부재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의 후단에서 절곡된 케이스 절곡부(112)의 내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와 평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전면이 안착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아웃 케이스(11) 후단의 상기 케이스 절곡부(112)와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전면과 모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보강부(322)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양측 면 후단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20)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케이스(11) 일측에서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직 보강부(322)가 배치되는 영역에서 상기 캐비닛(10)이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단차부(323)는 상기 수직 지지부(321)의 외측단과 상기 수직 보강부(322)의 전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수직 단차부(323)는 상기 수직 지지부(321)의 외측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속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단차부(323)는 상기 수직 지지부(321) 및 수직 보강부(322)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32)가 상기 아웃 케이스(11) 후단에 장착되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직 단차부(323)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사이에는 수직 공간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공간부(324)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케이스 절곡부(112)에서 함몰된 슬라이드 홈(111)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강도 및 상기 캐비닛(10)의 측면 하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평부(31) 및 수직부(32)를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영역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가 채워지지 않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부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부(31) 및 수직부(32)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또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 개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개구(41)의 내측 영역에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그릴(51)을 통과하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전체적인 형상은 절곡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 1 파트(401),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 2 파트(402), 상기 제 2 파트(402)에서 경사진 제 3 파트(403), 상기 제 1 파트(401)와 평행한 제 4 파트(404), 그리고 상기 제 2 파트(40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다른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 5 파트(40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401, 402, 403, 404, 405)는 차례로 연속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파트(401)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하단과, 상기 제 2 파트(402)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전단과, 상기 제 3 파트(403)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경사진 부분과, 상기 제 4 파트(404)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상단과, 상기 제 5 파트(405)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5 파트(405)의 길이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전단보다는 다소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 5 파트(405)의 하단과 상기 제 1 파트(401)의 전단은 서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4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파트(401)와 제 5 파트(405)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한장의 판재를 차례로 절곡하여 상기 보강 브라켓(4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으로 성형된 후 서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전체가 절곡이 아닌 사출과 같은 형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제 1 파트(401)와 제 5 파트(405)가 서로 연결된 형상을 가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상기 제 1 파트(401)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고정되고, 상기 제 5 파트(405)는 수직 지지부(321)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이 위치되는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을 한층 더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금속 소재 또는 강도가 높은 복합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센터 파트(421)와 상기 센터 파트(421)의 양측면에서 각각 절곡되는 제 1 사이드 파트(422) 및 제 2 사이드 파트(4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터 파트(421)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상기 수직 지지부(321)와 접하는 면을 제공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401, 402, 403, 404, 40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속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파트(421)의 폭은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수직 지지부(321)의 폭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파트(421)의 폭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커버 리어 파트(532) 또는 커버 로어 파트(534)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40)이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터 파트(421) 중 상기 제 2 파트(402)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몰된 수평 안착부(4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착부(424)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될 때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안착부(424)는 상기 수평 단차부(312)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수평 안착부(424)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센터 파트(421) 중 상기 제 4 파트(404)의 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몰된 수직 안착부(4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안착부(427)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될 때 상기 수직 단차부(323)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안착부(427)는 상기 수직 단차부(323)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수직 단차부(323)와 수직 안착부(427)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착부(424)와 수직 안착부(427)의 구조에 의해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전체적으로 한층 더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 보강 성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 파트(421)의 양측단 중 상기 기계실(20)을 향하는 일측단에는 제 1 사이드 파트(4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422)는 상기 센터 파트(4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장착시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접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422) 중 상기 제 5 파트(4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4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브라켓 장착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26)에는 리액터(24)와 같은 전당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파트(421)의 양측단 중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향하는 다른 일측단에는 제 2 사이드 파트(4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 또한 상기 센터 파트(4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 중 상기 제 1 파트(40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 중 상기 제 2 파트(40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 하단에는 사이드 안착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안착부(425)는 상기 수평부(31)의 수평 보강부(313)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의 외측면은 상기 수평 보강부(313)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동시에 접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 중 상기 제 5 파트(4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423)는 상기 수직 지지부(321)의 내측 영역에서 절곡되며, 상기 수직 단차부(323)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5 파트(401, 402, 403, 404, 405)에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422) 및 제 2 사이드 파트(423)들은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성형시 절곡되어 서로 연속하여 접하는 부분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진 단부는 서로 접합 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먼저 결합된 후에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상기 보강 프레임(30)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보강 프레임(30)이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먼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가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아웃 케이스(11)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와 결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베이스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메인 플레이트와 사이드 커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사이드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베이스(5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52)는 상기 기계실(20)의 상면과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53)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좌우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20)의 내측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54)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하단 및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2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된 상태의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20)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54)는 상기 압축기(21)와 응축기(22), 냉각팬(23) 등의 구성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먼저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21)와 응축기(22), 냉각팬(23) 등의 구성이 장착된 상기 베이스(54)가 상기 기계실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기계실(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플레이트(52)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계실(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521)와 상기 기계실(2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부(523) 그리고, 상기 상면부(521)와 후면부(523) 사이의 경사진 면을 형성하는 경사면부(522) 그리고 상기 후면부(523)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면부(5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521)와 경사면부(522) 그리고 후면부(523)는 상기 기계실(20)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면부(524)는 상기 캐비닛(1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부(524)는 상기 후면부(523)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부(31)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부(524)의 양측면 전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커버 연결부(526)가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커버 로어 파트(534)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521)에는 상기 드레인 튜브(222)가 통과되는 튜브홀(521a)이 개구되고, 상기 냉각팬(23)의 팬 가이드가 장착되는 가이드 홀(52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521)에는 상기 기계실(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기 장치와 부품들과 연결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는 커넥터(521e)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면부(521)의 양측에는 상기 기계실(20) 내부로 유입되는 냉배 배관(P)이 통과되는 배관홀(521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523)에는 상기 냉각팬(23)의 팬 가이드의 후단이 장착되는 가이드 홀(521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결합부(5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521)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525)는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521)의 좌우 양측단과 상기 경사면부(522) 및 후면부(523)의 양측단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525)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부(524)의 양측단에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부(525)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수평부(31) 또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53)는 상기 기계실(20)의 내측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53)는 금속 소재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단과 하단이 절곡되어 상기 보강 프레임(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 커버(53)는 실질적인 기계실(20)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커버 파트(530)와 상기 커버 파트(530)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커버 리어 파트(532)와 상기 커버 파트(53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커버 로어 파트(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파트(530)의 외측 둘레 중 일부는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파트(530)의 상단과 전단은 각각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상면부(521)와 경사면부(522) 그리고 후면부(523)에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부(525)와 서로 접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파트(530)의 상단과 전단은 이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525)와 코킹, 리베팅, 용접 또는 결합부재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파트(530)의 중앙에는 상기 커버 개구(5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와 상기 커버 로어 파트(534)는 각각 상기 커버 파트(530)의 후단과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의 하단과 상기 커버 로어 파트(534)의 후단은 서로 접할 수 있으며,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는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직 지지부(321)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수직 지지부(321)가 위치되도록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에 의해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직 지지부(321)의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는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좌우 양측단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장착시 상기 기계실(20)의 개구된 후면은 물론 양측의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까지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로어 파트(534)는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 지지부(311)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수평 지지부(311)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로어 파트(534)에 의해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 지지부(311)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와 커버 로어 파트(534)의 연장된 단부에는 수직하게 절곡된 커버 삽입부(533,5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삽입부(533,535)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케이스 절곡부(112)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바탕으로,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아웃 케이스(11) 및 보강 프레임(30)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기계실(20)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기계실(2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1)와, 프레임 어셈블리 및 사이드 커버(53)의 결합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의 13-13'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14-14' 라인을 따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후단과 하단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보강 브라켓(40)이 결합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결합된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하단과 후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이며,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수직부(32)와 수평부(31)를 연결하여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함께 상기 기계실(20)의 측방을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53)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와 장착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전면과 하면을 가리게 되고, 상기 기계실 커버(55)의 개방시 보강 프레임(30) 및 상기 보강 브라켓(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사이드 커버(53)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 플레이트(52)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결합된 상태의 상기 기계실 케이스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슬라이드 인 삽입되면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양측에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3)의 후방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3)의 양측면 후단에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후단과 하단의 상기 커버 삽입부(533,535)를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슬라이드 홈(111)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 로어 파트(534)의 상기 커버 삽입부(535)의 전단이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하단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1)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커버 삽입부(535)가 상기 슬라이드 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53)를 전방으로 밀어서 더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완전히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의 커버 삽입부(533)가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후단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완전히 삽입되어 고정되면, 상기 양측의 사이드 커버(53)에 결합된 상기 메인 플레이트(52)는 정위치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리어 파트(532)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후단과 동일면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커버 리어 파트(532)는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직부(32)와 접하며, 별도의 결합부재의 체결 또는 리베팅, 코킹,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 로어 파트(534)는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부(31)와 접하며, 별도의 결합부재의 체결 또는 리베팅, 코킹,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을 형성하는 구성들이 상기 캐비닛(10)상에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내측면에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측면과의 사이를 실링하는 가스켓(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56)에 의해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상기 보강 브라켓(40) 사이의 틈새가 기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단열재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 발포액이 누설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켓(56)은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측면과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서로 접착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직부(32)와 수평부(31)를 연결하게 되므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40)에 의해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측면과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지지되어 상기 기계실(20) 측면의 강도를 한층 더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리액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15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크기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20)의 공간은 컴팩트하게 구성될수록 상기 저장공간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공간을 둘러싸는 단열재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소비전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계실(20)의 공간은 내부에 압축기(21)와 응축기(22) 및 냉각팬(23)을 비롯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 배치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전장부품이 부가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냉장고(1)에 공급 전류의 급격한 변동 또는 초기의 서지 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리액터(24)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액터(24)는 상기 냉장고(1)의 사용 환경이나 제품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액터(24)의 배치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캐비닛(10)상에 형성하는 경우 발포 단열 공간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액터(24)를 상기 기계실(20) 내부에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구성들과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리액터(24)의 장착을 위한 상기 기계실(20) 내부의 구성들의 재배치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도 15 및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리액터(24)를 상기 보강 브라켓(40)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리액터(24)의 장착을 위한 별도의 구조와 공간 확보가 필요하지 않고, 상기 기계실(20)의 강도 보강을 위해 배치된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내측 영역 및 상기 브라켓 개구(41)의 내측에 이미 확보된 공가에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기계실(20) 내부의 다른 구성들의 배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 브라켓(40)에는 브라켓 장착부(4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26)는 상기 리액터(24)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리액터(24)의 적어도 일부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라켓 장착부(426)에 상기 리액터(24)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커버(53)를 장착하게 될 경우 상기 리액터(24)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액터(24)의 노출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 상으로도 보다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리액터(24)와 같이 옵션으로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을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내측에 배치하여 상기 기계실 내부 공간 배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20)의 측면에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구비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내측 공간은 한층 더 확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다 많은 전장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브라켓 장착부(426)에는 상기 리액터(24)가 아닌 추가 장착 가능한 다양한 전장 부품의 장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426)에 장착되는 전장 부품들은 상기 보강 브라켓(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한 냉장고(1)의 다양한 조립 방법에 관하여 보기로 한다.
냉장고를 조립하는 벙법의 하나의 예로,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보강 브라켓(40)을 하나의 프레임 어셈블리로 결합시킨 후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결합된 기계실 케이스를 상기 아웃 케이스(11) 및 프레임 어셈블리에 체결하여 상기 기계실(20)의 공간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압축기(21)와 응축기(22) 등이 구비된 베이스(54)와 상기 기계실 커버(55)를 차례로 장착하여 상기 기계실(20)을 완전히 조립 완료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의 예로,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상기 보강 프레임(30)을 먼저 장착한 후에 상기 보강 브라켓(40)을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고정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사이드 커버(53)가 결합된 기계실 케이스를 상기 아웃 케이스(11) 및 프레임 어셈블리에 체결하여 상기 기계실(20)의 공간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압축기(21)와 응축기(22) 등이 구비된 베이스(54)와 상기 기계실 커버(55)를 차례로 장착하여 상기 기계실(20)을 완전히 조립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의 예로,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상기 보강 프레임(30)을 먼저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40)과 상기 사이드 커버(53)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상기 보강 브라켓(40)과 사이드 커버(53)를 상기 보강 프레임(30) 및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결합되도록 조립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52)를 양측의 상기 사이드 커버(53)에 결합시켜 상기 기계실(20)의 공간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압축기(21)와 응축기(22) 등이 구비된 베이스(54)와 상기 기계실 커버(55)를 차례로 장착하여 상기 기계실(20)을 완전히 조립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의 예로,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상기 보강 프레임(30)을 먼저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 브라켓(40)을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53)를 상기 보강 브라켓(40) 및 상기 아웃 케이스(11)에 결합시키게 되고, 다음으로 상기 메인 플레이트(52)를 양측의 상기 사이드 커버(53)에 결합시켜 상기 기계실(20)의 공간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압축기(21)와 응축기(22) 등이 구비된 베이스(54)와 상기 기계실 커버(55)를 차례로 장착하여 상기 기계실(20)을 완전히 조립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실의 조립 장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의 고정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상기 기계실이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기계실(20)이 조립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에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4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아웃 케이스(11)는 상기 보강 프레임(30) 및 상기 보강 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다른 일측면은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측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사이드 커버(53)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사이드 커버(53)가 생략되고 메인 플레이트(52)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의 측단과 접하여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와 상기 기계실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 케이스와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사이에는 상기 가스켓(56)이 배치되며, 따라서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단열재(15)를 형성하기 위해서 발포액을 주입하는 경우 상기 기계실 케이스와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사이로 발포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계실(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15)가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기계실(20)의 양측방을 포함한 상기 기계실(20) 영역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액의 주입에 의해 상기 단열재(15)가 형성되더라도 상기 단열재(15)는 상기 기계실(20)의 외측 영역 만을 채우게 된다.
상세히,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단열재(15)는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외측면과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외측면 및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동시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발포액을 주입하여 상기 단열재(15)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기계실(20)의 상면과 전면 그리고 보강 브라켓(40)의 센터 파트(421) 및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은 단열재(15)와 동시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 케이스와 보강 브라켓(40) 및 아웃 케이스(11)는 상기 단열재(15)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각 구성이 슬립 또는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기계실(20)을 향하여 하중 또는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상기 보강 브라켓(40)은 슬립 또는 유동되지 않게 되고 발포 성형된 상기 단열재(15)에 의해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기계실(20)을 한층 더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525)는 상기 단열재를 향하여 돌출되며, 따라서 상기 단열재(15)의 성형시 상기 단열재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52)와 상기 보강 브라켓(40)이 횡방향으로 보다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의 횡방향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 보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6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수평부(31)와 수직부(32)에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영역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영역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가 채워지지 않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부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부(31) 및 수직부(32)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또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60)의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 개구(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개구(61)의 내측 영역에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그릴(51)을 통과하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의 전체적인 형상은 절곡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 1 파트(601),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 2 파트(602), 상기 제 2 파트(602)에서 경사진 제 3 파트(603), 상기 제 1 파트(601)와 평행한 제 4 파트(604), 그리고 상기 제 2 파트(60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다른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 5 파트(60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601, 602, 603, 604, 605)는 차례로 연속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파트(601)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하단과, 상기 제 2 파트(602)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전단과, 상기 제 3 파트(603)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경사진 부분과, 상기 제 4 파트(604)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상단과, 상기 제 5 파트(605)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파트(601)의 길이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하단보다는 다소 짧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파트(601)의 후단과 상기 제 5 파트(605)의 하단이 서로 이격되어 이격 공간(5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파트(601)와 제 5 파트(605)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한장의 판재를 차례로 절곡하여 상기 보강 브라켓(6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파트(601)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고정되고, 상기 제 5 파트(605)는 수직 지지부(321)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보강 브라켓(6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이 위치되는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을 한층 더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금속 소재 또는 강도가 높은 복합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센터 파트(621)와 상기 센터 파트(621)의 양측면에서 각각 절곡되는 제 1 사이드 파트(622) 및 제 2 사이드 파트(6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터 파트(621)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상기 수직 지지부(321)와 접하는 면을 제공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601, 602, 603, 604, 60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속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파트(621)의 폭은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수직 지지부(321)의 폭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파트(621)의 폭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커버 리어 파트(532) 또는 커버 로어 파트(534)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60)이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터 파트(621) 중 상기 제 2 파트(602)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몰된 수평 안착부(6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착부(624)는 상기 보강 브라켓(60)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될 때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안착부(624)는 상기 수평 단차부(312)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수평 안착부(624)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파트(621) 중 상기 제 4 파트(604)의 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몰된 수직 안착부(6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안착부(627)는 상기 보강 브라켓(60)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될 때 상기 수직 단차부(32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안착부(627)는 상기 수직 단차부(322)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수직 단차부(322)와 수직 안착부(627)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착부(624)와 수직 안착부(627)의 구조에 의해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60)은 전체적으로 한층 더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 보강 성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 파트(621)의 양측단 중 상기 기계실(20)을 향하는 일측단에는 제 1 사이드 파트(6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622)는 상기 센터 파트(6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장착시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접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622) 중 상기 제 5 파트(6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6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브라켓 장착부(6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626)에는 리액터(24)와 같은 전당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파트(621)의 양측단 중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향하는 다른 일측단에는 제 2 사이드 파트(6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 또한 상기 센터 파트(6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 중 상기 제 1 파트(60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 중 상기 제 2 파트(60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 하단에는 사이드 안착부(6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안착부(625)는 상기 수평부(31)의 수평 보강부(313)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의 외측면은 상기 수평 보강부(313)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동시에 접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 중 상기 제 5 파트(6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623)는 상기 수직 지지부(321)의 내측 영역에서 절곡되며, 상기 수직 단차부(322)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5 파트(605)에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622) 및 제 2 사이드 파트(623)들은 상기 보강 브라켓(60)의 성형시 절곡되어 서로 연속하여 접하는 부분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진 단부는 서로 접합 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들 외에도 다양한 또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 보강 브라켓(40)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냉장고 도어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다른 일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70)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프레임(30)은 상기 수평부(31)와 수직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구조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할 것이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수평부(31)와 수직부(32)에 각각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영역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영역의 크기와 대응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열재가 채워지지 않은 상기 기계실(20)의 측면부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30)의 수평부(31) 및 수직부(32)와 연결되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또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브라켓(70)의 중앙에는 상기 브라켓 개구(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개구(71)의 내측 영역에 상기 사이드 그릴(5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그릴(51)을 통과하는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의 전체적인 형상은 절곡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 1 파트(701),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 2 파트(702), 상기 제 2 파트(702)에서 경사진 제 3 파트(703), 상기 제 1 파트(701)와 평행한 제 4 파트(704), 그리고 상기 제 2 파트(702)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다른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 5 파트(70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701, 702, 703, 704, 705)는 차례로 연속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기계실(20)의 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파트(701)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하단과, 상기 제 2 파트(702)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전단과, 상기 제 3 파트(703)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경사진 부분과, 상기 제 4 파트(704)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상단과, 상기 제 5 파트(705)는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서로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중앙에 상기 브라켓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가 연속하여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파트(701)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고정되고, 상기 제 5 파트(705)는 수직 지지부(321)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지지부(311)와 수직 지지부(321)는 상기 보강 브라켓(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기계실(20)이 위치되는 아웃 케이스(11)의 양측면을 한층 더 보강하게 된다.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금속 소재 또는 강도가 높은 복합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센터 파트(721)와 상기 센터 파트(721)의 양측면에서 각각 절곡되는 제 1 사이드 파트(722) 및 제 2 사이드 파트(7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센터 파트(721)는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상기 수직 지지부(321)와 접하는 면을 제공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트 내지 제 5 파트(701, 702, 703, 704, 705)를 형성할 수 있도록 연속하여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파트(721)의 폭은 상기 수평 지지부(311) 및 수직 지지부(321)의 폭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파트(721)의 폭은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커버 리어 파트(532) 또는 커버 로어 파트(534)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70)이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센터 파트(721) 중 상기 제 2 파트(702)의 하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몰된 수평 안착부(7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착부(724)는 상기 보강 브라켓(70)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될 때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안착부(724)는 상기 수평 단차부(312)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 수평 안착부(724)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파트(721) 중 상기 제 4 파트(704)의 전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함몰된 수직 안착부(7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안착부(727)는 상기 보강 브라켓(70)이 상기 보강 프레임(30)에 장착될 때 상기 수직 단차부(32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안착부(727)는 상기 수직 단차부(322)의 돌출된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며, 따라서 상기 수직 단차부(322)와 수직 안착부(727)는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착부(724)와 수직 안착부(727)의 구조에 의해 상기 보강 프레임(30)과 상기 보강 브라켓(70)은 전체적으로 한층 더 서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전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의 측면 보강 성능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터 파트(721)의 양측단 중 상기 기계실(20)을 향하는 일측단에는 제 1 사이드 파트(7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722)는 상기 센터 파트(7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커버(53)의 장착시 상기 사이드 커버(53)와 접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722) 중 상기 제 5 파트(7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722)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브라켓 장착부(7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장착부(726)에는 리액터(24)와 같은 전당 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터 파트(721)의 양측단 중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향하는 다른 일측단에는 제 2 사이드 파트(7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 또한 상기 센터 파트(7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며,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아웃 케이스(11)를 내측에서 실질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 중 상기 제 1 파트(70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수평 단차부(312)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 중 상기 제 2 파트(702) 및 제 5 파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 하단에는 사이드 안착부(7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안착부(725)는 상기 수평부(31)의 수평 보강부(313)의 상단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의 외측면은 상기 수평 보강부(313)의 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1)의 내측면과 동시에 접하여 지지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 중 상기 제 5 파트(70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723)는 상기 수직 지지부(321)의 내측 영역에서 절곡되며, 상기 수직 단차부(322)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내지 제 5 파트(705)에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722) 및 제 2 사이드 파트(723)들은 상기 보강 브라켓(70)의 성형시 절곡되어 서로 연속하여 접하는 부분이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진 단부는 서로 접합 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판상의 아웃 케이스;
    상기 저장공간과 독립되도록 상기 캐비닛의 후면 하단에 배치되며, 압축기 및 응축기가 수용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의 상면과 전면을 포함한 상기 기계실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기계실 케이스;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양측단과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을 연결하며, 상기 기계실의 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외측면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모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과 후단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보강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기계실의 좌우 양측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후단과 연결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 상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는 단일 금속 판재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 둘레를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회 절곡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의 양단에는 서로 이격되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보강 브라켓의 이격된 양단은 각각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기계실의 양측면 둘레 형상을 따라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센터 파트;
    상기 센터 파트의 좌우측 중 일측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기계실 케이스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 1 사이드 파트; 및
    상기 센터 파트의 좌우측 중 다른 일측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의 내측에는 전장부품이 배치되는 브라켓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에는 리액터가 장착되는 브라켓 장착부가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아웃 케이스의 양측면과 접하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케이스의 절곡된 단부와 접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터 파트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 2 사이드 파트는 상기 보강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과 대응하는 아웃 케이스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사이드 그릴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사이드 그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그릴의 개구와 연통되는 브라켓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과 독립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하단에 구비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 내부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
    양측의 상기 사이드 커버와 연결되며, 상기 기계실의 상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메인 플레이트;
    상기 기계실의 양 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아웃 케이스의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 어셈블리; 및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과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외측면 및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외측면과 모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는,
    상기 아웃 케이스의 하단과 후단 모서리에 장착되는 보강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커버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는 보강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기계실의 후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서 상기 기계실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수직부와 수평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커버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며, 수직부 및 수평부와 결합되는 센터 파트;
    상기 센터 파트의 일단에 절곡되며, 상기 사이드 커버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제 1 사이드 파트; 및
    상기 센터 파트의 다른 일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사이드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제 1 사이드 파트의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 커버와 상기 보강 브라켓의 사이를 기밀하는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기계실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커버 파트;
    상기 커버 파트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커버 리어 파트; 및
    상기 커버 파트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보강 브라켓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커버 로어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케이스의 후단 및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보강 프레임이 장착되는 케이스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절곡부를 따라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커버 리어 파트와 커버 로어 파트의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 절곡부와 접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웃 케이스의 측면과 접하는 보강부;와
    상기 지지부와 보강부를 연결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 프레임과 상기 아웃 케이스의 결합시 상기 단차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과 대응하는 아웃 케이스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사이드 그릴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그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그릴의 개구와 연통되는 브라켓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상기 브라켓 개구와 연통되는 커버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132675A 2018-11-01 2018-11-01 냉장고 KR10229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75A KR102290768B1 (ko) 2018-11-01 2018-11-01 냉장고
US16/664,281 US11060787B2 (en) 2018-11-01 2019-10-25 Refrigerator
EP19205737.0A EP3647695B1 (en) 2018-11-01 2019-10-28 Refrigerator
EP21214490.1A EP4001807A3 (en) 2018-11-01 2019-10-2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675A KR102290768B1 (ko) 2018-11-01 2018-11-0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113A true KR20200050113A (ko) 2020-05-11
KR102290768B1 KR102290768B1 (ko) 2021-08-18

Family

ID=6838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675A KR102290768B1 (ko) 2018-11-01 2018-11-01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60787B2 (ko)
EP (2) EP3647695B1 (ko)
KR (1) KR102290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85A1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7063B (zh) * 2017-03-09 2022-04-15 斐雪派克家用电器有限公司 制冷设备柜体
DE102018201098A1 (de) * 2018-01-24 2019-07-2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vorrichtung mit einer Strömungstrenneinheit
KR20200084634A (ko) * 2019-01-03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28012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냉장고
DE102019216094A1 (de) * 2019-10-18 2021-04-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evorrichtung
US11156396B2 (en) 2019-12-30 2021-10-26 Whirlpool Corporation Side access panel for an appliance
US11150008B2 (en) 2020-01-16 2021-10-19 Whirlpool Corporation Cabinet reinforcing assembly
CN111121379A (zh) * 2020-02-21 2020-05-0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KR20220059074A (ko) * 2020-11-02 202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719486B2 (en) 2020-12-31 2023-08-08 Whirlpool Corporation Fascia and divider wall for a machine compart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81U (ko) * 1988-06-17 1990-01-18 신종학 개량판 수동 지시 저울
JP2007003180A (ja) * 2006-05-22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9156497A (ja) * 2007-12-26 2009-07-16 Toshiba Corp 冷蔵庫
JP2015001344A (ja) * 2013-06-17 2015-01-05 ハイアールアジ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150063175A (ko) * 2013-11-29 2015-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3981A (en) * 1952-11-05 1956-05-01 Amana Refrigeration Inc Freezer cabinet with externally accessible machinery compartment
DE1451099A1 (de) 1963-01-25 1969-03-27 Siemens Elektrogeraete Gmbh Kuehlschrankgehaeuse mit Schaumstoffisolierung
JPS5650987U (ko) * 1979-09-28 1981-05-06
JPS5650987A (en) 1979-10-04 1981-05-08 Yasuharu Ebara Agent for inhibiting injury by repeated cultivation
DE102011002777A1 (de) * 2011-01-17 2012-07-1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ältegeräts
CN102287997B (zh) * 2011-08-18 2016-07-06 海尔集团公司 冰箱压缩机仓的支撑件及有该支撑件的压缩机仓和冰箱
KR102186837B1 (ko) * 2013-12-06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160069595A1 (en) * 2014-09-05 2016-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05928299A (zh) 2016-04-29 2016-09-0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6679308A (zh) 2016-11-16 2017-05-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用于冰箱的底板组件
US20200166271A1 (en) * 2018-11-28 2020-05-28 Bsh Hausgeraete Gmbh Ice maker with specific seal and household refrigeration apparatus
KR102629961B1 (ko) * 2018-12-19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4634A (ko) * 2019-01-03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1181U (ko) * 1988-06-17 1990-01-18 신종학 개량판 수동 지시 저울
JP2007003180A (ja) * 2006-05-22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JP2009156497A (ja) * 2007-12-26 2009-07-16 Toshiba Corp 冷蔵庫
JP2015001344A (ja) * 2013-06-17 2015-01-05 ハイアールアジア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150063175A (ko) * 2013-11-29 2015-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85A1 (ko) * 2021-12-29 2023-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1807A3 (en) 2023-02-15
EP3647695B1 (en) 2021-12-15
US11060787B2 (en) 2021-07-13
US20200141629A1 (en) 2020-05-07
EP3647695A1 (en) 2020-05-06
EP4001807A2 (en) 2022-05-25
KR102290768B1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50113A (ko) 냉장고
KR101622008B1 (ko)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40060429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JP2010071565A (ja) 冷蔵庫
KR20140060145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WO2011036872A1 (ja) 冷蔵庫
EP3929509B1 (en) Refrigerator with a divider within the machinery room
US9797647B2 (en) Domestic refrigerator with separately attachable divisional wall having air channels
JP2001174125A (ja) 冷蔵庫
JP2007071521A (ja) 冷蔵庫
US6014868A (en) Refrigerator with improved cold air supply structure
KR20190014687A (ko) 냉장고
JP2006220386A (ja) 冷蔵庫
JP5461864B2 (ja) 冷凍冷蔵庫
US11047608B2 (en) Refrigerator
JP3510770B2 (ja) 冷蔵庫
JP2000337748A (ja) 冷蔵庫
JP6675211B2 (ja) 冷蔵庫
JP2000088448A (ja) 冷蔵庫の仕切壁取り付け構造
JPH08247638A (ja) 冷蔵庫
JP3796783B2 (ja) 冷蔵庫
JP6386274B2 (ja) 冷蔵庫
JP4156952B2 (ja) 冷却貯蔵庫
JP6955587B2 (ja) 冷蔵庫
CN111609617B (zh) 回风口位于箱体两侧壁且分别对应有蒸发器的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