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68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687A
KR20190014687A KR1020170098454A KR20170098454A KR20190014687A KR 20190014687 A KR20190014687 A KR 20190014687A KR 1020170098454 A KR1020170098454 A KR 1020170098454A KR 20170098454 A KR20170098454 A KR 20170098454A KR 20190014687 A KR20190014687 A KR 20190014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pipe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in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122B1 (ko
Inventor
김지원
백우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122B1/ko
Priority to DE102018212564.3A priority patent/DE102018212564A1/de
Priority to US16/054,308 priority patent/US11415356B2/en
Publication of KR20190014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 F25B39/022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5B39/024Evaporators with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with 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 F25D2317/0665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from the 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2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tank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 내측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 상기 이너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증발기를 수용 및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 ; 및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공급하는 냉기 공급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은 , 상기 저장 공간의 일 벽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제공되는 판상의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와 이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전면에 구비되는 판상의 제 2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열교환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냉장고가 배치되는 공간의 가구 또는 벽면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도록 냉장고 도어에 가구 또는 벽면과 동일한 패널이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32770호에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하나의 증발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공간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의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복수의 공간 중 비교적 크기가 큰 냉장실의 경우 효과적인 냉각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며, 각각의 공간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단일 냉동 사이클로 복수의 공간을 냉각하는 경우 냉동 사이클 내에 냉매량이 많아지게 되며, 이는 사이클의 비대화 및 안전 및 환경규제를 만족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복수의 핀타입의 증발기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증발기로 인한 고내 저장 공간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팬, 모터 등의 배치로 인한 추가적인 고내 저장 공간의 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에서는 단열 두께를 충분히 할 경우 고내 저장공간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으며, 고내 공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단열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단열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내측에 물 공급을 위해 배치되는 워터 패스가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경우 해당 부분의 단열 성능이 취약하게 되고, 터패스의 조립 및 배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열 성능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립 작업성이 우수하고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 공간의 저장 용량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 내측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 상기 이너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증발기를 수용 및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 ; 및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공급하는 냉기 공급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은 , 상기 저장 공간의 일 벽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제공되는 판상의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와 이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전면에 구비되는 판상의 제 2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열교환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이격 상태로 고정 장착되는 롤본 드 타입의 증발기 인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열교환 공간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와 이격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케이스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형성하는 판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제 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증발기가 상기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증발기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는 ,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 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증발기와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증발기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상기 열교환 공간 내측을 형성하는 각 면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의 냉기를 복사시키는 복사층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의 양측단에는 냉기가 모두 상기 증발기를 거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의 양측단을 형성하며,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한쌍의 사이드 덕트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을 구성하며, 상기 사이드 덕트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 1 단열재와 2 단열재 그리고 증발기가 모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덕트에는 탄성을 가지는 접착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사이드 덕트 사이의 열교환 공간을 기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덕트에는 물 공급을 위한 급수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배관 안내부의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급수 배관이 상기 배관 안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와 연결된 급수 배관은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안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증발기의 측방에서 상기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 지지부와 ; 상기 덕트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함몰된 상기 배관 안내부를 형성하는 덕트 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덕트 전면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한 상기 급수 배관의 직접 냉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면판에는 , 상기 급수 배관과 연결되는 워터탱크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하단에 개구되는 흡입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급수 배관은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분지되며 ,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와 연결되는 워터탱크와 연결되는 디스펜서 배관과, 상기 저장공간과 독립된 냉동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아이스메이커와 연결되는 아이스메이커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배관과 아이스메이커 배관에 연결된 밸브들은 모두 상기 함몰부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측면판에는 , 상기 디스펜서 배관을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을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서 상기 아이스메 이커로 안내하는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에 매립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증발기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에는 핀타입 증발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증발기과 핀타입 증발기는 각각의 압축기와 연결되어 독립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내측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조로 냉장고의 제조가 가능하게 되며, 고내측 외관을 보다 고급스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고내 후벽면에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를 배치할 경우 저장공간이 아닌 이너 케이스의 후벽면 측으로 상기 증발기의 냉기가 전달되어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나, 증발기 커버모듈 배치되는 판상의 단열재에 의해 후방으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열 손실을 방지하고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냉기 공급모듈과 더불어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가 후벽면에 배치됨으로써, 냉장실 전체 면에 냉기의 벽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부하의 침투를 방지함은 물론 고내측을 입체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를 사이에 두고 전후방에 배치된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후면과 전면에는 복사층이 형성된다. 상기 복사층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박판 또는 시트로 구성되어 상기 증발기의 냉기가 단열재 내부로 침투되지 않고 표면에서 복사되어 증발기가 수용되는 열교환 공간의 내부에서 냉기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 냉각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 배치와 단열재에 의한 열교환 공간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냉장실의 내부를 독립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냉기에 의한 고내의 고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 채용으로 고내 후벽면의 공간을 확보하여 저장용량의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증발기 커버 모듈의 양측단에는 사이드 덕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덕트에 의해 상기 증발기 양측방의 공간을 차폐함으로써 상기 열교환 공간을 지나는 공기가 모두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열교환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덕트의 내측에 급수 배관이 안내될 수 있는 배관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관 안내부를 따라서 상기 급수 배관이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캐비닛을 형성하는 단열재의 두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배관을 고내측으로 배치함으로써 상기 단열재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더 얇게 하여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사이드 덕트의 내부에 상기 급수 배관을 배치 함으로써 상기 급수 배관의 배치를 위해 추가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상기 급수 배관의 고내 배치에 의한 상기 저장공간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배관의 배치를 고내측에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장착시 함께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배관이 고내측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고내 냉기에 의해 1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워터 탱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냉각될 수 있도록 하여 냉수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 배관이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 덕트의 구조는 상기 증발기와 구획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증발기에 의한 상기 급수 배관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정 온도로 상기 급수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물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 배관을 고내측에서 워터탱크와 밸브 들에 연결할 수 있으며, 고내측에서 캐비닛 외측면에 부착된 가이드 파이프를 통해 급수 배관이 출입되 도록 하여 상기 디스펜서와 아이스 메이커로의 보다 용이한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일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캐비닛의 절결 사시도이다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4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 17은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냉기 공급모듈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상기 냉장실의 내측의 냉각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배관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탱크의 배치 및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
도 23은 도 22에서 리어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
도 24는 도 22의 2-4-24' 단면도이다.
도 25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물 공급 경로를 개략적으로 타나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장고의 일부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2) 또는 외장이 형성된 벽체의 사이에 일체감 있게 장착될 수 있는 빌트인(Built-in) 타입의 냉장고 일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변의 가구(2)들과 일체감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이 가구와 동일 재질 또는 동일한 질감을 가지는 패널(3)에 의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3)들이 상기 냉장고(1) 주변의 가구(2)들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전체적으로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1,22,23)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1,22,23)는 상기 패널(3)이 장착된 상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패널(3)과 상기 도어를 별개의 구성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서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공간은 상부의 냉장실(12)과, 하부의 냉동실(13) 그리고,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사이에 제공되는 절환실(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은 냉장 영역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3)은 식품의 냉동 저장을 위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14)은 냉기의 선택적인 유동에 의해 냉장실(12)과 냉동실(13)로 전환 사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설정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본 실시 예와 같은 저장공간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두개 이상의 저장공간으로 구획되는 다양한 저장공간의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상기 도어는 상기 저장공간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 그리고 절환실 도어(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구성 또한 상기 저장공간의 구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한쌍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힌지장치(15)에 의해 상기 캐비닛(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양측이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따라서 하나의 상기 냉장실(12)을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를 이용하여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15)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1)는 상기 가구(2)의 형태로 설치되는 빌트인(Built-in) 타입의 냉장고이므로, 상기 힌지장치(15)는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개폐될 때 상기 패널(3)이 인접되는 가구(2)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사이에는 차폐장치(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사이를 차폐하여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는 상기 냉동실(13)과 절환실(14)을 슬라이딩 인출입되면서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에는 수납부재가 결합되어 서랍과 같은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캐비닛(11) 내측에 구비되는 레일과 같은 인출입 장치와 직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서랍과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의 전면에는 상기 패널(3)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되었을 때 상기 패널(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널(3)이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 및 절환실 도어(23)들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각각의 도어 사이의 간격이 매우 근접하게 되어 외부에서 볼 때 냉장고(1)가 아닌 가구(2)의 일부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도 4는 상기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1)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와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격되며,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치로 인해 고내측을 바라볼 때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으며 고내측이 한층 더 냉각된 모습을 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도에 의해 고내 전체 영역이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는 단열재(103)가 충진될 수 있으며, 고내측과 고외측을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사이에는 상기 단열재(103)의 성형을 위해 발포액을 주입하기 전에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 양측을 지지하도록 장착하는 스페이서(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04)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여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두개의 베리어(11,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리어(11,111)에 의해 각각 절환실(14)과 냉동실(13)이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1)의 하단 즉, 상기 냉동실(13)의 하방에는 기계실(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6)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161,162)와 응축기(미도시)를 비롯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61,162)는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13)을 냉각하기 위한 제 1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제 1 압축기(161)와, 상기 냉장실(12)을 냉각하기 위한 제 2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제 2 압축기(16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냉동실(13)과 냉장실(12)은 각각 독립된 냉동사이클에 의해 개별적으로 냉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냉동사이클로 분리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을 독립적이고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리된 냉동사이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압축기(161,162)를 적정 용량으로 설계할 수 있게 되어 압축기(161,162)의 크기 특히 높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16)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캐비닛(11) 내부의 저장 공간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냉동사이클을 분리함으로써 각각의 냉동사이클 내부에 제공되는 냉매량을 줄임으로써, 폭발성이 있는 냉매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냉동실(13)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제 1 증발기(1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증발기(13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핀 튜브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핀튜브 증발기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후방에는 냉동실 그릴팬(133)이 형성되며, 상기 냉동실 그릴팬(1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에 상기 제 1 증발기(134)와 냉동실 송풍팬(1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송풍팬(135)에 의해 상기 냉동실 그릴팬(133)을 통과하여 상기 냉동실 증발기(134)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13) 내부로 냉기의 집중적인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22)와 함께 인출입 가능한 냉동실 서랍(13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4)의 내부에는 상기 절환실 도어(23)와 함께 인출입 가능한 절환실 서랍(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14)의 후방에는 절환실 그릴팬(14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 그릴팬(142)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증발기(134)가 구비되는 공간과 연통되는 절환실 덕트(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 덕트(111a)는 상기 제 1 증발기(134)의 냉기가 상기 절환실(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환실 덕트(111a)에는 댐퍼(1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143)는 상기 절환실 덕트(111a)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댐퍼(143)의 개도 또는 개폐에 따라서 상기 절환실(14) 내부로의 냉기 공급을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143)에 의해 상기 절환실(14) 내부는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절환실 덕트(111a) 또는 상기 절환실 그릴팬(142)이 형성하는 공간에는 절환실 송풍팬(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 송풍팬에 의해 상기 절환실(14) 내부로의 냉기 공급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 송풍팬은 상기 댐퍼(143)의 동작과 연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절환실(14)은 열전 소자 또는 냉동사이클에 의한 별도의 독립적인 냉각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에는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을 형성하며, 동시에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면과의 사이에 제 2 증발기(500)가 구비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롤본드 증발기 또는 판상형 증발기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이너 케이스(102)의 사이에서 각각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된 공간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에는 냉기 공급모듈(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에는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비되어 냉장실(12) 내부의 냉기 공급을 강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공기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을 지나면서 냉각되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통해 상기 냉장실(1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 상면에는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모듈(123)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23)과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에는 고내측을 밝히기 위한 조명장치(124,1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에는 다수의 선반(121)과 서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배면에는 도어 바스켓(212)이 구비되어 고내에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냉장고의 캐비닛의 절결 사시도이다 .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캐비닛(10)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을 제외한 양측면과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와,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격된 상태로 내측에 배치되어 저장공간의 내측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 에서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가 상기 냉장실을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냉장실(12) 뿐만 아니라 상기 냉동실(13)과 절환실 (14) 또한 별로 제공되는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되어 각각 냉장고(1)의 좌우 양측면과 후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101)는 상기 도어(21,22,23)의 배면이 접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더 절곡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격된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12)의 내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 또한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12)의 각면이 각각 독립된 판상의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상기 냉장실(12)의 좌우 양측면과 후면 및 상하면을 각각 단일 판재로 형성하는 좌우 측면판(102a)과 후면판 (102b) 그리고 상면 판(미도시)과 하면판(102c)을 포함하게 되며, 이들 각각은 그 단부가 서로 접합되거나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내측면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장치와, 서랍 선반 등의 수납부 재의 장착이 용이하도록하고 , 전선 또는 급수 배관(600) 등의 출입을 위해서 포밍 , 절개 등의 추가 성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 사이에는 단열재(103)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 내부를 단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재(103)는 발포액이 충진되어 발포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가 조립된 상태에서 발포액이 주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모서리 사이에는 코너 지지부재(1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 지지부재(105)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모서리와 상기 아웃 케이스(101)의 모서리를 각각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상기 코너 지지부재(105)는 서로 연결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측면판(102a) 후면판(102b)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너 지지부재(105)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모서리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 지지부재(105)에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발포액의 주입시 상기 개구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사이에는 스페이서(104)가 더 구비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이 결합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과 증발기 커버모듈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서로 결합되어 냉기가 공급되는 유로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적어도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12)의 후면 적어도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 후단과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냉장실(12)의 상면과 후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냉기 공급모듈(300)은 내부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따라서 냉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 흡입구(411)가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에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인접하는 후측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에는 다수의 토출구(317,318)가 형성되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통해 안내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토출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상기 냉장실(12)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장착에 의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 후단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상단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외형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310)와 상부 케이스(390)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390)와 하부 케이스(310)의 사이의 유로 형성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3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311)와 상기 베이스(311)의 양측면과 전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테두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1)의 전단과 양측단에는 각각 냉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17,3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17,318)는 상기 베이스(311) 전단의 프론트 토출구(317)와 상기 베이스 양측단의 사이드 토출구(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는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는 상기 베이스(311) 전단의 일측단에서 타측단까지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전단에서 하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는 상기 베이스(311)의 양측단에 구비되되 상기 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는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의 양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베이스(311)의 대략 중앙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양측단의 전반부에서 하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311)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는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 및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와 대응하는 영역은 절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을 형성하되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양단에는 절곡부(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321)는 상기 베이스(311)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가 상기 베이스(311)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라이트 커버(314)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20)의 중앙 일측에는 센서 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322)과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311)의 일측에는 센서 장착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319)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가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11)의 내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서포팅 보스(31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보스(315)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팬 브라켓(36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 보스(315)는 상기 팬 브라켓(3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팬 브라켓(360)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330)는 상기 베이스(311)의 내측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311)에 장착되어 냉기의 유동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유로 형성부(330)는 단열 가능한 스티로폼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3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형성부(330)는 전체적으로 어퍼 파트(340)와 로어 파트(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파트(34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311)의 상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하부를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311)의 하부 공간을 채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330)가 상기 하부 케이스(310)에 장착되었을 때 상부 유로(333)와 하부 유로(332)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상부 유로(333)와 하부 유로(332)는 연통홀(331)에 의해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세히, 상기 어퍼 파트(34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부 둘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방으로 개구된 상부 유로(333)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어퍼 파트(340)의 후단부는 상기 베이스(311)의 후단부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311)의 후단부와 상기 어퍼 파트(340)의 사이에는 입구부(3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구부(341)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개구된 상단이 삽입되거나 서로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가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341)의 하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수직하게 상방으로 향하는 냉기가 상기 입구부(341)의 라운드진 안내면(341a)을 따라서 유동되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파트(340)에는 토출 안내면(3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안내면(342)은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가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로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토출 안내면(342)은 상기 상부 유로(333)의 후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 후단의 사이를 소정의 곡률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 안내면(342)은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 안내면(342)의 일부는 상기 연통홀(331)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어퍼 파트(340)의 전단에는 프론트 오프닝(3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은 상기 상부 유로(333)의 전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연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을 통과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배부(343a)가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343a)는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을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파트(340)의 양측단에는 사이드 오프닝(3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오프닝(344)은 상기 상부 유로(333)의 양측단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와 연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로 유입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을 거쳐서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기 상부 유로(333)의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형성되며, 상기 어퍼 파트(340)와 상기 베이스(311)의 사이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형성부(3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 파트(350)는 상면은 상기 상부 유로(333)를 형성하고, 하면은 상기 베이스(311)와 접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310)를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로어 파트(350)의 전단과 양측단은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과 사이드 오프닝 까지 연장되어, 상기 프론트 오프닝(343)이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연통되고, 사이드 오프닝(344)이 사이드 토출구(318)와 연통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파트(350)의 후단은 상기 연통홀(331)의 전반부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350)의 후단은 전방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유로(332)의 일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파트(350)의 후단과 상기 토출 안내면(342)에 의해 상기 연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331)은 중앙에서 양측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양단에서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331)은 중앙에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통홀(331)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서포팅 보스(315)가 관통되는 보스 홀(3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 홀(335)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연장된 상기 서포팅 보스(315)의 상단은 상기 팬 브라켓(360)과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360)은 상기 연통홀(331)을 차폐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360)은 상기 연통홀(33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쉬라우드(361)와, 상기 쉬라우드(361)의 둘레를 형성하는 브라켓 테두리(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61)의 외측을 따라서 다수의 브라켓 결합부(3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365)는 상기 로어 파트(350)에 형성된 보스 홀(335)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스 홀(335)을 관통하는 상기 서포팅 보스(315)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361)의 중앙에는 오리피스(3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리피스(363)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인 공기의 흡입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363)의 둘레는 벨마우스와 같은 형상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흡입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오리피스(363)의 외측에는 팬 서포터(3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서포터(364)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 결합부(371)와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터보팬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중앙에 팬모터(380)가 장착되며,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블레이드(372)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363)를 통해 흡입되는 하부 유로의 공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상부 유로(333)의 내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팬 브라켓(360)에는 상기 쉬라우드(361)의 후단을 따라서 상기 브라켓 테두리(362)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테두리(362) 상기 토출 안내면(342)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테두리(362)의 상단을 따라서 수직하게 돌축된 브라켓 결합부(3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결합부(365)는 상기 어퍼 파트(340)의 보스 홀(335)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서포팅 보스(315)의 상단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 브라켓(360)과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상기 상부 유로(333) 상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39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90)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90)는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유로(333)를 차폐하게 되고, 상기 상부 유로(333)상에 배치된 상기 팬 브라켓(360)과 냉장실 송풍팬(370)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39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상기 상부 케이스 장착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 장착부(345)에 상기 상부 케이스(39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390)의 상면은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장착될 때 상기 상부 케이스(390)와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상면이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좌우 양측면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후단,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구부(341)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과 접하여 상기 냉기가 유동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세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의 결합 구조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후측면에는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배면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장착되는 공간 및 냉기 유동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와, 제 1 단열재(440) 제 2 단열재(450) 그리고 사이드 덕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하부에는 흡입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411)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구(411) 상에는 공기 정화 모듈(42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모듈(420)은 필터 또는 촉매에 의한 공기의 정화가 가능한 구성으로 상기 흡입구(411)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는 상기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이 절곡되어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면과 이격된 열교환 공간(460)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공간(460)은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양측단에 상부 절곡부(412)와 하부 절곡부(4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절곡부(412)는 후방으로 절곡되되 절곡된 양단이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절곡부(412)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측면의 사이에는 상기 냉장실(12)에 배치되는 선반(121)이 장착되는 선반 장착부재(4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절곡부(413)는 후방으로 절곡되되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양측면과 접하는 상태에서 후방으로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절곡부(412) 사이의 폭은 상기 하부 절곡부(413) 사이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절곡부(413)의 외측면은 상기 상부 절곡부(412)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돌출된 거리는 상기 선반 장착부재(470)의 돌출 거리와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절곡부(413)의 높이는 상기 선반 장착부재(470)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반 장착부재의 하단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하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내측 좌우 양측에는 사이드 덕트(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 후방의 공간 중 좌우 양측을 차폐하여 사이에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발포 폼과 같은 단열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에 조립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 및 제 1 단열재(440)가 모두 결합된 상태로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사이 간격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폭과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에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 후방의 공간은 좌우 폭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통과하는 공기는 모두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통과하여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며, 일측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상부 절곡부(412) 및 하부 절곡부(41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은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되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측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두께는 상기 상부 절곡부 (412) 및 상기 하부 절곡부(413)의 높이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접하 여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덕트 지지부(433)와 배관 안내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 지지부(433) 상기 제 2 증발기(500) 측과 접하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일측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벽과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 지지부(433)에 의해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두께 및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되는 공간의 유로의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지지부(433)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내측과 외측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덕트 지지부(433)의 상단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덕트 결합부(43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덕트 지지부(433) 상기 배관 안내부(432)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냉기가 상기 배관 안내부(432)로 과도하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안내부(432)의 내부에 급수 배관(600)이 배치되더라도 급수 배관(600)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관 안내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안내부(432)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12)측으로 안내되는 급수 배관(600) 또는 전선들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안내부(432)는 상기 덕트 지지부(433)의 측단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안내부(432)와 대응하는 부분의 두께는 상기 덕트 지지부(433) 두께보다는 현저하게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단열재(440)의 두께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형상에 의해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 (400) 내측의 상기 열교환 공간(460)과 급수 배관(600)의 배치가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상단에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덕트 결합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 결합부(431)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결합시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입구부(34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은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서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과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사이의 유로 또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배면에는 제 1 단열재(4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두께가 얇은 단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진공 단열재로 형성되거나, 고밀도의 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상기 흡입구(411)의 상단에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덕트(430)에 양단이 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열재(440)의 장착으로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를 통해 대량으로 전도되어 고내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단열재(440)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구조상의 특징으로 인해 상기 제 2 증발기(500)에 의해 냉각되어 영하의 온도가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하거나 상기 냉장실(12)의 내측 후반부를 과도하게 냉각하게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1 단열재(440)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열재(440)의 후방에는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와 상기 제 1 단열재(440)가 형성하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부에 구?횔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겹치도록 서로 접합되는 한쌍의 판재(510)에 의해 냉매 유로(520)가 형성되는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는 롤본드(Roll bond) 타입의 증발기 구조의 특성상 그 두께가 얇으며, 판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흡입구(411)보다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411)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냉매 유로(520)의 형상은 양단이 다수회 반복적으로 절곡되는 사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매 유로(520)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열교환 공간(460) 내부의 유속을 느리게 하여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한층 더 냉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증발기(500)에는 다수의 증발기 홀(5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홀(511)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고정 장착을 위한 스크류(537)가 체결되는 홀로, 아래에서 설명할 증발기 고정부재(5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단열재(440)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대응하는 크기 또는 더 큰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후방에서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냉기가 후방의 상기 이너 케이스(102) 후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의해 후방으로 향하는 냉기는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단열재(45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통해서 냉각 공간이 아닌 다른 공간에 냉기가 불필요하게 누출될 수 있으나,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의해서 누출되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열재(450)에는 다수의 단열재 홀(4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 홀(451)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고정 장착을 위한 증발기 고정부재(530)가 삽입되도록 개구되며, 상기 증발기 홀(51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상기 냉장실(12)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는 설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증발기(500)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가 장착된 상태의 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냉장실(12) 후방에서의 상기 제 2 증발기(500) 및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배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세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의 가장 후측 벽면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면판(102b)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후면판(102b) 상기 좌우 측면판(102a)과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 그리고, 상기 후면판(102b)의 전방에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배치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되는 공간과 냉기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좌우 양측방에는 상기 선반 장착부재(470)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47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다수의 장착홀(471)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캔틸레버 타입의 상기 선반(121)을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장착부재(47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상기 측면판의 사이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전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좌우 양측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양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단열소재로 발포 성형될 수 있으며, 성형된 상태에서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양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덕트 지지부(433) 의해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와 상기 후면판(102b) 이격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수용되는 열교환 공간(460)과 상기 급수 배관(600)이 수용되는 배관 안내부(432)의 사이를 단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가 장착될 때, 상기 배관 안내부(432)는 상기 선반 착부재(470) 그리고 후면판(102b)의 사이에 정의 될 수 있다 . 그리고, 배관 안내부(432)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상기 급수 배관(600)이 출입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사이드 덕트(430)를 따라서 상기 급수 배관(600)은 상기 냉장실(12)의 내측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서 유입되어 상기 배관 안내부(432)를 지나 상기 냉장실(12)의 하단까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사이 공간에는 제 1 단열재(440)와 제 2 증발기(500) 및 제 2 단열재(450)가 전후 방향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단열재(440)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배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후면판(102b)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사이 공간에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될 수 있는 열교환 공간(4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두께는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나,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된 상태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외측면과 상기 제 1 단열재(440) 및 제 2 단열재(450) 또한 충분히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411)로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되며 ,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 및 상기 사이드 덕트(430)가 형성하는 열교 환 공간(460)을 지나면서 상기 제 2 증발기(50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공간(460)은 제상 수가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따라 흘러 내리게 될 때 표면장력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지 않을 정도의 간격만 유지한 채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폭과 두께와 거의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지나는 공기는 사실상 상기 제 2 증발기(500) 전체를 거치면서 충분히 냉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열재(45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후방으로 침투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면판(102b)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냉기가 상기 후면판(102b) 전달될 경우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특성상 빠르게 상기 후면판(102b) 전체면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되며, 상기 후면판(102b) 연결된 다른 이너 케이스(102) 측 또는 단열재(103) 등 사방으로 냉기가 퍼져나가게 된다.
상기 후면판(102b)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실(12)로 노출되는 후벽면이 아닌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의해 가려지게 되는 후벽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러한 냉기의 전달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효율을 저하시키고 냉각 성능을 떨어뜨리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단열재(450)를 통한 상기 제 2 증발기(500) 후방으로의 열전달의 차단을 통해서,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통과하는 공기의 냉각에 온전히 이용될 수 있으며, 고내를 냉각하기 위해 유동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에는 복사층(441,452)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사층(441,452)은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단열재(440)의 배면 전체와 상기 제 2 단열재(450)의 전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사층(441,45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박판 또는 시트와 같은 구조로 접착되거나 도포, 코팅, 증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사층(441,452)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상기 제 1 단열재(440) 제 2 단열재(450)의 내측으로 침투되지 않고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의 표면에서 복사되어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을 따라 이동되는 공기를 한층 더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상기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를 통한 손실 없이 온전히 상기 열교환 공간(460) 내측으로 향하게 되어 유동되는 공기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롤본드 증발기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증발기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도 4의 A부 확대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후방에는 증발기 고정부재(5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내측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전체적인 고정 및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간격유지를 유지를 위해서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단과 하단 및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상단과 하단에서는 각각 좌우 양측단에 한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중앙에는 상하방향으로 한쌍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 전체면이 안정적인 고정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에서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즉, 조립과정 중 또는 사용 중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변형에 의해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벽과 상기 제 2 증발기(5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제상시 물방울이 발생되더라도 제 2 증발기(500)와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벽 사이에 맺히지 않고 하방으로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기의 유동시 발생될 수 있는 유로 저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외측면과 상기 열교환 공간(460) 사이의 간격은 표면장력에 의해 제상수가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면과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후방에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단열재(450)와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차례로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에 의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상기 제 2 단열재(450)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스부(531)와 지지판(533) 그리고 핸들(5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31)는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의 전반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533)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31)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상기 제 2 단열재(450)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지지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531)의 전면 중앙에는 보스 홀(335)이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 홀(511)을 관통하는 스크류(537)가 상기 보스부 홀(532)에 체결되어 상기 제 2 증발기(5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스부(531)의 연장된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증발기(500)와 상기 제 1 단열재(440) 및 제 2 단열재(45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스부(531)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상기 제 1 단열재(440)와 제 2 단열재(450) 사이의 대략 중앙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533)은 상기 보스부(531)의 후단에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스부(531)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접하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533)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면접촉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의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배면에 접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핸들(534)은 상기 지지판(533)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533) 중앙의 핸들 축(535)과 상기 핸들 축(535)의 외측면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연장되는 핸들 리브(5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 리브(536)는 상기 핸들 축(535)의 외측면에서 상기 지지판(533)의 외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쥘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534)은 돌출되는 상기 핸들 축(535)에서 연장되는 핸들 리브(536)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핸들(534)을 쥐고 상기 보스부(531)를 상기 이너 케이스(102) 및 제 2 단열재(450)를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조립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핸들(534)은 단열재(103)가 형성되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의 사이 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103)의 성형을 위한 발포액의 주입시 상기 핸들(534)의 외측면은 상기 단열재(103)에 묻히게 되어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530)는 탈거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이 장착될 때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덕트 지지부(433)의 배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434)에 의해 상기 후면판(102b)에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부재(434)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후면판(102b)이 상기 단열재(103)의 발포에 의해 다소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사이드 덕트(430)가 상기 후면판(102b) 밀착된 상태로 접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내측의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상기 후면판(102b) 보다 견고하게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배관 안내부(432) 내측에는 상기 급수 배관(600)이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 유동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7은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냉기 공급모듈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 내부의 냉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0은 상기 냉장실의 내측의 냉각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냉동사이클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장고(1)의 저장공간 내부는 설정된 온도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12)의 내부를 설정 온도로 냉각을 위해서 상기 제 2 압축기(162) 및 제 2 증발기(500)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이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부에 구비된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동되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각 공기의 유동이 개시되어 고내를 냉각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압축기(162)의 구동시 상기 제 2 증발기(500)는 저온 상태가되며, 냉기 생성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이 구동하게 되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을 통해 냉기를 흡입하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흡입구(411)는 상기 냉장실(12)의 하단 영역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하부의 냉기를 흡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내측의 열교환 공간(46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증발기(500)가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충분히 냉각된 후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측으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강제 유동되며,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토출구(317,318)를 통해서 하방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은 상기 냉장실(12)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12)의 하방을 향하여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프론트 토출구(317)의 위치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선반(121) 및 서랍과 상기 냉장실 도어(21) 내측의 도어 바스켓(212)의 사이와 동일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에 의해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 및 냉장실(12) 도어에 배치되는 수납부재들 또는 상기 수납부재들에 수납된 식품에 의해 막힘 없이 상기 냉장실(12)의 바닥을 향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바닥에서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을 통해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상기 냉장실(12)의 바닥을 향해 이동되며 순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전체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냉장실(12)의 상부 영역에서의 냉기 유동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상단은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하단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내측에서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상단을 지난 냉기는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부의 상기 하부 유로(33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하부 유로(332)와 연통되는 상기 입구부(341)의 내측면에는 안내면(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면(341a)은 라운드진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상방으로 연장 및 개구되는 열교환 공간(460)의 상단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하부 유로(332)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을 통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냉기는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면(341a)과 마주보는 방향의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는 조명장치(125)가 장착되는 조명장치 장착부(3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장치 장착부(313)는 상기 안내면(341a)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곡면을 가지도록 함몰되어 상기 안내면(341a)과 함께 냉기의 유입을 보다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부 유로(332)는 상기 유로 형성부(330)의 어퍼 파트(340)와 상기 하부 케이스(31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하방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하방에서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내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중심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보팬과 같은 고 풍량의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은 회전축이 상하로 배치되고 바닥면이 상기 냉장실의 상면과 수평하도록 배치되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며, 상기 상부 유로(333)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된 후 상기 토출구(317,318)를 통해서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 내부에서의 냉기 유동을 도 1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 냉기는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송풍되는 냉기 중 일부는 상기 토출 안내면(342)을 따라서 유동되며, 상기 토출 안내면(342)을 따라서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송풍되는 나머지 냉기는 상기 상부 유로(333)를 따라서 전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로 향하게 된다. 즉,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상부 유로(333)를 따라 유동된 후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를 통해 토출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각을 위한 냉기의 유동을 살펴보면, 상기 냉장실(12) 하단에서 상기 흡입구(411)를 통해 흡입되는 냉기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내부의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따라서 상방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 공간(460)의 상단에서 상기 냉기 공급모듈(300)의 후단으로 유입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 송풍팬(37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상부 유로(333)를 통해 상기 사이드 토출구(318)와 프론트 토출구(317)로 향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는 상기 냉장실(12)의 상면 전단부와 전반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을 향하여 냉기를 토출하게 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하단에서 다시 상기 흡입구(411) 측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 토출구(317)와 사이드 토출구(318)에서 토출되는 냉기는 상기 냉장실(12)의 전단과 양측단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되면서 냉기의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12) 내부 전체를 입체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에 의해 차폐되는 상기 제 2 증발기(500)에서 발생되는 냉기는 대부분 상기 제 1 단열재(440)에 의해 차단되지만, 일부의 냉기는 상기 제 1 단열재(440)를 지나 외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은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온도와 같은 극저온 상태는 아니지만, 상기 냉장실(12)의 냉각에 필요한 적정 온도의 냉기가 상기 제 1 단열재(440)를 지나 상기 냉장실(12) 후벽면을 직접 냉각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은 상면과 하면, 전면과 좌우 양측면은 물론 후면까지 냉각 가능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12)의 내측면 전체가 입체적으로 냉각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아이스메이커 디스펜서에 물이 공급되기 위한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1은 상기 냉장고의 급수 배관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에는 상기 디스펜서(12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고내측으로 노출된 노즐(122a)을 통해 취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22)는 상기 내측면의 좌우 양측면 일측면의 벽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펜서 (122) 측면판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의 내측에는 아이스메이커(1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132)는 자동으로 급수되는 물을 공급받아 제빙할 수 있는 오토 아이스메이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메인 컨트롤러(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러(18)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 로, 상기 냉장고(1)의 냉동 사이클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펜서(122) 아이스메이커(132)로의 급수를 위한 밸브(720,730,7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캐비닛(10)에는 필터(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7)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관 연결의 편의성과 빌트인 타입의 상기 냉장고(1)의 설치 환경을 고려할 때 상기 캐비닛(10)의 외측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17)는 개폐 가능한 필터 커버(172)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커버(172)를 개방한 후에 상기 필터(17)를 교환 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필터(17)는 급수 배관(600)과 연결된 필터 헤드(171)에 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헤드(171)에 연결된 상기 필터(17)에 의해 정수된 물의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에는 워터탱크(700)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700)는 정수된 물을 냉장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디스펜서(122)와 연결되어 상기 디스펜서(122) 냉각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워터탱크 (700) 7-8회 취출 가능한 설정량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에 의해 냉각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122) 조작하게 될 때 항상 냉각된 상태의 물이 출수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냉장고(1) 내에 물공을 위한 급수 배관(600)은, 고외측의 급수원(4)에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 헤드(171)와 연결되는 입수관(610)과, 상기 필터 헤드(171)에서 상기 워터탱크(700)로 향하는 출수관(620), 상기 워터탱크(700)에서 상기 디스펜서(122)로 향하는 디스펜서 배관(630)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700) 에서 상기 아이스메이커(132)로 향하는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수관(610)은 수도와 같은 상기 급수원(4)과 연결되며, 상기 캐비닛(10)의 배면 또는 상기 기계실(16)의 내측을 통해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수관(610)은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 스(102) 사이를 지날 수 있으며, 상기 단열재(103)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배치된 입수관 가이드 파이프(760)를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입수관(610)은 상기 기계실(16)의 내측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상기 캐비닛(10) 상면까지 안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입수관(610)에는 상기 기계실(16)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원(4)으로부터의 물 공급에 따라 개폐되는 입수 밸브(7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수관(610)의 단부는 필터 헤드(171)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 헤드(171)에 상기 필터(1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입수관(61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필터(17)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정수하게 된다.
상기 필터(17)에서 정수된 물은 다시 상기 필터 헤드(171)를 통해서 출수관(620)으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17)와 필터 헤드(171)는 모두 상기 캐비닛(10) 상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입수관(610)과 출수관(620)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외측 상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사이드 덕트(430)에 형성되는 배관 안내부(432)를 따라 하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사이드 덕트(430)를 따라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지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관(620)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을 통과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냉기에 의해 1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에서 분지되어 일측의 배관은 상기 워터탱크(700) 및 디스펜서(122) 차례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일측의 배관은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 바닥면에서의 상기 급수 배관(600)의 연결구조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디스펜서 배관(630)은 상기 냉장실(12)의 측벽 즉, 상기 측면판(102a)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을 따라 상기 디스펜서(122) 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 배관(630)은 상기 단열재(103)가 형성되는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 사이의 공간을 지나게 되므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 배치된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를 통과하여 상기 디스펜서(122)로 향하게 된다.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는 상기 측면판(102a)에 형성된 디스펜서 배관홀(741)과 상기 측면판(102a)에 배치되는 디스펜서(122)의 사이와 양단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22) 연결되는 상기 디스펜서 배관(630)은 상기 측면판(102a)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102) 외측을 경유한 후에 상기 디스펜서(122)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내측에서 상기 디스펜서(122) 사이의 배관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은 상기 냉장실(12)의 측벽 즉, 상기 측면판(102a)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을 따라 상기 아이스메이커(13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은 단열재(103)가 형성되는 상기 아웃 케이스(101)와 이너 케이스(102) 사이의 공간을 지나게 되므로,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에 배치된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를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메이커(132)로 향하게 된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는 상기 측면판(102a)에 형성된 아이스메이커 배관홀(742)과 상기 냉동실(13)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의 측면 또는 상면과 양단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연결되는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은 상기 측면판(102a)을 관통하여 상기 이너 케이스(102) 외측을 경유한 후에 상기 냉동실(13) 내측에 구비된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12) 내측의 워터탱크(700) 상기 냉동실(13) 내측의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사이의 배관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냉장실(12) 내측에서의 상기 급수 배관(600)의 연결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탱크의 배치 및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 그리고, 도 23은 도 22에서 리어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도 22의 2-4-24'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실(12)의 후벽면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구비되는 제 2 증발기(500)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 양측단에는 상기 사이드 덕트(4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덕트(430)를 통해서 상기 급수 배관(600)을 구성하는 출수관(620)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430)는 상기 출수관(620)의 안내를 위한 배관 안내부(432) 를 형성하기 위해서 양측에 덕트 지지부(433)와 덕트 절곡부 (435) 그리고 상기 덕트 지지부(433)와 덕트 절곡부(435)의 전단을 연결하는 덕트 전면부(436)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덕트 지지부(433) 상기 출수관(62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 공간(460)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연장되어 상기 후면판(102b) 접착부재(434)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증발기(500)의 냉기가 상기 배관 안내부으로 침투되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덕트 절곡부(435)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절곡부(412,413)와 접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 그리고, 상기 덕트 절곡부 (435) 또한 필요에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면판(102b)과 접하여 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 전면부(436)는 상기 덕트 지지부(433) 덕트 절곡부(435) 연결하며, 상기 리어 플레이트(410)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 전면부(436)의 두께는 상기 덕트 절곡부(435) 및 덕트 지지부(433) 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단열재(440)과 대응하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덕트 전면부(436)에 의해서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내측에는 상기 후면판(102b) 이격되어 상기 출수관(620)이 배치될 수 있는 상기 배관 안내부(432)이 형성 된다 .
즉,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내측에 배치되며,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상기 덕트 지지부(433) 의해 상기 제 2 증발기(500)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은 받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상기 덕트 전면부(436) 또는 상기 배관 안내부(432)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고내의 냉기에 의해 1차적인 냉각 가능하게 되어 상기 출수관(620) 내부의 물은 적정한 온도로 냉각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에는 함몰 형성된 함몰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127)는 상기 워터탱크 (700) 및 상기 워터탱크(700)와 연결되는 밸브(720,730)들 및 급수 배관(600)을 구성하는 일부의 배관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면판(102c)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7)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냉장실(12)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서랍(128)과 같은 수납부재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128)이 배치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상기 함몰부(127)가 별도 제공되는 판상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27) 상기 흡입구(41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함몰부(127) 상기 흡입구(411)로 흡입되는 냉기의 유동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어 상기 흡입구(411)를 향하여 흡입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함몰부 (127) 내측에 구비된 워터탱크(700)의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워터탱크 (700) 내부에 수용된 물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실(12)의 온도와 같은 온도로 냉각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700) 튜브가 다수회 권취된 릴 또는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먼저 유입된 물은 냉각 후 먼저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122) 배출되는 물의 냉각 성능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워터탱크(700) 내의 정체된 물에 의한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워터탱크(700)는 요구되는 물의 저장량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반복적으로 권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몰부(127) 후단에는 제 1 개구(124a) 제 2 개구(124b)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124a)는 상기 함몰부 (127) 외측의 상기 사이드 덕트(430)의 수직 하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개구(124b)는 상기 제 1 개구(124a)와 연통되며 상기 함몰부 (127)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덕트(430)를 통해서 하방으로 안내되는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함몰부(127)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관(620)의 단부에는 분지 커넥터(7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지 커넥터(710)는 각각 상기 워터탱크(700)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출수관(62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분지 커넥 터(710)에 의해 상기 워터탱크(700)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지 커넥터(710)와 상기 워터탱크(700)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출수관(620)을 통해 상기 워터탱크(700) 급수된 물은 상기 워터탱크(700) 내측에 저장되어 냉각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지 커넥터(710)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는 연결관(64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관(620)을 통해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연결관(641)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는 상기 아이스메이커(132)로의 급수를 위해 개폐되는 것으로, 설정된 유량의 공급을 위해 유량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펌프가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로의 효과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의 출구에는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은 상기 측면판(102a) 제공되는 아이스메이커 배관홀(742)을 통과하여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를 통해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배치된 냉동실(13)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아이스메이커(132)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를 통해 삽입되어 일단은 아이스메이커(132)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와 연결될 수 있는 간편한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700)의 출구에는 디스펜서 밸브(7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밸브(730)는 상기 디스펜서(122)로의 급수를 위해 개폐되는 것으로, 공급 유량의 감지 및 유량에 따른 급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펌프가 추가로 구성되어 상기 디스펜서(122)로의 효과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밸브(730)의 출구에는 디스펜서 배관(63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배관(630)은 상기 측면판(102a) 제공되는 디스펜서 배관홀(741) 통과하여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 그 리고,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를 통해 상기 디스펜서(122)를 향하여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22)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디스펜서 배관(630)은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를 통해 삽입되어 일단은 디스펜서(122)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디스펜서 밸브(730)와 연결될 수 있는 간편한 연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홀(742)과 상기 디스펜서 배관홀(741)은 상기 측면판(102a)에 장착되는 홀 브라켓(74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브라켓(740)은 사출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판(102a)에 장착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브라켓(740)의 외측면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 및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홀(742) 상기 디스펜서 배관홀(741)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과 디스펜서 배관(630)을 삽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과 디스펜서 배관(630)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780) 및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770)를 따라 상기 아이스메이커(132)와 디스펜서(122)로 향하도록 안내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의 물 공급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기로 한다.
도 25는 상기 냉장고의 전체 물 공급 경로를 개략적으로 타나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급수원(4)을 통해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입수관(610)을 통해서 상기 기계실(16)의 내측으로 안내된다. 상기 기계실(16) 내부의 입수관(610)에는 상기 입수 밸브(7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수 밸브(75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입수관(610)은 상기 입수관 가이드 파이프(760)를 통해 상기 캐비닛(10)의 상면까지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상면에서 상기 입수관(610)은 상기 필터(17)와 통될 수 있다. 상기 입수관(610)을 통해서 상기 필터(17)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필터(17)에 의해 정수될 수 있으며, 정수된 물은 상기 출수관(620)을 통해 상기 냉장실(12)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400)의 양측방에 배치되는 사이드 덕트(430)를 통해서 상기 냉장실(12)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출수관(620)을 지나는 물은 상기 냉장실(12) 공간의 냉기에 의해 1차적인 냉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출수관(620)은 상기 냉장실(12)의 함몰부(127) 내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분지 커넥터(710)에 의해 분지되어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와 상기 워터탱크(700) 분지될 수 있다. 상기 분지 커넥터(710)의 일측은 상기 연결관(641)에 의해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와 연결되어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로 급수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분지 커넥터(710)에 의해 분지된 다른 일측은 상기 워터탱크(700) 연결되며, 상기 워터탱크(700) 에는 항상 설정된 양만큼의 물이 저장 및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로의 급수 신호가 발생되면 , 상기 아이스메이커 밸브(720)가 개방되고,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640)을 통해서 상기 아이스메이커(132) 설정된 유량의 물이 공급되어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122) 로의 급수 신호가 발생되면 , 상기 디스펜서 밸브(730)가 개방되되고 , 상기 디스펜서 배관(630)을 통해서 상기 디스펜서(122) 노즐(122a)로 냉각된 물이 공급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0)

  1. 외형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와 상기 아웃 케이스 내측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
    상기 이너 케이스에 장착되며, 상기 증발기를 수용 및 상기 저장공간의 냉각을 위한 냉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증발기 커버모듈; 및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저장공간 내측으로 공급하는 냉기 공급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은,
    상기 저장 공간의 일 벽면을 형성하는 판상의 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에 제공되는 판상의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와 이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전면에 구비되는 판상의 제 2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증발기가 수용되는 열교환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이격 상태로 고정 장착되는 롤본드 타입의 증발기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열교환 공간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와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형성하는 판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제 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증발기가 상기 제 1 단열재 및 제 2 단열재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증발기 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배면에 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상기 이너 케이스와 상기 제 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증발기와 접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증발기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와 체결되는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의 상기 열교환 공간 내측을 형성하는 각 면에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의 냉기를 복사시키는 복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양측단에는 냉기가 모두 상기 증발기를 거치도록 상기 열교환 공간의 양측단을 형성하며, 단열 소재로 형성되는 한쌍의 사이드 덕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리어 플레이트의 배면 측단에 구비되어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을 구성하며,
    상기 사이드 덕트의 사이 영역에 상기 제 1 단열재와 제 2 단열재 그리고 증발기가 모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덕트에는 탄성을 가지는 접착부재가 제공되며,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이너 케이스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사이드 덕트 사이의 열교환 공간을 기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덕트에는 물 공급을 위한 급수 배관이 수용되는 배관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안내부의 상단과 하단은 개구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를 관통하는 상기 급수 배관이 상기 배관 안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와 연결된 급수 배관은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배관 안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증발기의 측방에서 상기 열교환 공간을 형성하는 덕트 지지부와;
    상기 덕트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함몰된 상기 배관 안내부를 형성하는 덕트 전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 지지부는 상기 덕트 전면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한 상기 급수 배관의 직접 냉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 케이스의 하면판에는,
    상기 급수 배관과 연결되는 워터탱크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증발기 커버모듈의 하단에 개구되는 흡입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은 상기 함몰부의 내측에서 분지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펜서와 연결되는 워터탱크와 연결되는 디스펜서 배관과,
    상기 저장공간과 독립된 냉동실의 내측에 구비되는 아이스메이커와 연결되는 아이스메이커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펜서 배관과 아이스메이커 배관에 연결된 밸브들은 모두 상기 함몰부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측면판에는,
    상기 디스펜서 배관을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서 상기 디스펜서로 안내하는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와,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을 상기 함몰부의 측면에서 상기 아이스메이커로 안내하는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 배관 가이드 파이프 및 상기 아이스메이커 배관 가이드 파이프는 상기 이너 케이스와 아웃 케이스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냉장실과 냉동실을 포함하며,
    상기 냉장실에는 상기 증발기가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에는 핀타입 증발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과 핀타입 증발기는 각각의 압축기와 연결되어 독립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70098454A 2017-08-03 2017-08-03 냉장고 KR102375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4A KR102375122B1 (ko) 2017-08-03 2017-08-03 냉장고
DE102018212564.3A DE102018212564A1 (de) 2017-08-03 2018-07-27 Kühlschrank
US16/054,308 US11415356B2 (en) 2017-08-03 2018-08-03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454A KR102375122B1 (ko) 2017-08-03 2017-08-0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687A true KR20190014687A (ko) 2019-02-13
KR102375122B1 KR102375122B1 (ko) 2022-03-17

Family

ID=65020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454A KR102375122B1 (ko) 2017-08-03 2017-08-03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15356B2 (ko)
KR (1) KR102375122B1 (ko)
DE (1) DE102018212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2579A (ko) * 2019-12-09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그릴팬어셈블리
KR20210099265A (ko) * 2020-02-04 2021-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240110745A1 (en) * 2022-09-29 2024-04-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interior layou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084A (en) * 1993-11-24 1996-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sterilizer and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KR100725494B1 (ko) * 2006-01-18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JP2010169302A (ja) * 2009-01-22 2010-08-05 Panasonic Corp 冷蔵庫
KR20150118482A (ko) * 2014-04-14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7877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65948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2032A (en) * 1941-07-01 1942-08-04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US2863300A (en) * 1955-10-28 1958-12-09 Gen Motors Corp Refrigerating apparatus
US2866323A (en) * 1955-12-27 1958-12-30 Gen Motors Corp Forced air cooled refrigerator
US2775873A (en) * 1956-02-21 1957-01-01 Herbert T Jones Still chilled refrigerator
US3084519A (en) * 1958-03-06 1963-04-09 Whirlpool Co Two temperature forced air refrigerator systems
US3081608A (en) * 1959-04-23 1963-03-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Frozen food compartment for domestic refrigerator
US3111818A (en) * 1961-03-30 1963-11-26 Hupp Corp Refrigerators and components
US3174642A (en) * 1962-11-15 1965-03-23 Gen Electric Refrigerator cabinet construction
US3196632A (en) * 1963-12-30 1965-07-27 Herman L Buffington Refrigerated cabinet
US3590594A (en) * 1969-05-13 1971-07-06 Golconda Corp Single evaporator multiple temperature refrigerator
JPH0827125B2 (ja) * 1989-06-23 1996-03-2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0153496B1 (ko) * 1996-06-29 1999-01-15 배순훈 냉장고
MY126946A (en) * 1999-06-08 2006-11-30 Qpod Systems Ltd Container
US6434954B1 (en) * 2000-05-04 2002-08-20 Qualmark Corporation Air circulation system for a chamber
KR100674573B1 (ko) * 2003-03-28 2007-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549075B1 (ko) * 2003-12-31 2006-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5021557A1 (de) * 2005-05-10 2006-11-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Umluftkühlung
DE102006015994A1 (de) * 2006-04-05 2007-10-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Abtauheizung
US20080034780A1 (en) * 2006-08-11 2008-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690702B1 (ko) 2006-11-27 2007-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US8453476B2 (en) * 2009-05-21 2013-06-04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module mounting system
US7891205B2 (en) * 2007-05-17 2011-02-2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defrosting and chilling compartment
KR20090051942A (ko) * 2007-11-20 2009-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갖춘 냉장고
EP2159516A3 (en) * 2008-09-02 201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makers
US20120285193A1 (en) * 2009-12-31 2012-11-15 Bongjun Choi Refrigerator
KR101740368B1 (ko) * 2010-08-26 2017-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20082992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341402B1 (en) * 2012-11-09 2016-05-17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vented air flap between icemaking compartment and ice storage area
US9557091B1 (en) * 2013-01-25 2017-01-31 Whirlpool Corporation Split air pathway
KR102004470B1 (ko) * 2013-04-01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68586B1 (ko) * 2013-11-29 2020-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326476B1 (ko) * 2014-08-21 2021-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37690B1 (ko) * 2014-10-07 2016-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냉기 덕트용 덕트 커버 및 냉기 제공 방법
US10288338B2 (en) * 2015-08-28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084A (en) * 1993-11-24 1996-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sterilizer and deodorizer for a refrigerator
KR100725494B1 (ko) * 2006-01-18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조저장실을 갖는 냉장고
JP2010169302A (ja) * 2009-01-22 2010-08-05 Panasonic Corp 冷蔵庫
KR20150118482A (ko) * 2014-04-14 2015-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27877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70065948A (ko) * 2015-12-04 2017-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15356B2 (en) 2022-08-16
US20190041119A1 (en) 2019-02-07
DE102018212564A1 (de) 2019-02-07
KR102375122B1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9792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86936A1 (en) Refrigerator
EP2519793B1 (en) Refrigerator
CN110440504B (zh) 一种冰箱
US20200393187A1 (en) Ice maker-integrated refrigerator
US10837693B2 (en) Refrigerator
US11835289B2 (en) Refrigerator with divider
KR20190014687A (ko) 냉장고
US20230314067A1 (en) Refrigerator
KR101132455B1 (ko) 냉장고
CN110440513B (zh) 一种冰箱
CN210772966U (zh) 一种冰箱
CN211739628U (zh) 一种冰箱
CN211739629U (zh) 一种冰箱
KR100308090B1 (ko) 냉장고
KR101260559B1 (ko) 냉장고
KR101132540B1 (ko) 냉장고
KR20110085597A (ko) 냉장고
CN218410369U (zh) 制冰机及制冷设备
KR20110078656A (ko) 냉장고
US20240110745A1 (en) Refrigerator interior layout
US20230122785A1 (en) Refrigerator
WO2021042769A1 (zh) 一种冰箱
KR20110085395A (ko) 냉장고
KR2021011218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